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도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주관적 우울감에 따른 인지기능의 변화

        황희성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o find whether high subjective depression, measured by Beck Depression Inventory, can predict decline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Methods: 36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ith no structural abnormality in brain studies were subgrouped into two groups devided by T-scores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with a cutoff score of 70. Cognitive functions measured by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Patients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 score higher than 70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most of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Conclusion: High subjective depr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impaired cognitive function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 대학교원 재임용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황희성 인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교원 재임용제도는 임용권자가 대학교원에 대하여 임용기간을 정하여 임용한 후, 임용기간이 만료되면 재심사하여 다시 임용기간을 정하는 제도이다. 이는 대학교원의 신분관계에 있어 근로의 연속성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사항과 관련되는 것으로 헌법 제31조 제6항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라는 ‘교원지위법정주의’의 원칙에 따라 운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학교원 재임용제도는 대학 사회의 연구 및 교육 분위기를 제고하려는 취지로 도입되었고 정당한 절차와 합리적인 기준에 의하여 재임용 여부가 결정되어야 하지만, 그동안 자의적인 절차와 주관적인 기준에 의한 불법적인 재임용 탈락이 이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제기가 있어 왔다. 이에 2003년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과 2005년 ‘대학교원 기간임용제 탈락자 구제를 위한 특별법’의 제정으로 대학교원 재임용제도가 많은 부분 정비되는 듯한 모습을 보였지만, 여전히 위헌론이 제기되는 등 대학교원의 신분은 제대로 보호되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원지위법정주의’의 원칙하에 대학교원 재임용제도의 법적 성질에 대해 검토하고, 원래 취지에 맞게 대학교원의 활동을 독려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주제와 관련한 문헌들을 중심으로 논의 하였으며, 대학교원 재임용제도와 관련된 객관적인 자료를 정리하고, 헌법불합치 결정 및 관련 판례와 학계의 이론을 분석하였다. 2003년의 헌법불합치 결정은 ‘교원지위법정주의’에 따라 대학교원 재임용제도는 교수 신분을 보호하는 최소한의 장치로써 심의절차 및 구제절차가 필요하고, 임면권자의 자의에 의한 자유재량행위가 아닌 객관적인 기준에 의한 인사위원회 심의에 따른 기속행위임을 확인하여 대학교원의 재임용 심의 받을 권리를 분명히 하였다. 이후 교육공무원법과 사립학교법이 개정되었고 대학교원 기간임용제 탈락자 구제를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는 등 대학교원의 재임용과 관련하여 절차적인 부분은 많은 보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최근 대법원에서는 재임용 탈락자에 대한 ‘구제’에 있어 기간임용제의 성격상 이미 임용기간이 만료된 대학교원은 그 재임용 거부행위가 무효이더라도 교수지위는 인정될 수 없고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만이 인정된다고 하여 불법적인 재임용 탈락처분을 받더라도 대학교원은 다시 그 신분을 회복할 방법이 없다는 결정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법원의 결정들은 대학교원의 신분을 보호하기 위한 헌법의 ‘교원지위법정주의’ 원칙과 헌법불합치 결정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으로 재임용 탈락자에 대한 구제 방법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의 결과가 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재임용 거부행위가 무효로 된다면 대학교원의 신분은 ‘가처분’의 효과로 유지되어야 하며, 대학에서는 다시 재임용 심사를 하여 재임용 여부를 합법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내용에 의할 때 재임용 탈락자는 객관적인 사유로 평가되고 교수신분을 회복할 수도 있어 진정한 구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대학교원 재임용제도가 원래 취지에 맞게 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2회의 평가 즉, 신규임용 후 대학교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능력을 갖추었는지에 대한 평가와 교수로서의 연구, 교육, 봉사활동 역량이 충분하다고 증명되어 정년보장을 받는 평가로 충분하고 재임용 심사와 승진 심사를 통합한다면 더욱 동기부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또한 학문영역의 다양성을 고려하고 대학교원의 적극적인 활동을 독려하기 위해 재임용 평가기준과 기간을 개인별 협의를 통해 정하고 기준 미충족자에 대해서는 사정판단 할 수 있는 제도를 제안한다. 대학교원 재임용제도가 이처럼 개선된다면 교수는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게 될 것이며, 사회는 교수의 전문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이 10-20대 여성의 뷰티관리행동 및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희성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이 10-20대 여성의 뷰티관리행동 및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화장품을 구매하는 동기 등을 찾고 화장품 시장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소비자의 욕구에 대해 관련 연구 및 교육기관 등 마케팅 관련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 중이며 유튜브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10-2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첫 번째, 인구통계학적 조사결과 성별은 여성 420명(100.0%)으로 연령은 16-20세 286명(68.1%), 최종학력으로는 고등학교(재학)졸업 263명(62.6%), 직업으로는 학생 334명(79.5%), 월 평균수입(용돈)으로는 10만원 미만 85명(20.2%) 순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두 번째, 유튜브 이용실태 조사결과 유튜브 동영상 시청경험, 뷰티유튜브 관련 동영상 시청경험에 대해 420명(100.0%), 연구대상자들은 유튜브 동영상뿐만 아니라 뷰티관련 유튜브 동영상 시청경험이 모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일 평균 유튜브 채널 접속횟수로는 2-5회 미만 152명(36.2%), 뷰티동영상 시청시간으로는 15분 이내 212명(50.5%), 주 시청 유튜브 영상유형으로는 메이크업 꿀팁 소개 216명(51.4%) 순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세 번째,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에 대한 조사결과 정보성, 오락성, 상호작용성 3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뷰티 유튜버 특성에 대한 조사결과 객관적 정보성, 메시지 전달능력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뷰티관리행동 조사결과 피부관리행동, 메이크업행동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화장품 구매의도 조사결과 기초화장품 구매의도, 색조화장품 구매의도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기술통계 및 변수 간 상관관계 조사결과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의 정보성, 오락성, 상호작용성은 뷰티관리행동의 피부관리행동 및 메이크업행동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화장품 구매의도의 기초화장품 구매의도 및 색조화장품 구매의도와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뷰티 유튜버의 메시지 전달능력과 객관적 정보성도 뷰티관리행동의 피부관리행동 및 메이크업행동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화장품 구매의도의 기초화장품 구매의도 및 색조화장품 구매의도와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또한 뷰티관리행동의 피부관리행동 