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풍 발생 시 유출량 산정을 위한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의 지역화 연구

        황명규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집중호우 및 태풍과 같은 극한홍수사상의 발생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적 및 재산 피해가 과거와 비교하여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유역 수문분석이 필요하지만, 미계측 유역에서는 수문분석의 기초자료인 수문 자료가 관측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문 자료가 제한적인 미계측 유역에서 태풍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태풍 발생 시 유출량 산정을 위한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의 지역화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강우-유출 모형으로는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금강 13개 유역에서 4개 주요 태풍에 대하여 수집된 52개 홍수사상을 바탕으로 모형을 검정하였다. 또한, 모형 검정 결과는 목적함수 NSE를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평가되었다. 52개 홍수사상 중 NSE 값이 0.4 이상으로 적합한 결과 값을 가지는 43개 홍수사상을 지역화 회귀식 개발에 활용하였다.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43개 홍수사상의 검정 매개변수 결과와 유역 특성인자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화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역화 회귀식 중 2개는 다소 낮은 결정계수 를 보였지만, 나머지 3개는 0.6 이상의 적합한 를 나타냈다. 또한, 5개 지역화 회귀식 모두 유의확률이 0.1 이하로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개발된 지역화 회귀식이 모형 매개변수와 유역 특성인자 사이의 상관성을 충분히 설명한다고 판단하였다. 개발된 지역화 회귀식이 미계측 유역의 유출량 모의에 적합한지 평가하기 위하여, 지역화 회귀식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방법으로는 leave-one-out-cross-validation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금강 13개 유역 중 한 유역씩 차례대로 미계측 유역으로 가정하고 개발된 지역화 회귀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지역화 회귀식 개발에 활용된 43개 중 21개 홍수사상이 0.4 이상의 적합한 NSE 결과 값을 보였다. 또한, 검정 및 검증 모의 결과 값의 오차를 비교한 결과, 검증 NSE 결과 값이 검정 결과와 비교하여 20% 내의 오차를 보이는 홍수사상이 16개이지만, 첨두홍수량 및 총 유출고 모의 결과에서는 각각 27개와 33개 홍수사상이 검정 결과와 비교하여 20% 내의 오차를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하여 개발된 지역화 회귀식이 적합한 모형 모의 성능을 가지는 모형 매개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확대된 연구유역과 보다 많은 관측 수문자료를 바탕으로 우수한 지역화 회귀식을 개발하고, 태풍 발생 시 금강 미계측 유역의 태풍 발생 시 유출량을 보다 정확하게 모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직구성원과의 관계품질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황명규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지가 태도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배경으로 관계품질, 더 나아가서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실증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토대로 각 이론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총 12개의 연구가설로 구성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소비자 차원, 종업원 차원, 경제적 차원, 자선적 차원, 환경적 차원으로 구분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각 차원이 관계품질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했다. 가설 검정을 위한 표본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특수 대학원 및 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직장인 3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중에서 종업원 차원과 경제적 차원, 자선적 차원 순으로 향상시켜야 기업과 조직구성원 간의 관계품질이 유의하게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5차원들 중에서 경제적 차원과 자선적 차원 순으로 향상시켜야 조직성과가 유의하게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단일차원은 관계품질 및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했다. 종합해보면 기업의 입장에서 조직구성원과의 관계품질을 강화하거나 또는 조직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중에서 종업원 차원, 경제적 차원, 자선적 차원 이 세 가지 요인에 중점적인 경영적 관리와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편측성 운동 vs 양측성 운동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 여성의 발목 불안정성, 고유수용성 감각 및 기능적 수행 능력의 비교

        황명규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편측성 운동과 양측성 운동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 발목 불안정성, 고유수용성 감각 및 기능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발목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운동 중재 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CAIT 점수가 24점 이하인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편측성 운동 그룹 (n=10)과 양측성 운동 그룹 (n=10)으로 분류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6주간 주 2회, 일 60분씩 진행되었으며,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편측성 운동 그룹에서 1명이 탈락하게 되어 총 19명의 실험 결과를 측정하였다. CAIT, Y-balance test, LE-FMS, side hop test가 운동 전·후에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6.0 버전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 내에 운동 전·후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고, 운동 후 두 그룹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이 실험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이후, 편측성 운동 그룹과 양측성 운동 그룹의 CAIT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p<0.01). 두 그룹의 전·후 차이값에 대한 비교에서 편측성 운동 그룹은 양측성 운동 그룹보다 향상이 더 크게 일어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p<0.01). 2.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이후, 편측성 운동 그룹과 양측성 운동 그룹의 Y-balance test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두 그룹의 전·후 차이값에 대한 비교에서 편측성 운동 그룹은 양측성 운동 그룹보다 향상이 더 크게 일어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p<0.01). 3.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이후, 편측성 운동 그룹과 양측성 운동 그룹의 LE-FMS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p<0.01). 두 그룹의 전·후 차이값에 대한 비교에서 두 그룹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4.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이후, 편측성 운동 그룹과 양측성 운동 그룹의 Side hop test 기록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p<0.05). 두 그룹의 전·후 차이값에 대한 비교에서 편측성 운동 그룹은 양측성 운동 그룹보다 향상이 더 크게 일어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p<0.01). 이상의 결과에서, 편측성 운동이 양측성 운동보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 여성의 발목 안정성, 고유수용성 감각, 기능적 수행 능력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편측성 운동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들의 재활에 있어 양측성 운동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unilateral and bilateral exercises on ankle instability, propriocep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adult women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The subjects were 20 adult women with a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score of 24 or less, divided into a unilateral exercise group (n=10) and a bilateral exercise group (n=10). Th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for 6 weeks, twi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During the experiment, one participant from the unilateral exercise group dropped out, resulting in a total of 19 participants' results being measured. CAIT, Y-balance test, LE-FMS, and side hop tes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and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version 26.0.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pre- and post-exercise results within each group,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exercis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05.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After the 6-week exercise program, both unilateral and bilateral exercis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AIT scores (p<0.01).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differences, the unilateral exercise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bilatera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2. Both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Y-balance test scores after the 6-week program (p<0.01). The unilateral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compared to the bilateral group,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3. After the exercise program,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FMS scores (p<0.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5). 4. After the exercise program, both the unilateral and bilateral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side hop test scores (p<0.05). The unilater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enhancement than the bilatera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Based on these results, unilateral exercises appear to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ankle stability, propriocep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adult women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than bilateral exercis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new perspective that unilateral exercises may be more effective for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