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ISE-PCK)의 요소

        김용성,문동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통합과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인 통합과학교육 교수내용지식(ISE-PCK)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각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 ‘통합과학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수업 평가에 대한 지식’의 6가지 요소로 제안하였다.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은 통합과학교육을 진행하려는 동기와 연관이 있으며, ‘학생 중심 활동’, ‘구체적 조작 중심의 학습’, ‘실생활 연계 학습’, ‘인성 함양’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다루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예비 및 경력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가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를 중심으로

        이정은, 강영심, 정현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교육 담당교사가 주도적으로 특수학교 직업교육에 필요한 직무연수를 계획하고 개설한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로 특수교사의 직업교육연수 만족도와 직업교육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도시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11명이고, 직업교육연수는 30차시로 편성하였다. 연수는 특수교사의 원예과 장애학생 직업 교육지도를 위한 생활원예 직업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특수교사가 작성한 직업교육연수 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는 기존에 개설된 직무연수에 비해 평균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었으며, 연수 이수자의 직업교육효능감이 사후에 증가하였다. 또한 교사가 연수에 대한 개인의 소감과 차후 직업 수업에 대한 생각을 작성한 내용에 있어서도 연수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가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는 물론 직업교육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현장에서 실시되는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도 교사 중심의 직업교육연수 형태로 접근해야 교사의 만족도는 물론 특수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교사용지도서 내용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과학 담당 교사의 인식 특성

        김영한,이진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교사용지도서의 총론 제시 내용, 단원 및 제재 제시 내용 및 차시 제시 내용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과학 담당 교사의 인식특성이 그들의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학교 과학과 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 등이었다. 구체적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 제시 내용에 대한 과학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특수교육경력별, 근무지역별, 주당수업시수별에서는 차이가 없지 만 특수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과학담당교사일수록 인식이 높다. 둘째, 과학과 교사용지도서의 단원 및 제재 제시 내용에 대한 과학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특수교육경력별, 근무지역별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특수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과학담당교사일수록, 20-18시간의 수업을 하는 교사일수록 인식이 높다. 셋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제시 내용에 대한 과학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특수교육경력별, 근무지역별, 소지자격증별, 주당수업시수별에서 차이가 없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achers in the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about teachers’ guideline of basic curriculum and aims to provide references to organize the future guideline for science teachers. It surveyed 150 science teachers worked in the schools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all parts of the country, and collected 105 questionnaires was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each sub-sector, its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OVA to check the difference by background variable. The result from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introduction of guideline for science teachers, there are lots of opinions that it helps to understand the nature, direction, aim and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Secondly, science teachers usually considered that they understood the objectives of unit and development plans in the guideline and it was helpful. In the contents suggested in units and topic, science teachers with special education certification understood it more than science teachers with g neral education certification,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giving lessons for 20-18 hours was higher than others. Thirdly, many science teachers answered that the contents suggested by step in the guidebook for science teachers were helpful for lesson, while many of them thought the formative evaluation was not suitable to assess the research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 KCI등재

        다문화교육 접근법에 기초한 사회과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박지현,박남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 접근법에 기초해서 사회과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해 개발된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장애 관련 내용을 Banks의 다문화교육 접근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은 기여적 접근 수준에서 제시된 내용은 없었으며, 부가적 접근 수준의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변혁적 접근 수준의 내용이 많았다. 반면, 사회 행동적 접근 수준의 내용은 매우 부분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따라서 사회과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은 다양성을 존중하고, 모든 문화집단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촉진함으로써 차별과 편견을 없애고, 평등한 교육 기회와 문화적 선택을 제공하고자 하는 다문화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과서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대구지역교육청 수학영재학급 프로그램 분석

        최창우 大邱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21 과학·수학교육연구 Vol.44 No.-

