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50kW급 트랙터의 주변속 단수 사용빈도를 고려한 기어 강도 분석

        김택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the driving shift gears design of agricultural tractors. In this study, a 82 kW tractor was used to measure the load data. The load measuring system was composed of measure the torque and speed of the main components such as engine, axle, and PTO. The engine was configured to measure the rotational speed, the torque and the rotation speed are measured by telemetry system of torque meter and proximity sensor installed on wheels during the agricultural operation. Torque and rotational speed of PTO were also measured by the telemetry system. It is possible to define and store in total 13 channels of data. The required power of the engine was analyzed by using the sum of the measured power of the axle, PTO shaft, hydraulic pump and the engine speed according to the field test. The field test was carried out the most commonly plow tillage at the experimental site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8-row plow was mounted at rear of the tractor as an implements for field test. The plow tillage was performed under the rated speed of 2, 5, 7, and 8 stages, and the tractor was driven in the 4 wheel driving mode, which was mostly used by the actual worker to get high traction. The test method was a C-shaped turning pattern. The driving gear stages of the 50 kW class tractor were composed of four stages in four pairs of helical gears. KISSsoft, the simulation software, was used for analyzing the gear strength. KISSsoft has the advantage of optimally designing and analyzing gears using various standards such as ISO, AGMA and DIN. ISO 6336: 2006 Method B standard was used for strength analysis of the driving gears. The 8-stage load data, which is the highest for gear strength analysis, was used at gear strength calculation. As a result of calculating of equivalent torque and the equivalent rotation speed for the 8-stage, the equivalent torque was 411.1 Nm and the equivalent rotational speed was 1,995 rpm. The torque and rotational speed of the 50 kW class tractor applied to ratio(52.2/82) by engine torque were 261.6 Nm and 1,269 rpm. The 50 kW class tractor has 16 speed stages (driving shift 4 stages, range shift 4 stages). Usage ratio of gear stag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nnual usage hours of field operation. This study was compared the gear strength between torque according to usage ratio and maximum torque using KISSsoft. As a result of gear strength analysis, the bending stress of maximum torque was about 1.3~1.5 times higher than torque according to usage ratio. And the contact stress of maximum torque was about 1.1~1.3 times higher than torque according to usage ratio. In the comparison of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safety factor, it was lower the maximum torque than the torque according to usage ratio. In the bending stress, the results of analysis for safety factor 1 and above were obtained for all gears. However, the torque according to usage ratio in the contact stress has a safety factor of 1 or more and a maximum torque condition of 1 or less. It was highly probable that breakage or damage occurs at the tooth surface of the gear when it was analyzed under the maximum torque condition.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showed lower stress and higher safety factor than method using maximum torque. Therefore, when designing the tractor by applying the actual working torque, it is considered that more reliable product development will be possible. 본 연구는 농업용 50kW급 트랙터 변속기의 기어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 본 연구에서는 부하데이터를 계측하기 위하여 82kW 트랙터를 사용하였으며, 부하 계측 시스템은 주요 구성 요소인 엔진, 차축, PTO의 회전속도, 토크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엔진은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차축은 농작업에 따른 회전속도와 토크를 측정하기 위하여 텔레메트리 시스템의 토크미터와 근접센서를 이용하였다. 또한, PTO의 회전속도와 토크는 텔레메트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13개의 채널로 정의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엔진 소요동력은 포장시험 작업에 따른 측정된 차축, PTO축, 유압펌프 소요동력의 합과 엔진 회전수를 이용하여 엔진 소요동력을 분석하였다. 포장시험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필드 시험지에서 수행하였다. 