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나노 광 구조의 제작과 특성 분석

        최진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표면 플라즈몬-폴라리톤(Surface Plasmon-Polariton; SPP)은 금속-유전체 사이의 경계면을 통해 진행하는 전자기파로 도파되는 대부분의 에너지가 경계면 근처의 회절 한계보다 좁은 영역에 집속된다. 금속-유전체 나노 구조물을 이용할 경우 표면 플라즈몬 으로 인해 나노 구조물이 광학적 안테나(Optical Antennas) 역할을 수행하거나 전자기파를 Sub-wavelength 크기로 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최근에 이와 같은 나노 구조를 통하여 전달되는 광세기를 향상(Enhancement)시키거나 Sub-wavelength 크기로 광 에너지를 집속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나노 금속 구조인 로드 구조와 갭 구조를 모두 갖는 FFR(Faced Folded Rod) 구조의 제작 방식에 대해 논의한다. FIB(Focused Ion Beam) 장비의 두 가지 제작 방식인 Pattern Milling과 Image Milling 방법을 적절이 조합한 최적화된 제작 방법을 제시하고 제작된 FFR 구조의 특성을 광학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다. We report the fabrication process of metallic optical nano-structures using FIB (Focused Ion Beam) technology. Two methods are available: pattern milling and image milling. Pattern milling can be used to fabricate simple shallow nano-structures whose thickness can be easily controlled. Image milling can be applied to the fabrication of complicated structures having relatively thicker depth. By compounding these two methods ingeniously, we can fabricate more complex, practical optical nano-structure such as FFR (Faced Folded Rod).

      • 유치와 영구치에서 치과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최진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환자들의 심미적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영구치뿐만 아니라 유치에서도 복합레진 등의 심미적 수복재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상아질접착제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유치와 영구치 그리고 동물의 치아를 대상으로 행해져 왔는데, 영구치에 대한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력에 대한 보고는 많이 있었으나, 유치에 대한 결합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유치와 영구치에 접착제의 결합력 비교 또한 과거에 일부 있었으나, 최근의 접착제에 대한 비교 연구는 희소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치과용 접착제를 대상으로 유치와 영구치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을 비교 평가하여 임상에서 상아질결합제를 적절하게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으며, 실험재료로 Adper Scotchbond Multi- purpose Plus Adhesive (SM; 3M ESPE, USA), Adper Single bond 2 (SB; 3M ESPE, USA), Clearfil SE Bond (SE; Kuraray Medical Inc., Japan), Adper Prompt L-Pop (PL; 3M ESPE, USA), G-Bond (GB; GC Cooperation Toyko, Japan)을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치 법랑질에서 전단결합강도는 SM이 28.47±7.93 MPa 로 가장 높았고 SB (28.18±6.84), PL (24.02±6.14), SE (21.70±6.56), GB (17.70±6.68) 순이었 다. SM과 SB는 SE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SM, SB, PL은 GB보다 높았다(p<0.05). 2. 유치 상아질에서 전단결합강도는 SE가 28.72±14.44 MPa 로 가장 높았고, PL (20.10±6.13), SM (17.72±10.65), SB (15.48±2.66), GB (10.10±5.45) 순이 었으며 SE와 GB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군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3. 영구치 법랑질에서의 전단결합강도는 SB가 28.36±5.68 MPa로 가장 높았고 SM (22.77±4.63), PL (22.05±6.57), SE (21.74±4.62), GB (15.60±6.75)순 이었다. SB는 다른 접착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합력을 나타냈으며, GB는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p<0.05). 4. 영구치 상아질에서의 전단결합강도는 SM이 28.22±5.56 MPa로 가장 높았고, SB (21.68±7.44), SE (20.13±9.88), GB (14.30±6.81), PL (14.18±5.88)순이 었으며, SM은 PL, GB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5. 유치의 법랑질과 상아질간에는 SM, SB, GB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구치 법랑질과 상아질간에는 PL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6. 유치 법랑질과 영구치 법랑질간에는 모든 접착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치 상아질과 영구치 상아질간에는 SM과 SB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 효율적 소프트웨어 중등교육 연구

        최진영 高麗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스마트 시대의 핵심으로 소프트웨어가 중요시되고 있다. 정부는 중등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을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프로그래밍을 교육하는 대부분의 특성화고나 마이스터고에서 채택하고 있는 교육 방식인 기초 지식을 배우고 프로그래밍을 하는 기존 교육방식은 학습량이 많아 일반고에게 큰 부담이 된다. 그래서 학습량을 최소로 하고 빠른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구현위주의 교육방식에 대해서 제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성화고나 마이스터고 학생들에게 적용을 하여 실험한 구현위주의 소프트웨어 교육방식에 대해 논하도록 한다.

