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2종 교과서 연극을 활용한 프로그램 사례연구 : -역사교과연계뮤지컬 사례를 중심으로

        이유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is a study paper of Production Note and effect for Textbook connected Musical according to the 2nd-class textbook play's content to study the aspect and effect, improvement point when the textbook 'play' is applicated in 2018, refer to that Subject 'Play' is newly established as a big unit in Korean Subject or High-School selection process in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15 years, Korean Education has taken an innovation and revolution rapidly comparing to the Foreign Education base. Doing away with the cramming method of teaching that just sitting on the desk and hearing the teacher's speaking, They have developed and applicated Student highly-participated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lik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Free Semester", "havruta". Therefore, City or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or related Education Institution or Corporation, Foundation have produced and applicated 'Textbook connected Musical' in many subjects as an Education Method, thus, They have adopted that educational effect and established subject 'Play' as a essential or selected subject in Middle and High School. However, In the advanced research, Pedagogy majored researchers who almost haven't produced any play or Musical have studied the effect of textbook connected Musical, they just submitted Possible agenda or studied theoretically. When I meet the teachers, they confessed, they didn't learn any play or Musical Production, even he or she doesn't have clear resolution or play making senses, so They know exactly that textbook connected Musical is good for Education but they are in trouble how they can adopted that method. Even in the advanced research, researched suggested some collaboration between the subject teacher and artistic tutor, so they imply they can't lead the text connected play or musical on their own. Therefore, Researcher have produced Textbook Connected Musical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Culture&Art Group "Kkumtta" in Seongnam-Si with the 2nd-class textbook "Play" which is published on the market, and recorded the Production note in detail and studied students' textboot learning effect, Creativ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motional awareness by T-test using SPSSWIN 22.0, Questionnaire, Interview. Also, Researcher suggested improvement point of 2nd-class textbook 'Play' and detailed education method when producing Textbook Connected Musical. Researcher again affirms to say that establishing of Subject "Play" is encouraging and developmental work on the Korean Educational future pursuing Creative-fusion Elite, and Textbook Connected Musical will be Highly qualified Education Method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on formation of Creative-fusion whole personality to Korean Youth and wish to produce the Synergy effect when qualified Art-Eductiaon method are developed more and more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Art and Play. 본 논문은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연극과목이 신설되어 국어대단원 또는 고등학교 선택과정에 적용됨에 따라, 2018년도 연극과목이 학교에 실제 적용되었을 때의 그 양상과 효과, 개선점을 연구하고자 중학교 2종 연극교과서의 내용에 따라 교과연계뮤지컬을 제작하여 제작노트를 기록, 그에 따른 효과를 기록한 연구논문이다. 최근 15년간 한국교육은 해외와 비교했을 때 교육방식의 혁신과 개혁을 급속도로 진행해왔다고 볼 수 있다. 책상에 앉아 교사의 학습내용을 주입식으로 듣기만 해야 했던 교육방식을 탈피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하브루타 등 학생참여도가 높은 자기주도학습형 메소드를 지속적으로 계발 적용시켜왔다. 이에 따라 시,도교육청 또는 많은 관계교육기관, 사단,재단법인 등에서 교육메소드로 “연극”을 교과내용과 접목시키는 ‘교과연계뮤지컬’을 다양한 과목에서 제작, 적용시키기에 이르렀고 그 교육적 효과를 채택하여 연극 교과목이 중,고등학교에 필수 또는 선택과목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극, 뮤지컬제작을 실제 해보지 않은 교육학전공자들이 교과연계뮤지컬에 따른 효과를 연구하여, 교육 가안을 짜본다던지, 교과연계뮤지컬의 효과를 이론적으로 연구하는데 그쳐있었다. 교사들을 실제 만났을 때 대부분 토로하는 것이, 연극,뮤지컬을 본인이 배워보지 않았고, 자신도 연극적 감각 또는 티칭기술이 명확하지 않으니 교과내용을 연극,뮤지컬에 접목시키는 교육방법이 매우 좋다는 것을 알지만, 어떻게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많다고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도 연기예술을 전공한 예술강사와 교과교사의 접목을 제안하며 교과교사 혼자서는 이끌어 갈 수 없음을 시사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2종 교과서 ‘연극’을 가지고 성남시 문화예술동아리 ‘꿈따’의 중학생들과 함께 교과연계뮤지컬을 제작하여 그 제작노트를 상세히 기록해보았고, 이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학습적 효과와 창의성, 자기주도학습력, 정서인식의 효과를 SPSSWIN 22.0 을 사용한 T-test, 설문지,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른 2종 교과서의 개선점과 교과연계뮤지컬 제작시의 구체적인 학습메소드를 제안해 보았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창의융합형 인재를 추구하는 한국교육의 미래에 연극교과목의 도입은 매우 고무적이고 발전적인 작업이 아닐 수 없으며, 교과연계뮤지컬은 양질의 교육메소드가 될 것이라고 다시 한 번 단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가 한국청소년들의 창의융합적 전인적 인격체 형성에 긍정적 도움을 주기를 바라며 또한 양질의 예술교육메소드가 더욱 더 계발되어져 예술과 교육의 접목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크게 일어나기를 소망한다.

