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차원 스캔 및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깔창의 착용이 족저근막병증 환자의 통증 및 보행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정정우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배경: 족저근막병증은 발의 기능 제한과 관련이 있으며, 맞춤형 깔창은 개인의 발 모양과 필요에 맞게 제작되어 발의 통증과 불편함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 발바닥 압력을 재배치하고 보행 기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3D 스캐닝 및 프린팅의 발전으로 맞춤형 깔창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족저근막병증 환자에게 3D 스캔-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깔창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족저근막병증 환자에게 3D 스캔-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맞춤형 깔창의 효과를 통증 평가 척도 및 보행속도, 압력분산효과, 압력중심(COP; Center of Pressure) 등의 생체역학적 특성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만 19세 이상, 족저근막병증 진단을 받고 발병 후 3개월 미만의 보행을 방해하는 정형외과적 또는 신경학적 상태의 병력이 없는 보행 가능한 사람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제외 기준은 인지장애 등으로 지시 수행이 불가능, 임산부, 발 기능이나 이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사용, 발에 상처 또는 감염이 있는 경우 등이다. 모든 참가자에게는 3D 스캐닝 및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한 맞춤형 깔창이 제공되었다. 3D 스캔-프린팅 맞춤형 깔창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깔창형 족저압 검사와 압력중심(COP) 측정을 3D 스캔-프린팅 맞춤형 깔창과 일반 깔창을 무작위 순서로 착용한 상태에서 두 차례 실시했다. 깔창형 족저압 검사에서는 보행속도와 발바닥의 압력분포를 조사했고, 압력중심(COP) 측정검사에서는 전·후방향의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 Anterior-Posterior) 변위와 내·외측 방향의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 Medial-Lateral) 변위를 측정했다. 참가자의 주관적인 발 통증은 깔창형 족저압 검사 및 압력중심(COP) 측정 전과 2주 후에 각각 측정된 수치 평가 척도(NRS; Numeral Rating Scale)로 표현했다. 결과: 20명의 참가자를 모집했으며, 이 중 16명이 여성, 4명이 남성이었다. 2주간 3D 스캔-프린팅 맞춤형 깔창을 착용한 후 발의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했다(p<.01). 또한, 3D 스캔-프린팅 맞춤형 깔창을 착용할 때의 보행속도는 일반 깔창을 착용할 때보다 더 빨랐다(p<.01). 깔창형 족저압 측정 검사를 통해 발의 압력 크기를 분석한 결과, 3D 스캔-프린팅 맞춤형 깔창을 착용할 때 Forefoot, Heel, Lateral, Medial, Overall 영역에서 압력이 유의하게 감소했다(p<.01). 반면, Midfoot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p<.01). 압력중심(COP) 측정 검사를 통해 전·후방향의 압력중심(COP A-P) 변위와 내·외측 방향의 압력중심(COP M-L) 변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후방향의 압력중심(COP A-P) 변위는 깔창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내·외측 방향의 압력중심(COP M-L) 변위는 3D 스캔-프린팅 맞춤형 깔창을 착용할 때 유의하게 감소했다(p<.01). 환측 발만 따로 비교한 결과, 3D 스캔-프린팅 맞춤형 깔창을 착용했을 때 COP A-P 변위가 유의하게 증가(P<.05)하고 COP M-L 변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결론: 3D 기술을 사용한 3D 스캔-프린팅 맞춤형 깔창은 비용 측면에서도 상당한 이점이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환자의 보행 중 발 통증과 불편한 증상을 개선하고 보행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개선은 보행 속도 증가 및 압력분포 개선, 압력중심(COP) 변위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Background: Plantar fasciopathy is associated with limitations in foot function, and custom orthotic insoles are designed to alleviate foot pain and discomfort by redistributing plantar pressure and improving wal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individual's foot shape and needs. Recent advancements in 3D scanning and printing have improved the accessibility of producing custom insoles efficiently. However, research on 3D scanning-printing technology for insoles in patients with plantar fasciopathy still needs to be completed, and studies to validate their effectiveness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stom orthotic insoles produced using 3D scanning-printing technology on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walking speed, pressure distribution, and center of pressure (COP) in patients with plantar fasciopathy. Methods: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those aged 19 years or older, who had been diagnosed with plantar fasciopathy and had a recovery time of 3 months or less. Additionally, participants had to be ambulatory and free from any orthopedic or neurological conditions that could interfere with mobility. Exclusion criteria consisted of cognitive impairments preventing the ability to follow instructions, pregnancy, use of medications that could impact foot function or mobility, and presence of foot wounds or infections. All participants received customized insoles produced using 3D scanning and printing technology.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3D scan-printed custom insoles, insole plantar pressure testing and center of pressure(COP)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wice, once while wearing the 3D scan-printed custom insoles and once while wearing general insoles, in a randomized control. The insole plantar pressure test examined gait speed and distribution of pressure on the foot, while the center of pressure(COP) measurement test measured anterior-posterior(A-P) and medial-lateral(M-L) displacements of the center of pressure(COP). In addition participants' subjective foot pain was evaluated using a numerical rating scale(NRS) before and two weeks after the insole plantar pressure testing and center of pressure(COP) measurements. Results: A total of 20 participants (16 females, 4 male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fter wearing the 3D scan-printed custom insoles for two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foot pain (p<.01). Additionally, wearing the 3D scan-printed custom insoles resulted in faster walking speeds than general insoles(p<.01). Analysis of insole plantar pressure showed significant pressure reduction in the forefoot, heel, lateral, medial, and overall areas with the custom insoles, while the midfoot are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pressure(p<.01). Center of pressure(COP) measuremen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nter of pressure anterior-posterior(COP A-P) displacement based on the type of insole, but center of pressure medial-lateral(COP M-L) displacement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3D scan-printed custom insoles(p<.05). In a separate analysis focusing on the affected foot, comparing the 3D scan-printed custom insoles with the general insole, it was observed that wearing the 3D scan-printed custom insoles resulted in an increased COP A-P displacement(p<.05) and a decreased COP M-L displacement(p<.05). Conclusion: The use of 3D technology for 3D scan-printed custom insoles offers significant cost advantag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can improve foot pain and discomfort during walking, enhancing the quality of gait. These improvement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gait speed, improved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and changes in center of pressure(COP) displacement.

