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도 문화유산 보유사찰의 분포현황 및 유산적 가치

        강금림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화재란 자연적으로 혹은 인위적으로 형성된 국가 혹은 세계 유산으로 역사적ㆍ예술적ㆍ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것을 말한다. 문화유산은 조상들의 사고, 관념, 습관 등을 알 수 있는 물질적인 자료이다. 문화유산 그 자체로도 가치가 없지는 않지만, 살아있는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이 지닌 가치를 파악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의미를 창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문화재로 등록된 석탑과 불상을 보유하고 있는 제주도사찰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고, 그곳에 존재하는 문화재들의 보존상태를 점검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보존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이것들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파악하고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문헌분석, 문화재 관련기관 방문 자료수집, 문화재 보유사찰 현장을 2020년 10월부터 2021년 2월까지 3회 이상 답사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현재 제주도에 등록된 모든 불교 관련 문화재중 석탑과 불상을 보유하고, 그 문화재들을 관리하는 사찰들의 문화재와 그 분포현황이다. 제주도에 불교문화재 석탑과 불상을 보유하고 관리하고 있는 사찰은 14곳이며, 2곳은 제주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종류별로는 석탑 1건, 사리탑 1건, 불상 15건이다. 문화재 지정 현황은, 국가지정 보물 1건, 제주도지정 유형문화재 9건, 문화재자료 5건, 민속문화재 2건 등이다. 재료별 불상의 종류는 목조 9건, 석조 2건, 이조 1건, 목조불감 1건, 미륵불 2건이다. 문화유산은 그 지역을 삶의 터전으로 생활했던 조상들의 사고, 관념, 습관 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다. 지역에 존재하는 문화유산을 학습자료로 이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가 유발되고, 자신이 사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애향심을 기를 수 있도록 초·중등 정규교육과정에 범교과적으로 수업에 활용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역사문화 콘텐츠의 활용은 역사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주며, 역사에 관한 관심과 애착심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제주도는 우수한 자연경관과 역사적 의미를 지닌 곳이 많다. 천혜의 자연경관과 함께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보급하여 세계적인 관광지로 개발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모두 다섯 가지이다. 첫째, 본 연구는 제주도에 문화재로 지정된 사찰에 소장된 석탑과 불상의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살펴보았으며, 기존 발표된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제주도에는 아직도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불상, 탱화 등이 사찰에 소장되어 있다. 추후 문화재 등록과 아울러 문화재의 가치가 재평가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문화유산은 교육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음에도 그 교육적 의의를 간과한 채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더 전문적인 교육과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소장 자료에 대한 관리운영과 매뉴얼 및 활용방안에 대한 다각적인 비교 연구도 함께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셋째, 문화유산을 장기적으로 보존 및 교육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문화재 전용 전각 건립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단위 사찰에 소장된 문화재에 대한 단편적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는데 향후 통합적 관리로 일원화하고,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동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불교문화재 소장 전용 박물관 건립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마지막으로, 향후 교육은 문화재 소유 현장을 공유한 현장성과 학교 교과 연계를 함께 추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준비·진행되어야 한다. 여러 기관이 지향하고 있는 공공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분명하며 유의미한 연구를 수행하기를 기대해본다. 주제어: 문화유산, 문화재, 유산적 가치, 불교문화재, 제주도 사찰, 분포현황. Cultural assets are the heritages that contain the high vale of history,art, academy and scenery. And they are also material data that allow usto get knowledge of ancestors' thoughts, ideas and habit.Outsides the vale of cultural heritages it is needed to elicit theinformation and create its own meanings in order to be using them asliving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situation of the heritages that distributed in Buddhist temples in Jejudoand find a sustainable conservation plan by examining them.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o utilize heritages for educationalusages as well as identify the value of them. For this study, analysis ofprevious literature studies, data collection from visiting related institutesand the sites of cultural assets have been implemented. The survey wasconducted over 3 times from October 2020 to February 2021.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cultural assets, the distributingcondition of the temples which holding stone pagodas and Buddhastatues. There are 14 temples which are owning and managing stonepagodas and Buddha statues as cultural assets. 1 stone pagoda, 1 stupa,and 15 Buddha statues are classified by type. As to designation ofcultural assets, 1 national treasure, 9 designated tangible cultural assets,5 cultural assets, and 2 folk cultural assets are included. 9 woodenstatues, 2 stone statues, 1 double statue, 1 wooden Buddhist image, and2 Maitreya statues are classified by materials. Cultural heritages areimportant asset that allows us to know the thoughts, ideas, and habits ofour ancestors who lived in the area. The students' interest andmotivation should be enhanced as well as arouse the pride and affectionfor the region in where they live by using the cultural heritages asmaterials for study.In addition, the use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doesn't onlypromote understanding but arouse interest and attachment to the history.There are many places with excellent natural scenery and historicalsignificance in Jejudo. Policy considerations are also needed so that it isavailable to develop to be a world-class tourist destination bydisseminating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long with the naturalscenery.Five suggestions are to be made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study.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value of stone pagodas and Buddhastatues stored in temples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in Jeju-do andsummarized based on previously published materials. There are Buddhiststatues and tank paintings, which are not yet designated as culturalassets still be kept in the temples in Jeju-do. I anticipate that theyshould be revaluated their value along with the registration as culturalassets. Second, although its value of educational significance they havebeen overlooked and neglected. More specified study and research areneeded together. In particular, Various comparative studies on the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collection materials, manuals, andusage methods conducted together are expected. Third, in order topreserve and increase the educational usage of the cultural heritages,specific measures for the construction of a pavilion dedicated to culturalheritage should be prepared.Fourth, a fragmentary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for cultural assetsheld in unit temples was present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 establishment of a museumdedicated to the collec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in order to unifythem through integrated management and to establish an efficient andsystematic joint system. Lastly, future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andconducted in a direction that can pursue the connection between thefield and the school curriculum with the shared field of cultural property.It is expected that clear and meaningful research will be conducted sothat various institutions can realize the public nature that they areaiming for.