      • 유아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만족도

        이유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아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만족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유리 본 연구는 유아특수체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학부모의 인구사회학 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인식도를 조사-분석 하여 요인간의 상관관계 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조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특수 체육 아동발달센터의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학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얻는 방법은 설문조사로 진행 되었고, 자료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rogram 20.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과, 연 구방법을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체육 프로 그램 효과에 대한 학부모 인식도 (신체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를 분 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발달 되는 부분은 정서발달, 신체발달, 인지발달 순으로 도움을 많이 준다고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인식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경우를 통 계학적으로 나타났을 때,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에서 학부 모의 학력 또는 연령에서 만족도 요인이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만족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셋째, 유아특수체육 프 로그램에 대한 상관관계에서 하위요인인 운영만족이나, 지도자 만족에 서 낮은 상관성이 있는 걸로 나타났고, 인지발달과 정서발달의 경우 학 부모의 인식도와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 므로 이 상관관계를 면밀히 파악하여 학부모의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 이다. 주요어: 유아특수체육, 학부모 인식도, 학부모 만족도

      •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가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이유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을 예언하는 경로를 밝히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남자 청소년 297명(평균연령: 15세)과 그들의 아버지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Hovestadt와 그의 동료들(1985)이 개발한 원가족 척도(Family of Origin Scale: FOS)를 기초로 최현미(1997)가 제작한 원가족 분위기 척도(FOS-5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혼만족도는 Roach, Frazier와 Bowden(1981)이 개발한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을 번안하여 수정한 유은희, 박성연(199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Pavot 와 Dinner(1993)가 제작한 SWLS(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사용하였고, 지지적 양육행동과 심리통제에 관한 문항은 Barber(2005)가 개발한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부-자간 친밀감은 Walker와 Thompson(1983)이 개발한 친밀감 척도를 바탕으로 지지영(2001)이 재구성한 정서적 친밀감 문항과 Barnes와 Olson(1982)이 제작한 PACI (Parent-Adolesence Communication Inventory)를 수정한 오미경(1997)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상관관계 분석 및 AMOS 7.0을 사용한 구조방적식 모형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으로 설정한 경로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지지적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를 통해 지지적 양육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지적 양육행동은 부-자간 친밀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결혼만족도 및 통제적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결혼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결혼만족도는 통제적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통제적 양육행동은 부-자간 친밀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가 삶의 만족도를 통해 통제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아, 삶의 만족도는 부-자간 친밀감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원가족의 경험이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나 삶의 만족도, 그리고 양육행동을 통해 현재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는 아들이 성장하여 형성하게 되는 가족관계에 현재 가정에서의 양육경험이나 가정분위기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서 부모-자녀관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nd father-son intim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7 adolescents and their father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such as parenting behavior, farther-son intimacy, farther' marit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 farther's origin of upbringing. Data were analysed by sim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7.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father's marriag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the farther-son intimacy through the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Third,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farther-son intimacy through only marital satisfaction and controling parenting. However,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does not directly affect either controling parenting or supportive parenting. In conclusion,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father’s satisfaction in life and marriage and thereby supportive or controling parenting behavior predicting farther-son intimacy.

      • 놀이무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유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놀이무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놀이무용 프로그램은 김화숙(2006)의 창작무용 프로그램의 단계적 모델 4단계인 신체인식, 공간인식, 즉흥표현법, 상상표현법을 기초로 하였고, 유아의 발달과 흥미에 맞춰 만 4세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에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U시 중구에 위치한 A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중 놀이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15명(실험집단)과 같은 시간에 미술 프로그램에 참여한 15명(비교집단)으로 총 30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용희숙(2010)이 Vineland(1977)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유아의 사회성 발달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사후검사는 담임교사가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이후 실험집단은 3월 18일부터 4월 26일까지 6주간 매주 3회씩 총 18차시 놀이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미술수업으로 그림그리기, 만들기, 종이접기 수업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이 끝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회성 발달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놀이무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 차이 검정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놀이무용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놀이무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하위요인인 협동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놀이무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의 하위요인 중 타인이해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1-3. 놀이무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1-4. 놀이무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의 하위요인 중 또래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무용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집단의 협동성은 실험 후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놀이무용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집단의 타인이해성은 실험 후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셋째, 놀이무용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집단의 자율성은 실험 후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넷째, 놀이무용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집단의 또래 간 상호작용은 실험 후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놀이무용 프로그램이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놀이무용은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에 필요로 하며 움직임 교육이 유아들에게 필요함을 시사하여 주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d the effect of play dance program o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 play dance program was based on the 4th stage of the creative dance program of Kim, Hwa-Sook (2006) focusing on the body perceptions, space recognition, improvisation expression, and imagination expression. The program's content was related to the theme of life in four-year-olds' curriculum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and interest of the infant. Thir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Fifteen childre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lay dance program and others(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art program during at the afterschool program of A kindergarten in Ulsan. Preliminary and post-test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was rated with the scale developed by Hee-Sook Yong (2010) using the social maturity test of Vineland(1977).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18-hour dance program for during six weeks(three times a week) from March 18th to April 26th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painting, making, and paper folding classes.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es the play dance program affect the social development of infant? 1-1. Does the play dance program affect the cooperativeness of the children? 1-2. Does play dance program affect the comprehensibility toward others of children? 1-3. Does the play dance program affect the autonomy of children? 1-4. Does play dance program affect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cial develop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s in cooperativeness, omprehensibility toward others, autonomy and peer interaction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lay dance is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sociality. Future studies are needed for various play dance programs.

