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구ㆍ경북지역민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명하(Kim Myeong-Ha),윤순갑(Yoon Soon-Gap)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7 동서사상 Vol.3 No.-

        정체성에 관한 논의는 항상 상대적이다. 왜냐하면 정체성은 사회적 접촉과 관계 속에서 비로소 현실화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구ㆍ경북지역 주민들의 의식과 정체성에 관한 논의도 타 지역, 타인들과의 접촉에서 상대적 차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대구ㆍ경북지역은 교통의 중심지로서, 인구의 밀집지역으로서 다양한 교통로와 통신망, 인구이동의 양상이 정체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을 것이다. 특히 분지라는 지형적인 특성과 함께 기후적인 여건도 대구ㆍ경북인의 기질과 의식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유달리 다른 지역에 비해 전통적인 것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대구ㆍ경북지역은 오랜 역사적, 문화적인 전통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은 '대구 경북적인 것'을 결정하는 근원적인 작용을 할 것이며, 대구ㆍ경북적인 이미지와 지역민의 자화상의 고찰은 대구ㆍ경북지역민의 정체성 연구의 일환이라 하겠다. 그런 의미에서 본 대구ㆍ경북지역의 이미지는, 물론 전체적인 의견은 분산되어 있으나, 그래도 대구ㆍ경북은 교육도시와 관광도시로서의 이미지가 압도적이다. 다음으로 대구ㆍ경북지역 주민들의 자화상을 살펴보면 보수적인 이념과 애향심이 많다는데 동의하는 것 같다. 둘째는 전통과 의리를 중시하는 강직한 성격이다. 셋째로, 배타적인 성격을 들 수 있는데, 해방이후 서구적인 문화와 질서가 편입된 지도 많은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이러한 배타성은 여전히 대구ㆍ경북의 나쁜 기질로 남아있음은 자타가 공인하고 있는 터이다. 지방자치의 실현을 통한 이른바 지방화시대를 맞은 지도 벌써 10수년이 지난 즈음, 대부분의 지방정부는 주도적으로 지역의 이미지와 정체성의 확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사실 정체성은 과거 역사의 궤적위에서 쌓인 퇴적물과 같은 것이지만, 동시에 미래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사하는 능동적인 창조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대구ㆍ경북지역민들의 삶에 있어서 적극적인 자세와 애향심, 그리고 의리를 중시하는 자세는 대구ㆍ경북이 새로운 이미지를 정립하는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물론 개방화의 시대에 걸맞지 않는 보수성과 배타적인 사고는 하루빨리 변화시켜야 할 대구ㆍ경북인의 기질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dentity of Daegu-Kyungpook local resident.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research theoretically argued about a meaning of identity, a process of its formation. And we looked about the gographical features, historical background of Daegu-Kyungpook area. On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we studied about Daegu-Kyungpook area' image and its local resident's self-portrait. For this study, we utilized past empirical researches. In this study, we became clear that Daegu-Kyungpook local resident's self-portrait is a conservative view and love of their province, a moral courage and an unfriendly attitude. Among these dispositions, the bad elements that Daegu-Kyungpook local residents have had to be excluded. In a wide meaning, the study of regional identity and image and its' development are related to each other. More, for a regional development, we have to empathesize the sense of justice, the positive attitude and the love of their province in the Daegu-Kyungpook area.

      • Takayasu동맥염의 임상적고찰

        채성철,강승완,우언조,전재은,박의현,김기식,김윤년,김권배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9 慶北醫大誌 Vol.30 No.4