      • 목조건축문화유산의 디지털 기록화 연구 : 계룡산 중악단을 중심으로

        김학호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ultural heritages that have been passed on through a long history will have a genuine value as long as they are conserved as an original form. Furthermore, cultural heritages can never be reproduced in its original form once they get damaged. With huge efforts of restoring the destroyed cultural heritages as much as possible, numer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making use of scientific equipment and technologies along with a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digital documentation for the cultural heritage. Lots of changes have been made to digital technology and documentation process due to the wide use of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scientific analysi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Gyeryongsan has been known as a spiritual mountain, where ancient people had performed religious rituals worshipping god of the mountain since long time ago even before Joseon Dynasty. The Gyeryongsan was considered a geographically critical place. At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the king attempted to build Joseon's capital city near the Gyeryongsan. The Sinwonsa temple, an old temple is located at the southern outskirt of the Gyeryongsan. Near the Sinwonsa temple, there is Jungakdan which is only construction that exists until now, built in a way of Dan-Myo (altars and shrines) architecture. For this reason, The Jungakdan has a critically important value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religion. The Jungakda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in which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was performed and Dancheong (Korean traditional wood painting) pattern simulation was carried out recently as a part of digital documentation project for cultural heritages. The study on digital documentation for Jungakdan in Gyeryongsan was started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permanent conservation for the heritage sites based on precision and accuracy of documentation and perception of importance of documentation for cultural heritage. In this context, digital documentations survey methods and the way of using scientific equipment and analysis results were described and summarized in this study, especially for Jungakdan. Subsequently, the problems that were encountered in digital documentation have been derived. To address the problems, solution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way,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hat can contribute to performing efficient digital documentation, management of the digital documents, and its permanent conservation. In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GPS measurement, optical wave measurement and wide-band 3D scanner measurement were applied together for getting higher accuracy. Among the measurement equipment, 3D scanner was used in measuring an entire area of Jungakdan, measuring the building's external appearance and identifying location of each building. Data that were obtained and collected from the measurement process were implemented in the system and utilized in CAD modeling as well as 3D modeling by means of appropriate software so that the data could be used in reproducing a measured drawing. The purpose of doing so is to reduce an range of error by comparing the implemented data built in the system to the manually measured data. For roof section where is hard to perform manual measurement, 3D scanned data were used as basic data so as to make sure high efficiency, accuracy and precision in measurement. In precision survey for Dancheong, scientific equipment such as infrared camera and precision 3D scanner were used to clearly identify Dancheong patterns that were not able to be distinguished with bare eyes. With use of the equipment, peeling and flaking or blurred pattern due to polluted material could be checked more accurately so that original patterns of Dancheong could be found in the simulation drawing. For the lack of statue of dragon head in Chungryang (vertical girder) which would be hard to reproduce on two-dimensional plane, 3D scanning was used to acquire digital copy data which is identical to the physical shape. However, for preserving the present records and documents over a long period, there are obstacles and limitations such as copyright issues and lack of system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distributed storage and integrated structure of digital data management. These issues could lead to a problem of existence of duplicate records along with lack of accumulation of the records.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o stipulate regulation that requires to register records and documents into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total information system. The regulation would be specifying detailed actions that should be taken for achieving systematic and concrete management of digital documentation. Furthermore, it could be a stepping stone of establishing an integrated storage system for digital records and documents making use of an existing system. Digital documents for cultural heritage acquired in these ways would be precise and accurate simulated data necessary for long-term conservation. It could be a critical data for recovering an original shape of Jungakdan in the future that can be used in case when appearance distortion occurs to Jungakdan. It could also be widely used in digital restoration, damage diagnosis and structure stability evaluation. Making regulation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anagement of digital documents could promote the reuse of documents and the persistent accumulation of documents.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at digital documentation would raise its value by being used as a mean of restoration to its original form of cultural heritages. 오랜 역사 속에서 재난을 견디어 오늘날까지 전승된 우리의 문화유산은 원래의 모습으로 보존되어야 그 진정한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한 번 손상된 문화유산은 원상태로 돌이킬 수 없다. 