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A) correlational study between idiopathic scoliosis angle and axial trunk rotation in the 20s and the muscle activity in the movement

        한종민 Namseoul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1951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d muscle activity between idiopathic scoliosis angle and axial trunk rotation to use as a basis for mediating patients with scoliosis. The axial trunk rotation and muscle activity were measured among a total of 40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scoliosis group with scoliosis angle of at least 10° and (n=20) and normal group with scoliosis angle less than 10° (n=2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ngle values when compar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values of the axial trunk rotation in the two groups for the axial trunk rotation of the normal and the scolio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values when rotating the trunk axis between the two groups of normal and scoliosis. When rotating the trunk axis between two groups of normal and scolios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and right values of muscle activity was sh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coliosis angle and axial trunk rotation of subjects with light scoliosis within the range of no pain. However, within the range of no pain, when the axial trunk is rotated there is no significant limitation. therefo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exercise program including axial trunk rotation will help to improve subject's quality of life. Future experiment should investigate with systemic management. Also, we ne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the exercise and participants. Key Words(Guide word)Idiopathic scoliosis, Scoliosis Angle, Axial Trunk Rotation, Muscle 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의 각도와 몸통 축 회전 각도와의 상관관계와 근 활성도를 관찰하여 척추 옆굽음증 환자를 중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척추 옆굽음 각도 10° 이상 척추 옆굽음증 군 20명, 10° 미만 정상군 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몸통 축 회전과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정상군과 척추 옆굽음증군의 몸통 축 회전 시의 두 그룹 내 몸통 좌, 우 회전 각도 값을 비교하였을 때 두 각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상군과 척추 옆굽음증군의 몸통 축 회전 시의 두 그룹 간 좌, 우 회전 각도 값을 비교하였을 때 두 각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상군과 척추 옆굽음증군의 몸통 축 회전 시의 근 활성도의 좌, 우 값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에 따르면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의 경도의 척추 옆굽음증 각도와 몸통 축 회전 각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몸통 축 회전 시 각도에 큰 제한이 없으므로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몸통 축 회전 동작이 들어가는 신체활동을 이용하여 운동시킴으로써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주제어(키워드, 색인어) Idiopathic scoliosis, Scoliosis Angle, Axial Trunk Rotation, Muscle Activity

      • Correlation between equipment analysis values and reexamination of smear samples in complete blood cell

