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판소리와 중국 경극(琼劇)의 현황과 발전 방향 연구

        정홍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중국과 한국은 서로 의지하고 돕는 밀접한 관계에 있고 문화가 가까우며 유교 문화권에 공존한다. 예로부터 양국은 정치, 경제, 문화뿐만 아니라 문학 예술적 교류도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며, 그 교류 내용은 시(詩)산문 사부(辞赋) 소설 희곡 민담 곡예 회화등 문학 예술의 각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한국 판소리는 장편 연극의 이야기를 노래하기 위한 설창 예술로 수많은 곡예 예술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판소리는 일반적인 곡예 예술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예술적 양식과 미적 기준을 가지고 있다. 즉, 판소리만 특유한 허스키하며 패기있고 애절한 목소리, 판소리만 특유한 배우, 고수(鼓手)와 관객의 ‘삼위일체’의 연출 방식, 그리고 판소리만 특유한 풍부하고 아름답고 변화가 다양한 ‘장단’ 리듬 등이 그것이다. 이 모든 것이 모여 무한한 매력을 지닌 민족 전통 예술이 되어, 한국의 역사문화, 민족적 성격과 민족정신을 세계에 알리게 되었다. 판소리는 한국에서 가장 민간적이고 민족적인 예술로 국가 및 지역 풍속문화의 정수를 담고 있다. 경극(琼劇)은 중국 희곡 대가족의 일원으로 하이난성(海南省) 지방 희곡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그는 풍부한 내포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차 중요한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이기도 하다. 경극(琼劇)의 역사가 유구하여 그는 긴 발전 과정 속에서 점차 자신만의 예술적 특징을 형성하였다. 경극(琼劇)은 하이난 전통 예술의 중요한 대표이며, 그 레퍼토리의 종류가 다양하고 내용이 풍부하여, 서로 다른 역사 시기의 사람들의 사회와 정신 생활을 반영하고, 하이난 사람들의 문화적 모습을 구현하여 지금까지도 하이난 민간에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의 판소리와 중국의 경극(琼劇)은 전통문화예술로서 모두 완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고 오랜 세월 동안 시들지 않고 있다. 둘 다 중국 유교의 윤리와 도덕을 핵심으로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유교적 처세 철학과 행동 준칙을 견지해 주로 ‘진(眞), 선(善), 미(美)’가 ‘가(假), 악(惡), 추(丑)’를 이긴다는 내용을 전한다. 양자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완전히 서로 다른 두 가지 예술 형식이다. 한국이 판소리를 전승하고 보호하는 데 얻은 경험은 중국 경극(琼劇)의 보존과 발전에 매우 중요한 참고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Ⅰ장 ‘서론’이다. 본 연구의 연구 배경, 주제 선정의 의미, 판소리 및 경극(琼劇)의 연구 현황, 연구 방법 등을 주로 기술한다. Ⅱ장에서는 판소리와 경극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논하도록 한다. Ⅲ장에서는 판소리와 경극의 주요 예술적 특징을 다루며, 주로 복식, 음악, 가락, 무대 동작 등을 포함한다. Ⅳ장에서는 판소리와 경극의 전승 조치를 논의하고 제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제Ⅴ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전체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본 연구의 주요 관점을 요약하고 판소리의 발전과 보급 조치를 참고하여 중국 경극의 보호와 전승을 강화한다고 밝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주로 현장조사법, 문헌법, 비교분석법 등을 사용하였다. China and South Korea are closely related and mutually dependent, with similar cultures, sharing the Confucian cultural circle. Since ancient times, the two countries have not only maintained close relations in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but also had frequent exchanges in literature and art, covering various fields of literature and art such as poetry, prose, Ci-Fu Verse, novels, operas, folk tales, Chinese folk art forms and paintings. Pansori[1] in South Korea is a talking-singing art applied to sing long dramatic stories, and is one of the numerous folk art forms. However, Pansori also presents unique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standards, which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folk art forms. These differences are mainly reflected in the particular aged, husky, arrogant and plaintive voice; distinct “trinity” performance of actors, drummers and audience; specifically plentiful, beautiful and changeable rhythm of uneven length, contributing to a charming traditional art of the nation and demonstrating to the world the history and culture, national character and national spirit of South Korea. Pansori, as the quintessence of Korean folk and national art, is full of the essence of national and regional customs and culture. Hainan Opera is a member of the Chinese opera family, and is also the most representative local operas in Hainan Province, which not only accumulates rich connotations, but also makes the mark in the second batch of majo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long history of Hainan Opera makes it gradually cultivate its own unique artistic characteristics in the long course of development. As an important representative of Hainan's traditional arts, Hainan Opera involves a wide variety of plays with rich content, which not only showcases the social and spiritual life of the public in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but also reflects the cultural features of Hainanese. Therefore, it still exerts a great influence on Hainan's folk life. Korean Pansori and Chinese Hainan Opera, as traditional cultural and artistic forms, have shown tenacious vitality and have been passed down to this day, gaining their enduring popularity. With the ethics and morals of Chinese Confucianism as the core, the two artistic forms adhere to the Confucian philosophy and code of conduct of “humanity, sense of duty, wisdom, reliability and (ceremonial) propriety”, and mainly convey the content of “the kindness, beauty and truth” over “the false, evil and ugly”. While sharing many similarities, the two are completely different forms of art. The experience gained by Korea in the inheritance and protection of Pansori is fairly critical for us to protect and develop Hainan Opera.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part, which mainly describes the research background of this paper, the significance of the topic, the research status of Pansori and Hainan Opera, the research methods, etc.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ansori and Hainan Opera.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main artis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and Hainan Opera, including costume, music and singing, stage movements, etc. The fourth chapter studies the inheritance measures of Pansori and Hainan Opera, and makes some suggestions. The fifth chapter is the conclusion, which summarizes and analyzes the entire text, concludes the major points of the paper, and draws on the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measures of Pansori to facilitate the protection and inheritance of Chinese Hainan Opera. This paper mainly applies the research methods of field investigation, documentary study, comparative analysis and so on.

