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공공기관 비서의 개인적∙조직적∙국가적 차원의 경력개발 요구분석

        이슬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71

        With the advent of a diversified society, the career environment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job transitions, coupled with a shift from vertical to horizontal organizational structures in a globalized society, has led to transformations in career environments, involving diverse races and age groups working together (Park, Yongho, 2013). These changes in the career environment have given rise to theories such as protean career and boundaryless career, increasing interest in career development. This influence extends even to traditionally overlooked roles, including secretarial roles. While numerous studies have explored the intricacies of career development for secretaries, starting with Lee Juwon's (1995)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at different stages, there remains a conspicuous gap in research, particularly regarding the unique needs of secretaries in public institutions. A notable scarcity exists in studies that comprehensively analyze the person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dimensions of career development for secretaries, confirming the necessity for such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need analysis targeting individuals performing secretarial duties in 347 institutions designated as public agencies in 2023. The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person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dimensions of career development for public sector secretaries and identify the needs of secretaries employed under various forms of employment within public institutions. The findings aim to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for public sector secretaries in the future.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and research materials using keywords such as person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career development, public institutions, and secretari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this review and was validated for face validity by current secretaries in public institutions and career development experts. The survey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of career development needs utilized a Likert Scale for detailed measurement, while the survey on national dimensions gathered information on necessity and reasons for necessity. 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were employed for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ith 26 participants in the preliminary survey and 66 responses collected during the main survey from August 30 to September 15, 2023 and from October 15 to November 8, 2023, respectively. To analyze the needs for career development among public sector secretaries, this study utilized t-test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current and desirable levels of survey items,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or prioritization and visualization.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s were performed to reveal differences in needs based on employment typ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need for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indicating a high level of interest in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among secretaries. Individual self-perception and planning for career development were found to be above average, suggesting that, in the context of the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in modern society, public sector secretaries exhibit a deep understanding at a personal level. This emphasizes their role as the agents of career development, demonstr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status and support requirements. Second, examination of needs for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of career development revealed significant requests for sabbaticals and seminar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by Kim Jeong-ah and Jung Yong-kwon. Given the misinterpretation of sabbaticals as mismanagement, as stated in the 2013 Public Sector Mismanagement Normalization Plan Guidelines,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support for sabbaticals may lead to increased needs for sabbaticals and seminars among public sector secretaries. Third, differences in needs based on the employment type of public sector secretaries were identified. Public officials showed a significant need for promotions,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Herzberg's two-factor theory as dissatisfaction with institutional policies. For regular employees (non-circulating workers), there was a pronounced need for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revealing challenges related to disrupted work continuity and difficulties in accumulating specialized knowledge due to rotating work schedules. Forth, results regarding national dimensions consistently showed needs for professional competency enhancement, indicating a need for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support for public sector secretaries to contribute to professional competency improvement.