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통계획모형과 GIS를 이용한 지역간 도로 배출지도 작성

        김영국,우승국 한국교통연구원 2014 交通硏究 Vol.21 No.1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for creating the maps of greenhouse gas (GHG) and air pollutant emission for interregional road networks. The maps could be used for pre and post evaluation of transport policies. Transport sector has estimated such emissions using the amount of fuel consumption; a Tier 1 method. However, the GHG emissions on a road network may not be efficiently estimated by that method as it is not practical to monitor road network fuel consump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adopted a Tier 3 method. The adopted method requires traffic volume and speed information by various vehicle types and the emission map building requires emission information for all interregional roads. The KTDB transportation planning model designed b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was adopted to provide volume and speed information for all interregional roads. This data was used as GIS input data and an emission map was built. Because the transportation planning model is adopted, a change in transport systems or policies can be easily evaluated. The map presentation provides a good visual and quantitative tool for policy decision makers. This study presented a case study in which interregional O/D volume increased by both 5% and 10%. The emission increases are evaluated and the results discussed. 본 연구는 지역간 도로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지도형태로 표시(배출 지도)하는 방법론을 정립하여, 정책입안자가 교통정책의 효과를 계량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로교통부문의 온실가스 또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 연료사용량에 배출계수를 곱하는 Tier 1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지역간 도로에서는 소비되는 연료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없기 때문에 Tier 1 방법을 지역간 도로의 배출량 산정에 사용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구간의 교통량과 속도 등의 활동도 자료를 사용하여 배출량을 추정하는 Tier 3 방식을 채택하였다. Tier 3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차종에 대하여 교통량과 속도 자료가 필요하다. 배출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 모든 지역간 도로에 대해 차종에 따른 교통량과 속도자료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출량을 작성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간 도로 전체에 대해 교통량과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교통계획모형(한국교통연구원의 KTDB 모형)을 사용하였다. 교통계획모형에서 산출된 교통량과 속도자료를 활용하여 배출량을 각 링크별로 산출한 후 이들 자료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배출지도를 작성하였다. 교통계획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배출량이 산정되었기 때문에 교통량의 증감, 네트워크 변화 등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이 용이하다. 또한 배출량을 지도형태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정책 입안자가 수요 관리 등의 정책을 시행하기 전에 그 효과를 시각적/계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 분석의 사례로 전체 지역간 교통수요가 5%, 10% 증가한 시나리오에 대하여 각 광역지자체의 지역간 도로 배출량 변화를 추정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과 미국인의 운전스트레스가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 차이: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이순열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는 한국인과 미국인의 운전스트레스 구조 차이와 운전스트레스가 대처행동 양식을 통해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한국인 운전자의 운전스트레스 경로계수 추정치들의 크기순서는 사고단속, 진행장애, 운전환경, 시간압력, 법규준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인 운전자의 운전스트레스 경로계수 추정치들의 크기순서는 사고단속, 시간압력, 운전환경, 법규준수, 진행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인과 미국인 모두 운전 중 발생하는 교통사고와 단속을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꼽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두 번째 순서부터는 차이를 보였는데 한국인 운전자는 차량 진행에 방해를 받는 행위, 빗길이나 눈길에 운전하는 것, 도착시간에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지킬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교통법규를 지키는 순서 등으로 나타났다. 미국인은 도착시간에 대한 압력과 운전환경 등 외부의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두 번째와 세 번째를 차지하면서 운전스트레스가 주로 개인 외에서 발생한다는 특징을 보였다. 다음으로 한국인 운전자와 미국인 운전자의 운전스트레스가 대처행동 양식을 통해 교통사고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모형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한국인보다 미국인 운전자들의 운전스트레스가 대처행동 양식을 통해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driving stres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drivers driving in Korea and the effect of driving stress on the risk of traffic accident through coping behavior style. Specifically, the order of magnitude of the driver stress path coefficient estimates for Korean drivers was in the order of accident control, progress disorder, driving environment, time pressure, and compliance with regulations. American drivers was in the order of accident control, time pressure, operating environment, compliance with regulations, and progress disorder. This shows that both Koreans and Americans regard traffic accidents and crackdowns that occur during driving as the biggest stressors. However, from the second order, the driving stress of a Korean driver is different from that of a American driver Next,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the partially mediated model in which the driving stress of Korean drivers and American drivers affected the traffic accident risk through coping behavior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merican drivers have more influence on traffic accident risk through coping behavior style than Korean driver. This means that Americans are more sensitive and greatly affected by the stress they are experiencing driving in Korea, which increases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to a greater extent.