        박중현 Namseoul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1951

        In the clinical laboratory, if abnormal white blood cells are suspected in the automatic blood cell analyzer, the flag is displayed and the technique is performed. Therefore, the technique for all specimens is difficult in reality to detect Immature cells or Abnormal cells. However, in the automatic blood analyzer, the sensitivity control of the flag is error in false negative and false positive samples, and the samples of specific diseases including the normal samples are also found to efficiently select and classify white blood cells. In this study, there is no collection of human origin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test rate and the total blood counting test result is analyzed as the result of the general blood test commissioned to the eone test center from 2017 to 2018 with 102 sampl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was 13,300/μ_L, higher than normal. Cells corresponding to Neutrophil or Lymphocyte were reported as Immature cells or band neutrophils.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st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blood analysis equipment and the results of the white blood cell differential calculation obtained through the manual. In the group analysis between these two groups, Neutrophil (P<0.001) and Lymphocyte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automation equipment and each white blood cell derived by handwriting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Neutrophil (r=0.904), Eosinophil (r=0.994), and Lymphocyte (r=0.925). The results of the techniqu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with differences in Leukocyte numbers: Neutrophil (P<0.001) and Lymphocyte (P<0.001) and Monocyte (P<0.05). After the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mature cell result value and the automat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Neutrophi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and, Metamyelocyte and positive correlation, blast and Atypical lymphocyte. Lymphocyt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nd neutrophil, Metamyelocyte and negative correlation, and Atypical lymphocyte. Monocyt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last. Basophi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Myelocyte and Atypical lymphocyte. This is presumed to be a result of the reports in the automation equipment, which may lead to errors in correlated cell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point by performing some samples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the retrospective part and the normal/abnormal sample. In conclusion, using flagging systems or scatters used in each laboratory to help quantitative reduction of the techniqu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best results that can be trusted by using abnormal samples as a hand technique by refer to the Leukocyte discrimination pattern of the results of the complete blood counts. Keyword Automated hematology analysers, Complete blood count, Correlation, Leukocyte differential count. 임상검사실에서는 자동 혈구분석기에서 비정상 백혈구가 의심되면 flag가 표시되어 수기법을 수행한다. 이에 미성숙 세포나 비정상 세포를 검출하기 위해 모든 검체에 대해 수기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면이 있다. 그러나 자동혈액 분석기에서 flag의 감도 조절이 위음성과 위양성의 검체에서 오류를 보여 정상 검체를 포함한 특정 질환의 검체에서도 효율적으로 백혈구를 선별하고 분류하는 검사법을 찾고 자동혈액 분석기가 갖는 백혈구 감별 계산의 오류 패턴과 정확도를 위해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유래물의 수집은 없고 최근 2017년부터 2018년까지 통상적으로 이원검사센터에 의뢰된 일반 혈액검사들 중에서 재검 수치에 해당하는 102개의 샘플 결괏값으로 재검률과 전 혈구산정검사 결괏값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총 102개의 분석한 결과는 평균 백혈구의 수는 13,300/103 μL로 정상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호중구나 림프구에 해당하는 세포가 미성숙한 세포나 band 호중구로 보고되었다. 혈액분석 장비를 통해 얻은 검사결과와 수기법을 통해 얻은 백혈구 감별 계산 결괏값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이 두 그룹 간의 집단 분석에서 호중구 (P<0.001)과 림프구 (P<0.01), 호염구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자동화 장비와 수기법으로 도출된 각 백혈구 세포에 대한 상관계수를 조사한 결과, 호중구 (r=0.904), 호염구 (r=0.994), 림프구 (r=0.925)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수기법을 통해 수행한 결과에서는 호중구 (P<0.001)와 림프구 (P<0.001), 단구 (P<0.05)이 백혈구 수의 차이를 보이는 집단 간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검사 후 미성숙 세포 결괏값과 자동화 분석 결괏값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호중구는 band 호중구, 후골수구와 양의 상관성, blast와 비정형 림프구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림프구는 band 호중구, 후골수구와 음의 상관성, 비정형 림프구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단구는 blast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호염구는 골수구와 비정형 림프구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는 자동화 장비에서 보고된 결과 때문에 상관성이 있는 세포로 오류가 유발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는 일부의 검체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한 부분과 정상/비정상 검체의 구분 없이 수행하여 제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이에 각 검사실마다 활용하는 flagging system이나 scatter를 활용해 수기법의 양적 감소를 돕지만 혈구산정검사의 결과의 백혈구 감별 패턴을 참고하여 비정상적인 검체를 수기법으로 활용한다면 신뢰할 수 있는 최적의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백혈구 감별 계산, 상관성, 자동 혈구분석기, 전 혈구산정검사

      •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o the mannose-binding protein of acanthamoeba culbertsoni