      • 진단용 X선 장치와 이동형 진단용 X선 발생기를 이용한 복부 영상 검사의 화질 평가

        박준철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목적 : 복부 영상검사에서 검사실 복부 촬영(Table Abdomen Exposure, TAE)와 이동형 X-ray 복부 촬영(Portable Abdomen Exposure, PAE)의 대조도 대 잡음비 (CNR)와 신호 대 잡음 비(SNR)를 측정하여 이동형 X-ray 검사의 객관적인 평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23년 3월부터 2023년 8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복부 검사를 시행한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IRB 심사를 받고 진행하였다.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누운 자세에서 검사를 병행하였다. 검사실 촬영은 AEC(Auto Exposure Control)을 켜 놓고 검사를 하였고, 포터블 촬영은 검사장비에 맞춰 놓은 조건(77kVp, 10 mAs)을 기본 값으로 하고 환자의 상태에 맞춰 조건의 변화를 주었다. 화질 평가는 복부검사의 평가요소 중 3곳(간, 요추, 장요근)을 인피니트 사의 PA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조도 잡음비와 신호 대 잡음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진단용 X선 장치와 이동형 X선 장치로 촬영한 영상을 비교한 결과, 간은 진단용 X선 장치가 이동형 X선 장치보다 우수하게 나왔고, 다른 두 곳은 거의 비슷한 결과 값을 나타냈다. 통계적으로는 모두 유의한 결과 값을 보였다.(p<.01) 결론 및 고찰 : 이동형 X-선 장치 방법으로 촬영한 영상도 진단용 X-선 장치처럼 우수한 화질을 제공하므로 이를 토대로 임상에서 이동형 X-선 장치 촬영의 더 폭 넓은 활용법을 재정립한다면 유용성이 크다고 사료된다. Purpose : In Abdominal imaging, the contrast noise ratio(CNR) and signal-to-noise ratio(SNR) of Table Abdomen Exposur(TAE) and Portable Abdomen Exposure(PAE) were measured to present and objective evaluation of mibile X=ray test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rch 2023 to August 2023, 40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and performed Abdominal examinations were subject to IRB screening. The same patient was tested in a lying position. The examination room shooting was conducted with the Auto Exposure Control(AEC) on, and the Mobile X-ray shooting was based on the conditions(77 kVp, 10 mAs) tailored to the examination equipment and changed the conditions of the patient’s condition. The quality evaluation was compared by measuring CNR and SNR using INFINITE’s PACS program for three of the ecaluation factors of abdominal examination (Liver, Lumbar spine, and Psoas muscles).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mages taken by TAE and PAE methods in terms of contrast-to-noise ratio and signal-to-noise ratio, TAE was superior to PAE in the Liver, and the tow areas showed almost similar result values, which were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p<.05) Conclusion and Discussioin : Since images taken with the PAE method also provide excllent image quality like TA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very useful if the wider use of Mobile X-ray imaging in clinical practive is re-established based on this.

