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행렬과 산수를 모티브로 한 이상적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지연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63

        이 논문은 연구자가 최근 2년간 집중해 온 전통행렬도와 산수표현의 재해석 및 창작을 진행하면서 그 기반이 되는 이론적 탐구와 작품의 제작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연구자는 기존의 조선후기 왕실 반차도에 보이는 행렬을 새롭게 재구성한 행렬반차도, 수묵을 이용한 조형산수, 묘람산수 시리즈를 논문의 범주로 하였다. 기존의 전통 채색화 방식의 민화기법에 익숙하던 연구자에게 수묵과 채색의 조화를 통한 새로운 작업의 변화는 대학원 과정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연구자는 조선시대 행차도인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반차도(班次圖)를 참고하여 새로운 형태의 행차도를 구성하였다.<新행차도>에서 아무 배경도 없고, 풍경도 없는 그들이 가는 길에 길을 만들고 배경을 설정하며,『원행을묘정리의궤』반차도 동행하는 사람들의 형상을 그려 넣어 이야기를 만들었다. 기존의 행차도 도상에 수묵을 배경으로 한 산의 이미지를 넣어 진행한 작업은, 조선시대 반차도가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시각 기록이라는 단순한 의미를 넘어 하나의 이야기가 있는 작업으로 구현해 보고자 하였다. <幸行圖>의 배경이 되는 산의 표현은 민화의 일월오봉도에서 모티브를 가져와 표현된 것으로, 행렬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걸음의 끝에는 이상향이 존재한다는 이야기로 배경의 산의 표현은 이상향의 그곳을 이미지화 하였다. 연구자는 이상향의 산수의 공간을 다시 한번 재해석하는 <조형산수(造形山水)>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新행차도>와 <幸行圖>에서 배경으로 다루었던 산의 표현을 전면에 부각시켜 과거의 산수화가들이 산수를 바라본 시각을 이해하여 이를 새로운 조형 창작의 기본베이스로 삼고자하였다. 산수의 표현을 전통 수묵산수화가 아닌 백묘법을 활용한 자유로운 선묘를 시도해보았고, 또한 고전산수화에서 본 관점을 토대로 산의 이미지를 해체시키기도 재구성하기도 하면서 자유로운 설치효과를 창출해 내었다. 연구자는 와유(臥遊)의 사상과 이상향의 그곳이라는 설정을 이야기하며 묘람산수라는 요즘 감성에 맞는 새로운 산수화를 창작하였다.<묘람산수(卯覽山水)>는 누워서 산수를 감상한다는 의미의 ‘와유산수(臥遊山水)’에 토끼라는 캐릭터가 등장해 현실에 지친 이들을 ‘도원(桃源)’이라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토끼의 존재는 안내자인 동시에 화면의 이야기를 진행시켜나감으로서 관람자에게 와유의 적극적인 감상을 돕는다.<묘람산수>를 통해 꿈과 사랑 때로는 장난스러운 우리 일상의 애피소드가 펼쳐지는데, 감상자가 감상을 할 때 토끼라는 캐릭터의 액션을 통해 시선을 화면 속에서 역동적으로 이동시키며 그들의 이야기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process of theoretical research and production that are the basis for the reinterpretation and creation of traditional Korean marching ceremony and the landscape expressions researcher has been focusing on for the past two years. The researcher categorized the Study that the Traditional Marching Ceremony of Korean Royal Family (called Banchado in Korean) which are newly re-interpreted the royal family’s Marching Ceremony (Bancha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ormative landscape Painting> and the <Myoram landscape Painting> series by using Korean traditional Ink Painting skills. For the researcher who was accustomed to the folk painting technique of the existing traditional color painting method, the change of new work through the harmony of Korean Traditional ink painting skills and coloring technique was materialized during my master degree’s course. [The researcher has created a new type of Korean marching ceremony by referring to <Wonhaengeulmyojeongriwigwe Banchado>, a marching ceremony of the Joseon Dynasty. In ‘Sinhaengchado’, which has no background and no scenery, the researcher made a road and set a background, and created the story by putting the followers of Royal Family and the people accompanying with them in <Wonhaengeul Myojeongriwigwe Banchado>. The work was intended to be materialized as a work with a story beyond the simple meaning of an objective and systematic visual record of Banchado in the Joseon Dynasty by putting the image of a mountain with the background applied with Korean ink painting skill in the existing the traditional marching ceremony. The mountains in the background of [Sinhaengdo] was expressed by taking a motif from the folk painting of <Ilwol and Obongdo>, which tells the story that utopia exists at the end of the steps of the people marching in it and the mountains mean an image of utopia. The researcher has proceeded the formative-landscape works which are re-interpreting space of utopia of the landscape once again. The researcher intended to take a basic base of new formative creation by emphasizing the expression of the mountain, which was used as a background in <New Marching ceremony> and <Sinhaengdo> and by understanding the landscape painters’ perspective in the past. The researcher tried free line drawing by using the white drawing technique for the expression of the landscape, not the traditional ink landscape painting skill. In addition, I tried to create a free display effect by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the image of the mountai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lassical landscape paintings. The researcher created a new landscape painting called < Myoram Landscape>, which fits the modern sensibility by talking about the idea of <Wayu (臥遊)> and the setting of a utopia. In <Myoram Landscape>, the rabbits guide those who are tired of current life to the space called ‘Dowon’ and the rabbits in <Myoram Landscape> are the character appearing in <Wayusansu> which means lying down and enjoying the landscape. The existence of the rabbit helps the viewer to actively not only enjoy <Wayu> by leading the story on the landscape, but also as a guide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searched for theoretical references to look into the process of creation and explored what the historicity is and what messages are in this work. Dreams, love and sometimes mischievous episodes of our daily lives are presented through <Myoram <Landscape> and when the viewers watch it, the actions of rabbits dynamically move their eyes around on the painting and allow them to enjoy their stories. As a result,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new type of landscape paintings toward to <Dowon> based on modern interpretation of <Haengchado> which is the formative composition of landscape and the landscape with mountains aiming to utopia. I am sure that this Study will be a great foundation and nourishment for my future works.

      • 숲을 바라보다

        정민지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4곡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4곡의 작품 제작 배경을 설명하고 형식, 선율, 화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창작자의 음악적인 의도를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데 있다. 「숲을 바라보다」는 창작자가 숲과 자연을 보며 느낀 감정과 생각들을 표현한 것이다. 평소 등산을 즐기는 필자는 산행의 과정이 삶의 여러 과정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고 생각하여 본 공연을 구상하게 되었다. 산행에서 관조한 자연을 통해 느끼고 깨달은 점들을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 이선주의 졸업 작품 「Shape of water (부제 : 사랑의 모양)」 해설

