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테마파크 탑승시설 이용자의 만족도 분석 : 에버랜드·서울랜드 중심으로

        서용주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경제발전과 주5일 근무제도 실시에 따른 시민들의 레저활동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는 여유시간의 계속적인 증가로 인해 인생을 자유롭게 즐기면서 살아가려는 새로운 가치관의 확산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테마파크의 이용은 레저활동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테마파크는 1970년대 많은 테마파크들이 설립되면서부터 급격한 성장을 보여 왔다. 하지만 최근 테마파크 입장객은 계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기업의 공급위주의 테마파크에서 그 한계점을 찾을 수 있다. 현재 소비자의 입장에서 테마파크의 만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왔다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테마파크의 광범위 한 개념에서 테마파크 전체적인 만족도에 관심을 가졌다.본 연구는 우리나라 테마파크의 대부분이 탑승시설을 중심 요소로 하여 개발되었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테마파크 구성하는 탑승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어떠한 변수들에 의해 탑승시설을 선택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이용자들이 탑승시설의 어떠한 요소에 만족감을 느꼈는지와 그 요소들이 전체 탑승시설 만족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사방법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테마파크 탑승시설을 이용하고 나오는 사람들을 무작위로 조사하였다. 신뢰성이 검증된 변수들을 요인분석으로 축소하였으며, 그 요소를 독립변수로 하고 탑승시설 전체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테마파크의 탑승시설을 선택하는 요인에 있어서. 테마파크가 얼마나 ‘이용자의 흥미를 이끌어 내는가’와 ‘스릴감 있어 보이는가’가 탑승시설의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 그리고 또한 ‘탑승경험과 추천’이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탑승경험과 추천 두 가지 모두 본인 또는 타인의 과거 경험으로 볼 수 있다. 과거의 경험이 또 하나의 중요한 요인으로 탑승시설 선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테마파크의 이용자 대부분이 재방문자라는 점을 감안 할 때, 이용자들이 테마파크에 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갈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둘째, 테마파크 탑승시설의 전체적인 만족도는 만족요인1(다양성, 흥미, 스릴감, 호기심)과 상관관계가 있다. 이용자들은 탑승시설이 얼마나 다양하게 있었는지와 얼마나 흥미롭고, 스릴감이 있었는지, 얼마나 호기심을 이끌었는지가 탑승시설의 만족감을 느끼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반면에 대기시간이나, 시설의 안전성, 청결성은 비교적 탑승시설의 만족도에 영향을 적게 끼쳤다. 하지만 탑승시설의 안전성이나 청결성을 간과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본 연구의 한계점은 모집단을 에버랜드와 서울랜드로 한정하였는데, 이번 결과에서도 나타난 듯 각 테마파크별로 이용자의 성향이 다르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어떠한 점이 이러한 차이를 발생시키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의 탑승시설에 관한 연구 이외에 최근 테마파크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이벤트와 공연’에 대한 향후 연구도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recent economic growth and the five-day work system, many people now desire to spend their time on leisure. As the leisure time is getting increased, their sense of value has been changed to live freely. Visiting theme park is the one of the typicalleisure activities. The theme parks in Korea have sharply increased since many theme parks were established in 1970s. But their visitors are tending consistently downwards. We can find the uppermost limit of Korean theme parks run by companies'support. Even though the researche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me park have been actively processed, former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general satisfaction based on the wide concepts of theme parks.This research is focused that almost all the Korean theme park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ides.I made investigations what made the visitors choose the rides at the theme parks. In addition I surveyed what factorsof the rides made them feel satisfied and how each of them had an influence on visitors' satisfaction obtained through using the whole rides. I used the questionnaires and intended for the people who were going out after visiting theme parks at random. I cut down the variables tested reliability by using the factor analysis method and processed regression analysis by regarding the tested relia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otal satisfaction of going on the rides as dependent variables.At first, when selecting rides of theme parks, some factors such as 'How much the rides make visitors exciting?', 'How much were visitors thrilled by going on the rides?' significantly make influence in choosing. 'Experience in using the ride and other's recommendation' will also make great effects. Both the experiences and other's recommendation resulted from a person himself and other's experiences. We can find the past experiences,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have great influence in selecting rides. Most of the visitors will revisit the theme park, so we should mainly focus on making them have affirmative experiences at the theme park.Second, overall satisfactions of using rides at the theme parks are deep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factor 1 (diversity, interests, thrills, and curiosity). It is very important to the visitors that 'How various rides are in the theme park?', 'How interesting and thrill it is?' and 'Does the ride stimulate curiosity?'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including waiting time, safety of facilities, and cleanliness had little influence on satisfaction. But we shouldn't overlook those factors.This research has its limitbecause it puts a limitation on just 'Everland' and 'Seoul Land', and as we recognize from the result of research, visitors' disposition classified by each theme park is significantly different. I think future research on what make differences is necessary. In addition, besides this research on the ride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search on 'Event and Performance'which is becoming an issue recently in the theme parks industries.

