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기 산업 발전 방안 연구 : 『유기공방(鍮器工房)』展 작품론

        이영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유기 산업의 발전 방안 연구는 『유기공방(鍮器工房)』 전시를 통해 한국의 전통 금속 공예의 하나인 유기(鍮器)와 유기 문화가 현재 어떤 위치에 있으며 제반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를 제언한 것이다. 유기(鍮器)는 놋쇠로 만든 기물을 통칭하는 말로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종묘 제례에 사용되는 제기(祭器)부터 한국의 식문화를 대변하는 반상용기(飯床用器), 징과 꽹과리 등의 악기(樂器), 불교미술을 대변하는 불상(佛像)과 종(鐘) 그리고 서민의 숟가락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민족의 삶의 곳곳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유기가 우리에게 더욱 특별한 이유는 유기의 역사가 우리네 굴곡진 역사와 그 맥을 함께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생활 문화 전반에 사용되던 유기는 일제 강점기 전쟁 무기의 재료가 되기 위해 수탈당했고, 한국 전쟁 후 산업화와 함께 값 싼 신재료의 등장과 난방 연료로 연탄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일산화탄소에 변색되는 유기를 우리는 귀찮은 물건이라 여기며 외면해 버렸다. 수탈의 역사와 급격한 산업화로 너무나 빠르게 잃어버린 우리의 정체성을 유기의 역사는 대변하고 있다. 근래 경제적 풍요를 바탕으로 전통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과학적 연구를 통해 유기가 안전한 식기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기를 찾는 사람은 늘었지만 유기는 아직도 소수만을 위한 제품이고 부를 과시하기 위한 사치품이며, 영세하고 낙후된 유기 공방의 제작 환경 등은 유기와 유기 문화에 어두운 미래를 느끼게 한다. 이는 보호와 전승이라는 굴레 안에서 만 유기를 바라보기 때문이다. 유기가 되살아나기 위해서는 전통과 문화에 산업이라 개념이 부과되어야 한다. 산업화를 문화를 사장(死藏)시키는 악행으로 바라보지 말고 유기 문화가 산업화됨으로 파생되는 기술의 발전, 전통의 계승, 문화 콘텐츠 개발 등 무궁무진한 가능성에 집중해야 한다. By reviewing the “Brassware Workshop Exhib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current statuses of the industry and culture of brassware products, which are a form of Korea’s traditional metal craft. It also suggests ways to overcome all the problems that the brassware industry and culture may have. “Brassware” is a common name of articles made of brass. Brassware products can be seen in various forms in the traditional life of Koreans, including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Korea’s traditional dining dishes, musical instruments such as the jing(large gong) and the kkwaenggwari(small gong), statues of the Buddha, bells, and spoons of the ordinary people. The significance of brassware products in Korea can be explained from the fact that their history is in line with the turbulent history of Korea. Brassware products, which were in everyday use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1392~1910), were plundered by the Japanese Empi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1910~1945) to be used in making weapons. After the armistice of the Korean War in 1953, the release of cheap, new materials such as nickel silver and stainless steel resulted in their decline. Moreover, as coal briquettes were introduced as a convenient heating fuel in the 1960s, brass dishes, which are easily discolored by carbon monoxide, were completely disregarded. This history of brassware products clearly reflects the identity of Koreans which has been lost so quickly due to the history of plunders and drastic industrialization. As more and more people become interested in the Korean tradition and the safety of brass dishes is proved scientifically, it is quite encouraging to see that more people are buying brassware products. However, the inadequate manufacturing environment of brassware workshops, as well as the preconception that brassware products are luxury items used to flaunt your wealth, suggest a dismal future of the brassware culture. This is because brassware products are seen as relics that need to be preserved and transmitted. To reinvigorate the brassware business, a new idea of “industry” must be added to their established concepts of “tradition” and “culture.” “Industrialization” should not be disparaged as an unfavorable factor that degenerates the culture, but focus should be made on boundless potentials such as technological advancement, succession of the tradi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all of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brassware culture. Chapter 1 of the main part first establishes the concept of brassware products. The chapter introduces their position in the Korean history by looking at their history, and explains their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which have been verified through recent scientific researches. Chapter 2 looks at the reality of the current brassware industry. It introduces the present state of brassware craftsmen in Korea, who have been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chapter points out the reality and problems of the current brassware culture by suggesting the types and prices of the brassware products made by these craftsmen. Chapter 3 suggests ways to reinvigorate the brassware business.

      • 패션素材 컨버터의 役割과 機能에 關한 硏究 : 淑女服 컨버터를 中心으로

        유영선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20세기 이후 급속히 진행된 산업화는 기능성. 실용성. 단순성을 추구하게 하였고 기계적 산업생산에 의한 대량생산은 주요보다 공급을 크게 하는 요 인이 되었다. 21 결과 만들면 팔리는 시대에서 소비자가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시대로 변화 했다. 소비자의 선택으로 살아남아야 하는 기업 간의 경쟁은 상품에서의 디자인의 중요성과 의미를 최고의 가치로 부여하게 되었다. 패션산업에 있어서 최종제품의 가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재의 경우도 예외일 수는 없다. 어패럴에 있어서의 소재는 이미 디자인을 말하고 있으며 개성화와 차별화를 추구하는 많은 디자이너들에 의해 소재산업은 이제 모든 디자인산업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패션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산업으로 육성되기 위해서는 소재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의 섬유업계는 고부가가치의 차별화 된 소재개발이 미흡하여 수입소재에 의존 하고 있으며 패션산업의 경쟁력도 패션선진국에 비해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산업의 각 부문들 소재메이커와 어패럴. 소비자의 중간에서 소재기획, 상품기획 등의 코디네이터역할을 수행하여 소재개발 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소재 킨버터의 역할과 기능을 고찰해 보았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컨버터의 개념과 발생배경, 필요성과 컨버터의 역할로서 정보수집 및 제공, 소개기획. 생산 등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패션소재컨버터의 현황으로는 세계섬유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탈리아 섬유산업을 분석하고 실증조사로 우리나라 패션소재컨버터의 현황을 설문조사에 의해 분석해 봄으로서 소재개발의 현주소를 파악 문제점 과 해결방안 등을 모색하여 소재개발활성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 다. 국내 숙녀복컨버터를 대상으로 컨버터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컨버터의 일반적인 현황은 중소기업으로는 다소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발되는 소재가 기본 물에 치우쳐 있어 소재의 차별화와 다양화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어패럴의 수입소재의 사용증가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는 컨버터뿐 아니라 어패럴과 생산업체의 유기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정보수집현황에 대한 조사결과 소재개발을 위한 정보원으로 해외전 시회정보나 해외정보지에 의존하고 있고 소비자정보나 판매실적정보의 활용 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소비자에 대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재해석된 해외정보의 활용으로 독창적 인 소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소재개발을 위한 샘플개발과 시직 등 개발비에 상당부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재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절감하고 있으나 원사나 가공 등 생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깃으로 나타나 각 생산부문의 전 문화와 발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개발의 모티브로 수입원단을 가 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의 소재개발수준이 외국의 소재를 모방 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상품을 프로모션하는 방법은 방문상담에만 의존하고 있어 어패럴과 긴밀하게 협조하여 전시회 등을 개최 소재개발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컨버터는 패션선진국인 이탈리아와 비교해 볼 때 패션산업에서 의 코디네이터로서의 기획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컨버터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패션산업전반의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방산업체 각부문간의 전문화의 부족과 어패럴과 생산업체의 유기적인 네트워크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국내 소재컨버터의 현황 분석을 통해 소재개발의 현주소와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rapid growth of industrialism after the 20th century has resulted in search for functionality, practicality and simplicity as well as the mass production due to development of technology which became the main factor for the increase of supply over demand. As the result of that, the consuming pattern has changed where consumers are exposed to more products and have more options when purchasing a product. The key to surviving this competitive market solely depends on their ability to creating new and better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s' needs. In the fashion industry,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determine the quality of a product is material. Material says basically everything about a garment besides design, and many leading designers who aim for characteristics and uniqueness pay great attention to materials more than ever. In order to develop fashion business successfully in the future and provide products with higher quality, new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However, in domestic textile business, merchandisers depend mainly on imported fabrics which leads them to fall behind in the global fashion world. Therefore, this research studied on the role and functioning of fabric manufacturers in different fields of fashion industry and their tasks as the coordinators in material, product planning and fabric converters who play the essential role in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In theoretical research,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converters who play the major role in presenting and gathering information, material planning and production are studied. To analyze today's current status of fashion textile converters, precise study on Italian textile industry was done, as well as the domestic fashion textile converters' condition which was verified upon poll in order to obtai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arket. That will lead us to answers to settlement plan and use those references to activate better material development. At first, the converters' general status is found out to be quite larger than medium enterprises. But the fabrics that are developed by them tend to be focused mainly on basic items, lacking balance and variety, therefore result in increase of imported fabrics, The continuous effort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not only by converters but also by manufacturers as well. Secondly, according to the poll on reference research, information gathered from various international textile fair and international forecasting references were the only sources used for aids to material development, but the consumer information and sales result information were merely studied. Thirdly, it is found out that manufacturers a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material development, and much money is invested on developing samples for material development and test weaving is widely done accordingly. But yet, the techniques to yam production and finishing processes are still insecure and the improvement on each production department's professionalism is greatly required. Furthermore, as for pattern designs, most of the domestic manufacturers mostly rely on foreign materials, imitating and modifying from them. Lastly, the methods to promote the productions only rely on door-to-door consultation, not associating with apparel industry well and use fairs and exhibitions to promote new developed materials and network with other manufacturers. Compared to Italy, the world's most advanced fashion country, converters in Korea are not playing their role as coordinators and planners in fashion industry effectively. This is not only the converters' problem but also domestic fashion industry as a whole,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ism in each section and of terminable networking throughout the industry. The significance and ultimat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domestic converters' current status to find helpful answers to more vigorous material development and to grope for future improvement.

