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志映 작곡 「관현악을 위한 십자가상의 죽음」의 분석

        김지영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95

        The Analysis of 'The Crucifixion for Orchestra' composed by Kim, Ji-Young. The paper is an analysis of the program music, 'The Crucifixion for Orchestra' composed by Ji-Young Kim. The composer tries to express musical components (tempo, meter, beat, pitch material, rhythm etc.) and form in accordance with the religious theme (Crucifixion) The form of this orchestral piece consists of five sections (Introduction-A-B-C-Coda) and each section has its own programmatic titles (Jesus heading for Golgotha, The Cruciferous Jesus, Episode, The Death of Jesus, Prayer and Meditation) to demonstrate a narrative process. The composer makes use of hexatonic scale which consisted of augmented 4th and minor 2nd, chromatic scale, and wholetone scales, specifically, also attempts to quote Gregorian Chant in coda section to depict the religious atmosphere effectively. In sum, 'The Crucifixion for Orchestra' tells how the narrative themes can be expressed in each five sections through various musical elements. 본 논문은 김지영 작곡, 「관현악을 위한 십자가상의 죽음」에 대한 작품 분석이며, 작곡자 의도에 따른 표제음악(Program Music)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형식 및 구성요소와 부분별 아이디어 등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이 곡의 형식은 서주부-A-B-C-종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락은 예수의 골고타를 향한 행진,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 에피소드, 예수의 죽음, 기도와 묵상의 표제적 내용전개에 따라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표제적 내용은 빠르기와 박자를 결정짓는 요소가 되며, 표제인 ‘십자가상의 죽음’을 표현하기 위해 증 4도와 단 2도로 구성된 6음음계와 반음계, 온음음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결부에서 단편적으로 그레고리안 성가를 인용하여 종교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고 각 단락의 여러 가지 색채 대비를 통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십자가상의 죽음’이라는 표제적 내용이 관현악을 매체로 표현되고,특정한 형식에서 다양한 빠르기와 박자, 그리고 특정한 음고 재료와 리듬을 통해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가를 분석한다.

      • 돌을 통한 관계성의 표현 연구

        김지영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ABSTRACT Study on the Relationship Borm in Stone -On The basis of my work- Kim Ji-young Dept. of sculpture Graduate School of Sculptu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Human beings live a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purpose and means of living and living their lives.And the relationship is accidental and sometimes intentional. It is thought that the accidental relationship is formed when the water flows naturally and does not know clearly how and when th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And the intentional relationship is obviously a case in which the purpose and means are acted upon.My work begins with the fact that both of the above-mentioned relationships are in line with the nature of nature. I have noticed that it is not about trying to classify and divide something that is specific about such a "relationship," saying something is right and what is not, but about themselves. Whether it is accidental or intentional, we all learn to live through that relationship. And I want to find out why it exists as part of nature. I think it is because not only human beings but also some things in the world go further and the situation exists in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o I made a piece that is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work was completed with a single material, and the artwork that boasted all the charm alone was made, and the shape made up of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as created. This thesis is divided into 3 chapters mainly focusing on my work published in 2018.? In Chapter Ⅰ Introduction, I describe the research direction and purpose of my work and explain how to express my work. Chapter Ⅱ describes the formative expression elements of the work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work which contains the big theme of "relationship" in addition to the explanation of the "technique of Grengee" which is based on the formation background of the work and the way of expressing the work.?In Chapter Ⅲ conclusion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in terms of the work direction and the research tasks of the work that is expressed as a universal and broad topic called "relationship".