        경북대학교병원 및 계명대학교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하였던 28례의 Takayasu동맥염환자의 임상적관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대상환자 28례중 남자가 7례, 여자가 21례였고, 남자의 평균연령은 44세, 여자의 평균연령은 21세, 전체환자의 평균연령은 27세였다. 2) 내원당시의 28례의 증상으로는 운동성호흡곤란(11례), 현기증(7례), 두통(7례), 무맥(4례), 전신쇠약감(3례), 시력장애(3례), 이상감각(3례), 복통(3례), 심계항진(2례), 흉통(1례)등이 있었다. 초기증상을 알 수 있었던 16례에서의 초기증상은 전신쇠약감 또는 피로감(8례), 국소동통(4례), 관절통(3례), 야간발한(3례), 흉통(3례), 발열(2례), 체중감소(2례), 식욕부진(1례)등이었다. 이들에서의 잠복기(latent period)는 42일에서 10년이상까지 다양하였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결핵이 2례, 류마티양관절염, 당뇨병, Valsalve동의 동맥류, 위점막 병변 및 사구체신염이 각각 1례씩 있었다. 3) 내원당시의 주요 이학적소견으로는 무맥(25례), 고혈압(16례), 병변부위동맥의 잡음(bruit)(12례), 울혈성심부전(11례), 고혈압성망막증(10례), 하지의 파행(8례), 폐동맥고혈압(2례) 및 대동맥판폐쇄부전과 승모판폐쇄부전(2례) 등이었다. 4) 검사실소견으로는 빈혈(10례), 혈침속도증가(22례)가 있었고, 그외 비특이적으로 CRP양성(13례중 9례), RA factor양성(13례중 3례) 및 ANA, LE세포, VDRL양성(13례중 1례)등이 있었고, Man toux검사는 시행한 11례중 3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심전도소견으로는 재분극이상(12례), 좌심비대소견(7례), QT간격연장(4례), 좌심방이상소견(2례) 및 심방세동, 발작성심방빈맥과 흉부유도에서의 R파의 "poor progression"(각각 1례)등이었다. 5) 동맥조영술소견은 Lupi-Herrera등의 1형이 11례, 2형이 6례, 3형이 9례 및 4형이 2례였다. 6) 치료받은 19례가운데 내과적치료를 받은 17례중 11례에서 부신피질호르몬제를, 10례에서는 항응고제를 사용하였는데, 부신피질호르몬제를 투여받은 4례에서만 혈침속도의 감소가 있었다. 그리고 고혈압치료를 위하여 경피적신동맥확장술이 7례에서, 신절제술이 1례에서 시행되었다. 7) 15례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고, 이가운데 4례는 사망하였으며, 생존하고 있는 11례의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7개월(1.5-24개월)이었다. 사망한 4례중 3례는 심부전으로, 1례는 농흉에 의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Clinical observation on 28 cases of Takayasu's arteritis from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nd Keimyung University revealed followings: 1) Age and sex distribution: Seven cases were male and twenty one cases were female. Mean ages of male and female cases were 44 and 21 years old, respectively (range 11-66 years old). 2) Chief complaints on first presentation were dyspnea on exertion (11 cases), dizziness (7 cases), headache (7 cases), absence of pulse (3 cases), abdominal pain (3 cases), palpitation (2 cases), and chest pain (1 case). Initial systemic symptoms of 16 cases which could be recalled were generalized weakness and fatigue (8 cases), localized pain (4 cases), arthralgia (3 cases), night wsweating (3 cases), chest pain (3 cases), fever (2 cases), weight loss (2 cases), and anorexia (1 case). Latent periods of these cases were ranged from forty-two days to over 10 years. Concomittant diseases were pulmonary tuberculosis (2 cases), rheumatoid arthritis (1 case), diabetes mellitus (1 case), aneurysm of sinus of Valsalva (1 case), gastric mucosal lesion (1 case), and glomerulonephritis (1 case). 3) Among the physical findings were absence of pulse (25 cases), hypertension (16 cases), bruits over affected arteries (12 cases), congestive heart failure (11 cases), hypertensive retinopathy (10 cases), claudication of lower extremities (8 cases), pulmonary hypertension (2 cases), and aortic and mitral regurgitations (2 cases). 4) There were no specific laboratory findings. Among nonspecific findings were anemia (10 cases), increased ESR (22 cases). C-reactive protein, RA factor were positive in nine and three cases, respectively, of 13 cases tested. Antinuclear antibody, LE cell and VDRLK were positive only in a case of 13 cases tested. Mantoux test was positive in three of 11 cases tested. Electrocardiogram revealed abnormal repolarization (12 cases), findings of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7 cases), prolongation of QT interval (4 cases). 5) According to angiographic findings, 11, 6, 9 and 2 cases had type 1, type 2, type 3 and type 4 of Lupi-Herrera and associates, respectively. 6) In 19 cases who were treated, 17 cases were given medical treatment of corticosteroid (11 cases) and/or oral anticoagulant (10 cases). Four cases on corticosteroid showed decrease in ESR. Percutaneous angioplasty of renal artery was performed in seven cases with hypertension, and successful in 4 cases in which blood pressures were normalized. In another hypertensive case, nephrectomy normalized blood pressure. 7) Follow-up observations were possible in 15 cases, of which 4 cases died.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seven months (range 1.5-24 mopnths). Causes of death were congestive heart failure in three cases, and pyothorax related sepsis in a case.