      • 컨벤션 개최지 브랜드 개성 확립을 위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부산컨벤션뷰로(BCVB)의 캠페인 슬로건을 중심으로

        고유림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컨벤션 산업은 21세기형 고부가가치 국가 전략 산업으로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이 컨벤션 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하여 국가차원의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치열한 유치·홍보 경쟁을 벌이고 있다. 기술의 발달과 보급으로 도시 제반 시설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으로는 컨벤션 산업을 유치함에 있어 더 이상 타도시에 대해 경쟁우위를 기대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서비스 개발이나 브랜드 창출과 같은 소프트웨어적 측면을 개발하는 것이 차별적 경쟁력 확보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부산은 2007년 아시아 대륙의 컨벤션 개최 경쟁에서 컨벤션 유치실적 8위를 기록할 만큼 국제 사회에서 컨벤션 개최지로 그 위상이 높으나, 컨벤션 유치를 위한 마케팅 측면의 노력은, 해외 타 경쟁도시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단편적이고 그 활동도 미미한 실정이다. 한국의 컨벤션 산업이 수도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컨벤션 개최지로서 부산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부산의 가진 고유의 브랜드 개성을 발굴하고, 이를 강화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시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컨벤션 유치를 위한 캠페인 슬로건이 컨벤션 개최지로서 부산의 브랜드 개성 강화에 미치는 영향 살펴봄으로써 현재 부산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점검하고, 향후 브랜드 개성 강화를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캠페인 슬로건 “Enjoy Busan, Enjoy Convention"을 중심으로 하는 부산컨벤션뷰로(BCVB)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컨벤션 개최지 부산의 브랜드 개성을 강화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가설1] 부산컨벤션뷰로(BCVB)의 슬로건은 브랜드 개성은 부산의 개최지 브랜드 개성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가설2] 부산컨벤션뷰로(BCVB)의 슬로건은 부산의 개최지 브랜드 개성을 강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검증을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컨벤션 개최지로서 부산의 브랜드 개성 측정을 위한 1개 문항, 캠페인 슬로건의 브랜드 개성 측정을 위한 1개 문항, 슬로건에 대한 노출 여부를 묻는 문항, 설문 참여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 등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컨벤션 관련학과의 학생을 포함하여 컨벤션 관련 업계 종사자들 24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두 개체 간의 브랜드 개성 도출을 위해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일관성 신뢰도의 하나인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였다. 두 개체의 브랜드 개성차원값을 비교한 결과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도출된 부산컨벤션뷰로(BCVB)의 캠페인 슬로건과 컨벤션 개최지 부산의 브랜드 개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개체 모두 브랜드 개성 차원 중 ‘매력적인’의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가설1]을 만족한다. [가설 2]의 검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부산의 컨벤션 개최지 브랜드 개성과 연구시점이 되는 현재의 브랜드 개성을 비교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선행 연구에서 조사된 부산의 컨벤션 개최지 브랜드 개성은 ‘독특한’ 차원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현재는 ‘매력적인‘ 차원이 가장 높은 차원값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부산의 개최지 브랜드 개성이 슬로건의 브랜드 개성의 특징과 유사하게 변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부산의 개최지 브랜드 개성의 변화에 슬로건의 브랜드 개성이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 비해 ’매력적인‘의 개성차원의 수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부산의 개최지 브랜드 개성이 과거에 비해 더욱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슬로건의 브랜드 개성과 부산의 개최지 브랜드가 유사한 특성을 가져 서로의 브랜드 개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를 얻은 반면, 슬로건 브랜드 개성의 차원값이 부산의 개최지 브랜드 개성 차원값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 슬로건의 브랜드 개성이 부산의 브랜드 개성보다 인지적인 면에서 그 영향력이 약하다는 전략적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Busan i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convention city, ranking 8th among others in the number of convention host in Asia, while its marketing efforts in attracting conventions are relatively limited and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competitive cities. In order for the city to enhance competitiveness as a host city for a variety of international meetings, when most of the conventions are held in the capital city Seoul now, Busan needs to explore its own unique brand and originality, as well as to practice a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so as to enhance the brand name.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Busan for conventions to move forward as a tourism and convention hub in the global world, and provide strategic suggestions.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a campaign slogan may affect enhancing the city's brand character as a convention city, and verified the hypothesis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characters of the city through conducting a survey. As a result, an "attractive" figure came out highest in both the brand character and slogan brand character, which indicates that the two characters of the city are similar. The brand character of Busan is expected to be enhanced when the brand character and similar campaign slogan are exposed to potential convention participants repeatedly. Given the fact that in a preliminary survey, the city's brand character turned out to be unsystematic and have a low value in character dimension, the value of the brand mostly indicates as "attractive" character, with the figure becoming higher as well. When comparing the value of slogan brand character with the one of its host city brand character, a problem was found that the slogan brand was lower than the other in the dimension values, indicating that it would be hard to anticipate a strong positioning effect through the slogan. If any strategic complements in that problem, Busan is expected to have a stronger position as a convention host city, with its differentiated brand characters.