      • 식물 추출물과 사람 케모카인 CCL23 가 포유동물 세포에 미치는 염증 반응과 증식 효과

        김지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63

        천연소재로부터 항 알러지, 항암작용, 항 염증 등 약물학적 특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식물들로부터의 항 염증활성은 염증에 있어 조절인자 중 산화질소 (NO) 를 생성하는 iNOS를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새로운 항 염증을 갖는 천연소재를 찾기 위하여 윤판나물 추출물을 이용해 LPS에 유도된 마우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 반응 기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PS로 염증 반응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윤판나물 추출물이 산화질소 생산량을 저해하는 효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윤판나물 추출물은 100 g/ml 농도까지 산화질소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세포 독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윤판나물 (Disporum sessile D.Don) 추출물은 대표적인 염증 반응 매개자인 iNOS와 COX-2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초기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여러 사이토카인의 mRNA양을 측정하였을 때도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활성을 보였다. 윤판나물 추출물은 LPS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한 인자인 NF-κB의 발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NF-κB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윤판나물 추출물은 아마도 염증에 관련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In an attempt to find new anti-inflammatory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rude methanol extract of Disporum sessile D.Don has a suppressive effect on inducible enzyme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inhibiting the NF-κB pathway in LPS-stimul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The cells were pretreated with the indicated concentrations of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12.5, 25, 50, and 100 ㎍/㎖) and then treated with LPS (1 ㎍/㎖). The results showed that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inhibited the LPS-induc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iNOS in macrophage RAW 264.7 cell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COX-2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by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The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and IL-6, were markedly reduced by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Moreover,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suppresse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the NF-κB subunits, which was correlated with its inhibitory effect on I-κB phosphory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porum sessile D.Don ha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by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iNOS,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acrophage RAW 264.7 cells via the NF-κB pathway.The present results show that the extract of Disporum sessile D.Don exerting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y which may prove beneficial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ag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간 케모카인 중 하나인 CCL23 (MPIF-1, MIP3, CKβ8) 는 인간 혈관 내피세포의 이동, tube 형성 그리고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에 의해서 혈관 신생을 증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전에 수행 했었던 microarray 분석에 의하면, CCL23 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전자들의 전사가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세포의 성장과 유지에 관련된 유전자가 조절 되었고, 이를 통해서 세포의 성장과 관련된 단백질의 수용체 단백질들도 증가 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CCL23 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0.1 ~ 10 ng/㎖) 표피생장인자 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 혈관 내피 세포에 CCL23 를 처리하여 EGFR 의 발현을 증가시킨 뒤 표피 생장 인자 (EGF) 를 처리하여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세포의 생장 및 생존 기작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간 혈관 내피 세포에서 CCL23 만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비처리 군에 비하여 생장에 미치는 효과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EGF 가 처리된 그룹에서는 세포의 대사 활성 및 세포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CCL23 를 처리함으로써 농도의존적으로 EGF 에 의한 세포 생장이 저해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효과는 인간 혈과 내피 세포에서 세포 사멸 (apoptosis) 가 유도되어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p21 과 p27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됨으로 인하여 G1 기에서 S 기로 진행하는 cell cycle 을 arrest 시킴으로써 일어나는 반응이라 사료된다. It has been recently reported that human CCL23 (also known as MPIF1, MIP3, or CK8) promotes endothelial cell migration and tube formation, while it has no effect on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In previous study, we conducted DNA microarray analysis to determine gene expression alterations in response to the treatment of HUVECs with CCL23 using 22,000 human genes microarray. We found that the CCL23 dependent modulation in the expression of genes represented a wide variety of functional categories including genes important in the cell growth and maintenance. Based on the micro array analysis data, we focused on up-regul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by CCL23. EGF stimulated proliferation of HUVECs, whic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CCL23 In dose-dependent manner. EGF-stimulated phosphorylation of ERK was reduced in CCL23-treated cells, while phosphorylation of STAT1 was increased by CCL23, indicating that STAT1 is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EGF-induced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by CCL23.