최근 파괴와 훼손을 피하지 못해 손상된 많은 문화유산이 최대한 원상태를 회복하려는 노력 속에, 복구 및 복원 과정을 거치면서 문화유산에 대한 디지털 기록화의 중요성 인식과 과학적 장비와 기술을 활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정밀실측조사, 과학적 분석, 보존 및 복원 등 폭넓은 분야에 디지털 기술과 기록화 과정이 크게 기여하고 있다. 계룡산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국가에서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영산으로 조선 초기 국도의 천도공사가 진행되기도 하였던 지리적으로 중요한 곳이었다. 이곳 계룡산 남쪽에 신원사와 인접하여 있는 계룡산 중악단은 호국신인 계룡산신에게 국가에서 제사를 지내던 현존하는 유일한 단묘건축물로 건축적,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현재 계룡산 중악단에 대한 문화유산 디지털 기록화의 일환으로 정밀실측조사와 함께 최근에 단청정밀조사와 단청의 문양모사가 이루어진 목조건축 문화유산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계룡산 중악단의 디지털 기록화 연구는 문화유산에서 기록의 중요성 인식과 함께 기록의 정밀성, 정확성 및 영구보존의 필요성에 대한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계룡산 중악단의 디지털 기록의 조사방법과 과학적 장비의 종류별 활용방법, 분석 결과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기록 보존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디지털 기록의 관리 및 활용과 영구보존에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정밀실측조사에서는 수실측과 함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GPS측량, 광파측량, 광대역 3D 스캔의 장비실측을 병행하였다. 이 중에서 중악단 건축물 실측에 사용한 3D 스캔은 중악단 전체 영역 조사와 건물 외형과 건물별 위치를 확인하는 용도에 활용되었다.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를 항목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D 모델링은 물론 CAD 모델링으로 실측도면 작성에 활용하였다. 이는 구축한 데이터와 수실측 자료를 비교하여 오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수실측이 어려운 지붕부 실측에서는 3D 스캔자료를 기본 자료로 사용하여 실측조사의 효율성 및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단청정밀조사에서 적외선카메라 및 정밀 3D 스캐너의 과학적 장비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던 단청문양의 흔적을 고증하고 채색층의 박리·박락과 퇴락 및 오염물 등에 의해 희미하게 보이는 문양을 보다 뚜렷하게 기록할 수 있게 하여 단청문양모사도의 원형 문양을 찾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2D 평면인 모사도로 제작하기 어려운 충량의 용머리 조각물 부재는 3D 스캔을 활용하여 실물 형상의 원형과 같은 디지털 복제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현재 기록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기록의 저작권 문제와 기록의 분산 보관 및 통합관리 체계에 대한 시스템 부재의 한계성을 갖고 있다. 이것은 기록의 활용과 누적화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록이 중복되는 현상 등이 생겨난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문화재수리종합정보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기록 등록을 의무화하는 규정 마련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디지털 기록의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세부적인 방안으로 볼 수 있으며, 기존의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기록의 통합 보존 시스템 마련을 현실화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확보한 문화유산의 디지털 기록은 장기적으로 보존관리에 필요한 정밀하고 정확한 실측 모사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향후 중악단의 형태 변형 및 원형복원에 대한 근거자료 및 디지털복원, 손상도 진단 및 구조 안정성 평가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이다. 그리고 디지털 기록의 통합관리 법제화 마련은 기록의 재활용에 사용되고, 기록의 지속적인 누적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유산의 복원 실측자료 제시로 디지털 기록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철도문화유산 보존의 체계적 관리방안 연구 : 철도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최은미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근대 이후 대한민국의 성장과 희로애락을 함께 해 온 철도는 대한민국의 근대유산, 산업유산으로서 기억되고 보존되어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최근 철도문화유산 보존을 위해 문화재청을 필두로 철도운영기관, 지자체 등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제도적, 운영적 한계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철도문화유산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의 철도문화유산 보존의 특징과 제도의 장‧단점을 살펴봤다. 연구대상은 180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생성된 철도문화유산 중 제도로 보존되고 있는 지정문화재, 등록문화재, 한국철도공사의 철도문화재로 하고, 이에 대한 유형별, 시대별, 소유자별 특징을 분석했다. 특히, 오래전부터 철도유물의 보존 역할을 수행해 온 철도박물관이 유물을 어떻게 수집하고 보존해 왔는지 규명함으로써 철도박물관이 갖는 기능적 특징과 한계점을 도출했다. 또한, 민‧관을 통틀어 철도문화유산 보존에 적극적인 영국, 일본의 사례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했으며, 국내에서도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공립 박물관의 사례 조사 및 비교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했다. 위의 조사‧분석을 토대로 현재 철도문화유산 보존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보존 제도의 실행력 강화와 철도박물관의 고유 기능 활성화, 유관 기관의 협력체계 구축 측면에서 연구함으로써, 더욱 폭넓은 철도문화유산이 체계적으로 보존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Since the modern age, the railroad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Korea and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that must be remembered and preserved as a modern and industrial heritage of the country. In recent years, the Ministry of Cultural Affairs has been making efforts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railways, and local governments, including the Ministry of Cultural Affairs, but it has not been revitalized due to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limita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preservation of the railway heritage and to suggest effective measures for its systematic management. To this end, we examined the features of preserving Korea's railway heritage and the pros and cons of the system.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heritage), and railway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Railroad Corporation. We hav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period, and owner. In particular, the railway museum, which has played a role in preserving railway relics for a long time, has revealed the functional features and limitations of the railway museum by identifying how it has been collected and preserved. In addition, the private museum also identified the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in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hich are active in preserving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Through case studies and comparisons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hat are systematically operated in Korea, the aim was to provide more objectiv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bove survey and analysis, the problem of preservation of the current railway cultural heritage was identified,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were made to strengthen the practicality of the conservation system, revitalize the unique functions of the railway museum,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ooperative system of related institutions, provided systematic management measures for the preservation of a wide range of railway cultural heritage without incurring in loss.