      • 초기성인기에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이유리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에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19세~35세의 초기성인남녀 338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한국판 정신화 척도, 고통감내력 척도, 관계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2.0 및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신화, 고통감내력, 관계중독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정신화, 고통감내력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관계중독과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각각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관계중독에 대한 환경적 요인으로 심리적 통제를 확인하고 심리적 통제와 관계중독 사이의 심리내적 기제를 확인함으로서 관계중독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점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탐색, 심리적 통제의 부와 모의 차이 탐색, 그리고 관계중독 범위 고려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and distress toler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administering an online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sychological control scale, Korea version of Mentalization Sclae, Distress Scale,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among 334, 234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PSS 22.0 and PROCESS Macro 4.2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mentalization, pain toler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mentalization and distress tolerance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distress tolerance were noted in the process in which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relationship addiction. Finally,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recommendations of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조직적지원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콜센터를 중심으로

        이유리 광주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based on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at call center, that is business support & official authority, system support, training & coaching, compensation, a senior official's support & counselling. And key questions about this research are whether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and job stress has an influence on participa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research, I reviewed the literature and hold the actual proof when beginning a research project. Counselor in the call center makes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Managing consultant for companies to prevent job stress and support are different. Management turnover is the latest buzzword. Turnover for the management of each company is preparing various measures. To support various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internal activities is emphasized. However, companies feel that the difficulties in the internal action plan. There are various consideration on a specific character of the call center and on approaches toward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component parts, job stress, participa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lso it involves consideration of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participa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an inquiry into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This study concludes that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stress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Second, job stres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work participation. This negative sentiment is job-related requirements to perform the duties of the volunteer work involved means that the reduction. Thir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The higher the job stress, job gajigi positive emotions is difficult. Fourth, job stress,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The counselor's job stress have a higher turnover increases. Business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while the higher the degree of turnover is reduced. Thus, five kinds of targets in a call center counselors organizational support affects job stress. These organizations support the proper level of management to control if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the work of counselors, with improvements in the reduction of turnover intention is to get a result. However, every call center industry and business forms, business aspects and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all centers because of smoking, adjusted for firm characteristics and the realities of organizational support measures are required. factors. key words : Call-Center, Organizational Support, Job Stress, Participation,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콜센터에서 상담사는 기업의 최일선에서 고객과 직․간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객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중요한 자원 중 하나이다. 기업에서는 상담사들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상담사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여러 가지 지원을 한다. 최근 콜센터 산업의 화두가 이직관리인 만큼 각 기업에서는 이직관리를 위해 여러 가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능동적인 업무참여를 위한 동기유발, 이직의도 감소,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조직적인 지원과 내부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갈수록 내부 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기업에서는 조직적지원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내부 활동 계획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콜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여러 차원의 조직적지원과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측면에서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서 효과적으로 조직 관리를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사의 능동적인 업무참여와 이직의도, 직무만족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각 항목들 간에 상관관계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적지원 요인 중 업무지원, 시스템지원, 교육지원, 성과지원, 관리지원 등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에서 다각적인 차원의 적절한 수준의 지원을 해주었을 때, 상담사들의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담사들이 자신들의 직무에 만족하면서 고객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고객만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업무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직무와 관련된 자극이나 요구가 심리적 안정을 위협하여 상담사가 부정적인 감정으로 직무를 수행 할 때 자발적인 업무참여도는 감소한다는 것을 말한다. 즉 자발적인 업무참여를 위한 동기부여 측면에서 직무스트레스 방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에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기 어렵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감성적인 측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직무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해소한다면 상담사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업무참여도와 직무만족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상담사는 질적으로 향상된 서비스로 고객만족을 실현하며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넷째, 직무스트레스, 업무참여도,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고, 반면 업무참여도와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이직의도가 곧 이직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최근 이직관리가 대부분 기업의 화두인 만큼 이직의도를 줄이는 방안의 하나로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미리 예방하며 자발적인 업무참여도와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조직적지원을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콜센터에서 상담사들을 대상으로 5가지 조직적지원, 즉 업무적인 측면의 지원, 시스템 측면의 지원, 교육적인 측면의 지원, 성과적인 측면의 지원, 관리적인 측면의 지원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적인 차원의 지원을 적절히 관리하여 직무스트레스를 조절하게 된다면 상담사들의 업무참여와 직무만족의 향상과 함께 이직의도의 감소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다만 콜센터마다 업종과 업무형태, 기업적인 측면에서의 콜센터의 역할의 중요도 등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기업의 특성과 현실을 감안한 조직적지원 방안이 요구된다. 주제어 : 콜센터, 조직적지원, 직무스트레스, 업무참여도, 이직의도, 직무만족

      • 통합교육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간의 인식 비교