      • 강관 버팀보로 지지된 보강널말뚝의 거동분석

        서용주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에서 상용되는 가시설 굴착 지지방법에는 H형강, Earth Anchor, Soil Nailing 등을 가설 지보재로 이용하는 공법들이 있으며, 이러한 공법들은 교통량이 많은 도로 지하에 대형건축물 터파기 공사에서 굴착 폭의 제한 및 인접 대지 이용불가, 공기지연에 따른 공사비 증가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원형강관을 가설 버팀보로 이용하는 방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원형강관과 H형강 버팀보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연약지반에 대한 흙막이 굴착공사를 실시할 경우 적용 가능한 설계기준을 마련하여 앞으로 흙막이벽의 설계 및 시공시 경제적이고 안전한 공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서해안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유수면을 매립한 형태로 지층구조 또한 유사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연약점성토지반에 강널말뚝 흙막이벽을 설치하여 굴착공사를 실시한 영종도 및 송도 그리고 청라현장에서 측정된 계측자료를 토대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약지반에서 버팀보지지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의 분포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안할 수 있으며, 최대측방토압의 크기는 0.60rH임을 알 수 있다. 제안된 측방토압은 Terzaghi and Peck(1967) 및 Tschebotarioff(1973)의 경험토압보다 크게 나타났고, NAVFAC (1982)의 경험토압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연약지반에서 버팀보지지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최대측방토압은 연직상재압의 0.39배이며, 흙막이벽의 수평변위가 각 굴착단계별 굴착깊이의 1%이하이므로 안정성이 양호한 현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H형강 버팀보 보다 설치간격이 1.5배 넓은 강관버팀보를 적용한 결과 H형강 버팀보를 적용한 결과와 흙막벽의 안정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연약지반에 설치된 버팀보지지방식에 따른 흙막이벽의 거동을 비교하고, 흙막이벽의 변형과 굴착저면의 안정성에 관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흙막이벽의 설계 및 시공기준의 제안이 가능하게 되었다. In order to support the scaffolding excavation, such a method of construction that using H-shape single-angle steel, earth anchor, soil nailing and so on as scaffolding strut materials is commonly used domestically. However, this method of construction generates such problems as limiting the width of excavation, impossible to use neighboring land and increasing construction costs due to the delay of the term of work in the excavation work of large buildings under the road where there is much traffic. In order to overcome above problems, the method of using circular steel as a scaffolding strut was applied to actual scenes of construction in this study and then compared between the struts made of circular steel and H-shape single-angle steel, thus establishing a criterion of design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soil shuttering excavation of domestic weak ground for the economic and saf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oil shuttering wall.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data measured in the construction sites of Yeongjongdo, Songdo and Cheongra locating in the west coast and having such a similar geological stratum as a public water landfill and weak cohesive soil ground and of which excavation work was done with the establishment of soil shuttering wall with reinforced sheet piles. The distribu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acting to the strut-reinforced soil shuttering wall in the weak ground can be proposed as a rectangular form and the maximal lateral earth pressure was 0.60rH. The proposed lateral earth pressure was bigger than the earth pressure experienced by Terzaghi and Peck (1967) and by Tschebotarioff (1973) and similar to the earth pressure experienced by NAVFAC (1982). In addition, since the maximal lateral earth pressure acting to the strut-reinforced soil shuttering wall in the weak ground was 0,39 times of the perpendicular overburden pressure and the horizontal side way was less than 1% of the depth of excavation by every stage of excavation, the construction site in this study seemed to be good from the aspect of stability. Its stability of soil shuttering wall presented no great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applying the steel pipe strut of which install interval was wider than the H-shape single-angle steel strut by 1.5 times. In conclusion, study findings show that by comparing the behaviors of strut-support method soil shuttering wall installed in the weak ground and b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formation of soil shuttering wall and the stability of excavation bottom, it is possible to propose the criteria of design and construction of soil shuttering wall.