        이선주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소논문은 「Shape of water (부제 : 사랑의 모양)」 라는 주제를 토대로 만들어진 4곡의 졸업 작품을 해설한 것이다. 영화 “Shape of water”는 서로 다른 두 종의 생명체가 만나 사랑하는 방식을 물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그려낸 작품이다. 모든 사람들이 끔찍하다고 말하는 괴생명체를 보고 연민을 느끼며 사랑에 빠지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면서, 과연 나는 나와 다른 타인을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어떠한 태도로 접근해야 좋을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다. 특히 인상 깊었던 장면들을 이 영화의 전개에 따라 음악으로 표현하였다. 1) 다른 행성에서 : 온 몸이 비늘로 덮인, 물고기도 인간도 아닌 끔찍하게 생긴 괴생명체를 보고 첫 눈에 이끌리는 인간여자. 이 둘은 한 공간에 있음에도 마치 다른 행성에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낯선 생명체를 마주했을 때, 두려움과 거부감이 아닌 호기심과 동질감으로 대하는 주인공의 태도가 인상 깊었고 그 느낌을 곡으로 표현해보았다. 2) 사랑이라는 마음이 무얼까 떠올렸을 때 : 영화의 주인공은 농아이다. 장애인이기 때문에 차별받고 소외됐던 자신의 모습을 물고기 형상을 한 괴생명체에게 투영시키며 친절을 베푼다. 주인공이 괴생명체에게 느끼는 감정이 단순히 연민과 동질감을 넘어 사랑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들에서 나는 사랑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3) 사랑하면 누구나 다 : 현실적으로 말이 안 되고 기괴하리만치 아름답게 느껴지는 동화 같은 스토리지만 충분히 공감 할 수 있는 사랑 이야기였다. 사랑하면 누구나 동일하게 느낄 수 있는 감정을 개인적인 생각으로 표현한 곡이다. 4) F I N A L : 이 영화에는 말 못하는 농아, 흑인여성, 동성애자와 같은 소수자들에 대한 차별의 이야기를 다루는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종을 넘어선 두 부류의 사랑이라는 설정도, 그리고 그 사랑을 응원하는 모든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주류의 기준에서 벗어난 ‘아웃사이더’ 라는 점도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그런 사회적 약자에 대비되는 캐릭터, 말하자면 악역이 등장하는데 이 인물은 자기주장이 강하고 소수자들에게 차별적 발언을 서슴없이 내뱉는 고집이 센 전형적인 60년대 남성주의 마초 캐릭터이다. 그가 세상을 판단하는 방식이 철저하게 선입견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는 것을 죽기 바로 직전에 가서야 깨닫는 장면을 보고 그는 단순히 특권을 누리는 가해자가 아닌 나약한 인간이었음을 느꼈고 그 느낌을 곡으로 표현하였다.

      • 장생도의 현대적 해석 및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기은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논문은 ‘장생의 공간을 찾아서’의 주제로 석사학위청구전(2023년 6월 7일∼12일, 동덕아트갤러리 A, B실)에서 전시되었던 작품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민화(民畵)는 궁중에서 화원들이 그린 궁중 회화가 민간으로 유출되면서 ‘민화’라는 이름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궁중 회화 소재 중 대표적인 ‘장생(長生)’은 서민 회화 양식의 소재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인간의 오랜 숙원 중의 하나인 ‘장생’의 꿈은 궁중에서 사용되는 장식용 병풍을 포함한 회화 양식뿐만 아니라 가구와 생활용품 등 다양한 곳에 ‘장생’의 염원을 담아 ‘장생도’로 남아있다. 무병장수를 염원하며 그 의미를 담은 도상들을 모아 그린 그림이 <장생도>이고 그 장생도 중에서 장생을 담고 있는 10가지 소재를 담은 양식을 <십장생도>라 하였다. 본래 이 그림은 궁중 화원이 그린 그림에서 시초하였지만, 궁중 회화가 민간으로 유출되면서 그 형태와 도상이 변화하였다. <장생도>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어 표현되고 있다. 연구자는 전통적인 요소를 기본으로 형태나 소재가 발전하며 변형된 ‘장생도’를 주제로 삼아 연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십장생도>의 소재와 구성에 따른 유형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십장생도>에서 밑그림이 같은 도상이 반복적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복적으로 사용된 몇 가지 그림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현대 장생도’의 새로운 조형을 연구했다. 연구자는 책거리의 형태를 통하여 ‘장생도’를 표현하고자 전통 회화의 기원적 표현 양식에서 사용되는 도상을 기본으로 현대의 기물인 화분, 케이크, 사탕, 목마 등을 구현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생도’의 개념을 보다 경쾌하고 가볍게 접근했다. 장수(長壽)라는 무거운 이미지를 시대변화 양식에 따른 소재들로 재해석하여 회화성을 통한 상징적 의미를 부각함을 목적으로 했다. 현대의 작품들이 전통 민화를 재해석하며 새로운 시도를 통해 나타나 예술의 영역으로 수렴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연구자는 한지에서 광목천으로 다양한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디지털의 세계화, 현대사회의 발전 양상에 따른 다양한 소재들(기물)은, 장생이라는 기원적 의미와의 결합을 통해 책가도의 형태를 기본으로 현대성을 강조했다. 본 연구의 구성은 ‘장생도’의 소재와 구성을 알아보기 위해 ‘십장생’의 소재와 구성, 유형과 특징을 연구하였다. 또한 조선 후기 궁중에서 많이 사용하였던 그림 중 ‘십장생도’의 변천 과정을 3가지 특징으로 나누어 작품을 분류하였다. 더불어 ‘십장생도’의 동일한 도상의 반복되는 특징에 대하여 연구한 뒤 기술되었다. Ⅲ장에서는 작품의 창작 방향과 제작 과정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Ⅳ장에서는 연구자 작품의 표현 방식과 작품론에 대해 알아보고, ‘십장생도’를 연구하여 모사를 진행하였다. ‘십장생도’를 연구하며 알아낸 창작의 과정을 통해 같은 도상으로 새로운 그림을 제작하였다. 이 같은 내용은 창작의 여러 방법 중 연구자의 창작 과정과 연계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구자 창작의 과정을 설명하고 작품을 크게 3가지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실(絲)로 선을 표현하고 백토를 발라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혼합재료를 이용한 이미지의 표현’과 인간의 소원을 블록 형상으로 표현했다. 다양한 기물을 올려 그린 ‘블록 이미지를 차용한 도상의 표현’, 그리고 책가도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장생을 주제로 이야기하고자, 새로운 장생도 형태인 ‘책가도와 콜라주를 통한 현대적 표현’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기본적으로 ‘장생’이라는 주제를 담고 현대적인 기물과 재료를 사용하여 작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였다. 자연의 모습을 담은 ‘장생도’에서 얻는 안정감은 장생이 가지고 있는 본질인 마음의 편안함이다. 현대에서 말하는 ‘장생’은 본인의 염원을 이루고자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고유한 언어로 해석하고 새로운 현대 민화의 모습을 ‘장생도’를 통해 표현하였다. 규격화된 화판의 정형적인 크기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형식으로 작업하면서 화면의 한계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입체적으로 부조 작업을 진행하며 이후 작업에서는 크기를 확대하여 관람자에게 장생의 현대적 의미를 부여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works that were exhibited at the Master's Degree Claiming Exhibition (June 7-12, 2023, Dongdeok Art Gallery Room A, B) under the theme of Finding a Long Life. Folk paintings developed into the name of 'folk paintings' as court paintings painted by gardens in the court were leaked to the private sector. Among the materials of court painting, the representative 'Jangsaeng' was also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the common people's painting style. The dream of 'Jangsaeng', one of humans' long-cherished aspirations, remains as 'Jangsaengdo' containing the desire for 'Jangsaeng' in various places such as furniture and household goods, as well as the painting style including decorative folding screens used in the court. Jangsaengdo is a collection of paintings containing the meaning while wishing for a good health and a long life, and the style containing 10 materials containing Jangsaeng is called 'Sipjangsaengdo'. Originally, this painting began with a painting drawn by a court garden, but its shape and painting changed as court painting was leaked to the private sector. "Jangsaengdo" is reinterpreted and express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researcher studied with the theme of "Jangsaengdo", which was transformed with the development of shape or material based on traditional elements. In the process, the change of the type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composition of "Sipjangsaengdo" was examined. In "Sipjangsaengdo", it was found that the icon with the same sketch was repeatedly used. A new form of "modern Jangsaengdo" was studi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analyzing some of the repeatedly used pictures. The researcher realized modern objects such as pots, cakes, candy, and horses based on the iconography used in the original expression style of traditional paintings to express 'longevity' through the form of book streets. Through this process, the concept of 'longevity' was approached more brightly and ligh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symbolic meaning through painting by reinterpreting the heavy image of Jangsu (longevity) into materials according to the changing style of the times. The reality is that modern works are reinterpreting traditional folk paintings and appearing through new attempts, converging into the realm of art. The researcher produced works using various mixed materials from Korean paper to Gwangmokcheon. Various materials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of digital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emphasized modernity based on the form of Chaekgado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original meaning of Jangsaeng.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studied the subject matter, compositi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Sipjangsaeng' in order to find out the subject matter and composition of 'Jangsaengdo'. In addition, works were classified by divid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Sipjangsaengdo' into three characteristics among paintings used a lot in the cou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was described after studying the repeated characteristics of the same iconography of 'Sipjangsaengdo'. In Chapter III, the creative direct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work were described in detail, and in Chapter IV, the expression method and theory of the researcher's work were investigated, and the 'Sipjangsaengdo' was studied and simulated. A new picture was created with the same iconography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found by studying the 'Sipjangsaengdo'. It can be seen that such content is linked to the researcher's creative process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creation. In this way, the process of the researcher's creation was explained, and the work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and studied. By expressing lines with threads and applying white clay, 'expression of images using mixed materials' and human wishes are expressed in block shapes. In order to talk about Jangsaeng, although it has the form of a bookgado, and a new form of Jangsaengdo, 'modern expression through bookgado and collage' were studied. The researcher basically contained the theme of 'Jangsaeng' and reinterpreted the work modernly using modern objects and materials. The sense of stability gained from 'Jangsaengdo' that contains the appearance of nature is the comfort of the mind, which is the essence of Jangsaeng. Jangsaeng' in modern times was expressed in various forms to achieve one's desire. This study interpreted it as a unique language and expressed the appearance of a new modern folk painting through 'Jangsaengd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limit to the screen while working in a new format, breaking away from the standardized size of the screen. In addition, the relief work was carried out in three dimensions, and in subsequent works, the size was expanded to give the viewers the modern meaning of Jangsaeng.