      •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장식적 표현 기법의 경향 연구 : 2000년 ~ 2006년 해외컬렉션을 중심으로

        심선영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과거 우리나라의 니트 산업은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주요 수출 산업으로 육성․발전되었으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준비와 전환이 늦어지면서 차츰 사양 산업으로 인식되는 결과를 맞이하게 되었다. 세계 니트 시장에서 불고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니트 시장을 고부가가치에 바탕을 둔 고가 제품의 시장과 대량 생산 방식에 바탕을 둔 저가 제품의 시장으로 양극화 시키는 동시에 니트 선진국들이 전자의 시장을 차지하고 중국이 후자의 시장을 담당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아울러 니트 시장의 양적 팽창이라는 결과 또한 함께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의 니트 산업의 활로가 다른 니트 선진국들처럼 고부가가치 니트 제품의 디자인과 개발에 달려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니트 산업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니트 산업을 사양 산업이 아닌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시켜 꾸준히 발전시켜나가고 있는 해외의 니트 선진국들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니트 패션에서 어떠한 장식적 표현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그 경향과 변화를 알아보는 일은 니트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디자인 개발의 방향을 제공하고 니트 패션의 부가가치화를 위한 실질적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니트 패션의 장식적 기법들의 용어와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 기법들은 엠브로이더링, 아플리케, 꼴라쥬, 퀼팅, 패치워크, 술 장식, 슬래싱, 프린팅, 비딩, 세퀸(스팽글), 스토닝(핫픽스) 기법의 10개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컬렉션에서 니트의 비중이 높다고 판단되는 Anna Sui, Blumarine, Mark Jacobs, Missoni, Krizia, Kenzo 을 선정하였다. 2000년부터 2006년 까지 니트 패션에 나타난 니트의 표현 기법과 장식적 기법의 경향과 그 변화 추이를 분석 하였다. 장식적 표현 기법은 단일적 표현 기법, 혼합적 표현 기법으로 분석 하였고 그 기법들을 활용한 작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현대 니트 패션에서 단일 장식적 표현 기법 이외에도 몇 가지 요소들을 함께 사용한 혼합적 기법으로 니트 패션의 미적 가치를 높이고 조형 예술의 범위를 넓혀 현대 패션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아 가고 있게 되었다. 니트 패션의 디자인과 제품 개발은 끊임없이 연구되고 미적 조형물 승화 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니트 패션을 고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여 우리나라 패션 산업 발달에 크게 기여 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In the past, the Korean knit wear industry was fostered and developed as one of the major exporting fields based on the rich labor force. However, this has come to face the recognition as declining industry gradually as there have been not the timely preparedness and the appropriate transition to high value added industry. The newly generating paradigm in the world knit wear market is characterized of polarization into two. One is the high priced market with high value added products while the other is the relatively low priced market with mass production method, which brings forth the outcome that the advanced countries occupy the former and China take up the latter. At the same time, the volumetric expansion has taken place in the knit wear sector. Such changes suggests that our domestic knit wear industry should be directed towards the production with high level of valued design and development as in the case of the advanced nations in knit wear industry. To find a solution to make our related industry active, it is needed to benchmark the cases of those overseas advanced countries in this field who have constantly been shaping it up into a valued industry. In doing so, it is believed that knowing what decorative expression techniques is being used in knit wear fashion regarding its tendency and change will provide the designers with a developing direction and the chances to utilize them as practical data to realize as value addition. Through the theoretical examination in this writing, the terms and meanings were clearly defined for the decorative expression technique in knit wear fashion. The method applied here was divided into ten categories: embroidering, applique, collage, quilting, patchwork, fringe, slashing, printing, beading, sequins (spangle), and stoning (hotfix). With regard to the collection, such selections as Anna Sui, Blumarine, Mark Jacobs, Missoni, Krizia, and Kenzo were taken, which are generally given much weight in collections.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raits and inclination of depicting techniques and decorating techniques in knit wear from 2000 through 2006. The decorative expression technique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single expression technique and the complex expression technique and the works with the application were presented,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complex expression technique with several components incorporated can enhance the aesthetic value in knit fashion and furthermore widen the range of formative arts realm in the modern knit wear fashion as well as the single expression technique, which helps positioning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modern fashion. The development of design and product for knit fashion has been ceaselessly researched and this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formative structures in the aesthetic aspect. Fostering the knit fashion into high value added industry is considered to giv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omestic fashion area.

      • 전문대학 미용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퍼스널컬러 교육의 도입에 관한 연구 : 메이크업 분야를 중심으로

        차호연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Although the purpose of training at college is 'to produce professional specialists' it is more difficult that th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college with major in Beauty is recognized as a beauty expert by beauty industry than the students who had intensive training courses at a private beauty institutes with a short period. Today is the age of the information and the image oriented society at once and the interest in Personal Color is being increased as one's personal image is regarded as very important. It is essential for makeup artist to understand colors as the color in makeup is a key issue for expression of one's personality and creation of one's image. Also, recently it is booming that makeup industries are launching color makeup products in the market by applying Personal Color system with makeup experts such as color institutes and makeup artists. These current of the times make us to recognize needs for training on Personal Color at makeup fields. This study suggests a solution by introduction of training on Personal Color as the necessity arises for developing competitive curriculum based on the needs from the industries for the students graduated from college with major in Beauty and going into makeup fields. Expertise on a major field of study is insufficient owing to similarity of the curriculum without subdivision of the major field in Beauty at local colleges and acquisition of national authorized license without any examination at the time of graduation of Beauty at colleges. As the result of case studies those in advanced countries not only subdividing the major field of Beauty but also highl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color in makeup are centered on practical training by constituting the curriculums applying theory of Personal Color and/or adapting Image Making techniques. Accordingl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are made to take consideration of the needs from the industries for the students graduated from college with major in Beauty and going into makeup fields. First, training on Personal Color should be limited to the areas not for professional consultation on concept of image but effective performance of work at the industry fields. These for production of professional specialists with reality and for practical curriculum through job analysis should be focused on training for the understanding sense of the colors, and the method for coloring in accordance with classification into 6 types of Warm, Cool, Soft, Deep and Light following the current of Personal Color. Second, it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with broad opportunity to intensively study subjects in makeup areas as opening Personal Color as optional subject for the students who wish to go into makeup field. The training courses at college are characterized as small choice for optional subject in general. The most of colleges provide with ostensible optional subjects for apportionment of credits but the subjects are a mere extension of major subjects in a sense of the contents. In the present situation there may be meaningless to discuss about the way of improvement for opening Personal Color as optional subject. However, as what should be to find a new approach and some colleges open optional subjects in line with the major field it is suggested as a solution to improvement. Third, the existing Image Making subjects should be supplemented with Image Making subjects using Personal Color. These would be practice oriented subjects needed for the students going into makeup field. It can be said that color holds a very important position for the image makeup. Active use of colors can be a mean to produce the image that he/she wishes to express, and also minimize the weak points and maximize the strong points. As Image Making subjects using Personal Color is to find the suitable color with the color of the skin, and produce harmony and balance providing beauty by a suitable arrangement of colors the subject would be a practice oriented subject for the students graduated from college with major in Beauty and going into makeup fields. 전문대학의 교육목적이 ?전문 직업인의 양성?에 있지만 현재 미용계학과를 졸업한 학생들 중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은 산업현장에서 단기간 집중적으로 훈련된 미용 학원생보다 미용전문가로서 인식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현대사회는 정보화 사회인 동시에 이미지 시대로 개개인의 이미지가 중요시 되면서 퍼스널 컬러에 대한 관심은 날로 커져가고 있으며 메이크업에서 색채는 개성표현과 더불어 이미지 창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메이크업 아티스트로서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또한 최근 향장업계에서 색채 연구소, 메이크업 아티스트 등과 같은 메이크업 전문가와 함께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색조 화장품 출시가 붐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메이크업 분야에서 퍼스널 컬러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문대학 미용계학과 졸업 후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을 위해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바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교과과정의 개발 필요에 따라 퍼스널 컬러 교육의 도입을 해결책으로 제시하였다. 졸업과 동시에 국가공인 무시험 면허증 취득으로 인해 국내 미용계학과의 교과과정은 전공의 세분화 없이 유사하여 전공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다. 선진 해외 교육 사례 분석 결과 전공의 세분화뿐 아니라 메이크업에서 색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 퍼스널 컬러 이론을 도입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거나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과 접목하여 실무지향적인 교육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대학에서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전문성과 산업현장에서의 요구를 고려하여 퍼스널 컬러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다음과 같은 교과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전문대학 교과과정에서의 퍼스널 컬러는 전문적인 이미지 컨설팅 개념의 영역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산업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할 수 있는 범위로 한정하도록 한다. 이는 현실에 맞는 전문직업인 양성과 직무분석을 통한 실무 지향적인 교과과정으로 Warm, Cool, Clear, Soft, Deep, Light의 최근 퍼스널 컬러 흐름에 따른 6가지 타입을 분류하고 6가지 타입에 따른 색채의 느낌을 이해, 배색할 수 있는 교육을 중점적으로 한다. 둘째, 퍼스널 컬러를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할 학생들을 위한 선택과목으로 개설하여 학생들이 관련 분야를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폭 넓은 선택의 기회를 가지도록 배려하도록 한다. 전문대학의 교육은 대체적으로 선택과목의 선택여지가 좁다는 특성이 있다. 즉, 대부분의 대학이 학점 배당에서 명목상의 선택과정을 두고 있지만 교육과정 내용상으로는 전공과정의 연장일 뿐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퍼스널 컬러를 선택 과목으로 채택하는 개선방안을 논한다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발전을 모색한다는 당위와 전공에 따른 선택과목을 두고 운영하는 대학도 있기 때문에 개선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기존의 이미지 메이킹 교과목을 퍼스널 컬러를 통한 이미지 메이킹으로 강의내용을 확충하도록 한다. 이는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할 학생들에게는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지향적인 교과목이 될 것이다. 이미지 구성에서 색채가 차지하는 부분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색채를 통해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고 자신의 단점을 최소화, 장점을 극대화하는 수단으로 색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퍼스널 컬러를 통한 이미지 메이킹 과목은 개인의 신체 색에 어울리는 색채를 찾아 적합한 배색으로 조화와 균형을 주는 아름다움을 연출하는 이미지 메이킹으로 미용계학과를 졸업하고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실무 지향적 교과목이 될 것이다.

