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양 고·중세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정기문 ( Jung Gi-mo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3 No.-

        해방 이후 지금까지 서양고중세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가 그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양고대사 분야의 개척자들은 모두 서양 고대의 민주주의, 그리고 민주정체와 관련된 문화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서양 고대사 연구 1세대들이 이런 관심을 보인 것은 서양의 선진적인 역사 문화를 한국에 소개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민주주의 발달에 기여하고자하는 사명감 때문이었다. 이들의 관심은 이후에도 지속되어 아테네 민주주의와 로마 공화정의 구조는 계속해서 연구되었다. 1980년대 중반 연구자들의 양적,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연구 분야가 다양해지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체계화할 수 있는 학회들이 만들어졌다. 또한 연구자들은 협동하여 연구 성과를 널리 알리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서양 중세사 분야의 개척자들은 서양이 어떻게 근대화에 성공하였는가라는 문제 의식을 갖고 중세사를 바라보았다. 따라서 그들의 주요 관심사는 중세 장원제도와 자본주의으로 이행이었다. 이런 문제 의식은 2세대 연구자들에게 이어져 1970년대까지 연구의 초점은 사회 경제사에 두어졌으며, 이후에도 사회 경제사는 서양 중세사 연구의 중심 축을 이루었다. 1970년대 후반 이후 연구자들의 양적,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연구 주제가 다양화되었다. 중세사 분야의 연구 역량이 축적되면서 1996년에 서양중세사학회가 창립되었고, 전문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대중들에게 알리기 위한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렇게 서양 고·중세사에서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연구 성과를 알리기 위한 작업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들은 그것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 교과서 집필자들은 주요 연구 성과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이는 교과서에 오류가 매우 많다는 사실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교과서 집필자들은 기존 교과서의 오류를 지적하는 글조차 제대로 읽지 않았다. 또한 역사 교과서에는 다른 문제가 있었다. 교과서 집필 기준이 대강화 되면서 교과서 사이의 차이가 매우 컸고, 서술의 재미를 지나치게 추구하면서 핵심 내용이 빠지는 일도 많았다. 한편 역사 연구자들 측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사항도 있었다. 교과서에 실려야할 주요 요소에 대해서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는 경우가 있다. 아테네 시민들의 민회 참석 연령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교과서의 오류를 바로 잡고, 이런 이설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에 대한 집단적인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I examined the outcome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of the West in last 50years and how much the outcome was reflected in the current junior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s a result, I found that there were serious problem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educators. I think the authors of the current junior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who consisted mostly of professors and teachers did not write well the outcome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of West in last 50years. Some will say the main cause of present state is the limited space of the history textbooks and considerations on the level of learners. But I found many errors which had been pointed out previously by the researchers were repeated in the writing of the text book. For example, Yoon Jin, in his paper “Problems of Description about Ancient European History in the textbooks of Society for Middle Schools” pointed out that most textbooks described the beginning year of the Aegean civilization as 2,000 BC. But the beginning year was around 3,000 BC. Some textbooks repeat the mistake. So the main cause of the mistakes of the authors was the absenc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addition to the absence of such communication, I found some problem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First there are some serious differences in writing the major teaching element. How much do we permit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authors. Second, while the important contents of history have very small space, the pictures have very large space. It is an irony that makes key factors auxiliaries. We should take thoughtful consideration on this problem to improve the history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 KCI등재

        두 시공간을 잇는 작업, 헤로도토스 『역사』의 번역

        김봉철 ( Kim Bong-cheol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8 서양고대사연구 Vol.52 No.-