및 메이크업행동은 화장품 구매의도의 기초화장품 구매의도 및 색조화장품 구매의도와 각각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여덟 번째,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의 상호작용성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상호작용성이 높아지면 피부관리행동이 .181만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의 정보성, 오락성과 뷰티 유튜버 특성의 객관적 정보성, 메시지 전달능력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의 정보성(p<.05), 오락성(p<.001)은 메이크업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성이 높아지면 .142만큼, 오락성이 높아지면 .230만큼 메이크업행동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뷰티 유튜버 또한 메시지 전달능력이 메이크업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메시지전달능력이 높아지면 메이크업행동이 .371만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 번째,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이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의 오락성(p<.001), 상호작용성(p<.05)은 기초화장품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성이 높아지면 .216만큼, 상호작용성이 높아지면 .099만큼 기초화장품 구매의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뷰티 유튜버의 객관적 정보성(p<.01)과 메시지 전달능력(p<.001)은 기초화장품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객관적 정보성이 높아지면 .151만큼, 메시지 전달능력이 .226 만큼 기초화장품 구매의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에 있어 오락성은 색조화장품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메시지 전달능력이 높아지면 색조화장품 구매의도가 .351만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뷰티관리행동이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뷰티관리행동에 있어 피부관리행동은 기초화장품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피부관리행동이 높아지면 기초화장품 구매의도가 .196만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이크업행동도 기초화장품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메이크업행동이 높아지면 기초화장품 구매의도가 .395만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메이크업행동은 색조화장품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정의(+)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메이크업행동이 높아지면 색조화장품 구매의도가 .603만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째, 뷰티관리행동이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과 화장품 구매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Baron&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메이크업행동은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의 오락성 및 뷰티 유튜버의 메시지 전달능력과 기초화장품 구매의도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두째, 뷰티관리행동이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과 색조화장품 구매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메이크업행동은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의 오락성 및 뷰티 유튜버의 메시지 전달능력과 색조화장품 구매의도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유튜브 채널이 하나의 마케팅 매체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을 통한 뷰티관리행동과 화장품을 구매하는 동기 등을 찾고 화장품 시장이 어떠한 방안으로 나아가야 할지 더 나은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소비자의 욕구에 대해 관련 연구 및 교육기관 등 마케팅 관련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made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 of beauty videos on YouTube to make effect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 &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by women in their 10s to 20s so to find out the purchasing motive of cosmetics, and to suggest ways for improvement of the cosmetics market, and to provide marketing-related basic materials for relevant research & educational institutions of consumer nee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women in their 10s to 20s who live in areas of Seoul and Gyeonggi-do and have seen YouTube. First, the demographic survey showed in the highest proportion, respectively, that gender was female (420 of 100.0%), and 16 to 20 years old in their age (286 of 68.1%), and high school graduates (or high school students) (263 of 62.6%), and students as their occupation (334 of 79.5%), and below 100,000 won as their monthly average income (or allowance) (85 of 20.2%). Second,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ir experiences in YouTube about YouTube videos & beauty-related videos on YouTube, it showed that all of 420 people (100.0%) have watched not only YouTube videos, but also beauty-related videos on YouTube. The survey showed in the highest proportion, respectively, that below 2-5 times (152 of 35.2%) of their daily average access to YouTube channels, and within 15 minutes (212 of 50.5%) of their duration to see beauty-related videos, and introduction of very useful makeup tips (216 of 51.4%) of their most favored YouTube videos.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it showed three factors of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interactivity. Four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beauty YouTubers. it showed two factors of objective information, and the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 Fif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s, it showed two factors of skin management behavior, and makeup behavior. Six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it showed two factors of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 Seven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correlation betwe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variables,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interactivity of beauty videos on YouTube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towards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nd makeup behaviors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nd also a positive (+) correlation towards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 of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p<.001). The objective information and