      • 중년여성의 동반식사 여부에 따른 영양상태 및 건강행태조사 : 제 7기(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이용

        국지혜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동반식사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기존 연구는 노년이나 아동청소년기를 중심으로 하여 동반식사와 정신질환 혹은 대사증후군을 중점으로 분석한 연구로 중년여성의 동반식사와 영양상태, 식습관, 건강행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40세이상 59세 이하의 한국 중년여성의 동반식사 여부에 따른 영양상태 및 건강행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6~2018년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40세이상 59세 이하 중년여성 3,5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반식사의 구분은 ‘최근 1년간 아침식사 시 가족 및 가족 외 사람과의 동반여부’, ‘최근 1년간 점심식사 시 가족 및 가족 외 사람과의 동반여부, ‘최근 1년간 저녁식사 시 가족 및 가족 외 사람과의 동반여부’문항을 이용하여 네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동반식사 여부에 따른 대상자를 분류한 결과 혼자식사군이 9.4%, 1끼니 동반식사군이 24.9%, 2끼니 동반식사군이 39.5%, 3끼니 동반식사군이 958명으로 26.6%로 나타났다. 인구 사회학적요인은 혼자식사군에서 연령, 미혼, 별거, 사별, 이혼, 1인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고, 농촌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으며 교육수준과 소득수준, 경제활동 참여율이 동반식사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혼인상태와 가구 유형 또한 동반식사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영양섭취상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곡류, 유지류(식물), 육류 섭취량이 동반식사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고, 감자·전분류, 채소류, 양념류 또한 혼자식사군의 섭취량이 가장 적은 결과를 나타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산, 레티놀, 티아민, 나트륨 또한 혼자식사군의 섭취량이 가장 적게 나타나며 동반식사 횟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열량섭취 구성비(Carbohydrate: Protein: Fat, CPF)는 모든 군에서 알맞은 비율로 섭취되고 있었으며, 영양소 섭취의 과부족을 평가하기 위해 분석한 영양소 적정 섭취비(Nutrient Adequacy Ratio, NAR)는 단백질이 동반식사 횟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티아민이 3끼니 동반식사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영양 밀도를 나타낸 영양 질적 지수(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는 리보플라빈이 동반식사 횟수가 증가할수록 점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평가지수에서는 ‘식생활 평가지수 총점’,‘아침식사 섭취’,‘잡곡 섭취’,‘총 채소 섭취’,‘김치, 장아찌류를 제외한 채소 섭취’,‘고기, 생선, 달걀, 콩류 섭취’,‘포화지방산 에너지섭취 비율’,‘당류, 음료류 에너지섭취 비율’,‘에너지 적정 섭취’의 평균점수가 동반식사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아침식사 섭취 항목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 의 경우 동반식사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중년여성의 동반식사 여부에 따른 건강지표를 파악하기 위한 혈액검사, 소변검사, 대사증후군 위험 지표 검사에는 질병에 대한 다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나이와 폐경 여부를 보정한 뒤 조사하여 크레아티닌과 혈소판, 단백뇨에서 동반식사 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크레아티닌과 혈소판은 3끼니 동반식사군에서 가장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나 네 군 모두 정상 수치에 해당하였다. 단백뇨의 경우 동반식사 횟수가 증가할수록 음성인 비율이 높았다. 또한 동반식사 횟수가 증가할수록 폐경을 하지 않은 가임기 여성이며 출산을 경험한 비율이 높았고 스트레스 인지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면연구자료를 이용하여 동반식사 여부와 각 요인간의 단면연구이기 때문에 동반식사와 관련된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없다. 특히 동반식사의 구분에 있어 횟수 뿐 아니라 1인가구, 다인가구 등 가구 구성원에 대해 분류하고 가정내에서 함께한 동반식사와 타인과 함께한 동반식사에서의 영양 상태 및 건강행태에 대해 세밀히 분석한 연구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search on shared meals has been consistently conducted, but existing studies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elderly or adolescence, analyzing shared meals in relation to mental disorders or metabolic syndromes.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shared meals, nutritional status, dietary habits, and health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behaviors of Korean women aged 40 to 59 based on whether they engage in shared meals or not. This study targeted 3,595 middle-aged women aged 40 to 59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6 to 2018. The distinction of shared meals wa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the presence of family members and others during breakfast, lunch, and dinner over the past year. The classification resulted in the following: 9.4% ate meals alone, 24.9% shared one meal, 39.5% shared two meals, and 26.6% shared three meals.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group that eats alone exhibit the highest proportions of individuals who are older, unmarried, separated, divorced, or living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ural residency rate is also higher in this group. Additionally, lower levels of education, income, and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are observed in the group that eats alone compared to the shared meal group. Besides income, education, and residence,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 also have additional impacts depending on the shared meal statu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and the consumption of cereals, plant-based fats, and meat. On the other hand, categories such as potatoes, starches, vegetables, and condiments exhibited the lowest intake levels in the group that eats alone. Carbohydrates, proteins, fatty acids, retinol, thiamine, and sodium also demonstrated the lowest intake levels in the group that eats alone, with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The CPF ratio was appropriate in all groups, and the Nutrient Adequacy Ratio (NAR) analysis, used to evaluate nutrient deficiencie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intake and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with thiamine scoring the highest in the group that shared three meals a day. In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riboflavin showed a decrease in scores as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increased. The Dietary Habits Evaluation Index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score, breakfast consumption, whole grain intake, total vegetable intake, vegetable intake excluding kimchi and pickled vegetables, meat, fish, egg, and legume intake, the proportion of energy from saturated fatty acids, the proportion of energy from sugars and beverages, and adequate energy intake, all in relation to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Particularly noteworthy was the substantial difference observed in the breakfast consumption category. To assess health indicators based on shared meal practices among middle-aged women, blood tests, urine analysi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assessments were conducted. To exclude the influence of other diseases, the investigation was adjusted for age and menopausal statu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hared meal practices and creatinine, platelet count, and proteinuria. Although creatinine and platelet count were lowest in the group that shared three meals a day, all four groups exhibited values within the normal range. As for proteinuria, the rate of negative results increased with higher frequency of shared meals. Furthermore, as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increased, it was observed that a higher proportion of women were in the fertile age range without experiencing menopause. The rate of those with a history of childbirth was also higher, and the perceived stress rate was lower. This study, utilizing cross-sectional data, is a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into the association between shared meals and various factors. As it is a cross-sectional study,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related to shared meals need to be explained. In particular, in distinguishing shared meals, it is important to classify not only the frequency but also household composition, such as living alone or with others. Additionally, a detailed examination of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behaviors related to shared meals within the household and shared meals with others is deemed necessary.