      • GSM 대역 5 W급 전류 모드 D급 전력 증폭기의 설계

        서용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Power GaA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GSM 대역 적용을 위한 고효율 전류 모드 D 급 전력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 하였다. 전력증폭기는 주파수 대역 900 MHz 에서 동작 하며 푸시-풀 B 급 전력증폭기의 구조를 기초로 하여 병렬 고조파 컨트롤 회로를 적용 하여, 기존 D 급 전력증폭기의 가장 큰 손실 요인이었던 출력단 커패시 턴스에 의한 전력 손실을 최소화 하였다. 전체적인 구성은 구동 증폭기, 스위칭 동작을 위한 180˚ 하이브리드 커 플러, 발룬으로 구성 하였다. 설계된 전력증폭기는 측정 결과, 900 MHz 에서 3.2 W의 출력과 72 % 의 전력 부가 효율을 그리고 5 W 의 출력전력에서 70 %의 전력 부가 효율 을 각각 얻었으며 DC 전력의 크기에 따라 출력의 크기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D 급 전력증폭기의 특성을 확인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력증폭기에 만일 변조 전원공급기와 같이 구현 된다면, 고효율과 선형성을 동시에 만족 시키는 방법인 포락선 제거, 복 원 기술에 적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농형 유도전동기의 DC-Link 전압 가변 조건이 고려된 약계자 제어 알고리즘

        서용주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Electric Vehicle and Vessel have a wide range of voltages as the DC voltage sources with battery are mainly used for them. The Δ-connection operation of the induction motor is required to make the maximum power in a low voltage level. But the elements’ temperature of the inverter increases due to high input current when it is in the Δ-connection operation. Therefore, the induction motor must be driven with the Y-connection. The lack of voltage needs to be with the field weakening control. This paper suggests the algorithm of the optimum field weakening control to drive the induction motor with maximum power in a limited thermal and DC voltage condition.

      • (A) comparative analysis of period determinants in newtown project an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of Seoul

