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디지털 변혁 시대에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삶의 질 변화 연구 : PD, 방송 작가, 카메라맨 대상 심층 인터뷰 중심으로

        김정민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2010년대 스마트폰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영상 콘텐츠 생산과 소비의 패러다임(paradigm)은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가 생산하는 영상 콘텐츠가 대중이 소비하는 영상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독과점 시대는 끝났다. 디지털 변혁 시대가 열리며 누구나 뉴미디어를 통해 자본과 기술의 구애를 받지 않고 영상 콘텐츠를 생산해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됐다. 무한대의 영상 콘텐츠가 생산, 소비될 수 있는 뉴미디어 시장에서 방송사 정규직 직원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직업 안정성과 소득 안정성에서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직업 만족도와 삶의 질은 어떻게 변했을까? 본 연구는 직업 만족도 구성 요소를 소득, 근무 시간, 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사회적 지위, 직무 자율성 등으로 세분화하여, 디지털 변혁 시대가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직업 만족도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0년대 초반 뉴미디어 보편화 전, 후를 모두 경험한 10년 차 내외의 프리랜서 PD와 작가, 카메라맨에 대하여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모든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가 디지털 변혁 시대 뉴미디어가 보편화되면서 업무 스트레스가 늘거나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스트레스가 줄었다는 응답자는 없었다. 소득 변화에 대해서는 증가했다는 응답자가 감소했다는 응답자보다 많았다. 특히 PD 집단에서는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한 전원이 소득이 증가했다고 답해서 증가/감소 의견이 엇갈렸던 작가, 카메라맨 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득 변화에 대한 대답은 세대별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중간 연차 집단에서는 대부분 소득이 증가했다고 응답했으나 고연차 집단의 다수는 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또한 다수 응답자가 디지털 변혁 시대 이후 근무 시간은 줄고 직업 안정성은 떨어졌다고 말했다. 사회적 지위도 하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듯 직업 만족도 상승 요인과 하락 요인이 혼재된 상황에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직업 만족도 변화에 대해서는 상승했다는 응답자가 다수였다. 직업 만족도에 변화가 있다는 응답자 중, 중간 연차 집단 전원은 만족도가 상승했다고 응답했지만, 고연차 집단은 전원이 하락했다고 응답해 세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는 과거 프리랜서 방송 산업 종사자에 관한 연구가 절대 권력 방송사로부터 받는 부당한 대우와 낮은 처우에 집중돼 있었던 상황에서, 영상 콘텐츠 제작자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프리랜서들의 상황을 디지털 변혁 시대 흐름에 맞게 재조명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이 오랜 시간 사회 문제로 지적돼 온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근무 환경이 개선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As the spread of smartphones became more active in the 2010s, the paradigm of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underwent rapid changes. The era of monopoly in which video content produced by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including KBS, MBC, and SB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video consumed by the public, is over.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yone can produce video content and deliver it to the public through new media, regardless of capital and technology. In the new media market where infinite video content can be produced and consumed, how hav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video content freelancers, who will be relatively sensitive to market changes in job and income stability, changed compared to the regular employees of broadcasting companies? This study subdivides job satisfaction components into income, working hours, stress, job stability, social status, and job autonomy to determine how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has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video content freelancer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reelance producers, writers, and cameramen with approximately 10 years of experience both before and after the popularization of new media in the early 2010s.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video content freelancers who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responded that their work stress increased or remained unchanged as new media became widespread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re were no respondents who said their stress had decreased. Regarding changes in income, there were more respondents who said it increased than those who said it decreased. In particular, in the PD group, all who responded that there had been a change responded that their income had increased, showing a clear difference from the writer and cameraman groups, where opinions on increase/decrease were mixed.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s to changes in income by generation. Most of the middle-age group responded that their income had increased, but many of the high-age group responded that their income had decreased. Additionally,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ir working hours have been reduced and job stability has also decreased since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ir social status was also perceived to have declined. In this situation, where factors for increasing and decreasing job satisfaction were mixe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change in job satisfaction had increased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se factors. Among respondents who reported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ll of the middle-age group responded that their satisfaction had increased, but all of the high-age group responded that it had decreased, showing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situation of freelancers, who account for the vast majority of video content creators, in line with the trend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in a situation where past research on freelance broadcasting industry workers focused on unfair treatment and low treatment received from absolute power broadcasters.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video content freelancers, which has long been pointed out as a social problem.