      • KCI등재

        국가교통DB를 활용한 한국형 교통물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 개발

        박진영,민연주,정태용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2

        교통물류부문은 온실가스 배출량 중 상당한 부문을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부문에 비해 감축 잠재력이 높은 부문이다. 더불어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이 가능하지만 해당 정책들이 여러 가지 복잡한 사회․경제적 요소들과 관련되어 있고 교통물류 정책의 효과가 국가 산업 활동 및 국민들의 삶과 직접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시행하기에 앞서서 정책에 따른 감축효과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에너지 기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과 교통물류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인 TREMOVE의 모형 구조 및 특성, 필요한 자료들을 검토하고 국내 교통관련 자료들의 획득 가능성을 파악하여 한국형 교통물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 체계를 수립하고 모형에 필요한 자료들을 제시하였으며 국가교통DB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통행거리 산정을 위해 통행거리빈도분포 활용방안을 제시하였고 통행속도 산정을 위해 통행량-속도 그래프를 활용하여 새로운 통행속도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토대로 신규개발지역과 신규도로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교통DB를 활용하여 한국형 교통물류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형을 개발하기에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국가교통DB 상의 차종구분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논의가 필요하며, 둘째 보다 정확한 통행거리 산정이 필요하며, 셋째 구간별 통행속도를 신뢰성있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Greenhouse gas from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ccount more than 20% of total national greenhouse gas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have better potential of greenhouse gas reduction than industry by achieving high energy efficiency. Even though various greenhouse reduction policies are available, transport and logistics policies are closely related to economic activities and quality of people's life. Hence, impact of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ie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nd analysed before implementation. Particularly,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s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need detail information on transportation network and traveller's behaviour. Thu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country specific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 based on national transportation database and be applied to various policy implementation. The study reviewed various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s in Korea and abroad. Based on review of model structures, input data, and available data in Korea, the study develops Korean greenhouse gas estimation model for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rea. The whole model structure is established and required data is proposed. To improve efficiency of model implementation, possibility of utilizing Korea National Transport DB (KTDB) is discussed. Some innovative ways are developed to apply KTDB to the model. Production of greenhouse gas from a newly developed industrial complex and road section is estimated with a method developed in a pilot study. Finally, some further research issues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전국 도로망의 시간대별 교통량 분포 분석

        성홍모,윤일수,박민철,김찬성 한국교통연구원 2009 交通硏究 Vol.16 No.2

        The manuals for the preliminary feasibility and the feasibility study, which are typical ex-ante evaluations in Korea, suggest to conduct traffic analyses using one hour traffic demand and volume on the basis of an assumption where the duration of peak and non-peak hours are 10 and 9 hours and those hourly volume ratios to 24-hour traffic volume are 7% and 2.5% respectively. However, there has been a need for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 for the assumption. To this end, this research effort examin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hourly traffic volume of peak and non-peak hours using traffic survey data from many roads including expressways, conventional national highways, government-aided provincial roads, and provincial roads in Korea. In addition, this research empirically estimated the durations and ratios of peak and non-peak hours using a genetic algorithm. As a result of that, this research effort found that the shapes and patterns of peak and non-peak hours are different by the type of cars, including passenger cars, trucks, and entire cars (types 1 through 12), as well as the type of roads. In addition, the duration of peak and non-peak hours found in this study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suggested in the manuals. However, the ratios of hourly volume to 24-hours traffic volume a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ose provided in the manuals.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교통투자 사전평가제도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과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에서는 첨두와 비첨두 지속시간을 각각 10시간과 9시간으로 정의하고, 24시간 대비 1시간 교통량 비중은 각각 7%와 2.5%로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준에 따라 1시간 교통량을 기준으로 교통분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지침에서 명시한 지속시간과 교통량 비중에 대한 충분한 이론적 및 실증적 토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고속도로, 일반국도, 국지도 및 지방도에서 수집된 24시간 교통량을 이용하여 도로유형 및 차량유형별 시간대별 교통량 분포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전국 도로망의 첨두시간 통행패턴의 특성을 살펴보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침상의 수치가 타당한 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도로유형별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승용차 및 트럭의 24시간 교통량 대비 시간대별 교통량 비중을 분석한 결과, 첨두 및 비첨두 시 교통량 형태 및 분포가 차종뿐만 아니라 도로유형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첨두와 비첨두 지속시간 및 교통량 비중을 구해본 결과, 본 연구에서 분석된 첨두, 비첨두 그리고 심야시간대의 지속시간은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에서 제시된 값과 대체로 유사하지만 교통량 비중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첨두시간대의 경우 승용차와 트럭의 비중이 지침에서 제시된 값보다 모두 조금 낮게 나왔으며, 비첨두시간대의 경우 그 비중이 조금 높게 산출되었다. 과거에 비하여 통행자들의 행태가 변화하고 시간대별 교통량 패턴도 함께 변화함에 따라 교통사업 평가에도 이러한 교통량 패턴의 변화를 최대한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첨두 및 비첨두 시간의 지속시간 및 교통량 비중에 대한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도시부 지역단위 교통제어 시뮬레이션 개발 및 효과 평가