      • 동시대 화예조형의 조형적 특성 이해 및 새로운 조형 표현 제안

        황숙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floral formative art is developing and now emerging as one of the leading art fields. There are needs that the floral formative art is acknowledged as a part of art with social recognition upon understanding the art trend and paradigm and that the new ways of expression and methodologies of floral formative art should be suggested. Also, floral formative art should show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as the art connotes social recognitions and social callings. This study shows overview of modern art trend and its characteristics and suggests anlyisis frameworks and scales of semantic axis and esthetic framework. It also drew characteristics from standard frameworks of formative analysis. according to motif description, form's capture method, form's design, form's round shape, and form's motion, each of different art trend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rom the semantic view, constructivism appeared to be a synecdoche of transforms of nature, and from the modernism's view, it appeared to be metaphor, and thinking of deconstruction and complex characteristics from the deconstructivism's view. Also nomadism was resulted to be an ambiguity finding new values free from the given regulations and value systems. From analyzing 30 modern floral formative artworks, contemporary trend's position was drawn. the result was unsatisfactory; these 30 floral formative artworks were weaker than fine artworks and most of them were following modernism, so the new design of nomadism floral formative artworks is suggested. This study suggested art works which was influenced by analysis of modernism, post modernism, de-constructivism, and constructivism of architectural sculptures and plane graphics which were decategorized and philosophical. for the reasons of appearance of nomadism reflecting social characteristic, this study suggests artworks influenced by nomadism and draws and anlyzes characteristics of nomadism. The direction of new floral formative art was suggested by analyzing nomadism characteristics and forming images of current communication of modern citizen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floral formative art should be exalted to one of the art categories and that it should have social timely responsibilities because there were needs for new floral formative art expression with new paradigm of nomadism art trend. 과거 어느 때보다 화예조형의 분야가 예술의 장르와 함께 활발한 활동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고 화예조형이 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제는 화예조형도 예술의 논의에서 벗어나 이 시대의 예술사조 및 패러다임의 이해를 바탕으로 예술의 한 분야임을 사회적 인식과 함께 인정이 되고 화예조형의 새로운 표현의 길과 방법론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제부터는 반드시 예술은 그 시대의 사회적 인식과 소명이 담아져야 하기 때문에 화예조형도 그 시대의 의식과 특성이 표현되고 또한 작가는 그 사회를 대표하는 사회의 상을 표현하고 작품 내면에 표출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근현대 예술사조의 고찰과 사조의 특징을 도출 하여 조형 양식을 본 연구가 제시 하였다. 내용은 분석틀과 Scale 의미론적 축과 심미론 적 틀을 제시하고 Beholding eye인 조형분석의 기준틀을 가지고 특징을 도출 하였다. 그 항목은 형의 모티브묘사, 형의포착방법, 형의구상, 형의환영, 형의동세, 등의 항목으로 설정하여 각 사조의 조형특성을 분석 하여 의미론적 특성으로 볼 때 구성주의는 자연형태나 구조의 변형으로 대유로 나타나고 모더니즘의 특성은 비유로 표현 하고자하는 의미를 환유로 나타나고 포스터 모더니즘의 특성은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은유로 나타나고 해체주의의 특징은 형의 구성 원리도 해체와 혼성의 과정적 사고 로 나타나고 노마디즘의 특징은 특정 규범이나 가치관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찿는 사고로 중의로 로 나타내지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화예조형 엄선된 작가의 30 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을 근 현대 예술사조의 특성과 비교 분석하여 현재의 화예조형 양식의 포지션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순수예술 작가와 작품을 어깨를 나란히 하기엔 부족하고 높은 조형적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대 부분 구성주의 에서 모더니즘 정도에 읽혀지며 끊임없는 새로운 사고로 진화하는 태도의 표출의 시도가 보이지 않아 본 연구는 현대의 사조인 노마디즘의 표현 양식으로 화예조형을 설계해 제시 해 보았다. 현시대의 정신을 요구하는 노마디즘을 근간으로 한 탈장르화 되고 철학적이고 사회적 접근을 시도하여 나타낸 작품을 중심으로 모더니즘, 포스터 모더니즘, 해체주의, 구성주의, 사조에서 삼차원적으로는 건축 조각이 2차원적으로는 평면회화 그래픽 등에서 개념을 찾아 분석 하여 모든 예술에 사회적 맥락을 같이하고, 영향 받은 작품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고 유목적 사고인 노마디즘이 나오게 되어 노마디즘의 개념과 특성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제시하여 공간 디자인에 있어 노마디즘 특성을 도출하고 노마디즘 특성을 분석한다. 이와 같이 현대 도시인들의 흐름과 화합의 공간을 선정하여 소통과 흐름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노마디즘 본질의 특성을 사조로 풀고 해석하여 화예조형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 하였다. 이 논문의 시사점은 미술의 한 분야로서 화예조형의 예술논의에서 벗어나 예술의 한 분야로 승격 되어야 하고 20C 이후 최근 시도 되고 있는 예술분야의 구현 방식과 비교 하여 화예조형 에서의 작품 구현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사회적 시대적 사명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 화예조형은 반드시 예술의 한 부분이다.”라는 사회적 인식이 필요하고 앞으로 화예조형은 향상된 예술행위와 시대적 소명 의식 가진 노마디즘 적인 예술 사조를 품은 작품을 표현해야 하며 예술사조의 패러다임으로 새로운 화예조형의 표현의 길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 중국 예술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고지민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본 연구는 중국 후난성 예술디자인 전공 620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경요인과 긍정심리자본이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환경요인이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요인의 하위요인인 학교환경과 가정환경은 예술적 창의성의 하위변수인 비동조성과 미적감수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요인인 학교환경과 가정환경이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희망, 낙관주의에 긍정적인 (+)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인 중 낙관주의 변인의 경우에만 비동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동조성의 총 변화량 중 37.5%가 낙관주의에 의해 설명되었다. 반면,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등은 미적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학교환경, 가정환경과 비동조성 사이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학교환경, 가정환경과 미적감수성 사이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후난성 예술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예술적 창의성과 경쟁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의 긍정적 심리적 자본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가정환경 보다 학교환경이 증진될 수 있도록, 통제적인 분위기보다는 자유로움의 환경 속에서 성장해갈 수 있는 학교와 사회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 秋史 金正喜의 論書詩 硏究