포장시험의 농작업으로는 트랙터 후방에 쟁기를 장착하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경운 작업을 실시하였다. 작업은 전진 High 2단, 5단, 7단, 8단에서 정격회전수 조건에서 실시하였으며, 트랙터 구동은 실제 작업자가 많이 사용하고 견인력이 높은 4륜 구동 모드로 실시하였다. 시험 방법으로는 C형 선회 패턴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어 강도 분석을 하고자 하는 50kW급 트랙터의 주변속 기어의 변속 단수는 총 4단으로 헬리컬 기어 4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변속 기어 강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어 해석 소프트웨어는 자동차 및 다양한 분야의 기어 해석에 사용되는 KISSsoft를 사용하였다. KISSsoft는 ISO, AGMA, DIN 등 다양한 규격을 이용하여 기어를 최적 설계 및 해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ISO 6336:2006 Method B 규격을 사용하였다. 실제 필드 조건에 맞게 기어 강도 분석을 위해 가장 높게 나타나는 High 8단의 부하 데이터를 기어 강도 계산에 이용하였다. High 8단의 등가 토크와 등가 회전속도를 계산한 결과, 등가 토크는 411.1 N·m, 등가 회전속도는 1,995 rpm으로 나타났으며 50kW급 트랙터의 등가 부하로 환산하기 위하여 엔진 출력비(52.2/82)를 곱한 토크와 회전속도는 각각 261.6 N·m, 1,269 rpm이다. 본 연구에 50kW급 트랙터는 전진 16단(주변속 4단×부변속 4단)으로, 작업별로 사용하는 속도에 따라 시간을 분배하여 사용 비율을 계산하였으며, 최대 토크와 사용 빈도에 따른 비율을 적용한 토크는 기어 강도 해석 소프트웨어인 KISSsoft에 입력하여 기어 강도를 비교하였다. 기어 강도 해석 결과, 최대 토크 조건에서 주변속 단수의 사용 빈도에 따른 토크 대비하여 굽힘 응력은 약 1.3∼1.5배, 접촉 응력은 약 1.1∼1.3배 더 높게 발생하였다. 안전율의 해석 결과 비교 시에는 최대 토크 조건에서 주변속 단수의 사용 빈도에 따른 토크 대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굽힘 응력에서는 2가지 조건 모든 기어에서 안전율 1 이상의 해석 결과를 나타났지만, 접촉 응력에서 주변속 단수의 사용빈도에 따른 토크는 안전율 1 이상, 최대 토크 조건에서는 1 이하의 결과가 발생했다. 최대 토크 조건으로 해석 시 기어의 치면에서 파손이나 손상이 일어나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기존의 최대 토크를 이용한 방법 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응력과 높은 안전율을 보여 주었다. 이는 실제 작업한 데이터를 반영한 값으로 현재 국내 트랙터 설계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최대 토크가 실제 작업 보다는 높은 토크로 과설계를 유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트랙터 설계 시 최대 토크가 아닌 실제 작업 토크를 반영한다면 보다 신뢰성 있는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잠재성 양이온 경화제로서 Benzylpyrazinium 염에 의해 개시된 에폭시 블렌드계의 경화 거동 및 기계적 물성

        金擇辰 충남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e process, thermal behaviors, viscoelastic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DGEBA) and 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ether (TMP) epoxy blend initiated by N-benzylpyrazinium hexafluoroantimonate (BPH) as a cationic latent curing agent were studied in terms of the effects of blend composition and cure temperature. This sysem showed more than one type of reaction and BPH could be excellent thermal latent actalyst without any co-initiator. The cure activation energy (E_a) obtained from Kissinger method using dynamic DSC data was higher in DGEBA/TMP mistures than in pure DGEBA.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blend system were investigated under isothermal condition using a rheometer. The gel time wa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storage modulus (G'), loss modulus (G") and damping factro (tanδ). The cross-linking activation energy (E_c) was also determined from the Arrhenius equation based on the gel time and curing temperature. As a result, the cross-linking activation energy showed a similar behavior with that obtained from Kissinger method. And the gel time decreased with increasing TMP content, which could be resulted from increasing the activated sites by trifunctional epoxide groups and the dereasing viscosity of DGEBA/TMP epoxy blend in the presence of TMP. The thermal stability characterized by the initi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emperature of maximum rate of weight loss, integral procedural decomposition temperature, and activation energy for decomposition increased in DGEBA-rich compositions. This could be resulged from the existence of the long repeat unit and stable aromatic ring in the DGEBA.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unit and stable aromatic ring in the DGEBA.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also discussed in terms of the fracture toughness (K_IC), flexural and impact tests for the blend composition studied.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TMP into DGEBA gave an improvement systematically in fracture toughness, which is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aliphatic and flesible chain segments of TMP. This unreactive and flexible chain were more effective for the low cross-linking density, which indicate that ductility of the martrix ix necessary to some extent to increase the toughness of epoxy resins.