      • 아나운서는 왜 TV 매체에 머무르기를 바라는가? : 지역 지상파 방송사의 비정규직 아나운서를 중심으로

        정해인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지역 지상파 방송사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아나운서를 심층 인터뷰 하여, 이들의 정체성과 노동의 가치를 알아보고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산업 내에서의 미래 대응 전략에 대해 주목하고자 하였다.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시장에서 지역 방송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아나운서의 근무 환경 변화와 노동 실태를 파악해, 이들의 현재와 미래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방송진행자 집단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지역 지상파에서 방송하는 비정규직 아나운서들을 연구집단으로 설정하고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비수도권, 비정규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방송진행을 위해 낯선 곳으로의 이동도 마다하지 않는다.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문화 산업에 존재하는 창의노동(creative labor)의 특수성과 양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좋아하는 일을 하며 돈을 버는 것에 대해 동의했지만, 방송을 하면서 동반되는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열악한 처우, 지속되는 경쟁과 같은 상황들을 감수하며 일하고 있었다. 다매체다채널로 인한 미디어 환경 변화와 모바일 중심 플랫폼이 등장했지만, 아나운서는 다양한 뉴미디어 플랫폼의 등장을 기회로 생각하지 않았다. 먼저 비정규직이라는 특수한 고용관계로 인해 지역 지상파 방송사의 아나운서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을 새로운 기회로 받아들일 수 없는 위치에 있었다. 방송사에서는 비정규직 아나운서에게 건당 출연료를 지급해야하기 때문에 방송사의 SNS 채널에 아나운서 활용을 활발히 하지 않았다. 또한 비정규직이기 때문에 조금 더 어릴 때 영향력이 더 큰 TV 매체로 상향 이동하려는 욕구가 존재했는데, 이는 경쟁이 심한 뉴미디어에서 인간적이고 다소 파격적인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에 부담감으로 작용했다. 현재 방송사에서는 아나운서를 방송사의 얼굴로 인식하여 품위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한다는 이유로 이들이 타 방송사와 플랫폼에 출연하는 것을 제한하는 모습도 존재했다. 지역 지상파 방송사 아나운서에게는 뉴스를 보도 하는 것이 중요했고, 이들은 본인의 방송 진행 능력을 레거시 미디어에서 더 잘 발휘할 수 있다고 받아들이고 있었다. 지역 지상파 아나운서의 정체성을 파악해보면 이들에게 우선순위는 TV 매체에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지역 방송에 대한 애정과 아나운서로서의 영향력을 고려했을 때 여전히 지역 방송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그동안 제대로 논의되지 않았던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시장에서 방송업계의 모습, 특히, 지역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는 아나운서들에 주목해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지역신문 기자들의 직업정체성 연구 : 인천지역 10개 신문의 전·현직 기자를 중심으로

        윤혁근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tailed and in-depth reality of small local newspapers and journalists within the dominant structure of the giant central newspaper market represented by Chosun-Ilbo, JoongAng-Ilbo, and Dong-A-Ilbo. Through the voices of field journalists, the study explored the professional crisis faced by regional journalism and journalists. It sought to understand how journalists form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o survive in times of crisis and to identify and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based o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depth interviews, which fostered interactive and empathetic relationships with journalists to capture their everyday experiences, emotions, attitudes, and thoughts. The researcher, who is a media representative of Incheon Housing and City Development Corporation, selected interviewees in a balanced manner using the journalist pool from a relationship of over 3 years and 6 months, aiming to examine the actual professional identities of journalists from as objective a standpoint as possible and attempt categoriz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research involved studying the history and previous research on Incheon local newspapers to identify the issues and current situation. Furthermore,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on journalists' professional identities and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were reviewed, focusing on press freedom,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media, journalists' job satisfaction, and morale.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ncheon is a city with mixed information due to the presence of residents from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but local media and journalists are unable to fulfill their essential roles due to the difficulties faced by media companies and journalists being pushed into fatigue. Additionally, previous research indicating the professional instability of Korean journalists revealed the limitations of generalizing Incheon local newspaper journalists.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and email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18 current and former journalists from 10 Incheon local newspapers to capture the detailed voices of journalists experiencing crises and uncertainties. The interview guide was developed based on a semi-structured format, consisting of three structured questions on press freedom,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media, and morale. It was supplemented with unstructured questions on nepotism, advertising,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code of ethics, economic rewards, education, and psychological fatigue. Follow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a total of eight questions were used to examine the professional identities of Incheon local newspaper journalists, categorize them, and deriv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question and answer data, the study analyze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journalists in relation to press freedom,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media, and journalists' morale. Through an attempt at categorization, the study identified five types of professional identities among Incheon local newspaper journalists who are still imbued with the