the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 of beauty YouTubers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too, towards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nd makeup behaviors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s (p<.001). and also it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towards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 of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p<.001). Also,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nd makeup behaviors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s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respectively, towards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 of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p<.001). Eighth, according to multi-recursive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beauty videos on YouTube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s, it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 interactivity of beauty videos on YouTube was making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s (p<.01), and skin management behavior raised by .181 if the interactivity increased. However, it showed that the information, the entertainment i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as well as the objective information, the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 i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does not make any significant effect on skin management behavior. Next, it showed that the information(p<.05), the entertainment(p<.001) i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mak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makeup behavior, as makeup behavior raised by .142 if the information increased, while raised by .230 if the entertainment increased. Next, it showed that YouTuber's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 also make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makeup behavior(p<.001), as makeup behavior raised by .371 if the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 increased. Ninth, according to multi-recursive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effect of beauty videos on YouTube on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it showed that the entertainment(p<.001), the interactivity(p<.05) i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mak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a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raised by .216 if the information increased, while it raised by .099 if the interactivity increased. Also, it showed that YouTubers' objective information(p<.01) and their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p<.001) mak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a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raised by .151 if the objective information increased, while it raised by .221 of the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 increased. Next, i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the entertainment showed to mak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p<.001), a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 raised by .351 if the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 increased. Tenth, according to multi-recursive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s on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it showed that the skin management behavior i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s mak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p<.001), a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raised by .196 if the skin management behavior increased. Also, it showed that the makeup behavior make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p<.0001), a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raised by .395 if the makeup bahavior increased. Next, it showed that the makeup behavior make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p<.001), a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 raised by .603 if the makeup behavior increased. Eleventh, according to Baron & Kenny(1986)'s regression analysis in three steps to determine if beauty management behaviors make intermediate rol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it showed that the makeup behavior makes some partial intermediate roles between the entertainment i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and YouTubers'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 as well a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basic cosmetics. Twelfth,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in three steps to determine if beauty management behaviors make intermediate rol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 it showed that the makeup behavior makes some partial intermediate roles between the entertainment in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and YouTubers' capability of message transmission as well a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lor cosmetics. As the results of above, we searched out the possibility if YouTube channels are able to carry out any function as a marketing media and have any effect of communication to find out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osmetic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videos on YouTube, and suggest much more improved ways for cosmetics market to proceed, and provide marketing-related basic materials for relevant research & educational institutions of consumer needs.