        김성훈,탁세현,여화수 한국교통연구원 2018 交通硏究 Vol.25 No.3

        Various traffic control strategies have been studied for reducing traffic congestion in the urban areas. However, they still have problems in the control efficiency, particularly when travel demands are oversaturate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e real-time applicability due to the highly complex process for optimizing signal timings. As an alternative solution,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recently in the concept of “perimeter control,” which aims at controlling the amount of transfer flow among multiple urban regions. For developing the new concept of the regional-based control strategy, a formal simulation is required to test such strategy. Hence, the “region-based traffic simulation”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Throughout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AIMSUN simulation program, the newly proposed simulation shows high performance in estimating regional traffic volume. Furthermore, since the new simulation provides the environment to test various traffic signal control strategie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 useful tool for the future urban traffic system. 도시 지역의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통신호제어 전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기존 전략들에는 통행수요가 과포화일 때의 효율성 및 실시간 적용성에 대한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 해외의 동향은 “도시 지역 간 경계부 신호제어(perimeter control)”라는 새로운 전략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이는 도시의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지역단위 이동 교통량(transfer flow)을 지역 간 경계부에 위치한 교차로들에서 신호주기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지역단위 교통제어 기법을 새로이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략을 실험해볼 수 있는 정형화된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Cell Transmission Model(CTM) 및 도시 지역단위 교통 특성을 나타내는 Macroscopic Fundamental Diagram(MFD)을 활용하여 “지역단위 교통 시뮬레이션”을 개발하였다. AIMSUN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의 비교 결과, 지역단위 교통량 추정 관점에서 해당 시뮬레이션의 높은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다양한 교통신호제어 전략에 대한 실험 환경을 제공하므로, 도시부 지역단위 교통제어 솔루션 개발을 위한 도구로써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교통단속의 최초법규위반시기에 대한 영향 연구

        정철우,정진성 한국교통연구원 2014 交通硏究 Vol.2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search for traffic safety policymaking by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enforcement,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a change in drivers' attitude towards road safety. Data consisted of five years of enforcement records of 296 drivers from Busan between the years of 2004 to 2008 with the aim of observing changes in attitude of traffic violations.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penalties through the drivers' change of attitude for first time violators. The first result shows a majority of violators are repeat offenders. Comparing the rate as a result of the rate of traffic law violation of first time offenders is less than that of repeat offenders. Second, analysis shows first time traffic offenders were slower in violating the law as opposed to repeat offenders. Severity and speed of regulation can guarantee enforcement to be more effective. Future research can use this research as a base to focus on discovering even more effective enforcement methods. 본 연구는 교통안전을 위한 3E 가운데에서 단속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예상되는 교통법규위반자에 대한 경찰의 단속 및 규제정책 수립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부산지방경찰청 산하 4개 경찰서의 주요 신호등 있는 교차로 10개소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가해자 29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료는 법규위반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최초로 법규를 위반하는 시기를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 동안 추적한 자료이다. 본 자료를 대상으로 경찰의 교통단속 경험이 최초 법규위반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찰의 법규위반단속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법규위반자의 비율이 적었고, 법규위반자도 최초로 법규를 위반하는 시기가 늦었으며, 법규위반 단속을 경험한 사람은 법규위반자의 비율도 많고 법규위반 시기도 빠른 것으로 나타나 경찰의 교통법규단속의 효과가 운전자의 태도변화를 유도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속은 엄격성, 확실성, 신속성이 있을 경우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단속효과를 높일 수 있는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고령운전자의 주요 교통사고 취약상황 및 인적요인 분석