      •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이 사무직 근로 여성의 하지부종과 균형능력, 피로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Purpose: Office women workers are exposed to lower extremity edema, balance ability problems, and fatigue due to decreased blood and lymph circulation and decreased movement while living in a sitting position for a long time. Gyrokinesis exercise, which can be presented as an exercise method that can effectively affect lower extremity edema, balance ability, and fatigue,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but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is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Gyrokinesis exercise on lower extremity edema, balance ability, and fatigue. Methods: Twenty-seven adult women (age range 20s to 40s) who have been working in office worker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ercise group (n = 14) or a control group (n = 13). The exercise group performed a Gyrokinesis exercise 60 min a day, 2 times a week for a total of 8 weeks. The control group were compression stockings during working hours for 8 week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nonparametric test were performed as changes (post - pre)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and control groups. Results: Changes in ankle circumference from lower extremity circum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body ECW/TBW (p<.05) and lower extremity ECW/TBW (p<.01) changes in body wat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balance ability test,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close test (p<.005) and YBT R-PL (P<.05). Changes in FS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p<.005). Conclusion: The Gyrokinesis exercise is a new exercise method, and more people perform it, but prior research on its effectiveness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Gyrokinesis exercise is effective in reducing lower extremity edema, improving balance ability, and reducing fatigue in office working women.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increased blood and lymphatic circulation, increased proprioception through mechanical stimulation, increased vestibular sensation through 3D movement, increased deep muscle strength and spine strength and flexibility, reduced stress depending on the form of meditation. 목적: 사무직 여성 근로자는 장시간 앉은 자세로 생활하면서 혈액 및 림프 순환의 저하와 움직임 감소로 인해 하지부종, 균형 능력 문제, 피로에 노출되어 있다. 효율적으로 하지부종, 균형 능력, 피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운동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는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은 국내에서 강사 및 센터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나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운동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이 하지부종과 균형능력,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사무직 근로 여성 27명 (20 ~ 40대)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운동군 (n = 14)과 대조군 (n = 13)에 무작위 배정하였다. 운동군은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을 60분 동안 주 2회로 8주간 진행하였고, 대조군은 8주간 압박스타킹을 주 2회, 하루 4시간 이상 근무시간내 착용하도록 권고하였다. 본 연구는 운동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변화 값 (사후 - 사전)으로 독립 표본T-test와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하지 둘레에서 발목 둘레의 변화는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1), 체수분의 변화에서는 신체 전체의 ECW/TBW (p<.05)와 하지의 ECW/TBW (p<.01)변화에서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균형능력 검사인 눈감고 한 발 서기 (p<.005)와 YBT R – PL (p<.05)의 변화에서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FSS의 변화도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결론: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은 새로운 운동법으로 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지만, 그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은 사무직 근로 여성의 하지부종 감소와 균형능력 향상 및 피로 감소에 효과가 있었는데, 이는 자이로키네시스 운동의 원리가 적용되어 혈액 및 림프 순환의 증가와 기계적 자극을 통한 고유수용감각 증진, 3차원적인 움직임을 통한 전정감각 증진, 심부 근력과 척추 주변 근력 및 유연성 증진, 명상의 형태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 자동 유방초음파 AP 검사 시 유방 밀도에 따른 최적의 스캔 범위에 관한 연구

        노지민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Purpose : Recently automated breast ultrasound (ABUS) is well used for alternative to hand-held ultrasound (HHUS), due to low sonographer dependency and good reproducibility. ABUS gain video sonogram through 3 scanning procedure. When scanning the breast, a trained radiologist place the transducer to get whole breast tissue.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this quantitative evaluation is to find the suitable scan range for including whole breast parenchyma depending on breast density.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we used the data of 40 women between ages of 20 to 65 years old who examined ABUS for screening purpose. Every patients also progressed mammography at the same time. Therefore I classify breast density using “BI-RADS” by mammography reading in company with “Quantra” by Hologic algorithm. Using the right breast AP view, I measured vertical distance to include all superior and inferior part of breast tissue respectively based on nipple. At this time caliper function on workstation is used. Finally calculate the ratio of superior distance to inferior distance and the proportion in dense breast versus fatty breast was compared. Results : Each of dense breast and fatty breast group performed Shapiro-Wilk test, which is one of the normality test and confirmed that each group have a normal distribution. (Dense breast group p=0.161, Fatty breast group p=0.765) Then compared two group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ccording to levene’s test we can find out those group have equal variance (p=0.108) and significant difference have been proved between two groups. (t=7.382, p=0.000) Conclusion and Discussion : We can find out different breast tissue proportion pursuant to breast density obtained through mammography. So this ratio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aking ABUS AP images. In this way, setting the appropriate scan range according to breast density will shorten the ultrasound scan time and at the same time can increase efficiency. Therefore as the density of breast increase, sonographer are advice to set the scan range by reducing the ratio of lower breast tissue to the upper. Keywords : Automated breast ultrasound, fibroglandular tissue, breast density, dense breast 목적 : 수동 유방초음파의 대안으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동 유방초음파는 검사자 의존성이 낮으며 재현성이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동 유방초음파는 세 번의 스캔 과정을 통해 유방의 초음파 비디오 영상을 얻는 검사법으로 훈련된 방사선사가 스캔 시 탐촉자를 배치하여 전체 유선조직이 포함된 영상정보를 얻게 된다. 