      • 피아노 연탄(Piano Four Hands) 편곡 기법 연구- 실용음악 양식의 적용을 중심으로-

        박지선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국문 초록> 피아노 연탄(Piano Four Hands) 편곡 기법 연구 - 실용음악 양식의 적용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마 도 원 실용음악전공 박 지 선 음악을 포함한 모든 예술은 창작된 당시의 시간을 넘어 오랜 기간의 역사 와 발전해 온 과정을 담고 있으며 미래의 전망을 투영하는 내용을 포함하기 도 한다. 음악 양식 중의 하나인 피아노 연탄은 클래식 음악을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온 연주 양식이라 할 수 있지만, 다른 음악에 비해 음악적 분석이나 편곡 기법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논문은 피아노 연탄을 작곡 또는 편곡하는 데 필요한 편곡 기법을 연구 하기 위해 몇 가지의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피아노 연탄의 편곡을 위 해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방식들을 이해하기 위해 기존의 클래식 음악 중 잘 알려진 피아노 연탄의 작품을 골라 편곡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후, 현대의 작품 중 새롭게 시도된 편곡 기법들과 이들이 적용된 음악적 사례를 조사하였으나, 피아노 연탄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와 음악적 사 례를 찾기 어려웠고 이에 선택한 방법은 최근 필자가 관심을 두고 꾸준히 작업해 오던 피아노 연탄 편곡 작업 안에서 분석 대상을 찾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기존 피아노 연탄의 기술적 특징과 현시대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악 양식은 물론, 현대적인 편곡 방식에 실용음악 양식을 반영하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피아노 연탄 작품에 사용된 편곡적 특징을 4가지 작품을 통해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이 9가지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가. 넓은 음역을 활용한 두터워진 성부와 리듬적 요소 나. 코랄 풍의 스타일로 풍성해진 화성 다. 대위법적 진행 및 자유대위법 라. 모방대위법의 악곡 전개 마. 4중주를 연상시키는 실내악적 표현 바. 다수의 악기 편성 구조의 관현악적 표현 사. 주제 선율의 교환으로 인한 주선율과 화성의 발전 아. 서로 호응하는 연주자 간의 대화 자. 연탄 특유의 연주자 사이에 교차 연주 둘째, 연구를 위한 자료가 한정적이었으나 앞서 분류한 9가지 특징을 현대 음악에 적용한 예시를 통해 실제로 사용된 변화를 관찰하던 중 클래식 음악 기법이지만 연탄 작품에 사용된 새로운 예시로, 대위법 진행에서 주선율을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변형하여 연주하는 헤테로포니(Heterophony) 양식과 기존 선율을 짧게 분절하여 대체하는 동기의 축소(Motive Diminution) 2가지의 새로운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에 포함된 필자의 연탄곡을 분석한 결과 전통적인 피아노 연탄 편곡 특징 이외의 7가지의 음악적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 서로 다른 테마가 동시 연주되는 타 작품의 주제 차용(Theme Parody) 나. 박자의 단위(Pulse) 변화로 같은 템포 안에 다른 박자(Meter) 다. 대조적인 폴리리듬이 특징인 폴리메트릭(Polymetric) 라. 재즈의 즉흥연주(Improvisation) 요소 마. 협주곡(Concerto) 제시부 형식 반영 바. 주제의 변형을 이용한 변주곡 형식 사. 타악기적 효과와 동작 효과 넷째, 피아노 연탄에 실용음악 양식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리듬, 화성이 주 된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었다. 가. 리듬 양식의 재구성 1 라틴 재즈(Latin Jazz)의 초기 형태 아프로 쿠반(Afro-Cuban) 2 브라질의 민족 음악 삼바(Samba) 3 삼바(Samba)에서 파생되어 모던 재즈와 결합한 보사노바(Bossa Nova) 4 초기 재즈의 발판이 된 래그타임(Ragtime) 5 역동적인 리듬의 스윙(Swing) 6 리듬 앤드 블루스(R&B), 소울(Soul) 등이 결합한 펑크(Funk) 7 펑크에서 파생된 리듬 디스코(Disco) 나. 화성의 재구성(Reharmonization) 1 Modal Interchange 2 Hybrid Chord 3 Upper Structure Triad 4 Pedal Point 5 Line Cliche 6 Approach Chord Progression 본 논문의 연구는 피아노 연탄에 대해 분석 및 구체적인 연구 자료를 찾기 어려운 실정에서, 작은 초석이 되고자 하는 바람에 시작하였고 본 논문을 계기로 차후 피아노 연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f Arrangement Technique for Piano Four Hands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Jazz & Pop Styles Supervised by Professor Ma, Do Won Department of Applied Music Park, Ji Sun All forms of art, including music, encapsulate a rich history and development that extends beyond the time of their creation, often incorporating reflections of the future. One specific musical form, piano improvisation, can be considered an evolving performance style that has developed in various forms from classical music to contemporary times. However, in comparison to other genres of music, it is challenging to find comprehensive studies on musical analysis or arrangement techniques for piano improvisation. This paper approached the study of arranging techniques necessary for composing or arranging piano improvisations from several perspectives. Firstly,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methods employed in the arrangement of piano improvisations, the paper analyzed the arranging characteristics of well-known piano improvisation works from classical music. Subsequently, the paper investigated newly attempted arranging techniques in contemporary works and examined musical cases where these techniques were applied. However, it was challenging to find systematically organized resources and musical examples for piano improvisation. Therefore, the chosen approach involved analyzing subjects within the realm of piano improvisation that the author had consistently worked on and found intriguing. Finally, the paper conducted experiments reflecting practical musical forms in contemporary arranging methods, considering both the technical features of existing piano improvisations and various contemporary musical forms. The research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rough the analysis of four traditional piano improvisation works, four organizing characteristics for arranging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nine areas as follows. A. Thickened texture and rhythmic elements using a wide range of pitches B. Harmonic richness in a chorale-like style C. Counterpoint progression and free counterpoint D. Development of imitative counterpoint E. Chamber music expression evoking four-part harmony F. Orchestral expression with a structure of multiple instruments G. Development of theme melody and harmony through the exchange of thematic material H. Dialogue between responsive performers I. Cross-playing among performers unique to improvisation Secondly, despite limited research materials, the paper observed actual variations by applying the identified nine characteristics to contemporary music example, new instances were found in charcoal works where classical music techniques were utilized. Two new features, heterophony in transforming harmonic progressions with slight variations in melodic lines and motive diminution in shortening existing melodies, were discovered. Thirdly, the analysis of the author's included piano improvisation pieces revealed seven additional musical elements beyond traditional piano improvisation characteristics. A. Theme parody from different themes played simultaneously in other works B. Pulse unit variation for different meter within the same tempo C. Polymetric feature with contrasting polyrhythms D. Elements of jazz improvisation E. Reflection of concerto exposition form Variation of themes in variation form using Variation of themes in variation form using transformation. F. Percussive effects and action effects Lastly,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practical musical forms in piano improvisation, rhythm and harmony played a predominant role. This was classified as follows. A. Reconstruction of rhythm forms 1 Early forms of Latin jazz(Afro-Cuban) 2 Brazilian national music Samba 3 Bossa Nova derived from Samba and combined with modern jazz 4 Ragtime, a precursor to early jazz 5 Swing with dynamic rhythmic elements 6 Funk combining R&B, Soul, etc. 7 Rhythm Disco derived from funk B. Reconstruction of harmony 1 Modal Interchange 2 Hybrid Chord 3 Upper Structure Triad 4 Pedal Point 5 Line Cliche 6 Approach Chord Progression This research, initiated due to the difficulty in finding specific research data for piano improvisation, hopes to serve as a small foundation. The paper anticipates that this study will encourage further active research on piano improvisation in the future.