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study include: First, a systematic analysis of career development needs for secretaries in public agencies contributes academic value by providing insights into their perspectives. The study recommends strategies for career development in public institutions. Second, the exploration of needs, spanning person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dimensions, adds depth to academic understanding. It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government support and a collective willingness to enhance professional competencies. Third,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ces in needs based on employment types, coupled with the prioritization and measurement of these needs through various analytical methods, contributes academically. This approach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areer development needs for public sector secretaries. Fourth, the study affirms both a high current level and a desirable level of self-awareness and planning for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among public sector secretaries. This underscores the proactive role of individuals in shaping their career paths.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e: First, the study's confirmation of employment-type-based needs suggests practical applications in tailoring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meet the specific needs of different employment groups within organizations. Second, the high need for the role and expertise of secretaries indicates a need for practical initiative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competency. This recognition extends beyond individual preferences, emphasizing a national-level policy need for improved competency and perception of secretarie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targeting secretaries in 347 public institutions, acknowledge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o all public sector secretaries due to physical constraints in sample collection. Second, the quantitative nature of the study limits the in-depth analysis of the rich content related to public sector secretaries. Future research could consider qualitative approaches, such as observations,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career development needs. Third, the study's focus on South Korean public sector secretaries may not fully capture the career development needs and employment-type-based differences in secretarie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Subsequent research comparing career development needs and employment-type-based differences among public sector secretaries across various cultural contexts may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individuals aspiring to become public sector secretaries in a boundaryless career dimension, transcending organizational, regional, and national boundari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다각화된 사회가 도래하면서 경력환경(career environment) 역시 변화되었다. 전직과 이직이 증가하고 수직적 조직구조에서 수평적 조직구조로 변화하며 세계화 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인종과 연령이 함께 업무를 수행하는 등의 경력환경에 변화가 있어왔다(박용호, 2013). 경력환경의 이러한 변화는 프로티언 경력(protean career)과 무경계 경력(boundaryless career)과 같은 이론을 정립하며 경력개발에 대한 관심을 높였으며, 이러한 영향은 비서직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주원(이주원, 1995)의 비서 경력단계별 경력개발 모형 설계를 필두로 비서의 경력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공공기관 비서를 대상으로 한 경력개발의 요구분석 연구는 전무하다. 그에 따라 공공기관 비서의 개인적∙조직적∙국가적 차원에서의 경력개발 요구와 고용형태별 요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347개의 기관에서 비서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 비서의 경력개발에 대한 개인적∙조직적∙국가적 차원의 요구를 확인하고, 공공기관 내의 다양한 고용형태별 비서의 요구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추후 공공기관 비서의 경력개발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 지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개인∙조직∙국가차원의 경력개발, 공공기관, 비서, 요구분석을 키워드로 논문과 문헌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또한, 공공기관 비서 재직자 및 경력개발 관련 전문가에게 안면타당도(face validity) 검증을 수행하였다. 개인∙조직 차원의 경력개발 요구 설문은 리커트7점 척도(Likert Scale)를 활용하여 요구를 세분화하여 측정하였으며, 국가적 차원의 요구조사는 필요성 및 필요이유등에 대한 설문으로 구성하여 국가의 정책적 지원과 경력개발 요구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또한,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방법과 스노우볼 표집법(snowball sampling)을 병행하여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예비조사는 2023년 8월 30일부터 9월 15일까지 17일 동안 공공기관 비서 재직자 2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조사를 토대로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본 조사는 2023년 10월 15일부터 11월 8일까지 25일간 66명의 응답을 수집하여 연구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비서의 경력개발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항목의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사이의 차이를 확인하는 t검정과 요구항목 우선순위까지 확인할 수 있는 Borich 요구도, 그리고 시각화를 제공하는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분석 방법을 SPSS 26.0과 R-4.2.0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응답자의 고용형태 간 요구차이를 밝히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검정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의 경력개발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개인의 경력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과 계획 영역의 현재수준이 평균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경력개발 책임이 증가하는 맥락과 같이, 공공기관 비서 역시 개인적 차원의 경력개발에 대한 깊은 이해도를 가지고, 개인이 경력개발의 주체가 되어 조직의 경력개발 현황과 지원에 대한 높은 요구도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개인적∙조직적 차원의 경력개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안식년(휴가제도)과 세미나에 대한 요구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2000년대 김정아의 연구와 정용권의 연구에서도 상위권에 해당하는 계속되는 요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기관 비서의 경우 2013년도 공공기관 방만경영 정상화계획 운용 지침에 나와있듯이 안식년을 방만경영으로 오인할 여지가 있어 제도적으로 갖추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안식년(휴가제도)과 세미나에 대한 요구가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셋째, 공공기관 비서의 고용형태에 따른 