이때 유방 치밀도에 따라 유선조직을 전부 포함할 수 있는 검사 범위에 대해 정량적인 평가를 진행하여 최적의 스캔 위치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스크리닝 목적으로 자동 유방초음파를 진행한 여성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환자들의 유방 치밀도는 같은 해에 검사한 유방촬영 검사 결과의 BI-RADS 분류와 Quantra를 함께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치밀 유방은 BI-RADS C, D이면서 동시에 Quantra 값이 3~4인 경우로 분류하였고, BI-RADS A, B이면서 Quantra 값이 1~2 는 지방질이 많은 유방으로 판단하였다. 자동 유방초음파의 RAP (우측 유방 AP view)를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유두로부터 위쪽 유선조직이 모두 포함되는 데까지 필요한 거리와 아래쪽이 모두 포함되는 데까지의 수직거리를 caliper 기능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RAP 상에서 포함되어야 할 위쪽 유선조직까지의 거리를 Ds (Distance to superior parenchyma), 아래쪽 유선조직까지의 거리를 Di (Distance to inferior parenchyma)라고 두었을 때 의 수식으로 비율을 구하여 치밀 유방과 지방질 유방을 비교하였다. 결과 : 치밀 유방과 지방질 유방 각각에서 Shapiro-Wilk 정규성 검정을 시행한 결과 정규분포에 해당함이 확인되었다. (치밀 유방 p=0.161, 지방질 유방 p=0.765) 이에 두 집단을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해 비교하였고 Levene의 등분산 검정으로 (p=0.108) 두 그룹이 동일 분산을 가지며 t=7.382, p=0.000으로 치밀 유방과 지방질 유방 사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결론 및 고찰 : 자동 유방초음파 전후방 영상을 얻을 때 유방촬영을 통해 사전에 확인된 유방의 치밀도에 따라 유선조직의 상하 비율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유방의 치밀도에 따른 스캔 범위를 다르게 설정한다면 검사 시간 단축과 동시에 효율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치밀도가 증가할수록 아래쪽에 대한 위쪽 유선조직의 비율을 줄여 검사 범위를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주제어 : 자동 유방초음파, 섬유 유선조직, 유방 밀도, 치밀 유방

      • 이동형 디지털 선 장치에서 X EI(Exposure Index), DI(Deviati on Index)를 이용한 흉부 전 후 방향 검사 시 최적의 조건 연구

        장지웅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목적 : Chest AP( )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흉부 전후 방향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서 이동형 촬영기기 가 필요하다 (Portable) . 하지만 디지털 시스템에서 촬영기기는 노출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AEC (Auto Exposure Control) Mode를 이용해 검사를 진행 하기 때문에 방사선 종사자들이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에 무관심한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선 를 지원하지 않는 이동형 촬영기기의 AEC Mode Manual Mode의 여러 조건을 가지고 연구하여 나온 의 값을 통해 흉부 전 후 방 EI, DI 향 의 최적의 조건을 찾고자 한다 (Chest AP) . 대상 및 방법 : (Portable) 본 연구는 이동형 촬영기기 를 이용해 본원에서 거동 이 불편한 환자의 흉부 전후 방향 촬영조건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 Chest AP( ) 다 촬영조건 을 기준으로 흉부 . SID 100Cm, 80kVp, 3.2mAs (Chest) Phantom 을 이용해 가지 인자를 변화시키며 실험하였 SID, Tube Angle, kVp, mAs 4다. SID 80Cm ~ 150Cm 10Cm , Tube 는 의 범위 내에서 씩 늘려가며 하였고 Angle 0 , 25 , 45 , 65 , 86 ( 90 ) , kVp 은 각각 도 도 도 도 도 약 도 로 변화하였으며 는 70kVp ~ 110kVp 10kVp . 범 위 내에서 씩 증가하며 연구 하였다 마지막으로 mAs 10mSec mA 125mA, 160mA, 는 조사시간을 로 고정하고 값을 각각 200mA, 250mA, 320mA, 400mA 6 . 단계로 변화 시켰다 각각의 인자를 변화시키고 번씩 반복 촬영 해 그 값을 평균 내어 5 AAPM Report No.116 DI Action Levels Repeat DI -3 ~ 에서 권고한 범위내인 +3 . 에 적합한 조건을 알아보았다 결과 : 4 DI -3 ~ +3 가지 변화인자를 비교 하였을 때 범위 내에 적합한 조건 은 평균 평균 모든 각 SID 140Cm ( DI : 2.7), 150Cm ( DI : 2.1), Tube Angle 이 범위 안에 적합하였으며 평균 평균 , 70kVp ( DI : -0.7), 80kVp ( DI : 1.5), 1.25mAs ( DI : -1.1), 1.6mAs ( DI : 0.07), 2mAs ( DI : 평균 평균 평균 0.99), 2.5mAs ( DI : 1.4), 3.2mAs ( DI : 2.6) . 평균 평균 로 나타났다 결론 :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흉부 전후 방향 촬영 시 방사선 종 (Chest AP) , 사자들이 검사 중간에 환자가 받는 선량이 Under Exposure, Optimal, Over - Exposure, Extremely Exposure되었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선 검사를 를 통하여 환자에게 필요이상의 . X- EI, DI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고 영상의 질을 향상 시키는 등의 기여를 할 수 있을 , 것으로 예상된다. Purpose : A portable imaging modality is needed to perform a Chest AP (Antero-Posterior) on a patient with limited mobility. However, in digital systems, the examination is performed using Auto Exposure Control (AEC) Mode, which automatically controls the exposure conditions, which often makes radiologists indifferent to the dose received by the pat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 of Chest AP by studying the values of manual mode EI and DI of a Mobile Portable that does not support AEC Mode under various conditions.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our hospital using a portable imaging device (Portable) to test the Chest AP (Antero-Posterior direction) of a patient with mobility disabilities by varying the four factors of SID, Tube Angle, kVp, and mAs using the Chest Phantom. The SID was increased by 10Cm within the range of 80Cm ~ 150Cm, and the tube angle was varied from 0 ㅇ, 25 ㅇ,45 ㅇ,65 ㅇ,86 ㅇ(about90 ㅇ ), respectively, and the kVp was studied by increasing 10kVp within the range of 70kVp ~ 110kVp, Finally, for mAs, the irradiation time was fixed at 10mSec and the mA value was varied in six steps of 125mA, 160mA, 200mA, 250mA, 320mA, and 400mA. Each factor was varied and repeated 5 times and averaged to find the condition that falls within the repeat range of DI -3 to +3 as recommended by the AAPM Report No.116 DI Action Levels. Results : When comparing the four variables, the ones that came within the range of DI -3 to +3 were SID of 140Cm (average DI: 2.7), 150Cm (average DI: 2.1), Tube Angle of all angles came within the range, kVp of 70 kVp (average DI: -0. 7), 80 kVp (average DI: 1.5), mAs was 1.25 mAs (average DI: -1.1), 1.6 mAs (average DI: 0.07), 2 mAs (average DI: 0.99), 2.5 mAs (average DI: 1.4), 3.2 mAs (average DI: 2.6). Conclusion : When performing an antero posterior view of the chest (Chest AP) on a patient with limited mobility, radiologists can quickly recognize if the patient is Under Exposure, optimally, Over Exposure, Extremely- Exposure during the exam and take immediate action.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digital X-ray examinations with EI and DI can contribute to reducing unnecessary doses to patients and improving image quality.