        강아영 Namseoul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31951

        Acanthamoeba culbertsoni is the causative agents of chronic 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 (GAE), a condition that predominantly occurs in immunocompromised individuals. A. culbertsoni causes GAE by triggering necrosis of cell, as it causes cytopathic effects on target cell, such as contraction, vesiculation and nuclear condensation. Considering the pathogenicity and a fast destruction of the amoeba, it is reported that,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occurrence of encephalomeningitis, a mannose has the most important interaction with host cell among the polysaccharides. Above all, a mannose-binding protein (MBP) plays a significant role before the nascent stage of infection by mediating host cell adhesion with Acanthamoeb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duce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MBP using a cell fusion technique and to characterize them. MBP gene has not been reported yet and thus MBP was only purified using a column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purified MBP was observed with a band of approximate 83 kDa MW. DG11, a monoclonal antibody clone produced from the technique showed about 4.0 absorbance to MBP, which was higher about 18-times than a normal sera. DG11 was shown to have IgM of kappa chains. When A. culbertsoni moved forward, its MBP was concentrated into the direction of its movement. It implies that MBP concentrated in the movement would be associated with the adhesion of the amoeba to a host cell, leading to amoebial cytotoxicity. DG11 has been confirmed with specificity to A. culbertsoni MBP as compared with several protozoa, e.g., A. castellanii, A. polyphaga, Naegleria fowleri. Cytotoxicity of A. culbertsoni to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was decreased about 36.8% by the DG11. The antibody will be applied into a immunoscreening, which would help to find a full coding gene from the MBP. If successful, DNA and/or protein vaccine will be used in clinics in near future. Key words Acanthamoeba, 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 Cytotoxicity, Monocloanl antibody, Mannose-binding protein, Cell fusion technique, Vaccine Acanthamoeba culbertsoni는 특히,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서 만성육아종성뇌염을 유발하는 원충이다. A. culbertsoni는 표적세포에 수축, 수포, 핵 응축과 같은 세포 변성을 일으켜 세포에 괴사를 유발함으로써 만성육아종성뇌염을 유발한다. 이 아메바의 병원성과 빠르게 파괴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볼 때 수막뇌염을 일으키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숙주세포와의 상호작용에 만노스가 여러 다당류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되었고, 그 중 최근에 발견된 만노스 결합 단백질은 Acanthamoeba 숙주세포와의 부착을 매개하여 감염의 발생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노스 결합 단백질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세포융합기술을 이용하여 생산 및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만노스 결합단백질의 유전자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으며, 이 연구에서 만노스 결합 단백질은 컬럼을 통하여 정제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정제된 만노스 결합 단백질의 분자량은 약 83 kDa 으로 관찰되었다. 세포융합 기술로 생성된 단클론 항체 DG11의 흡광도는 4.0으로 정상 혈청에 비해 약 18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동종형 분석결과 카파 사슬을 가지는 IgM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만노스 결합 단백질은 아메바가 이동하는 방향에 집중적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아메바가 세포독성을 유도하기 위한 숙주세포와의 부착 연관되는 것을 의미한다. DG11을 가지고 다른 원충류인 A. castellanii, A. polyphaga, N. fowleri와 함께 종 특이성을 확인한 결과 A. culbertsoni의 만노스 결합 단백질에만 반응하는 종 특이적인 항체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표적 세포로 chinese hamster ovary(CHO) 세포를 사용하여 A. culbertsoni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항체를 처리한 이후에 36.8% 감소를 보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만노스 결합단백질에 대한 단클론 항체는 완전한 만노스 결합 단백질 유전자를 찾기 위하여 면역 스크리닝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BP를 이용한 DNA 및 단백질 백신은 가까운 미래에 진료와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Acanthamoeba, 만성육아종성뇌염, 세포독성, 단클론 항체, 만노스 결합 단백질, 세포융합기술, 백신

      • Spatial information extraction with CNN-based semantic segmentation of remote sensing data