        김윤주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秋史 金正喜는 서예에 대한 생각을 담은 論書詩를 남겼다. 추사의 논서시는 서예에 대한 그의 이론과 사상을 가장 집약적이고 실질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이에 『阮堂全集』 9, 10권의 시를 토대로 논서시를 정리하고 이를 분석했다. 추사는 논서시에서 서예에 대한 생각을 자신의 감정을 더한 강력한 어조로 표현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우선 추사의 논서시를 이룬 사상적 배경을 그의 詩論, 書論, 畵論이라 보고 『완당전집』에 나타난 추사의 예술사상 전반을 파악했다. 추사의 시?서?화론을 보면 그가 藝術家로서 살아간 것을 알 수 있다. 그가 論文 형식의 글보다는 시와 서예, 전각 등의 예술작품을 위주로 創作活動을 했으며 創新을 위한 法古를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보다 창작을 위한 學習을 중요시했으며 이 때문에 여러 相反된 예술이론들도 綜合하여 받아들일 수 있었다. 보다 獨創적인 작품을 위해 자신의 시대에게서 가까운 작품부터 個性을 살피고 그것의 法則性을 찾아나가는 식의 學習法을 택했다. 작가 자신이 누구보다 자기 분야의 專門家가 되기를 원했고 그러기 위해 많은 작품을 접하고 正統系譜를 熟知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본고는 추사 논서시의 배경이 되는 예술사상을 토대로 추사의 논서시를 모두 조사하고 여기에 드러난 추사의 藝術境界를 學書觀, 批評觀, 藝術觀으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추사는 근원을 찾아가는 공부에 전력을 다할 것을 독려해 책에서 사실을 조사하고 만권의 서적을 관철하는 것만이 實事求是라고 경계했다. 추사는 실사구시적인 학습방법을 금석학과 고증학과 관련한 시를 통해 표현했다. 또한 書如其人의 논지를 토대로 그 사람의 서예를 비평한 시를 남겼다. 추사는 작품 자체에 주목하며 나름의 노력을 더해가는 일본의 작가들과 문화수준의 발전을 좋게 평가했다. 이는 사람이 작품을 만들어가며 인격을 완성해 나가듯이 작품이 또한 그 사람의 인격을 다듬어나갈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추사가 주목한 物我一體의 예술관은 마음속에 있는 양가적인 감정을 글씨 하나로 모두 승화시킨 것을 말한다. 그는 자연과 사람들의 일상을 自由自在로 표현한 서예에 관한 시를 남겼다. 추사의 물아일체적 예술관은 도가와 그 맥이 닿아 있으면서도 추사가 본질적으로 추구한 유가사상과 닿아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추사의 논서시는 실사구시의 학서관, 서여기인의 비평관, 물아일체의 예술관의 예술경계를 드러내고 있다. 추사의 논서시는 그의 서예관을 직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연예술의 온라인 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Textom과 Ucinet을 활용하여

        이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코로나 19로 인해 급격히 변화하는 현시대 이후 온라인 공연예술의 필연적 변화를 반영한 후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그것을 극복한 이후를 지칭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공연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인 TEXTOM_v5.0 버전과 UCINET 6.0을 활용하여 코로나 전, 후의 온라인 공연 예술의 흐름을 분석하고 미래에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공연예술의 실질적인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 연구의 고찰을 바탕으로한 공연 예술의 기본 개념을 기반으로 코로나 이후 현 시대의 온라인 공연예술 경향 분석하고 각 단체들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미래의 공연예술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공연예술은 시대의 흐름이고 미래 시대에는 필수적인 삶의 일부분이 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 공연예술단체들은 다양한 온라인 공연예술 방식을 활용하여 미래 사회에 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터넷, 모바일, IPTV 등으로 확대된 상황을 인지하고 각 기관별 플랫폼 개발, VR과 AR 기술활용, 가상현실 시스템과 사물 인터넷 시스템 활용, 현장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스트리밍 방식을 병행, 짧은 숏 폼 형태의 웹 성능을 시도해 볼 수도 있겠다. 더불어 메타버스의 방식이 매우 중요한 플랫폼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전까지의 무료 스트리밍 방식에서 유료 스트리밍 등의 새로운 방식 도입에 관한 시도가 계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전문성을 지닌 마케팅과 플랫폼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다. 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을 객관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로서의 객관화가 필요하고 그렇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빅데이터는 이러한 객관화를 가능하게 해주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성공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여전히 미흡하다. 문화, 예술, 스포츠 분야는 더욱 부족하다. 빅데이터 특성상 과도한 정보로 인한 연구의 객관성과 일관성을 온라인 공연예술로 제한한데 있어 국내 공연예술 전반의 변화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후속 연구에서는 공연예술과 온라인 공연예술의 전체적으로 각각의 성과에 대한 사례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We would like to find a direction for Online Performing Arts to move forward in the Post-Covid 19 Era, which refers to the inevitable change in online performing arts after the rapidly changing era due to Covid 19. Therefore, this researcher seeks to analyze the flow of online performing arts before and after Corona using the big data analysis system TEXTOM_v5.0 and UCINET 6.0 and find the practical direction of performing arts that our society should pursue in the future. Based on the basic concept of performing art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prior research, we wante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future performing arts by analyzing the trends of online performing arts in the Post-Covid 19 Era and presenting examples of each organiza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online performing arts are a trend of the times and are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life in future times.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should now use various online performing arts methods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society methods. To this end, we can recognize the expanded situation to the Internet, mobile, IPTV, etc., develop platforms for each institution, utilize VR and AR technology, utilize virtual reality systems and Internet of Things systems, and try short-shot web performance. In addi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method of metabuses is considered a very important platform. Furthermore, we believe that attempts to introduce new methods such as paid streaming are continuously needed in previous free streaming methods. The role of marketing and platform with expertise is also very important. Objectification as data is necessary to objectify perceptions of social change, and the use of programs to do so is essential. Big data enables this objectification and allows us to assess the success of a company through big data analysis. However research using big data is still insufficient in South Korea. The cultural, artistic and sports sectors are more scarce. Due to the nature of big data, further research on changes in overall performing arts in Korea seems to be needed in limiting the objectivity and consistency of research due to excessive information to online performing art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examples of each performance of performing arts and online performing arts as a whole.