      • 사람 간암세포주에서 과발현된 hexokinase II의 호기해당작용에서의 역할 및 항세포사멸과 연관된 PI3K/Akt 경로에 미치는 효과

        황희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Hexokinase II (HK II)는 악성종양에서 호기해당작용에 핵심적인반응조절 효소이다. 세포의 증진된 해당작용을 반영하는 F-18 FDG섭취의 증가는 간세포암의 악성도와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으며,악성도가 높은 암일수록 F-18 FDG섭취가 높다. 간암세포의 경우 HKII는 정상세포보다 100배 이상 증가되어 있다. HK II는 porin과의 복합체 상태 [HK- voltage dependent anion channel (VDAC)-adeninenucleotide translocator (ANT) complex]로 미토콘드리아에 결합하여 미토콘드리아 내 산화성 인산화와 포도당 해당과정을 원활히 연결시키며, 이 때 생성된 ATP와 포도당 분해산물이 암세포 분열에 필요한에너지와 물질을 제공한다. VDAC-ANT 결합체가 미토콘드리아 투과성변이(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와 세포사멸 인자의 방출을조절하고, HK II가 세포사멸 통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HK II가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Akt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항세포사멸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간암세포에서 HK II의 Akt 관련 항세포사멸 작용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정립되어 있지 않다.본 연구에서는 HK II 의 역할에 핵심적인 세포 내미토콘드리아와의 결합과 포도당 인산화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HKII 발현이 적은 간암세포인 SNU-449 세포주와 정상 간세포로 알려진Chang 세포주에 HK II 유전자를 이입(transfection)시켜 해당작용과이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고 항암제에 대한 항세포사멸효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과발현된 HK II 의 항세포사멸 작용과 관계된 세포 내 신호전달분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PI3K/Akt 경로에작용하는 PI3K 억제제를 처리하여 항세포사멸 작용의 기전을밝히고자 하였다HK II 가 저발현된 SNU-449 세포주와 정상 간세포인 Chang세포주에 재조합 HK II 를 이입시켜 HK II 과발현 SNU-449간암세포주(SNU-449-HK II)와 Chang 세포주(Chang-HK II)를 확립하여HK II 의 발현과 기능을 RT-PCR, western blot 분석, ATP 와 lactate생성, F-18 FDG 섭취, 면역형광분석법으로 조사하여 이입된 HK II가효과적으로 발현되고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능과 항암제에대한 감수성 평가는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MTT) 분석을 이용한 세포계산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종양의 악성도와 관계되는 신호전달분자로 PI3K/Akt 경로를연구하였다.HK II를 과발현하는 SNU-449-HK II와 Chang-HK II에서 HK II가높게 발현되었지만 포도당 대사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 즉 HK I,HK III, glucose transporter-1, -2, glucose-6-phosphatase 의 발현은변화하지 않았다. 세포 내 에너지 감지장치인 AMP-activated proteinkinase (AMPK)는 SNU-449-HK II 에서 낮은 발현을 보였고, 24 시간경과 후 ATP 양이 20% 증가하였으며 lactate 생성량이 45% 증가하여AMPK 저하에 ATP 증가가 관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HK II 의 작용부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형광시험법을 시행하여 과발현된 HKII 의 분포 위치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와 일치되는 것을관찰하였다. 그러나 HK II 가 결합하는 미토콘드리아의 VDAC 은 그발현도가 변하지 않았다. SNU-449-HK II 에서 F-18 FDG 섭취가대조군에 비하여 54% 증가하였고, 배양 3 일 후 세포증식이1.5~2.0 배 항진되었다(p<0.005). SNU-449-HK II에 10 μg의 cisplatin 을 처리한 결과 약물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되었다. PI3K/Akt 의신호전달분자인 활성 Akt (p-Akt)가 SNU-449-HK II 에서 대조군에비하여 상당히 증가하였고, PI3K 억제제인 50 μM 의 NY294002 로처리한 후 p-Akt 가 거의 소실되었다. PI3K 억제제 투여 후 세포 내전체 HK II 의 양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미토콘드리아 구획 HK II 가현저히 감소하고 세포질 구획 HK II 는 증가하여 미토콘드리아에결합한 HK II가 세포질로 전위함을 확인하였다.결론적으로 사람 간암세포주에서 HK II 의 과발현과 세포 내해당작용 및 세포사멸에 관련된 신호전달체계의 관계를 분석하여,HK II 가 호기해당작용에 결정적인 반응조절효소로서 간암세포의악성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K II 는미토콘드리아에 결합하여 PI3K/Akt 신호전달체계와 연계되어간암세포의 성장과 증식,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 저하 등 항세포사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빅 데이터 기반 데이터 베이스의 취약점 항목 개발 연구

        황희성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the big services that leverage big data services that extract data out to take advantage of the vulnerability is limited because of the criteria that can be checked for security weaknesses of Big Data-based database does not exist, while the increase in the existing data and confidential information , systematic basis is more efficient to manage such assets was a little extra work on the database entry in the "maj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evaluation methods detailed guide. Future research will develop a more in-depth vulnerability entry to study the vulnerability of Big Data services.