      • 한국성결교회의 신학 형성과정 연구 : 1961년 분립이후 Wesley 신학과 사중복음의 쟁론을 중심으로

        김택진 성결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성결교회는 1907년 선교단체였던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여 1921년 기성교단으로 전환되었다. 이렇게 출발하여 성장하여 오던 한국성결교회는 1961년 분열의 역사를 통하여 두 개의 교단으로 발전하여 왔다. 그리고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양교단의 일치와 연합을 통한 신학적 정립을 위한 꾸준한 연구와 교류를 통한 신학적 일치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전개과정에서 양 교단의 신학적 정체성에 대한 쟁론이 발생함에 따라 제기 되어온 문제의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성결교회가 1961년 예수교대한성결교회와 기독교대한성결교회로 교단이 분립된 이후 신학적 입장의 확인과 양 교단의 신학적 정체성 정립에 있어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들을 역사적 사료의 분석적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성결교회의 신학화 작업에 있어서 신학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신학사상의 전개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의 역사적 배경 연구에 있어서는 이미 많은 선행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기초연구 자료들을 중심으로 서로간의 쟁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8세기 Wesley의 부흥운동을 통하여 신학적 맥락을 찾았으며, 19세기 성결운동에서는 만국성결연맹과 기도동맹(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Prayer League) 과 기독교인과 선교사동맹 (Christian & Missionary Alliance)에서는 사중복음의 유래와 형성,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에 미친 신학사상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동양선교회의 설립 배경과 나까다 쥬지(中田重治)와 E. A. Kilbourne의 신학사상을 통하여 정립된 동양선교회 신학사상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역사적 배경을 볼 때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사상은 18세기 Wesley의 부흥운동에서 기인하였으며, 19세기 성결운동을 통하여 만국성결연맹과 기도동맹, 기독교연합선교회 등을 통하여 중생, 성결, 신유과 재림에 대한 사중복음이 형성되었다. 이 사중복음을 동양에 전하기 위하여 일본에 선교 거점으로 동양선교회가 설립되었다. 동양선교회 동경성서학원에서 유학한 정빈, 김상준이 귀국하여 사중복음을 전하고자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이라는 선교단체를 한국에 설립하였다. 선교단체였던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이 1921년 기존 교단 교회의 형태인 ‘조선야소교 동양선교회 성결교회로 전환되었다. 그리하여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의 형성기로 사중복음의 전도표제로 하여 전도본위의 사상을 가진 정빈, 김상준의 신학사상을 먼저 살펴보았다. 초기 이들의 신학사상은 체계화되거나 교리적으로 완전한 형태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한국성결교회 사중복음의 신학적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김상준의 사중교리는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사중복음 교리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고 있다. 해방과 함께 교단이 재건되며 1946년 기독교조선 성결교회로 변경하였고, 1949년 다시 교단명칭을 기독교대한성결교회로 변경하였다. 1961년 예수교대한성결교회와 기독교대한성결교회로 분립이 된 후 양교단의 대표적인 신학자인 김응조, 이명직의 신학사상과 분열 이후 양교단의 헌법에 나타난 사중복음과 Wesley 신학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기독교대한성결교회는 사중복음을 전도표제로 여겨 헌법 교리부분에서 중생과 성결, 재림에 대한 간략한 언급만 하며 교리적 체계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반면 예수교대한성결교회 헌장 교리 부분에서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순으로 사중복음의 중요성과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상을 통하여 한국성결교회 신학형성 과정에서의 사중복음과 Wesley 신학 관계, 예수교대한성결교회와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사중복음 이해 등에 대한 변천사를 교회사적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시대에서는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 연구에 있어서 Wesley 신학 중심의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과 사중복음 중심의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 Wesley 신학과 사중복음의 신학화 과정에서 신학자들이 주장하는 서로간의 쟁론에 대한 양자의 배경, 논쟁의 과정, 논쟁의 주요쟁점을 논하였다. 특별히 Wesley 신학 중심의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 정립을 주장하는 신학자 중에서 조종남, 한영태를 중심으로 한 신학자들과 사중복음 중심의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 정립을 주장하는 신학자 중에서 이상훈, 정상운을 중심으로 한 기타 신학자들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성결교회에 있어서 사중복음과 Wesley 신학의 관계성에서 쟁론 되어온 한국성결교회 신학적 배경에 대한 문제, 한국성결교회 사중복음의 본위 문제, 사중복음과 Wesley 신학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장로교단이나 감리교단과 같이 교리적이고, 신학적인 주제를 가지고 복음을 전하고 형성된 교단이 아니다. Wesley 신학의 토대에 신학적 기초를 두고 있으며, 기독교 개신교가 공통으로 믿는 복음주의 신학과 일치한 입장에서의 선교회였다. 그리고 교단으로 전환된 초기 한국성결교회도 감리교단의 Wesley 신학과는 분명한 신학적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Wesley 신학 중심의 강조점은 종교개혁 이후 이어져 내려온 기독교 신학의 복음적 전통에 입각한 성결론 중심에 대한 이해에서 기인하였다. 반면에 사중복음은 한국성결교회 고유의 독특한 교리적 형성과 신학적 사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기독교 신학의 복음적 전통의 Wesley 신학과 19세기 북미 Wesleyan 성결운동에서 중생과 성결에 신유와 재림을 더하여 연결고리를 찾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성결교회의 신학화 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교단의 교리적 전통과 정체성에 충실하여야 한다. 어떤 교단도 교단 신학화 작업에 있어서 기독교신학 전체를 정립한 후에 교단이 출발하지 않는다. 교단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교단 신학을 정립할 때 더욱 발전과 부흥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은 Wesley와 감리교회의 초기 성도들이 주장했던 성결론의 역사적 부흥운동과 한국성결교회의 모체인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의 선교 정신을 바탕으로 신학화 작업을 전개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성결교회는 일치에 앞서 예수교대한성결교회의 헌장과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헌법에 나타난 Wesley신학과 사중복음에 대한 교리적 문제의 일치와 정체성을 정립하여야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전통을 다시금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 Sungkyul Church started as an evangelical organization under the name of Oriental Missionary Society Gospel Evangelism Center in 1907 and was transformed into an established denomination in 1921. The Korea Sungkyul Church split into two denominations in 1961. With the coming of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two denominations have been consistently making efforts through a theological unity movement in theological research and exchange for the agreement and unity of the two denominations. In this process, a dispute about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two denominations arose, and