spirit of journalism. These types include the ‘watchdog type’ who actively exercises journalistic oversight, the ‘network maintenance type’ who focuses on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in the local community for their journalistic activities, the ‘salesperson type’ who leverages excellent writing skills to increase advertising revenue and overcome crises, the ‘job seeker type’ who sees journalism as a stepping stone for future career moves, and the ‘livelihood maintenance type’ who solely concentrates on making a living through journalism. Additionally, in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se types, it was discovered that both the ‘job seeker type’ and the ‘watchdog type’ are not uncommon, indicating the need for swift improvement in working conditions to support the revitalization of Incheon local newspapers and the normalization of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While it may not provide a definitive guarantee, this finding suggests that immediate measures for a solid foundation are crucial.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objective professional identities of Incheon local journalists as perceived by the entire Incheon media through quantitative methods. In future research,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an be appl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ctivity patterns of journalists based on years of experience, age, gender, membership/non-membership in the Journalists Association of Korea, Incheon-based journalists from central media organizations, internet media, advertising professionals, and other variables, thereby obtaining a more generalized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identities of Incheon local newspaper journalists. Additionally, studying the professional identities of media representatives from companies, organizations, local governments, and grassroots municipalities would help discover a more accurate image of Incheon media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journalism. Furthermore, although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media normalization based on improved economic conditions and environment leading to an uplift in the morale of Incheon local journalists, it is limited by the lack of discussion on systematic methods for improving economic conditions. 본 연구는 조‧중‧동으로 대변되는 거대 중앙지 위주의 신문시장 구조 속에서 군소 지역신문과 기자들의 현실과 삶에 대한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실제 모습을 살펴보고, 그를 통해 지역언론과 기자들이 처한 직업적 위기를 현장 기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확인하였다. 기자들이 위기에서 생존을 위해 직업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며, 직업정체성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찾고 확인하는 연구 활동이라는 점에 의미를 두었다. 연구방법론으로 질적연구방법인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으로 기자들과의 상호작용적이며 공감적 관계를 통해 일상경험과 감정, 태도, 생각 등을 담았다. 인천도시공사 언론담당자인 연구자 본인은 3년 6개월 이상의 기자 대응관계에서의 기자 풀(pool)을 활용한 균형 있는 피면담자 선정으로 최대한 객관적 목소리로부터 기자들의 실제 직업정체성을 살펴보고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인천시 지역신문의 역사와 선행연구 학습을 통해 문제점과 현황 등을 살펴보았고, 기자의 직업정체성과 기자 전문직주의에 대한 선행연구 학습을 위해 취재보도의 자유, 언론의 사회적 책임, 기자의 직업만족과 사기 측면에서 관련 연구와 문헌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통해 인천시가 전국 각지에서 모인 지역 구성원들로 인해 정보가 혼재하는 도시이며, 지역언론 또한 지역 통합의 역할을 언론사 경영의 어려움 등의 문제로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지 못해 기자들 또한 탈진으로 내몰리고 있는 실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한국 기자들의 직업적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선행연구들로 인천 지역신문 기자들을 일반화하기에는 기자들이 겪고 있는 위기와 불안함의 세밀한 목소리를 담은 심층면담 등 질적연구가 부족한 한계가 있기에 인천 지역신문 10개 매체, 18명의 전ㆍ현직 기자들과 심층면담 및 E-mail 문답을 진행하였다. 취재보도의 자유, 언론의 사회적 책임, 사기(士氣) 등 3가지 구조화된 질문 목록에 연고주의, 광고, 조직문화, 기자전문직주의(journalistic professionalism), 윤리강령, 경제적 처우, 교육, 심리적 탈진 등 비구조화된 면담 질문을 더한 반(半)구조화 면담가이드에 따른 총 8가지 질문을 바탕으로 진행한 면담을 통해 인천 지역신문 기자들의 직업정체성을 확인하고 유형화를 통하여 연구문제의 답을 도출하였다. 문답 데이터를 바탕으로 취재보도의 자유, 언론의 사회적 책임, 기자의 사기와 관련한 직업적 정체성을 분석하였고, 유형화 시도를 통해, 아직 기자정신이 살아있는 ‘감시견(watchdog)형’의 기자, 원만하게 인맥을 통해 지역 내에서 기자활동을 원하는 ‘인맥유지형’기자, 뛰어난 글쓰기 능력을 통해 광고실적을 높이고 위기를 넘고자 하는 ‘영업사원형’기자, 이직만을 목표로 하는 ‘구직자형’기자, 생계에만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생계유지형’기자, 5가지 인천 지역신문 기자의 직업정체성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형별 분포에서 ‘구직자형’과 ‘감시견형’의 분포가 적지 않은 것을 확인하여, 인천 지역신문의 활성화와 기자전문직주의 정상화에 대한 확실한 담보는 아니더라도 당장의 밑바탕을 지지하기 위해 신속한 처우 개선이 필수적일 것이라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론을 기반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양적방법론을 통한 계량화 및 인천 지역언론 전반이 바라보는 객관적 기자 직업정체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향후 연구에 있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천 언론의 또 다른 축인 기자들의 연차별 활동 양상의 차이, 연령, 성별, 한국기자협회 회원사와 비회원사, 인천 주재 중앙언론 기자들, 인터넷 언론, 광고업자 등의 변수들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양적연구방법론을 통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일반화된 인천 지역신문 기자의 직업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기업, 기관, 지방정부 및 기초 지자체 언론담당자들의 직업정체성을 연구한다면, 인천 언론의 보다 정확한 모습을 발견하고 지역언론 발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경제적 처우 및 환경 개선 시 인천 지역기자의 사기진작을 바탕으로 언론정상화가 달성될 가능성은 제시했지만 경제적 처우를 위한 체계적인 방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점도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 브랜드 충성도, 온라인 경험가치의 관계 :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황하나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loyalty and online experience value, focusing on a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social media, interac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Instagram, the most actively used social media platform in