      •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어깨관절 견봉하 감압술 환자의 어깨 기능과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민수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mpound exercise program, applied for 12 weeks to patients who have undergone acromioplasty for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non-exercise group, a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 and a compound exercise program group incorporating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The study aims to assess the impact of the compound exercise program through pain scale (VAS), Oxford Shoulder Function Evaluation (OSS),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Test, and to present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ound exercise program to the participan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individuals diagnosed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nd who underwent acromioplasty at the Joint Center of Hospital D located in Incheon. A total of 45 participants were included, with 15 in each group: the Control Group (CG) without rehabilitation exercises, the Shoulder Rehabilitation Group (SRG) with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s, and the Compound Exercise Program Group (CEPG) receiving a combined exercise program. Both groups underwent a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starting from the day after the surgery, conducted twice a week for approximately 50 minutes each session over a period of 12 weeks. The exercise intensity was gradually adjusted based on individual capabilities, following guidelines from the ACSM resource manual, and maintained at a perceived exertion level of "slightly challenging" (RP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7.0 (SPSS INC, Chicago, USA), employ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was set at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group in the pain scale (VAS) (P= 0.026),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time point (P= 0.000),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time point (P= 0.000). In the Oxford Shoulder Score (OSS),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group (P= 0.036),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time point (P= 0.000),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time point (P= 0.003). In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 Test for in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or the group at 60˚/sec (P=0.240) and 180˚/sec (P=0.256),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or the time point at 60˚/sec (P=0.000) and 180˚/sec (P=0.000). Additionally,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time point was observed at 60˚/sec (P=0.000) and 180˚/sec (P=0.000). For external ro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or the group at 60˚/sec (P=0.243) and 180˚/sec (P=0.090), but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or the time point at 60˚/sec (P=0.000) and 180˚/sec (P=0.000). Moreover,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time point was found at 60˚/sec (P=0.001) and 180˚/sec (P=0.008).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a compound exercise program with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after acromioplasty for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uscle function for alleviating shoulder pain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uture research on compound exercise programs incorporating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should be conducted not only for acromioplasty but also for a broader spectrum of shoulder joint conditions, including shoulder instability and rotator cuff disorders. 본 연구의 목적은 어깨 충돌증후군으로 어깨관절 견봉하 감압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어떠한 운동도 진행하지 않은 그룹, 어깨 재활운동프로그램그룹, 체간 안정화 운동이 혼합 설계된 복합운동프로그램그룹으로 나누어 12주 적용하여 통증척도 (VAS), 옥스퍼드 어깨 기능 평가(OSS), 어깨 등속성 근기능(Isokinetic Muscle Function Test)를 통해 체간 안정화 운동이 혼합 설계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 화자들에게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유효성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D 병원 관절센터 전문의로부터 어깨 충돌증후군을 진단받고 견봉하 감압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총 4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재활운동 적용하지 않은 그룹(Control Group: CG) 15명, 어깨 재활운동그룹(Shoulder Rehabilitation Group: SRG) 15명,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그룹(Compound Exercise Program Group: CEPG)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을 적용할 두 그룹 모두 수술 후 다음날부터 12주간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12주간 주 2회 1회 약 50분(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운동강도는 ACSM resource manual을 참고하여 개개인의 운동 강도에 맞게 점진적으로 운동강도를 설정하였으며, 운동자각도(RPE)의 “약간 힘들다” 수준으로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27.0(SPSS INC, Chicago,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원 반복 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모든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수준은 α<.05 이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증척도(VAS)에서 그룹에 대한 주효과는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P= 0.026), 시점에 대한 주효과는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P= 0.000). 또한 그룹과 시점에 대한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000). 옥스퍼드 어깨 기능 평가(OSS)에서 그룹에 대한 주효과는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P= 0.036), 시점에 대한 주효과는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P= 0.000). 또한 그룹과 시점에 대한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0.003). 어깨 등속성 근기능(Isokinetic Muscle Function Test) 내회전에서 그룹에 대한 상호작용은 60˚/sec (P=0.240), 180˚/sec (P=0.256)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점에 대한 상호작용은 60˚/sec (P=0.000), 180˚/sec (P=0.000)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그룹과 시점에 대한 상호작용에서 60˚/sec (P=0.000), 180˚/sec (P=0.000)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외회전에서 그룹에 대한 상호작용은 60˚/sec (P=0.243), 180˚/sec (P=0.090)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점에 대한 상호작용은 60˚/sec (P=0.000), 180˚/sec (P=0.000)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그룹과 시점에 대한 상호작용에서 60˚/sec (P=0.001), 180˚/sec (P=0.008)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깨 충돌증후군으로 인한 견봉하 봉합술 후 체간 안정화 운동이 혼합 설계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은 어깨 통증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근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체간 안정화 운동이 혼합 설계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연구는 견봉하 감압술 뿐만 아니라 어깨 불안정성, 회전근개 질환등 전반적인 견관절 질환에 적용되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편측성 운동 vs 양측성 운동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 여성의 발목 불안정성, 고유수용성 감각 및 기능적 수행 능력의 비교