      • 大學生의 大學認識의 現實性 : 設問의 「自由反應」란에 自由記述한 內容의 分析

        李明子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78 學生指導硏究 Vol.11 No.1

        大學의 本質에 대한 理解를 大學生의 大學에 대한 現實的 評價를 통해 測定, 定置해 보려고 시도하였는 大學生의 大學認識(1977)을 本 稿에 앞서 硏究者는 발표한 바 있다. 本 硏究는 「大學生의 大學認識」의 硏究時에 사용한 15개의 設問 각각에 주어져 있는 自由反應의 란에 學生들이 自由記述한 內容들을 分析 정리해 본 것이다. 隨意標集된 慶北大學校 在學生 745名이 設問紙에 反應하였으며, 이 學生들중에 設問紙의 自由反應란에 自由記述한 學生數는 문항마다 相異하지만 평균 약 100여명 정도이다. 本 硏究는 調査硏究의 어떤 한계를 보완해 보려는 시도로서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매우 개성적인 소수의 意見을 정리해 보고, 그기에 어떤 意味를 부여해 보려는 연구의도에도 큰 의의를 두고 있다. 그 結果 첫째, 大學自體에 대한 學生들의 信念은 전통적인 大學理念을 표현하고 있다. 둘째, 知的 만족의 기회에서 學生들은 매우 큰 불만을 나타냈다. 知的 만족의 기회로서 주어지는 講義, 學問的 對話, 세미나, 課題 등에 대한 거의 만족하고 있지 못하다. 셋째, 大學生의 姿勢에서 學生들은 자기모순을 들어내고 있다. 자신감을 가질 수 없다는 좌절감과 자기학문의 명예를 지킬 수 없다는 자학이 팽배해 있으면서도 자신들의 욕망은 매우 컸다는 점이다. 넷째, 社會的 姿勢에서 知性人에 대한 혐오감은 대단했으며, 그러면서 社會의 非倫理에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과 같은 자기모순에 빠져있다. Prior to this paper, I researched into the students' images on university(1977) which were undertaken to orient the students' images on university from the practical appraisal of their campus life. This paper is undertaken to analyze the students' contents of free descriptions on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has been used for the study of the students' images on university (1977).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ere 745 student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bout 100 students of them descrived freely. The mai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ad the traditional ideas of university. Second,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opportunity of the intellectual satisfication. In other words, the students had few satisfications in the academic system of the course or lecture, the scholastic discourse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the seminar, the homework. Third, the students revealed a contradiction in the attitudes of the college student. They had a frustration that they did not have a self-confidence nor keep their studies honorable but their desires weie great. Fourth, the students had a great dislike for the intellectual men but had the interrelative attitude that would confront the social ignorance and immorality after graduation. It is very paradoxical.

      • 벼의 품종별(品種別) 필요수량(必要水量) 관(關)한 실험분석(實驗分析)