Korea,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llowing coffee shop/café accounts on Instagram. This study examined how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ffects the two sub-factors of brand loyalty, attitudinal brand loyal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and whether attitudinal brand loyal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This study also explored whether two sub-factors of online experient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and aesthetic value, have any relationship with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nd brand loyalt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ach of the two sub-factors of brand loyalty. This means, the higher the corporate-consumer interaction, the higher both the attitudinal brand loyal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inal brand loyalt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Also,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line experiential value on Instagram and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was studie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rporate-consumer interaction, the higher both the entertainment online experiential value and aesthetic online experiential value. Lastly, we examined whether either one of the sub-factors of online experient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and aesthetic valu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but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as found.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대표적 특성인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하여 브랜드 충성도 및 온라인 경험가치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에서도 최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인스타그램을 기준으로, 커피전문점 계정을 팔로우 하는 20, 30대 여성 소비자 2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이 브랜드 충성도의 두 가지 하위요인인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와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가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온라인 경험가치의 하위요인 중 유희성 온라인 경험가치와 심미성 온라인 경험가치는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 및 브랜드 충성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은 브랜드 충성도의 두 가지 하위요인 각각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즉,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이 높을 수록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와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는 모두 높았다. 둘째,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스타그램에서 일어나는 온라인 경험가치가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이 높을 수록 유희성 온라인 경험가치와 심미성 온라인 경험가치 모두 높았다. 마지막으로, 유희성 온라인 경험가치와 심미성 온라인 경험가치가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는데, 유의미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정치인의 혐오표현 사용과 언론의 보도 태도 연구 : 여론 지형 개선 방안에 관한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김도희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여성, 장애인, 이주민 등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반감을 부추기고 편견과 증오를 선동하는 정치인의 불합리한 혐오표현이 기승이다. 언론은 이를 매일같이 중계하듯 보도하며 혐오표현 확산에 일조하면서도 개선에 미온적이다. 언론은 사회적 소수자와 정치인의 발언을 병렬해 보도하며 ‘기계적 중립’을 주장하지만, 권력자의 혐오 선동으로부터 무차별적으로 당하고 있는 약자에게 더 귀 기울이지 않는 기사는 이미 균형을 잃은 보도다. 오늘날 시민에게 정치와 언론은 핵심적인 혐오표현 생산, 유통 창구로 꼽힌다. 정치·언론 두 집단의 신뢰도는 동반 하락세다. 쇄신이 갈급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정치인의 혐오표현 발화와 이를 다루는 언론의 보도 태도에 대해 고찰하고, 사회적 소수자를 ‘강자화’하는 기득권 등 악화하는 현상이 지닌 문제점들을 현장의 시각으로 짚었다. 정치인의 혐오표현을 취재한 경험이 있는 기자, 현역 국회의원, 중앙당에서 대변인을 지내거나 지도부의 메시지를 관리한 경험이 있는 원외 정치인, 매일 기사를 소비하는 일반 독자를 심층인터뷰했다. 응답자는 한 명도 빠짐없이 정치인의 혐오표현이 지닌 폭력성을 비판했다. 이를 관망하다시피 하는 언론에도 질타가 쏟아졌다. 한국 사회에서 다수자적 위치에 있는 중년층 엘리트 남성 정치인들이 복수의 시민들이 갖는 ‘다양화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이용해 갈라치기성 정치에 나서고 있는 실태다. 그들의 혐오표현은 더 고도화하고 지능적으로 변모하는 중이다. 세월호·이태원 참사, 제주 4·3 항쟁, 5·18 광주민주화운동,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출근길 지하철 시위 등을 사회 갈등 소재로 삼고 혐오를 촉진한 것도 정치인이다. 사안의 심각성에 반해 언론은 느슨한 보도 태도를 보였다. 언론이 ‘10개 중 8개’꼴로 혐오표현을 인용만 해 보도한다는 게 참여자들의 인식이다. 결국 무엇을 쓰느냐보다 ‘무엇을 쓰지 않느냐’가 중요하게 여겨져 언론의 자정작용 강화가 촉구됐다. 정치인, 언론인 모두 문제점을 인식하면서도 악순환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데는 각 집단이 이로 인해 얻는 이익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팬덤 정치에 매몰된 거대 양당 체제와 조회수 중심의 언론보도 환경에 관한 문제는 맞물려 있다. 연구에 참여한 정치인과 언론인은 혐오표현 문화의 일부가 된 지난날에 성찰의 메시지를 함께 전했다. 현장에 누적된 혁신의 갈망, 울림을 이어받아 사회 전반에서 쇄신책을 고안하는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한 때다. There is an epidemic of unreasonable hate speech by politicians who incite bigotry and hatred against women, people with disabilities, migrants, and other social minorities. The media contributes to the spread of hate speech by covering it on a daily basis, while doing little to address it. The coverage is already unbalanced claiming to be "mechanically neutral" by juxtaposing the comments of social minorities and politicians but fail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vulnerable who are indiscriminately subjected to hateful incitement by those in power. For citizens, politicians and the media are key sources of hate speech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is has led to a parallel decline in trust in both organizations. It's time for an overhaul. This study goes beyond the examination of politicians' hate speech and the media's attitudes toward covering it to highlight the problems of the deteriorating situation from an on-the-ground perspectiv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journalists with experience covering hate speech in politics, active members of parliament, former politicians who have served as spokespersons or managed leadership