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작곡가 이지수의 음악 어법 연구 : 애니메이션 <언더독>을 중심으로

        강인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언더독, 2018>의 음악을 통해 본 작곡가 이지수(Jisoo Lee, 1981~)의 음악 어법에 대한 연구이다. 버려진 개들이 진정한 자유의 삶을 찾아 떠나는 과정을 그린 애니메이션 <언더독>은 국내 제작 애니메이션 최초로 220만 관객 수 흥행에 성공한 <마당을 나온 암탉, 2011>의 제작사인 오돌또기의 두 번째 작품으로, 두 작품 모두 오성윤 감독과 작곡가 겸 음악감독으로 이지수가 함께 작업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제작하는 애니메이션들은 미디(MIDI)로 작업한 음원을 사용하거나 소규모 악기 편성의 녹음을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지만 <언더독>의 경우 총 10개의 곡을 스코어링, 해외의 약 70인조의 대규모 오케스트라와 녹음하여 OST 앨범을 발매하는 이례적인 음악 제작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제작사의 지원을 바탕으로, 작곡가 이지수는 애니메이션 음악의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음악 자체의 수준 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 음악적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첫 번째, 특정한 인물이나 상징적인 장면들에 라이트모티프를 배치함으로써 시나리오가 의미하는 바를 관객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전체적인 음악적 통일성을 이루고 있다. 두 번째, 긴장도 높은 화면을 음악으로 보충해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조성이 모호한 온음음계와 자연단음계, 불협화도가 높은 증3화음과 4도구성화음을 빈번하게 사 용한다. 세 번째, 오스티나토의 반복적인 음형 위에서 끊임없이 변주함으로써 음악적 흥미를 잃지 않으면서도 음악이 씬(scene)을 하나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게 한다. 네 번째, 화면의 움직임에 음악을 일치시키는 미키마우징 기법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영상에 생동감을 불어넣어 주었다. 이와 같이 이지수는 연출의 의도를 정확하게 표현하면서 구성력을 갖춘 음악으로 애니메이션 <언더독>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했다. 본 연구가 앞으로 나올 작곡가 이지수의 음악 어법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주제어: 이지수, 애니메이션 음악, 언더독 This thesis is a study on musical language of Jisoo Lee(1981~), focused on analysis in animation <Underdog, 2018>. <Underdog>, an animation about abandoned dogs leaving for a life of true freedom, is the second work of Odolttogi which is production company of <Leafie: A Hen into the Wild, 2011>, the movie that broke the 2.2-million-viewer mark for the first time as a Korean animation. Both films were co-produced by director Sung-yoon Oh(1963~) and composer and music director Jisoo Lee. In South Korea, it is common to use sound source made by sequencing programs or recorded in small scale. However, in case of an <Underdog> OST album, it is produced by an unusual process, including a total of 10 full-scored songs and full-orchestra recording with about 70 players. In virtue of the support of the production company, Jisoo Lee was able to show his ability by not only keeping to the basic in animation music but also using various musical me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usic itself. First of all, by placing Leitmotif in certain characters or symbolic scenes, it helps the audience easily recognize what the scenario means, while also having overall musical unity. Second, in order to supplement a tense scene, Jisoo Lee deliberately uses whole-tone scale and natural minor scale, which lack in system of Major and minor keys, and discord such as augmented-triad-chord and a series of superposed fourth chords. Moreover, by constantly playing variation above repetitive Ostinato, it helps the music play a role in connecting scenes all together while not killing musical interest. Lastly, by using ‘Mickey Mousing’ technique, which matches the movement of the screen with music, it can make images come alive. Likewise, Jisoo Lee has elevated the animation <Underdog> with well-organized music that accurately possess the intention of the direction. I hope this study would be foundation of reference for research on his works and musical style in the future. keywords: Jisoo Lee, Animation Music, Underdog

      • 연암 박지원 작품을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