        이은규 Namseoul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31951

        매년 농업 통계 조사는 토지 자원의 확보와 활용, 작물의 생산계획 수립, 농산물의 기초가되는 곡물 수급계획 수립 등 농업 정책 이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농촌 조사를 실시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농업 통계를 조사 방법은 표본 조사를 기본으로 원거리에 산재해 있는 표본 조사구를 직접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한편, 미국, EU, 중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지역 통계 조사, 작물 예측 분석 등 농업 통계를 위한 원격 탐사 자료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있습니다. 원격 탐사를 물리적인 접촉 없이 정보를 얻는 과학입니다. 멀리 떨어진 물체에서 방출되거나 반사되는 여러 파장의 방사를 탐지하고 측정하여 등급 또는 유형, 재료 및 공간 분포에 따라 물체를 식별 및 분류 할 수 있습니다. 합성 개구 레이더나 광학 데이터 같은 원격 탐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표면 측정 및 매핑과 지구의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원격 탐사 데이터는 지도 제작, 도시 계획, 재난 복구, 부동산의 경제적 사회적 추세 분석, 군사 정보 및 기후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 재배 면적과 같은 공간정보를 추정하는 것은 쌀의 생산량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쌀이 주식인 한국에서는 식량 주권과 관련되기 때문에 쌀 생산을 이해하고 관련 정책을 이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존의 공간 정보를 추정 방법은 육안 판독, 식생 지수를 이용한 시계열 분석, 기계학습을 이용 하였다. 그러나 육안판독 방법은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지만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됩니다. 식생지수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시계열로 구름의 영향이 없는 깨끗한 영상을 확보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기계 학습을 이용한 방법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특징을 추출해야하며, 특징이 계절마다 바뀌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최근 도로탐지, 건물 탐지 등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시멘틱 세그멘테이션을 원격 탐사 데이터에 적용하고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미지의 시멘틱 세그멘테이션은 픽셀 단위의 고밀도 분류를 얻기 위해 입력 이미지의 각 픽셀을 의미론적 클래스로 할당하는 것입니다. 시멘틱 세그멘테이션은 이미지에 무엇이 있는지를 식별 할뿐만 아니라 그것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정확히 알수 있습니다. 단순한 이미지 분류보다는 세그멘테이션의 경우 데이터의 공간 해상도를 알고있는 원격 감지 데이터를 사용하면 분류된 정보를 실제 지도에 매핑 할 수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CNN 기반의 의미 론적 세분화를 이용하여 원격 탐사 자료로부터 공간 정보를 추정하는 시스템을 제안합니다. 위성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정사 및 방사보정이 이루어 지며, 위성 이미지는 가시밴드를 포함한 다중 스펙트럼 밴드 이미지 입니다. 먼저 트레이닝을 위해서 라벨링 작업은 가시밴드를 육안 판독하여 이뤄지며, 육안 판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항공사진을 참고하거나 일부 현장 조사 합니다. 라벨링 작업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라벨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적은 양의 데이터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U-Net 모델을 사용하였습니다. 학습할 때 학습 데이터의 크기, 데이터 전처리 및 모델 파라미터 설정은 학습 정확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높은 정확도를 얻기 위한 이미지의 전처리 과정과 모델의 하이퍼 파라미터들을 제안합니다. 핵심단어: 원격탐사 데이터, 의미론적 세분화, 공간정보 추정, 컨볼루션 신경망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agricultural policy implementation such as securing and utilizing land resources, establishing crop production plan, and establish- ing grain supply and demand plan, which is the found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the country conducts agricultural area survey every year. The field survey method, which is a general agricultural statistics survey method, requires a lot of time and expense because it requires a direct visit to a specimen spot scattered over a long distance. On the other hand,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EU, and China, research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utilize remote sensing data for production of agricultural statistics such as area survey, and crop prediction analysis. Remote sensing is a science of getting information without physical contact and this process can be identified and categorized by rating or type, material and spatial distribu- tion by detecting and measuring radiation of multiple wavelengths reflected or emitted from distant materials or objects. By using remote sensing data e.g. synthetic-aperture radar data, infrared data from satellites, we can obtain supplemented surface and sub- surface measurements and mapping, Earth’s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systems. Moreover, if spatial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remote sensing data, it can be used in many fields ranging from cartography, urban planning, disaster relief, real estate man- agement to econometric/social trend analysis, military intelligence and climate studi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agriculture, the estimation of spatial information such as paddy field area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related to rice production. In Korea, where rice is a stock,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ice production and to implement policies related to it, because it relates to the food sovereignty. Conventional estimation methods of spatial information have used visual inspection, machine learning, and time series analysis using vegetation index. However, the visual inspection technique has high accuracy but requires time and effort by people. And the method using the machine learning is troublesome to extract the feature by the expert and the visible band of the remote sensing data is difficult to obtain in the time series of clean data due to the cloud effect. When the spatial information is estimated by utilizing the high resolution remote sensing data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5 m or less, Since the algorithm is divided into fine differences with neighboring pixels, it may be classified into misclassified pixels, and the result may be expressed as if there is noise. Therefore, the land cover extraction technique of high resolution remote sensing data mainly depends on the visual reading. Recently, many researches have investigated spatial information estimation e.g. road detec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with semantic segmentation. Semantic Segmentation of an image is to assign each pixel in the input image a semantic class in order to get a pixel-wise dense classification. it not only identifies what is in the image but also knows exactly where it is located. In the case of segmentation rather than simple image classification, meaningful information can be mapped to real areas by using remote sensing data that knows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data. For this reason, semantic segmentation allows us to know not only the presence of meaningful information in an image, but also its form and siz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estimates spatial information from remote sensing data using CNN based semantic segmentation. And It includes a preprocessing process to utilize remote data as learning data and a parameter tuning method of u-net model. When a satellite image is input, it performs radiating correction and geometry correction. At this time, the image is a multi-band image including visible band (RGB). The input image is subjected to labeling through visual inspection of meaningful infor- mation by extracting a visible band. Since labeling can not be distinguished only by satellite images, it is necessary to refer to aerial photographs or to conduct field inves- tigations. It is difficult to secure a large number of data because it is an operation that takes a lot of time and expense. Therefore, multi-band image and label image are learned in U-Net model that works with very few training images and yields more precise seg- mentations. When learning, the size of the training data, the data preprocessing, and the model parameter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learning accuracy for meaningful informa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preprocessing process and model parameter tuning to obtain high accuracy. Key word: Remote-sensing data, Semantic segmentation, Spatial information, Convo- lutional neural networks

      • (An) IoT-aided emo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multimodal biosignal data