so we seek to analyze the course of the problem. Therefore this research was done by examining the various views of scholar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logical stance and identity of the two denominations after the Korea Holiness Church had been split into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1961 through analyzing historical texts. Also through such analysis, our objective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heological thought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ological philosophy in the Korea Sungkyul Church while maintaining its identity. There has been a lot of previous study abou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thought. Thus in this research, we focused on analyzing the debate between the two denominations center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work, we found the theological connections from Wesley's revival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and from the 19th century Holiness Movement. We found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Prayer League and from the Christian & Missionary Alliance. We found the background and establishment of the Fourfold Gospel, and we observed the flow of the theological philosophy leading up to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We observe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and its philosophy, which was established by Nakada Juji and E.A. Kilbourne's theological philosophy. Looking at the above historical background, the theological philosophy of the Korea Sungkyul Church at its beginning came from Wesley's Revival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and through the 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Prayer League, Christian Mission Association, and etc, completed the Fourfold Gospel about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and Bin Jung and Sangjun Kim who studied in the Tokyo Bible Academy, which was established as a mission stronghold, made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Gospel Evangelism Center in Korea in order to spread the Fourfold Gospel. Oriental Missionary Society Gospel Evangelism Center, which was a missionary organization, was changed into 'Chosun Jesus Oriental Missionary Society Holiness Church', which was in the form of an established denomination. So we looked at Bin Jung and Sangjun Kim's theological philosophy which has a mission-oriented philosophy, for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philosophy. In their beginnings, their philosophies were neither well organized nor had the complete forms of a doctrine, bu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s of the Korea Sungkyul Church's Fourfold Gospel. In particular, Sangjoon Kim's Fourfold doctrine helps our understanding of the Fourfold Gospel doctrine of the Korea Sungkyul Church in its early stages. With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the denomination was re-established and changed to Christian Chosu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1946, and changed its name again in 1949 to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We observed the theological philosophies and divisions of the representative theologians Eungjo Kim and Myungjik Lee; the Fourfold Gospel shown in both denominations constitutions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Wesleyan theology after the split into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1961.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deemed the Fourfold Gospel as the mission title and thus only mentioned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in the doctrine part of its constitution, but did not accept it as a doctrinal system. On the other hand, in the doctrine part of Jesus Korea Sungkyul Church's constitution, in the order of regener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Fourfold Gospel is emphasized. Through the above, we investigated from a church history perspective the Fourfold Gospel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philosophy and its relationship with Wesleyan theolog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Fourfold Gospel of the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the period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 Holiness Church's theological philosophy, in the research of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identity. I mainly discussed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philosophy centered on Wesleyan theology and the Fourfold Gospel; the background, the process of the debate, and the main clashes of the debate that the theologians argue in the theologization process of Wesleyan theology and Fourfold Gospel. We analyzed the view points of Jongnam Cho, Youngtae Han and other theologians among who claim the theological philosophy of Korea Holiness Church focused on the Wesleyan theology and the view points of Sanghoon Lee, SangUn Chung and other theologians who claim the establishment of theological philosophy of Korea Sungkyul Church which is focused on the Fourfold Gospel. Thus,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Korea Sungkyul Church debated in relationship with the Fourfold Gospel and Wesleyan theology, principle of the Fourfold Gosp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fold Gospel and the Wesleyan theology are analyz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e following