      • 양이온 선택성 형광센서의 합성과 특성분석

        최진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Perfluorocyclopentene ring을 포함한 새로운 형태의 azacrown-ether 인 1,2-Bis {7-(1,4,7,10-tetraoxa-13-aza-cyclopentadecane)-9,9-diethylfluorene-2-yl}-3,3,4,4,5,5-hexafluorocyclopentene, (L1)을 합성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고, L1의 양이온 인식성을 살펴보았다. L1을 분광학적 방법, NMR, MASS 등으로 분석해 본 결과, L1은 600nm에서 강한 RED emission을 보였다. L1과 여러 가지 metal nitrate 화합물과의 착물형성 실험에 따르면, Chelated Enhanced fluorescence (CHEF) 효과에 의해 fluorescence intensity 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특히, Hg2+는 금속 양이온 중 가장 강한 fluorescence intensity 증가를 보였으므로, L1은 Hg2+에 대한 강한 선택성을 가진다고 하겠다. A new type cyclic azacrown-ether, 1,2-Bis{7-(1,4,7,10-tetraoxa-13-aza- cyclopentadecane)-9,9-diethylfluorene-2-yl}-3,3,4,4,5,5-hexafluorocy clopentene, (L1), containing perfluorocyclopentene ring has been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Moreover, the recognition of various metal cations using the ligand was investigated systematically. The molecular structure of L1 was chracterized by various spectroscopicmethods, such as NMR, Mass spectrometry etc. The L1 exhibited strong red emission band at 600nm. When various metal nitrate complexes were added to L1, enhancement of fluorescent intensity was observed by the Chelated Enhanced fluorescence (CHEF). The complexation of Hg+ with L1 brings about the enhancement of fluorescence due to the CHEF effect. This result indicates that L1 is highly selective fluorescent chemosensor for Hg2+.

      • 교육복지사업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 비교

        최진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written out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perceptions of teachers from an unit of school about the educational welfare work currently performing and set up the direction of the policy of welfare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that analysis. In this work, study contents were set up as written down below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ers classified by schools or locals about the educational welfare work currently performing. Second, reveal the direction and the tasks for actualizing the policy of educational welfare work from now on efficiently on the basis of perception of teachers. For the methods of study, subject of study was set by examining the documents and analyze the study precedent and carried out a study using question sheets to solve the set subject of study. Questions were posed to the 420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from Chonbuk, and of these, 268 substantial questions sheets collected became the object of analyzing. T-test and F-test were performed by using program SPSS/PC+100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llected datum. T-test was applied on the comparison of two groups and Scheffe verification which perform multiple t-test was performed by one way ANOVA and post verification for the comparison of more than 3 groups. The conclusion through the analysis of datum is like down below. First, for the grade of importance, teachers perceived 'business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of all nation' and 'business settling inequality of given condition of education' most important among all field of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and for the level of the effects in each field, most of teachers perceived 'average'. Second, about the financial support on the field of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most of teachers perceived not very high in most of the field and it appears that financial support should be increased in all fields except for the field of 'business on prevention and curing for maladjustment to school'. Third, for the need of improvement on legal