        강인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 입시 논술이 공교육에서 준비되기 어려운 현실적 상황에 대하여 문제 의식을 갖고, 연암 박지원의 작품을 활용하여 학교 수업 시간 중에 시도해 볼 수 있는 논술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국어 수업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수많은 작가의 문학 작품 중 연암 박지원의 작품을 본 연구에서 선택한 것은 연암 박지원 작품이 가지는 여러 장점 때문이다. 우선 연암 박지원의 작품은 당대는 물론 지금에 이르기까지 최고로 꼽힐 만큼 훌륭하다고 인정 받고 있어 논술 교육을 위해서가 아니고서라도 이미 국어 수업 시간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교사나 학생 모두에게 따로 수업 준비를 하거나 새롭게 읽고 이해해야 한다는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연암 박지원의 작품에는 논술에서도 관심을 가질 만한 비판적․창의적으로 생각할 거리가 많아 학생들의 사고력을 충분히 자극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이런 이유 때문에 여러 고전 텍스트 중에서도 연암 박지원의 글은 주요 대학의 논술 제시문으로 기출 빈도가 매우 높은 편이기도 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연암 박지원의 여러 작품 중에서 <허생전> 및 <일야구도하기>와 <능양시집서>를 논술 지도를 위한 주요 제재로 삼았다. 우선 <허생전>은 작품 속에 드러난 작가의 문제 의식의 폭이 넓고 깊기 때문에 학생들이 논술적 시각을 키워 나가기에 적절한 작품이다. 또한 <일야구도하기>와 <능양시집서> 두 작품은 주제 면에서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기 때문에 함께 언급하고자 하는데, 대학 입시 논술에서 자주 기출되는 ‘인간의 경험과 인식’이라는 논제에 대하여 논의하면서 관련 배경 지식을 심화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다. 이에 좀더 자세히 <허생전> 및 <일야구도하기>와 <능양시집서>가 논술 제재로서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실제 대입 논술 기출 문제를 분석하였다. 먼저 <허생전>은 조선 후기의 모순된 현실에 대하여 문제 의식을 느낀 연암 박지원의 비판 정신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작품의 내용은 허생의 상행위를 통한 부 축적 과정, 허생이 축적한 부를 사용하여 사회 활동을 벌이는 과정, 허생의 시사삼책 제시로 세분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이 작품에는 매점매석 문제, 도적이 된 빈민의 구제와 같은 분배의 문제가 나타나며, 빈 섬 이야기가 나오는 부분을 통해 이상 세계의 요건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다. 허생이 시사삼책을 제시하고 받아들여지지 않는 모습을 통해 당대의 문제적 실상을 꿰뚫어 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일야구도하기>와 <능양시집서>에서는 인간의 경험과 인식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일야구도하기>는 연암이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너면서 느낀 감회를 적었는데, 이를 통해 마음의 판단에 따라 동일한 사물이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고 하면서 인간의 인식이 지닌 주관성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능양시집서> 역시 사물을 인식함에 있어 고정 관념이나 선입견에 사로잡혀 있는 태도의 문제를 지적하며 편견에서 벗어나 대상의 다양한 측면을 다각도로 살피려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작가의 견해가 나타난다. 이와 같은 작품 분석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논술 지도 모형을 구안하였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가지고 실제로 지도한 사례 역시 아울러 보여주었다. 지도 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며, 논술 지도 모형의 학습 단계는 ‘작품의 이해 및 감상’, ‘배경 지식 활성화’, ‘주제별 토론’, ‘실전 논술 쓰기 및 논술문 평가’로 구성된다. ‘작품의 이해 및 감상’ 단계에서는 일반적인 문학 작품에 대한 수업에 준하여, 작품을 읽고 내용 파악을 하는 시간을 가졌고, ‘배경 지식 활성화’ 단계에서는 작품에 내재된 논술 주제와 관련하여 배경 지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주제별 토론’ 단계에서는 앞선 시간에 다루었던 주제 중 1~2개를 골라 모둠별 토론 및 대표 토론을 함으로써 근거를 마련하고 입장을 정리하면서 논제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었다. ‘실전 쓰기 및 논술문 평가’ 단계에서는 연암 박지원의 작품과 관련된 대학 논술 기출을 변형하여 논술 문제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논술문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그에 대해 첨삭 및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실전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는 데 힘썼다. 대부분의 학교 현장에서 논술 교육의 기회는 특정한 몇몇 학생에게만 주어지고 있으며, 혹은 아예 학교가 아닌 사교육 기관을 통해 논술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논술 교육의 이런 현실에 대해 문제 의식을 느꼈기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국어 시간에 수업할 수 있는, 연암 박지원 작품을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을 구안했으며, 이를 실제로 시행해 봄으로써 수업 시간 중에 충분히 논술 교육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더욱 많은 학생에게 논술 교육의 혜택이 주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연암 박지원 작품만을 놓고 논술 지도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미흡함이 있고, 수업 시수 및 여건의 부족으로 더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수․학습을 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다. 이는 관련 연구자들이 더욱 분발하여 다른 문학 작품을 통한 시도, 혹은 새로운 방법론을 통한 연구를 계속함으로써 극복해 나갔으면 한다.

