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ISE-PCK)의 요소

        김용성,문동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통합과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인 통합과학교육 교수내용지식(ISE-PCK)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각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 ‘통합과학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수업 평가에 대한 지식’의 6가지 요소로 제안하였다.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은 통합과학교육을 진행하려는 동기와 연관이 있으며, ‘학생 중심 활동’, ‘구체적 조작 중심의 학습’, ‘실생활 연계 학습’, ‘인성 함양’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다루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예비 및 경력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교육 태도와 과학 교수효능감 연구

        백상수 ( Baek Sang-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Cochran(1990)이 고안한 통합교육태도 측정도구와 Rigg과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 효능감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학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2,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았다. 특히 특수교육학 수강, 장애 가족 및 친척 유무 등의 배경변인이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학교수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M=3.17)과 통합교육의 유익성(M=3.14)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평정을 하였으나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M=2.74)과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M=2.42) 낮게 평정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168, p<.05). 특히 과학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과도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02, p<.01)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연수 및 양성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STATIC) by Cochran(1990)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by Riggs and Enochs(1990) were adap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alysis between STATIC and STEBI was also conducted. Overall, Only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 rated them higher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TIC and STEBI.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적용 전국 특수학교 실과교육 현황조사

        조규영 ( Cho Kyu Young ),김창배 ( Kim Chang Bea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이 연구는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특수학교의 실과의 운영과 교사들의 시각을 통해 실과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실과 교육의 개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전국 특수학교 112개교 중 58개교의 실과 교육 담당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설문지의 문항을 작성했고, 설문지문항의 신뢰도를 검토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실과담당 교사는 실과 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의 기술적 소양 습득을 교육의 목적으로 두고, 대부분 학교가 2009년부터 주당 2시간씩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실과 교육내용은 학생의 수준 및 특성과 가정 및 지역사회 생활에 대한 연관성에 중점을 두고 나와 가정, 식생활, 주거생활, 생활용품 등을 꼭 필요한 내용으로 선정하고 있었다. 셋째 실과의 교수-학습 방법은 학생의 특성과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실험, 실습, 조작활동을 주로 하고 있었다. 넷째 실과교육시설은 컴퓨터실과 목공실을 1/3정도의 학교가 갖추고 있고, 실과 교육 실습지는 1/2의 학교가 갖추고 있으며, 단원별 학습자료의 준비는 12% 이하의 낮은 비율의 학교가 갖추고 있었다. 다섯째 실과 교육의 평가는 도구나 용구 사용 능력, 실천적 수행 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수행능력 성취에 중점을 두고 수행활동을 통하여 평가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statu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that apply the basic curriculum including its operating system from teachers’ point of view and to suggest basic data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objects of research were 100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rom 58 schools out of the 112 special schools in Korea. The items of questionnaire were made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d education curriculum.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items, a preliminary examination was conducted before circulating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practical arts teachers generally recognize the need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most schools have been operating the practical arts class for 2 hours a week focusing on the acquisition of technical literacy for daily life since 2009. Second, the conten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onsist of compendious subjects such as individual and family, dietary life, housing life and household items focusing on the correlation with the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home and local community. Thir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ractical arts are to set the goa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education curriculum and to carry out experiments, practice and operational activities. Fourth, 1/3 of schools have computer labs and woodworking studios and 1/2 of schools have practical arts labs and less than 12% of schools prepare the learning materials per each course unit. Fifth, the evalu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s conducted focusing on the performance capability of achievements such as ability in using tools, execut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

      • KCI등재

        장애학생의 STEAM기반 경제교육 실시를 위한 교사 인식

        권미영 ( Kwon Mi-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특수교육 내 장애학생의 STEAM기반 경제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조사연구로 전국에 재직 중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효율적인 경제교육 실행에 효과적인 STEAM기반 경제교육의 프로그램 및 지도서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대학과 B대학에서 교사연수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교육대학원 및 특수교육대학원의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총 47문항의 설문지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경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장애학생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의 경제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생산 활동, 노동 활동, 소비 활동에 대해 장애아동이 화폐의 가치, 교환, 소득, 저축, 가계부 및 신용거래의 개념을 높이 인식할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학생의 경제교육을 위한 STEAM기반 경제교육 실행에 대한 인식은 경제교육의 형태에서 체험중심의 창의융합적인 접근방법으로 지역사회와 연계된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STEAM기반 경제교육 프로그램과 지도서의 개발 및 교사양성 프로그램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다양한 요인을 반영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a basic research study on the perceptions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in the whole country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STEAM-based econom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This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EAM-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s and guidance books that are effective for the implementation of efficient econom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a total of 47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on 165 teachers. They are composed of speci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of A and B universities, and general teachers attending the master's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econom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quires new economic education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eacher’s perceptions of economic activity in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that the mo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ppreciate the concept of money value, exchange, income, savings, household accounts, and credit, the more positive they perceive production, labor, and consumption activities. Third, for the implement of STEAM-based econom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form of economic education is needed, that is a new approach linked to the community and a creative and convergent approach based on experie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TEAM-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s and guidance books and build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suggested follow-up studies reflecting various factors.