      • 공연예술단체 조직구조 유형 연구

        이은정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공연예술단체 조직구조 유형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공연예술경영전공 이 은 정 지도교수 : 송 상 호 21세기 사회는 문화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는 존슨(R. Johnson)의 문화주의(또는 문화결정론)적 입장의 연장선상에서 많은 미래학자들은 21세기를 ‘문화의 세기’로 지칭하고 있다.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상당한 수준으로 상승하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는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최근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공연장, 교육기관, 예술단체 등 양적 인프라의 증가로 공연예술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간의 경제성장과 예술정책으로 문화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공연예술의 수요가 증가하였고, 보다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공연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공연예술정책도 기본방향이 하드웨어 중심에서 휴먼웨어 중심으로 바뀌면서 관객들의 관심과 수준이 높아지고 거기에 부합하기 위한 공연예술시장의 전문화와 다양성의 추구로 질적인 면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공연예술단체는 수준 높은 공연예술작품을 만들어내기 위해, 스텝과 출연자를 비롯하여 공연제작에 투입되는 모든 인력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예술성의 제고와 조직의 경쟁력을 확보하여 공연자체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정책』에 이홍재(2006)는 “문화예술기관 조직(공연예술단체)은 예술의 집단적 창조 및 표현이라고 하는 조직의 기본 목적을 현재의 사회 환경 속에서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경영이 필요하다”고 했다. 즉, 이러한 경영에는 원칙이 없는 제도나 관례들을 배제하고 조직의 효율성과 예술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조직구조가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연예술단체는 관객들을 위한 문화의 공급원이면서 예술가들의 활동의 장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공연예술단체의 조직을 제대로 설계하여야 제대로 된 예술 활동이 이루어질 것이고, 그 후에야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일반적인 조직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예술의 상업성을 터부시 하는 경향이나 대다수 공연예술단체들의 영세성 등 해결되어야 할 시급한 선결과제에 가려져 공연예술단체에 대한 체계적인 조직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하겠다. 그리하여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부분은 공연예술단체의 조직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각 조직들이 가지는 구조적인 차이점들을 파악하여 개선방향을 위한 전략들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공연예술단체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단체의 목적이나 규모, 법적성격에 따라 조직은 각기 다르게 존립하고,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여 여타의 공연예술단체들이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하고자 할 때,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ypes of Performing Arts Groups LEE Eun-Jung Department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From an extension of R. Johnsons' viewpoint of culturalism (or cultural determinism) that society will be led by culture in the 21st century, many futurists call the 21st century 'the century of the culture.' As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about culture has reached a significant level, the desire for culture and arts has been growing at a rapid pace. Recently the performing art market has been expanded with growing interest in culture and arts and a quantitative increase in infrastructure such as performance hall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rts organizations. With mounting interest in the cultural industry thank to economic growth and arts policy over the past few decades, demand of performing arts has increased and demand for qualitatively higher performance has also risen. As the basic direction of policy of performing arts policy has shifted from hardware-centric to humanware-centric, the interest and level of audience have been elevated and, to live up to such changes, the performing art market has pursued professionalism and diversity, leading to changes in quality of performing arts. To meet these needs of the times, it is important for performing arts groups to improve the quality of performing arts itself by increasing artistry and securing competitiveness through organized and effective management of all human resources including staff, actors and actresses to create high quality work. In Cultural Policy in 2006, Lee Hong Jae said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performing arts groups) need management in order to effectively deliver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organization-collective creation and expression of arts-in the current soci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in such management, organization structure needs to be strategically design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artistry of the organization excluding systems or practices without principle. This is because performing arts groups have functions to serve as a place for artists to work as well as cultural sources for audience. Whe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performing arts groups is properly designed, appropriate arts work can be done and only then evaluation can be made in an appropriate manner. However, mos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general organizations until now and no systematic research has been made on performing arts groups due to tendency to taboo commercialism in art or pressing matters calling for prior settlement such as most performing arts groups being so small and poor.