        이 논문은 서양고대 역사문헌의 번역 문제를 헤로도토스의 『역사』 번역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2장에서는 『역사』 번역의 방법론에 대해 논의한다. 번역의 방법론은 대개 번역의 목적, 원천 텍스트의 유형과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그에 따라 『역사』 번역에도 다양한 방법론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역사』를 전문 학술서와 역사고전으로 읽는 독자들을 위해 원문 위주의 학술번역이 요구된다는 점, 텍스트 유형에 따른 방법론으로 원천텍스트의 내용과 형식에 충실한 번역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역사서로서의 성격에 부합되도록 저자와 원천 텍스트 위주의 번역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런 번역방식은 넓게 보면, 베누티가 제시한 이국화 번역에 해당한다. 이국화 번역은 원천 텍스트 특유의 이국적인 언어적·문화적 요소를 수용하는 입장이므로, 학술번역과 역사서 번역에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그런 이국화 번역방식이 『역사』 번역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역사』에 담긴 시간·공간적인 이국적 요소, 저자의 이국적 요소, 텍스트의 이국적 요소가 여러 번역본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점검한다. 시간·공간적인 이국적 요소로는 『역사』에 사용된 특수한 명칭과 개념 용어를 드는데, 당시의 고유명사, 의복 및 악기에 관한 명칭, 에트노스와 폴리스 같은 개념 용어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런 용어들은 시대착오적인 번역 용어로 대체하기보다 헤로도토스가 표현한 말을 그대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저자의 이국적 요소는 저자 특유의 개성과 습관, 관점, 가치관 등에 관계된 것인데, 헤로도토스의 그리스 중심적 관점과 다문화 인식을 예로 들 수 있다. 그의 그리스 중심적 관점은 그리스인 위주의 방향 표현, 그리스식의 이방인 서술에서 잘 나타난다. 한편 헤로도토스의 개방적인 다문화 인식은 바르바로이와 그들의 문물을 존중하는 서술에서 잘 드러난다. 『역사』 번역에서는 헤로도토스의 이런 양면적인 관점이 반영된 독특한 표현들을 원문 그대로 충실히 전할 필요가 있다. 헤로도토스 텍스트의 이국적 요소는 그의 텍스트 구문상 독특한 관행을 말하는데, 자타 견해가 분명히 구분된다는 점, 동일한 술어가 반복 표현된다는 점, 예고적 문장이 자주 사용된다는 점, γaρ 구문을 자주 사용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점들은 헤로도토스 서술의 기본 방침과 통일적 연계성을 잘 보여주기 때문에, 축약이나 누락되지 않고 원문 그대로 전해질 필요가 있다. 이상의 이국적 요소들은 『역사』의 이국화 번역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지향점들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problems of translating ancient Western historical writings, focusing on Herodotus’ Historiai. In chapter 2, it deals with the translation method of Herodotus’ Historiai. Herodotus’ Historiai needs to be faithfully translated as an academic book for readers who are concerned with ancient Western history. The text type and character of Historiai as a historical source demand source text oriented translation. These translation methods for Historiai almost accord with the concept of foreignization proposed by L. Venuti,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ists in translation studies. I think the concept of foreignization could be a most suitable translation theory for the academic and faithful translation of some historical writings such as Herodotus’ Historiai. In chapter 3,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how the foreignizing translation could be applied in translating Herodotus’ Historiai. Here the source-text foreign elements of Herodotus’ Historiai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at is,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world, those in Herodotus himself, and those in Herodotus’ text. Names(such as proper names,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and conceptions(such as ethnos, polis) used by Herodotus in his Historiai belong to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world. These names and conceptions should be translated faithfully to Herodotus’ own words in order to retain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world.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himself include some ideas, habits, and characters of Herodotus. In this article, Herodotus’ two opposing viewpoints, i.e. his Greek-centric mindset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re treated as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himself. Some words and sentences showing those viewpoints also should be retained in translating the source text.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text mean some peculiarities occurring frequently in his text. These are the division between the opinions of Herodotus’ and any other’s, use of introductory participles that repeat the main verb of the previous sentence, use of prospective sentences accompanied by forward-looking demonstratives(such as oδε, wδε, τοιoσδε), and use of γaρ sentences introducing the reason or cause of what precedes. These peculiarities are important for preserving the characteristic form of Herodotus’ text, and therefore should be retained unless they severely impair readability in the target language text.

