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육실습생의 현장실습 경험의 의미 탐색

        차봉춘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eanings of experience by field practice types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e teachers and determine what meanings they had for becoming a teacher.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after one-year experience as a guidance teacher by practice types prior to this research. First, what experience do practice teachers have by practice types? Second, what meanings does practice teachers' practice teaching experience have for becoming a teacher? As for the field practice process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e teachers in this study, inspection was performed for sophomores for a week in first and second terms, respectively; instruction practice was implemented for juniors for four weeks in the second term, and practical practice was carried out for seniors for four weeks in the first term. 10 students for inspection, 4 for instruction practice, and 6 for practical practice were assigned to this study to conduct a culture-technology research.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concerning experience and meanings by practice teaching types. First, students for inspection believed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make an approach to a class by sharing children's ideas, feelings, and emotions, while those for instruction practice put significance on a perfectly-prepared and well-controlled class. Students for practical practice will cultivate expertise as a teacher through a class perfectly arranged and prepared and level-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Second, the condition for successful teachers was considered as love and voluntary service for children by students for inspection, as consideration of even individual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home environment by those for practical practice, and as classroom management through expertise with a manager's mind by those for practical practice. Third, students for inspection had time for serving as a teacher through children's reactions by approaching them though they were afraid of approaching them, while those for instruction practice realized their motivation to enter a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experiences with children and longed for a teacher's way. Students for practical practice had time for getting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rough encounter with children. Fourth, students for inspection came to put validity on college curricula that they had regarded as meaningless through inspection of a class; those for instruction practice did incomplete instruction by failing in smooth arrangement of activities to make proper progress to the next stage, feeling heavy burden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ose for practical practice recognized properties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enabling free expression and pleasure. 본 연구는 초등교육실습생들이 현장실습의 유형에 따라 겪는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여, 이는 ‘교사되기’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밝혀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 실행 전 실습유형별 실습 지도교사를 1년간 경험한 후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실습생들은 실습의 유형에 따라 어떤 경험을 하는가? 둘째, 교육실습생들이 갖는 교육실습경험은 ‘교사되기’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초등학교 교육실습생의 현장실습과정은,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참관실습은 1학기와 2학기로 나누어 각 1주, 수업실습은 3학년을 대상으로 2학기에 4주, 실무실습은 4학년을 대상으로 1학기에 4주간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참관실습생 10명, 수업실습생 4명, 실무실습생 6명을 배정받아 연구에 임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화기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실습 유형별 경험과 의미를 다음과 같이 결론 지어 볼 수 있다. 첫째, 참관실습생은 수업은 아동들의 생각과 느낌, 그리고 그들의 감정까지 공유하며 다가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수업실습생은 완벽하게 준비되고 통제가 잘되는 수업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실무실습생은 완벽하게 계획하고 준비된 수업, 수준별 개별학습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키워나가는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둘째, 참관실습생은 아이들을 사랑하고 봉사하는 마음을 성공적인 교사의 조건으로 생각하는 반면 실무실습생은 학생개인의 교우관계나 가정환경까지 고려해야 하는 것을, 실무실습생은 경영자의 마인드를 갖고 전문성이 발휘되는 학급운영 이야말로 성공적인 교사의 조건이라고 생각하였다. 셋째, 참관실습생들은 아이들에게 다가가는 것을 두려워하지만 다가간 만큼 얻어지는 아동들의 반응으로 교사의 입장에 서보는 시간이 되었으며, 수업실습생은 아동들과의 다양한 경험으로 교대에 온 목적을 일깨우고 교직에의 길을 갈망하고 있었다. 실무실습생은 아동과의 만남을 통해 직업의식을 일깨우는 시간이 되었다고 답하였다. 넷째, 참관실습생은 예체능 수업의 참관으로 무의미하게 생각했던 대학의 교육과정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과정이었으며 수업실습생은 활동에 대한 매끄러운 정리와 다음단계로의 적절한 진행을 이끌어 내지 못해 완성된 수업을 하지 못하면서 예체능 수업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큰 반면 실무실습생은 자유롭게 표현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예체능 수업의 특징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