        황명규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편측성 운동과 양측성 운동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 발목 불안정성, 고유수용성 감각 및 기능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발목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운동 중재 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CAIT 점수가 24점 이하인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편측성 운동 그룹 (n=10)과 양측성 운동 그룹 (n=10)으로 분류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6주간 주 2회, 일 60분씩 진행되었으며,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편측성 운동 그룹에서 1명이 탈락하게 되어 총 19명의 실험 결과를 측정하였다. CAIT, Y-balance test, LE-FMS, side hop test가 운동 전·후에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6.0 버전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 내에 운동 전·후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고, 운동 후 두 그룹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이 실험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이후, 편측성 운동 그룹과 양측성 운동 그룹의 CAIT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p<0.01). 두 그룹의 전·후 차이값에 대한 비교에서 편측성 운동 그룹은 양측성 운동 그룹보다 향상이 더 크게 일어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p<0.01). 2.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이후, 편측성 운동 그룹과 양측성 운동 그룹의 Y-balance test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두 그룹의 전·후 차이값에 대한 비교에서 편측성 운동 그룹은 양측성 운동 그룹보다 향상이 더 크게 일어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p<0.01). 3.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이후, 편측성 운동 그룹과 양측성 운동 그룹의 LE-FMS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p<0.01). 두 그룹의 전·후 차이값에 대한 비교에서 두 그룹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4.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이후, 편측성 운동 그룹과 양측성 운동 그룹의 Side hop test 기록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p<0.05). 두 그룹의 전·후 차이값에 대한 비교에서 편측성 운동 그룹은 양측성 운동 그룹보다 향상이 더 크게 일어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p<0.01). 이상의 결과에서, 편측성 운동이 양측성 운동보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 여성의 발목 안정성, 고유수용성 감각, 기능적 수행 능력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편측성 운동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들의 재활에 있어 양측성 운동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unilateral and bilateral exercises on ankle instability, propriocep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adult women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The subjects were 20 adult women with a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score of 24 or less, divided into a unilateral exercise group (n=10) and a bilateral exercise group (n=10). Th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for 6 weeks, twi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During the experiment, one participant from the unilateral exercise group dropped out, resulting in a total of 19 participants' results being measured. CAIT, Y-balance test, LE-FMS, and side hop tes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and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version 26.0.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pre- and post-exercise results within each group,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exercis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05.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After the 6-week exercise program, both unilateral and bilateral exercis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AIT scores (p<0.01).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differences, the unilateral exercise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bilatera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2. Both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Y-balance test scores after the 6-week program (p<0.01). The unilateral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compared to the bilateral group,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3. After the exercise program,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FMS scores (p<0.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5). 4. After the exercise program, both the unilateral and bilateral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side hop test scores (p<0.05). The unilater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enhancement than the bilatera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Based on these results, unilateral exercises appear to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ankle stability, propriocep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adult women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than bilateral exercis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new perspective that unilateral exercises may be more effective for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 멀리건 관절가동술과 플로싱 밴드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신체적 기능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멀리건 관절가동술(Mulligan mobilization)과 플로싱 밴드(Flossing band)를 비교하여 무릎관절 통증, 관절가동범위, 무릎관절 기능점수, 보행 능력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재활치료 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멀리건 관절가동술 그룹 9 명, 플로싱 밴드 그룹 8명으로 분류하였고 중재 프로그램은 1 회 30 분, 주 3회, 총 4주간 멀리건 관절가동술 그룹은 멀리건 관절가동술을 이용하여 수동적 관절가동운동을 동반한 균형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플로싱 밴드 그룹은 플로싱 밴드를 이용하여 능동적 관절가동운동을 동반한 균형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무릎관절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기능점수, 보행 능력에 대한 평가는 중재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 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를 통해 나온 모든 데이터는 평균 (mean)과 표준편차 (standard deviation)로 제시하였다. 멀리건 관절가동술 그룹과 플로싱 밴드 그룹의 그룹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그룹 내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p <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재 프로그램에 따른 그룹간 시각 아날로그 척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그룹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멀리건 관절가동술 그룹과 플로싱 밴드 그룹 내에서는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 < .05). 2) 중재 프로그램에 따른 그룹간 관절가동범위를 분석한 결과 그룹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멀리건 관절가동술 그룹과 플로싱 밴드 그룹 내에서는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3) 중재 프로그램에 따른 그룹간 무릎관절 기능점수를 분석한 결과 그룹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멀리건 관절가동술 그룹과 플로싱 밴드 그룹 내에서는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 < .05). 4) 중재 프로그램에 따른 그룹간 보행 능력을 분석한 결과 그룹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5). 멀리건 관절가동술 그룹과 플로싱 밴드 그룹 내에서는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 < .05). 