요구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우선순위와 별개로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무직의 경우 승진에 대한 요구가 컸으며 이는 허츠버그(Herzberg)의 2요인 이론의 위생요인인, 제도적 불만족으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보여지며 공무직 비서의 승진 제도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정규직(타 직렬-순환근무자)의 경우 경력개발기회에 대한 요구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이는 순환근무로 인한 업무 연속성이 깨져 전문지식 축적이 어렵다는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국가적 차원에서 경력개발 지원 필요성과 필요이유, 필요한 정책과 향상되기를 원하는 역량에 대한 결과들 모두가 업무성과 기여를 위한 전문분야 역량 향상 요구임을 일관성 있게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기관 비서의 경력개발 요구분석의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 전무한 공공기관의 비서를 대상으로 경력개발 요구분석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개인적∙조직적 차원에서의 요구분석에서 그치지 않고 국가적 차원의 경력개발에 대한 요구까지 파악하여, 정부 지원에 대한 필요성 및 전문분야 역량 향상에 대한 의지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셋째, 공공기관 비서의 경력개발에 대한 요구를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우선순위와 요구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공공기관 비서의 고용형태별 경력개발에 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경력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및 계획의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모두 평균 4점대를 넘는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공공기관 비서의 개인적 차원 경력개발의 이해도가 높은 수준을 가지며 개인이 경력개발의 주체가 되는 프로티언 경력의 흐름을 따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고용형태별 요구를 확인했으며, 고용형태에 따른 경력개발 프로그램 및 제도 지원을 차별화하여 조직의 제도 개선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비서의 역할과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인식확산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이는 단순한 개인의 요구만이 아니라 국가차원의 필요 정책 요구 역시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국가적 차원의 비서 전문성 향상과 인식전환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및 지원 필요성은 추후 국가차원의 정책 제정 및 지원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347개의 공공기관에 재직중인 비서를 대상으로 하며, 편의표집과 동시에 스노우볼 표집법을 진행하여 응답자를 선정하였지만, 표본 모집에 물리적 한계가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공공기관 비서의 요구로 해석하기에 는 무리가 따른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양적연구를 통해 측정 및 분석하여 공공기관 비서의 심층적 내용을 담아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는 공공기관 비서의 고용형태에 따른 관찰, 면담, 심층 인터뷰 등의 다양한 질적연구를 후속연구로 진행한다면 더 깊이 있는 요구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비서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타 문화권에 속해 있는 공공기관 비서의 경력개발 요구와 고용형태에 따른 요구까지 포괄하지 못하였다. 추후 다양한 문화권의 공공기관 비서의 개인적∙조직적∙국가적 차원의 경력개발에 대한 요구와 고용형태에 따른 요구를 비교하는 후속연구를 진행한다면 조직, 지역, 국가 등 다양한 환경을 넘어 개인의 경력을 발전시켜 나가는 무경계 경력 차원에서 공공기관 비서를 희망하는 지원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세계화 추세에 맞는 공공기관 비서의 경력 요구를 확인할 수 있을 것 으로 보인다.

      • 2015개정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삽화 및 아이콘 비교 분석

        이슬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3∼6학년 과학교과서의 삽화 및 아이콘을 비교·분석하여 앞으로의 과학교과서 삽화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삽화의 종류와 역할 및 교과 역량 아이콘과 탐구 기능 아이콘을 학년별, 영역별로 비교·분석하여 삽화가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교과서 개발 방향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지, 학생 수준에 맞게 제시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삽화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바탕으로 삽화의 종류는 사진, 그림, 만화, 도해, 도표, 기타 6가지로, 삽화의 역할은 동기유발, 학습안내, 자료제공, 학습정리 4가지로 구분하여 각각 학년별, 영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아이콘 분석을 위해 분석틀을 개발하여 교과 역량 아이콘은 탐구, 사고, 해결, 소통, 참여 5개의 아이콘으로 탐구 기능 아이콘은 기초탐구기능 6개와 통합 탐구 기능 6개 총 12개의 아이콘을 학년별, 영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별로 삽화를 살펴보면 삽화의 수는 3∼4학년이 5∼6학년에 비해 많았는데 이는 어릴수록 시각적 정보인 삽화에 의존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삽화의 종류는 사진, 그림, 만화, 도해, 기타, 도표 순으로 나타났고, 학생의 인지발달 특성에 맞게 3∼4학년은 사진과 그림의 비율, 5∼6학년은 도해와 도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삽화의 역할은 학습안내, 자료제공, 학습정리, 동기유발 순으로 나타났다.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단원 마무리에 삽화를 제시하여 학습정리의 비율이 크게 증가했지만, 동기유발은 여전히 낮은 비율을 보였다. 둘째, 영역별로 살펴보면 물질영역에서는 다른 영역보다 사진과 학습안내의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실험 활동이 많은 영역의 특성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생명영역과 지구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도해와 자료제공의 비중이 높았다. 이는 과학적 개념을 설명할 때 효과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도해를 활용할 뿐 아니라 생물영역 및 지구와 우주영역의 특성상 동·식물이나 화산, 화석 자료 등 실물자료를 대신하여 다양한 삽화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교과 역량 아이콘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탐구를 강조한 2015 교육과정의 내용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탐구 기능 아이콘을 살펴보면, 기초탐구기능은 관찰, 의사소통, 추리, 측정, 분류, 예상 순으로 나타났고 통합탐구기능은 변인통제와 자료해석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2015 개정 과학교과서를 대상으로 삽화와 아이콘을 재범주화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되는 검정 교과서 삽화 및 아이콘 개발에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미용학원 수강생들에 대한 의식 및 실태조사