messaging, and general readers who consume newspapers on a daily basis. Every single one of them criticized the violence of politicians' hate speech. They also criticized the media for being a bystander. Middle-aged, elite, male politicians, a majority in positions of power in South Korean society, were playing on the "fear of diversity and fear of plurality" of citizens to engage in divisive politics. Their hate speech wa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and intelligent. Politicians used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Itaewon disaster, the Jeju April 3 Uprising, the May 18 Gwangju Democratic Uprising, and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SADD)'s subway protest during morning rush hour to promote hatred as subjects of social conflict. The media showed a lax reporting attitud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 media only cited hate speech in "8 out of 10 cases." In the end, "what they don't write" was more important than "what they do write," and the media was prompted to strengthen self-regulation. While politicians and journalists alike recognize the problem, they are unable to break the vicious cycle because each group benefits from it. The problem is a combination of a two-party system mired in fandom politics and a media landscape driven by views. The politicians and journalists in our study shared a message of reflection on partaking in a culture of hate speech. It's time to take action, to honor the accumulated longing for change in the field, and to devise reforms across society.

      • 정부광고 집행 내역 분석 : 정부광고법 시행 이후 4 개년(2019~2022 년)을 중심으로

        김지현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세금을 재원으로 하는 정부광고의 집행 내역을 분석하였다. 2018년 12월 13일 시행된 정부광고법 시행으로 전수 확보가 가능해진 4개년 정부광고 집행 내역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금을 납부하는 국민의 알 권리 실현에 이바지하여 투명성과 공공성을 제고하고, 정부광고 담당 실무자에게 간접적인 정보 교류 효과를 일으켜 정부광고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광고 캠페인 단위가 아니라 광고주, 매체, 광고를 유형화 하여 각 집단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집단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정부광고 전체 시장 상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개년 동안 4,756개 광고주를 통해 789,865건의 광고가 집행되었다. 광고비는 2019년 8,829억원에서 2022년 1조 738억원으로 매해 4% 이상 씩 소폭 상승하는 추이를 보였다. 광고주 유형별로는 지방자치단체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중 상위 지역인 경기도와 경성북도는 광고비의 50% 이상을 신문과 뉴스미디어에 집행하는 공통점을 보였다. 연도 별 증감 추이가 가장 큰 유형은 기타기관이었는데, 이는 기타기관 중 선거기관이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선거 일정에 따라 편차를 보였기 때문이다. 지방자체단체는 인쇄, 방송, 옥외, 인터넷 매체를 고루 집행하는 행태를 보인 반면 국가행정기관은 방송과 인터넷 매체를 집중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확인되어 유형 별 활용 매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월별 시계열 추세에서는 모든 광고주 유형이 4분기, 특히 12월에 광고비를 과도하게 집중적으로 집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예산의 낭비를 막기 위해 행정적 조치가 필요하는 결론을 얻었다. 매체 유형 별로 살펴봤을 땐, 인터넷 매체의 비중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9년에는 방송-인쇄-인터넷-옥외 매체 순으로 비중이 높았던 반면, 2022년에는 인터넷-방송-인쇄-옥외 순으로 비중에 변화가 생겼다. 유의미한 변화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넷 매체 중에서도 연속적으로 상승추이를 보이는 뉴스미디어에 대해 타 매체유형과 상관분석, 주성분 공분산 행렬분해를 진행했다. 그 결과 뉴스미디어는 인쇄 매체와 -0.99 값을 보여 서로 음의 관계에 있으며 상호 공진화(co-occurrence)보다는 대치되는 양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고비 점유율 관계를 확인했을 땐 두 유형이 일부 대체 관계에 있음이 나타나, 언론사에 집행하던 지면 광고가 언론사 사이트의 배너 광고로 대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광고 유형을 살펴봤을 땐, 콘텐츠 형태 광고가 송출 형태보다 훨씬 낮은 점유율을 보였지만, 증가율은 더 높게 나타났다. 국가행정기관의 전체 광고비 예산은 지방자치단체의 25%에 불과한데, 인터넷 동영상 광고와 브랜디드 콘텐츠 광고비는 지방자치단체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준을 보여 특정 유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부광고 시장을 거시적으로 바라보고 집행 내역을 유형 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정부광고비는 연 1조원을 넘어설 정도로 규모가 거대하며,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정부광고의 효율적인 집행을 돕는 장치와 더불어 견제와 감시가 필요한 시점에 본 연구 결과가 정부광고법의 목적을 제고하는 유용한 통계자료가 되어 정부광고 품질 향상의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ecution details of government advertisements funded by taxes. It utilized the comprehensive data of four years of government advertising execution made possible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 Advertising Act on December 13, 2018. The goal was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citizens' right to know by enhancing transparency and publicness, as well as to indirectly promote information exchange among government advertising practitioners, thereby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advertising.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advertisers, media outlets, and types of advertisements, rather than at the campaign level. This was necessary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se groups, and to understand whether efficient role allocation was taking place and to grasp the overall market situation of government advertising. Over the four-year period from 2019 to 2022, a total of 789,865 advertisements were executed through 4,756 advertisers. The advertising expenditure showed a gradual increase, with an annual growth of over 4%, rising from 882.9 billion KRW in 2019 to 1.738 trillion KRW in 2022. Local government entit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advertiser types, and among them, Gyeonggi Province and Gyeongsangbuk Province shared the commonality of allocating over 50% of their advertising budget to newspapers and news media. The largest fluctuation in trends by type occurred in "other organizations," which was influenced by election agencies depending on the schedule of presidential elections, National