        In 2015 year present,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almost all primary schools educate gifted students. However, there are so many problems are pointed out in qualitative aspects in spite of quantitative increase of gifted students classes. One of the problems is how to educate the slected gifted students with what kinds of program. This problem is the same in gifted education center of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They don’t have a systematic curriculum and program but curriculum and program is changed by instructor taking charge of the gifted education clas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out some suggestive points by analysing gifted education program in terms of curriculum regional distribution or type of themes of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0 units program in 20 themes are there in every grade and every unit consists of 40 minutes instruction. This means short of study of learning contents for grade and theme and so the development of program differentiated according to level of students or themes is needed. Second, the program of figure region were managing the highest and measurement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were lower frequency relatively and so various region programs are needed to develop and moreover trying of to select and develop interdisciplinary theme is needed. Third, in the analysis of type of theme, problem solving was the highest and manipulative material and game or puzzle using were low relatively. Fourth, there is no routine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the curriculum for mathematics gifted students are various and setting up arbitrary and so gifted students are having a different classes according to the choice of gifted education center. To improve these problems, we must try gifted students to have educated consistent and systematic education by suggesting national gifted education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gifted students of mathematics.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포함한 대구의 지역 교육청, 교육청산하 초등학교의 영재학급을 중 심으로 이미 개발되어 보급된 수학영재 프로그램들을 교육과정 영역별 분포나 프로그램들의 주제유형을 근간으로 하여 각 지역 교육청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그 시사 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한 결과는 저학년용 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하며, 여러 영역이 서로 통합 혹은 융합하는 주제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년별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형 을 달리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의 영재교육과정을 제시하여 어느 지역의 학 생이든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여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서선진,박경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ven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eaching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w self-efficacy in writing lesson plans and often developed annual and weekly lesson schedules, rather than daily lesson plans which were written for special occasions. Skilled teachers noted that lesson plan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failed to mirror the uniqueness of special education in addressing student diversity. There was a lack of coherence in lesson plans to curricula and other related papers such as IEPs. However, skilled teachers admitted that establishing lesson plans was a single core task of instruction and helped themselves promot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to improving lesson plan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이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은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 주제로 집약되었다.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교수ㆍ학습과정안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치원 지도서’음악교육 활동에서의 동작교육 내용 분석 : 모든 유아의 전반적 발달 촉진을 위한 통합적 교과교육 접근

        김성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8 No.3

        본 연구에서는‘유치원 지도서’에 제시된 동작이 들어간 음악교육 활동에 대한 비율과 어떤 유형의 동작이 적용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유치원 지도서’에서 동작이 들어간 음악교육 활동 비율은 총 활동의 약 9.56%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 중 동작이 들어간 음악 활동 비율은 전체 음악 활동의 43.57%로서 음악 활동 총 140개 활동 중 61개로 분석이 되었다. 여기서 대ㆍ소집단에서의 동작이 있는 음악 활동은 27개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매우 낮은 수의 동작 활동이 음악교육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유치원 지도서’의 음악 활동에 동작 유형의 분포정도를 보면, 기본운동에서는 이동 운동이 29회(약 14.36%), 비이동 운동이 56회(약 27.72%), 조작적 운동이 29회(약 14.36%)로 나타났다. 동작감상은 1회(약 0.50%)로 분석되었다. 표현 동작에서는 구조적 표현이 27회(약 13.37%), 반구조적 표현이 8회(약 3.96%), 창의적 표현이 52회(약 25.74%)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볼 때, 기본운동은 이동 동작 보다는 비이동 동작 비율이 크게 나타났고, 표현 동작은 창의적 표현 동작의 비율이 우세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표현 동작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 다음이 구조적 표현 동작이다. 유치원 지도서에 나오는 음악 활동이 유아에게 중요한 동작교육을 수반하게 한다고 볼 때, 교사는 그 활동 내에 기본 동작이나 표현 동작의 내용을 골고루 적용하여 유아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의도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중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변화 및 지침서에 대한 소고

        김라경,강종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3

        지난 40년간 중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정의는 지속적으로 변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부 중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알기 위하여, 중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모형, 일반교육과정접근 방법, 교육과정의 발전과 활용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들을 위해 개발된 5개의 기능적 교육과정 지침서들을 평가 분석하였다. 기능적 교육과정을 조사함에 있어서 기능적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영역과 하위영역, 교수 자료 및 교육과정을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장단점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중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나온 교육과정은 대부분 1990년대 후반에 머물러 있으며 국가수준의 연구가 미비함이 들어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학업 기술과 기능적 기술이 잘 균형 잡힌 폭넓은 교육과정이 중도 지적장애아동에게 필요하며, 또한 교육과정이 학생의 졸업 후 고용, 독립적인 삶, 지역사회의 참여, 사회적 관계와 같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요구된다. 둘째, 중도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성인이 되었을 때의 거주 환경을 고려해서 준비시켜야 한다. 셋째, 일반교육과정의 접근이 중요시되는 이 시점에서 특수교육 분야는 기능적 교육과정과 일반교과과정 이 적절하게 균형 잡히고, 포괄적인 교육과정을 중도 지적장애학생에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중도 지적장애학생이 통합적 환경에서 어떻게 일반교과과정을 이수하면서 동시에 기능적 기술을 배울 수 있는지에 대한 실용적인 모델과 연구가 요구된다. During the last four decades, the definition of effectiv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has changed. This article reviewe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practice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examined five available functional curricular models designed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curricula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functional curriculum components, domains and sub-domains, relate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benefits and challenges of using the curriculum. Overall, the analysis suggests that balanced, comprehensive, and coherent curricula need to be developed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addition, empirical studies and available curricula exploring independent living skills for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limited and outdated. Examination of curricula impact on students’ high school outcomes such as employment, independent living,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social relationships is critical in the field. Practical models and empirical research that explain how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can pursue functional skills while addressing the general curriculum in inclusive classroom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