        이슬비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미용학원 수강생들에 대한 의식 및 실태조사 이슬비 지도교수 : 한진섭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산업화가 가속화 되면서 여성의 사회활동의 증가로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하면서 여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이렇게 미용 산업이 고 부가가치의 산업으로 각광받게 되면서 미용 산업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따라서 미용 전문 인력을 양성, 배출하는 미용교육기관의 수요와 공급역시 급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사설 미용교육기관인 미용전문교육학원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의식조사 및 미용전문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실태 등을 연구하여 미용전문학원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고, 미용전문학원의 인식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지역 미용전문교육학원 10곳의 수강생 276명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미용전문학원의 강사에 대한 만족도, 수강료, 학원 평판, 서비스 수준, 시설 및 학습 환경, 학원 평가, 만족도와 신뢰도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형태는 리커트 5점 척도와 다지선다형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의 처리는 SPSS v.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학원 수강생의 성별 분포는 남자 13.0%, 여자 87.0%로 여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 별 분포는 10대 43.1%, 20대 25.7%, 30대 17.4%, 40대 이상 13.8%로의 순서로 나타났다. 미용을 직업으로 선택한 이유는 적성과 맞아서 148명(53.6%), 주위의 권유로 47명(17.0%), 취업이 잘 되어서 40명(14.5%), 경제적인 이유로 21명(7.6%)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학원 수강요인은 ‘강사’가 평균 3.9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프로그램’이 평균 3.77점, ‘평판'이 평균 3.68점, ‘시설 및 환경’이 평균 3.68점, ‘서비스’가 평균 3.36점, ‘수강료’가 평균 2.90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미용학원 만족은 평균 3.71점으로 나타났고, 미용학원 평가는 평균 3.72점으로 나타났다. 미용학원 수강요인이 미용학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평판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246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프로그램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229의 상승이, 시설 및 환경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225의 상승이, 서비스가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153의 상승이, 수강료가 높아지면 미용학원 만족은 .090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학원 만족의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학원 수강요인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수강료, 평판, 서비스, 시설 및 환경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미용학원 수강요인이 미용학원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교육프로그램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253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판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180의 상승이, 수강료가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165의 상승이, 강사가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143의 상승이, 시설 및 환경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128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학원 평가의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학원 수강요인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강사, 수강료, 평판, 시설 및 환경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미용학원 만족이 미용학원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미용학원 만족이 높아지면 미용학원 평가는 .745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학원 평가의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학원 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미용전문학원의 수강요인은 강사, 교육프로그램, 평판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용학원 수강요인이 미용학원 만족에 미치는 요인은 교육프로그램, 수강료, 평판, 서비스, 시설환경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용학원 수강요인이 미용학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육프로그램, 상사, 수강료, 평판, 시설 및 환경요인이며, 미용학원 만족이 높을수록 학원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미용전문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수강생들에게 양질의 미용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미용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죽음 특출성, 세계관 위협 및 집단소속이 기부와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슬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 특출성, 세계관 위협 및 집단 소속이 기부와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이나 치통에 관해 글을 쓰도록 함으로써 죽음 특출성을 조작하였으며 한국인을 비하하거나 찬양하는 에세이를 제시함으로써 세계관 위협을 조작하였다. 또한 기부 캠페인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아동이 대한민국 아동인지와 아프리카 아동인지에 따라 집단 소속을 조작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에서는 죽음 특출성과 세계관 위협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았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 죽음 특출성 주효과와 죽음 특출성과 세계관 위협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치통 조건에 비해 죽음 조건일 때 공격행동이 더 높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죽음 조건에서 세계관 위협과 세계관 일치간의 공격행동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3에서는 죽음 특출성과 집단 소속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았다. 실험 3의 결과, 죽음 특출성과 집단 소속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 조건에서는 외집단에 비해 내집단에게 더 많이 기부 하려고 하는데 죽음 조건에서는 통제 조건에 비해 내집단에게 더 적게 기부하려고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공포관리이론, 죽음 특출성, 세계관 위협, 집단 소속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ortality salience, worldview threaten and group membership on donation and aggression behavior using an experiment. mortality salience was manipulated by writing a short essay about death or dental pain. Worldview threaten was manipulated by providing an essay that demeans or praises Koreans. The group membership was manipulated by presenting a donation campaign scenario in which African children or Korean children appear. Experiment 1 and 2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rtality salience and worldview threaten on aggression behavior. As a result of experiment 1 and 2, the main effect of mortality salience and 2-way interaction effect of mortality salience and worldview threaten were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aggression behavior was not higher in the death condition than the dental pain condition(control conditio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ggression behavior between worldview threaten and worldview consistent in th death condition. Experiment 3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rtality salience and group membership on donation behavior. As a result of experiment 3, an interaction effect of mortality salience and group membership was significant. In the dental pain condition(control condition), participants tried to donate more to the ingroup than the outgroup, but in the death condition, they tried to donate less to the ingroup compared to the dental pain condition(control condition).