        이유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주요참여자들인 특수교사, 통합교사, 장애학생 학부모, 일반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 운영에 관한 인식을 통합교육 운영 현황, 통합교육 운영의 문제점, 통합교육 운영의 개선방안이라는 하위영역으로 분석하여 각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기도 수원시, 안산시, 안양시, 용인시 지역의 경기도교육청 관내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로 162개교에서 특수교사, 통합교사, 장애학생 학부모, 일반학생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2006년 1월~2월까지 질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총 36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분석방법은 기술분석, ANOVA 검증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의 집단별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통합교육 운영의 인식 비교 조사대상자들을 집단별로 인구사회학적으로 비교한 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여성이 88.3%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학력 역시 대학졸업자 46.3%로 구성되었고, 대부분 1년 미만의 통합교육 경력자가 34.6%로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들의 집단별로 이런 인구사회학적인 변인들이 통합교육 운영에 관한 통합교육 운영의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에 따른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조사대상자 집단별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의 차이 조사대상자 집단별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통합교육 운영의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의 하위 요인들을 분류하여 알아보았다. 첫째, 통합교육 운영의 현황에 관한 하위영역은 통합교육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에게 필요한 교육이며, 특수학교 기관 같이 분리되는 교육환경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는 기본적인 전제에 대한 조사대상자들의 태도를 알 수 있었는데, 장애학생 학부모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학생 학부모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 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하위요인들에서 일반학생 학부모는 직접적인 일반학생들의 피해에 대해 민감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도덕적으로는 통합교육이 필요할 수 있으나 장애학생으로 인해 담임교사가 자신의 자녀에 대한 관심을 빼앗기게 되거나 수업의 방해, 학급에서 일으키는 문제에 대해 통합교사나 특수교사, 장애학생 학부모 보다 심각한 문제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통합교육 운영의 개선방안에서 특수교육을 위한 분리교육에 통합교사와 일반학생 학부모들의 의견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은 비슷한 평균점을 보였다. 또 통합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책무성과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데에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학부모가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합교사와 일반학생 학부모는 그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통합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측면에서 차라리 특수학교와 같은 기관으로 분리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에서는 특수교사와 일반학생 학부모간의 의견차이가 유의미한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집단의 공동체적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 학부모 뿐만이 아니라 다른 치료교육, 상담 등의 전문가, 지역사회 관련 인사들의 협력으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들의 학교생활의 실질적인 필요를 채워야 한다. 둘째,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 관련 과목을 교육대학 학부에서 필수화 하고,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를 이수하는 등 다양한 접근방법을 늘려 통합교사로서 장애학생에 대한 교수와 장애학생들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학급운영,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셋째, 일반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관한 학부모 교육이 필요하며, 장애학생 학부모와 일반학생 학부모가 교류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을 열어 통합교육에서 나타난 학부모들간의 입장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 통합교육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으로 장애학생의 학교 건물의 접근과 편리를 위한 편의시설 증대 및 통합교육 확대·교수적 통합교육을 위한 노력 등에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보편화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조사연구법에만 의존하여 있는데 질적 연구법에 관한 연구와 표준화된 인식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about integrated education by groups,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main participants in integrated education including special teachers,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and the parents of general students, focused on the subordinate items such as the reality of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the problems of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The objects of the paper were 162 elementary schools, which had special classes and executed integrated education, located in Suwon, Ansan, Anyang, Yongin in Gyeonggi-do under Gyeonggi-d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 survey of special teachers,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was conducted from Jan. 2006 to Feb. 2006, and total 36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echnolog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appli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population-sociological factors among the groups After the objects were population-sociologically compared among groups, it was found that 88.3% of participants were women, and 46.3% graduated from university. 34.6% of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had less than 1 year care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recognition about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including the reality of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by the population-sociological variables among the groups. 2.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among the groups The subordinate items in the reality of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classified and examined to underst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by groups. First, there was a proposition that integrated education was essential to both disabled and general students, and also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separated education. The subordinate items on the reality of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showed the attitude of the objects toward the proposition.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other groups, but the parents of general students were quite negative,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lthough the parents of general students admitted that integrated education was necessary in terms of ethics, they were very sensitive to direct harm to their children. Moreover, they much more worried that teacher's affection or attention to their children could be dispersed due to disabled students, class could be interrupted by disabled students, or disabled students could raise more problems in class than other groups including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special teacher and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Third,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manag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general students were positive to separated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showing a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In general, special teachers and disabled students presented similar average scores. Special teachers and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usually indicated that integrated, in the similar level, teachers should have responsibility and professionalism, but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and the parents of general students presented a meaningful difference.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separated education like special school to improve more effects on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special teachers and the parents of general stud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several proposals were suggested. First, there should be the community efforts of diverse parties to overcome the differences of recognition about integrated education. Besides teachers and parents, professionals and related people in local community who are working on other treatment educations, counseling should be encouraged to cooperate with school to fill the substantial needs of disabled and general students for school life. Second, diverse approach should be prepared, for example, relevant subjects to special education become required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al university and training for integrated education is more encouraged. Those approaches would help teachers to obtain higher ability as integrated teachers managing class for social integration of disabled students, and preparing for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Third, the parents of general students need more intensive education about integrated education. Furthermore, there should be an opened place for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 and general students to communicate each other, which would reduce the differences of recognition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Fourth, there should be more efforts and studies on the increase in convenient facilities, the extens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instructional integrated education for easier access to the school of disabled students and their convenience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inally, although researchers have relied on survey research for studies on generalized integrated education of disabled students, now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ognition measurement instrument and to study qualitative research.