      • 디지털 카메라 디자인 변천과정과 미래의 디자인 방향 연구

        진병욱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Remember the turntable which often generated irritating noises, the wall mounted clock for which you had to wind the spring regularly, the old mechanical typewriter with the clanking keys whose ink ribbon had to be replaced all the time, and the manual camera whose shutter speed and focus had to be adjusted by hand? These are all analog devices that exist only in people’s memories for the most part these days, but they nevertheless stir up cozy yearnings and engender joyful reminisces. What compels people to seek joy and comfort in the past? It may well be that people feel greater warmth and display a keener sensitivity toward natural objects rather than artificial ones, and familiar objects rather than new ones. A next camera will be born in the heat of passion and sweat, brings with it the concept of ‘Reviving lost sensitivity’. As such, the appearance of the next camera is new but not unfamiliar, and friendly but not common. The emphasis on a large circular lens fitted to a small and slim body represents a move away from the cold and hard image of the typical digital camera. As if reminiscing over the good old times, it gives a sense of natural warmth and quickly becomes a part of you. The subdued color of the body and the lively shutter sound conjures up the analog emotion, stimulating the five senses. The reason that a state-of-the-art digital camera can create such warmth is not only because it has successfully recreated the sense of a manual camera; it was actually inspired by a classic camera that was once regarded as the most beautiful and precise in the history of cameras, and has recreated the reliability of those classic cameras. It is said that the classics have a powerful life force because their artistic achievement and level of quality reach beyond time and space. Next digital camera recreates art and the soundness of the classic camera to become an elegant digital camera, improving upon the weaknesses of typical digital cameras, which are known to be ‘light, instant, and short-lived’. More than simply a convergence of the refined sensitivity of digital and the emotion of analog, next camera also offers the perfect performance, embodied in the new interface. With the most used menu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all the functions can be run with a single touch. As the touch screen and sensor on the key can be operated with just a slight touch of finger, it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and camera closer and friendlier. Such a new interface will bring greater convenience and heighten the joy of taking pictures, as familiarity and intimacy are quickly established with the product among both the digital generation and those who thus far have been un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You can rediscover lost emotions through its beautiful design and experience the joy of picture taking with its friendly interface, so let’s recover bygone times and the many small things overlooked in our busy lives. Imaging though next camera, the dreary streets become full of warmth, and distant people become friendly with one another. What next digital camera proposes is to touch each other’s hearts and emotions to let people know that there are kind people in this urban jungle and bright flower blossoms on the dark asphalt. Next digital camera shows us that there is special value in the routine life by reawakening our dried emotions in this digital world. 산업전반에 걸쳐 디지털 빅뱅이 일어나고 있는 오늘날, 세계는 지금 이미지 혁명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 이미지 생성의 도구인 카메라는 1887년 프랑스에서 화가들에 의해 발명되어, 1.2차 세계대전시 광학과 정밀기계산업의 중심국이던 독일을 거쳐, 35mm 롤필름을 발명한 미국으로, 현재는 전자산업의 중심국인 일본으로 카메라산업의 중심이 옮겨져 왔으며, 최근 카메라에 디지털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부터는 전세계 반도체산업을 리드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이 디지털카메라 산업의 중심국가가 되기에 매우 유리한 조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카메라는 1975년 미국 Kodak사(社)의 한 엔지니어에 의해 발명되었고, 1986년 일본의 소니사(社)가 최초로 상용화한 플로피디스크 기록형의 ‘MAVICA’ 이후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2011년 현재 전세계 약 1억4천만대의 시장규모로 성장. 발전하였다. 또한 디자인에 있어서도 기술과 결부된 핵심 디바이스의 발달에 의해 시대적으로 그 변화를 거듭해 오고 있고, 최근에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트랜드에 맞춘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어서, 카메라디자인 부문에서의 각 메이커들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처음에는 업무용이나 연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시장의 요구에 의해 보도용과 상업사진용으로도 확대되게 된다. 보도 사진용으로는 종래의 35mm 일안레프 바디를 활용한 것(주로 코닥) 새로운 바디를 활용 한 것(니콘, 후지)의 두 가지 큰 흐름이 있었다. 코닥은 캐논이나 니콘의 바디를 사용해, 촬상 소자가 35mm판 보다 작은 만큼, 렌즈의 화각이 35mm 일안레프와 다른 방식을 채용했다. 한편, 니콘과 후지필름의 공동 개발에 의한 일안레프는 축소 광학계를 사용하여, 지금까지의 렌즈 화각을 유지하고 있었다. 상업용으로는 서구의 메이커들로부터 뷰 카메라나 중판 카메라에 부착하는 백커버 착탈 방식의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백)를 개발. 보도 사진과 커머셜 사진의 용도로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디지털 카메라가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카시오 QV-10의 출시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전까지의 플로피 디스크 기록방식을 카메라 본체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하는 방식을 채용하게 되면서 적절한 가격을 형성하게 되어, PC사용자들로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95년 이래의 인터넷 붐에 편승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이른바 홈페이지 제작의 도구로 애용되게 된 것이다. 그로부터 후지 필름, 올림푸스 등의 필름, 카메라 메이커가 이 분야에 참가하여 과거 필름카메라에서 축적된 Know-how를 바탕으로 성능을 향상시켜 나갔다. 이후, 다른 카메 메이커도 이 경쟁에 가담하여 컴팩트 카메라 타입의 디지털 카메라는 촬상 소자의 화소수가 매년 2배로 증가하는 경쟁에 돌입하게 되었다. 또한, 1999년에는 니콘이 고급 디지털 일안레프로는 저가격의 D1을 발매. 이전까지 신문사자 잡지사의 일부 등에서 사용되었던 디지털 일안레프의 시장을 단숨에 확대시켰다. 그 후, 후지 필름, 캐논도 저가격의 보급 타입 디지털 일안레프를 등장시켰고, 2001년 말부터 2002년 초에는 캐논과 교세라로부터 고급 디지털 일안레프가 발매되었다. 보도사진 촬영을 직업으로 하는 ‘Pro 사진가’ 들에 있어서의 카메라란 그들의 생계를 책임지는 도구이므로, 신제품을 수용할 때 매우 신중하게 제품을 선택하게 되고, 그들을 추종하는 수 많은 사진 애호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의 사건은 업계에서 유명한 일화로 회자되고 있다. 4년마다 개최되는 올림픽에서 가장 주목을 받는 종목은 육상 100M 인데, 선수들이 역주하는 약 10초간의 생생한 모습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 트랙의 맞은편에는 전세계 모든 언론사에서 파견된 Pro 카메라맨들이 포진하고 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만 해도 그자리의 풍경은 검은색 망원 랜즈에 노란줄이 있는 니콘제품이 군락을 이루었으나,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는 하얀색 망원 랜즈에 빨간줄이 있는 캐논제품의 군락으로 바뀌어 버린 것. 이것은 오랜동안 필름카메라시대의 절대강자로 군림했던 니콘의 시대가 저물고, 디지털 카메라시대의 새로운 강자로 캐논이 등극을 하게 된 사건이었다. 또 하나의 기억될 만한 일화로 미놀타의 몰락을 들 수 있는데, 미놀타는 일본의카메라 역사와 함께 한 대표적인 기업으로, 카메라산업 관련 기술혁신의 변곡점이 된 시기마다 혁신적인 신제품으로 화제를 불러모았던 기업이었고, 1987년에 발표한 알파7000이라는 신제품을 통하여 Pro용 카메라 분야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하게 되어, 전세계 수많은 팬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후에도 APS System카메라는 물론 디지털 초창기제품에도 그 절대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을 무렵 미국 하니웰로부터 ‘AF기술’에 대한 특허침해 소송에 휘말려 1992년 당시 천육백억원의 배상을 하고, 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 결국은 몰락하게 된 일이다. 이처럼 시대적 패러다임이 바뀔 때 마다 카메라 Industry의 중심국가가 이동되어 왔고,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여 확장되기도 한 반면, 한 시대를 풍미하며 업계의 절대강자로 군림하던 기업이 하루아침에 몰락하게 된 역사적인 흐름 속에서 카메라의 디자인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범위를 디지털카메라로 한정하여, 여러가지 요인에 의한 디자인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근 미래에 진화하게 될 새로운 디지털카메라 디자인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드라마의 主題와 時代背景에 따른 촬영장 外部 마감재의 實證的 分析 硏究