      • 광양항 배후물류단지 기업 입주여건 연구 : 배후단지에 대한 인지도를 중심으로

        이슬비 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Ports and port hinterland complexes are in intercomplementary relationship, given that the use of inadequate complexes will erode competitiveness of port, although ports are indispensible in building port hinterland complexes. Port hinterland complexes, built based on proper location and policy-level judgment, will have a far-reaching socio-cultural effect beyond simple economic effect and help lay cornerstone for promoting creation of value-added. Ports and port hinterland complex construction projects are highly important for countries adjoining the sea, such as Korea, Singapore, etc., to an extent that they shape the course of national economy. This study focused on location conditions for corporations in connection with hinterland logistics complexes which had been reviewed for revitalization of Gwangyang Port amidst decline in marine cargo traffic at Gwangyang Port which were developed and operated while the goal of turning the Port into a hub port has been pushed forward.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examine location conditions of and current perception towards hinterland logistics complex in Gwangyang Port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ions, rather than our standpoint, through a survey. Moreover, we intended to provide recommendation in connection with location environment and advantages of Hinterland logistics complex in Gwangyang Port and stimulation of investments to attract corporations by conducting a survey of corporations -- which have already moved into or are planning to move into hinterland logistics complex - with respect to location conditions, natural conditions, current utilization conditions of hinterland complex in Gwangyang Port, etc., and at the same time, present future course of development of the hinterland for handling container traffic in Gwangyang Port and propose the measures that can help reinvigorate the hinterland.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복지패널 만족도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이슬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사회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활발하게 논의된 분야 중 하나가 바로 ‘복지’분야이다.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급증하는 노인 인구의 복지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정부 정책이다.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복지의 근간이 되는 주요한 정책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이 제도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부양가족의 부담 경감, 비공식적 요양인의 사회·경제 활동 활성화, 사회서비스 산업 및 지역 경제의 활성화, 노인의료 및 요양체계의 효율화 등 사회전반에 걸친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실제로 제도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1차(2006년)에서 5차(2010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제도 자체의 순수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중차이모델(difference-in-difference model)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모형을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전반적 만족도와 가족생활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연구 가설을 네 가지 설정하였다. <가설 1>과 <가설 2>는 제도의 이용자 만족도와 관련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설정한 것으로, 전반적 만족도와 가족생활에 대한 만족도 모두에서 수급자와 그 가족구성원의 만족도가 비수급자와 그 가족구성원의 만족도보다 높을 것이라는 것이다. <가설 3>과 <가설 4>는 제도시행의 경과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제도시행 후를 2009년으로 했을 때와 2010년으로 했을 때 전반적 만족도와 가족생활에 대한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이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이중차이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제도시행 후를 2010년으로 했을 때 제도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2009년으로 했을 때는 제도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2009년과 2010년 사이에 전반적 만족도에 있어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3>이 어느 정도 지지되는 것으로 보이나, 2009년의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이를 단순히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더욱 중요한 것은 제도효과의 방향에 관한 것인데, 제도효과가 음(-)의 방향으로 나타나 수급자와 그 가족 구성원의 전반적 만족도가 비수급자와 그 가족 구성원의 전반적 만족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설 1>을 기각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생활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한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우에서 제도효과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급자와 비수급자 및 그 가족구성원 간의 가족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보려한 <가설 2>는 본 연구에서 검증할 수 없었다. 시행시기에 따른 차이에 대한 <가설 4> 또한 본 연구의 결과로는 알 수 없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해석을 제시하였다. 제도의 미숙성으로 인한 결과라는 해석, 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라는 해석, 삶의 질에 대한 가설 자체에 대한 해석, 마지막으로 제도 자체의 문제와 관련된 해석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해석이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나, 그 중에서도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은 세 번째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제도를 수급 받는 노인들은 건강상태가 쇠퇴하는 상황에 있기 때문에, 제도의 목적 자체가 삶의 질 증진이라기보다는 삶의 질 유지에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살펴보면 더욱 확연히 들어난다. 두 집단은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인식, 공적연급 수급여부, 가구소득 등 다양한 변수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집단 간의 이질성은 제도의 순수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도입한 이중차이모델의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중차이모델의 중요한 가정 중 하나가 제도변수 이외의 기타 변수들은 동질해야 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표본집단의 이질성으로 인해 제도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특성을 비슷하게 구성하여 이중차이모델을 적용한다면, 그 분석결과는 지금과 다르게 나타났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단순히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제도 자체의 순수한 효과를 살펴보고 나아가 제도가 원래 의도하였던 정책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패널 자료 자체의 한계점을 해결하는 것과 제도의 효과를 보다 다양하게 측정하는 것은 추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이다.