        임재현 Namseoul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31951

        In human life, emo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nd it includes not only language that is spoken, but also non-verbal such as facial expression, gestures, biosignal data, etc. Here a biosignal denotes any electrical biosignal in living beings that can be continu- ally measured and monitored, although it may refer to both electrical and non-electrical signal. Among the best-known biosignal data, there are electroencephalogram (EEG), electrocardiogram (ECG), skin temperature (SKT), galvanic skin response (GSR), etc. Emotion recognition can be defined as a technique that a machine collects and pro- cesses various biosignal data of a human to classify his or her emotion states. As one of emotion recognition studies, a medical EEG system based on a personal computer (PC) was presented to record a dataset consisting of brain waves for the analysis of hu- man emotional states, but it has serious limitations that can not measure the brain waves in daily life. Recently, an emo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a wearable ECG device enabling heart rate variability (HRV) measurement in daily life was presented but its ac- curacy is not so good in classification for five kinds of emotion states since the features extracted only from a single biosignal data (e.g. HRV) were utilized. Therefore, we propose an Internet of Things (IoT)-aided emo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wearable IoT devices to collect the multimodal biosignal data seamlessly in daily life and a multiclass support vector machine (SVM) model with a non-linear radial basis function (RBF) kernel to classify three emotion states (e.g. disgust, fear, and sadness) more accurately through the multimodal biosignal data. As wearable IoT devices, we consider two commercialized headset and wristband to measure the multimodal biosig- nal data: the brain waves (alpha, beta, gamma, delta, and theta) data from the headset and the SKT, GSR, and heart rate (HR) data from the wristband. The architecture of the proposed IoT-aided emotion recognition system is designed by using oneM2M specifi- cations, the global standards initiative for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s and the IoT. The smartphone applications modelled as an application dedicated node- application entities (ADN-AEs) receive the multimodal biosignal data measured from two wearable IoT devices and then upload them into an oneM2M-compliant IoT plat- form modelled as an infrastructure node-common service entity (IN-CSE) through ap- plication entity-identifier (AE-ID) registration, container creation, and content-instance creation procedures. In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according to each emotion state, the uploaded data are illustrated by data visualization, summary statistics, histogram, etc. and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investigated by a scatter matrix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Based on the EDA results, we cre- ate datasets and labels by playing three movie clips representing three emotion states to thirty participants wearing the headset and wristband and design a multiclass SVM model, that is the extention of the SVM to multiclass problem, by using them. We select the one-versus-rest approach for the multiclass SVM model and find its optimal param- eters such as free parameter γ = 103 and normalization parameter C = 103 by some empirical analysis. The implement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IoT-aided emotion recognition system verified that the multimodal biosignal data were continuously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oneM2M-compliant IoT platfor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oposed mul- ticlass SVM model showed that it could achieve the average accuracy of about 98% through the cross-validation when using the feature selection for multimodal biosignal data. Key word: Emotion Recognition, Internet of Things, Biosignal, oneM2M, Support Vec- tor Machine 본 논문에서는 착용형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장치를 사용한 IoT 지원 감정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IoT 지원 감정 인식 시스템은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멀티모달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였고, 방사형 기저 함수 (Radial Basis Function, RBF) 기반 멀티 클래스 서포트 벡터 머신 (Support Vector Machine, SV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3가지(예: 혐오감, 공포, 슬픔)의 감정 상태를 분류할 수 있다. 제안한 IoT 지원 감정 인식 시스템의 아키텍처는 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및 IoT 글로벌 표준인 oneM2M 규격에 따라 설계하였다. 착용형 IoT 장치 중 헤드셋은 뇌파(알파파, 베타파, 감마파, 델타파, 세타파)를 측정하고, 손몬 밴드는 피부 온도, 피부 전도도, 그리고 심장 박동수 데이터를 측정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한다. Application dedicated node-application entity(ADN-AE)로 모델링 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두 개의 착용형 IoT 장치에서 측정한 멀티모달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등록, 컨테이너 생성, 컨텐트 인스턴스 생성 절차에 따라 infrastructure node-common service entity (IN-CSE)로 모델링 된 oneM2M IoT 플랫폼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 된 데이터는 데이터 시각화, 통계량, 히스토그램, 산점도 행렬, 그리고 선형 상호 상관관계 그래프와 같은 탐색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데이터 특성 관계를 이해하여 특성 선택을 한다. 분석 결과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셋 및 출력 데이터셋을 만들어 RBF 기반 멀티 클래스 SVM 알고리즘의 최적 매개 변수 (예: 자유 매개 변수, 정규화 매개 변수)를 모델을 만든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IoT 지원 감정 인식 시스템의 실험 결과는 멀티모달 생체 신호 데이터가 oneM2M IoT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RBF 기반 멀티 클래스 SVM 알고리즘의 최적 매개 변수인 γ=〖10〗^3, ∁=〖10〗^3를 찾아 모델을 만들었을 때 교차 검증한 결과 약 98%의 평균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핵심단어: 감정 인식, 사물인터넷, 생체신호, oneM2M, 서포트 벡터 머신