      • KCI등재

        2015년 교육과정에 따라 검인정된 고교 세계사 교과서들의 연구 - 서양고대 서술의 관습적인 문제점들 및 전공지식 적용상의 문제들

        손태창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4 No.-

        Th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were written according to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5. In the background, in relation to the history textbooks, cries for correct historical writing have risen up in the political and social fields, while the requirements of the time emphasized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World History that had been long discussed. The writer of this paper selected a certain particular part, namely the antiquity of the West, for this study as it is also his major. The direct objective textbooks are of 4 different kinds: Chunjae, Bisang, Keumsung and Mirae-N. This paper had two focal points according to which textbooks were considered. Firstly, it considered the conventional limits and problems of the textbooks that were exposed in relation to the field of western antiquity. Through this 3 points are proved: (1). The problem of stereotyped pattern in the description, (2). Lacking in the writing that indicates a failure to consider the level of the readers, and (3). A shortage of casuistic descriptions that are supported with logical and historical contexts. The second interest of the paper was how much perfec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was realized in the textbooks. In order to analyze systematically and sequentially the object of study, Western Antiquity was divided into 3 specific periods: the Ancient Near East, Greece and Rome. In the Ancient Near East, the limit of the interpretation according to geographical determinism for ancient Egypt, the problem of systematic analysis of military technology, and the necessity of explanation on the mechanism of Assyrian imperialism became issues. In Greece, the shortage of conceptual explanation regarding democracy, the limit of conventional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hens and Sparta, and the three main erroneous understandings on the Alexandrian era were indicated. And in Roman History the writer found 2 problematic things: a shortage of conceptual understanding regarding Roman Republicanism and a limit in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Our Korean textbooks on World History seem to have become colorful and luxurious. But they prove to still contain not a few problems in that there are the shortages of understandings on the historical facts and their conceptions. The writer would like to suggest for the purpose of the qualitative maturity of the World History textbooks that more specific professionals should be employed not only for the field of authorization but also for studying and writing these books. 2015년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교과서들이 이후 새롭게 집필되었다. 역사 부문 교과서에 관련해서 그 배경에는 당시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었던 역사교과서의 문제로 인해 올바른 역사서술을 위한 외침이 강하게 일어난 정치-사회적 문제도 있었고 장기적으로 논의된 현실적인 세계의 흐름을 반영하는 시사적인 세계사 인식을 위한 시대적 요청도 있었다고 할 것이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된 교과서들 중에서 본고에서는 필자의 전공인 서양고대에 관련된 세계사 교과서들의 서술을 다루게 되었다. 이에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취급의 대상이 된 교과서는 2017년 검인정을 통해 2018년 3월에 출간된 도합 네 가지의 고교 세계사 교과서이다: 천재, 비상, 금성, 미래엔, 본고에서는 두 가지 관심사를 가지고 이 교과서의 서술에 보이는 문제들을 다루었다. 먼저 이 교과서에서 서양고대의 영역에 관련되어 보이는 관습적인 서술상의 한계와 문제점들을 짚었다. 이로써 분석을 통해 확인되는 바가 서술의 고정적 패턴화의 문제, 독자의 입장을 배려한 눈높이를 맞추는 서술의 부족, 논리적, 역사적 맥을 고려한 인과관계적 설명의 부족 등이었다. 또 한 가지 초점을 둔 문제점의 진단은 전공지식이 교과서들에서 어느 정도의 완성도를 지니고 반영되었나 하는 점이었다. 이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서양고대를 다시 세분화해서 고대근동, 그리스, 로마 세 가지 분야에서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찾아 보았다. 이로써 고대근동에서는 이집트에 대한 단순한 지리결정론적 해석의 한계, 군사적 기술에 대한 체계적 분석의 문제 그리고 아시리아 제국주의의 메커니즘 반영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게 되었다. 그리스에서는 민주주의의 개념에 대한 설명적 제시의 부족, 아테네와 스파르타 관계사 해석의 상투적 인식의 한계, 알렉산드로스 시대를 이해하는 주요 세 가지 역사적 사실파악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로마에서는 공화정 자체의 개념적 인식의 부족과 기독교 설명의 계통적 파악의 한계 등을 찾아내었다, 시대가 흐르면서 세계사 교과서가 매우 화려해지고 다양한 설명수단을 동원하고 매우 다채로와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서양고대만 해도 필자가 보기에도 적지 않게 다양다종의 크고 작은 시정되고 보완되어야 할 역사적 사실과 그 개념에 대한 인식의 문제들이 보인다. 세계사 교과서 집필의 질적이고도 내적인 성숙을 위해 집필진과 연구진 그리고 검정하는 과정에 좀 더 많은 전문인력을 투입하도록 간절히 요청하는 바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그리스 중서부 아카르나니아와 아이톨리아 코이논(koinon)의 정치적 변천과정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2 No.-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에 아카르나니아는 물론 아이톨리아 지역에서도 폴리스들은 독자적 노선을 걸었다. 느슨한 관계의 코이논은 일관성 있는 대외정책을 추진할 만큼 응집력이 없었다. 그러나 4세기 이후 그리스에 용병 제도가 만성화되고 군사적 충돌이 가중되면서 이들 지역의 폴리스 간에도 강압에 의한 지배 피지배 관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코이논의 응집력도 강해지게 된다. 한편, 펠로폰네소스 전쟁시기에 보이는 폴리스 내의 이른바 과두파와 민주파 간의 정치적 갈등도 시민의 자유나 도시의 독립이 전제가 되었을 때에 가능한 것이었다. 반면 후대 군국주의가 팽배하고 코이논 내의 강한 폴리스나 코이논에 자체에 대한 외세의 압력이 강화될 즈음이 되면 폴리스 자체의 독립은 물론 그 내부의 정치적 갈등도 함께 사라진다. 응집력이나 억압의 정도뿐 아니라 공동체 운영의 원리도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다. 