        오주석,이의용,류준범,이원용 한국교통연구원 2015 交通硏究 Vol.22 No.4

        Unlike South Korea's overall declining trend of traffic accidents and related injuries, traffic accidents by elderly drivers are showing an increasing trend. Several studies suggest the changing of human factors due to aging, their effect on accidents, and accident prevention policies such as returning drivers’ license or posting elderly driver signs on vehicles. However, none of these have been effective in decreasing elderly drivers' traffic acciden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lderly drivers' typical traffic situations and their human errors related to accidents. We conducted traffic accidents analysis and through result analysis discover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ccidental severity and the mean number of fatalities between “early elderly drivers (65-74)” and “late elderly drivers (75+)”. Also,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older drivers' accidents were described by related accidental situations, vehicle types, and human errors. These results prove the need of age diversification on accident prevention policies for elderly drivers. The details of the results will be useful to train and educate elderly driver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secure safe mobility.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교통사고 피해 추세와는 달리 65세 이상 고령운전자들에 의한 교통사고 피해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해결이 시급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고령자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노화에 따른 인적요인의 변화 특성이나 교통사고 특성 등에 관한 연구 결과들과 운전면허 자진반납 유도나 고령운전자 표지 부착 등 다양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예방대책안이 제시되었으나 아직까지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들의 교통사고 기록을 인적요인과 사고상황, 사고관여 차종 및 용도 등 주요 변인들에 대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고령운전자들이 취약성을 느끼는 교통상황과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에 관여하는 인적요인의 특성을 고령자 연령집단별로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고령운전자들이 취약한 특정 사고상황 및 관련 인적요인과 주요 차종들이 도출되었다. 또 고령운전자 세부연령 집단 내에서도 연령의 증가에 따라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 집단에서 사고 발생 시 상대적 위험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65세 이상 75세 미만 초기 고령자들과 75세 이상 후기 고령자들 사이에서는 사고 관여 차종 및 용도나 이들이 취약성을 드러내는 사고상황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령운전자들에 대한 안전대책 역시 연령 증가에 따라 다각화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증명하고 있으며, 향후 고령운전자들의 교통사고 예방 및 안전한 이동성 확보를 위한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도시부 도로구간 사고예측모형 개발

        박준태,이수범,이동민 한국교통연구원 2011 交通硏究 Vol.18 No.1

        The function of the road is to transport man and materials as an important factor of forming urban physical system. In general, there exists difference between the roads in the city and ones in rural area in terms of their composition factor and use pattern. This difference is emerging in characteristics of the traffic accident as well. A typical difference can be found in that when it comes to the rural traffic accident, risk of accident caused by fast driving is very high. On the contrary, in case of traffic accident in the city,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s and friction accident is observed frequently.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traffic accident analysis model by selecting a certain urban road section as a target analysis a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raffic volume, extension of road section, the number of entrance, the number of bus route have something to do with traffic accident. We have developed accident prediction model by using the poisson regression approach and 4 variables are induced. Therefore, we can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se all for variable are the factors causing conflicts between vehicles and well reflect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s well. However, we found o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accident and road network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도로의 기능은 도시의 물리적 체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람과 물자를 운반하는 통로이다. 도시지역의 도로와 지방지역 도로는 구성요소 및 이용형태에서 차이점이 나타나며 이러한 차이점은 교통사고 발생 특성에서 도 차이점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차이점으로 지방부 교통사고의 경우 과속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으나 도시부 교통사고의 경우 차량 간의 상충 및 마찰사고의 위험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도로구간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교통사고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교통량과 도로구간 연장, 진·출입구수, 버스 통과 노선수가 도시부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아송 모형을 이용하여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총 4개 변수가 도출되었다. 4개 변수는 모두 차량 간의 상충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도시부의 교통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도로선형요소에 의한 교통사고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관계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통사고 운전자 상해 중증도 추정