are concluded: First, the early Korea Sungkyul Church is not the denomination formed with the theological subject after the Gospel had been introduced like the Presbyterian or the Methodist. It's theological base is on the Wesleyan theology, and it was an evangelical organization with the standpoint of the evangelical theology which all the Protestant denomination share. And at the beginning of the transformation into a denomination Korea Sungkyul Church had a distinct difference in its theology from the Wesleyan theology for the Methodist. Second, the Wesleyan theology emphasizes the rebirth and the holiness based on the evangelical convention of Christianity since the Re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Fourfold Gospel is composed of the unique theological formation and theological philosophy of Korea Holiness Church. This point of view finds its linkage with evangelical tradi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of north America in the 19th century. Thir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theologization of Korea Sungkyul Church is that it has to be faithful to the dogmatic tradition and the identity of the denomination. No denomination starts after it had established the whole Christian theology in its theologization. We can expect more growth and revival when we establish the theology of the denomination based on its identity. Fourth, the theology of Korea Sungkyul Church should proceed its theologization based on both historical revival movement of holiness which Wesley and the early members of the Methodist claimed and the spirit of evangelism of Eastern Mission Association Gospel Evangelism Center, the mother of Korea Sungkyul Church. Thus, Korea Sungkyul Church should make the doctrinal issue about Wesleyan theology and the Fourfold Gospel coherent to Jesus Korea Sungkyul Church's constitution and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s charter and establish its identity before the unification in order to bring down the tradition of the early Korea Sungkyul Church. The early Korea Sungkyul Church took its priority in the evangelism beyond the denominational boundaries, and as its result, more time was needed to establish its theological system. We cannot deny that there has been the controversial debate about theologization of the Fourfold Gospel and the weakening of the Fourfold Gospel has gotten worse after the separation of the denomination. But we must remember that there has always been the phenomenon of the Fourfold Gospel,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in the revival of the church in the history. We can promote the growth of the denomination when we integrate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Christian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to the Fourfold Gospel which is being established as the theology of Korea Sungkyul Church and keep it as our theological heritage and develop it through the comtemporary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

      • 웰니스 리조트 입지특성과 문화콘텐츠 활용 연구

        김택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With economic development, more people enjoy traveling and people focus more on healthier lifestyle such as LOHAS and wellbeing. In addition,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wish to release their stress through a variety of ways such as finding vitality through experience in resorts that have wellness competitiveness. As people's perception on tourism changes, more health related tourism for rest or recuperation is gaining popularity for stress release rather than simple sightseeing experiences of the past. As awareness of wellness is spread and renewed, more attention is placed on wellness resorts. In addition, as winter tourism increases, four-season resorts are being preferred. With such changes in needs, a majority of resorts have become four-season resorts. With the trend of pursuing tourist destinations for rest or recuperation, resorts equipped with wellness facilities are expected to gain more popularity. This study is to overview characteristics of location of wellness resorts and values of internal and external cultural contents and to present how to utilize them. Selecting a location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for the business, because a resort is once built, it has to stay there. No one knows exactly which location is optimal in the beginning of the business development. However, analyzing locations of existing resorts can help select right locations for future resorts. Resort development based on characteristics of location requires understanding of whether it is influenced by social background or other logics. Beyond the basic purpose of existing resorts such as rest and recuperation, impact of cultural contents on a community will be analyzed and development measures will be presented in this paper. To vitalize resorts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 impact of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utiliz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ultural contents will be mentioned based on perceptions of related experts, and measures necessary for such utilization will be also presented. To that end, locations of four different resorts and values of their internal and external cultural values will be reviewed through case analysis and FGI (Focus Grouping Interview) method. After the topic of the study was decided based on such data, survey results