        서용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국내박사

        RANK : 247615

        Newtown Project of Seoul started to activate the depressed real-estate market, to promote the urban rearrangement project and to expand the urban infrastructure systematically. As former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had very long project periods and their budgets tended to increase during the projects, the Newtown project type was welcomed instead of it. But, due to the excessive designation of Newtown zones and the insufficient consultation with residents, many problems happened to cause the designation cancellations of Newtown zones. Now, the Newtown project is under the overall reconsider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raising question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factors of Seoul Urban Rearrangement Project that have influence on the project period? RQ 2: Are the factors of Seoul Urban Rearrangement Project that have influence on the period of Newtown project different from those that have influence on the period of Housing Reconstruction one? RQ 3: When the Urban Rearrangement Project is classified into the Newtown project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is there any difference of factors to determine the project period according to the project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eatures of Newtown project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carried out by Seoul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determinants according to the project periods. To comp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ject periods of Newtown and Housing Reconstruction, the regression model was used. By reviewing the former studies, the factors to construct the model were selected, and then some other factors appropriate for this study were added to establish the estimation model for project period. While other former analytical studies are just focusing on the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this study is peculiar in that it makes the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positive data for both Newtown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 period of Urban Rearrangement turned out to be influenced by situation features, plan features and economy features. A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actors between Newtown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Second, the plan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on the Newtown Project period while the economy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on the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period. It seems because the Newtown project has a clearer policy goal and more thorough planning and reviewing process than the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in planning the infrastructure and project. Third, of the situation features which have been supposed to be influential on the project period based on the experience of former Urban Rearrangement Projects, some factors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in this study. This limit may come from the fact that the project period set up in this study is not until the construction completion point but the approval point of management disposition plan. Presently, Seoul is cancelling the former designation of Newtown zones let along not designating additional Newtown Project zones. The overheated applications to Newtown designation and the reckless promotions of projects without proper evaluations of project effects and problems must have caused this resul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lan factors have great influence on the period of Newtown Projects and therefore the policy for systematic development must be established and executed. As the Newtown projects can fill up the insufficient and unbalanced urban infrastructures systematically, the promotion of Newtown Project may be a solution in the old urban core with high land price. This study has some limits as follows: First, as the research scope was confined to Seoul’s Newtown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the influential factors on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or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can be analyzed differently in other cities. Second, due to the limit of data, the project period was not set until the completion point of project but the management disposition approval point. If the project period had been considered to cover the whole construction period till the completion point, it would have been hard to compare the samples. Therefore, it was inevitable to limit the period till the management disposition approval point. In the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the whole project period till the completion point of Newtown Project. Furthermore, it would be better to select more diverse factors in social and economic fields. 서울시 뉴타운사업은 침체된 부동산시장의 활성화와 도시정비사업의 촉진, 그리고 계획적으로 광역적 범위로 도시기반시설 설치를 포함한 정비사업의 실현을 위해 시작되었다. 기존의 주택재개발사업은 추진되는 과정이 오래 걸리고 사업비도 증가하여 뉴타운사업 방식이 환영받았으나, 과도한 뉴타운사업구역 지정과 주민의 협의가 미진하여 구역이 해제되는 등의 문제점이 등장하면서 뉴타운사업에 대한 재검토가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제기를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 : 서울시 도시정비사업에서 사업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 서울시 도시정비사업에서 사업기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이 뉴타운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 뉴타운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으로 도시정비사업을 구분할 때, 각 사업방식에 따라 사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다른가?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뉴타운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간의 구별되는 특징과 사업기간에 따른 결정요소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뉴타운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의 사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비교하기 위해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 구는 기존 연구를 고찰하여 모형구축에 사용할 변수들을 선정하고 연구목적에 합당한 변수를 추가하여 사업기간 추정 모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기존 연구들이 주택재개발사업으로 한정된 점을 개선하여 뉴타운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회귀모형을 비교분석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 첫째, 도시정비사업의 사업기간은 현황적 특성과 계획적 특성, 경제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수들은 뉴타운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타운사업은 계획적 특성이 사업기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주택재개발사업은 경제적 특성이 사업기간에 보다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뉴타운사업이 정책적 목표가 뚜렷했으며, 기반시설 확보계획이나 사업계획 등에 있어 주택재개발사업 보다 치밀한 계획과 검토의 과정을 거쳤기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셋째, 기존 도시정비사업의 경험을 고려할 때, 현황적 특성들이 사업기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했던 변수들 중 일부가 본 연구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본 연구에서 설정한 사업기간이 준공까지의 시점이 아니라 관리처분계획인가 시점으로 설정한데서 오는 한계일 것이다. 현재 서울시는 뉴타운사업의 추가 지정을 하지 않는 것은 물론 기존 뉴타운사업의 구역해제까지 진행되고 있다. 이는 과열된 뉴타운지정 신청과 사업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없이 추진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뉴타운사업은 계획적 요소들이 사업기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계획적 개발의 정책이 잘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뉴타운사업을 통해 부족하고 불균형적인 기반시설의 계획적 확보가 가능한 만큼 낙후되고 토지가격이 높은 도심에서 뉴타운사업의 추진은 일정부분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지닌 몇 가지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범위를 서울시 뉴타운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서울시 이외 지역에서의 영향요인이나 주택재건축사업이나 도심재개발사업의 영향 요인과는 다르게 분석될 수 있다. 둘째, 자료의 한계로 인해 사업기간을 준공시점까지 설정하지 못하고 관리처분인가일로 한정하였으나, 사업기간 중 건설기간을 고려하여 완공시점까지 고려한다면 표본수의 비교에 한계가 있음으로 인해, 관리처분인가일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전체 사업기간을 분석대상으로 삼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서는 뉴타운 사업이 완료된 시점에 사업 전 기간에 대한 분석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폭 넓은 변수설정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