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full of suggestions.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s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groups and differences in each group's structure, then come up with strategies for improvement and ultimately manage performing arts groups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ach organization exists and is mainta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its purpose, size and leg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a direction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when performing arts groups want to create and operate their structure.

      • 공연예술단체와 공연장의 협업을 통한 자생력 확보방안

        오진숙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erforming arts sector is traditionally dependent on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public sector because of its weak self-sufficiency. In recent years, economic recession has been continuing globally, and the aftermath of this recession has been widespread in Korea, therefore, performing arts activiti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hrinking. This study investigated ways to secure the self-sustaining power of the performing arts community, which is concerned with the survival issues. I tried to find the detailed policies to apply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Sinc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need places to perform their works and the performing theaters need the performing organizations, both parts are very closely related each other. In most cases, however, the pursuing directions and goals of th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re different from the performing theater’s, and thus it is hard to see co-work for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public aid is indispensable for the performing arts area judging from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or methods of self-help presented in the performing ar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ituation analysis and diagnosis about the stagnant performing arts field have been done and the policy options for the cooperation with the performing arts group and the performance hall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are provided to secure the self-sustaining power in connection with public assistance.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ocial functions of the performing arts, and have investigated the performing arts environment,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performance theaters. And I also have examined the public support projects in connection with the status of the performing theaters, and overseas cases. Then, the SWOT analysis for the performing arts field and the Delphi survey for the experts were conducted, and the strategic and development plans for securing the self-sustenance were suggested accordingly. Based on the results of Delphi survey, five strategies and 36 specific strategies are identified, the priorities and importance of each strategy are reviewed, and finally 17 items were summarized The five strategic items are (1) the strengthening of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contents (the accumulation of repertoires), (2) the collaboration of performing theater and performing arts group, (3) policy supports, (4) group operations, and (5)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And these strategies should be linked with public aid, and the development strategies can be realized by the collaboration between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theaters. First, the public art support system should less conditional and a cultural space as an open platform should be provided to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Second, we will introduce “theater + performance arts” package support (3 years + 2 year system) for the foundation of collaboration between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theaters. Third, in order to allow th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o devote themselves to the creation of arts, we need to introduce "the cooperative management of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which is a structure that third parties can help the management of art groups, or to establish "a third organization, agency, or company that take charge of business, finance, and accounting of the performance group. keyword: performing theater, performing arts organization, self-reliance, performing art, financial support of the public sector 공연예술분야는 전통적으로 자생력이 취약하여 공공부문의 지원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경제적 불황이 지속되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그 여파가 미치고 있어서 공연예술 활동은 점점 더 위축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환경에서 현실적으로 생존의 문제까지 고민하고 있는 공연예술계가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공연예술분야의 3대 요소인 배우, 장소, 관객 중에서 공연제작과 상연의 두 주체인 배우(공연예술단체)와 장소(공연장)간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자생력 확보방안을 연구하였고,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공연예술단체는 작품을 제작하여 공연할 장소가 반드시 필요하고, 공연장은 공연할 단체가 반드시 필요해서 서로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서로 추구하는 목적이나 사업방향을 달리하여 독자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공연활동을 하고 있는 편이어서 연계가 부족한 편이다. 