      •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yroid hormone and infection factors in pregnancy

        임동규 Namseoul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31951

        임신은 갑상선 기능 검사의 중요한 해석을 필요로 하며 임신 중 갑상선 기능 이상은 태아 및 산모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에 임신에서 갑상선 기능의 선별적 평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을 위해 내원한 정상 산모들의 선택적 산전 감염인자 검사 항목 중에서 갑상선관련 인자와 감염성 인자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는 후향적 실태조사이다. T3는 나이의 증가에 따라 감소, HCV 양성에서 유의성을 보였고, HIV 음성이지만 임계치에 근접하거나 쌍둥이에서는 FT4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TSH는 30-39세가 높았으며, 다른 감염인자들과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TSH의 삼분위에서는 FT4와 T3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TSH와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임신 중 산전 갑상선 검사의 평가는 임신 경과시간, 다른 감염인자의 노출상태 및 정량적 수치의 상태를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TSH에 대한 산전검사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임신, 갑상선호르몬, 바이러스성 감염 질환 Pregnancy necessitates unique interpretation of thyroid function tests. Uncorrected thyroid dysfunction in pregnancy has adverse effects on foetal and maternal well-being. Further prospective trials of screening thyroid function in pregnancy with measurable developmental outcome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infectious factors among selective maternal infectious agents of normal pregnant women. T3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and increased with HCV positive. The HIV negative (cut off max) or FT4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win. TSH was high at 30-39 years of age, a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other infectious agents. In third percentiles of TSH, FT4 and T3 were positively correlated bu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SH.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prenatal thyroid gland during pregnancy should reflect the gestational age, exposure status of the other infected person and the status of the quantitative value, and should be supplement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prenatal testing for TSH. Keywords: Pregnancy, Thyroid hormone, Viral infection disease

      • Correlation between blood chemical factors and neurocognitive test according to seasonality

        김선규 Namseoul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1951

        Laboratory values were recorded at admission, at the time point closest to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and at the time of peak metabolic derangement. Neurocognitive testing is the most common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hich evaluates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in outpatient clinics, but recently it is used in depth for diagnosis through SNSB Ⅱ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Ⅱ).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cognitive test, seasonality and blood factor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results of routine neurocognitive tests and blood test items of 120 elderly patients who had been referred to a South Central Medical Center from 2017 to 2018 and who had been examined at a public health center. The highest GDS 3.0 rating was 37.5%, followed by 5.0, 4.0, 2.0 and 6.0. Compared to the seasonal (summer/winter) test items, the total cholesterol (192.5±39.3 mg/dL vs 187.5±37.9 mg/dL) and total bilirubin (0.63±0.02 mg/dL vs 0.58±0.2 mg/dL) were found to be different, and the cognitive test was conducted attention(18.5±20.9 vs 20.4±20.7), visuospatial function(23.5±30.9 vs 16.2±25.5). In the GDS rating, groups of 3.0 and 5.0 were more likely to be in winter, but groups of 4.0 were more distributed in summer, but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ub-region of GDS, space-time capability was high in winter. GD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s Na decreased during electrolyte. The concentration, language time and space, memory, and frontal performance of the GDS grad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P<0.001) In the normal and abnormal groups of ALT and creatinine, the frontal/execute function area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as well 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DS and ALT (P<0.01).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the test items that are important for the screening and diagnosis of early diagnosis items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of neurocognitive tests and blood chemistry fact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it as a diagnostic tool. Key word Alanine aminotransferase, Creatinine, Global deterioration scal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II, Sodium 진단을 위한 검사결과는 입원당시, 신경인지검사 시점, 신진대사가 절정에 있는 시점에서 평가를 반영해야 한다. 신경인지검사는 외래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 정도를 평가하는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가 가장 보편적이지만, 최근에는 SNSB Ⅱ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Ⅱ)를 통해 심층적으로 진단에 활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경인지 검사와 계절성 그리고 혈액 인자들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경기도의 일개 남부지역 의료원에 내원한 보건소에서 정밀검사 의뢰된 노인층 120명의 통상적인 신경인지검사 결과와 혈액검사 항목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GDS 3.0 등급이 37.5%로 가장 높았고 5.0, 4.0, 2.0 그리고 6.0 순으로 나타났다. 계절성(여름/겨울)에 따른 검사항목들의 비교를 보면, 총콜레스테롤 (192.5±39.3 mg/dL vs 187.5±37.9 mg/dL), 총빌리루빈(0.63±0.2 mg/dL vs 0.58±0.2 mg/dL)로 차이를 보였으며, 인지검사 중 집중력(18.5±20.9 vs 20.4±20.7), 시공간능력(23.5±30.9 vs 16.2±25.5)로 차이를 나타냈다. 치매척도검사의 등급에서는 3.0과 5.0에 해당하는 군이 겨울에 더 많이 나타났으나 4.0에 해당하는 군은 여름에 더 많은 분포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GDS의 하위영역의 평가에서는 시공간능력이 겨울에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혈액 전해질 중 Na이 GDS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GDS 수준에 따른 집중력, 언어 시공간능력, 기억력, 전두엽 실행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1). 그리고, ALT와 크레아티닌이 정상군과 비정상군에서 전두엽 실행기능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또한 GDS와 ALT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신경인지검사와 혈액화학 인자들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조기진단 검사항목의 선별과 진단에 유의한 검사 항목을 개발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지역성, 연령대, 신진대사 상태를 반영한 유효한 진단 도구로서 개발과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나트륨, 서울신경심리검사 2판 ,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치매척도검사, 크레아티닌