      •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문화유산관광 발전방향 연구 : 백제역사유적지구 부여를 중심으로

        박지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문화유산관광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문화유산관광이 활성화될수록 지역은 경제적 성장과 관광 기반시설의 정비로 인해 지역 생활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세계유산의 보호에 관한 인식 부족과 무분별한 관광 개발은 세계유산의 지속가능성에 위협을 가져오게 되었고, 관광과 세계유산의 보존관리는 대립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그러나 점차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활용의 측면에서 문화유산관광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관광과 관리의 상호 협력적인 관계들을 주목하게 되었다.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문화유산관광의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세계유산의 보존관리에 영향을 주는 주요 국제 협약 및 권고 사항의 내용을 살펴보고 방향성을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의 문화재 보호 및 활용과 관련한 법령과 계획들을 살펴보고 방향성을 정리하였다. 주요 방향성 들이 실제로 국내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부여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계획에 드러나 있는 정책 방향성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먼저 부여의 개발 정책의 방향성은 전반적으로 세계유산의 문화유산관광 방향성과 같은 맥락을 보였다. 그러나 각각의 세부 관광 현황에서 문제점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파악한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부여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문화유산관광 발전 방향을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접근성 강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를 장려해야 한다. 주변 지역과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낮은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부여의 주변 백제 문화권 지역과의 교통 연계성 향상을 위해 고속버스 연결 증대 및 백제 문화권의 교통권 단일화, 충청도 주요 거점 도시와의 교통 연계를 통한 관광 코스 개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지역의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생활권역의 관광 자원화를 통한 지역주민의 주체성 및 경제성을 향상해야 한다. 관광객 증가가 지역 내 소비로 연결되지 않는 점과 지역의 문화유산관광 상품화 개발에 대한 주민의 참여도 및 인식 변화를 위한 교육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제 문화 상품 개발과 연관 산업 육성, 경관 개선 사업 등의 필요성을 주민들에게 교육하여 의식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하며 지자체는 제도적·경제적 지원에 대한 정책적 보조를 추가해야 한다. 셋째, 세계유산의 인지도 향상으로 관광객을 증가시켜야 한다. 부여 내 세계유산의 낮은 관광객 유입 효과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편의시설 및 홍보의 부족 문제가 있다. 이에 부여의 세계적 인지도 향상을 위한 국제 행사 유치 등을 통한 홍보 방법과 적극적인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편의시설 정비와 해외 마케팅 개선에 대해 노력해야 한다. 넷째, 세계유산의 보호 및 정비를 통한 환경 영향을 감소시켜야 한다. 고도 보존 계획으로 경관 개선 사업 및 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보수 및 복원은 자칫 세계유산의 훼손을 가져올 수 있지만, 유산의 가치에 초점을 맞춘 고증을 통한 복원 및 정비는 세계유산의 진정성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보수 및 복원 작업을 통해 관광객들로 하여금 부여의 세계유산 도시로서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에 대한 진정성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섯째, 온라인 마케팅 및 디지털 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부여는 소극적인 홍보 프로그램과 온라인 콘텐츠의 다양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와 부여의 역사·문화적 즐길 거리를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관광지로 꼽힐 수 있도록 관광 프로그램 구축과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This dissertation presents development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planning for sustainability of World Heritage. As the tourism of cultural heritage became active, local environment was ameliorat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improvement of tourism infrastructure. However, th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protection of the World Heritage and the unreasonable development of tourism posed a threat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World Heritage, an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had stuck to a confrontational attitude.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comes to the fore in terms of the sustainable use of the World Heritage and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 of tourism and management is focused on. To seek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as a method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it summarizes the direction of major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affecting conservation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sites. In addition, it explores laws and plans related to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examine how the main directions are actually applied in Korea, it analyzes directions of policy and discerns problems in the development plan centered on Baekje Historical Remains District.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policy of Buyeo show generally analogous aspect as th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of World Heritage. However, the problems discover in each detail of the tourism situation. Focused on identified issues, the following ar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First, it should encourage local revitalization through enhanced accessibility of the area. The accessibility of the area should be strengthen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high-speed bus connections, unifying the traffic rights of the Baekje culture area, and developing tourism courses through traffic links with urban centers of Chungcheong-do for low accessibility and traffic connection with public transport in the surrounding area. Second, local residents' identity and economic efficiency should be improved through tourism resources of living area. To address the lack of education for residents' participation, change in awareness of tourism development in the regio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s not connected to consumption in the region, It should be able to change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by educating the residents about the necessity of Baekje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related industry fostering, and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Local governments should add policy support for institutional and economic support.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by increasing awareness of World Heritage. The lower tourist influx of World Heritage in Buyeo has the problem of the lack of amenities and promotions for foreign tourists with effect. It should strive to promote publicity through pushful international events to raise awareness of global issues, to improve facilities for active foreign tourists and improve overseas marketing. Fourth, the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World Heritage should be reduced. It is carrying out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and maintenance work with high conservation plan. Repair and restoration can bring about destruction of the world heritage, but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hrough the high tide focusing on the value of the heritage can help maintain the authenticity of the world heritage. It should give tourists a sense of authenticity about historical values and cultural values as the World Heritage city of Buyeo. Last, it should establish tourism programs through online marketing and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Buyeo was found to be a problem because of the lack of diversity of publicity programs and online contents. thu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tourism program construction and services so that it can be considered as a tourist attraction to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online contents that can enjoy active publicity utilizing the online platform and historical and cultural enjoyment of Buyeo.