한편으로, 선행연구나 공연예술계에서 제시된 자생력의 방안을 보면 결국은 공공의 지원을 필수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침체된 공연예술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 분석과 진단을 통해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공공지원과 연계하여 공연예술단체와 공연장이 협업을 통하여 자생력을 확보해 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공연예술의 특징 및 사회적 기능을 살펴보고, 공연예술 환경, 공연예술단체 및 공연장 운영현황, 공연장과 연계하여 공공부문에서 시행했던 지원사업과 해외사례를 조사하였다. 공연예술분야에 대한 SWOT 분석과 함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자생력 확보를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델파이 조사결과 5개 분야 전략과 36개의 세부전략 항목을 도출하고, 각 전략별 세부항목의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조사하여 우선적으로 추진할 전략항목 17개를 최종적으로 정리하였다. 5개의 전략항목은 ① 콘텐츠의 기획․제작 강화(레파토리 축적), ② 공연장+공연예술단체 협업, ③ 정책지원, ④ 단체운영, ⑤ 마케팅․홍보로 나타났다. 이들 전략을 공공지원과 연계하여 공연예술단체와 공연장의 협업을 통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연예술단체에게 “자유로운 예술 지원제도 도입과 열린 플랫폼인 문화공간을 제공”한다. 둘째, 공연예술단체와 공연장의 협업기반 조성을 위해 “공연장+공연예술단체 팩키지 지원(3+2제)”를 도입한다. 셋째, 공연예술단체가 예술창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연예술단체의 운영을 제3자가 도와줄 수 있는 구조인 “공연예술단체 공동 운영제 도입” 또는 “공연예술단체의 경영․재정․회계를 실질적으로 대행하는 제3의 기관․단체․회사를 설립”한다. 우리나라의 예술지원제도는 제약조건이 너무 많아 공연예술단체들이 창작에만 전념하기가 매우 힘든 구조이다. 이들이 여러 형태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편리하게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새로 만들고, 공연장과 공연예술단체를 같이 묶어서 집중 지원하는 등 공공지원의 기본 틀을 혁신적으로 바꾼다면, 장기적으로 공연예술단체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지원체계에서 자칫 예술지원을 가로막는 ‘구호’로 악용될 수도 있는 ‘자생력’에 대한 예술계의 현상들을 가감 없이 진단하여 공연예술단체들의 실질적인 자생력 확보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어: 공연장, 공연예술단체, 자생력, 공연예술, 공공지원

      • 비행청소년에 대한 예술치료 연구동향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황정아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juvenile delinquents, by reviewing studies in which art therapy was provided to adolescent delinqu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rapid social and mental development. Currently,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re provided to and attended by juvenile delinquents. However, the recidivism still remains high. The author reviewed previous research with the question: how were studies on juvenile delinquents conducted and were they effect on reducing recidivism? Erikson referred to the dynamic period as an 'ego-identity crisis.' The increasing number of juvenile crimes prove that education has neglected this aspect of adolescence, and is becoming a major social issue. Juvenile delinquents experience frustration and extreme confusion due to negative self-concept, which is characteristic of adolescents. Art therapy can provide them with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and link their individuality, creativity, beauty, and joy foundthrough art therapy to everyday life. However, studies suggest art therapy is mostly conducted in a large group and, therefore, fail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expressing self-concept, individuality, and insight. The author attempted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on juvenile delinquents and investigate objective facts and problems based on systematic analysis. For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elevant research trend, the author collected 58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group art therapy for juvenile delinquents that are registered in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between January 2000 and May 2015. Of 58 theses searched by using keywords such as juvenile delinquent, adolescents under protective supervision, and youth detention center, 38 these were finally selected after excluding case study and studies in which the subjects were not related to Youth Ac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method, subject, composition of art therapy activities, therapy purpose, and frequency of art therapy programs. In this study,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area, group size, age group distribution, and gender distribution, and the art therapy programs were analyzed based on therapy type, period,number of sessions per week, measurement and evaluation tool, and therapy purpos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Individual and small group therapies for juvenile delinquents are urgently needed. Also, it was difficult to analyze the subject studies objectively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cases. Most studies proposed a program based on analysis results and did not propose objective data to support the results. With respect to research area, objectivity was limited due to the small number of case studies, and, because the therapies were mostly conducted in large groups, overall, the programs failed to take into account the age and individual difference of subject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juvenile delinquents, individual therapy is urgently needed. Also, the therapy periods were rather insufficient, considering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The studies did not clarify the reason the therapy period was short for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In most studies, the therapy period was shorter than two months. As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art therapy research on juvenile delinquents needs to have objectivity and validity and, in the future, art therapy programs must be accommodat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developed in a way that can reduce recedivism. By understanding juvenile delinquents and applying proper art therapy to them, relevant institutions and therapists can approach art therapy with a more active attitude.