따라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재활치료 시에 통증의 감소, 관절가동범위의 회복, 무릎관절 기능 및 보행 능력 향상에 있어 플로싱 밴드의 적용이 효과적인 중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by comparing Mulligan mobilization and Flossing ba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argeting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n knee joint pain, range of motion, knee joint function scores, and walking ability during rehabilitation and present effective method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Seventeen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ere classified into 9 patients in the Mulligan joint mobilization group and 8 patients in the flossing band group.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once,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4 weeks, The Mulligan joint mobilization group performed a balance exercise program with passive joint mobilization using Mulligan joint mobilization, and the flossing band group performed a balance exercise program with active joint mobilization using a flossing band. The evaluation of knee joint pain, joint range of motion, functional scores, and walking abilit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ll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0.0 statistical program, and all data from the study were present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Mann-Whitney U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the Mulligan joint mobilization group and the flushing band group,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all data was set at p < .05.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nalysis of visual analog scale chang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program showed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p > .05). Within the Mulligan joint mobilization group and the flossing band group,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int range of mo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program,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p > .05). Within the Mulligan joint mobilization group and the flossing band group,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nee joint function scor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program,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p > .05). Within the Mulligan joint mobilization group and the flossing band group,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alking ability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program,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p > .05). Within the Mulligan joint mobilization group and the flossing band group,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Therefore, 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application of the flossing band proves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reducing pain, restoring joint range of motion, and enhancing knee joint function and walking ability.

      • 다양한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운동 시 무릎 관절 각도에 따른 하지근육의 근활성도 차이 분석

        임형엽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정면과 밸런스 패드, 보수에서 스쿼트 시 무릎 관절의 굴곡 각도에 따른 하지근육의 근활성도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스쿼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남녀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은 45도, 90도, 120도 각도에서 등척성 수축으로 3회 반복 측정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의 무릎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안정면과 2가지 불안정면 위에서의 등척성 수축 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의 근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무선 근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전경골근, 장비골근, 내측비복근, 외측비복근을 측정하였다. 각 요인(면, 각도)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은 지지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무릎 각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무릎 각도가 증가할수록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근활성도가 크게 나타났다. (2) 전경골근, 장비골근은 무릎 각도와 지지면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무릎각도와 지지면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릎 각도가 증가할수록 전경골근과 장비골근의 근활성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지지면의 불안정 정도가 증가할수록 전경골근과 장비골근의 근활성도가 크게 나타났다. (3)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내측비복근, 외측비복근은 무릎 각도와 지지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와 같이 스쿼트 동작 시 지지면의 차이와 무릎 굽힘 각도의 변화가 발목관절 주변 근육 근활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다양한 중재 방식과 숙련 정도에 따른 다양한 대상자를 선별하여 스쿼트 효과를 비교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ective squat method by investigating the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limb muscles according to the flexion angle of the knee joint when squatting on the stability surface, balance pad, and Bosu.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male and female adults. Subjects repeated measurements three times with isometric contractions at knee angles of 45 degrees, 90 degrees, and 120 degrees.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on a stable surface and two unstable surfaces while maintaining the subjects' knee angle. To investigate the muscle activity of the subjects, the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biceps femoris, semitendinosus, tibialis anterior, peroneus longus, medial gastrocnemius, and lateral gastrocnemius were measured using a wireless electromyography device. To determine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each factor (surface, angle),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perform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faces for the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nee angles. As the knee angle increas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increased.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bialis anterior and peroneus longus muscles in both knee angles and surfac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knee angles and surfaces. As the knee angle increas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tibialis anterior and peroneus longu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as the degree of instability increas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tibialis anterior and peroneus longus increased.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nee angles and surfaces for the biceps femoris, semitendinosus, medial gastrocnemius, and lateral gastrocnemius. As shown in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surfaces and the change in knee angles during the squa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muscle activity of the muscles around the ankle joint. Therefore, in the future, continued research will be need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quats by selecting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and various subjects according to level of skill.