      • 한국 기록문화유산 정보시각화 연구 방안 : 천문류초, 천상열차분야지도 중심으로

        정환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 written cultural heritage is a meaningful resource to enlighten the identity of people of the past, for its ability to describe in great detail. In twenty first century which is said to be the age of culture, the culture is considered to be a country’s competence itself. Under this circumstance, the written cultural heritage of Korea places itself as a source of creativity. To make the present communicate with the past through written cultural heritage, its digitalization is crucial, but digitalization cannot catch up its demand. We can think of two difficulties from which its retard originates. Firstly, it is the difficulty of translation which originates from ancient Chinese alphabet. Secondly, it is the difficulty of its organization as a visual object. The writer attempts to propose an idea on appropriate process of digitalization of written cultural heritage. In researching proper digitalization process, this thesis selected astronomy as its object of visualization of digital content. Because in ancient times, astronomy had a close link in everyday life of people, work of a king, and essential concern of intellectual who led public opinion. Among historic resources on astronomy, the writer selects Chonmunryucho and Chonsangyeolchabunyajido as objects of digitalization, because these two texts contain in themselves an enormous amount of astronomic knowledge of East Asia. Following is the process of research. First, the process begins by an analytic comparison of two texts, followed by data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The raw data from these texts, through data organization, will be constructed as a database. Finally, this writer will attempt to establish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through which the database undergoes visual mapping and transforms into a visual form. Based on this process, this thesis aims to propose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for today’s people to gain easier access to the astronomic information transcended from these two texts. Through the process mentioned above, the writer developed a prototypical design of a digital content which is actually served on website. Furthermore, the service of this content can be realized in different forms and can be re-designed for a connected service with other systems. The texts of written cultural heritage developed prior to these two texts mentioned in this thesis, for example, Chosunwangjo Silok, Seungjungwon Ilgi, Goryosa, Samguksagi do not offer astronomic information more than the names of constellations, thus one cannot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of different constellations. Moreover, sometimes these texts offer false information. The digital content mentioned in this thesis can help to solve these problems. In technical side, the database can be used through information organization. In service side, the use of the resul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enables users to acquire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n ancient astronomy. Furthermore, this content enables users the identify how many times these constellations had been notified and recorded, and how their interpretation differs through the ages. Besides, the astronomic written cultural heritage can be used as an archetypical source for storytelling. Meanings and stories of stars can be used as sources for storytelling sources.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astronomic written cultural heritage as digital contents through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makes a good match with the basic principle of One Source-Multi Use. Moreover, its development can help in creating various and practical methods in developing various contents. 기록문화유산은 과거의 모습에 대해 세밀하게 묘사함으로써 당시 사람들의 정체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과거와 현재 사이의 문화 간극을 잇는 가교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이다. 문화가 곧 국가경쟁력인 오늘날의 현실에서 한국의 전통 기록문화유산은 문화콘텐츠의 창조적 원천이 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하고 방대한 기록문화유산은 다른 전통문화 소재에 비해 디지털 콘텐츠화가 미비한 상태에 놓여있다. 이는 한문텍스트가 지닌 번역이라는 원천적 한계와, 그것이 시각적 대상물로 구성하기 어렵다는 점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digitalize화를 시도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본 논문은 국내에 산재한 다양한 자료들 가운데 천문기록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디지털 콘텐츠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과거 천문은 실생활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으며, 당시 사람들에게 절대적으로 중요한 주제였다. 또한 그것은 군주의 업무와도 깊이 관련되어 있었으며, 나라를 이끌어가는 지식층의 관심사이기도 했다. 특히 조선시대 천문기록문화유산 중 대표성을 지니는 두 편, ‘천문류초’와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각 별자리에 대한 설명과 방대한 동양의 천문 지식이 함축되어 있는 자료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두 기록문화유산을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연구 과정은 우선 양자를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화에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부분들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기록문화유산의 정보조직화(data organization)와 정보시각화Iinformation visualization)를 진행한다. 기록문화유산의 데이터는 조직화(organized data)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구축된다. 이어서 시각적 매핑(visual mapping)과 시각적 형태(visual form)로 만들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representation)되는 ‘기록문화유산 정보시각화‘ 프로세스를 재정립한다. 이(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두 기록문화유산을 통해 전승된 별자리 지식 정보를 현대인이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보시각화 하는 것을 이 연구의 목표로 한다. 위에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실제 웹상에서 서비스되는 디지털 콘텐츠로서 개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물은 단순한 웹서비스에 머물지 않고 다른 정보시스템과 연계 가능하다. 먼저 시스템으로 구축된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고려사, 삼국사기 등의 정보시스템에는 별자리와 관련된 정보들이 별자리명에 국한되어 있으며, 별자리들에 대한 체계와 관계를 확인 할 수가 없다. 또한 잘못된 별자리 정보를 전달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본 논문을 통해 개발된 디지털 콘텐츠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정보조직화를 통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서비스 부분에서는 별자리의 데이터를 정보시각화한 결과물을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별자리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것이다. 더불어 동일한 별자리의 기록 횟수와 별에 대한 해석을 시대별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천문기록문화유산은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근간이 되는 스토리텔링의 보고로도 활용될 수 있다. 각 별이 담고 있는 의미와 이와 관련된 이야기들은 스토리텔링 소스로 활용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기록문화유산 정보시각화’ 프로세스를 이용한 천문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 콘텐츠 구축은 원소스멀티유즈(One Source-Multi Use)라는 콘텐츠의 기본 제작 방침과도 일맥상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콘텐츠의 개발 방안이 다양하게 창출되는 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디지털 문화유산 유형 연구 : 석굴암 문화유산 원형을 중심으로

