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pect and syntax of bare nouns

        ( Kyumi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22 언어와 언어학 Vol.- No.96

        This paper examines the syntax of bare nouns in the aspectual domain with respect to event telicity by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of bare nouns in Mandarin and Korean. These languages are considered as bare noun languages, but the syntax of bare nouns in the aspectual context has not been explained. The paper shows that unlike English in these languages a specified quantity meaning of a bare noun object does not play a major role in determining event telicity. It is further shown that bare nouns in these languages do not share the same aspectual structure despite their similar semantics. The paper proposes that the quantity meaning of a bare noun is grammatically represented in Korean as NumP, but not in Mandarin. The consequence of this paper supports the current view in which bare nouns are not structurally so bare. It also provides a novel account for the aspectual differences of bare nouns in these languages,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discussed.

      • KCI등재

        Dysfunctional Beliefs about Sleep in Cancer Patients Can Mediate the Effect of Fear of Progression on Insomnia

        Insoo Kim,Kikyoung Yi,이주희,Kyumin Kim,Soyoung Youn,서수연,Jiyeon Kim,Jung mun choi,정석훈 대한수면학회 2019 sleep medicine research Vol.10 No.2

        Sleep Med Res > Volume 10(2); 2019 > Article Original Article Sleep Medicine Research (SMR) 2019; 10(2): 83-89. Published online: Dec 31, 2019 DOI: https://doi.org/10.17241/smr.2019.00451 Dysfunctional Beliefs about Sleep in Cancer Patients Can Mediate the Effect of Fear of Progression on Insomnia Insoo Kim, MD1, Kikyoung Yi, MD2, Joohee Lee, MD1, Kyumin Kim, MD1, Soyoung Youn, MD1, Sooyeon Suh, PhD3, Jiyeon Kim, PhD4, Jung Mun Choi, BA1, Seockhoon Chung, MD, PhD1 1Department of Psychiatr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Department of Psychiatry, Yongin Mental Health, Yongin, Korea 3Department of Psychology,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Department of Art Therapy, Hanyang Cyber University, Seoul, Korea Correspondence: Seockhoon Chung,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86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411, Fax +82-2-485-8381, E-mail schung@amc.seoul.kr Received Oct 21, 2019 Revised Nov 1, 2019 Accepted Nov 5, 2019 Copyright© 2019 The Korean Society of Sleep Medicine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role of the dysfunctional belief about sleep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insomnia among cancer patients.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whether dysfunctional belief about slee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rogression and insomnia in cancer patients. Methods Three hundred and thirty-seven cancer patients participated in our study. Dysfunctional belief about sleep, severity of insomnia, depression, fear of progression, and anxiety were measured using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Cancer-related Dysfunctional Beliefs about Sleep (C-DBS); Insomnia Severity Index (ISI);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Fear of Progression (FoP); and the state subcategory of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Path analysis was us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ince C-DBS consists of two items, i.e., Q1-immune & Q2-recurrence, we implemented an additional path analysis including these variables separately. Results C-DBS mediated the effect of FoP (β = 0.36, p < 0.001) and patient sex (β = 0.13, p = 0.009) on ISI. PHQ-9 (β = 0.32, p < 0.001) and STAI (β = -0.09, p = 0.071) had a direct influence on ISI scores. In our second path analysis, Q1-immune item mediated the effect of FoP (β = 0.19, p < 0.001) on ISI, and Q2-recurrence item mediated the effect of FoP (β = 0.23, p < 0.001) and patient sex (β = 0.09, p = 0.019) on ISI. Conclusions Our path analysis model indicated that C-DBS mediates the effect of FoP and patient sex on ISI. Our second path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could be an internal process of Q1 and Q2 item. Efforts to reduce dysfunctional belief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management of fear of progression for better sleep of cancer patients.

      • Exosome Cofactors Connect Transcription Termination to RNA Processing by Guiding Terminated Transcripts to the Appropriate Exonuclease within the Nuclear Exosome

        Kim, Kyumin,Heo, Dong-hyuk,Kim, Iktae,Suh, Jeong-Yong,Kim, Minkyu American Society fo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 2016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291 No.25

        <P>The yeast Nrd1 interacts with the C-terminal domain (CTD) of RNA polymerase II (RNApII) through its CTD-interacting domain (CID) and also associates with the nuclear exosome, thereby acting as both a transcription termination and RNA processing factor. Previously, we found that the Nrd1 CID is required to recruit the nuclear exosome to the Nrd1 complex, but it was not clear which exosome subunits were contacted. Here, we show that two nuclear exosome cofactors, Mpp6 and Trf4, directly and competitively interact with the Nrd1 CID and differentially regulate the association of Nrd1 with two catalytic subunits of the exosome. Importantly, Mpp6 promotes the processing of Nrd1-terminated transcripts preferentially by Dis3, whereas Trf4 leads to Rrp6-dependent processing. This suggests that Mpp6 and Trf4 may play a role in choosing a particular RNA processing route for Nrd1-terminated transcripts within the exosome by guiding the transcripts to the appropriate exonuclease.</P>