and direction of wellness resorts were compiled to present measures for futur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udy analysis, for successful resort business,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usefulness of internal and external cultural contents are crucial. For better utilizatio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provide support along with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For successful connection with the local cultural contents,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needs to be maintained and social conflicts with the community should be resolved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o make resort development a success, thorough Feng Shui analysis of location, higher awareness of resort brand, diverse and differentiated discount benefits, cooperation with local festivals are necessary in attracting more visitors and facilitating their revisits along with program development by linking with cultural contents in artifi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Legal and systematic support and local governments' aid are not sufficient for utilizing internal and external cultural contents of resorts. A standard for Korean type of wellness resorts will be presented based on cooperation with concerned organizations. 경제성장의 과정 속에서 국민 관광의 대중화와 함께 개인 삶의 욕구가 최근 웰빙, 로하스, 웰니스 등 건강한 삶에 맞춰지면서 관광을 비롯한 삶의 컨셉도 건강 지향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스트레스 해소를 추구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웰니스 경쟁력을 갖춘 리조트의 경험을 통해 생활의 여유와 만족을 추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렇듯 최근 관광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과거의 단순관광에서 업무 및 일상에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휴양, 요양 등 건강과 관련된 휴양관광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웰니스에 대한 인식이 점차 새로워지고 확산되면서 웰니스 리조트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동절기 관광이 증가되면서 계절구분 없이 즐기며 이용 가능한 리조트를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자의 욕구변화로 인해 대부분의 관광지 리조트는 봄.여름.가을 겨울 모두의 컨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스트레스 해소 등을 위한 요양이나 휴양의 겸 목적적인 관광지를 선호하는 추세에 있어 웰니스 경쟁력을 갖춘 리조트가 국민의 대중적인 관광지로서 더욱 선호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웰니스 리조트의 풍수적 입지특성 및 웨린스 리조트의 내적문화콘텐츠와 외적 문화콘텐츠요소의 가치를 연구하고 이를 활용하여 성공적인 웰니스 리조트의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리조트는 입지선정이 확정되고 건물이 입점되면 이동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입지선정 시점이 가장 중요하다. 리조트의 적지를 파악하기 함은 입지선정 이전까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미 들어선 리조트의 연구를 분석하면 리조트의 입지 선택의 옳고 그름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입지특성을 고려한 리조트의 개발은 사회적 배경이나 기타 논리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과거 리조트의 기본 선택속성인 휴식, 휴양의 목적에서 벗어나 리조트 사업의 문화콘텐츠 활용을 통한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논점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리조트와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입지특성과 리조트의 내ㆍ외적 문화콘텐츠의 활용이 미치는 정도를 관련 전문가의 인식도를 바탕으로 논의하고 향후 리조트사업이 문화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 리조트의 입지분석과 내적문화콘텐츠 및 외적문화콘텐츠의 가치를 사례분석과 전문가의 FGI 방법 (Focus Grouping Interview)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연구과제 설정 후 설문조사를 웰니스 리조트의 방향을 종합하여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분석 결과, 리조트의 성공적 요인으로 입지특성 및 리조트 내적문화콘텐츠와 외적문화콘텐츠의 활용기치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지역 문화콘텐츠와의 성공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지역사회와의 사회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결국 리조트 개발사업을 성공하려면 충분한 풍수적 입지분석과 리조트의 브랜드 인지도나 다양한 할인혜택에 차별화를 주고 지역 축제와의 연계로 고객의 집객화 및 재방문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인공적/환경적요소에서 문화콘텐츠 연계와 프로그램 개발이 성공적인 리조트 운영의 핵심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리조트 내적/외적 문화콘텐츠를 활용함에 있어 법제도적 뒷받침과 지자체의 지원등이 부족한 상황에서 향후 관련기관과의 상호 협력으로 성공적인 웰니스 리조트의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공공-민간 합동형 PF 사업에서 CM/감리 발주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 복합용도시설의 사업특성 및 법규를 중심으로

        김택진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PF project means that a public organization under pressure of funding utilizes private funds to conduct a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 Unlike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project that consists of design, construction and sales, the PF project requires a variety of businesses to get involved in financial loan, district unit planning and master plan, following the institutional and legal procedur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solve contractual issues and make a professional decision among the stakeholders. In particular, the PF project needs to obtain technical information on quality, cost and construction schedule and to perform efficient communication among the stakeholders for planning and design management in the initial stage. In the PF project for a large-scale multi-use facilities planning is established in functional combination of high-rise residents & commercial complex buildings. Consequently, many issues on legal and technical constraints have been raised.