Assembly elections, and local elections. Local government entities demonstrated a balanced allocation of advertising across print, broadcast, outdoor, and internet media, while n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were found to concentrate their advertising efforts on broadcasting and internet media, indicating differences in media utilization by advertiser typ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monthly time series trends, all advertiser types excessively concentrated their advertising spending in the fourth quarter, particularly in December. This finding suggests that administrative measures are needed to prevent budget waste. When examining the types of media, it was observed that the proportion of internet media had increased. In 2019, the order of media proportions was broadcast-print-internet-outdoor, while in 2022, it shifted to internet-broadcast-print-outdoor. To determine whether this was a significant change, a correlation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covariance matrix decomposition were conducted specifically for news media, which showed a continuous upward trend within internet media. The results reveal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news media and print media,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 indicating an antagonistic rather than co-occurring relationship. When examining the advertising expenditure share relationship, the two types appeared to be partially substitutable, suggesting a high possibility that print advertisements in newspapers were replaced by banner advertisements on newspaper websites. In terms of advertising types, content-based advertisements exhibited lower market share compared to transmission-based advertisements, but their growth rate was higher. Despite n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advertising budget accounting for only 25% of local government entities' total budget, internet video advertisements and branded content advertisements showed similar or higher levels of expenditure compared to local government entities, indicating their active utilization. This study took a macroscopic view of the government advertising market and analyzed the execution details by type. Government advertising expenditure is substantial, exceeding 1 trillion KRW per year, and it is increasing annually. Alongside mechanisms to facilitate the efficient execution of government advertising, this study's results can serve as useful statistical data to enhance oversight and monitoring when necessary, thereby contributing as a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overnment advertising.

      • IT전문매체의 홍보효과 연구 : 스타트업 홍보담당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윤정아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한 스타트업의 홍보 효과를 위해 업종 관련 IT 전문지와 종합지의 선호도 및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타트업의 홍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스타트업 대표와 홍보팀 담당자을 대상으로 매체 유형에 대한 뉴스 가치평가, 매체 신뢰도, 기자 전문성, 기사 심층성, 매체 역사성에 대한 변인을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스타트업 대표와 홍보실무자을 대상으로 총 103개의 설문지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IT 전문지(57.6%)가 종합지(42.4%)보다 매체 선호도가 높음이 확인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기업홍보 효과 측면에서 7점 척도의 만족도는 기업인지도(4.64), 기업 이미지(4.63), 제품 이미지(4.62), 매출액(3.82), 투자 유치(3.70), 시장 점유율(3.69), 영업 이익(3.67) 순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IT 전문지와 종합지를 선택한 응답자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종합지를 선택한 응답자의 기업홍보 효과 평균값이 높게 나왔다. 이것은 종합지를 선택한 응답자의 수는 적었지만, 만족도 점수를 더 높게 준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창업 연차별 매체 선택과 만족도를 확인한 결과, 6년 차 이하의 스타트업에서는 IT 전문지에서 ‘시장 점유율’과 ‘투자 유치’ 항목에 대한 수치는 미비하지만, 종합지를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타트업, 벤처기업, 창업기업이 향후 초기 기업홍보를 위한 매체 유형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경쟁력 있는 매체 신뢰도를 살리기 위한 저널리즘적 전략을 세우는 것에도 중요한 결과라고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tartup publicis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IT specialized media and general media in promoting technology-based startups. To examine this, we surveyed 103 startup representatives and PR publicists, asking them to evaluate the news value, reliability of media, expertising of reporters, depth of articles, and historicity of media targeting startup representatives and PR managers. The results showed that IT specialized medias (57.6%) were preferred over general medias (42.4%) for promoting startups. In terms of the impact on corporate promotion, respondents rated corporate awareness (4.64), corporate image (4.63), product image (4.62), and sales record (3.82) as most effective, followed by investment amount (3.70), market share (3.69), and operating profit (3.67). However, when comparing the satisfaction of those who chose IT specialized medias versus those who chose general medias, the average score for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 effect is higher among those who chose general medias, despite the smaller number of respondents who chose general medias. This suggests that IT specialized medias may be insufficient in terms of "market share" and "investment amount" for startups that are less than 6 years old, but this trend is reversed for general medias. These finding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tartups, venture companies, and start-up companie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media strategies for PR of early stage, and may also be useful for establishing a journalistic strategy to restore credibility in competitive media.