      • 한국 노인에서 한국형 식사염증지표와 인지기능 간의 상관성

        황세연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노인들의 주요 건강 문제 중 하나로 인지기능 저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정상적인 노화와 치매 사이의 중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는 치매로 진행될 위험이 높아 이 단계에서의 관리가 중요하다. 인지장애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염증이 확인되었고, 염증은 식이요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를 중심으로 인지장애와 식이 관련 염증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양소를 중심으로 염증 지표를 결정하고 있으며 각 나라의 식문화에 따라 소비하지 않는 음식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국인의 식사 패턴을 반영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형 식사염증지표와 인지기능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경기도 양평에서 진행된 코호트 연구 대상자 중 60세 이상 노인 798명을 선정하여 식사염증지표 도구인 Food-based Index of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FBDI)과 인지기능 평가 방법인 Korean version of the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in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MMSE-KC)을 이용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들을 FBDI 점수에 따라 4분위수로 나누어 분류하였을 때 FBDI 점수가 가장 높은 군은 FBDI 점수가 가장 낮은 군에 비해 백미, 과자/사탕, 가당음료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았고 다른 곡물, 콩/견과류, 등푸른생선, 생선/해산물, 과일의 섭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영양소는 FBDI 점수가 높을수록 비타민 B1, 나이아신, 베타카로틴의 섭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성별, 나이, 그리고 교육수준을 보정한 FBDI 점수가 높을수록 MMSE-KC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별, 나이, 교육수준, 운동여부, 음주여부, 그리고 영양제 섭취 유무를 보정한 결과에서는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전체 대상자의 경우 성별, 나이, 교육수준, 운동여부, 음주여부, 그리고 영양제 섭취 유무를 보정한 분석에서 FBDI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남자 대상자의 경우 나이, 교육수준, 운동여부, 음주여부, 그리고 영양제 섭취 유무를 보정한 분석에서 FBDI 점수와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도는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여자 대상자의 경우 FBDI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위험도는 FBDI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염증은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치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항염증 식품 및 영양소의 적절한 섭취는 인지장애의 위험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면연구이므로 FBDI와 인지기능 저하 사이에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worldwide, cognitive impairment has emerged as one of the major health issues among the elderly. In particula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normal aging and dementia, has a high risk of progressing to dementia, making management at this stage crucial. Inflammation has been confirmed as one of the causes of cognitive impairment, and this inflammation has been shown to be closely related to dietary habits. Although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dietary inflammation have been reported mainly abroad, most of these studies determine inflammatory markers centered on nutrients, and there are foods that are not consumed depending on the dietary culture of each country, which limits reflecting the eating patterns of Korea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Korean-style dietary inflammation index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residents in Korea. We selected 798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from the cohort study conducted in Yangpyeong, Gyeonggi-do, and perform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Food-based Index of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FBDI)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in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MMSE-KC) as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s. Whe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quartiles according to the FBDI score, the group with the highest FBDI score had significantly higher intake of white rice, cookies/candies, and sweetened drinks, and significantly lower intake of other grains, legumes/nut seeds, external blue colored fish, fish/seafood, and fruits. Nutrient-wise, the higher the FBDI score, the lower the intake of vitamin B1, niacin, and β-carotene. Also, the higher the FBDI score, the lower the MMSE-KC score, after adjusting for sex, age, and education level. The trend was not observed when adjusting for sex, age, education level, exercise, alcohol drinking, and use of supplement. For all participants, the higher the FBDI score, the higher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fter adjusting for sex, age, education level, exercise, alcohol drinking, and use of supplement. For men participants, there was no trend between the FBDI score and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level, exercise, alcohol drinking, and use of supplement. However, for women participants, the higher the FBDI score, the higher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In conclusion,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 FBDI and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mong the Korean elderly. Inflammation is related to cognitive impairment, which may lead to dementia. Therefore, the appropriate intake of anti-inflammatory foods and nutrients may help reduce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However, as this study is cross-sectional, it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BDI and cognitive decline, thu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upplement this.