      • X 선 촬영을 위한 Long Bone 검사 방법에 따른 왜곡 정도 분석 연구

        이현주 고려대학교 융합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39

        척추나 무릎관절의 진료에서 긴 해부학적 구조를 보는 Long Bone 검사는 척추 혹은 하지의 전반적 배열 상태 관찰이 가능해 진료나 수술, 혹은 수술 경과 확인 등에 필수적인 검사로 시행되고 있다. 이런 긴 해부학적 구조를 보는 검사는 엑스선 장비의 제조 회사마다 혹은 장비마다 다른 검사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렇기에 어떤 방식으로 검사를 할 때 왜곡이 적고, 정확한 영상을 제공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기에 검사방법과 장비에 따른 왜곡 정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장비는 DK사의 X-ray 장비로 Tube의 최대 출력은 150kV에 초점의 크기는 0.6, 1.2mm이며, 사용한 검출기는 DK 사의 Long bone Detector와 1717VA Detector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검사조건은 80kV, 250mA, 50mAs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검사방법은 네 가지로 Long bone Detector 를 이용한 방법, X-ray tube의 방사각도가 변경되며 Detector를 따라 이동하는 Angle rotate stitch방법, X-ray Tube를 고정하고 Detector만 이동하며 영상을 획득하는Wide stitch, X-ray tube와 Detector가 마주보며 함께 이동하는 Linear stitch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검사법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SID를 적용해 방법마다 240cm, 200cm, 260cm, 180cm에서 검사를 진행하였다. 검사에 사용된 팬텀은 (H(400mm) × V (1184mm) × D(5mm)) 크기로 아크릴과 납을 이용해 제작되었으며, 상하좌우50mm간격을 두고 6mm 두께의 납테이프를 부착한 격자모양으로 제작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Long bone Detector 사용방법은 엑스선을1회 조사하여 영상을 획득, 나머지 방법들은 각 4회씩을 조사하여 1장의 합성 영상을 획득했고, 실험은 검사 방법 별 총 5회를 진행하였다. 획득한 영상은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해 Threshold로 영상의 농도구간에 따라 구획 후 3200배 확대하며 길이를 측정하였다. 정해진 구간의 가로, 세로 길이를 측정해 가로대비 세로의 비율을 구하고, 모든 검사 영상의 가로세로비율 수치를 측정해 왜곡도를 측정하였다. Long bone Detector 사용방식은 Stitch 방식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타 영상과 동일한 구간 비교를 위해 Stitch가 실행된 구간과 실행되지 않은 구간의 위치를 동일하게 적용해 비교하였다. 각 검사 방법 간의 차이를 관찰하기 위해 모든 구간을 측정한 데이터로 통계를 진행한 결과 네 가지 방식 간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Linear Stitch 방식에서 가장 다른 방법과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Stitch 실행이 일어나지 않은 구간에서의 왜곡은 네 방법이 모두 비슷한 정도의 수치를 보였으나, Stitch가 실행된 구간에서는 Long bone Detector와 Angle Rotate Stitch방식이 둘 다 1.000 ± 0.005의 수치로 왜곡이 적었으며, Wide Stitch 방식에서는 1.002 ± 0.013의 수치, Linear Stitch방식에서는 1.003 ± 0.009로 Linear 방식에서 가장 왜곡이 많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통계적인 결과 와 측정한 데이터 수치를 구간별로 검토해본 결과 Linear 방식이 가장 왜곡이 많았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자의 가설이 기각됨을 알 수 있었다. 네 가지 검사방법 모두 왜곡이 발견되었지만 측정 구간의 가로, 세로 비율의 측정치는 ±0.01정도의 근소한 비율차이만 나타났다. 그렇기에 모든 영상에서 왜곡이 육안으로 크게 관찰되기는 어려워 보였으며, 네 가지 방법 가운데 가장 정확한 방식을 가려내어 검사를 하기 보다는 검사 공간이나, 환자의 상태, 선량 등을 고려하여 최선의 검사 방법과 장비를 고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 판단된다. The Long Bone examination, utilized in the diagnosis of spinal or knee joint conditions, enables the comprehensive observation of the overall anatomical structure, making it an essential procedure for medical treatments, surgeries, and postoperative assessments. Given the variations in examination techniques adopted by different X-ray equipment manufacturers, a thorough analysis of distortion levels based on examination methods and equipment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most accurate imaging approach. The equipment employed in the experiment was DK's X-ray equipment, featuring a maximum tube output of 150kV and focal spot sizes of 0.6 and 1.2mm. The detectors used were DK's Long Bone Detector and 1717VA Detector, with examination conditions set at 80kV, 250mA, and 50mAs. Four distinct examination methods were applied: utilizing the Long Bone Detector, employing the Angle Rotate Stitch method with changes in the X-ray tube's angle and detector movement, adopting the Wide Stitch method with a fixed X-ray tube and moving detector, and implementing the Linear Stitch method where both the X-ray tube and detector move together. Each method was conducted at various Source-to-Image Distances (SIDs) commonly used in clinical settings, specifically 240cm, 200cm, 260cm, and 180cm. The phantom used in the examination was constructed with dimensions (H(400mm) × V(1184mm) × D(5mm)), using acrylic and lead, and featured a grid pattern created by attaching 6mm thick lead tape at 50mm intervals in all directions. While the Long Bone Detector method involved a single X-ray exposure to obtain an image, the other methods required four exposures each, resulting in the acquisition of a composite image. The obtained images were subjected to segmentation based on the threshold in Image J software, magnified by 3200 times, and the length was measured. The aspect ratio of the defined region was then calculated, and distortion level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aspect ratio of all examination images. Although the Long Bone Detector method did not incorporate the Stitch technique, a comparison was made by applying Stitch to matched regions where it was executed and those where it was not.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easured data for all region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methods, with the Linear Stitch method exhibiting the most substantial variance compared to other methods. In regions without Stitch application, distortion levels were relatively similar across all methods. However, in Stitch-applied regions, both the Long Bone Detector and Angle Rotate Stitch methods showed minimal distortion with values of 1.000 ± 0.005. The Wide Stitch method exhibited a distortion level of 1.002 ± 0.013, while the Linear Stitch method showed the highest distortion at 1.003 ± 0.0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