system in the field of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teachers mainly perceived field of 'business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of all nation', 'business settling inequality of given condition of education', and 'business building a bright and healthy educational environment' need a lot of improvements on legal system. Fourth, for the need of arranging professional manpower in the field of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teachers strongly felt the need of arranging professional manpower especially in the field of 'business guaranteeing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of all nation'. Fifth, the matters which should be preferentially complemented to promote the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effectively are, in order, expansion of budget, saving the professional manpower, improvement of legal system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Sixth, the matters which should be preponderantly performed in each field of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are, in order, 'business settling inequality of given condition of education', 'business building a bright and healthy educational environment', and 'business supporting the low-income brackets'. Seventh, social welfare worker and counseling teacher were counted in the first place, special class teacher and a nurse-teacher counted next for professional manpower which should be preferentially arranged to maximize the effects of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Below are the proposals on the basis of those results and the conclusion of study to promote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effectively. First, to plan a promotion of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effectively, we need a practical publicity for teachers to perceive detail field of business enough. Seco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increased through all fields of business and legally insufficient fields including business settling inequality of given condition of education needs legal improvement. Third, business supporting the low-income brackets and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needs more supports of all fields of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Fourth, social welfare workers and counseling teacher should be arranged in the first place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welfare business.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 사업 각 영역의 중요성 정도에 대해서 교직원들은 ‘모든 국민의 교육기회 보장 사업’과 ‘교육여건 불평등 해소 사업’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각 영역의 효과 수준에 대해서 교직원들은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교육복지 사업 영역의 재정지원 수준에 대해서 교직원들은 대부분의 사업 영역에 대해 재정지원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지는 않았고, ‘학교부적응 예방 및 치유 사업’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대해서는 재정지원을 강화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복지 사업 영역의 법적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직원들은 주로 ‘모든 국민의 교육기회 보장 사업’, ‘교육여건 불평등 해소사업’, 그리고 ‘밝고 건강한 교육환경 구축 사업’ 영역에 대해서 법적제도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인식했다. 넷째, 교육복지 사업 영역의 전문인력 배치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직원들은 특히 ‘모든 국민의 교육기회 보장 사업’ 영역에서 전문인력 배치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복지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예산확충이 51.8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전문인력 확보, 법적제도 개선, 시설개선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복지 사업의 각 영역 가운데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도시 저소득지역 및 농어촌지역 학생들의 ‘교육여건 불평등 해소 사업’이 29.85%로 가장 많았고, ‘밝고 건강한 교육환경 구축 사업’, ‘저소득층 교육지원 사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일곱째, 교육복지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배치되어야 할 전문인력으로는 