      •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of human papillomavirus genotypes in Gyeonggi northern a general hospital

        박효철 Namseoul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31951

        국가 별 등록된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에 대한 기초연구는 일반적으로 IARC 데이터베이스에 보고 된 것보다 높다. HPV 검사 (Anyplex ™ II HPV 28 Detection Kit, Seegene, Korea)를 이용하여 자궁경부 표본과 HPV 유전자형의 검출률을 조사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 내원한 환자에서 HPV 감염의 유병률, 유전자형 및 동향을 후향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단일 및 다중 감염 모두에서 HPV 52, 16의 검출률이 높은 것은 자궁경부암이 고위험 HPV 유형에서 중요하다. HPV 52, 16, 58 및 68은 병원의 지역성을 보이는 높은 분포를 보였다. 지난 3년간 고위험 HPV(n=1,048, 66.7%)와 저위험 HPV(n=187, 11.8%)이었다. 고위험 HPV의 단일 및 양성 유전자형은 HPV-16 (13.9%), 58(11.0%), 52(14.6%)이었다. 혼합 유전자형은 18.7% (n=38)에서 2가지 유전자형 (16/58, 39/52)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에는 젊은 여성과 사춘기 여성을 대상으로 구분하여 조사가 필요하고 이 같은 종합적인 실태정보는 자궁경부암 예방 정책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유전자형, 인유두종바이러스, 고위험인유두종바이러스, 혼합감염 Country specific registry based studies generally found a higher incidence rate of cervical cancer than that reported by the IARC global database. We have assessed the HPV detection rates among cervical samples and pellet fraction of urine samples using HPV test (Anyplex™ II HPV 28 Detection kit, Seegene,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to evaluate the prevalence, genotypes and trend of HPV infection in clinical samples collected from hospitalized. The high prevalence of HPV 52 in both single and multiple infection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HPV 16, the second most common high-risk HPV types in cervical cancer. HPV 52, 16, 58 and 68 were observed to have a high prevalence among the women analysed in regional hospital. Over the last 3 years, high risk HPV and low risk HPV were found 1,048 (66.7%), 187 (11.8%) of positive samples (n=1573). The most frequently found genotypes in all HR-HPV-single positive samples (n=785) were HPV-16(13.9%), 58(11.0%), 52(14.6%). Mixed genotypes were highly detected 2 genotypes (16/58, 39/52) with 18.7% (n=38).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creen younger women and adolescents female, This information would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cervical cancer prevention policies. Key words: Genotype, High risk HPV, Human papillomavirus. Mixed infection.