        심홍식 弘益大學校 産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Our society now is rapidly changing from economy-oriented society to culture-oriented society. Recogni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as the center of national power is gradually expanding as the society is switching over to mass-consumption and service society; and it is brought into relief worldwide, for it is a high value added industry unlike the established manufacturing industry. Theme parks cannot anticipate development without image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image industry like TV drama, film and game software developed together with theme park industry. This leads to the expectation that rapidly developing Korean image film industry will have intimate relations with revitalization of theme park. Image cultural industry is developing to a high degree, and big-scale film-drama open sets are constructed in many places nowadays; yet, such is not being able to develop as a cultural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complex linked with the surrounding area. Although not all kinds of theme parks are related to image industry, the architectural form of image theme park, the representative of theme parks, has intimate relations with the film-drama set design techniques. The studies on open sets have been integrated with the notions like marketing, environmental factor, software and such up to date, yet objective studies for the architectural space in charge of hardware (finishes) regarding drama subject and periodical background do not exist at all. He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build up objective case analysis data to improve economic efficiency and safety of finish use for the future plan of open set construction, by comparatively analyzing spac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finishe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Yi San' from the middle Joseon dynasty and 'East of Eden' from the periodical background of 1970s to late 1980s. The study method and progress are like the following. In Chapter 2, the concept of image theme park, classification, component, present condition are grasped as the theoretical inquiry into image theme park, along with basic introduction of the idea and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 and present condition of 'theme park' as the super ordinate concept of image theme park. In Chapter 3, classification of open set type, drama background, spac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open set surface material treatment are analysed based on objective case studies, by analysing surface treatment of basic factors and finishes through the cases of 'Yi San' of Joseon dynasty background and 'East of Eden' of the background of 1970s to 1980s. In Chapter 4, it is to comparatively analyze surface materia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rama set, that is to say drama background, space, structure and finish material. For the finish material research, it was classified into spacial factors affected by visibility range and camera proximity shooting such as 1st floor finish, exterior finish of 2nd floor and up, ground finish, frame finish and roof finish; fo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finish material characteristics, items such as size, intensity, color, material quality are researched. Through such classification, analysis frame of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finishes according to actual drama set classification is arranged; case study is proceeded; surface materi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nd finish characteristics for drama set construction plan would be grasped by integrating all the mentioned. Through the above study and analysis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 regarding objective analysis on exterior finishes of drama are suggested. TV drama open set has the most use of spacial reconstruction. Drama recaptures our lives and the recaptured lives through drama has continuous effect on us in reverse. The change from analogue age to digital age demands change in sets which has been valid as the background of TV drama. Although drama production expenditure rose due to Korean Wave in Asia, drama open set needs to be approached as an architectural space by elevating the finish level of set to actual interior finish and using actual and real materials instead of deceptive low-budget materials, to manage and attract continuous interests as tourist spot after the drama departs. For this, the ones reconstructing realistic atmosphere which can be practical and kept permanently should be used as finish materials for architectural structure. Since open set structure premises historical research rather than the idea of designer, designs based on facts should be prioritized and it is in direct relations with theme park architectural technique. Space needs to be more diversified than building exterior, street formation and movement regulation of reality. The result of the drama set exterior finish analysis is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 First, when researching the spac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set for 'Yi San' is composed of 13 sections in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based off of Changdeokgung, and divided spaces defined by low fences piled up one on another centering around 5 yards. Spacial boundary is sensed through continuance and direction of gaze repeating 'block and openness' of structure by having differences in floor height of various spaces. One the other hand, the set for 'East of Eden' is composed of 43-section structure, it was built by recapturing Sogong-dong, Namyeong-dong and Pimatgol realistically. As for the spacial composition of 'East of Eden', hospital, post office, embassy, school and Taesung building were arranged on left side; 4 to 6 storied urban skyscrapers such as department store, securities, newspaper company and the bank of Korea were arranged on right side, based on North-South axis. Also, it was examined that the street, the transferring space leading to the back street of shopping district, induces to spacial expansion with visual continuance through mediating space repeating blockage, or disappearing by curving rather than remaining straight. Secondly, planes compose 6 parts of 'ㄷ' shaped dual Ikgong style 5-purlin structure, double-eaves and paljjak roof; leeguwa is composed of hexagon structure, 1 part of space and paljjak hexagon roof. It was researched that Seonjeongak and Seungharu are each composed of 'ㄴ' and 'ㅡ' shapes; 5 parts and 3 parts; dual Ikgong and 5-purlin structure, and Gyujanggak is composed of single Ikgong 5-purlin structure of 5 parts with double-eaves. Others like Dohwaseo, Gaksacheoso are found to be composed of 6 and 5 parts; Chulmok 3-purlin structure and single Ikgong 5-purlin; 겹처마 with paljjak roof and oneply-eaves with matbae roof. Thirdly, when analyzing roof finish, Taesung building, the bank of Korea, embassy, department store, securities, hospital, railroad bridge and such are finished with panel+VP; it was researched that securities, shopping district, bath house, publishing company, Wangjagak used slates; Wongudan used cement tiles; barbershop and the house of the hero used plywood+ western tiles as finish material. As for the finish of wall, it was researched that buildings made of GRC are Taesung building and the bank of Korea; structures finished with tile are barbershop and the house of the hero and Wangjagak. For the finish material of lower wall, it was used for buildings considered