      • Instance segmentation 기반 사과 객체 비대 분석기술 개발

        김응찬 ( Eungchan Kim ),박성민 ( Seongmin Park ),김상연 ( Sang-yeon Kim ),이창협 ( Chang-hyup Lee ),김성제 ( Sungjay Kim ),류지원 ( Jiwon Ryu ),김규민 ( Kyumin Kim ),이슬기 ( Seul-ki Lee ),조정건 ( Jung-gun Cho ),김기석 ( Ghiseok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사과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청과류 중 하나로, 맛을 비롯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혈압을 조절해주는 등 다양한 건강적 이점을 갖는 과실이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팜 분야에서는, 원예작물 과실의 성장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과 수확을 위한 영상 인식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농가의 과실 생산량 예측뿐만 아니라 수확의 자동화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최근 영상 기반의 연구들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모델들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객체의 영역을 찾아내는 객체 분할 영역 또한 합성곱 신경망이나 트랜스포머 등의 딥러닝 알고리즘이 기존 방식들 대비 높은 성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홍로) 과실의 객체 분할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지 사과밭에서 RGB-D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는 객체 영역이 폴리곤 형태로 라벨링 되었으며, 학습 및 평가를 거쳐 여러 객체 분할 모델들의 성능이 비교 평가되었다. 또한, 객체분할 모델 결과로 획득한 mask 정보 및 영상 촬영 시 획득한 depth 정보를 활용하여, 검출된 사과의 직경(횡경 및 종경), 면적, 부피 및 과중에 대한 값을 추산하였으며 실제 값들과 비교하여 알고리즘에 대한 오차를 분석하였다.

      • 적정 수확시기 결정을 위한 수확 전 (재배 중) 사과의 당도 및 경도 예측 모델 개발

        김응찬 ( Eungchan Kim ),박성민 ( Seongmin Park ),김상연 ( Sang-yeon Kim ),이창협 ( Chang-hyup Lee ),김성제 ( Sungjay Kim ),류지원 ( Jiwon Ryu ),김규민 ( Kyumin Kim ),이슬기 ( Seul-ki Lee ),조정건 ( Jung-gun Cho ),김기석 ( Ghiseok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사과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청과류 중 하나로, 당 함유량에 따라 사과의 맛이 결정되는 만큼 당도는 사과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주요 품질 인자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품종 중 하나인 홍로를 대상으로 노지 사과밭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농식품의 비파괴 품질 평가에 주로 활용되는 기술 중 하나인 초분광 영상 기술을 활용하여 당 함유량(Brix, %)을 예측하였다. 초분광 데이터의 수집은 홍로의 생육 단계별 다양한 당도 값을 획득하고자 만개 후 약 60일 차부터 수확기에 다다를 때까지 약 10일 간격으로 2년(2021~2022년)간 촬영하였으며, 데이터 획득 직후엔 촬영된 사과를 수확하여 디지털 당도측정계를 이용해 실제 당도값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홍로의 초분광(400-1,000 nm) 스펙트럼 데이터에 인공지능 모델을 적용하여 당 함유량을 예측하는 다양한 회귀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모델별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결정계수(R<sup>2</sup>)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과 과실에 대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취득하여 PLSR 등의 다양한 회귀 모델을 활용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고, 유의미한 픽셀들을 추출하는 기법 등 여러 가지 전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회귀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당도에 대한 각 예측 모델의 예측 오차값을 분석하였다.

      • GAN을 이용한 참외 차폐영역복원모델 학습용 데이터셋 생성

        김성제 ( Sungjay Kim ),누르히스나 ( Nandita Irsaulul Nurhisna ),류지원 ( Jiwon Ryu ),김규민 ( Kyumin Kim ),김상연 ( Sang-yeon Kim ),김기석 ( Ghiseo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참외와 관련하여 관행적 포복재배 형태를 수직재배 방식으로 개선하고 자동화 기술을 도입하는 연구가 국내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수확 자동화에 필요한 수확로봇에 대한 연구도 주목을 받고 있지만 참외는 다른 덩굴식물들과 마찬가지로 잎에 의해 과실이 차폐되는 경우가 많아 과실 인식, 크기 및 숙도 인식에 어려움을 겪는다. 딥러닝을 이용한 차폐영역 복원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잎에 의해 차폐된 과실 영역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미 잎에 차폐된 과실 이미지는 학습 데이터로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딥러닝 모델인 GAN을 이용하여 과실의 전체 형상이 드러난 이미지 상에 잎 차폐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한여 차폐영역 복원 모델 학습용 데이터셋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GAN 모델 학습을 위해 잎에 차폐되지 않은 과실 이미지와 차폐된 과실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GAN 중에서도 이미지-이미지 변환 모델 중 널리 사용되는 CycleGAN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과실 상에 잎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생성되는 영역을 제한하는 attention-guided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잎에 차폐된 과실 이미지와 유사한 데이터셋을 생성하였다.