        서승덕,최원칠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5 慶北大農學誌 Vol.3 No.-

        본(本) 연구(硏究)는 벼의 본답기간(本畓期間)에서의 용수량(用水量) 확보(確保)에 기본(基本)이 되는 소비수량(消費水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일반계(一般系) 진주(眞珠)벼, 통일계(統一系)인 태백(太白)벼와 풍산벼를 공시(供試)하여 1983년도(年度)에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 부속농장(附屬農場)에서 품종별(品種別)로 소비수량(消費水量)에 대(對)한 여러 계수(係數)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것으로서 요약(要約)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중지표면(水中地表面) 온도(溫度)는 평균(平均) 이며 8월(月) 상순(上旬)에 모든 측정위치(測定位置)에서 최고(最高)의 온도(溫度)를 기록(記錄)하였다. 2. 벼의 엽수면증발량(葉水面蒸發量)은 이앙후(移秧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여 각(各) 품종(品種)마다 공(共)히 수잉기(穗孕期) 말기(末期)에서 출수개화기(出穗開花期)에 최대량(最大量)을 나타내고 그후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다.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의 평균(平均) 엽수면증발량(葉水面增發量)을 보면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인 진주(眞珠)벼는 8.43 mm/day였고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인 태백(太白)벼는 7.78 mm/day, 풍산벼는 7.71 mm/day이었다. 3. 증발계증발량(蒸發計蒸發量)과 엽수면증발량(葉水面蒸發量)과의 비(比)는 진주(眞珠)벼가 1.71, 태백(太白)벼가 1.50, 풍산벼는 1.59이었다. 4. 작물계수(作物係數) K는 일반계(一般系)가 1.41, 통일계(統一系)가 1.30이었고 보정작물계수(補正作物係數) Kc는 일반계(一般系)가 1.40, 통일계(統一系)가 평균(平均) 1.27이었다. 5. 수위(水位) 6 cm와 8 cm시험구(試驗區)가 수위(水位) 2 cm와 4 cm시험구(試驗區)보다 소비수량(消費數量)이 많았으나 분얼수(分蘖數)는 수위(水位) 6 cm와 8 cm시험구(試驗區)가 수위(水位) 2 cm와 4 cm시험구(試驗區)보다 다소(多少) 적었다. 전체적(全體的)으로 수위(水位) 2 cm인 시험구(試驗區)가 타시험구(他試驗區)보다 유리(有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nsumptive use of irrigated water for calculation of a duty of water in paddy rice. Tall statured Japonica rice variety is Jinju(late). Short statured Tongil varities-Taebaek(early) and Pungsan(medium) were planted on the experimental farm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1983.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underwater surface was and the maximum was recorded at beginning of the August. 2. The evapotranspiration was gradually increased after transplanting and showed the peak from booting to heading stage of rice varieties. The average evapotranspiration through the whole growing period was 8. 43mm/day(Jinju) for tall statured Japonica variety, and 7.78mm/day(Taebaek), 7.71mm/day(Pungsan) for short statured Tongil varieties. 3. The ratio of evapotranspiration to pan-evaporation through the whole growing period was 1.71 for Japonica variety and 1.55 for Tongil varieties. 4. K-value in Blaney & Criddle formula was 1.41 for Japonica variety and 1.30 for Tongil varieties. Coefficient consumptive use of water (Kc-value) was 1.40 for Japonica variety and 1.27 for Tongil varieties. 5. It appeared that the water consumption in the 6, 8 cm pot is more than that of 2, 4 cm pot but the number of panicle of the 6, 8 cm pot is somewhat less than that of 2, 4 cm pot. The deeper water level is the less tiller became. It is consindered that 2 cm pot is more profitable than the others.

      • 대구(大邱).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문제되는 젖소의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에 관한 연구(硏究)

        김봉환,박후열,장인호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4 慶北大農學誌 Vol.2 No.-