high such as Taesung building, the bank of Korea, and department store; bricks are used for others like embassy, securities, shopping district, hospital and Wangjagak. Forth, as for the floor composition, pattern composition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patterns and materials regarding the change on floor. Especially for the floor composition of 'East of Eden', the pattern composition for department store used P-TILE, stone, concrete and such depending on spacial composition; for spacial division, there are spaces heightening partial position depending on the overall plan; in case of Taesung building and the bank of Korea, the entrances are finished with granite and concrete. Especially for 'Yi San', the spacial division shows ranking system by diversifying floor level in traditional architecture. For exterior finish material, granite, patterned brick, P-TILE and Oregon pine plywood are mainly used; interior also appeared to divide space by the difference of platforms. For open sets to be used as theme parks after drama shooting, usage of proper materials for regulation; application of actual architectural regulation for fire fighting equipment like sprinkler, structural calculation and such need to be encouraged when building sets for traditional, modern and present structure theme parks to protect from typhoon, fire and other natural disasters. The concept of drama open sets in digital era is changing due to the input of much capital, technology and professionals, creating design harmonizing the whole with the use of visual video unlike the limited studio and temporary effect from the past. Along with such change, it needs to break away from the established temporary set and continuous study on architectural finish material should be demanded. 지금 우리사회는 과거의 경제 중심 사회에서 문화 중심의 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제 문화는 대중소비와 서비스사회로 전환하면서 국가동력의 중심으로서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고, 기존의 제조업과는 달리 고부가가치 산업이기에 전 세계도 문화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테마파크는 영상산업 없이는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미국에서는 영상산업-TV드라마, 영화, 게임소프트웨어-과 테마파크산업은 같이 맞물려 발전하였다. 이것은 지금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한국 영상영화산업이 테마파크의 활성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리라는 예상을 가능케 한다. 영상 문화산업이 고도로 발달하는 요즘, 여러 장소에서 상당한 규모의 영화-드라마 오픈세트(Open Set)들이 건설되고 있으나, 이것을 지역과 연계된 적정규모의 문화체험 및 오락단지 건설로는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테마파크의 모든 종류가 영상산업과 관계된 것은 아니지만, 본격적 테마파크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영상 테마파크(Image Theme Park)의 건축적 형식은 영화-드라마세트 디자인기법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오픈세트장에 대한 연구는 마케팅, 환경적 요인, 소프트적인 것 등과 같은 개념과 접목시키고 있으며, 드라마 주제와 시대 배경에 따른 하드웨어(마감재)를 담당하고 있는 건축공간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촬영장의 실증적 사례분석을 조선중기 시대물인 ‘이산’, 1970년- 1980년대의 ‘에덴의 동쪽’ 배경에 대한 특성 비교를 통하여 촬영장의 공간 및 구조적 특성, 마감재 처리의 비교분석에 의하여 향후 촬영장(오픈세트장) 건축계획 시에 마감재의 사용에 경제성과 효율성,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연구의 방법과 진행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영상테마파크의 상위개념인 ‘테마파크’의 개념과 분류, 특성 및 현황, 유형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와 더불어 영상테마파크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서 영상테마파크의 개념 및 분류, 구성요소, 현황에 대한 것을 파악하였다. 제 3장에서는 실증적 사례분석으로 촬영장의 유형분류, 드라마의 배경, 공간 및 구조특성, 촬영장의 표면재료 처리 특성에 대한 분석을,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산’과 1970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에덴의 동쪽’의 사례를 통하여 표면재료의 기본 처리 특성과 특수마감 처리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촬영장의 드라마 특성에 따른 표면재료의 비교분석, 즉 드라마의 배경, 공간 및 구조, 마감재료 특성을 각각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마감 재료의 조사에 있어서는 공간요소별로 가시거리와 카메라 근접 촬영 시 영향을 받는 저층부, 상층부 외부 마감, 바닥마감, 골조, 지붕 마감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마감재의 재료특성에 따른 분류로 재료의 크기, 색상, 재질에 대한 항목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통해 실제 드라마 촬영장의 분류에 따른 마감재의 특성 및 분류에 의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이에 따른 표면재료의 특성을 분석하여, 드라마 촬영장 건축계획 시 마감재의 특성을 파악하여 드라마 촬영장의 설계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와 분석의 과정을 통해 드라마의 외부 마감재의 실증적 분석에 관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공간적인 재현을 가장 많은 방식으로 소유하고 있는 것은 TV드라마 오픈세트장이라고 할 수 있다. 드라마는 우리의 삶을 재현하고, 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삶은 거꾸로 우리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는 TV드라마에서 지금까지 통용 되어 왔던 배경으로의 세트에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의 한류 열풍으로 인하여 드라마 제작비용이 상승 하였지만, 해당 세트장의 마감을 인테리어 마감 수준으로 올리고, 눈속임의 저가재료 사용에서 벗어나 현실적이고 사실적 재료를 사용하는 등 드라마 ’오픈 세트장‘도 하나의 건축 공간 차원에서 접근하여 드라마 촬영 후 관광지로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운영을 위해서는 건축구조물로서 마감 재료를 사실적인 분위기로 재현하고 실질적이고 영구적으로 보존될 수 있는 것으로 건축되어야 한다. 오픈세트장 건축물은 디자이너의 아이디어보다는 고증을 전제로 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사실에 입각한 디자인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테마파크 건축기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건축의 외관, 거리조성, 동선의 규정 등 실제보다 공간감의 다양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와 같이 드라마 촬영장의 외부 마감재의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공간의 특성을 보면, ‘이산’은 창덕궁을 모델로 하여 지어진 익공형의 전통목구조 13개 동으로 이루어 졌으며, 5개의 마당이 서로 중첩 배치되어 낮은 담을 경계로 하여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다양한 공간의 높낮이의 바닥 차이를 두어 건축물의 ‘막힘과 트임’을 반복하는 시선의 연속성과 방향성을 가지고 공간의 경계를 느끼게 하고 있다. 반면, ‘에덴의 동쪽’은 근대 건축물 43개 동의 구조로 이루어 졌으며, 소공동, 남영동, 피맛골 등의 모습을 사실적 재현을 통해 지어 졌다. ‘에덴의 동쪽’의 공간구성은 남북을 축으로 좌로는 병원, 우체국, 대사관, 학교, 태성빌딩이 배치되어 있고, 우로는 백화점, 증권사, 신문사, 한국은행 등의 4~6층의 도심의 고층건물이 배치되었다. 또한 뒷골목의 상가로 이어지는 전이공간인 길은 일직선보다는 구부러져서 사라지거나, 막힘과 트임을 반복하는 매개공간을 통한 시각적 연속으로 공간 확장을 유도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둘째. 구조적 특성으로는 ‘이산’의 중회당은 ㄷ자형 평면으로 6칸의 이익공방식의 5량 구조와 겹처마와 팔짝 지붕을 이루고 있으며, 이구와는 육각형구조와 단칸의 팔짝 육각지붕으로 이루어 졌다. 이 밖에 성정각과 승화루는 각 ㄴ자형과 ㅡ형, 5칸과 3칸, 이익공과 5량 구조로 이루어 졌으며, 규장각은 5칸의 초익공 5량 구조의 겹처마 지붕으로 되어 있고 대부분의 건물이 가칠 단청에 도배단청 마감으로 조사되었다. 기타 도화서, 각사처소는 6칸과 5칸으로 이루어 졌고, 출목 3량 구조와 초익공 5량 구조에 홑처마의 맞배지붕으로, 도화서는 겹처마에 팔짝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조적 특성으로 ‘에덴의 동쪽’은, 태성빌딩, 한국은행, 대사관, 백화점, 증권사, 병원, 철교 등은 철골+판넬로 마감을 하였으며, 목욕탕, 출판사, 왕자각과 같은 중소형 건물은 스틸 바(100X100)를 구조재로 하고 합판 판넬로 지어졌으며, 원구단은 전통 목구조 방식으로, 이발소와 주인공 집등 작은 건물은 소형 목재 기둥과 지붕 목조 트러스를 사용한 합판 판넬로 지어 졌음이 조사되었다. 벽체의 마감을 보면, 하층부가 GRC(glass-fiber reinforced cement)로 구성된 건물은 태성빌딩과 한국은행이며, 타일로 마감을 한 건물은 이발소, 주인공 집, 왕자각으로 조사되었고, 대사관이나 증권가 상가, 병원, 왕자각 등은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벽돌을 외장재로 사용하고 있다. 셋째. 툇마루 및 기단 구성의 구조적 특성에서 패턴구성은 평면의 변화에 따른 패턴과 재료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에덴의 동쪽’ 바닥 구성에서 백화점인 경우 P-TILE(plastlc tile), 돌, 콘크리트 등을 공간구성에 따라 사용하였으며, 공간구획에 있어서는 전체 계획에 따라 부분적으로 위치를 높이는 공간이 있었고, 태성빌딩과 한국은행의 경우는 출입구 부분에 화강석, 콘크리트로 마감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이산’의 공간구획은 전통건축에서의 바닥레벨을 다양하게 하여 위계질서를 나타나고 있으며. 외부 바닥의 마감 재료는 화강석, 전돌과 P-TILE(plastlc tile), 미송합판을 주로 사용하였고, 간혹 내부가 있는 경우 바닥의 단 차이에 의한 공간구획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 세트장이 드라마 촬영 이후 테마파크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전통 건축물이나 근대 혹은 현대 건축물 테마파크를 위한 촬영장 건립 시 태풍, 화재, 천재지변으로 부터 보호받기 위해서는 규정에 적합한 구조재의 사용과 소화전, 스프링 쿨러에 의한 소방 설비, 구조 계산등 현 건축 법규 적용을 적극 권장하여야 하며, 디지털시대의 드라마 오픈세트장은 시각영상물의 사용으로 전체 조화를 이루어 디자인을 만들어 가는 제한된 스튜디오와 임시적인 효과로써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어 낸 것과는 달리 많은 자본과 기술과 전문 인력의 투입으로 오픈세트장의 개념이 달라져야 하며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기존의 일시적인 예산 맞추기 위한 세트장에서 탈피하여 건축적인 마감 재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야 한다.