      • 사회적경제조직의 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이유리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1970년대 세계적인 경제 위기 속에서 높은 실업률과 경제적·사회적 양극화의 심화 등에 따른 각종 사회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제3섹터를 주축으로 사회적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경제영역과 관련한 조직들이 육성되었다. 기존의 사회적경제조직들은 정부의 집중적 지원으로 인해 평가의 중심이 성과주의였다. 따라서 다소 엄격한 잣대의 경제적 성과평가가 기준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일부의 사회적 성과측정의 노력도 대부분 사회적 목적 가치를 화폐화 시켜 투입된 비용 대비 효과를 살피는 방식이었다. 즉, 사회적 성과를 평가하더라도 경제적 성과에 따른 지속가능성에만 집중되어 있거나,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유형적 가치에 집중되어 있었고, 사회적경제조직들이 지닌 무형의 가치에 대해서는 소원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 되고 있는 각종 정책들도 사회적경제의 단기적 양적 성과에 초점을 두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사회적경제조직들이 성공적으로 유지되고 안정된 조직으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이들 조직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여 앞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사회적경제조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역할을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배경을 토대로 전라남도의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의 실태를 통하여 사회적경제조직의 활성화에 따른 지역 경제의 파급현황 및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정책으로의 도입 가능성 그리고 전라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사회적경제의 추진실태의 분석을 통해 전라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발전정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사회적경제조직의 현황을 비교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그리고 전라남도의 사회적경제조직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전라남도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크게 제도적 측면과 비제도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제도적 측면에서는 사회적경제조직의 가치평가 제도정비, 사회적경제기금 조성, 기초단위의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확장, 전문가 컨설팅 및 실무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의 확대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비제도적 측면에서는 사회적경제 가치 확산운동, 자발적인 사회적경제의 모델발굴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한계점으로는 전남지역만을 연구하여 발전방안을 제시 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전라남도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나라 사회적경제조직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사회적경제조직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국가 경제발전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In the 1970s, organizations related with social economic area, which provided social job creation and social service, were promoted as the third sector pivot of solutions for various social problems of high unemployment and aggravated economic·social polarization in global economic crisis. Exist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used to adopt meritocratic system because of intensive government support. Accordingly, somewhat strict standard of economic performance evaluation has been subject to the criteria. Some efforts to evaluate social performance adopted the method to examine the effect of investing expense mostly by calculating social purpose values with money. In other words, social performance evaluation was focused on only sustainability of economic performance, and tangible value of number was given attention to underestimating intangible valu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Since various policies on the way in Korea focus on short-term quantitative result of soci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study on what factors in the future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what support is needed for the role, by analyzing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s for successful and sustainable growth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this respect, this study was aimed to suggest the method to support the local development policy promoted by Jeollanam-do Province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social economy in Jeollanam-do Province,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s a sustainable local development policy, and the influence of promot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on local economy on the basis of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 society, and town corporat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ent conditions of foreign and domestic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were compared and the implication was derived. problems which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of Jeollanam-do Province have were detected and their solu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To promote social economy of Jeollanam-do Province, the plan was suggested in a division of institutional aspect and noninstitutional aspect. First, as for institutional aspect, system reorganization for evaluat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social economic fund raising, expansion of support center for social economy of elementary unit, and education expansion plan of expert consulting and executive capacity building were suggested. Next, as for noninstitutional aspect, the social economic value expansion movement and the method to discover voluntary social economic model were suggested. Main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development plan only for Jeollanam-do Province. Therefore, its further research without confining to Jeollanam-do Province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rough researching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nd finding solutions for their social problems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 고구려 옥도리 벽화고분 연구