사회복지사(38.81%)와 상담교사(32.46%)를 가장 우선으로 꼽았고, 특수교사와 보건교사가 그 다음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하여 효율적인 교육복지 사업 추진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사업 세부 영역에 대하여 교직원들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홍보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복지 사업의 전 영역에 걸쳐서 재정지원이 한층 강화되어야 하며, 교육여건 불평등 해소 사업 등 일부 제도적 미흡함이 있는 영역에 대해서는 법적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복지 사업의 각 영역 중 저소득지역 및 농어촌지역 학생들의 교육여건 불평등 해소 사업 등에 대하여 보다 큰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복지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사와 상담교사 등의 전문인력 배치가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클래식 패션 스타일의 현대적 적용 : 마들렌 비오네의 드레이퍼리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최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클래식 패션 스타일의 현대적 적용을 마들렌 비오네(Madeleine Vionnet, 1876~1975)의 드레이퍼리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드레이퍼리의 최고봉으로서 패션계에 큰 업적을 남긴 여성 패션디자이너 비오네의 전체적인 작품과 패턴 양식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서 미적 특성을 규명하며, 바이어스 재단이 아닌 드레스와 바이어스 재단에 의한 드레스를 실크로 실물 제작하여 드레이퍼리의 차이점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론의 정립과 함께 비오네 디자인 드레이퍼리 이미지의 현대적 작품 연구를 하여 디자인 능력을 제고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비오네 드레이퍼리 디자인 이미지의 현대적 적용 사례를 2000년대 이후 최근의 발렌티노 가라바니(Valentino Garabani, 1933~ )와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 1960~ ) 그리고 베라 왕(Vera Wang, 1949~ )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시도는 21세기에도 클래식 패션 스타일을 독창적으로 재구성하여 디자인 시도를 끊임없이 추구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인 패션 산업과 현대 패션디자이너들에게 다양한 바이어스 커팅을 활용한 디자인을 제시할 것이다. 연구방법은 실증 연구와 문헌 연구를 병행하여 비오네의 전체적인 디자인 경향과 미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실증연구는 메트로폴리탄 박물관(Metropolitan Museum of Art) 의상 박물관의 실물자료와 베티 커크(Betty Kirke)의 저서인 「마들렌 비오네(Madeleine Vionnet)」를 참고하며, 이와 함께 패션 관련 정보지, 컬렉션 전문 잡지 및 인터넷 사이트 등의 문헌연구와 시각자료를 참고하였다. 그리고 바이어스 재단이 아닌 드레스와 바이어스 재단에 의한 드레스의 드레이퍼리 비교를 가장 잘할 수 있는 실크로 실물 제작하여 드레이퍼리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비오네의 드레이퍼리 이미지의 현대적 디자인 작품연구에서는 그녀의 미적 특성 중 하나인 에로티시즘을 여기에 패턴양식 중 삼각형·사각형에 의한 디자인을 영감으로 한 클래식 스타일의 컨셉을 ‘네오 클래시시즘’으로 소재, 색채를 제시하고 디자인하여 3점의 이브닝 드레스를 실물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디자인 기획을 하고 이미지 맵, 작업지시서를 작성 후 실제 작품을 디자인하였다. 클래식 패션 스타일은 유행에 구애 받지 않는 변함없는 스타일인 동시에 고대 그리스·로마의 스타일과 18세기 말~19세기 초 신고전주의 스타일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서구의 중추적인 패션 양식으로서 마들렌 비오네는 클래식한 패션 스타일의 대표 디자이너로 들 수 있다. 마들렌 비오네가 활동한 시대(세기말~1940)는 모든 면에 변화가 절실히 필요 했던 시기였다. 특히 20세기 초반 현대예술조형에서는 아주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면서 근원적인 커다란 예술의 조류인 순수성의 지향으로 순수미를 추구하는 새로운 취미가 나타나면서 디자인계에 나타난 표면양식의 단순함은 20세기를 특징짓는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맞추어 여성의 아름다움을 위해 노력했던 비오네는 바이어스 재단이라는 놀라운 기술을 발견하였다. 마들렌 비오네의 초기 디자인은 고대 그리스의 키톤과 일본 전통의상인 기모노의 평면적인 의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당시 코르셋이나 페티코트의 부자연스러움으 로부터 해방되어 신체에 꼭 맞지 않고 움직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변하는 드레스의 아름다움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1920년대 비오네는 기능주의와 아르데코, 여성의 경제적 독립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어울리는 활동적이고 기능적인 의복으로 튜블러한 드레스를 발표하였다. 특히 1929년에 발표한 바이어스 커팅은 이전에 드레스가 무시했던 여성스럽고 부드러운 실루엣을 잘 표현해 주면서 드레이퍼리의 정수를 보여주었고 그녀의 디자인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독창적인 기술은 옷감을 여성의 몸에 조화시키면서 섬세함과 치밀성을 갖는 동시에 부드러운 천에 생기는 주름은 리듬감과 율동미를 창조하였다. 마들렌 비오네 드레이퍼리의 패턴양식은 고대 그리스의 키톤과 일본의 전통 복식인 기모노의 평면적인 의상에 영향을 받은 사각형에 의한 디자인, 다트나 절개선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삼각 형태의 무(gusset)나 사다리꼴의 고데(godet)를 끼워 넣는 방법인 삼각형에 의한 디자인, 원을 4등분한 하나인 사분원에 의한 디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것은 당시 통통한 여성의 단점을 보완하여 날씬해 보이는 것에 초점을 두기 위해 고안한 방법이다. 이상의 마들렌 비오네의 디자인에 나타난 미적 특성은 로맨티시즘, 에로티시즘, 모더니즘으로 나타났다. 