      • BEXCO F&B 중요도 및 만족도 연구 : 아시아 안전도시 연차대회 외국인 참가자를 중심으로

        김지영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BEXCO F&B 중요도 및 만족도 연구 A Study 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BEXCO F&B -Focusing for the Foreign Attendees in the Asian Conference on Safe communities- 관광경영학과 김지영 지 도 교 수 임상택 본 연구는 BEXCO F&B(Food and Beverage) 중요도 및 만족도를 아시아 안전도시 연차대회 외국인 참가자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일부 제공되는 한식 F&B의 인식도와 중요도 및 만족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컨벤션의 한식 F&B에 대한 인식도에서 ‘컨벤션의 한식 F&B의 주요 문제점‘으로 F&B 맛, ’컨벤션의 한식 F&B 다양성에 대한 평가‘는 보통이다, ’컨벤션의 한식 F&B 중요 요인“은 F&B의 질, ‘제공된 한식 F&B 불만족 요인“은 한식 F&B의 외관, ‘컨벤션에서 한식 F&B의 맛을 본 후 한국 음식에 대한 평가’는 보통이다, ‘컨벤션의 한식 F&B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맛, 구성의 다양화, ‘컨벤션에 제공된 한식 F&B에 대한 평가’는 영양적으로 우수한 건강음식이다 에 각각 응답하였다. 둘째, 컨벤션 F&B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연구의 IPA분석 결과 제1사분면은 ‘제공하고 있는 F&B가 다양하다’, ‘F&B에 본인 기호에 맞는 F&B‘이다. 제3사분면은 ’F&B의 daily specials‘이다. 제4사분면은 ’F&B 구성‘, ’메뉴판의 설명대로 제공‘, ’행사 성격에 적합한 F&B의 구성‘이다. F&B의 인지도의 PA분석 결과 제1사분면은 ‘F&B를 이해하기 쉽게 메뉴판에 설명‘, 제2사분면은 ’메뉴판이 보기 쉽게 구성‘ 이다. 제4사분면은 ‘F&B에 적합한 F&B명칭의 사용’이다. F&B의 관능적 품질(Quality)은 제1사분면 ‘F&B의 질’, ‘맛’, ‘신선도’, ‘온도’, ‘식재료 다양성’, ‘식재료의 조합’, ‘영양’ 제4사분면 ‘F&B의 양','독창성', '조리법의 다양성' ,'스타일링', '향', '색깔'이다. 셋째, 컨벤션 한식 F&B에 대한 IPA분석결과 제 1사분면 ‘한식 F&B의 맛’, ‘질’, ‘영양’, ‘전반적인 한식 F&B의 만족도’ 제3사분면 ‘한식 F&B의 향’, ‘독창성’, ‘구성’, ‘다양성’, ‘스타일링’, ‘제공 비율’, ‘조리법’ 이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 F&B의 제공 비율을 높이고 한식 F&B의 F&B 맛을 개선하고 구성을 다양하게 개발해야한다. 둘째, 꾸준히 컨벤션 F&B의 개선과 개발에 힘써야 한다. 그리고 정확하고 통일된 F&B의 새로운 F&B의 명칭이 필요하다. 셋째, 끊임없는 한식 F&B의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은 첫째, 광범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 컨벤션의 F&B를 대상으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설문표본대상의 샘플수를 늘려 신뢰도를 높이는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BEXCO 컨벤션, F&B, 중요도, 만족도

      • 인공지능 기반 기술의 도서관 활용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수용의도 및 도서관 적용 모델에 관한 연구

        김지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Acceptance Intention and Library Application Model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on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echnology in Libraries As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ncreases, various studies are being attempted, but studies that reflect the lates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actual industrial sites are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most of the studie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studies that identified trends and prospects for related technologies, so research that appli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libraries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echnology readiness and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use technology for public library libraria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ublic library librarians, and a total of 202 survey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6.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26.0 statistical program. For hypothesis tes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ptimism of technology readiness index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anxie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ptimism and innovative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and discomfor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ird, optimism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and anxie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theses according to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Cognitive trus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intention to use.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with emotional trust, discomfort and anxiety responded sensitively to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anxiety and intention to use. As a follow-up study, a library service model that can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in libraries wa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types and technology tren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lication c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provided by libraries. Furthermore, the public library's job areas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business management, collection development, user service, and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plans applicable to each area were proposed. This study has an academic achievement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library use for librarians working in public library sites and presented specific utilization plan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library application service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echnology based on the case in which the core technolog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used in the library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ot only expected to be a basic reference for artificial intelligence's use of libraries, but also to provide library field practitioners with guidance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s library service policy and the direction of libraries. 인공지능 기반 기술의 도서관 활용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수용의도 및 도서관 적용 모델에 관한 연구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최신의 인공지능 기술을 실제의 산업 현장에 반영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가 대부분 관련 기술에 대한 동향, 전망들을 파악한 연구들이어서 인공지능 기술을 도서관에 적용한 연구 사례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기술준비도와 기술수용요인이 기술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2명의 설문 데이터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였고, AMO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유용성은 기술준비도의 낙관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감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에는 낙관성과 혁신성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편함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모두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용의도에서 낙관성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감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따라서 가설 간 관계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지적 신뢰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유의한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서적 신뢰가 있는 집단에서 불편함과 불안감은 지각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불안감과 사용의도에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후속 연구로서 인공지능의 유형 및 기술동향 분석,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 적용사례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도서관 서비스 모델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공공도서관 직무영역을 경영관리, 장서개발, 이용자 서비스, 정보시스템 등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적용 가능한 서비스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도서관 활용을 위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구체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 학술적 성과와 함께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이 도서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반 기술의 도서관 적용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의 도서관 활용에 대한 기초적인 참고자료가 될 뿐 아니라 도서관 현장 실무자들에게도 향후 인공지능의 도서관 서비스의 정책 수립에 대한 활용 및 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극한강우 발생에 따른 우이천유역의 EAP 수립에 관한 연구