기원전 5세기 말 투키디데스(3.105)는 아카르니아 인과 암필로키아 인이 한 때 암필로키아의 수도 올파이에서 공동의 재판소(koino dikasterio)를 가지고 운영했다고 전하고 있는데, 이렇게 재판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공동체는 후대의 군사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발달하게 되는 공동체와는 성격이 사뭇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반드시 강압적 무력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 재판은 중의에 따라 진행될 가능성이 많으나, 후자의 경우는 강자나 행정권자의 발언권이 더 강화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케도니아의 그리스 정복이나 로마의 영향력이 강화되어가는 가운데서도 아이톨로-아카르나니아 각 지역에서는 과거 폴리스 자유 시민의 전통이 여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대내외 적으로 독자적 행보는 다소간 이어졌고 지향성의 차이에 따른 갈등이 끊이지 않고 계속되었다. 이런 갈등은 로마가 완전히 그리스를 속주로 하는 2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노정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로 이웃하고 있으나 아카르나니아 코이논이 아이톨리아보다 상대적으로 더 분권적, 민주적이었고, 그에 비해 아이톨리아는 더 응집성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아이톨로-아카르나니아 지역에서 무력충돌과 군국주의가 헬레니즘 시대에 들어서 팽배하기 전 이미 그 단초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통해 표출되고 있었다.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서로 갈등하고 또 그에 준하여 기타 도시 내에서도 파가 갈려서 서로 갈등한 것이 그것이다. 한편으로 스파르타는 농업 경제를 바탕으로 빈부의 차이, 각종 특권층과 비특권층의 구분이 있었던 것이고 그들 간의 사회적 격차는 날이 갈수록 심화되었다. 다른 한편, 아테네가 추구했던 해상 상업과 델로스 해상제국에서도 스파르타와는 다른 형태의 억압과 불평등이 날로 가중되어갔다. 아테네와 스파르타, 나아가 그 중 어느 한 편에 편승하려고 하는 그리스의 폴리스 시민들은 서로 자신에게 유리한 쪽을 편들었고, 자신의 승리를 위해 양 편 모두 군사력의 증대에 의지함으로써 사회 전체가 만성적 군국주의가 팽배하는 만성적 갈등을 빚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The city states (Poleis) in Aitolia and Akarnania frequently took an independent standpoint during the Peloponnesian War. Decentralized koinon could not exercise a cohesive enough power to seek after a consistent and unitary foreign policy. Since the 4th century B.C., however, the development of mercenary forces and increased military collision enforced cohesiveness among the city states, which was accelerated by the need of self-protection or the need for military conquest against others. During the Peloponnesian War which spanned the end of the 5th century, the city states of Akarnania were comparatively much more mobile than those of the Aitoliain. The latter, however, especially Naupaktos, the harbor on the north seaside of the Corinthian Gulf, mostly took the side of Athens. However, in contrast, Leukas, the island neighboring with Akarnania on the west coast of Greece, was ever hostile to Athens. Meanwhile, in Kerkyra (Corfu), north of Leukas, the conflict was more fiercely developed than at any other place, between the democrats supporting Athens and the oligarchs on the side of Sparta as well as Corinth. Since the fourth century, however, intense discords between different political factions inside city state gradually disappeared. Instead of these, the relation among ‘koina’engaging mighty foreign or inner despotic powers rose as a matter of concern. At that moment, the liberty of citizens in weak or small scale city states gradually disappeared, and professional political authorities based on military power appeared on the scene. The individual foreign policy of each city state as well as the political antagonism between the so called oligarchy and democracy was able to unfold under the circumstances presupposing its independency. With the lapse of time however the increase of militaristic initiatives enfeebled the independence not only of Aitolo-Akarnanian city states but others also. Inversely the initiatives of strong city states among a koinon or exterior powers outside of a koinon prevailed to violate the independence of weaker city states, which resulted in stamping out political conflict inside of the polis as well. Not only degree of cohesion or oppression of power but also the operation mechanism of communities differed according to the epoch. According to Thucydides (3.105), a common court (koinodikasterio) was ever held in Olpai, the capital city of Amphilochia, by the community including Akarnania and Amphilochia. The organization composed for judicial affairs formed a striking contrast to that managed for political hegemony or military affairs which developed in the later period. This is why the former could be run on the basis of public opinion which did not necessarily premise any high-handed authority, while the latter tended to enforce the initiatives of the stronger or uppermost administrators,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despotism as well as militarism. The traditional freedom of Greek citizens, however, did not readily disappear, even if they were threatened by the increasing power of Macedonia and Rome. The tension between the independence of Greek city states or the liberty of citizens on the one hand, and the oppressive military power embodied by despotic dictators of each city itself or foreign conquerors on the other, lasted persistently even to the 2nd century B.C. when Rome annexed the Greek mainland as an administrative province. Even if neighboring with each other, and not to speak of the precedence in the period of formation of polis or koinon, Akarnania seems to have been more democratic and decentralized in comparison with Aitolia. Probably the divergence was due to the social mobility of Akarnania in which agricultural land could never be possessed, as there were developed city states colonized by the Corinthians who were occupied in overseas commerce, and its geopolitical location found itself along the coast between Greece and Southern Italy as well as Sicily. The social mobility of Akarnania is proved by the examples of Leukas and Oiniadai which used to act independently of other Akarnanians.