        1984년(年) 10월(月)부터 1985년(年) 8월말(月末)사이에 대학부속가축병원(大學附屬家畜病院)에 검진의뢰(檢診依賴)된 대구(大邱)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발생(發生)한 83례(例)의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의 원인균(原因菌)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고 이 분리균(分離菌)의 각종(各種) 항생제(抗生劑)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disc diffusion technique로 조사(調査)하였다. 대구(大邱)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문제되는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은 포도구균성 유방염(乳房炎)이 전체의 48.2%(83례중(例中) 40례(例))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대장균군(大腸菌群) 유방염(乳房炎)으로 18.1%(83례중(例中) 15례(例))를 차지하였다. 효모양진균에 의한 유방염(乳房炎)도 10.8%(83례중(例中) 9례(例))나 되었다. Corynebacterium spp.에 의한 유방염(乳房炎)은 8.4%였으나 연쇄구균성 유방염(乳房炎)은 3.6%에 지나지 않았다. Bacillus spp.와 pseudomonad에 의한 것은 각각 3.6%와 8.4%이었으며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의 원인균(原因菌)을 밝힐 수 있었던 것은 4.8%(83 례중(例中) 4례(例))이였다.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에 관여한 포도구균과 대장균(大腸菌)은 공시(供試)한 항상제(抗生劑)에 대하여 내성(耐性)을 나타내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포도구균은 penicillin, methicillin, linocomycin, novobiocin, ampicillin, tetracycline에는 각각 87.2%, 78.7%, 68.1%, 61.7%, 57.4%가 내성(耐性)인 반면에 gentamicin, cephaloth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등에는 각각 78.7%, 76.6%, 74.5%, 63.7%가 감수성(感受性)이었다. 대장균(大腸菌)은 streptomycin과 cephalothin에는 72.2%, tetracycline에 66.7%, ampicillin에 61.1%가 내성(耐性)인 반면에 colistin, gentamicin, chloramphenicol, neomycin에는 각각 83.3%, 77.8%, 66.7%, 55.6%가 감수성(感受性)이었다. Corynebacterium spp.는 ampicill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icin, oleandomycin, tetracycline에는 감수성(感受性)이었으나 novobiocin과 penicillin 등에는 내성(耐性)이었다. 한편 pseudomonas aeruginosa는 공시(供試)한 모든 항생제(抗生劑)에 내성(耐性)이었다. Some investigations on chronic mastitis in dairy cattle in Taegu-Kyungpook Provinces from the beginning of October, 1984 till the end of August, 1985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ular regard to the causative agents and their drug susceptibility. Milk samples from 83 isolated cases of chronic mastitis cattle were investigated bacteriologically and the causative organisms recovered were examined for their antibiotic susceptibility by using disc diffusion susceptibility technique against the major antibiotics of current veterinary use. Major causative agents involved in chronic mastitis in Taegu-Kyungpook Provinces were in order of prevalence Staphylococcus spp. (48.2 %), Escherichia coli (18.1 %), Candida spp. (10.8 %) and Corynebacterium spp. (8.4 %), Streptococcus agalactiae (3.6 %), Bacillus cereus (3.6 %) and Pseudomonas aeruginosa (2.4 %) were found to be one of the minor agents. The majority of staphylococcal isolates and E. coli were highly resistant to the most antibiotics tested. The percentages of staphylococcal cultures resistant to penicillin, methicillin, lincomycin, novobiocin, ampicillin and tetracycline were 87.2 %, 78.7 %, 68.1 %, 61.7% and 57.4 %, respectively, while the majority of them were susceptible to gentamicin(78.7 %), cephalothin(76.6 %) and chloramphenicol (74.5%). E. coli isolates were found to be highly resistant to streptomycin, cephalothin, tetracycline and ampicillin while the majority of them were susceptible to colistin (83.3 %), gentamicin (77.8 %) and chloramphenicol (66.7 %). Corynebacterium spp. were susceptible to ampicill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icin, oleandomycin and tetracycline although they showed resistance to novobiocin and penicillin. Two cultures of Pseudomonas aeruginosa recovered from mastitis milk were highly resistant to the antibiotics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 大邱地方 一部 大學生들의 吸煙實態

        姜福秀,芮旻海,李性寬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0 慶北醫大誌 Vol.21 No.2

        1980년 10월 1일부터 1개월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남학생 303명과 대구시내 일반 대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흡연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대상자 558명중 흡연학생은 339명으로 흡연율은 60.7%로 나타났고, 의대생의 경우 62.4%, 일반 대학생의 경우는 58.8%의 흡연율을 나타내었다. 흡연 중단율은 전체 19.9%이며 의대생의 경우 16.5% 일반 대학생의 겅우 23.9%로 나타났다. 2. 흡연시작 연령은 대체로 20세 전후가 65.7%로 나타났으며 18세 이전의 고교시절부터 흡연을 경험한 학생이 23%로 나타났다. 3. 흡연기간은 과반수 이상인 56.2%가 5년미만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 2년 이상 3년 미만이 22.1%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4. 흡연량은 하루 14개피 미만을 피우는 학생이 전체 63.1%로 제일 많았으며 25개피 이상 피우는 학생은 3.3%로 나타났다. 5. 흡연과 음주와의 관계에서 흡연하는 학생중 91.7%가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흡연동기로는 37.7%에 해당하는 학생이 호기심에 의해서 흡연을 시작했으며 17.7%의 학생은 선배 친구의 권유로 담배를 처음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장차 흡연에 대한 태도는 계속 피우겠다는 학생이 45.7%, 감량 하겠다는 학생이 42.8%, 금연하겠다는 학생이 11.8%로 나타났으며, 의대생의 경우에서 60.3%가 금연 및 감량 하겠다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대학생 46.7%보다 높은 율을 보였다. 8. 금연 및 감량의 이유조사에서 80%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학생이 건강상 이유로 나타났고 경제적 이유도 8.5%나 되었다. 9. 흡연과 관계되는 증상조사에서 기침, 객담,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빈도가 비흡연군에 비해 흡연군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에 이환되는 빈도도 흡연군이 비흡연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 내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moking status on 303 medical students and 255 non-medical students in Taegu, for 1 month from October 1, 1980.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339 students of 558 subjects, 60.7 percent smoked. The percentage of medical students smoking showed 62.4 and the percentage of non-medical students was 58.8. Regarding the age started to smoke, 67.5 percent of total smokers commenced smoking around the age of 20 and 23 percent experienced smoking before the age of 18. In the regard to the average daily number of cigarettes smoking, 63.1 percent of total smokers consumed under 14 cigarettes, 3.3 percent smoked 25 or more cigarettes a day. Alcohol consump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smoking. 91.7 percent of total smokers revealed drinker. The commonest motives for starting the smoking habit were curiosity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who already smoked(55.4%). Considering attitude toward smoking habits in the future, 54.6 percent of students said they would stop or reduce smoking. The commonest reason for stopping and reducing the smoking habit was health hazard(80%). The complaints of cough with sputum and shortness of breath revealed higher rates among smokers than among non-smokers. Smokers we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chronic bronchitis compared to non-smokers.