로맨티시즘은 1929년 세계 경제 대공황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배경과 19세기를 향한 복고풍 경향으로 인한 낭만주의적인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면서 로맨틱한 디자인은 다양한 입체적인 표면효과와 함께 그녀의 의상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에로티시즘은 바이어스 재단이라는 기술로 인해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아닌 부드러운 소재의 사용과 여성의 몸을 은근히 노출시키면서 나타났다. 모더니즘은 과거 과잉장식과 수공예적인 요소를 부정하고 인공적인 실루엣을 추방하면서 기하학적인 방법으로 단순하면서도 인체를 왜곡하지 않은 실루엣으로 신체에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리듬감과 운동감을 보여주면서 모던한 여성의 미를 창출하였다. 마들렌 비오네 드레이퍼리 이미지는 현대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디자인의 근거를 제공하여 현재까지도 끊임없는 영감을 주고 있다. 먼저 발렌티노는 기존의 비오네 드레이퍼리 이미지를 최근까지 엘레강스 감각으로 지켜온 대표디자이너의 한 사람으로 뉴트럴 칼라를 사용하여 정적인 느낌을 주고 있는 비오네의 드레스와는 차별되게 비비드한 색상과 화려한 소재를 사용하여 좀 더 동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반면 갈리아노는 바이어스 재단의 일인자로 드레이퍼리가 주는 환상적인 요소를 의상에 적절히 사용해 창의적인 드레이퍼리로 표현하였고, 고부가가치 산업인 패션을 기발한 무대의상 분위기로 연출해 화제를 모았다. 그는 파리 오트 쿠튀르 제1의 자리를 확보하면서 정적인 느낌의 비오네 드레이퍼리 이미지를 기존의 패션 경향을 타파한 젊고 캐주얼한 느낌으로 환상과 과잉이라는 테마와 여기에 표면효과가 밋밋한 직물을 가지고 다양한 표현기법의 믹스를 통해 신체를 의식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폼으로 극적인 표현을 하여 비오네의 디자인과는 상반되는 이미지를 창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베라 왕은 드레이퍼리에 의한 완벽한 표현으로 고급스러운 소재와 단아함을 중심으로 화려하고 장식이 많은 기존의 웨딩드레스 디자인에서 벗어나 모던한 디자인에 정교한 디테일을 중심으로 여성의 우아한 바디라인을 더욱 돋보이게 하면서 비오네 드레이퍼리 이미지를 드레스에 적용하여 여성을 더욱 순수하고 우아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클래식 패션 스타일은 유행에 구애 받지 않는 변함없는 스타일인 동시에 그리스·로마의 스타일과 18세기 말~19세기 초 신고전주의 스타일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패션에 큰 부가가치와 함께 커다란 경제적 수요를 창출하고 21세기 현재에도 가장 영향력 있는 스타일로서 다양하게 재창조되고 있다. 둘째, 마들렌 비오네의 드레이퍼리는 고대 그리스 스타일 즉, 대표적인 클래식 패션 스타일의 현대적 적용이며, 이는 현대 패션에 한 순간의 유행이 아닌 시대를 초월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해 낼 수 있는 귀중하고 효율적인 수단으로 다음 세대를 위한 창조적 발판이 되어 패션계에 지대한 영향을 주면서 많은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끊임없이 재창조되고 있다. 셋째, 마들렌 비오네는 코르셋을 제거하고 바이어스 재단을 제시한 진정한 여성 해방론자로써 당시 여성이 원하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여 여성을 위한 아름다운 의상을 만들었다. 넷째, 마들렌 비오네의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1929년 바이어스 커팅(bias cutting)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발견하여 복식 역사상 최고의 업적을 이루었다. 이것은 그녀의 천재적인 재능과 뛰어난 기술의 결합에 의한 것으로 개개인의 여성이 갖는 개성과 아름다움을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기하학적인 방법에 의한 디자인을 고안하였다. 특히 사각형이나 삼각형, 사분원으로 재단된 기하학적인 조각들은 정교하게 꿰매어지고 이어져 과거 평면으로 여겨졌던 인체를 입체적인 개념으로 바꾸는 획기적인 시도가 되었고, 인체와 소재 그리고 가장 정밀한 기술과 손끝이 어우러져 날씬한 여성의 미를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그의 디자인도 그리스 복식 이미지의 클래식 스타일이었다. 이것은 그리스 시대 키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전통을 뛰어 넘고 전통을 변화시킨 것으로 그녀만의 미를 창조하였다. 다섯째, 바이어스 재단이 아닌 드레스와 바이어스 재단에 의한 드레스를 비교해 본 결과 바이어스 재단이 소재가 더 소요되며 드레스의 드레이퍼리가 정교하면서도 아름답게 표현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마들렌 비오네 드레이퍼리에 대한 연구가 이론의 정립만이 아니라 패션디자인 발상에 영향을 준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마들렌 비오네 드레이퍼리 이미지의 현대적 적용에 의한 패션 디자인을 창작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나온 마들렌 비오네의 미적 특성은 로맨티시즘, 에로티시즘, 모더니즘으로 그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그녀의 미적 특성 중 하나인 에로티시즘을 특징으로 하여 여기에 패턴양식 중 삼각형·사각형에 의한 디자인으로 한 Neo-Classicism으로 3점의 작품을 실물 제작하였다. 그리고 패션의 본질을 인식하고 T.P.O.에 따라 의복 스타일을 구별할 줄 아는 20대 중반에서 30대 중반의 고소득 전문직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본인의 드레스는 다양화와 고급화를 중요시하는 현대 패션의 고부가가치를 위해 드레스에 스케일이 커진 장식물의 부착과 투박한 주름장식을 하여 비오네의 디자인과 차별화를 두었다. 