      • KCI등재

        페르시아 왕의 개인적 오만과 아테네의 패권주의 -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에 보이는 오만(hybris)의 개념 차이를 중심으로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0 No.-

        헤로도토스의 『역사』(페르시아 전쟁사)가 신화를 대거 포함하여 설화적으로 기술하는 반면, 투키디데스의 투키디데스의 『역사』(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전쟁사, 정치사를 중심으로 하고 또 더 분석적, 비판적 혹은 객관적이고 과학적 시각에서 기술한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런데 이런 획일적 논의는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된다. 하나는 헤로도토스도 투키디데스와 같이 전쟁사를 중심으로 했고 비판적, 객관적 시각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 다른 하나는 투키디데스 자신도 반드시 과학적, 객관적 진실만을 적은 것이 아니라 신화적, 비극적 구성, 혹은 우연(tyche)의 작용 등을 작품 속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는 각기 다른 전쟁을 주제로 역사를 기록하면서 당면한 전쟁의 규모가 큰 데 놀란 점에서도 유사성이 있다. 그런데 대규모 전쟁을 조장하는 인간의 오만(hybris)에 대한 이해에서 양자 간에는 차이점이 있다.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주제는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의 오만에 대한 신의 징벌이라고 한다면, 투키디데스는 전쟁의 숨은 원인이 아테네의 세력 성장에 대한 스파르타 인의 두려움 때문이라고 적고 있기 때문이다. 멜로스 대담에서 아테네 사신의 입을 통해 노골화되는 힘의 패권주의는 투키디데스 『역사』의 서두에 보이는 아테네의 힘의 성장에 대해 스파르타가 느꼈던 불안과도 통하는 것이다. 페르시아 왕이 요구하는 ‘땅과 물’은 직접 지배에 의한 수탈의 강화를 초래할 수도 있겠으나 그것은 노골적 힘의 지배 원리에 바탕을 두는 것과는 다르다. 헤로도토스의 마르도니오스가 아테네 인에게 항복을 권유하면서 펴는 공존과 평화의 논리는 투키디데스에 보이는 극단적 패권주의의 추구와는 다르다. 다시 말하면, 헤로도토스가 지적한 크세르크세스 왕의 오만은 지배 권력 그 자체에서가 아니라 그것이 적정 범위를 넘어섰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투키디데스의 멜로스 대담에서 절제 없는 패권주의를 추구하려 한 아테네 인의 오만은 비효율적인 지배영역의 범위와 무관하게 지배 권력의 질 자체에 있었던 것이다. 이런 힘의 지배는 순리에 따르거나 논의를 통해 선택될 수가 없으며, 군사력에 바탕을 둔 일방적 강요에 의해서만 성립 가능한 것이다. 또 이런 패권주의는 적정하거나 지배영역과 무관하게 어떤 규모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아테네가 멜로스 섬 사람들에 대해 강요한 복종이 바로 그러하다. 투키디데스의 『역사』의 주제가 교훈을 주는 영원한 유산이라면 그 교훈은 권력 및 무력의 성장이 사회적으로 초래하는 부작용이다. 무력은 해적의 방어, 안전의 확보를 위해 필요한 것이었으나, 지나친 힘의 논리, 극단적 패권주의의 추구로 이어질 때 인간사회는 공멸의 길로 치닫는다. 투키디데스가 경계한 것은 바로 사려분별의 지경을 넘어서서 지나칠 정도로 힘에 대해 갖는 인간의 맹신과 방종, 극단적 군사적 패권주의의 추구라고 하겠다. 이런 차이점은 양자가 살았던 시대상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즉 헤로도토스가 주제로 한 페르시아 전쟁 당시에는 없던 군사적 패권주의가 투키디데스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그 배경은 페르시아 전쟁 이 후 델로스 해상동맹의 결성으로 그리스 세계에는 전에 없던 군사력의 조직화가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런 것이 결국은 아테네의 군사적 패권주의를 조장하는 데 기여하게 되었다는 점과 연관 지을 수가 있겠다. 이런 변화는 아테네 뿐 아니라 스파르타에게도 같이 적용된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가 패배하고 델로스 해상 동맹이 붕괴된 후 스파르타가 에게 해의 패권을 대신 이어받으면서, 도시국가 간의 패권다툼은 결국 그리스 사회 전체를 질곡의 도가니로 몰아갔다. The demand of Persian king for ‘earth and water’ might possibly be deteriorated to the intensified exploitation of direct domination, but it is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naked domination of power. When Mardonios tried to persuade the Athenians into surrendering to the Persian king, Xerxes, he argued for coexistence and peaceful life, which differs from the extreme pursuit of hegemony approved by the Athenian envoys in the Melian Dialogue. Their arguments for power domination is more or less connected with the the growth of Athenian hegemony, against which the Spartans were feeling uneasiness. According to Thucydides, the cause of the Peloponnesian War was the Spartans' anxiety against the increasing power of the Athens. The ‘hybris(arrogance)’ in Herodotos frequently refers to the individual, Xerxes, while that of Thucydides to the systematic, collective selfishness based on the militaristic domination of Athens. That is, the ‘hybris’ of Xerxes does not concern the monarchic domination itself, but his excessive desire to occupy territory of overdue, ineffective scale, leading to the invasion so far to Hellas. The monarchy is not so bad in itself, having strong points as well as the weak, the situation being applicable likewise to the case of democracy and oligarchy. This is proved in the Herodotos’ own account(III.80~83), where, having discussed relative merits of each polity, the seven Persian rebels conferred at last to take the rule of monarchy for the Persians. The Athenian ‘hybris’(arrogance) of seeking after militaristic hegemony as presented in the Melian Dialogue in Thucydides, however, is not primarily related to width of territorial domination, but could be applicable even in small area. And militaristic ruling could never be realized by mutual consent, but just by coercion. The precepts of eternal value Thucydides intended to leave for us, in my opinion, referred to the side effects caused by the growth of militarism. Military power is inevitable to defend against enemies as well as pirates, but inordinate pursuit of power as well as militaristic hegemony results sooner or later in the self destruction of human society. The difference presented in the concepts of ‘hybris’ between the two historians reflects the difference of social environments in which each historian got along. After the Persian War, the Delian League around the Aegean Sea was organized under the hegemony of Athens, to respond against the possible invasion of the Persians. And the creation of the Delian League provided a momentum for the growth of mercenary marine soldiers, causing a great change in the Greek society which was previously based for the most part on the citizen soldiers. Furthermore, the militaristic hegemony was sought after not only by the Athenians, but also the Spartans who took over the hegemony of the Aegean sea after the final victory against Athens in the Peloponnesian War. The pursuit of militarism of each state led the whole Greek society to the whirlpool of mutual conflicts in the 4th Century.