      • KOICA의 개발도상국 의상제작 교육 지원 연구 : 아프가니스탄 파르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조상우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Korea has a point of excellence relatively on the aids of education to developing countries but has a little contribution. Therefore, for better aids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ase of aids of fashion education for developing industrial clothing, because clothing is the basic for human living. Focused on clothing habits of human society, the case of teaching Afghan poor natives sewing technology which is the base of fashion and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of fashion for industrial infrastructure was studied. First of all, for escaping from economical poverty and difficulties, the concept and purpose of international developing aids of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aids was explained. And then, from the data of KOICA, which has been donating various educational aids to poor nations, the definition, necessity, and actual state of aids of education to developing countries were studied and analyzed. This study shows the case of cooperation for Korean overseas aids of education and the Korean fashion education condition about teaching fashion technology for developing countries living support. The case of nation of Afghanistan, which has a trouble and needs, was studied. KECC supported the aids of dressmaking education through Korean Provincial Reconstruction Team for Afghanistan in Parwan. This study included the preparation for a year, supporting various practice material and instruments in sewing, setting the supporting educational fashion curriculum, employment and founding enterprises, and adverts. Three different educational courses, a short term course of technology for 3 months, a regular course of technology for 5 months, and the aids of education for native women to support liv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study, the improvement of fashion education and technology for Afghan industrial infrastructure was estimated. This study will help Korean fashion industry to construct the base for advancing into Europe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Middle East.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선진 공여국들의 끊임없는 지원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빈곤이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 원인은 순수한 인도주의적 이념보다는 자국의 정치적?경제적 이익을 위해 지원하기 때문이며 이 같은 정부주도 원조의 비효율성으로 개발도상국의 자립능력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현재는 경제적 자립을 위한 교육원조가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나라들이 교육원조로 지원방법을 바꾸고 있다. 한국은 1950년대 이후 전쟁의 폐허에서 벗어나기 위한 주요 정책으로 전국민의 교육화를 선행하였고, 그 결과 20세기 후반 개발도상국에서 벗어나 선진국의 문턱에 다가서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육성과를 바탕으로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하였고 교육 원조분야에서 분명히 비교우위의 강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빈민국에 대한 기여도는 아직까지는 미미한 수준이다. 의류산업은 6.25 전쟁을 겪은 한국이 소규모의 산업에서 출발을 하여 놀라운 경제성장의 디딤돌이 되었고 1980년대에는 수출을 주도하는 산업으로 다른 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하게 하였다. 그 결과로 한국은 OECD에 가입과 선진국의 대열에 발을 맞추게 되었기 때문에 한국의 강점인 교육 지원 원조를 활성화하고 그것을 위한 연구 및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하여 현재 내전과 전쟁의 폐허 속에 산업 기반 시설이 부족한 세계 최고의 빈민국인 아프가니스탄의 경제 자립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 의상제작 기술교육 지원 사례를 통한 그 필요성을 인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12월 한국군 오쉬노(Ashena) 부대의 주둔 장소인 아프가니스탄 파르완州차리카에서 기술교육 지원철수를 하는 한국 지방 재건 팀(Provincial Reconstruction Team)에서 KOICA(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의 지원 아래 KECC(Korean Educational and Cultural Center)의 소속으로 1년간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아프가니스탄 파르완 차리카 지역에서 수행한 의류제작 기술교육 지원 체험을 바탕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국제 개발 교육 원조의 개념과 목적, 그리고 현황 등을 각종 자료와 언론매체를 참조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세계 여러 빈민국에 다양한 교육지원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코이카(KOICA)의 자료들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교육환경의 실태, 해외 교육 원조의 정의, 해외 교육 원조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교육 지원의 현실적 어려움 속에서 직업이 필요한 교육생 선발을 위해 현실에 맞는 기준을 만들고 다양한 실습재료와 기자재의 지원방법과 필요성, 지원교육생의 수준을 통한 커리큘럼의 구성, 교육과정 이수후의 취업과 창업의 기회 확대를 연구하였다. 의상제작 기술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는 3개월의 단기속성 기술과정, 5개월의 정규 기술과정, 가계도움을 위해 어려움에서도 실행한 현지 여성의 교육지원 등 세 가지의 교육과정을 통해 현지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 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아프가니스탄 현지인들의 이슬람 문화와 생활, 의식을 먼저 이해하고 제한된 활동 안에서 교육지원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열악한 초등교육과 문맹의 80%의 현실 속에서 다양한 지원혜택만을 생각한 개인적인 이기심으로 선발 조건을 무시하였다. 그리고 눈앞의 생계유지만 생각하여 부족한 직업의식과 노력 없는 생활이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KOICA에서 제시한 교육생 선발 규칙에 따라 현지인들에게 기초 초등교육을 함께 지원하고 간결한 개인 인터뷰와 테스트를통한 선발 방법을 실시하여 짧은 교육기간의 효율성 높은 교육으로 많은 현지인들이 지원 혜택을 받는 기술자 양성의 개선된 교육지원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내전의 위험에서 기술축적과 산업현장 구축을 위해 열악한 교육환경속의 부족한 교육적인 역량과 교사들의 부족은 교육지원 운영에 있어서 또 다른 문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현지 교육생들의 언어소통과 기술교육 지원을 위해 현지교사들의 한국 연수기회를 활용하고 한국의 선진문화를 경험하여 교육의 필요성과 산업구축의 성과를 느끼게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수준 높은 현지교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개선된 교육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목적이 부족한 직업의식은 아프간 현지인들에게 끊임없는 물질적인 지원으로 이어져서 결국은 빈곤의 악순환의 자리에서 맴도는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에서 산업화 구축이 쉽고 현지인들이가장 선호하는 의상제작 기술교육을 더 많은 지원과 혜택 안에서 짧은 교육기간동안 교육지원의 혜택을 경험하게 하고자 효율적인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연구하고 취업과 창업에 활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외국인들에 대한 각종 테러공격의 위험과 현지인들의 종교와 생활에서 부족한 홍보 문제점과 활동제약에 따른 문제점, 그리고 산업구축의 문제점이 나타났고 이를 위해 생계비를 비롯한 다양한 지원금 확대와 새로운 재분배, 그리고 이수 후 관리 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섯째,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종교와 생활에 대한 이해부족과 현지인들의 경제생활에 나타나는 열악한 교통수단으로 인해 느껴지는 많은 어려움들이 교육지원 운영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 종교 활동 보장과 남, 여 성차별을 개혁하는 2부제 수업실시, 안전이 보장되는 출입통로 확대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지인들의 높은 문맹률을 낮추기 위한 기초 교육 현장 구축을 하였고 생계활동을 위해 기술교육과 산업현황이 이루어질 수 없는 빈곤한 현실에서 현지인들이 의상제작 기술교육 지원을 받고 스스로 자활하여 산업현장을 구축할 수 있는 직업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수준 높은 기술교육의 지원을 위해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의상교육 시스템을 단계별 교육기간에 맞춰 중간, 기말 평가를 하여 적합성을 판단하였고 그 결과로 실습물 완성과 전시회를 통하여 평가를 하였다. 또한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교육기관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교육생들에게 아낌없는 문화적인 지원과 교육과정 이수 후에 취업과 창업을 위한 지원을 하였고 그 결과를 연구하였다. 현재 KECC의 교육지원은 종료시점을 앞두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파르완 지역의 차리카 PRT 자체 교육 실현 완성도와 기술의 질적 향상수준을 기대하고, 아프가니스탄의 산업 인프라 구축 및 빈민국 탈출의 기대를 도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향후 다른 개발도상국들의 산업구축에 한국의 의상제작 기술교육 지원이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OECD 회원국의 소임을 다하고 인도주의적 방향에 따른 한국의 의상제작 기술교육 지원이 개발도상국들의 산업화 구축에 바탕이 되며 나아가 이들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개발도상국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한국의 대외 이미지 협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이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 도시재생전략으로서 근대산업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유희정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도시재생의 개선방안에 대한 일환으로 근대산업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스 디자인이 가져야 할 의미를 되새기고 보존에 의존한 디자인을 탈피하기 위해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한 연구이다. 급격한 도시성장으로 인한 산업이동, 신도시 개발에 따른 구도심 쇠퇴, 인구도심 집중과 산업화에 따른 환경문제 악화 등이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도시들은 도시정체성을 강화하고 매력적인 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해 도시재생에 대한 개발정책을 시도하고 있으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있다. 도시재생의 구축은 전 세계적으로 국가 전체와 각 도시의 관광객증가는 물론이고, 도시에서 생산하는 제품과 서비스 등의 호의 도를 증가시켜 실제적인 경제적 이익을 야기 시킨다. 이에 따른 도시들은 도시이미지 가치향상을 위하여 각종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지속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 구역 내의 문제만을 단기간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 곳곳에 남아있는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해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 유휴 화된 공간에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하고자 하는 변화가 보여 지고 있다. 근대산업 유휴공간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오면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잠재되어 다각적인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전략으로서 근대산업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스 디자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측면에서 재생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컨버전스 디자인의 공간적 재생특성을 도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도시재생으로 성공을 이룬 해외 선진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이를 통해 컨버전스 디자인을 적용한 문화공간 제안 하였다. 이처럼 컨버전스 디자인 활용방안은 지역 정체성과, 문화적, 경제적 활성화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근대산업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향후 도시재생을 전략으로 활용되어 효율적인 공간으로 변모시켜나갈 것이다. 나아가 도시이미지 가치향상을 위해 사회적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 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mind us of the meaning that convergence design idle spaces of modern industries should have and to draw a direction for moving away from the design relying on preservation, as a method of improvement for urban regeneration. The social issues, such as industrial migration due to rapid urban growth, decay of old downtown areas due to new city development and aggrav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due to urb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emerged. In this situation, each city tries development policies for urban regeneration and also seeks for a new paradigm to strengthen identity of the city and to create attractive images. The establishment of urban regeneration creates practical economic benefits by increasing good impression on the products and services produced in a city as well as increasing the number of tourists to a country and to a city. Therefore, every city pushes forward a variety of redevelopment projects to increase the city image value. The cities, however, tend to try to solve problems in a short time, not considering persisting condition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some change is shown to shed new light on the value of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which remain everywhere throughout cities, and to give new life to the idle space of them. We need to look at the idle spaces of modern industries from various point of views as they have potential values historically and culturally, playing important roles in local economy and society. Thus, in this study, we considered convergence design idle spaces of modern industries as a urban regeneration strategy. By way of the study, we could identify the types of regeneration from social aspect and drew spacial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design. In addition, we suggested cultural spaces adopting convergence design by surveying and analyzing overseas advanced cases that has succeeded in urban regeneration. Like this, the way of utilizing convergence design i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local identity and cultural and economic vitalizations. The study on convergence design idle spaces of modern industries would help change the spaces into efficient areas, being used as a urban regeneration strategy in the future. Furthermore, we expect that the data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reas of the society for increasing city image value.