        박상조,유형목,정소담,정경민 한국교통연구원 2017 交通硏究 Vol.24 No.1

        An automated collision notification system installed in vehicles could inform emergency response teams of the crash and its' severity. Tracking information and recognition of the extent of injuries would assist in prompt arrival of appropriate teams to the crash site and transfer to corresponding medical facility. Traffic collision injury severity is dependent on crash attributes, driver characteristics, and usage of seat belts. Noting injures differ according to principal direction of force, the probabilities of severe injury for eight body regions are estim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NASS-CDS data including crash attributes and medical records are used for logistic regression model estimation. The effect of injury severity varies with principal direction of force, body region, and gender. Accuracy of injury severity predictions are based on a model. Such a model incorporated in the Automatic Crash Notification System can produce injury information related to crash attribute data assisting in emergency response. 자동차에 설치된 장치가 교통사고의 발생을 인식하고 응급기관으로 통보하는 교통사고 자동통보체계는 사고 발생, 사고위치와 교통사고 피해자의 상해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고현장에서의 응급치료와 적절한 이송 의료기관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교통사고로 인한 운전자 상해의 중증도는 사고 특성, 차량 특성, 운전자 특성, 안전장비 착용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방향, 충돌속도에 따라 운전자의 상해부위와 상해정도가 달라짐에 주목하여 충격방향별로 8개 신체부위의 상해 중증도를 추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교통사고 조사자료와 사고피해자 의료기록을 수집한 미국 NASS-CDS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충격방향에 따라 충돌속도가 운전자 상해중증도에 미치는 영향을 신체부위별로 상이하다. 운전자 신체부위를 구분한 모형은 주요 부위의 중상 발생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응급의료 지원을 위한 교통사고 자동통보체계의 사고분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교통부문 녹색성장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최정민,조종석,김현명,박상준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2

        "Green Growth" has been a major national policy agenda in the transport sector since it was announced by the president in mid-2008. The concept of Green Growth is based on the balance between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 index for measuring the level of Green Growth and evaluating the policy goals in the transport sector. In order to implement the indices to the policy,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indices first has to be determined. To decide the best index,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s then applied, which gives weighted values for the policy goals at the individual level with details. For the case study, ten OECD countries and seven Korean local areas are select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model. The evaluation of ten OECD countries and Korea is carried out with 14 indices and the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is carried out with 15 indices. Therefore, the case study is applied to evaluate the level of Green Growth in the transport sector regionally and internationally. It is proven that the indices could be applied to the transport sector to evaluate and analyze transport policies with regards to level of Green Growth nationally and regionally in the future. The data, which are necessary for calculation of the indice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국가 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의 주요한 요소인 교통부문에서 그 수준을 측정하고 정책방향의 지표로 삼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서는 평가지표 구조의 올바른 설계가 중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3가지 개별 목표를 ① 저탄소·친환경성, ② 에너지효율성, ③ 경제활동성으로 설정하였다. 녹색성장 내의 두 가지 요소, 즉 환경보전 욕구와 경제성장 욕구 간의 평형을 이용해 녹색성장을 위한 교통체계 내의 단기평형의 개념을 설명하였고, 토지이용 및 교통체계의 질적 발전에 근거한 장기평형 개념도 제시하였다. 평가지표의 적용을 위해서 평가지표 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하고, 각 상세목표를 반영할 수 있는 최적의 평가지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교통관련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통해 각 개별 및 상세 목표의 AHP 내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사례 연구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내의 10개 국가와 우리나라 대도시(특별․광역시)에 대하여 평가모형을 적용해 보았다. 평가모형의 적용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 중에서 자료의 구득이 공통적으로 가능한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OECD 국가의 경우 14개, 국내 대도시의 경우 15개의 평가지표를 각각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교통부문 녹색성장 평가지표는 지수 산정을 통해 교통부문의 녹색성장의 수준을 국가별 또는 국내 도시별로 현황과 추이를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