      • KCI등재

        청동기시대 후기 뮈케네 세계와 에게의 교역

        송문현 ( Song Moonhyu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3 No.-

        청동기 시대 후기 지중해 중·동부 지역을 무대로 한 국제적 교역은 에게 정치체들의 경제적 발전과 문화적 통일성을 초래한 중요한 요인이었다. 지금까지 발굴된 고고학적 증거, 그리고 우가릿 문서와 아마르나 문서를 포함한 근동의 문헌자료들, 이집트의 그림자료들은 당시의 교역상황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들 자료들은 미노아인들과 뮈케네인들이 그 교역망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음을 암시한다. 그렇지만 뮈케네 세계의 유일한 문헌자료인 선문자B 서판은 교역에 대한 암시적인 언급을 제외하고는 직접적인 증거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 분야 연구에서 근래에 특히 주목받고 있는 자료는 난파선 유물이다. 특히 울루부룬 난파선은 기원전 13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에게를 무대로 한 국제적 교역에 대한 성격을 알려주는 결정적 자료이다. 배는 가나안 지역을 출발하여 뮈케네 방면으로 향하는 국제적 교역선으로 파악된다. 배의 목적지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뮈케네의 궁전센터는 사치품과 같은 위신재와 금속, 테레빈스 수지 등의 동방산 물품들을 수입하였다. 그에 대한 결재로서 부피 큰 물품들인 도자기, 직물, 올리브유, 향유, 포도주 등을 수출하였다. 궁전센터들은 이러한 물품들을 생산하기 위해 자체의 생산조직과 설비를 갖추고 있었다. 선문자B 서판은 이에 대한 증거의 일부이다. 청동가공과 같이 집중화된 작업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은 탈라시아(talasia)라고 하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생산물의 일부는 국내 소비에 사용되었을 것이지만 다른 일부는 해외에 수출되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무역상의 균형을 유지할 수가 있었다. 우리는 또한 당시의 교역이 통상적인 상업적인 거래와 함께 엘리트 지배층간의 선물 교환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고위 레벨의 귀금속과 사치품들은 주로 선물수수 형태로 수송되었으며, 가장 중요한 물자인 금속 또한 주로 지배계급들 사이에 거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배엘리트들은 이러한 이국적 물품들의 거래를 독점함으로써 그들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더욱 강화할 수 있었다. International trade during the Late Bronze Age in the middle and eastern Mediterranean sea was a major factor contributing to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integration of the Mycenaean World. Near Eastern texts such as the Amarna Letters and Ugarit tablets, wall paintings from the tombs of the eighteenth dynasty as well as archaeological data are evidence of such trade relations. Such materials suggests that Minoans and Mycenaeans actively involved in trade networks. However, the Linear B tablets, the sole literary source from the Mycenaean World do not include direct evidence of this trade, except for giving a few ambiguous hints of it. Recently, shipwreck remains from the Late Bronze Age found in the Aegean Sea attract much interest by their archaeological value. Especially the Uluburun shipwreck is regarded as critical evidence which shows the character of the international trade around the Aegean Sea around 1300 B.C. We can infer from the items of the wreckage that the international trading ship loaded and embarked at ports in Canaan and was heading to one of the Mycenaean palaces. The palace center, the conceived destination of the ships, imported high-valued prestige items such as jewels or semi-jewels, gold, ivory, glass as well as oxhide copper, tin and terebinth resin. For their payment Mycenaean centers exported other items in large volume such as vases, textiles, olive oil, perfumed oil, wine etc. Palace centers were provided with their own production systems and equipment for such materials. The Linear B tablets were part of the evidence for this. Bronze workings which do not need such sophisticated workshops were performed in different ways using the ta-ra-si-ja system. Some of the products were consumed internally but the others were reserved for sending abroad. Thereby, they could maintain a trade balance. We can find from the texts that gift exchanges between the rulers occupied a large part of the trade activity apart from commercial trade. High-level trade of precious metals and luxurious items performed as forms of gift exchange, and the raw materials such as bronze, tin and copper also seem to have been provided as gifts, though commercial activity and gift exchange were overlapped to a certain extent. In any case the ruling elites could reinforce their ruling ideology and power through the trade monopoly of exotic items from distant countries.

      • KCI등재

        영웅들의 항해 : 이스트리아 그라디나 문화와 마케네 만남의 추적

        세바스티안 뮐러 ( Sebastian Müller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2021 서양고대사연구 Vol.60 No.-