      • 오디오 및 데이터 동시 송수신이 가능한 보청기용 블루투스 모듈의 개발

        이슬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the number of hearing aid users increases and many multimedia devices including smart-phone are developed. However, hearing aid users suffer some problems when using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ir hearing apparatus. To avoid the problems, wireless connection between hearing aid and multimedia devices has been developed, but existing products require a separate inter-device serving as a repeater. Meanwhile, a fitting process should be made before using the hearing aid, and the process would be simpler and more effectiv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luetooth technology was introduced in hearing aid for direct connection with electronic devices. Moreover, thi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ppropriates to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hearing aid and transmit fitting parameter by supporting reliable data transmission. In this paper, BlueCore3 multimedia (BC358239A) chip was used to implement and verify the multi-functional bluetooth module for hearing aid application, and corresponding software program was developed for simultaneous communications of audio and control data. The size of manufactured bluetooth module was small enough to attach BTE type hearing aid directly, which eliminates the separate inter-device. Additionally, data format and communication protocol were proposed to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hearing aid and transmit fitting parameters effectively. In a data transmission experiment while streaming an audio source, the developed bluetooth module with developed application program shows good performance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hearing aid and wireless fitting process while communicating with external multimedia devices.

      • Dynamic Time Warping을 활용한 북한강 유역의 수질측정망 군집화 연구

        이슬비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similarity between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and cluster the stations through the Dynamic Time Warping algorithm to identify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To do this, we used the data collected weekly from 2016 to 2018 at 12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located in the Bukhan river water system. In river water quality data, there is a time lag in the variabl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monitoring stations because water flow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opose a Dynamic Time Warping (DTW) algorithm that searches for the minimum distance by changing and comparing time-points rather than the Euclidean algorithm that compares the same time-point. In this study, Euclidean and DTW algorithms were applied to 10 water quality variables to identify similarity between the stations and K-medoi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imilarity. Clustering Validation Index (CVI) was used to select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s. We identified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time series patterns of water quality variables for each cluster. In addition, we performed Tukey's post-test to compare the average of the variables and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quality variable for each cluster. According to CVI, both Euclidean and DTW algorithms showed that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s was five. The Euclidean algorithm divided the mainstream stations into three clusters, where the mainstream stations and the tributary stations are mixed. On the other hand, the DTW algorithm formed a clear cluster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watershed. 본 연구는 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을 통해 수질측정지점 간 유사성(Similarity)을 측정하고,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지점들을 군집화한 후, 군집에 따른 수질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의 북한강 수계에 있는 12개 수질측정지점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주별 단위로 수집한 다양한 수질 자료를 이용하였다. 하천 수질 자료는 물이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기 때문에 측정지점의 위치에 따라 수질 특성에 time lag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동일 시점을 비교하는 유클리디안 알고리즘과 달리 비교 시점을 바꾸어가며 최소거리를 탐색하는 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수질 변수에 유클리디안 및 DTW 알고리즘을 각각 적용하여 지점 간 유사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K-medoid 군집분석을 진행하였다. 최적의 군집 수를 선정하기 위해 Clustering Validation Index(CVI)를 이용했으며, 군집에 따른 측정지점의 위치 특징과 시계열 패턴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Tukey의 사후검정을 통해 변수의 평균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집별 변수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유클리디안 및 DTW 알고리즘 모두 CVI에 따른 최적의 군집 수는 5개로 나타났다. 유클리디안 알고리즘은 본류에 있는 측정지점이 지류와 함께 군집을 형성하며 각각 3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반면 DTW 알고리즘은 수질 및 유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명확한 군집을 형성하였다.