먼저 Neo-Classicism Ⅰ은 할터 네크라인 이브닝 드레스로 검정색 실크와 시폰을 소재로 하여 가슴 골을 강조한 머메이드 실루엣의 드레스로 섹시한 여성을 대표하며 비오네의 패턴 양식 중 삼각형에 의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Neo-Classicism Ⅱ는 드레이프 이브닝 드레스로 아이보리색 실크를 소재로 하여 고전 그리스의 아름다운 드레이퍼리의 미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여성의 아름다운 몸매를 드러내며 비오네의 패턴 양식 중 삼각형·사각형에 의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Neo-Classicism Ⅲ은 캐미솔 네크라인의 이브닝 드레스로 검정색 실크 자카드를 소재로 글래머한 미를 강조하며 비오네의 패턴 양식 중 삼각형에 의한 디자인을 특징으로 이것은 여성의 곡선 강조와 아르데코 액세서리와의 컴비네이션으로 매혹적인 여성을 연출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이미지 맵을 작성하고 색상과 소재를 선택해서 실제적으로 창작디자인을 제작하였다. In order to study the modern application of classical fashion styles by focusing on the drapery design cases of Madeleine Vionnet (1876~1975), this research provides the whole works and pattern styles of Madeleine Vionnet, a female fashion designer, who has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fashion industry as a supreme figure, identify aesthetic characteristics through them, and check out the differences between dresses not by a bias cutting and those by a bias cutting through manufacturing life-sized dresses in silk. And then, on the basis of that,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nhance design abilities by studying the modern works of her design drapery image along with the correct establishment of theory.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modern application cases of Vionnet’s drapery design image by focusing on the recent collections of Valentino Garabani(1933~), John Galliano(1960~) and Vera Wang(1949~) since 2000. These series of attempts will provide designs utilizing a variety of bias cuttings for the high value-added fashion industry and modern fashion designers by originally reorganizing classical fashion styles even in the 21st century and continuously pursuing design attempts. The wa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as to investigate Madeleine Vionnet’s whole design trend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long with studying actual proofs and documents. The research on actual proofs referred to actual materials at the Museum of Clothing at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book of 「Madeleine Vionnet」written by Betty Kirke as well as the documentary researches and visual materials of fashion-related information magazines, specialized collection magazines and Internet sites. By manufacturing life-sized dresses in silk, which make it possible to compare draperies best, not by a bias cutting and those by a bias cutting, we took a close look at what differences existed among draperies. Based on such studies, in studying the modern design works of her drapery image, we manufactured three pieces of full-sized evening dresses by providing material sand colors as ‘Neo-Classicism’, the classical style concept inspired by triangle and quadrangle design together with eroticism, one of her aesthetic characteristics. For this, we planned the design first, drew up an image map and a work subscription, and then designed actual works. The classical fashion style means a style which is not swayed by vogue, the style in ancient Greece and Rome, and the neo-classicism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all of which is a pivotal fashion style in the West, and Madeleine Vionnet can be called a top designer representing the classical fashion style. From the closing period of the 19th century to 1940s when Madeleine Vionnet showed her activities, it was a period during which changes were desperately needed in every aspect. In particular, as the modern formative art took on a very complex phase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a new hobby showed up in pursuit of pure beauty going after purity, a fundamental and huge art trend ,the simplicity of surface style appearing in the design world became a characteristic element which characterizes the 20th century. In conformity with this changing period, Madeleine Vionnet, who made efforts for women’s beauty, discovered a bias cutting, a surprising technology. Madeleine Vionnet’s early design, which was influenced by the chiton of ancient Greece and the plane clothes style of the kimono, a Japanese traditional dress, revealed the beauty of