        청동기 시대에 지중해 지역은 타문화 간의 연결성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중기 및 후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800-1200년경), 특히 펠로폰네소스와 그리스 중부에 미케네 문명이 출현하면서, 안정적인 상호간 연결성과 바다와 더 넓은 내륙을 가로 지르는 원거리 접촉에 대한 지표들이 증가한다. 이러한 논의를 펼침에 있어 아드리아해 북쪽 해안의 이스트리아 지역은 여전히 활발히 평가가 되지 못한 지역 중 하나이다. 이스트리아 청동기 시대는 특히 지난 세기 동안 더 자세히 연구되지 않은 요새화 된 정착지 또는 그라디나 지역망으로 대표된다. 본고는 중세 청동기 시대 (기원전 1600년 경) 후기부터 에게해와 이스트리아 사이의 접촉 상황에 대한 논의 가능한 지표를 요약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황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이 분명해졌다. 다행스럽게도 미케네 문명이 존재의 첫 단계 (BC 1600-1450 년)에 상황을 접촉하는 지표가 있다. 호머의 작품에 두드러지게 반영된 영웅적 전사들의 모습이 미케네 지배계층의 정체성 구축의 중요한 수단이 된 시기이기도 하다. 북부 아드리아 해안을 탐험하고 지역민들과 접촉하게 된 주요 동기 중 하나가 바로 미지의 땅을 탐험하는 실제 과정인 셈이다. 지중해의 다양한 지역과 이러한 탐험과 접촉에 관한 지식은 선원들의 명성을 높이고 권력을 정당화하는 데 필요한 권위를 부여했다. The Bronze Age in the Mediterranean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ing level of connectedness. During the Middle and the Late Bronze Age (c. 1800-1200 BC), specifically with the emergence of the Mycenaean civilization in the Peloponnese and Central Greece, the indicators for stable networks and far-distanced contacts across the sea and its wider hinterland are increasing. One region that is still underappreciated in these discussions is Istria at the northern coast of the Adriatic Sea. The Istrian Bronze Age is particularly represented by networks of fortified settlements or gradina which have been rarely researched in more detail within the last century. The present article aims to summarize and discuss the available evidence for contact situations between the Aegean and Istria from the end of the Middle Bronze Age (ca. 1600 BC). It becomes clear that more research has to be carried out to come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Nevertheless, there are indicators that point to contact situations with the Mycenaean civilization in the first stage of its existence (ca. 1600-1450 BC). This is also the time as the ideal of the heroic warrior, who is prominently reflected in the works of Homer, became an important means of identity construction of the Mycenaean elite. It is being argued that one of the main motivations to travel to the northern Adriatic coast and to get in contact with the local people was the actual process of exploring uncharted lands. The knowledge of this and other regions in the Mediterranean increased the prestige of the seafarers and gave them the necessary authority for justifying their claim to power.

      • KCI등재

        고대 시칠리아의 문화 교류

        ( Sebastian Müeller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1 서양고대사연구 Vol.62 No.-

        그리스인과 페니키아인이 지중해로 확장해 간 시기(기원전 800년경)는 해상의 중심에 있는 시칠리아와 아울러 이 지역 전체의 전환기이다. 문화교류 연구에서 특히 관심을 갖는 한 가지 측면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를 마주하는 방식 그리고 이 접촉 상황에서의 대응 방식이다. 풍부한 역사,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잘 알려진 지역 중 하나인 시칠리아는 문화 교류 탐구에 관한 흥미로운 시험장이다. 본고에서는 그리스와 지역 공동체 간 만남의 방식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들 공동체 간 관계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당대 상황에 맞게 기술하기 위하여 사회 심리학 관점을 적용한다. 식민화 과정이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되었으므로 이 과정을 세 단계로 나누어 정의하고 논의한다. 또한 시칠리아 공동체가 그리스 물질 문화와 관습을 활발히 받아들였으므로 이 시기에는 초기 헬레니즘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시대별 문화교류에 대한 설명은 본 연구의 이론적 골조를 통해 잘 설명할 수 있지만, 그리스 문화 요소가 시칠리아 문화에 들어온 실제 이유는 추가 설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칠리아에 그리스 문화를 전파한 단일 주체의 역할을 살펴보고, 시칠리아 지배계층이 자발적 연합을 통해 더 넓은 지중해 교류 네트워크의 일원 및 그리스 문화의 일부가 되기 위해 그리스 문화 요소를 받아들였음을 강조하는 인류학과 세계사에 파생된 이론을 제시한다. The time of the Phoenician and Greek expansion (from ca. 800 BC) into the Mediterranean marks a turning point for the entire region and also for the island of Sicily in the center of the sea. One aspect that is of particular interest in the research of cultural interchanges is the way how people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encountered each other and how they responded to these contact situations. Sicily is one of the areas that is well covered by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ources, which renders it an interesting testing ground for these kind of enquires. The present article aims to ascertain the modes of encounters between Greek and local communities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mmunities changed over time. As a reference for describing the situation adequately, basic insights from social psychology are applied. Since the colonization process lasted for several generations, three time stages for the observation of the development are defined and discussed. Due to the adoption of Greek material culture and customs by the local population an early Hellenization process can be observed for the local Sicilian communities. Although the applied framework allows for a better description of the encounters for each time stage, the actual reasons for the inclusion of Greek cultural elements into the local culture are not covered by that. Therefore, the present article offers an explanation derived from anthropology and world history,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single agents for spreading Greek culture among the local communities and how the local elite accepted these elements from their Greek counterparts through voluntary association in order to become part of the wider Mediterranean communication network.

