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학습 경험과 환경교육 실천

        백종송,김찬국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eacher’s learning and environmental education (EE) practices interact with each other by looking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teachers’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n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knowledged as dedicated EE practitioners. Based on the belief that teachers teach ‘what they believe’ and ‘what they know’, the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a teacher’s belief leads EE practices by providing the direction of EE practices, working as a driving force for learning, and helping to overcome obstacles in EE practices. Second,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teachers showed changes in forming perspectives on the environment, getting interests on the environment, building their own perspectives on the EE, acquiring instructional knowledge and becoming more matured citizen with high level of consciousness on the environment. Third, teachers’ learning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s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 and continu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develop themselves.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실천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교사의 환경교육 실천과 관련된 배경으로 교사의 환경교육관과 학습 경험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교사의 학습이 환경교육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환경교육을 활발하게 실천하는 초등교사 9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면담의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인 교과 교육과정이 제시되지 않은 초등학교에서 환경교육은 교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실천 유형 역시 다양하다. 이 연구에서는 환경교육 실천 유형을 환경감수성을 기르는 교육, 환경 쟁점을 이해하는 교육, 의사결정을 경험하는 교육, 개인의 실천을 이끄는 교육, 사회 변화에 참여하는 교육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환경교육을 이끄는 것은 교사의 신념이며, 교사의 환경교육 실천에는 환경교육관이 반영된다. 셋째, 교사의 생애 과정에서 환경 및 환경교육에 대한 학습은 교사가 되기 이전인 가정환경이나 학창시절부터 교사 양성과정인 대학교 교육, 현직 교사 시기의 대학원 진학, 워크숍 및 연수, 학습공동체 참여, 자기 주도적 학습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학습 경험은 환경교육 실천과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한다. 교사가 ‘자신이 믿는 것’과 ‘자신이 아는 것’을 교육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환경교육관은 환경교육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거나 학습의 원동력, 환경교육 실천의 장애요인을 극복하는 힘으로서 환경교육 실천을 이끈다. 교사는 학습을 통해 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며, 환경교육관을 형성하고,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습득하거나 환경시민으로 성장하는 등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교사의 학습과 교육 실천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서로가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이어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