        이유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Goguryeo tomb murals are materials that contain Goguryeo people’s living conditions 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imes intactly. Especially, the fifth-century tomb murals in the Pyeongyang area gradually got out of the influences of the Han dynasty and Nangnang tombs which had continued since the fourth century, and after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eongyang, murals reflecting Goguryeo’s own culture started to be produced. This thesis focused on Okdo-ri mural tombs because they show the acceptance and convergence with the culture of the Jian area in the early- to mid-fifth century Pyeongyang area. Since Okdo-ri mural tombs were excavated and surveyed in 2010 and an excavation report was published in 2011,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in-depth discussions about the tombs, and no approaches to cultural exchange and acceptance between Jian and Pyeongyang have been made yet.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the themes of the murals in Okdo-ri mural tombs and the developments of the tomb murals in the fifth century Pyeongyang area through the Okdo-ri mural tombs. First, as the basic steps of a study of Okdo-ri mural tombs,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the tombs, the composition of the mural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ifth century Goguryeo and mural tombs in the Pyeongyang area were summarized.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a possibility in that the chronology of Okdo-ri mural tombs can be seen as the early- to mid-fifth century.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eongyang, in 427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ifth century Goguryeo mural tombs built in Okdo-ri mural tombs. Because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Pyeongyang came to act as a new political and cultural center of Goguryeo and after that, the existing Jian culture of Gungnae-seong flowed in new capital Pyeongyang, and a new culture of Goguryeo came into bloom in Pyeongyang. Judging that a new culture that covers the entire area of Goguryeo would be established also in the tomb culture, this study compared and summarized the details of tomb cultures around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eongyang. Moreover, to analyze Okdo-ri tomb murals more in depth, this study looked into the origin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iconographies by the theme through a comparison with other tombs. As a result, they succeed the characteristics of tomb murals in the Pyeongyang area, and usually showed many traces of exchange with the Jian area tomb culture. In addition, a possibility that the iconographies which have been defined as a custom of living previously can be seen as pictures with ritualistic characteristics through historical records, forms, compositions and comparison with other tombs was found. Lastly, it discussed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Okdo-ri mural tombs and its significance. It looked into the developmental background of Okdo-ri mural tombs and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mb cultures of the Pyeongyang and Jian areas in Okdo-ri mural tombs. Elements of Jian area tomb murals in Okdo-ri mural tombs show the phases of early mixture of Jian culture entering into the Pyeongyang area. Therefore, Okdo-ri mural tombs were built when Goguryeo promoted and conducted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eongyang, the buried ones also might be persons related to Jian area or Jian culture. Okdo-ri mural tombs have attracted attention with their unique structure, colorful mural contents and compositions. Here, it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Pyeongyang and Jian area tomb murals in Okdo-ri mural tombs show cultural exchange between two areas after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eongyang. Through Okdo-ri mural tombs, the convergence and development of tomb culture between two areas in the early- to mid-fifth century could be understood, and they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show the birth of Goguryeo culture where elements of two areas were combined at the end of the fifth century. 고구려 고분벽화는 고구려인의 생활상과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자료이다. 특히 5세기 평양지역 고분벽화는 4세기 이래로 지속된 漢系와 낙랑 고분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면서 평양천도 이후에는 고구려 고유의 문화가 반영된 벽화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 옥도리 벽화고분에 주목한 이유는 바로 5세기 전반~중반 평양지역에서 이루어진 집안지역 문화의 수용과 융합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옥도리 벽화고분은 2010년 발굴 조사되어 2011년 발굴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아직 고분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부족하고 집안과 평양의 문화 교류와 수용에 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번 논문에서 옥도리 벽화고분의 벽화 주제에 대한 고찰과 함께 옥도리 벽화고분을 통해 5세기 평양지역의 고분벽화의 발전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옥도리 벽화고분의 위치와 구조, 벽화 구성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옥도리 벽화고분이 입지한 남포지역의 지리적․역사적 배경을 통해 이 지역에 발달한 고분문화를 살펴보았다. 옥도리 벽화고분은 감실이 달린 二室墓의 구조로 평양지역 벽화고분 고유의 특징을 보여준다. 벽화 주제는 생활 풍속․사신이며 벽화의 구성과 내용에 있어 평양지역을 비롯한 집안지역 고분벽화와의 친연성이 확인되었다. 고분의 구조, 벽화 구성, 사신의 존재, 집안지역 고분벽화와의 친연성 등을 통해 고분의 편년을 5세기 전반~중반까지 내려다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옥도리 벽화고분이 축조된 5세기 고구려 벽화고분의 전개와 관련하여 427년에 단행된 평양천도에 주목하였다. 수도 천도로 인해 평양은 이제 고구려의 새로운 정치적․문화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이후 기존 국내성의 집안 문화가 새로운 수도 평양으로 유입되며 평양에서 汎고구려적인 새로운 문화가 꽃피게 되었다. 고분문화에서도 汎고구려의 문화가 성립된다고 보고 평양천도를 전후로 한 고분문화를 비교하여 그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나아가 옥도리 고분벽화를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 주제별로 나누어 도상의 연원과 발전과정, 그리고 다른 고분과의 비교를 통해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감신총, 덕흥리 벽화고분 등 평양지역 고분벽화의 특징을 계승하면서도 대체로 각저총, 무용총, 장천 1호분 등 집안지역 고분문화와의 교류의 흔적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생활풍속으로 규정하였던 도상들에 대해서 사료, 형태와 구성, 다른 고분과의 비교를 통해 제의적 성격의 그림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묘주도의 경우 발굴보고서에서 ‘장방생활도’로 규정한 것과 달리 정좌한 모습과 배경으로 사용된 王字流雲文이 가지는 靈座 또는 제의적 공간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제의적 의미가 강조된 초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동벽의 행렬도와 가무도를 중국 正史의 고구려 장례풍습에 대한 기록과 葬送儀禮 장면을 묘사한 장천 1호분, 무용총 등과의 비교를 통해 장송의례도로 규정하였다. 