      • 유도선수들의 척추형태와 요통장애지수 및 등속성 근력에 관한 연구

        강인혜 한국체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도선수의 반복된 편측 훈련과 움직임이 척추형태와 요통 및 어깨, 몸통, 무릎의 등속성 근력과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 소재 H대학교의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는 20세 이상의 유도선수 10명과 그와 비교할 수 있는 일반인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도선수집단(n=10)과 일반대학생집단(n=10)으로 구분하였다. 척추 형태는 척추 3차원 영상 처리기기(Formetric Ⅲ, Germany)를 이용하여 체간의 좌우 기울기, 경사, 골반의 기울기, 골반의 뒤틀림, 척추분절의 회전정도, 체간 회전, 측만 만곡, 흉추의 후만각, 요추의 전만각을 측정하였다. CSMi(Humac Co., U.S.A)를 이용하여 어깨와 허리, 무릎의 등속성 근력을 측정하였고, 요통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형식의 Oswestry disability index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척추형태와 어깨, 무릎, 허리의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요통장애지수에서는 유도선수집단이 일반대학생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유도 선수의 반복된 편측성 훈련과 움직임은 요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근력 및 근지구력 저하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1960년대 말 미국 뉴 다큐멘터리 사진의 담론적 구성 : 리 프리들랜더(Lee Friedlander)와 게리 위노그랜드(Garry Winogrand)의 사진을 중심으로

        강인혜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60년대 말 미국에서 활동한 리 프리들랜더와 게리 위노그랜드를 중심으로 한 뉴 다큐멘터리 사진에 관한 연구이다. 뉴 다큐멘터리 사진은 로버트 프랭크(Robert Frank)와 월리엄 클라인(William Klein)에서 시작된 파격적인 형식과 기법의 영향하에서 일군의 프리랜서 사진작가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사진들을 말한다. 이들의 작업은 현실을 기록한다는 기존의 다큐멘터리 사진의 특성은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개인적이고 사적인 표현과 형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새롭다고 평가되어 왔다. 이 작가들 중에서도 특히 프리들랜더와 위노그랜드는 존 사코우스키(lohn Szarkowski)의 후원과 뉴욕근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 이하 MoMA라 칭함)에서 개최된 《뉴 다큐먼트(New Documents, 1967)》전을 통해 다큐멘터리 사진장르에서 모더니스트로서의 입지를 굳히게 된다. 이 두 작가의 작업에서 무엇보다 두드러지는 특색은 기존의 다큐멘터리 사진이 기능하였던 재현구조 자체를 깨뜨리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작가들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작가론적인 접근이나 과거의 다큐멘터리 거장들과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서 다양한 접근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기존의 접근 방식을 탈피하고 미셀 푸코(Michel Foucault)의 '담론 구성체' 라는 관점에서 뉴 다큐멘터리 사진의 재현구조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다큐멘터리 사진의 전개를 1930년대의 다큐멘터리 사진과 1960년대의 뉴 다큐멘터리 사진이라는 각각의 단절된 역사적 담론체로서 살펴보았다. 먼저, 1930년대의 FSA 사진들을 통해 다큐멘터리 사진의 의미에 대해 재점검해 보았다. 30년대의 FSA 사진프로젝트는 공황기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던 사업이다. 이시기의 공황은 미국 역사에 있어서 경제적 위기였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 정체성과 사회적 의미질서의 위기였다. 그러한 점에서 FSA 사진은 '사회적 구성체'로 작용하는 재현의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시기의 다큐멘터리 사진들은 국가가 재현의 속성을 이용하여 안정된 사회제제를 지속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었다. 말하자면 다큐멘터리 사진이란, 단순히 당대의 현실에 대한 기록 이라기보다는 특정한 사회적 맥락과 담론 구성체 내에서 이루어졌던 것이다. 한편, 기존의 다큐멘터리 사진의 재현구조는 1960년대 말에 이르러 변화하기 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모더니즘 사진 이론이라는 측면과 20년대 말의 사회적 상황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모더니즘 사진 이론은 MoMA의 사진 부장이었던 존 사코우스키에 의해 전개되었던 논의이다. 그는 사진이 미술관 내부로 편입됨에 따라 사진만의 매체적 특성과 예술형식을 추구하게 되었다. 그리고 프리들랜더와 위노그랜드의 사진에 나타나는 형식적 측면은 이러한 모더니즘 사진에 관한 논의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와 더불어서 1960년대 말의 사회적 상황 또한 이들 사진의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기존의 가치질서가 붕괴되기 시작하였던 당시의 사회적 혼란상황은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개인 주체들 간에 이루어졌던 '상상적 관계' 가 제대로 기능할 수 없게 만듦으로써 고정되어 있었던 지배적인 재현체계는 흔들리게 되었다. 따라서 과거의 안정된 사회질서를 바탕으로 형성되었던 재현체계는 분열되기 시작하였다. 구제적인 이미지들을 분석해 보면, 종래의 다큐멘터리 사진의 재현체계는 관람자가 대상과 자신의 시선을 '동일시' 하도록 작용함으로써 관객을 통일된 주체로 구성하는 것이었다. 반면에 뉴 다큐멘터리 사진에서는 이러한 주체구성의 효과는 붕괴된다. 사진 속에는 일정한 내러티브도 존재하지 않으며, 원근법적 공간은 무시되거나 오히려 2차원적 평면성이 강조되고 있다. 프레임의 설정 또한 임의적으로 행해져서 프레임이 작동하는 방식이 은폐되기보다는 전면에 드러나고 있다. 무엇보다 본 논문에서 강조하고자 하였던 것은 다큐멘터리 사진이 기능하는 재현의 구조와 시선의 작동방식이었다. 