      • 風水와 住居空間 디자인에 관한 硏究

        황희성 東國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 beings have maintained healthy lives through harmony with nature and have shaped and developed their respective cultures. However, in moder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he rapidly developed industry centering on human convenience caused incompatibility with nature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As a result, industrialization and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have become a problem and much attention was given to th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In the housing culture, there is a paradigm shifting from the quantitative expansion to the living in harmony with nature. Feng Shui thought is significant in solving these problems in that human beings can maintain happier and more affluent life when harmonizing with nature to form good ener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apply Feng Shui idea to create a pleasant and healthy environment through harmony with nature, to create a space that will bring happiness to the home and to provide the residents with the most ideal energy, but also to investigate how to apply Feng Shui to modern residential space design. In Chapter 2, the traditional Feng Shui theory is examined and theories, which can be applied to residential space design, are identified and presented. First, the concept and the origin of Feng Shui thought, and the principle of Feng Shui energy is examined. In Chapter 3, the residential space is approached in terms of Feng Shui, first describing the balance and proportion and aesthetics of Feng Shui design, then presenting the form, structure, planning and method of structure that can gather energy well, and proposing the planning and method of materials, colors and lighting by applying how to choose direction by space and the principle of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Chapter 4 presents the basic elements of Feng Shui and residential space design, presents the Feng Shui interior method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space by applying the principles and theories of the Yang Taek Feng Shui theory as above, and then implements the case of actual residential space design. Section 5 derives the conclus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based on the spatial elements of the design and the data obtained thereof and by presenting the ideal direction and method of the residential design to which Feng Shui theory. If the existing interior was a design mostly with aesthetic elements, and formative and utilitarian values, the presentation of Feng Shui interior is an inner work involving traditional ideas and philosophy, and a work to find a unity point in a common point that our traditional thought is Feng Shui thought. Therefore, moder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method of Feng Shui interior using that can be said to be useful as an environment-friendly spatial design and interior method together with an active concept in modern residence. A scientific verification shall be investigated further in the future about whether the way that Feng Shui interior is interpreted and applied as in this study can be gauge the good or ill luck.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Feng Shui interior can develop into a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living space harmonized with traditional thought by further study.