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such issues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take method of CM (Construction Management). However, due to current diversified supervision system and legal restrictions on the PF project for multi-functional complex facilities, there is restriction that the CM delivery system is performed in a separate way from supervision of residential building in compliance with law on residential housing. In other words, owner of the PF project places an order for CM/CS (Constructioon Supervision) technical service in a limited way without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that includes residential/non-residential buildings, technical distinctiveness of the project, goals required by the project owner, and other conditions. The current high-rise residential & commercial complex building require CS (Construction Supervision) based on law on residential housing or RCS (Responsible Construction Supervision) based on law on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because interpretation of laws varies depending on who grants approval for housing project. Due to the mandatory provision that technical service for apartment houses with more than 300 households should be performed with supervision based on law on residential housing, technical management requirements for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conflict with each other at the technical service level of general supervision based on law on residential housing. Even though multi-use facilities are authorized or approved as buildings that strongly meet public purposes by nature of the buildings based on plan for housing project approval, they require a more thorough management than general buildings in terms of quality management and performance. But the reality is that due to legal constraints, it is no other option but to choose CS based on law on residential housing. Therefore,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rojec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tandards that are useful to select the delivery system at the discretion of project owner in consideration of requirements for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technical difficulty of project and general project requirements. In addition, supervision based on law on residential housing should be avoided in complex PF project as it is the uniform technical method Instead, it is necessary to draw up a plan to strengthen supervision and management at the level of the CM or RCM(Responsible Consturction supervision) that enables selecting qualified companies after multi-stage evaluation based on the PQ and the TP. To this effect,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lay an institutional improving foundation to ensure that the current work scope of CM includes not only responsible construction supervision but also residential construction supervision. Consequently,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functional PF project with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to derive legal and technical problems in placing order of technical service for CM/supervision by conducting document research and survey. As a plan for improvement, this paper suggested the combination or separation method for CM/CS in consider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oject and the five types of delivery models depending on difficulty level of the project.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establish detailed standards evaluation to ensure that project owner selects delivery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project characteristics. PF 사업은 자금 부담이 높은 공공기관이 대규모 개발사업을 민간자금을 활용하여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설계업무, 시공업무, 분양업무 등의 기존 일반적인 건설개발사업과는 달리 금융 여․수신업무, 지구단위계획, 마스터플랜 등 관련 제도적, 법적절차에 따라 다양한 사업자가 참여하게 되고 이해당사자간의 계약문제와 전문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사업이다. 특히 PF 사업은 초기단계의 기획 및 설계관리에 있어서 품질, 비용, 공기에 대한 기술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대규모 복합시설의 PF 사업은 초고층 주상복합과 다중이용시설물이 기능적, 유기적으로 복합되어 계획되고 법적, 기술적 다양한 제약 사항들이 함께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반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설사업관리(CM)의 수행방식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복합시설 PF 사업에서 현행 다원화된 감리제도와 법적 제약사항에 의하여 CM 발주방식은 주거부분의 주택법감리와 별도로 수행하도록 제한되어 있다. 즉, PF의 발주자는 주거/비주거 부분의 프로젝트 통합 관리와 사업의 기술적 특수성, 발주자의 요구목표,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제한된 형태의 감리 기술용역을 발주하고 있다. 예컨대, 현행 초고층 주상복합과 다중이용시설물의 경우 주택사업승인 대상에 따라 법규해석이 달라 주택법에 의한 감리 또는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책임감리업무가 적용된다. 300세대 이상의 민간공동주택은 주택법 감리에 의한 기술용역을 수행해야 하며, 대상 시설물이 초고층 주상복합일 경우 주택법에 의한 일반적인 감리업무 수준에서 기술적 요구사항이 서로 상충하게 된다. 다중이용시설물은 그 시설의 성격상 공공적 성격이 강한 건축물로서 설령 주택사업승인계획에 따라 인·허가가 되었을 지라도, 품질관리 및 성능에 있어서 일반 건축물보다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법적 제약사항에 의하여 주택법에 의한 공사감리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설사업관리방식에 대한 요구특성, 사업의 기술적 난이도, 전반적인 사업제반 요건을 고려하여 발주방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유용한 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복합 PF 사업에서 사업승인권자의 일률적인 심사 방식인 주택법 감리를 지양하고, 건설사업관리방식(CM)과 같이 PQ․TP에 의한 다단계 평가를 거쳐 적격한 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관리수준 강화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현행 건설사업관리(CM)업무가 책임감리 뿐만 아니라 주택법 감리업무도 포함할 수 있도록 제도적 근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민간 합동형 복합시설 PF 사업의 사업특성을 파악하고, CM/감리의 기술용역 발주시 법적, 기술적 문제점을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조사된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개선안으로는 사업의 제반특성을 고려한 CM/감리의 복합 또는 분리방식 형태의 다양한 발주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발주방식 모델은 사업의 난이도, 기술수준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향후 연구로서 발주자가 사업특성을 고려하여 발주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세부 평가기준이 필요하다.