뉴 다큐멘터리 사진에서는 그러한 재현의 구조가 은폐되기보다는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데, 그러한 점은 사진이론과 사진사, 그리고 미술사를 서술하는 데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on New Documentary photography in the late 1960's America focuses on Lee Friedlander and Garry Winogrand. The New Documentary photography refers to the works produced by a group of free-lancer photographers under the influence of unconventional style and techniques started by Robert Frank and William Klein. Their works have been estimated as something new in that they offered personal and private forms of expression while inheriting the features of the conventional documentary photography that are the records of reality. Among these photographers, especially Lee Friedlander and Garry Winogrand solidified their status as modernists in the genre of documentary photography through <New Documents>(1967) exhibition held in the Museum of Modern Art at New York under the support of John Szarkowski. The most notable characteristic of these two photographers' works is that they broke away from the structure of representation that had functioned within the traditional documentary photography.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on them have either been focusing on the photographers as creative authors or building a continuous line of history leading from master photographers of the past. In this thesis,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representation of New Documentary photography is addressed in terms of the concept of "discursive formation" as suggested by Michel Foucault. The progress of documentary photography is treated as distinct discursive formations of history divided between 1930s and 1960s. At first, the meaning of documentary photography has been reexamined through the 1930s' documentary photographs produced under the guidance of Farm Security Administration. They were a part of projects of New Deal policy established during the Depression years. The Depression was not only a crisis of economy, but also that of national identity and social order. In this sense, the FSA photographs were related to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 that works as a "social formation". Therefore, they were a means used by the American government to maintain stable social system as representation. In other words, Documentary photographs were produced within a specific social context rather than a mere record of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representation system in the traditional documentary photography met a change in the late 1960s. In this study, this change is explained in two aspects of modernist theory of photography and the social milieu of the late 1960s' America. The former was unfolded by John Szarkowski, then the director of photography at MoMA. As photography entered the museum, he sought after the 'photographic vision' and forms peculiar to photography as a medium. The formal aspects of the works of Lee Friedlander and Garry Winogrand were built within these discourses of modernist photography. Along with these aspects, the social circumstances of the late 1960s' America also influenced the change in photography. As the "imaginary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ideology and the individual subjects stopped working due to the chaotic social circumstances, the fixed, dominant system of representation came to be dismantled. Thus,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based upon the secured social relations of the past came to be disintegrated. In the analysis of concrete images, it is revealed that the representational system of traditional documentary constructs the viewer as a unified subject by inducing him or her to identify him/herself with what is pictured in the photograph. Meanwhile, in New Documentary photography, such an effect of constructing the subject is undermined. In such a photographic images, no specific narrative is found and the perspectival space is ignored or two dimensional surface is emphasized. The picture is composed so arbitrarily that the way in which the frame operates is revealed rather than being concealed. Above all, in this thesis, it is emphasized that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and the mode of operation of the gaze in which the documentary images functioned as objective truth. Finally, it is believed that the laying bare of the structure of representation in New Documentary photography suggests a lot to the theory and history of photography and art history.