      • KCI등재

        고대 그리스와 오리엔트의 국제적 의사소통: 통역의 활용 실태

        김봉철 ( Bong Cheol Kim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2020 서양고대사연구 Vol.57 No.-

        이 논문은 통역의 활용실태를 통해 고대 그리스와 오리엔트에서의 국제적 소통과정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그리스 자료에 나타난, 기원전 6-4세기의 통역용례 38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여기서 통역용례는 자료에 ‘통역’이 명시된 사례와, 명시되지 않지만 문맥상 통역활용이 분명한 사례를 포함한 것이다. 이들 통역용례는 통역 활용분야와 통역의 신원을 중심으로 분석된다. 2장은 통역 활용분야에 관해 논의한다. 38개 통역용례에 나타난 활용분야는 정치, 경제, 사회 분야로 구분되는데, 정치 분야는 일반 통치업무, 외교업무, 전쟁업무와 관련된 것이고, 경제 분야는 교역업무, 사회 분야는 개인여행과 관련된 것이다. 이 세 분야 가운데 고대의 통역활용이 주로 집중된 것은 정치 분야다. 경제 분야가 1개, 사회 분야가 2개인 반면 정치 분야의 용례는 35개에 이른다. 이 가운데 일반 통치업무 통역용례는 3개인데, 모두 페르시아 왕이 왕궁에서 외국인을 면담할 때 나온 사례다. 외교업무 통역용례는 13개이며, 대개 페르시아, 그리스, 트라키아에서의 사절 접견, 사절 파견, 외국인 회의 참관, 외국인 초대만찬 때의 용례들이다. 전쟁업무 통역용례는 모두 19개로, 정복이나 원정, 반란 같은 무력충돌과 관련된 용례들이다. 이 용례들은 대개 다종족 연합군의 운용이나 외국에서의 군사활동과 관련된 것들이며, 대표적으로는 페르시아왕국의 군대, 그리스 용병군, 알렉산드로스 원정군의 용례를 들 수 있다. 3장에서는 통역의 신원을 논의하는데, 통역의 소속, 출신, 직업화로 나누어 서술된다. 38개의 통역용례에서 이들 요소들을 일일이 확인하기는 어렵다. 통역의 신상에 대한 언급이 미흡하거나 생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런 언급이 일부나마 남아있는 용례들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상황을 추론한다. 통역의 소속은 15개 용례를 바탕으로 분석했는데, 통역을 배출한 종족이나 국가는 대개 지리적 및 정치적 이유에서 외국인과의 교류가 빈번한 곳이었다. 페르시아, 그리스, 카리아, 리키아, 이집트, 트라키아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통역사용자의 소속도 페르시아, 그리스, 트라키아다. 통역과 통역사용자의 소속에 대한 논의는 당시 통역의 수급상황을 이해할 단서를 제공해 준다. 통역의 출신은 7개 용례를 분석했는데, 노예 출신에서 귀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용례들에서는 특히 상류층 출신 통역이 많이 나오는데, 이는 해당 용례들이 대개 상류층 통역과 관련된 사례들이었던 탓으로 보인다. 또 통역의 직업화는 18개 용례를 분석했는데, 직업화가 명시된 이집트 통역뿐 아니라 페르시아 왕의 통역, 그리스 용병군의 통역, 알렉산드로스 원정군의 통역이 직업적인 통역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사례는 통역의 안정적인 수급상황을 바탕으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통역활동이 가능한 사례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in ancient Greece and the Orient through the use of interpreters. In this paper are analyzed 38 cases in which the word ‘interpreter(s)’ is mentioned or, if not mentioned, interpreter(s) must be used. These cases are from the Greece and the Orient in the sixth, fifth and fourth century B.C. The cases are analyzed focusing on the field of use of interpreter and interpreter’s identity. In chapter 2 this paper discusses the field of use of interpreter. Interpreters are most often used in political field. 35 cases of all 38 cases belong to the political field, while one case to economic field and 2 cases to social field. The cases in political field appeared in governance, foreign affairs and military operations. The cases in governance are those where interpreters were used by Persian kings in meeting foreigners who came to palace. Those in foreign affairs are shown in sending and receiving envoy, visiting a meeting of foreigners, and managing a banquet for foreigners. Those in military operations appear in managing multi-ethnic army and waging wars in foreign lands. These mostly were related to the Persian Kingdom, Cyrus’ mercenaries, and Alexander’s expeditionary force. In chapter 3 this paper discusses interpreter’s identity, focusing on the interpreter’s ethnos or country, interpreter’s social stratum and interpreter’s professionalization. Because not all cases describe the identity of interpreters, I am obliged to deal with some cases where the identity of interpreters is mentioned or suggested. As for interpreter’s ethnos or country, it is shown on the basis of 15 cases that interpreters tended to come from an ethnos or a country where foreign exchange was frequent due to geographical and political reasons, such as Persia, Greece, Caria, Lycia, Egypt. As for interpreter’s social stratum, it is shown on the basis of 7 cases that interpreters ranged from slaves to nobles. And as for interpreter’s professionalization, it is found on the basis of 18 cases that not only Egyptian interpreters but also the interpreters of Persian kings, Cyrus’ mercenaries, and Alexander’s expeditionary force appeared to be professional interpreters. These must have continued working as interpreters for quite a long time, based on the stable supply and demand of interpr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