        박진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문화유산의 디지털화(化)에 따른 유형을 정의하고 이를 구분하는 것이다. 한국의 몇몇 선구적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1990년대부터 자생적인 ‘디지털 헤리티지’ 프로젝트가 시행되어 왔다. 2003년 유네스코에서 디지털 문화유산 관련 선언을 한 이후, 디지털 문화유산 분야가 점차 각광받고 있다. 지금까지 디지털 문화유산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대부분 독립적으로 진행해온 디지털 문화유산 프로젝트를 분석하는 선에 지나지 않았다. 정작 국내 디지털 문화유산의 형태 분류와 유형 분석적 측면에 대한 연구 는 매우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문화유산 유형에 대한 정립과 자리매김을 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디지털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기획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유형분류를 통해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 제작시 콘텐츠 기획상에 있어 적절한 프로세스를 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장에서는 과거 한국에서 행해진 디지털 문화유산 관련 프로젝트를 정리해보았고 이와 연관된 선행연구들을 짚어 보았다. 이런 조사 분석을 통해 그 동안 이 분야에 어떤 성과들이 있는지 먼저 살펴보았다. 제 2장에서는 문화유산과 디지털 문화유산을 각기 분리하여 정의하였고 유형을 고찰해 보았다. 제 3장에서는 지난 20년동안 한국에서 수행된 디지털 문화유산 프로젝트를 정리해 보았다. 이런 3장의 전체 사업 조망을 통해, 제 4장에서는 모든 유형분류에 있어 고른 유형이 분포하는 석굴암을 사례로 하여, 그간 국내에서 펼쳐진 석굴암 유형별 콘텐츠를 분류하고 분석해 보았다. 석굴암 콘텐츠 개발 소재에 대한 개념을 확대하고 새로운 유형분류에 대한 개념 정리를 위해 제 5장에 들어와서는 5가지 유형으로 일반론을 전개해 보았다.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마무리하고자 한다. 이번 디지털 문화유산 유형을 5가지로 세분하여 분석한 연구는 국내 디지털 문화유산 연구 분야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그 동안 미흡했던 디지털 문화유산 분야를 자리매김하는 연구에 있어, 본 5가지 유형 분류 연구는 디지털 문화유산 분야에 대한 이해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디지털 문화유산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하고자 했던 이유는 초창기부터 진행하려고 하는 디지털 문화유산의 목적에 따른 유형 자리매김을 통해 더 명확히 디지털 문화유산을 기획하고 준비하는데 기준점을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인문학(人文學)과 ICT 기술 융합을 지향하는 디지털 문화유산 프로젝트 분야에 대한 보다 명확한 자리매김과 점유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통해 일반 대중(大衆)들에게 아직까지 매우 생소한 디지털 문화유산이라는 학문분야가 무엇인가를 알릴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자 디지털 문화유산을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ICT technology, known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accelerating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to the era of digitalization. Cultural heritage is no exception. Since the ‘Digital Heritage’ project was implemented in the 1990s with the efforts of some pioneering researchers in Korea, and since UNESCO declared digital cultural heritage in 2003, attempts have been made to actively utilize digital heritage. In particular, alth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grown astonishingly, there are no notable digital heritage projects until now, and even 20 years have passed since UNESCO's declaration of digital heritage in 2003, there is still no research on digital heritage. There is little to no establishment and positioning of the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related to digital heritage has been nothing more than an analysis of digital heritage projects that have been conducted independently. In fact, the study that analyzed domestic digital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utilization model was also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nd establish the types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planning data for future digital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and guidelines for the overall digital cultural heritage can be presented through classification. First, we summarized projects related to digital cultural heritage in Korea in the past and pointed out related prior research. Afterwards, taking Seokguram, which is distributed evenly in all types of classification, as an example, the contents of Seokguram that have been spread in Kore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materials of Seokguram. In order to expand the concept of the material for development of Seokguram content and to organize the concept of a new classification, a general theory was developed into five types. This study is the first in the field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 Korea to subdivide and analyze digital cultural heritage types into five categories. In the study of positioning the field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insufficient so far, this five-type classification study will be able to further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field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the reason why I wanted to classify digital cultural heritage into five types was to set up a reference point for planning and preparing digital cultural heritage more clearly by positioning the 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that I was going to proceed from the beginning.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grasp a clearer position and occupational position in the field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which aims for the convergence of humanities and ICT technology. Ultimately, it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means to inform the public of what the academic field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is, which is still very unfamiliar, and a new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 중국 전통서원의 산업화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유교문화유산과 문화자원을 중심으로-