      •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을 통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강인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취업 의사가 있는 대학교 3, 4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을 통해 삶의 의미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삶의 의미가 조절효과를 보이는 양상은 지각된 진로장벽의 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추가적인 논의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 and meaning in life was examin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was concluded that, by using perceived career barrier as a medium paramet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is significant as meaning in life adjust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However, the aspects of meaning in life controlling effect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erceived career barrier. Lastly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points of proposal for following research were discussed.

      • 체험마케팅 이론에 의한 자동차 기업의 브랜드 공간 디자인

        강인혜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Cars have become our daily life, not the means of transportation. People have different values in their cars, reflecting their lifestyle. Cars in this 'Car to Life' era can be a means of self-expression, a space for rest, and a partner for everyday life.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automobile companies have sought new marketing strategies that have moved away from traditional marketing that emphasized the existing functional aspects, and what is at stake is the experiential approach marketing strategy. Many automobile companies are actively seeking experiential marketing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various experience events, test drive experience, and experience showroom. Especially, as a means of experiential marketing, the aspect of utilizing space has recently become prominent. The brand experience space is meaningful in that it plays a role as a community in which users can engage in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consumers, bringing the value that the brand is aiming at in the space beyond merely the essential experience of driving a c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spac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factors and expression methods in the automobile brand. For this purpose,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experiential marketing theor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brand formed through the experience provided by the bra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are summarized. The scope of experience is from individual to society, the strength of experience is from light interest to culture. Finally, the extent and intensity of experienc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epth of the brand and consumer relationship, and the case analysis framework was presented based on the strength of experience.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we selected three cases of brand space in Korean automobile companies and analyzed them.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was applied to the space and internal programs and the ‘STINGER’ brand space project was conducted. Through this study, the experiential elements in the space were derived as the intensity of the experience, and the specific design method that can be applied by summarizing it with the practical case analysis was suggested. 자동차는 더 이상 이동수단이 아닌 우리의 일상이 되었다. 사람들은 자동차에 각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고 자동차는 다양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Car to Life’시대의 자동차는 자기표현의 수단이 되기도 하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 되기도, 일상을 함께하는 동반자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에 맞서 자동차기업들은 기존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던 전통적 마케팅에서 벗어나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고 있고, 그 화두에 있는 것이 체험적 접근이다. 많은 자동차 기업들이 다양한 체험 이벤트, 시승체험, 체험형 쇼룸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체험 마케팅을 적극 시도하고 있다. 특히 체험마케팅의 수단으로서 최근 공간의 활용하는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브랜드 체험 공간은 사용자에게 단순히 운전이라는 자동차의 본질적인 경험을 넘어서 브랜드가 지향하는 가치를 공간에 담아내며 소비자와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커뮤니티로써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동차 기업 브랜드에 있어서 체험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동차 브랜드에 나타나는 체험요소와 표현방법의 특성을 분석하여 디자인 방법론으로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험마케팅이론들의 종합적 고찰을 통해 브랜드가 제공하는 체험을 통해서 형성되는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와 체험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체험의 범위는 개인에서 사회로, 체험의 강도는 가벼운 흥미에서 문화화 되어진다. 