        김지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는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은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를 상회하는 호우로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홍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구조적 ․ 비구조적 대책이 수립되고 있지만, 현재 설계빈도 이상의 강우발생에 대한 피해저감 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설계빈도를 상회하는 극한강우이면서도 한반도에 내렸던 강우를 이용하기 위해 한반도의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기왕최대강우량을 추출하고 서울의 상습침수지역인 우이천유역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도시지역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제내지 침수범위를 분석하고, 대피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이천유역의 빗물펌프장의 펌프가동수위를 낮춰 가동시켰다. 그 결과 침수발생 시간이 장위빗물펌프장의 배수유역에서는 약 8분, 석관빗물펌프장의 배수유역에서는 약 26분의 침수발생 시간이 늦춰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안으로 대피지도를 제시하였다.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우이천의 수위를 통하여 침수발생시점을 예측하고, 침수발생시의 비상대피장소 및 대피경로를 제내지의 침수 발생시작부터 최대 침수범위까지 침수범위를 분석하여 선정하였으며, 대피경로의 거리 및 이동시간을 노인의 걸음속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전원 대피를 목적으로 한 대피지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침수발생시 효과적인 대피소 및 대피경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침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recent incidences of the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and typhoons caused by unusual weather changes are causing floods that exceed the design frequencies of the hydraulic structures. A number of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are being established to minimize damages due to floods, but we are short of the measures that can sufficiently deal with the floods exceeding the design frequenci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ecipitation records for the Korean Peninsula to apply the extreme precipitations that exceeded the design frequencies, yet have actually fallen in the nation to establish the maximum available levels of precipitations, and chose the areas around Uicheon (Stream), one of the areas in the city that is most vulnerable to flooding, for our analysis. To help minimize flood damages in the urban areas, we analyzed the flooding extents of the inlands and, in order to secure the time for evacuation, operated pumps at the subject pump stations at a lower level. These tests resulted in a delay of approx. eight minutes in the occurrence of flooding in the discharge areas of Jangwi Pump Station, and a delay of approx. 26 minutes in the discharge areas of Seokgwan Pump Station. As an additional measure to minimize damages, we made and offered an evacuation map. We predicted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flooding through the real-time precipitation levels of Uicheon, chose the evacuation areas and rout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looding extent from the outbreak to the peak time of flooding in the inlands, and offered the evacuation map that was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o the evacuation areas and the walking speeds of the seniors to have the entire residents evacuated. We judg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commending efficient evacuation areas and routes under the flooding situations, which will also make one of the useful countermeasures against flood damages.

      • 어머니의 양육태도, 분노표현 및 유아의 탄력성 간의 관계

        김지영 부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어머니의 양육태도, 분노표현 및 유아의 탄력성 간의 관계 김지영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과 요약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분노표현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2곳, 어린이집 4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4, 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209명이다. 연구도구는 양육태도척도(MBRI), 분노표현척도와 탄력성척도(DECA)가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아의 탄력성은 어머니의 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와 정적 상관이 있고, 통제적 태도와 부적 상관이 있다. 또한 탄력성은 어머니의 분노표현 하위요인 중 분노억제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분노표현이 유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탄력성 총점과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력에 차이는 있으나 두 변인 모두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노에 접근하여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접목한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