      • 화훼화의 조형적 표현에 관한 연구 모(模)·방(倣)을 통한 창작으로의 전환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지연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이 논문은 ‘한 숨, 쉬어가다.-화훼화가 주는 위로와 안식의 표현’이라는 주제로 〈대학원 졸업 작품 평가를 위한 개인전(2023년 4월 5일∼4월 11일, 동덕아트갤러리)〉에 출품한 연구자의 작품 주제와 내용, 재료와 기법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화훼화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소재별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화훼화의 전통을 이해하고, 연구자가 지향하는 작품의 역사적 위치와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화훼화를 모사와 방작(倣作)을 통해 체험함으로써 과거의 작품이 주는 미감을 충분히 체득하여 창작을 위한 조형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모사와 방작은 전통 회화의 학습 방법인 동시에 선인들의 창작 의도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과정이며, 시대별로 상이한 화법에 대한 학습에도 큰 이점을 가져다주었다. 연구자는 이를 통해 한국적인 채색화풍의 정체성을 심도 있게 고찰하였고, 화훼화의 조형적 표현에 관한 폭넓은 체험과 이해를 구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화훼화의 창작을 통해 꽃이 가지고 있는 위로와 휴식의 의미를 강조하고 전달하고자 하였다. 소재의 선택에 있어 연구자는 일상에서 가까이 접할 수 있는 화훼와 나무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익숙함에서 나오는 편안함을 표현하기 위해 자연물을 작품의 소재로 편입하였고, 인공물의 표현은 가급적 절제하였다. 더불어 동양회화의 색채 사용에 나타난 큰 특징은 중용(中庸)의 가치에 기반한 조화와 균형임을 인식하고, 화면의 전체 색조를 모노톤에 두어 운용함으로써 이를 창작에 응용하였다. 연구자는 또한 공간의 운용에도 많은 비중을 두어 창작의 중요한 요소로 삼았다. 즉, 넉넉하고 여유로운 여백의 설정을 통해 작품의 밀도감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이는 연구자의 의도가 너무 강조되면, 표현상의 자유가 제약되고, 경직되는 현상을 경계하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여유 있는 화면 구성을 통해 현대인들의 삶에 작은 휴식과 안식의 공간을 작품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화훼화의 장식적 기능을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속으로 가져와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휴식’과 ‘안식’의 공간을 표현하고자 한 연구자의 조형의지를 반영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화훼화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기능적 기술, 꽃이 포함된 공간의 휴식을 서술하는 법, 은유적 형태로 꽃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모색과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는 화훼화가 지닌 고전적이고 원칙적인 내용을 존중함과 동시에 개인의 주관적 해석을 통해 화훼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추구하고자 한 것이다. 동양회화의 기본적인 조형 방법이 사물의 외양이나 특성을 빌어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을 취한다고 할 때, 화훼화는 시각적인 미감과 더불어 특정한 상징을 전달하는 그림이다. 그 의미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지만, 연구자는 현대라는 시공간 안에서 화훼가 주는 위로와 인식, 그리고 생명에 대한 존중과 일상의 소중함을 표현하고자 했다. 이러한 화훼화의 전통을 숙지하고 현대적인 해석을 통하여 작품을 추구한 과정을 이 논문에서는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서술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titled "Taking a Breath, Finding Solace: Exploring Comfortand Serenity in Floral Paintings," focuses on the analysis of artworks exhibited in the <individual graduate exhibition for evaluation of graduate works (April 1st to April 11th, 2023, at Dongduk Art Gallery)>. The research primarily centers around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in floral paintings that emerged during the process of creating the exhibited works. Interest and fondness for flowers are universal human instincts, and records and artifacts related to flowers have been discovered since ancient times.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flower painting as a genre under the name of "Hwa-hwe" (화훼) is generally explained to have occurred during the Song Dynasty. The emergence of flower painting as a distinct genre signifies not only the development of art with a focus on aesthetic appreciation but also the discovery of a sense of life through nature. Traditionally, large, vibrant flowers with specific meanings have been the typical subject matter of flower paintings. In contrast, the researcher aimed to express the spirit of flower painting through small, ordinary flowers found in the wild as the subject. Departing from the decorative and aesthetic purposes of traditional flower paintings, the researcher chose flowers as a medium to convey not only an interest and respect for life and the beauty and vitality of nature but also to provide solace and healing to both the creator and the viewer. To express this inten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traditional flower painting an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t materials used in flower paintings,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necessary for appreciating flower paintings. Through the practice of emulation and adaptation, the researcher gain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appeal conveyed by past works and aimed to acquire a Korean style in composition and color. Emulation and adaptation served as a learning method in traditional painting, allowing the researcher to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previous artists and learn different coloring techniques employed in different eras.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aimed to explore the identity of Korean art, particularly in terms of coloring, and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painting through a broader comprehension of composition. Based o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sought to convey the meaning of solace and relaxation inherent in flowers through the artistic creations. For the choice of subject matter, the researcher focused on everyday grasses and trees. This was intended to express a sense of comfort derived from familiarity. Additionally, elements such as stone lanterns and cement eav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compositions to express the familiarity and modernity in a restrained manner so as not to disrupt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artworks. Furthermore,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Eastern painting, which emphasizes harmony and balance through the value of middle tones, the researcher applied a monotonous color scheme to the entire composition. The manipulation of space is an important aspect that the researcher pays attention to. By setting a generous and spacious margin, the researcher aimed to minimize the density of the artworks. This deliberate setting reflects the researcher's intention to provide a small space for rest and relaxation amidst the rigid and non-stop pace of modern life. This represents the researcher's artistic will to create a healing space for "rest" and relaxation, which is necessary for contemporary individuals, in contrast to the decorative function emphasized in traditional flower paintings.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er not only gained an understanding of flower paintings and the techniques used to express the beauty of flowers but also explored the functional skills of describing the restful atmosphere within a space that incorporates flowers and learned the methods of symbolically representing flowers in their own artistic style. This approach involved respecting the classical and fundamental content of flower paintings while expanding the scope of flower paintings through personal interpretations and assigning new meanings. Considering that the basic method of Eastern painting involves conveying meaning by borrowing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objects, flower paintings convey specific meanings along with visual aesthetics. These meanings naturally change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e researcher aimed to expand the scope of flower paintings by reflecting on the contemporary era and expressing solace, awareness, respect for life, and the value of everyday life and its surroundings

      • Brad Mehldau의 솔로 앨범 「Your Mother Should Know: Brad Mehldau Plays The Beatles」(2023) 연주 분석 : – “I Am The Walrus”, “I Saw Her Standing There”, “Baby’s In Black”, “Here, There And Everywhere”, “Golden Slumbers”를 중심으로 -