결국 체험의 범위와 강도는 브랜드와 소비자 관계의 깊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체험의 강도를 토대로 사례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국내 자동차 기업의 브랜드 공간 3곳의 사례를 선정하고 분석하여 자동차 브랜드 공간에서 나타나는 체험요소와 표현방법을 도출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를 공간과 내부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STINGER’ 브랜드 공간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체험에 브랜드와 소비자 관계로서 접근하여 체험의 강도로서 공간에서의 체험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실제 공간사례분석으로 정리하여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 뮤지컬 <렌트> 번역 전략 연구 : 가창용이성 및 문화소 중심으로

        강인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뮤지컬 <렌트>는 라이선스 뮤지컬로서 시대성과 지역성이 뚜렷한 작품이다. 해당 뮤지컬은 국내에서 흥행에 성공했으나, <렌트>의 인터파크 티켓 후기를 보면 청중들이 정서적으로 이질감을 느끼고 있으며 가사 전달력이 부족하다는 의견들이 많이 관찰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 원인 파악을 위해 <렌트>의 가사 번역 전략을 가창용이성과 문화소 관점에서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했다. 전략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번역 전략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먼저 가장용이성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가창용이성 중 대표적인 요소인 음절 수, 리듬과 강세, 노래 부르기 쉬운 소리와 압운을 살펴보았다. 둘째, 문화소 번역 연구의 경우 선행연구를 종합하되 뮤지컬의 노랫말의 특성을 고려해 문화소를 도량형, 고유명사, 함의가 있는 고유명사, 사회, 문화 관련 용어, 관용어, 비속어 및 선정적 어휘로 나누어 전략을 살펴보았다. 가창용이성 측면에서는 음절 수가 증가하였으며 리듬상 강세가 들어가야 하는 부분과 노랫말 상 강세가 들어가야 하는 부분이 일치하지 않았다. 또한 상행가락의 경우 고모음에서 저모음으로의 진행이 잘 지켜지지 않았다. 하지만 압운은 잘 지켜진 것으로 보인다. 음절 수 증가에서 나타난 음표 쪼개기, 강세와 리듬의 불합치가 자주 관찰되는 점을 볼 때 이러한 점이 가창용이성을 저해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관객들이 가사 전달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이유를 설명한다 하겠다. 문화소 번역과 관련해, 도량형에서는 일반화>풀어쓰기>차용>축어역>전환/치환>생략 순으로 나타났고 고유명사는 생략>풀어쓰기>차용>대체>일반화>전환/치환>축어역>직의역 순으로, 함의가 있는 고유명사는 풀어쓰기>차용>전환/치환=직의역, 사회 및 문화 관련 용어는 대체>차용>풀어쓰기>전환/치환>생략>일반화>축어역 순으로, 관용어는 생략>전환/치환>대체>일반화>풀어쓰기>차용>축어역>구체화 순으로 전략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속어 및 선정적 어휘도 대부분 자국화되어 의역되었고, 강도 변화는 유지>약화>생략>강화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번역자는 번역 시 문화적 중재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문화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객들이 느끼는 정서의 차이는 문화소의 번역 전략 때문이라기보다는 소재의 이질성에서 기인한 것이라 보는 것이 합당하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인 측면에서 뮤지컬 연구의 확대에 기여했다고 할 수 있으나 하나의 뮤지컬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뮤지컬 <렌트>의 모든 뮤지컬 넘버를 음운적 측면 및 문화소를 대입하여 분석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작품에 그친다는 약점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ranslatation strategies of the lyrics of licensed musical <Rent> focusing on singability and cultural translation. The musical <Rent> is a work with distinct periodicity and locality. According to the Interpark bulletin board of <Rent>, many Korean audiences noted that the material covered in the musical was ver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and the actors didn’t deliver the lyrics well. Therefore, it is worthwhile investigating the extent to which translation of cultureme and aspects of singability contribute to the audience experience of <Rent>. In order to investigate singability, this study explores the number of syllables, rhythm, stress, and easy-to-sing sounds. Regarding cultureme, this study analyzes cultureme into seven categories: metrology, proper nouns, proper nouns with implications, social and cultural terms, idioms, slangs, and sensational vocabulary. The analysis reveals that in terms of singability, the number of syllables increased in the TT, and the parts where the rhythm had to be stressed and the parts where the lyrics had to be stressed did not match between the ST and the TT. Also, in the case of ascending melodies, it was necessary to go from high vowel to low vowel, but it was not kept well in the TT. However, rhyme seems to have been well-kept. This well explains why the audience was not able to distinguish the lyrics well. Regarding cultureme translation, the most frequent strategy in <Rent> was domestication or paraphrasing. The translator intervened to make it relatively easy for the audience to culturally accept unfamiliar vocabular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musical research in quantitative terms, but the data were limited to one musical, produced in 2004. Avenues for future research include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versions of scripts produced in 2011 and 20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