      •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몰입(Flow) 탐색 : 도전과 기술 수준, 그리고 감정

        황희성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based on Chikszentmihalyi's Flow theory, which classifies the distribution of various emotions (8 types), including flow, through various channels. The study sought to quantify and visualize the variables to understand different levels of flow and other emotions. Through this, we tried to develop and expand the existing flow theory.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hose marine sports, which are challenging and immediate feedback sports that are easy to experience flow.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n the Survey was 813, with 392 scuba divers and 421 surfers. As measurem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and the main variables were Flow level, Feeling state, challenges level, skills level. As a data processing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version. In additio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graphs in Excel Version 2309 of MOS were used to express the distribution and degree of feelings by level of variables.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s was set to 5%. Based on our analysis of the data, here are our findings. First, for both cluster and level of detail distributions, higher skills and challenges levels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flow. Second, for both cluster and level of detail distributions, higher skills and challenges levels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flow in the high skills and high challenges matching sectors. Third,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does not appear to be steady or consistent across clusters or levels of granularity. Fourth, the level of flow and the distribution of flow emotions do not match to flow 8-channel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consistent with existing theories of flow. A total of 9 clusters(9 channels) were identified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level of skills and challenges, showing a different channel form from the existing 8 flow channels. The level of flow was higher when the skill level was high or the challenge level was high. Regardless of whether the challenge level and skill level were matched or not. The level of flow was not simply a function of the level of skills and challenges.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three-channel theory, where engagement occurs across the skills-challenges level matching band. It is also in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eight-channel theory, which suggests that engagement occurs in the high-skills, high-challenges level match area. And the distribution of flow emotions was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three-channel theory of flow, but not consistently, and not at all consistent with the eight-channel theory. As the existing flow theories are mainly based on universal everyday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channels of flow and emotion through studies based on specific sports or situations, as in this study, and to check the distribution and level. This suggests that emotions, including flow, are difficult to explain only with two factors: skills and challen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the existing flow theory and attempted to theoretically expand it from a new perspective.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to the need for additional variables to explain flow and emotions, and to expand the concept of the existing flow channel. 이 연구는 몰입(Flow)을 포함한 다양한 감정(8가지)의 분포를 여러 채널 을 통해서 분류한 Chikszentmihalyi의 몰입이론을 근거로 하였다. 연구를 통 해 변인들을 정량화, 도식화하여 몰입과 기타 감정들을 다양하게 수준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몰입이론을 발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몰입을 경험하기 쉬운 도전적이고 피드백 이 즉각적인 종목인 해양스포츠를 선정하였다. 스쿠버다이빙 참가자 392명, 서 핑 참가자 421명으로 구성된 총 81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측정변인으로 인구사 회학적 특성은 성별, 나이, 학력 수준, 혼인 상태, 월 소득을 살펴보았고, 주요변인은 몰입 수준, 감정상태, 도전수준, 기술수준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준별로 감정의 분포와 정도를 표현하기 위 해 MOS의 Excel Version 2309의 2차원, 3차원 그래프를 활용하였다. 모든 통계치 에 대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별, 세부 수준별 분포 모두 기술 수준이 높아질수록, 도전 수준이 높아질수록 몰입 수준도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집별, 세부 수준별 모두 기술 수준과 도전 수준이 일치 하는 구간에서는 높은 수준의 일치 구간일수록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집별, 세부 수준별 모두 8가지 감정의 분포는 꾸준하거나 지속적으로 발생하 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높은 몰입의 수준과 몰입 감정의 분포는 몰입 8채 널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몰입이론과는 다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 수 준과 도전 수준에 따른 k-평균군집분석을 통해 확인된 군집은 총 9개 군집 (채널)으로 나타나 기존의 몰입 8채널과는 다른 형태가 나타났다. 몰입의 수 준은 기술 수준이 높거나 도전 수준이 높으면 수준의 일치 여부와 상관없이 높게 나 타났다. 