      • Investig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genotype in a general hospital

        이준범 Namseoul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31951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HPV)에 의한 감염은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이다. 세포학적 검사부터 HPV DNA검사는 향후 도전적이며, 발전적인 변화를 기대한다. HPV 유전자형의 감염에 대한 새로운 HPV의 DNA (22종) chip 검사는 최근 한국에서 많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 지역의 일 종합병원에서 HPV 감염의 빈도와 유전자형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난 2015년 한 해 동안 서울지역의 일 종합병원 내원객을 대상으로 총 5,614 검체의 검사에서 HPV 유전자형은 1,596 (28.4%)에서 검출되었다, 이중 한 종류의 유전자형을 가진 검체 (n=831) 중 고위험 HPV는 679 (42.5%), 저위험 HPV는 152 (9.5%)로 나타났다. 이중 자주 발견 유전자형은 HPV-16 (16.5%), 58 (15.2%), 52 (8.8%), 51 (7.1%), 56 (5.9%) 순이었다. 혼합 유전자형 (n=219) 중 2종 (n=176, 11.0%), 3종 (n=37, 5.9%), 4종 (n=2, 0.1%)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일 종합 병원 내원객의 HPV 감염률과 유전자형의 실태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HPV의 전국적 감염 분포 및 백신의 도입을 안내하는 데 기초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진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역학적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핵심어 : 유전자칩, 유전자형,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Infection by human papillomavirus (HPV) is a necessary cause of cervical cancer. A developmental change from cytology to molecular HPV testing is challenging. A new HPV DNA chip test for the infection of 22 HPV genotypes were develop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genotype distribution of HPV infection in a general hospital. Over the last years, a total of 5,614 samples were tested and the HPV genotype using a chip tests and HPV was detected in 1,596 (28.4%), high-risk HPV and low-risk HPV were found 679 (42.5%), 152 (9.5%) of positive samples (n=1596). The most frequently found genotypes in all HPV-single positive samples (n=831) were HPV 16 (16.5%), 58 (15.2%), 52 (8.8%), 51 (7.1%) and 56 (5.9%). Mixed genotypes (n=219) were detected 2 genotypes (n=176, 11.0%), 3 genotypes (n=37, 5.9%) and 4 genotypes (n=2, 0.1%).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pidemical investigated HPV infection in clinical patients of general hospital. These finding could be used to guide the HPV nationwide distribution and the adoption of the vaccines. It is hoped that additional epidemiological research into the outcomes important to decision makers will be identified. Key words : DNA Chip, Genotype, Human papillomavirus.

      • Effects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based on stretching exercises on neck disability index, neck range of motion and muscle tone of upper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in people with forward head posture

        조준형 Namseoul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31951

        This study examined how change the range of motion(ROM) of the neck and muscle tone of upper trapezius(UT) and Sternocleidomastoid(SCM) through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ESWT) and stretching exerciseapplied to subjects Total 30 subjects who had forward head posture(FHP) in twenties healthy male and female each fifteen were applied with active stretching exercises (SE group) and additionally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to 15 subjects for 7 weeks, total 14 times, twice a week(ESWT group).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se experiments, in order to confirm the muscle tone of upper trapezius, sternocleidomastoid, and the neck ROM of the subjects with FHP were measured by a goniometer. It was noticeable that in the tone of upper trapezius, the angle of neck extension and left bend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both groups. In addition, in the measurements of right bending of the S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between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neverthel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sternocleidomastoid and neck flexion compared to between pre and post intervention in those two groups. Even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figures from the muscle tone of SCM and the angle of neck flexion, there were the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values. Moreover, it was ascertainable that without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the only conducting the stretching exercise to the subjects would work on the tone of upper trapezius, left and right neck bending and extension. Applying the stretching exercise could work on upper trapezius and the angle of neck extension and side bendings in the people who have forward head posture. 이 연구는 체외충격파와 신장운동이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사람들의 경부장애지수(NDI), 목 관절 가동범위(ROM)와 위 등세모근, 목빗근의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로는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충청남도 소재 N대학의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신장운동, 체외충격파와 신장운동을 같이 병행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 15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사전과 사후에 경부장애지수, 목 관절 가동범위와 근 긴장도를 측정하였고, 실험 기간은 일주일에 두 번씩 신장운동과 체외 충격파를 실시, 총 6주 동안 실행하였다. 통계 결과 두 그룹 모두 경부장애지수가 유의함을 보였고 목관절 가동범위와 근 긴장도에서 모두 유의함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에게 신장운동 및 체외 충격파가 경부통증의 감소, 관절가동범위의 증가, 근 긴장도를 감소시키는 것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