      • 무인항공기 측정 적외선 항공열영상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과수 작물의 수분스트레스 평가 모델 개발

        김성제 ( Sungjay Kim ),홍석주 ( Suk-ju Hong ),김상연 ( Sang-yeon Kim ),류지원 ( Jiwon Ryu ),노승우 ( Seung-woo Roh ),김대영 ( Dae Young Kim ),김규민 ( Kyumin Kim ),양권석,김기석 ( Ghiseo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환경에 따른 과수 작물의 수분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하는 것은 효율적인 관수 관리에 있어 핵심적이다. 최근 무인항공기 (Unmanned Aerial Vehicle, UAV)를 이용하여 넓은 면적에 분포한 작물의 수분스트레스를 짧은 시간 안에 정밀하게 평가하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적외선 열영상 센서로 과수의 엽온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분스트레스 평가 지표 중 하나인 경험적 수분스트레스 지수 (Crop Water Stress Index, CWSI)를 계산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관측은 장기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수집된 데이터로 수분스트레스를 평가하는데 있어 경험적 수분스트레스 지수가 최적의 방법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새로운 수분스트레스 진단 모델을 개발하여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수분스트레스 평가에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항공열영상 온도 보정 모델과 정밀한 엽온 추출을 위한 영상처리 기법 개발하였다. 온도 보정과 엽온 추출 과정을 거친 엽온 데이터를 대기환경 데이터와 함께 투입 변수로 활용하여 과수 작물의 수분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인공신경망 모델을 구축하였다. 온도 보정에는 흑체가 사용되었으며, 보정 결과 실제 흑체 온도와 보정된 온도 간의 RMSE가 0.68 °C로 낮은 오차를 보였다. 한편, 항공영상에서의 수관 영역 분할을 통한 정밀 엽온 추출을 위해서 딥러닝 Mask R-CNN(Mask Regional-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수관 영역 분할 결과, 평균 정확도 0.95의 성능을 보였다. 수분스트레스 진단 모델은 엽온, 대기온도, 상대습도를 이용해 기공전도도를 예측하는 인공신경망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델 예측 결과와 기공전도도 값 간의 상관계수는 0.86로 경험적 수분스트레스 지수와 기공전도도 값 간의 상관계수인 0.56보다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수분스트레스 평가 모델이 기존의 경험적 수분스트레스 지수에 비해 무인항공기 기반의 수분스트레스 평가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Typology of Quantifiers and the Mass/Count Distinction

        Kyumin Kim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017 語學硏究 Vol.53 No.3

        In a recent approach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nominals, all nouns across languages are proposed to be mass, and thus need to be portioned out (i.e., divided)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 count system(Borer 2005): in syntax, division is performed via a Div(ided) head that takes mass noun as a complement, and Div is proposed to be instantiated by an English-type plural -s or a Chinese-type classifier. Once division is performed on a mass, the divided noun can be counted via a numeral that appears in a quantifying phrase (#P) projected above DivP. Assuming Borer (2005), this paper examines the morpheme xie ‘some’ in Chinese, and proposes that it is a non-counting quantifier instantiating a # head that takes DivP as its complement. The proposed account has consequences for the typology of quantifiers and the ongoing debate on the mass/count distinction: division does not necessarily force a counting function, and the mass/count distinction, if it exists at all, is a structural one, not a lexical one.

      • Verbal classifiers in Mandarin: syntactic and semantic unit of counting

        Kyumin Kim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論集 Vol.60 No.-

        A verbal classifier in Mandarin, recognized as two types, is known as an event quantifier in that it counts the number of an event.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two types of verbal classifiers appear in a different syntactic position. Building on thes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two types of a verbal classifier have a different syntactic unit for counting, namely a vP and VP. This paper further characterizes the proposed syntactic unit of an event in terms of semantics, which has been left unclear in previous studies.

      • KCI등재

        Marking Telicity Via Transfer

        Kyumin Kim 한국중원언어학회 2016 언어학연구 Vol.0 No.40

        An Asp(ect) head has generally been viewed as a locus of telicity. This paper shows that in some languages, Asp is not specified for telicity, based on the properties of aspectual suffixes in Korean. It argues that with the aspectual suffixes, telicity is marked on another functional head (F) that appears above Asp. In particular, F is realized by different aspectual suffixes that indicate whether there is an initiator of an event, and only in the presence of these suffixes is the telicity of a given event determined. In theoretical terms, thus, Asp is not specified for a feature such as [telic], but F, a higher head than Asp, is. It is argued that [utelic] on F is transferred to Asp so that Asp can identify telicity in a local configuration similar to C-to-T [uφ] feature transfer. Via transfer of [utelic] on F to Asp, a relevant DP in the c-commanding domain of Asp can check [utelic] locally, just as checking [uφ] on T can be locally achieved via transfer of [uφ] on C to 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