이외에도 수렵이 제의적 행사에 쓰일 희생물을 사냥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수렵도 역시 제의적인 성격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5세기 전후 평양지역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통해 옥도리 벽화고분의 조성배경과 그 의의에 대해 서술해보았다. 옥도리 벽화고분에 나타나는 평양과 집안지역 고분문화의 특징들을 정리했다. 옥도리 벽화고분에 나타난 집안지역 고분벽화의 요소들은 평양지역에 들어온 집안 문화의 초기 혼합 양상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옥도리 벽화고분은 시기적으로 고구려가 평양천도를 추진・실시한 시기에 축조하였으며, 피장자 역시 집안지역 혹은 집안 문화와 관련된 인물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옥도리 벽화고분은 독특한 구조와 다채로운 벽화 내용과 구성으로 주목받아 왔다. 여기서 옥도리 벽화고분에 나타난 평양과 집안지역 고분벽화의 특징들은 평양천도를 전후로 한 두 지역 간의 문화적 교류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옥도리 벽화고분을 통해 5세기 전반~중반에 이루어졌을 두 지역 간의 교류를 통한 고분문화의 융합과 발전 양상을 이해할 수 있으며, 5세기 후반 두 지역의 요소가 결합된 汎고구려 문화의 탄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 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인지치료의 효과 비교

        이유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불안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효과를 비교․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비프로그램을 실시 한 뒤,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및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은 만 11~12세의 인지적 수준에 초점을 두었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에게 인지행동치료 모델을 이해시키고 적용하기 위해 인지행동치료 용어를 수정하였으며, 흥미를 끌 수 있는 그림이나 워크시트, 은유․비유적 표현, 게임, 이야기 등을 활용하여 아동의 흥미수준과 참여도를 높였다. 특히, 본 프로그램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주요 요소인 인지적 재구성 훈련과 노출훈련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기감찰, 왜곡된 사고 바꾸기, 대처 전략 개발하기를 통해 불안상황에 따른 왜곡된 지각을 교정하는데 초점을 두고, 실제 불안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점진적 노출훈련 및 사회기술훈련을 실시하였다.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에게 마음챙김을 이해시키고 적용하기 위해 이야기와 행동 실험 등을 활용하였다.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는 마음챙김 명상과 인지적 탈중심화 및 노출훈련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 감찰과 명상훈련, 다감각 훈련을 활용한 인지적 탈중심화, 실제적인 대처능력을 키우기 위한 노출훈련 및 사회기술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 연구 대상은 경기도 파주 시 A, B 초등학교 5~6학년을 선정하였다. 이 중 개정판 아동 불안 척도(RCMAS)와 특성불안 척도(TAIC)를 사용하여 임상수준에 해당하는 아동들을 선별한 뒤 임상심리사 2인의 K-SADS-PL면접을 통해 최종적으로 불안장애를 진단받은 아동을 선별하였다. 대상아동은 인지행동치료 집단,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되었으며,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아동은 주 2회 총 1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불안장애 관련 변인을 인지, 정서, 행동의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불안장애 관련 인지변인으로는 자동적 사고 척도, 긍정적․ 부정적 미래예측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변인으로는 특성불안 척도(TAIC), 개정판 아동 불안 척도(RCMAS), 사회불안 척도를, 행동변인으로는 사회적 기술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지변인과 정서변인은 아동에게 직접 실시하였으나, 행동변인은 교사가 보고하는 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알아보기 위해 담임교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다. 프로그램 사전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및 통제 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프로그램 사후 집단 간의 점수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및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사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Bonfferoni correction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의 프로그램 사전-추후 점수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으며, 추후 치료집단 간 점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에서 나타난 검정 결과의 신뢰성을 보완하고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인지행동치료 집단의 사고 및 신념 변화 내용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의 마음챙김 기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자가 직접 작성한 자동적 사고 및 신념 기록지, 다양한 워크시트, 연구자의 회기별 평가 기록, 보조 연구자 및 관찰자의 보고서 등을 중심으로 치료집단 구성원의 변화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사전-사후를 비교한 결과 인지행동치료 집단 아동의 자동적 사고, 부정적인 미래예측, 불안(TAIC, RCMAS)과 사회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사회적 기술에서는 부정적인 사회적 기술이 감소하였다. 또한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아동의 불안(TAIC, RCMAS)과 사회불안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자동적 사고, 긍정적․부정적 미래예측 및 사회적 기술과 관련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프로그램 사후 검사 시, 인지행동치료 집단 및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아동의 자동적 사고, 불안(TAIC, RCMAS), 사회불안은 통제집단에 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2개월 후 실시 된 사전-추후검사 결과 인지행동치료 집단은 자동적 사고, 긍정적․부정적 미래예측, 불안(TAIC, RCMAS)과 사회불안에서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에서는 사후검사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던 자동적 사고 척도의 하위요인 중 신체위협인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났으며, 불안(TAIC, RCMAS)에서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불안에서는 효과가 유지되지 않았다. 넷째, 추후검사 결과 자동적 사고, 긍정적․부정적 미래예측, 불안(TAIC, RCMAS)과 사회불안에서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간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인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아동 대상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불안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검증하였다. 셋째, 체계적이고 명확한 프로그램 효과검정을 위하여 아동기 불안장애 관련 변인을 인지, 정서, 행동 변인으로 나누어 다양하게 측정하였으며, 사전․사후․추후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하였다. 넷째, 임상진단 면접과 다양한 척도를 통해 불안장애 아동을 엄격하게 진단하여 선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nd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to reduce the level of anxiety for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and compare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programs. For these purpose, the study developed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nd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and finalized their structures after making modifications to the preliminary treatment programs conducted on children. The CBT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cognitive level of age 11 and 12. In order to enhance children's understanding and make effective applications, the study modified terms used in CBT, and used pictures, worksheets, metaphors, games and stories to stimulate children’s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 CBT program was constructed with a special emphasis on cognitive restructuring and self-disclosure training. To be more specific, by introducing self-inspection, change of distorted thinking patterns and development of coping strategies, the program focused on correcting one’s distorted perceptions in anxiety-causing situations and carried out self-disclosure train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to develop abilities to cope with anxiety-causing situations in real life.