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 대상으로 한 예술치료 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와 정신적으로 발달과정에 있는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어진 예술치료논문을 살펴보았다. 또한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재범률은 줄어들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비행청소년 대상으로 어떻게 논문이 진행 되어져 왔고, 재범률에 효과성이 있었을까 하는 의문으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급변하는 시대에 급격한 역동적 시기는 “정체감 위기”(Erikson)라고 말하였다. 그러한 부분을 무시하고 행해지는 교육은 나날이 증가하는 소년 범죄를 통해서 증명되고 있으며,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행청소년의 경우는 특히 청소년들이 가진 부정적인 자아개념으로 인해 좌절과 극심한 혼란을 격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미술치료는 청소년에게 자아 표현의 기회를 제공한다. 미술치료는 창작을 통해 개성과 창의성을 표현하며, 또 한 아름다움과 즐거움의 의미를 자신의 생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대부분 예술치료는 대집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점은 자아표현의 제공과 개성의 중요성, 자기통찰의 기회를 표현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그 동안 비행청소년 대상으로 연구해온 선행연구를 통해 좀 더 객관적인 사실과 문제점, 그리고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비행청소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경향을 적극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등록된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행되어진 집단 예술치료 석, 박사 학위 논문 자료가 실린 2000년부터 2015년 5월 까지 58편의 연구 자료를 모았다. 검색어는 비행청소년과 보호관찰 청소년 그리고 소년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예술치료 석, 박사 학위논문 58편 중 38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자는 사례연구와 대상자가 청소년 법과 관련이 없는 비행청소년을 제외하여 38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방법, 연구대상, 예술치료 활동 구성, 치료목적, 예술치료 프로그램 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연구 분석기준에 따라 연구영역별 분석, 집단구성별 집단크기, 연령별 분포, 성별분포 등 연구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예술치료 프로그램 분석으로는 치료유형, 치료기간, 주당치료횟수, 총 치료회기, 측정 도구 및 평가도구, 치료목적, 등 프로그램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비행청소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개인 치료 및 소집단 연구가 절실함을 느끼는 바이다. 또 한 연구사례논문도 많이 부족하여 객관성을 가지고 분석하기란 쉽지 않았다. 대상자의 특징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제시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각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였다고 보아지지 않는다. 또 한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객관성을 제시하지 않았다. 연구 영역별 분포에서는 사례연구가 많지 않아 분석하는데 객관성이 부족하였으며, 대집단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연령의 차이와 각 개인의 특성이 고려되어지지 않은 부분이 많이 나타났다. 비행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개인치료가 절실함을 밝히는 바이다. 또 한 주당 치료 횟수에 비해 치료기간이 짧은 편이다. 치료횟수에 비해 주당 치료횟수가 짧은 이유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지 않아 알 수가 없어 아쉬움을 가진다. 대부분 치료기간은 2개월 미만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객관성과 타당성이 요구됨에 따라 예술치료 프로그램이 각 개인별 특성에 맞는 연구가 이루어지기 바라며, 재범을 줄이기 위한 문제해결을 향후 개발과 연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비행청소년을 이해하고 예술치료를 적용함으로써 기관과 치료자와 사회가 함께 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예술치료가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길 기대 해 본다.

      • 남북한 문화예술의 생산체계 및 보급 연구를 통한 사회문화통합 방안 :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김지은 추계예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South and North Korea have lived in different goals and systems for the past sixty years, adopting different ideologies and systems since the Cold War; so as education, culture and arts had different goals and systems. Art and culture softly guide people’s ideas and goals, leading to unification. In this respect, understanding each other’s different arts and cultural structures and systems would ultimately result in the countries socio-cultural unification. Especially, studies on cultural producers, rather than receivers who are moved by the piece of art should be the first goal because background and goal to make work of art is more progressive than the viewers who passively receive the producer’s work.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policies and goals based on social roles of arts and culture, which are regulated by each country. It also compares and analyzes the countries different production structure and system as process of realization. This is a process to realize the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covering various fields, such as changes of cultural policy and management by operators, creation of work of art and distribution. That is, North Korean government manages and controls arts and cultures for the people, while South Korea supports arts and cultural industry for the cultural welfare of the people, and they are created and distributed freely through competition. Despite of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limited information on North Korea, this study researches South-North Korea’s cultural and arts exchange status and analyses specific examples. It also includes examples of Germany, which experienced the unification before Korea. The study shows that each county has very different perspectives and policies, finding the difference of arts and cultural structures. Nonetheless, the study finds that the two countries have common national sensitivities despite of the 60 years of history. Although the arts are created from the different forms and structures, they show relationships in them. This study also finds possibilities that the countries could even collaborate. In short, because South and North Korea with different ideologies and systems have had different cultural systems for the past, themes, contents and forms of work of art have been greatly different. However, the Korean people as the racially homogeneous nation have lived in this peninsular for thousands of years, and their sense of kinship has not been changed very much. Due to the same history and tradition, some similarities are