        김지은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논문은 재즈 피아니스트, Brad Mehldau가 2023년에 발표한 솔로 피아노 앨범, 「Your Mother Should Know: Brad Mehldau Plays The Beatles」의 연주 스타일을 분석한 것을 내용으로 한다. 진지하게 작품 세계를 추구하는 뮤지션으로 알려진 Brad Mehldau가 팝과 록의 전성시대를 연 Beatles의 음악을 어떠한 관점에서 두 양식 사이의 조화를 이루어나가는지, 또 재즈 피아니스트가 대중음악을 어떻게 해석해 나가는지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Brad Mehldau는 1997년 발표한 앨범에 Beatles의 곡을 포함한 이래 현재까지 솔로 피아노나 트리오 연주를 통해 꾸준히 Beatles의 음악을 콘서트 Repertoire에 포함해 왔다. 짧지 않은 연주 여정 동안 그가 Beatles를 통해 발견하였던 음악적인 비전은 무엇이었으며, 또 Beatles 음악의 재해석을 통해 보여주려 했던 새로운 시도들, 창의적인 음악적 실험을 밝혀내고 분석하는 것을 이차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를 위해 앨범에 수록된 전체 개별 곡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을 진행하였고 수록곡 중 연주자의 음악적 의도와 실험성이 뚜렷한 곡이라 판단되는 5곡을 선택하여 세부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는데 선곡된 곡들은 아래와 같다. ① I Am The Walrus ② I Saw Her Standing There ③ Baby's In Black ④ Here, There And Everywhere ⑤ Golden Slumber 위에 선곡된 5곡에 대한 세부 분석은 아래의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① 원곡의 작품 분석 : 형식, 화성, 선율 ② 편곡 방식과 의도 : 형식, 양식, 화성 ③ 연주 분석 : 주제부, 즉흥 솔로 본 연구의 개략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Brad Mehldau의 수록곡으로 선곡한 기준이 대중성보다는 음악적, 장르적 성격이 뚜렷한 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2. 편곡의 외형만으로 볼 때, Jazz Ballad, Boogie-Woogie, Rag Time, Swing, Fusion 등 다양한 스타일의 재즈 양식들을 적용하여 편곡하였다. 3. 형식 구조, 화성 진행, 리듬 양식, 선율 형태 등 원곡의 특성을 곡마다 선별적으로 수용하여 편곡하였다. 일부 곡들은 원곡에 가깝게 원래의 특성들이 많이 수용되었고 또 일부 곡들은 원곡의 특성보다 새로운 요소를 더 많이 도입하여 창작에 가깝게 재해석되기도 하였다. 4. 밴드의 음악을 솔로 피아노로 편곡하기 위해 원곡에 없는 다양한 Pianistic 한 음형들을 반주와 즉흥 선율에 반영하여 피아노곡으로 변모시켰다. 5. 재화성화(Reharmonization)를 통해 화성진행을 변화시킨 예도 있었으나 원곡의 화성을 그대로 사용할 때도 화음의 표현, 즉 보이싱이나 선율화 과정에 Cluster, Avoid Note의 사용과 같은 새로운 특징을 부여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두었다. 6. 일부 곡에서 다성 양식, 즉 대위법적 양식을 적용하여 편곡하였다. 이 때 대위법은 Bach 스타일의 엄격한 다성 모방 대위법이 아니라 왼손을 베이스와 코드 반주의 역할에서 독립시켜 오른손 선율에 상응하는 대위선율을 연주하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일종의 자유 대위법 성격이라 할 수 있다. 7. 일부 곡에서 기존의 재즈 화성 이론에서 말하는 Avoid Note나 단9도 음정을 포함하는 불협 음정들의 실험적인 사용이 발견된다. 이들은 Major와 Minor 코드를 혼용한 장3도와 단3도 음정의 동시 사용, Major 7과 Minor 7을 혼용한 장7도와 단7도 음정의 동시 사용, 그리고 화음의 3음과 Sus4 음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8. 일부 곡에서는 오른손과 왼손에 각기 다른 음계를 사용하게 하거나 서로 다른 화음의 선율을 연주하게 하여 복화음(Poly Chord)을 표현하는 사례가 발견된다. 이 경우 일회성보다는 의도성이 분명한 연속사용의 경우가 대부분이다. 9. 즉흥적인 선율 또는 선율의 장식화를 시도할 때 화성음을 명료하게 사용하기보다 비화성음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Approach Note들을 혼용하고 또 Approach Note를 강박에 Long Tone으로 배치하여 화성에 색채감을 부여하는 방식이 자주 발견된다. 10. 일부 곡의 즉흥 솔로 섹션에서 원래의 화성진행을 무시하고 조성과 무관한 새로운 화성 질서를 부여하는 현대적인 기법을 적용하기도 한다. 11. 건반의 터치 방식이 섬세하여 다른 재즈 피아니스트들보다 Dynamics 표현의 폭이 매우 넓다. 이에 덧붙여서 오른손과 왼손에 다른 Dynamics를 부여하는 것은 물론, 같은 손에서도 위 성부와 아래 성부가 현저하게 구별되는 음량으로 연주되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상의 앨범 분석 결과를 토대로 Beatles의 음악을 대하는 Brad Mehldau의 두 가지 서로 다른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잘 알려지지 않은 Beatles의 곡 중 음악적인 의미를 지닌 곡을 자신의 해석을 덧붙여 대중에게 선보인다는 것이다. 이 경우 연주자는 원곡의 Originality를 존중하고 감상자와의 교감을 중요시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두 번째는 독특한 음악적 특성을 보인 곡을 선택하여 그 특성을 더욱 증폭시키고 자신의 해석을 덧붙여 실험성이 강한 곡으로 재해석하는 진취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경우이다. 현대의 많은 재즈 피아니스트들은 Chick Corea와 Keith Jarrett, 그리고 Herbie Hancock으로 대변되는 Contemporary Jazz Piano 시대를 이을 차세대의 재즈 피아니스트로 Brad Mehldau를 주목하고 있다. 그가 그동안 보여준 왕성한 활동과 업적들이 그를 주목하게 했고, 이번 앨범의 분석에서 이 같은 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질서와 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연하고도 진취적인 태도, 그러면서도 감상자와의 교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감의 정서, 무엇보다도 이 모든 것들을 음악으로 현실화할 수 있는 연주자로서의 기술과 표현 능력 등이 Brad Mehldau를 다음 세대의 대안으로 주목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performance style of 「Your Mother Should Know: Brad Mehldau Plays The Beatles」, a solo piano album released in 2023 by a jazz pianist Brad Mehldau. The primary purpose is to analyze how Brad Mehldau, a musician who sincerely pursues the world of works, harmonizes with the music of the Beatles which opened the heyday of pop and rock, and how the jazz pianist interprets popular music. Brad Mehldau has incorporated Beatles' songs into his concert repertoire as solo piano or trio performances since he included Beatles' songs in his 1997 album. The secondary purpose is to identify the musical vision he discovered by performing the Beatles' music, and to analyze the new attempts and creative musical experiments he showed by reinterpreting the Beatles. For this study, a basic analysis was conducted on all individual songs in the album, and five songs judged to have a clear musical intention and experimentation were selected for detailed analysis. The selected songs are as follows. ① I Am The Walrus ② I Saw Her Standing There ③ Baby's In Black ④ Here, There And Everywhere ⑤ Golden Slumber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five songs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① Analysis of the original song: Form, Harmony, Melody ② Arrangements and Intentions: Form, Style, Harmony ③ Performance Analysis: Head(Theme), Improvisational Sol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electing his album tracks, Brad Mehldau focused on songs with distinct musical and genre characteristics rather than popularity. 2. On the surface of the arranged songs, it is applied various styles of jazz, such as Jazz Ballad, Boogie-Woogie, Rag Time, Swing, and Fusion. 3. The arranged songs selectively accep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ong, such as formal structure, harmony progression, rhythmic style, and melody form. Some songs applied many of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almost like the original song, and other songs were reinterpreted to almost new creations by introducing more new elements than the original ones. 4. In order to transform the band's music into a solo piano song, various pianistic types that were not in the original song were reflected in the accompaniment and improvisation melody. 5. In some cases, the progress of harmony was changed by reharmonization, but even when the harmony of the original song was used as it was, more attention was paid to giving new features such as cluster and avoid note to the expression of chords, that is, the use of voicing or melodic processes. 6. Some arranged songs applied the polyphonic style, that is, the counterpoint style. It is not a strict polyphonic imitation counterpoint method like Bach-style, but a kind of free counterpoint method in which a left hand is independent of the role of bass and chord accompaniment and plays the counterpoint corresponding to a right-hand melody. 7. It is found that some experimental songs use avoid note in the existing jazz harmony theory, or dissonant intervals including a minor ninth degree pitch. It appears in a way that uses both major and minor chords, uses both major and minor 3rd notes, uses both major and minor 7th notes, and uses both the 3rd and 4th(sus4) notes at the same time. 8. In some songs, it is found that the right and left hands express poly chords by using different scales or by playing melody of different chords. In this case, it is continuously used with clear intention rather than once. 9. When attempting to decorate melody or play improvised melody, it is often found that various types of approach notes are mixed by non-harmonic tones rather than using harmony clearly and the approach notes are arranged as long tones to give color to harmony. 10. In the improvised solo section of some songs, modern techniques are applied to ignore the original harmony progression and give a new harmony order unrelated to the composition. 11. The keyboard touch method is so delicate that the range of dynamics expression is wider than other jazz pianists'. In addition to this, not only are different dynamics given to the right and left hands, but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 upper and lower voices are played at significantly different volumes even with the same h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rad Mehldau's two different attitudes toward Beatles' music can be confirmed. The first is that he presented some songs of Beatles, which are not well known but have musical meaning, to the public by adding his own interpretation. In this case, the performer respects the originality of the original song and places importance on communication with the listener. The second is his enterprising attitude of selecting a song with unique musical characteristics, amplifying the characteristics further, and reinterpreting it as a highly experimental song by adding his own interpretation. Many contemporary pianists are paying attention to Brad Mehldau as a rising jazz pianist of the next generation to succeed the Contemporary Jazz Piano era, represented by Chic Corea, Keith Jarrett, and Herbie Hancock. His achievements and activities made him remarkable, and it is confirmed by the analysis of this album. I think that the flexible and progressive attitude that can be free from traditional order and ideas, the emotion of empathy that values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above all, the technique and expressive ability as a performer to realize all these things through music have made Brad Mehldau remarkable as an alternative to the next generation.