dresses which didn’t fit bodies tightly and naturally changed with movement. The designs showed liberation from the unnaturalness of corsets or petticoats worn at that time. And in the 1920s, Vionnet introduced tubulous dresses, active and functional clothing that was synonymous with the era’s functionalism, art deco, and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In particular, the bias cutting introduced in the 1920s expressed well femininity and soft silhouettes that previous dresses had paid no attention. They displayed the essence of drapery, and took up most of her designs. Such an original design had minuteness and fineness while making clothes harmonious with a woman’s body and at the same time wrinkles featured on the clothes created a sense of rhythm and rhythmical beaut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displayed through her above-mentioned designs appeared as romanticism, eroticism, and modernism. Romanticism and romantic designs were excellently exhibited in her dresses along with various three-dimensional surface effects against the specific social background of the Great Depression in 1929 and romantic elements featured strongly as a result of a reaction against 19th century trends. Eroticism was evoked through the use of soft material sand modestly and discreetly revealing a woman’s body thanks to the technology of bias cutting, not straight for wardly exposing it. Modernism created a sense of the modern woman’s beauty by giving a sense of rhythm and movement as geometrical methods made designs simple and did not distort a woman’s silhouettes as designs flowed down along the body line naturally and dispensed with previous excessive ornaments and handicraft element sand eliminating artificial silhouettes. The pattern style of Madeleine Vionnet’s draperies was divided into a quadrangle design that was influenced by the chiton of ancient Greece and the plane clothes style of the kimono, a Japanese traditional dress, a triangular design that inserted triangle-shaped gussets or trapezoid-shaped godets instead of darts or cutting lines, and a design that divided a circle into four segments. Madeleine Vionnet created this method in order to focus on a slim looking shape to conceal the corpulence of some women at that time. Madeleine Vionnet’s drapery image has until now provided modern fashion designers with inspirations by supplying a new foundation for design. To begin with, Valentino Garabani, one of the typical designers who have so far kept the image of Vionnet’s existing drapery by adding a sense of elegance, giving dresses a more active feeling by using vivid colors and gorgeous materials unlike the dresses of Madeleine Vionnet that a static feeling because of the use of neutral colors. On the other hand, John Galliano, as the front runner in the field of bias cutting, designed creative draperies by properly applying fantastic elements to clothing and attracted attention by instigating the high value-added fashion industry with its extraordinary stage costume atmosphere. As he secured the first place in the haute couture of Paris, he created images in stark contrast to those of Vionnet’s design through dramatic expressions with new forms through mixing various expressionistic techniques while using textiles with simple and plain surface effects combined with the themes of fantasy and overabundance that accompanied feeling of youth and casualness that swept away the existing fashion trends of Vionnet’s drapery images with their static feelings. Finally, Vera Wang expressed the form of women in a more pure and graceful way by applying Vionnet’s drapery images to dresses while making women’s refined body line stand out with precise details focused together with modern designs as he dispensed with existing flowery wedding dress designs with