found in art, which shows a great potential for the two countries’ future arts and cultural exchange, such as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sound, Korean opera, and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o do so, there must be a governmental support of resources and assurance of consistent exchange with adjusting laws and systems of the countries. Considering the current exchange statues, it is necessary to start experimental exchanges in the societies of the Korean abroad. This study researches differences in South and North Korean arts and cultural exchange, focusing on the producers’ perspective, and finds similarities in them. This must be used as a vehicle for the exchange for now, leading to the further amicable exchange and consistent collaboration in the future. Through this virtuous circle structure, the countries would overcome the conflicted ideologies before arguing the superiority of their systems. Moreover, searching for finding the people’s identity is the fundamental role of arts and culture, and it would ultimately lead to the social integration and the national unification at large. 남북은 냉전기간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를 선택·수용하면서 60년 동안 다른 목표와 제도 속에서 살아왔다. 국가공동체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교육과 문화예술 역시 다른 정책적 목표와 구조 및 체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오늘날 확연히 달라진 양태로 우리에게 다가왔다. 문화예술이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과 목표를 유연하게 계도하고 통일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때 남북의 서로 다른 문화예술의 구조와 체계에 대한 이해는 궁극적으로 사회문화통합을 도모하려는 통일론적 관점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노력이 될 것이다. 특히 작품을 매개로하여 미적 감동을 통해 순화되어지는 수용자 측면보다 작품을 만드는 생산자 측면의 연구는 더욱 선차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작품을 감상하는 수동적인 관객보다 작품을 제작하는 배경과 목표가 더 능동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남북이 규정한 문화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개념을 기초로 하여 정책과 목표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 정책의 실현과정으로서 남북의 상이한 생산구조와 체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이는 시대 흐름에 따른 문화정책의 변화와 운영주체에 따른 관리, 예술작품 창작 및 생산·유통 즉 보급의 전 과정을 조사함으로써 국가가 인민의 교양을 위해 문화예술 분야를 직접적으로 관리·통제하는 북한과는 달리, 민간의 자율경쟁을 통해 창작 및 보급이 이루어지고 정부가 준공공재로서 문화예술을 지원 육성하여 궁극적으로 국민의 문화복지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남한의 상황이 확연히 다른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관련된 선험적 자료와 제한적인 북한정보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나마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그간의 남북문화예술교류의 현황을 조사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 우리보다 먼저 통일의 과정을 겪어왔던 독일의 사례를 조사 연구하였다. 여기에서 선행 연구의 결과들처럼 분명히 서로 다른 입장과 방침을 확연하게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남북 문화예술구조의 이질성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동시에 이 과정에서 필자는 60년이라는 기간을 뛰어 넘어, 남북의 구성원이 본연의 민족적 감성으로 가지고 있는 공통분모를 발견하였다. 또 비록 다른 형식과 구조로 전개되고 있는 문화예술작품들 사이에도 연관성과 합작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남과 북은 이념과 체제를 달리한 지난 시기동안 문화정책의 지향이 달랐기 때문에, 작품의 주제나 내용 그리고 형식도 커다란 차이를 보여 왔다. 그렇지만 60년을 뛰어 넘는 수 천 년의 세월동안 단일민족으로서 함께 해 온 정서적인 동질감은 그렇게 달라진 것 같지 않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역사의 전통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어 부분적이나마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도 유사점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남북의 문화예술교류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통음악의 세계화, 우리소리의 월드음악화, 우리만의 오페라, 전통무용의 현대화 등으로 나갈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을 위해서는 남북간 법과 제도의 정비를 통한 지속적인 교류의 보장과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 당장의 정세에 영향을 받는 현 단계의 교류현실을 감안해 해외동포 사회에서의 실험적인 교류 등도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은 남북의 문화예술부문 특히 생산자 측면을 고찰하여 다른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동질감도 찾을 수 있었다. 이것을 우선적으로 교류의 매개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원만한 교류와 지속적인 합작노력이 우선적으로 전개되야 할 것이다. 이런 선순환 구조를 통해 남북은 서로의 체제 우위를 판단하기에 앞서 대립적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민족의 정체성을 찾아 나가는 과정이 궁극적으로 통일을 대비한 사회통합의 과정이자 문화예술의 본래적 역할을 수행하는 길이 될 것이라는 점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 공연예술 음악창작의 인공지능 활용 방안 : 감정 요인을 중심으로

        이은지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공지능은 4차산업혁명 핵심 기술 중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의 인공지능은 예술에도 활용된다. 특히 공연 예술에서도 인공지능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술로 공연대본 분석과 분석 결과에 따른 공연에 활용될 음악을 제작하였다. 먼저 인공지능의 현황과 연구 방향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공연예술의 이론과 공연예술에서의 음악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공연예술 창작 사례를 통해 공연예술의 기획과 제작 과정을 탐색하였다. 인공지능의 개념과 함께 인공지능이 현재 다른 분야와 어떻게 융합되어 적용되고 있는지도 탐구하였다. 이후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연예술 실험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연음악을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활용 및 제언을 포함한 결론을 내렸다. 희곡 햄릿 대본을 구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자연어 자동기계학습 감정분석으로 분석하였다. AI Hub의 한국어 감정 정보가 포함된 단발성 대화와 연속적 대화 데이터셋을 자동기계학습에 입력하면 대본의 주요 감정을 도출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제작하였다. 햄릿 대본의 주된 감정으로 혐오가 나왔다. 캐릭터들의 독백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대입한 결과 추가로 슬픔과 분노, 기쁨 또한 도출할 수 있었다. 앰퍼 뮤직, 인공지능 가상 아티스트, 이크릿 뮤직이 음악을 제작할 때 저작 도구로 사용되었다. 이 저작 도구들은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따라 음악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작 도구들은 인터페이스가 간단하기 때문에 누구나 시도할 수 있어 진입장벽이 낮다. 음악뿐만 아니라 글, 이미지 역시 인공지능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물론 현재의 인공지능이 인간의 감정을 완벽하게 대체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을 도구로 다양한 시도를 진행한다면 다채로운 공연예술을 펼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