      • 버추얼 휴먼 광고모델의 서비스 품질이 광고모델 의사결정자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민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고 광고 매체 또한 많아지며 광고모델의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기존 광고모델의 리스크 감소를 위해 기업과 브랜드는 버추얼 휴먼 광고모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버추얼 휴먼 광고모델은 미디어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고 새로운 마케팅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패션 인스타그램 광고에서 버추얼 휴먼 광고모델의 서비스 품질이 광고모델 의사결정자 즉 마케팅 및 광고 분야 종사자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광고모델 의사결정자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 및 추천의도의 영향 관계에 주목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총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버추얼 휴먼 서비스 품질 신뢰성, 가격, 유형성, 심미성은 광고모델 의사결정자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광고모델 의사결정자의 만족도는 지속사용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버추얼 휴먼 광고모델의 서비스 품질이 광고모델 의사결정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실증분석을 통해 향후 버추얼 휴먼 광고모델에 관련된 서비스 품질 연구에 학문적 근거를 제공하며 추후 버추얼 휴먼 광고모델의 서비스 품질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실무적 차원에서 버추얼 휴먼 광고모델을 선정하려 하는 광고모델 의사결정자 및 브랜드 또는 기업에 통찰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e midst of the rapidly changing media landscape and the proliferation of advertising platforms, the demand for risk reduction in advertising models is increasing. Accordingly, companies have started to take interest in virtual human advertising models, which are nowadays embraced as a novel marketing strategy across the entire media industry. While the need for the virtual humans is increasing,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of virtual human advertising model and the satisfacti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advertising model decision makers. A survey of 340 participants was collected and utilized to conduct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the research found that the reliability, price, tangibles, and aesthetics of virtual human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cision-making satisfaction of advertising model selectors. Secondly, the satisfaction of advertisement model decision maker affected the intention to continuous use and recommend.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virtual human advertising model service quality impact the decision-making satisfaction of advertising model selectors. It also contributes to providing academic justification for future research on service quality related to virtual human advertising models and offers practical insights for those in the media industry considering the selection of virtual human advertising models.

      • 인공지능 알고리즘 추천시스템의 딜레마

        전진영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promoting user convenience, algorithm-based recommendation systems still have many problems. This article examines the trends and content of reports on how the media, which is in charge of setting the agenda, is reporting on the AI algorithm recommendation system. Its main purpose is to examine the underlying dilemma factors. Ultimately, I would like to raise the AI algorithm recommendation system as a 'problem' that requires research, examine the cause, nature, and solution of the problem, and propose a full-fledged discussion on the AI algorithm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his. Once the algorithm is designed, it can cause the problem of reinforcement of discrimination and bias, and the problem is still ongoing. However, due to the opacity of algorithms designed in a complex mathematical language like a black box, it is not easy for the average media audience to uncover such problems or deal with accountability discussions. This is because technical difficulties, as well as other issues such as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pursuit of profits of giant platform operators, are intertwined. Algorithms seem to operate independently and objectively on the surface as they are designed in a mathematical language, but the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algorithm designer. In other words, the designer's bias is projected to the AI algorithm at the same time, leaving room for problems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refore,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bias of the AI algorithm is also responsible for the response of humans such as the designers. This study explores domestic media reporting trends on the AI algorithm recommendation system, and intends to examine various dilemma factors of the algorithm recommendation system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refore, it is not an empirical study by theoretical verific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recommendation system, but has a feature of emphasizing the discovery aspect.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suggesting a balanced development in the future media ecosystem by discover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AI algorithm recommendation service and how various discussions are formed in our society. 국문초록 사용자의 편익을 도모한다는 여러 이점에도 불구하고,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추천시스템은 여전히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 글은 의제설정자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언론이 인공지능 알고리즘 추천시스템에 대해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 그 동향과 보도내용을 파악해보며, 동시에 다양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 추천시스템에 내재되어 있는 여러 딜레마적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궁극적으로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추천시스템을 연구를 요하는 ‘문제’로 제기하고, 그 문제에 대한 원인과 성격, 그리고 해결책을 살펴보며, 이를 토대로 인공지능 알고리즘 추천시스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제언하고자 한다. 알고리즘은 한번 설계되면 차별과 편향의 강화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그 문제는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그러나 마치 블랙박스와도 같은 복잡한 수학적 언어로 설계된 알고리즘의 불투명성 때문에 일반적인 미디어 수용자가 그러한 문제를 밝혀내거나 책임 논의를 다루기에는 쉽지 않다. 