      • 大學生의 大學認識

        李明子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77 學生指導硏究 Vol.10 No.1

        大學은 무엇이며 무엇이어야 하는가? 오늘 大學生이 理解하고 信念하는 大學은 이런 물음의 한 代案的 대답이 될 것이다. 大學의 本質에 대한 理解를 大學生의 大學에 대한 現實的 評價를 통해 測定, 定置해 보려는 것이 本 硏究의 의도이다. 그래서 本 硏究는 ① 大學의 本賃과 歷史性을 문헌을 통해 파악하는 일, ② 이 本質과 歷史의 實現이라는 理念的 목표를 大學生의 行動的 목표로 表現하는 작업, ③ 이 行動的 목표를 設問으로 나타내는 方法, ④ 大學生의 反應을 다시 大學의 本質과 歷史性에 비추어 해석하는 일 등을 절차상의 문제로 설정했다. 本 硏究는 慶北大學校 在學生 745名을 隨意標集하여 比較集團間에 百分率을 산출하여 比較 分析하였다. 그 結果 첫째, 大學은 人間敎育의 理想을 보호하고 위대한 文化의 遺産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高級 人力을 확보하여 國家의 發展을 위해서 存在한다는 것이다. 둘째, 大學生活에서 特性的인 學生들의 知的 만족의 기회가 매우 적었다. 즉 기초교육으로서 敎養敎育의 再定立, 敎授와 學生間의 學問的 對話, 강좌의 기본 개념과 체계 이해등이 필요했던 것이다. 셋째, 그러면서 知性人으로서의 비교적 적은 자부심을 가지면서 社會的 無知에 대처하겠다는 결의를 강하게 보이고 있다. 이는 분명히 모순인 것 같다. 이와 관련하여 또한 스스로 지금의 大學生活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학생이 전체의 50%을 조금 넘는다는 사실에도 주목해야 될 것이다. 그러나 本 硏究에는 많은 한계점이 있었다. 즉 大學과 大學生의 本質에 관련된 기본관념의 추출문제, 추출된 기본관념의 設問作成問題, 數値化된 結果의 解釋問題, 學生들의 自由反應內容의 未分析 等이다. What is and must be the university in Korea? The students' image on university, which is consisted in apprehensions of his school, can be the alternatives on the above question. This paper is undertaken to orient the students' image on university from the practical appraisal of his campus life. In this study, several procedures are forced to undertake: (1) Establishment of the nature of university and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s, (2) Translation of the ideal of university into the behavior objectives, (3) Arrangement of the behavior objectives to questionnaire, (4) Interpretation of survey results in terms of the nature of university. Consequently, first the significances of university are the protection of the ideal of human beings, the conven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heretage, and furthermore extension of advanced man power for national development. Second the opportunity of intellectual satisfication must be greatly extended and advanced in process of the whole student life. In other words, the present systems have not given the students the intellectual experience deeply. From this convictions,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general education as basic training, to discourse scholatically between professsr and students, and to have the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and academic system of the course or lecture. Third the students have the interrelative attitude that will confront the social inocense and immorals after graduation. But about less than the half of student in response have not faithfully carry out the student life. This fact is very paradoxical. In addition some ristrictions is kept in mind: abstraction of basic concept on university, deterioration of this concept by questionnaire, interpretation of calculated results and nonanalysis of student's free respo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