        황린옌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중국 전통서원은 당나라 초기에 출현되었으며 유교문화를 보급·전파하고 학술연구를 하는 문화 교육조직이다. 전통서원은 수천 년의 발전을 거쳐 독특한 서원문화를 형성했으며 오늘날에도 존재의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문화유산에 대한 분석과 문화유산 체계에서의 서원의 위치와 가치는 유네스코(UNESCO) 평가기준에 의해 종합 분석해 보면, 서원은 분명히 문화유산에 속한다. 서원의 문화유산에 포함되어 있는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은 뚜렷하게 구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합적인 문화유산이다. 문화유산은 보호를 받아야 하며 사회적으로 가치가 있고 유용한 부분들과 함께 문화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서원의 문화자원에는 비각, 건축(군), 문헌전적 등의 유형문화유산과 함께 교육제도, 유교문화 전승 등 무형문화유산을 포함하고 있어 복합적인 문화자원으로 간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원 문화자원에서 역사, 문화, 예술적 가치가 있는 부분은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사회에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중국 내 현존하는 전통서원의 전반적인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현존하는 서원의 보호 및 발전에는 종합적인 개발, 문화유산 보호단위, 현대교육장, 관광지, 기타용도 등 다섯 가지 방식이 포함된다. 극소수의 서원이 종합적으로 개발된 외에 대부분의 서원은 문화유산 보호와 문화자원의 활용에 있어서 미흡한 점과 활성화가 필요한 부분이 매우 많다. 전통서원이 현대사회에서 직면한 생존과 발전의 어려움은 지역경제의 불균형에 따른 보호의식의 부족, 통일적인 행정관리의 부족 및 서원의 전반적인 인지도가 높지 않고 사고방식의 한계로 인한 것이다. 이로써 서원의 매력이 부족하고 사회 환경의 급변에 따른 유교문화와의 단절이 발생하였다. 이런 요인들로 인해 서원의 전통적인 건물 등이 크게 훼손되고 문화정신이 제대로 전달되기 어려운 국면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서원의 보호와 전승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종합적인 문화유산의 관점에서 전통서원의 문화유산에 대한 보호는 유형문화유산의 유물보호와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및 산업화 측면에서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서원의 유형문화유산은 건물의 복원에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또한 서원의 무형문화유산은 문화정신을 전승하는 측면에서 착수하여야 한다. 그리고 양자를 함께 추진하여야만 서원의 종합적인 문화유산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서원의 문화자원에 대한 종합적인 활용의 관점에서 문화관광과 현대 유교문화교육 두개 측면에서 진행해야 한다. 서원의 경관과 문화요인을 분석하여 문화산업자원의 인자로 활용하고 현대화 방식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해야 한다. 서원문화자원의 활용은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고, 서원문화유산의 보호에 정책적 자금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서원문화자원의 활용은 사회ㆍ문화적인 효과를 갖다 줄 수 있고, 서원정신과 유교문화교육이 현대사회에 보다 잘 통합될 수 있도록 하여 서원문화정신을 전승할 수 있다. 서원은 더 이상 현대 교육체계의 일부가 아니므로 문화교육 조직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지만 현대사회에서 서원은 쓸모없는 것이 아니라 유교문화를 전파하는 서원이 현대사회의 인문교육의 활동장로서 현대교육의 내용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 5장으로 나뉘며, 제1장은 서론으로, 이 장은 문제의 계기, 연구 필요성, 연구 방법의 범위를 포괄한다. 제2장은 중국 전통서원의 문화유산과 문화자원의 개념과 종류 및 문화유산과 문화자원의 관계를 분석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 전통서원의 역사적 변천과 현재의 세계문화유산 체계에서 전통서원의 위상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문화유산으로서의 속성과 복합문화자원의 속성을 살펴볼 수 있다. 제3장은 서원의 현황, 문제점 및 형성원인, 현존하는 전통서원의 보존 상황과 문화자원의 활용 현황, 그리고 서원에 현존하는 문제점인 건물 훼손의 심각성과 인지도 저하, 매력 부재, 유교문화 사상 단절 등 네 가지 측면의 조사,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이 나타나는 원인은 보호의식 부족, 관리 분산, 발전관념 낙후 및 사회 환경이 급변한 변화기 때문이다. 제4장은 서원의 산업화 발전방형, 우선 SWOT분석법을 적용하여 서원의 우위, 열세, 기회, 위협을 분석한다. 그리고 전장서원의 문제점과 형성원인에 대해서 서원의 상업화 발전의 총체적 원칙을 제안하고 있으며, 보호우선원칙, 유교 사상계숭한 원칙, 통합적인 관리원칙, 종합적인 발전원칙이 포함된다. 앞의 두 가지 내용을 재결합하여 서원의 상업화 발전 방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건축복원방안, 문물에 대한 활용방안, 학술교류방안, 국학교육방안, 문화관광방안, 매스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제5장은 결론 부분이며, 서원의 종합적인 문화유산 보호와 문화자원 활용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첫째로, 현존하는 전통서원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발전시키는 사고방식으로 문화산업계의 규범을 촉진시키고, 둘째로, 서원이 고대 교육제도의 살아있는 화석이 되는 것은 물론 현대사회의 교육시스템에서도 중국의 전통서원의 위치와 민족적 자긍심을 찾아 새로운 생명력을 발휘하도록 하고자 한다. 중국 전통 서원의 산업화 발전 방향의 연구와 함께, 앞으로 다양한 민족 전통 문화의 산업화와 문화자원의 인자를 발굴하여 미래를 위한 새로운 발전 방향이 모색되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 연구 : 소수서원과 월봉서원 비교 관점에서

        전준산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Policies related to Confucian Academy have so far focused 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rojects. Without considering the original functions of the Confucian Academy or its modern utilizations, the building was left unattended due to poor managemen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fucian Academies which utilize the Confucian schools by region and conducts education and experience in new ways based on the idea of nationwide ​​service for the people.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started the Liv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since 2008, and has been running traditional culture, cultural experiences of scholars and Confucian education programs using Confucian Academies and Schools through the project to Create a living, breathing Confucian Academy and School since 2013. Through this, historical value and meaning of cultural assets are created, and experience, tourism, culture, and tourism industries are induced. This study found that 9 ite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and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after evaluating 17 questionnaires about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in terms of creation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and facility status, special program operation status, events and tourist acceptance posture in order to activate modern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questionnaires centered on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and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Confucian Academy has the adequate capacity of the parking lot and convenient facilities in case of many tourists’ visits while preserving its original shape’, 'Tourists can visit Confucian Academy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buses, etc.) conveniently’, These two items were higher in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than in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in the difference between. 