      •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작업에 나타나는 민족주의적 특성

        이슬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양차 세계대전 시기 르 코르뷔지에 Le Corbusier, 1887-1965 의 회화,건축, 도시계획, 출판물 등 그의 다양한 작업에 나타나는 민족주의적 특성을 살펴본 연구이다. 르 코르뷔지에가 활발하게 활동했던 20세기 전반은 두차례에 걸쳐 세계대전이 일어날 만큼 혼란스럽고 다변적인 시기였다.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교차하던 불완전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그의 정치적 신념은 사회에 대한 기대와 좌절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였고, 이에 따라 그의 작업 역시 매우 역동적인 변화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형식주의자들은 미적인 혁신을 옹호하기 위해 그의 정치적 이력을 외면하거나 축소하였다. 그결과 기존 연구에서 그의 작업 전반에 나타나는 변화와 그 원인은 주로 개인적인 관심과 형식주의적 관점에서 이해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르 코르뷔지에의 작업을 그가 속한 사회에 대한 지속적인 반응의 한 양태로 파악하고 당대 사회 . 정치 . 문화적 문맥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당대 극단적으로 표출된 민족주의가 그의 작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의 원동력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민족주의적 특성은 그의 다양한 작업을 보다 통합적이고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르 코르뷔지에는 1918년부터 아메데 오장팡 Ame'de'e Ozenfant 과 함께 ‘순수주의 purism’ 라는 이름으로 기하학적 형태를 탐구하였다. 이것은 고전주의와 기계미학을 통해 합리적이며 보편적인 프랑스의 ‘정신’을 추구한 것이며, 독일에 대항하여 프랑스 민족의 시각적 계보를 구축하는 과정이었다. 나아가 순수주의가 해체된 이후부터 르 코르뷔지에는 유기적인 형태와 지역주의를 강조하는 작업을 전개하였다. 그는 여성, 자연의 이미지를 통해 프랑스 민족의 순수한 ‘몸’을 탐구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의 흐름에는 여성적 가치를 자연의 원시성과 동일시하고 이를 남성적 질서에 포섭하려는 민족주의의 남성중심주의적 사고가 내재되어 있다. 또한 근대 공동체사회를 이상적으로 생각한 그는 불결한 요소를 배제시키고 순수하게 추출해낸 기하학적 형태를 도시계획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그는 엄격한 구조 속에서 인간의 자유를 제한하는 강력한 규범사회를 지향하였다. 이것은 순수한 혈통을 보존하기 위해 타 민족을 배척하고, 민족의 이름으로 절대적인 충성을 요구하는 민족주의와 일치하는 지점이다. 이처럼 르 코르뷔지에의 작업은 당시 불안정한 정세를 반영하는 기표인 민족주의가 반영되고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르 코르뷔지에의 작업 전반에서 민족주의적 특성을 읽어내고 이를 통해 그동안 양식적인 단절로 불충분하게 이해되었던 다양한 지점들을 새롭게 조명하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르 코르뷔지에의 작업은 형식주의자들의 주장처럼 순수한 형식 그 자체였다기보다 정치, 사회, 문화적 이데올로기를 포괄하는 복잡한 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그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이성적이며 합리적인 모습 이면에는 강한 민족주의의 이데올로기가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nationalist characteristics present in the paintings, architectures, city planning and publications of Le Corbusier during both world wars.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LeCorbusier was active was a period of diversity and chaos with two world wars. In the incomplete social circumstance where a variety of ideologies were crossing, his political creed kept changing in expectation toward and frustration from the society, which wasreflected in his works that were also a series of dynamic changes. However, formalists ignored or minimized his political history to advocate aesthetic innovation. As a result, previous studies mostly saw overall changes and their causes in hi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his personal interests and formalism. This study, given the aspect aforementioned, is to see Le Corbusier's works as part of his persistent responses to the society where he belonged from the viewpoints of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in those days. It was found that nationalism, expressed to an extreme degree in those times, had a huge influence on his works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change. In that sense, nationalist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o provide significant clues for more comprehensive and synthetic understanding of his diverse works. Le Corbusier explored geometrical shapes in the name of 'Purism' from 1918 along with Ame'de'e Ozenfant. This can be referred to as seeking after a rational and universal French 'spirit' through classicism and mechanical aesthetics. Also, it was a process to found a visual lineage of French nation protesting against Germany. Further, after this group was disorganized, Le Corbusier emphasized organic shapes and regionalism in his works. During this period, he pursued the pure 'body' of French nation