      • 소형 Cruise 요트 인테리어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성수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21세기는 지식. 정보 산업화와 문화적 감성산업이 더욱 깊이 진전되고 기술혁신에 의한 기계화, 자동화의 영향으로 노동시간이 단축 되면서 상대적으로 여가시간이 늘어나게 되었다. 생산성 향상 및 획일화 된 작업 환경과 도시의 생활 속에서 자신을 재발견 하려는 의미의 여가생활과 레저가 발달되고 있으며, 생활목표를 여가활용을 통한 개성 있는 생활양식 창조로 변화되는 사회가 시작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 소득증가에 따라 삶의 질적 향상 및 여가활동, 레저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레저의 트랜드도 바뀌게 될 것이며, 또한 레저비용의 지출도 많아지면서 레저문화가 향상하게 될 것이다. 이제까지 산악 및 휴가에 맞추어 이동하는 레저 생활이었다면 앞으로는 레저의 차별화로 한층 더욱 세분화 되며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가시간을 통하여 자연을 직접 체험 하면서 즐기려는 역동적 해양스포츠 및 레저가 젊은 세대 중심으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경향이다. 그러나 현재 해양레저의 스포츠 장비들은 보급, 생산이 상당히 미비하며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레저의 장비들은 향후 새로운 산업분야로 조성 될 수 있으며, 해양레저의 관련시설의 정비와 환경을 조성하여 대중성을 높여 해양레저 활성화를 적극 추진해 나아갈 필요성이 있다. 해양레저 및 스포츠는 우리나라에서 시작단계에 불과한 실정이지만 잠재성은 다른 산업에 비교하여 매우 높은 산업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해양레저산업 및 새로운 해양 관련 산업분야(해양 스포츠지도 및 장비대여, 마리나 운영, 레저선박 제조 등)를 미래의 핵심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해양 스포츠 및 해양 레저 장비의 개발과 함께 레저 선박의 국산화를 통하여 국민 다수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해양레저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요트산업의 설계와 생산은 저조하면서, 큰 관심을 끌지는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면서 장기적으로 해양레저 산업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해양자원의 활용을 위한 해양레저 제품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현대인의 여가 활용 및 해양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레저 산업의 한 부분을 제안 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레저의 고급화, 차별화를 지향하며 선박의 안정성을 고려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 하는 등 Cruise요트의 인테리어 시설을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게 디자인 제안 하고자 한다. 각 연구는 문헌 조사, 웹서치, 현장조사 등으로, 배경, 사례분석, 유형분석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을 통한 사용자 편리성의 결과를 종합하고 구체화하여 전달되도록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Cruise요트를 분석 하기위한 배경으로 서술하였다. 우선 해양레저의 발전과 향후예측을 이론적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요트의 일반 개념을 문헌과 웹서치등으로 수집 정리하였다. 3장은 요트의 사용자를 선정 및 사용자 실태 분석으로서 문헌조사, 서적, 통계자료, 웹페이지등 각종 택스트 자료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정과 사용자 행태를 예측 하였다. 또한 실질적으로 요트 사용경험이 형성되는 공간 및 환경을 인터뷰 및 관찰로 구체적인 사용행위에 대해 수집 및 분석을 하였다. 4장에서는 각 지역에서 제작된 요트의 성향과 특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편리성과 3장에서 분석된 내용을 기초로 규모 설정 후 다양한 사용자 중심 환경, 형상화 적용방법 등에 분석을 하였다. 5장에서는 디자인 전개 과정으로서 사용자 중심 개발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디자인 컨셉 및 이미지 설정을 돌출 하였으며 레저생활의 고급화 차별화를 위해 공간 설정 및 편의성 중심으로 전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 및 결과물을 통하여 해양레저의 활성화 하는데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 추측을 하며 향후 감성산업시대 레저산업의 새로운 대안 기초로서 사전적 고찰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The 21st century can be characterized by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ustries and the development of a sensitivity-centered cultural industry. These, and the spread of mechanization and automatization across society, have decreased labor time; consequently, people suddenly found themselves with more leisure time. As a result, there has been great surge of leisure activities that allow people to rediscover themseives, an important need in the urban life style and monotonous work atmosphere where the sole focus is on raising production. It can be foreseen that in the near future, society's members will find a new goal in creating personalized life styies, a goal attained by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leisure activities. Furthermore, with the rise in personal income,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rising demands for quality leisure activities, new trends in leisure activities will evolve. And naturally with the increased expenditure on leisure, an advanced leisure culture will emerge. If the leisure culture thus far has been focused on hiking or other migratory activities targeted at vacation time, the future will bring a great variety of specialized activities, each with distinct appeal. Of such activities, water sports and water leisure activities are gaining popularity and a following amongst the younger generation. The vibrancy of the water sports and the ability to enjoy nature during leisure time, have been especially appealing. However, the deficiency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water sports equipment in Korea has caused a heavy dependency on imported equipment. Such water leisure equipment may be the feature of a new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time that a water leisure atmosphere with quality facilities is established, raising its popular appeal and advancing water leisure as an activity and an industry. Water leisure and sports are in their beginning stages in Korea; however, the potential of this industry is great. The task at hand is to further advance the water leisure industry and other related industries, such as water sports maps and equipment rental, marina operation, and leisure ship production. New water sports and water leisure equipment must be created and developed and the production of leisure ships must be brought into the country. Such developments are what will allow a wide population to safely enjoy water leisure. Therefore, the focus of this study will be on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Korean yacht industry: its low production, poor designs, and the meager popular interest. The study will also present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s that utilize oceanic resources; these products will be a large part of the future water leisure industry. Furthermore, it will offer ways to invigorate water sports by making it a mainstay of leisure time activities. This study will also present a deluxe cruise yacht interior design with facilities accommodating the user's needs, while considering security and convenience. The research was done on various literatures, on the Internet, and through field study and the study is focused on background, case studies, and form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n user convenience are conglomerated and specified. Chapter 1 will outline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research in this study. Chapter 2 is a background to the analysis of cruise yachts. First, the history and prospects of water leisure, its theoretical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then the general concept of the yacht is investigated and collected through the web and printed literature. Chapter 3 is an analysis of the user selection and demographics in the current yacht industry. The analysis is founded on various textual sources, ie. various literatures, statistics, and web pages. From the results, future user selection and demographics are estimated. Also with interviews and investigation in the areas where yachts are actually in use, information about specific yacht use activities was collected and analyzed. Chapter 4 looks at yachts manufactured in various areas, and by analyzing their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user convenience is examined. After determining scale based on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chapter 3, various user-friendly environments and user applications are analyzed. Chapter 5 presents a yacht designing process with a design concept and image aimed at user convenience. The economy of space and convenience were of foremost concern to create an atmosphere of deluxe quality leisu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imed at bringing new opportunities to invigorate water leisure activities, and it is hoped to be a starting point for the rise of the water leisure industry as the forerunner of a sensitivity-centered cultural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