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used stories and behavioral experiments to help children understand mindfulness and make applications.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were mindfulness thinking, decentering and self-disclosure training. To be more specific, the program offered self-monitoring and meditation training, cognitive decentering using multi-sensory training, self-disclosure training to develop practical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kills training. The first screening selected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A Elementary School and B Elementary School based in Paju City of Gyeonggi Province. Afterwards, the study chose children in the clinical level of RCMAS, and then, selected final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an anxiety disorder through K-SADS-PL interviews conducted by two clinical psychologists. These childr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different groups: a group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 group for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 no therapy. Children in the first two groups received therapy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To close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therapy programs, variables related to anxiety disorder were categorized under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Cognition comprised Korea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K-CATS),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on scale. Emotion comprised TAIC, RCMAS and K-SAS-A, and behavior comprised MESSY. The cognition and emotion variables were administered to children directly while the data for behavior were collected based on the report of children's homeroom teachers. The results obtained by these scales were processed through SPSS WIN 21.0.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were calculated to find out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was conducted for homogeneity test and comparison of post-therapy assessments among the CBT group,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herapy scores of the CBT group,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and Bonferroni Correction was used to compare the post-therapy assessment results among the groups. In addition,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herapy assessment scores of the CBT group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nd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between the therapy groups. Lastly, in order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verified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examine the changes in the automatic thoughts and beliefs of the CBT group and the mindfulness skill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nalysis on the participants’ changes was made based on the participants’ written records on automatic thoughts and beliefs, worksheets, researchers’ evaluation for each session and the reports of assistants and observ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of pre- and post-therapy assessment, children in the CBT group were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automatic thought, negative prediction,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as well as in negative social skills of social skills scale. For the children in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 significant decrease was marked in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whereas no change was found in automatic thoughts,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on and social skills. Secondly, the post-therapy assessment revealed that the CBT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Thirdly, according the pre-therapy and follow-up assessment of the CBT group, the positive effect on automatic thoughts,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on,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was maintained. Also, for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the effect on the physical threat recognition, unlike other subscales of automatic though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follow-up assessment. The effect on TAIC, RCMAS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n social anxiety was not. Fourth, according to follow-up assessments, the effect of CBT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differed in automatic thoughts, positive and negative future prediction,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following ways. Firstly, taking children’s cognitive levels into account, the study developed a CBT program and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which could be applied effectively. Secondly, it compared and verified the effects of CBT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Third, for a systematic and accurate assessment of the effect of the programs, anxiety disorder related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nd the effects were continually examined by pre-therapy assessment, post-therapy assessment and follow-up assessment. Finally,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were effectively screened and selected through interviews for clinical diagnosis and various types of sc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