      • 학습민첩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김택진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직은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서 경영환경의 변화에 대비하고 사업을 발전시켜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인적자원개발 부서에서는 변화에 대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긍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인재육성을 위해서 미래의 변화된 상황에서 성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학습민첩성이 높은 인재가 필요하다. 학습민첩성이 높은 인재는 새로운 과제와 기능을 쉽게 학습하며, 변화를 추구하며 새로운 시도를 통해 한계에 도전하는 성향을 가진다. 이러한 성향을 지닌 인재는 변화에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로 조직변화에 몰입할 것이다. 이들에게 직무 중 자신의 권한과 자율을 활용할 수 있는 상황이 주어진다면 변화를 이끌 수 있는 핵심인재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조직 구성원에게 학습민첩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학습민첩성과 조직변화몰입과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수립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민첩성은 조직변화몰입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습민첩성과 조직변화몰입과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이 연구를 위하여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6일부터 5월 22일까지 온라인을 통한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총 350명이 응답하였으며, 총 350부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과정을 거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민첩성은 정서적 조직변화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으로부터 민첩하게 학습하는 구성원은 조직의 성공적인 변화에 더욱 몰입한다. 둘째, 학습민첩성과 정서적 조직변화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이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성원이 자율성과 책임감을 통해 직무에 대한 동기가 부여된다면 몰입의 정도가 더욱 높아진다. 이 연구는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핵심인재를 검증하고, 조직의 변화에 몰입하고 이끌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직은 경험으로부터 학습하는 능력인 학습민첩성이 뛰어난 인재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새롭고 도전할 수 있는 경험을 통해서 구성원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직 변화의 상황에 구성원의 반응을 반영하고 구성원의 몰입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높은 학습민첩성을 지닌 구성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데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 나아가서 자유롭게 의사를 개진하고 적극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Many organizations have the problems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to develop their business and to prepare for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should be prepared actively for solving problems with that change. In addition, organizations have to develop human resources who positively have a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In other words, organizations need to secure talents with high learning agility who can guarantee successful performance in the future changed business environment. Talents with high learning agility can easily learn new tasks and functions. Also, they have a tendency to be longing for a change and challenge the limitations of their own as a new attempt. Such people with the tendency are likely to have a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with an open and positive attitude. If any environment such as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ir authority and autonomy to perform their duties given, then they would be a key to lead the organizational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earning agility on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For this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Is there any significant influence of learning agility on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Second, 'Is there any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For this study,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weeks from May 6, 2015 to May 22, 2015, targeting members of domestic companies. A total of 350 complete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agili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Talents who learn from experience with agility immerse in the organizational successful change. Second, as for the moderate effect of job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was positively valid. Talents have the high commitment to motivate about own job through a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proposals for organizations to assess their high-potentials in the point of view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o develop talents with high potentials for leading the organizational change and immersing in it. First, organizations need to assess their talents and find out whether they have the ability to learn from experience or not. Second,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talents through a new and challengeable experience. Third, it takes a lot of effort for organizations to reflect the response to the organizational change of their members and to increase the degree of their members' commitment. Fourth, it is necessary for organizations to give their members with high learning agility more autonomy to decide to perform their duties. Furthermore,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an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makes employees feel free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be able to perform actively their du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