      • KCI등재

        장애학 관련 외국학술지에 나타난 통합교육 분석

        강종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입장에서 주로 접근하는 학문인 장애학에 관련된 논문들이 통합교육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장애학을 주로 다루는 4개 외국학술지들에서 최근 10년(2004-2013)간 발표된 31편의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문헌검토결과 통합교육에 관한 주제들은 통합교육의 현실, 통합교육에 관한 교육자의 인식, 통합교육의 실천, 통합교육의 경향, 통합교육과 분리교육에 대한 논의와 같이 5가지로 나타났다. 장애학을 통한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는 통합교육의 실행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통합교육의 현실에 관한 관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애학에 관한 연구들은 미국, 영국과 같이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이 발전된 국가들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도 장애학을 포함하여 다양한 접근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통합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들과 실천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통합교육의 현실이나 통합교육의 경향 등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에 관한 연구들도 많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 및 통합교사의 인식

        황순영,박지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와 이에 대한 통합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내의 5개 지역교육지원청 중 특수교사와 특수교육실무원이 배치된 일반 중학교의 국어, 수학, 미술,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장애학생의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하여 통합교사들은 특수교육실무원제도를 인식하고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은 실기교과나 공개수업과 같은 특정시간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통합교사들은 수업지원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사들의 인식은 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통합학급 수업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통합교사들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관리하기 위함이고, 특수교육실무원과의 갈등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통합교사들에게 만족도를 질문한 결과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학습능력, 장애학생의 교우관계, 일상생활기술 능력, 문 제행동 관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nd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t. For data treatment, the investigato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ith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113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math,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providing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limited its lesson supports to certain lessons such as practice and open lesson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Second, the examination results of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reveal that they felt a need for lesson supports to manage the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lesson supports among th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who had an experience of receiving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its lesson supports generated effects in a range of areas including the learning abilities of common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s, improvement of everyday life skills, and management of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수업 참여 경험

        김건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 중 하나인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을 살피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면담내용은 다양한 관점의 교사들과의 토의, 보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서로 마음을 열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들, 변화가 필요한 교육과정과 같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학원의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가진 교사들이 서로 함께 경계 없이 현재의 교육관이나 교육방법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면서 스스로를 성찰하고, 편견을 깨뜨리기도 하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모색하기도 하는 등의 변화를 겪으면서, 상호협력과 통합교육에 대해서도 희망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수업은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에게 함께 토론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었고, 이것이 통합교육과 협력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로 이어졌음이 나타났다. 반면,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따라서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함께 전문적인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어야 하고,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수업이 진행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방법 개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내용 분석

        서보순 ( Seo Bo-so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언어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통합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게 다루어지는 주요 단어와 단어 간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 대도시에서 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164개 교육기관의 유치원 수준교육과정에 제시된 통합교육 관련 내용을 UCINET 6.0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 분석하고, NetDraw로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련 내용에는 ‘활동’, ‘지원’, ‘개별성’, ‘발달’, ‘또래’, ‘다양성’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 언어 네트워크는 조밀하지 않고 넓게 분산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셋째, 연결중심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연령’, ‘상호작용’, ‘통합학급’, ‘교육과정 수정’ 순으로, 매개중심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연령’, ‘개별성’, ‘통합학급’, ‘상호작용’ 순으로, 위세중심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교육과정 수정’, ‘통합학급’, ‘연령’, ‘지원인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협의회’, ‘교육과정 수정’, ‘지원인력’과 연결강도가 높았으며, ‘연령’은 ‘통합학급’, ‘일과’, ‘활동’과, ‘통합학급’은 ‘특수학급’, ‘연령’, ‘활동’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단어들을 통해 교육실행에서 강조되는 점들을 확인하는데 기여하고, 추후 연구 및 지원 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words that were meaningful i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kindergarten-level curriculum. Curriculums of 164 kindergartens in 7 metropolitan cities, were network analyzed using UCINET 6.0 program and visualized with NetDraw.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ords 'Activity', 'Support', 'Individuality', 'Development', 'Peer', and 'Diversity' frequently appeared. Second, the words were not dense but widely distributed networks. Third, the degree centrality were higher in order of 'Special education law for disabled persons', 'Age', 'Interaction', 'Inclusive class', and ‘Curriculum modification’, the betweeness centrality were higher 'Special education law for disabled persons', 'Age', ‘Individuality’, 'Inclusive class', and 'Interaction'. And the eigenvector centrality were higher in 'Related law', 'Curriculum modification', ‘Inclusive class', ’Age’, and ‘Support staff'. Fourth, 'Related law' had high connection strength with 'Consultation', 'Curriculum Modification', and 'Support staff'. 'Age' were strongly related to 'Inclusive class', ‘Daily schedule’, and 'Activity'. And 'Inclusive class' was strongly related to 'Special class', 'Age', and 'Activ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identify concepts tha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support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