기술적인 어려움은 물론이거니와 사용자의 편익, 거대 플랫폼사업자의 이익추구와 같은 이면의 문제들이 서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은 수학적 언어로 설계된 만큼 표면상으로 독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작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알고리즘 설계자가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설계자의 편향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동시에 투영되어 차별과 편향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편향에 대한 책임소재역시 설계자와 같은 인간에게도 그 대응책임이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추천시스템에 대한 국내 미디어 보도동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며, 알고리즘 추천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여러 딜레마적 요인을 문헌검토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인공지능 알고리즘 추천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검증을 통한 실증적 연구이기 보다는 발견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추천서비스가 가지는 의미의 해석과 여러 논의들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가를 발견하여 추후 미디어 생태계에 균형적인 발전을 제언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대학구조개혁 정책 관련 언론 기사와 댓글에 나타난 대학 담론 연구 : 이슈 순환주기 모형을 적용한 시계열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민현희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국내 고등교육의 핵심 쟁점인 대학구조개혁 정책과 관련한 지난 10여 년간의 인터넷 언론 기사와 댓글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의 이슈 관리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가 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구조개혁 정책에 대한 언론 기사와 댓글에 나타난 어젠다(agenda)와 프레이밍(framing)을 이슈 순환주기(이슈 생성기-이슈 표면화기-이슈 고조기) 모형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웹크롤링(web crawling) 방식을 사용해 네이버 뉴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총 12,991건의 언론 기사와 193,353건의 댓글을 이슈 순환주기별로 각각 분석하였다.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주제어 빈도(TF) 분석, 상위 주제어(TF-IDF)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어젠다를 파악하였고 토픽 모델링의 LDA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프레이밍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이슈 생성기를 지나 이슈 표면화기, 이슈 고조기로 이슈가 전개됨에 따라 주기별로 주요 담론에 변화가 있었다. 언론 기사의 경우 정부와 대학 관점에서 정부의 대학구조개혁 정책과 대학들의 위기 극복 방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명하고 있었다. 댓글의 경우 3개 이슈 주기 모두에서 대학, 교육, 사회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나타났으나 이슈 표면화기에는 지방대학 폐교 요구, 이슈 고조기에는 하위 평가 대학에 대한 생각이 주요 담론으로 새롭게 등장하였다. 또한 언론 기사와 댓글 내 담론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언론 기사는 각 주기별 평가 방법과 평가 결과에 대한 정보와 같이 교육부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한 담론, 평가 결과에 대한 혼란과 대학의 미래 전략에 대한 논의와 같이 대학들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한 담론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 댓글의 담론은 대학, 교육, 사회에 대한 광범위한 의견과 생각이 3개 이슈 주기 모두에서 발견되었고 지방대학 퇴출 요구, 평가 결과에 대한 반응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구조개혁 정책의 이슈 변화 추이를 장기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 대학구조개혁과 갈등주기 모형 관련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점, 댓글 분석을 통해 대학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했다는 점,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이슈 관리와 가치 재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대학 입학연령 인구 감소에 따라 대학구조개혁 정책은 더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이므로 대학이 이슈 관리를 위해 어젠다와 프레이밍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e stone for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for issue management by analyzing the internet news coverage and comments for the past 10 years o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ies which has been a major concern of the domestic higher edu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agenda and framing that appeared on news coverage and comments o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in time-series manner according to the Issue Life Cycle Model(Issue Latency-Issue Emergence-Issue Escalation). Specifically, 12,991 news coverages and 193,353 comments collected from a website, Naver News, using the web crawling method were respectively analyzed along with the each phase of the Issue Life Cycle Model. This study determined the agenda by exploiting the big data analysis method to conduct Term Frequency analysis and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analysis and explored the framing by conducting LDA analysis of topic modelling, and main topic semantic networks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changes in major discourse as an issue develops along with the phases of Issue Latency, Issue Emergence, and Issue Escalation. In terms of the news coverages, how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crisis-overcoming resolutions of universities are changing was being illuminated in their respective perspective. Regarding the comments, critical reviews about university, education, and society have appeared in all 3 phases of the Issue Life Cycle Model. However, the demand for closing local universities in Issue Emergence and the reviews on low-rated universities in Issue Escalation have respectively appeared as the major discourse. In addition, the discourses in the news coverages and the com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ws coverages, the discourse based on the press coverage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uch as the information about the assessment method for each cycle and the assessment result, and the discourse based on the voice of universities such as the confusion on the assessment result and the discussion on the future strategies of universities constituted the major discourse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discourse in the comments, extensive opinions and thoughts about university, education and society have been discovered in all 3 phases of the Issue Life Cycle, and the demand for closing local universities, and the response to the assessment result have appeared.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ful value in the facts that this research have explored the trend of the issue changes in a long term view, and that it has broaden the range of the research o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and Conflict Life Cycle Model, and that it has recognized the perception of our society about universities through the comments analysis, and that it has provided the basic data for the issue management and the reestablishement of value of university. The research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preemption for the agenda and framing for universities to manage issues becaus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is expected to appear in various forms as the population of university-entering age people de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