through female and natural images. Such flow of works implies a man-oriented way of thinking that regards female values in the same light as natural aboriginality and includes those under male-centered order. Moreover, he thought of modern communal society as ideal and led to apply geometrical shapes which were extracted purely excluding filthy elements to city planning. In addition, he moved toward a strongly disciplined society where strict structures limited human freedom. That is the part which agrees with the nationalism that requires absolute loyalty for the sake of the nation by excluding other nations to preserve pure bloodline. In this regard, Le Corbusier's works can be seen to bring nationalism to the surface, reflecting unstable situation at that time. Through the process of this study, nationalist characteristics are possibly read from Le Corbusier's works in general, based on which a new light of understanding is shed on the aspects that have been insufficiently understood due to formal discontinuation so far. Conclusively, Le Corbusier's works are found to be formed in complicated relations embracing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ideologies rather than in pure forms as put forth by formalists. In other words, a strong nationalism hides behind the rational and reasonable aspects in his works.

      • 수정된 IPA를 이용한 환대산업 종사원의 복리후생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슬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환대산업 종사원의 경우 장시간의 불규칙한 교대근무, 감정노동 등으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이직률이 타 산업 군에 비해 높다. 이러한 이직률을 낮출 방법으로 복리후생을 지원하고 있으나 수혜 받는 종사원들에게 만족하는지에 대한 여부만 연구되었고, 어떤 항목을 선호하고 만족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활용하여 종사원들이 복리후생에 대해 느끼는 중요도-만족도에 대해 알아보며, IPA기법의 단점을 보안한 ‘수정된IPA(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법정복리후생 중 연금보험, 건강보험, 산재보험이 전통적IPA분석에선 낮은중요도 - 높은만족도를 보였으나, 수정IPA분석결과 매력요인인 높은 내재적중요도 - 낮은 명시적중요도를 보이며 정직원으로 채용 시 만족감이 더욱 상승할 것이며 높은 관심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계열사임직원할인, 복지 포인트 지급(선택적 복리후생)항목은 유지요인, 매력요인에 해당되며 꼭 기업에서 주목 해야 할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선 환대산업 종사원의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와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주요어 : 환대산업 종사원, 복리후생, IPA, 수정IPA Abstract Study on Satisfaction of Hospitality industry Welfare System Using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Lee Seulbi Department of Hotel and Foodservice Mnan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Hospitality employees have higher turnover rates than other industrial group due to physical and mental stress caused by long periods of irregular shifts and emotional labor. To decrease this turnover rate, welfare benefits are provided yet only research on satisfaction has been studied,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ies on which items are preferred and satisfi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with welfare benefits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echnique and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hich secures the shortcomings of IPA technique. The results of traditional IPA analysis showed that pension insurance, health insurance, and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of Obligatory Employee Benefits had low importance and high satisfaction whereas a Revised IPA analysis showed that it had high implicit importance-low explicit importance as attractiveness factor. It had been confirmed that the high satisfaction and increased interest were shown when they employed as full-time employees. In addition, discounts for employees at affiliated companies and welfare point payments (flexible benefits) correspond to maintenance factors and attractiveness factors, which should be noted by compani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satisfaction and direction of welfare benefits for hospitality employees. Keywords : Hospitality employees, Welfare benefits, IPA, Revised IP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