이는 기술과 도전 수준이 일치하는 구간에서 높은 몰입이 나타나는 기존의 3채널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높은 기술과 도전 수준의 일치 구간에서만 몰 입이 나타나는 기존의 8채널 이론과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 상태로 몰입의 분포는 몰입 3채널 이론과 부분적으로는 일치하였지만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8채널 이론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기존의 몰입이론은 보편적인 일상의 상황을 기준으로 연구되었기에, 이 연구에서 와 같이 특정 종목이나 상황에 따른 연구를 통해 몰입과 감정의 채널을 구분하고 분 포와 수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는 몰입을 포함한 감정은 기술과 도전이라는 두 가지 요인만으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 의 몰입이론을 검증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이론적 확장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몰입과 감정을 설명하기 위한 추가 변인의 필요성과 기존 몰입 채널 개념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창의적 사고기법의 발달단계별 적용을 위한 유아 관찰연구

        황희성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발달단계별에 따라 창의적 기법을 차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5, 6, 7세 유아 6명을 대상으로 관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의적 사고기법 적용에서 나타나는 유아기 창의성 발달단계별 특징과 참여도는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어느 시기의 유아에게 어떤 창의적 사고기법이 적절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한 구립 B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혼합반(5, 6, 7세)에 9명중 유아 중에서 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유아를 제외하고 5세 2명(여2명), 6세 2명(남2명), 7세 2명(남1명,여1명) 6명의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을 관찰하고 평가하였는데, 평가의 준거는 이경화(2005)의 유아용 통합창의성 검사(K-ICT)의 채점 기준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창의적 사고 기법을 적용한 활동 과정에서 유아들이 보이는 행동, 산출물 등을 관찰하면서 작성한 관찰지와 유아들의 결과물, 녹화된 영상을 전사한 자료 등을 근거로 하여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발달단계별로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발산이나 창의적인 특성을 나타내기에 적절한 창의적 사고기법에 차별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활동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5, 6, 7세 유아들은 다양한 창의적 기법에 따라 참여하는 빈도와 적극성에 있어서 차이가 남으로써 기법에 따른 창의적 능력 함양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들의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는 수업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혼합반 유아들의 창의성 지도에 있어서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은 어떤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의 발현에 차이가 있는데, 특히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가 명확히 나타나므로 차별적 적용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창의성 지도 방법을 구안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rogressed the observational research targeting six infants aged 5, 6, and 7 in the dimension of preparing for the plan to discriminately apply to the creative techniqu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of infants. For this, by setting up the study ques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developmental stage of creativity during early childhood that are revealed in the application of creative technique,” I attempt to confirm which creative thinking technique is appropriate for infants at which period. In this study, six infants who are two infants aged 5 (two girls), two infants aged 6 (two boys), and two infants aged 7 (one boy and one girl) a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except for those who have difficulties in activities among nine infants in a mixed age class (5, 6, 7 years old) funded at District B Daycare center that is situated in Dongjak-gu, Seoul. And in the process of activity that applies to creative thinking technique,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are observed and evaluated. For the standard of evaluation, the scoring criterion of K-ICT for infants made by Lee, Kyung-hwa (2005) was applied to. The study results were deduced by describing and analyzing infants’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based on the materials that transcribe the observation papers, results of infants and recorded videos while observing the behaviors and products that infants show in the process of activity that applies to creative thinking technique. Summarizing the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fants have distinction in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 that is appropriate to display the expression of creative ideas or creative characteristics at each developmental stage.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observing activity, as infants aged 5, 6, and 7 have difference in frequency and positiveness to participate according to various creative techniques, it is known that the effect of developing creative ability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chnique. Secondly, for the activity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infan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class environment where the creativity can be exp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