'I am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educational events and festivals run by Confucian Academy', ‘Classical scholar experience program featuring histories and stories related to Scholars(persons) whom Confucian Academy produces is being run and it is interesting and novel,’ ‘Confucian Academy is operating tourism experience programs for the tourists using food ingredients cultivated in the village near Confucian Academy,’ ‘Confucian Academy operates children programs to make not only personality but also Confucian culture familiar,’ ‘Confucian Academy operates programs for the foreigners,’ ‘Confucian Academy has the information signboard which is a harmonious combination of Confucian Academy’s nature and modern design,’ ‘Confucian Academy builds and operates home pages to promote general facilities, programs, and historical data.’ These seven items were higher in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than in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for analyz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of the two Confucian Academies'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are classified into 3 factors: 6 items of capacity, 4 items of uniqueness and event capability, 3 items of target program. Besid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 of two Confucian Academies showed that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was superior in some items of capacity and uniqueness, and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was generally superior in terms of capacity, event capability, and program operation by target. Based on this, it was proposed to create of 'Korea theme park' as a sustainable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plan for two Confucian Academies, to establish the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Stay " facility, to develop and operate the specialized programs with the latest IT technology, to strengthen cultural tourism and promotion in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of Confucian Academy, to operate the master and doctoral courses, to strengthen exchanges with China, to establish private-public cooperation system an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middle and long term. Finally, Confucian Academy is supporting the improvement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in order to make tourist culture resources of Confucian traditional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Tourism Promotion Development Fund Act. In addition, the local council ordinance of the two Confucian Academies is being operated on the basis of simple facility management, so Confucian Academy, a spirit of cultural and educational heritage, must function for modern society and become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and tourism resource. Keywords :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Cultural Heritage, Tourism Resources,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서원과 관련된 정책들은 현재까지 보존과 복원사업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서원의 본래 기능이나 현대적 활용을 감안하지 못한 채 건물만 복원한 경우에는 관리 부실로 인해 폐가처럼 방치되기 쉬웠다. 최근에는 ‘대국민 서비스’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지역별로 서원을 활용하며, 새로운 방식으로 교육과 체험을 실시하는 서원이 증가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08년부터 생생 문화재 활용 사업을 시작했으며, 2013년부터 ‘살아 숨 쉬는 서원·향교 만들기 사업’으로 향교·서원을 활용한 전통문화 및 선비문화 체험, 유교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왔다. 이를 통해 문화재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창출하고, 체험·관광·문화·관광산업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수서원과 월봉서원을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문화유산인 서원의 현대적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관광자원화 환경조성 및 시설 현황, 특화된 프로그램 운영 현황, 이벤트, 관광객 수용 태세 등의 측면에서 관광자원화 현황 총 17개 설문 항목을 평가한 결과, 9개 항목에서 소수서원과 월봉서원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원은 원형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경우 주차장, 편의시설 등 수용능력이 적당하다’ ‘서원은 관광객이 편리하게 대중교통(버스 등)을 이용하여 방문할 수 있다’ 등 2개 항목은 두 서원 간 차이에서 월봉서원보다 소수서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서원이 운영하는 체험·교육형 이벤트·축제에 만족한다’ ‘서원이 배향하고 있는 선비(인물)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 등을 담은 선비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재미있고 참신하다’ ‘서원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서원 주변 마을에서 재배하는 음식 재료를 활용한 관광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서원은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인성뿐 아니라 유교 문화를 친숙하게 만든다’ ‘서원은 외국인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서원은 안내 간판이 서원 성격과 현대 디자인이 서로 조화롭게 설치되어 있다’ ‘서원은 전반적인 시설 및 프로그램, 역사적 현황 자료 등 홍보를 위한 홈페이지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등 7개 항목은 두 서원 간 차이에서 소수서원보다 월봉서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두 서원의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의 평가항목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한 요인분석 결과는 6개 항목의 수용 태세, 4개 항목의 고유성 및 이벤트 역량, 3개 항목의 대상별 프로그램 운영 등 세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두 서원의 현장 방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통해 소수서원은 수용태세, 고유성 요인의 일부 항목에서 우위를 보였고, 월봉서원은 수용태세, 이벤트 역량, 대상별 프로그램 운영 요인 등에서 전체적으로 우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두 서원의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으로 소수서원 ‘한국테마파크’ 조성 및 월봉서원 ‘서원스테이’ 시설 구축, 최신 IT 기술 접목한 교육·체험하는 특화된 프로그램 개발·운영, 서원 주변과 연계한 문화관광 및 홍보 강화, 서원 관련 석·박사 과정 운영 및 중국과의 교류 강화, 민관 협력체계 구축, 서원의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을 제안했다. 끝으로, 서원은 관광진흥개발기금법에 따라 유교전통문화를 관광자원화하기 위해 시설 개·보수를 지원하고 있으나, 지속가능한 서원의 관광자원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지원하는 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또한 두 서원의 지자체 조례는 단순 시설·관리 차원에서 운영하고 있어, 정신문화유산이자 교육문화유산인 서원이 현대사회에 맞게 기능하고 지역문화발전과 관광자원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주요어: 소수서원(Sosuseowon Confucian Academy), 월봉서원(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관광자원(Tourism Resources), 문화재 활용(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