      • 향수 시장 동향 분석 및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김도연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연구는 향수 사용과 구매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소비자의 향수 인식을 조사하고 향수 시장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향수 시장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50대 남녀를 대상으로 2023년 9월 4일부터 2023년 9월 18일까지 온라인 구글폼을 통해 표본 270명이 모일 때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향수를 사용하였으나, 10명은 향에 대한 부작용 및 거부감과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향수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향수 사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좋은 인상을 주기위해 향수를 사용했으며, 특히 남성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여성은 자신을 위해 향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수 계열 중 남성은 시트러스, 우디, 머스크, 마린 순으로, 여성은 플로럴, 머스크, 시트러스, 우디 순으로 선호하였고, 처음 향수를 사용한 나이는 20∼24세가 가장 많았다. 셋째, 향수 구매행동에 대해 분석한 결과, 향수 1개 구매 시 평균 가격은 5만원 이상∼10만원 미만이 많았고, 향수 가격 수준은 5점 만점 중 3.94로 비싸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수를 백화점에서 많이 구매하였고, 향수에 관한 정보는 주로 인터넷과 SNS에서 얻었으며, 향수 구매 시 향기를 가장 중요시하였다. 넷째, 향수 브랜드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좋은 향과 브랜드 인지도의 이유로 해외 향수를 많이 사용하였고, 샤넬, 딥티크, 조말론 등의 브랜드를 선호하였다. 향수 구매 시 브랜드 인지도의 중요성은 5점 만점 중 4.02로 높았으며, 로고, 용기 디자인, 매장이 향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5점 만점 중 4.11로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급스러운 로고, 심플한 용기 디자인, 깔끔하고 편하게 시향에 집중할 수 있는 매장을 선호하였으며, 시각적 요소(로고, 용기 디자인, 매장 인테리어)가 향수 구매 시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크라우드 펀딩 향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크라우드 펀딩을 들어보거나 경험한 경우는 많았으나,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향수를 구매한 사람은 42명(19.7%)으로 적게 나타났다. SNS을 통해 크라우드 펀딩 향수를 알게 되었고, 색다른 향을 찾기 위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크라우드 펀딩 향수 만족도는 5점 만점 중 3.55로 높았으며, 앞으로도 크라우드 펀딩 향수를 구매할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브랜드에 비해 국내 브랜드의 인지도와 구매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신생 브랜드가 증가하고 있는 점,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새로운 유통채널이 증가하는 점을 보면 기존의 향수 시장에 큰 변화가 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환경을 고려하여 새로운 향을 찾는 사람들을 위한 다양한 향수를 개발하고 적절한 소비층에게 맞춤 향수를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제어 : 향수, 사용실태, 구매행동, 브랜드 인지도, 크라우드 펀딩 ᅠ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Korean consumers’ perception of perfume amid the increasing use and purchase of perfume and analyze perfume market trend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domestic perfume market.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50s on a Google form from September 4, 2023 to September 18, 2023, until a sample of 270 people were colle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while most people used perfume, 10 did not due to side effects, aversion to scent, and not feeling the necessity. Second, the analysis of perfume use showed that both men and women used perfume to make a good impression, with men using perfume to show off to others and women using perfume for themselves. Among the perfume series, men preferred citrus, woody, musk, and marine in order, and women preferred floral, musk, citrus, and woody in order. Those first using perfume were most often aged from 20 to 24. Third, the analysis of perfume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the average price for purchasing one perfume was often higher than 50,000 won and less than 100,000 won, and the perfume price level was perceived as expensive at 3.94 out of 5 points. Consumers purchased many perfume products at department stores, mainly obtained perfum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and valued scent the most when purchasing perfume. Fourth, the analysis of perfume brand preference demonstrated that consumers used many foreign perfumes due to good scent and brand awareness, preferring brands such as Chanel, Diptyque, and Jo Malone. Both the importance of brand awareness and the influence degree of logo, container design, and store on the perfume purchase were high at 4.02 out of 5 points and 4.11 out of 5 points, respectively. In addition, consumers preferred luxurious logos, simple container designs, and neat, convenient stores to focus on testing. Moreover, visual elements (logos, container design, and store interior) were found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when purchasing perfume. Fifth,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crowdfunding perfume showed that many consumers have heard of or experienced crowdfunding, but only 42 people (19.7%) purchased perfume via crowdfunding. It turned out that they learned about the crowdfunding perfume through social media and purchased it to find a different scent. Consumers had high satisfaction with crowdfunding perfumes at 3.55 out of 5 points and that they would continue to purchase crowdfunding perfumes in the future. Finally, domestic perfume brands and purchase rates were lower than foreign brands. However, the increase in new domestic brands and new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crowdfunding indicates a big change coming to the existing perfume market. Considering the domestic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to develop various perfumes for those looking for new scents and provide customized perfumes to appropriate consumer groups. Keywords : Perfume, Usage, Purchasing Behavior, Brand Awareness, Crowdfu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