their excessive trappings and instead focused on sophisticated materials and elegance through the perfect expression of drapery. Base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is thesis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lassical fashion style means a style which is not swayed by trends, the styles in ancient Greece or Rome, the neo-classicism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it creates enormous economic demands as well as huge added value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is variously being recreated as the most influential style even today in the 21st century. Second, Madeleine Vionnet’s drapery is the modern application of the ancient Greek style, that is, a typical classical fashion style, and is continuously being recreated by a great number of fashion designers while having tremendous effects on the fashion world by being a creative scaffold for the next generation of designers as a valuable and effective means to create new styles in countless ways for today’s fashion by transcending the current age, and is not just a momentary vogue. Third, Madeleine Vionnet, as a genuine activist for women’s liberation, by removing corsets and introducing the bias cutting technique, exactly understood what women wanted at that time and made beautiful clothes for females. Fourth, if we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Vionnet’s design, she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in clothing history by inventing the new technology of bias cutting in 1929. This was a combination of her genius and the application of outstanding technology, which could display to the fullest extent the personality and beauty each and every woman possesses. Next, she devised a design through geometrical methods. In particular, it was as a radical attempt to change the shape of the human body as the geometrical concept was introduced and geometrical pieces were cut into triangles, quadrangles or quarters of a circle and were exquisitely sewn and joined, thus creating the slim female beauty shape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right materials, the most precise technology and her deftness. Finally, it was a classical style derived from images of Greek clothing. Through this, she created her own beauty by modernly interpreting the chiton from the Greek era, and she changed traditions by going beyond traditions. Fifth, by comparing dresses cut using the bias cutting technique with those that were not, we find that the draperies of dresses cut by the bias cutting technique were exquisitely and beautifully fashioned. Through our research, we created a fashion design through the modern application of Madeleine Vionnet’s drapery images which reveal that research on Madeleine Vionnet’s drapery has an influence on not only the establishment of theory but on the inspiration of fashion design. This research revealed that her aesthetic qualities were influenced by romanticism, eroticism and modernism, and from this research we manufactured three pieces of life-sized works with a Neo-Classical feel by designing through triangles and quadrangles, which was one of her pattern styles and aesthetic points derived from Romanticism, as the main feature. And while recognizing the essence of fashion, our dresses which are aimed at professional women in a high income bracket in their mid 20s to mid 30s who can distinguish between dress styles according to T.P.O, adopted a different design from that of Madeleine Vionnet by attaching large-scale ornaments and unusual wrinkles to create the high added value of the modern fashion industry. To begin with, Neo-Classicism Ⅰ is a halter neckline evening dress made of black silk and chiffon, a mermaid dress stressing the breast cleavage to give a sexy look and is characterized by a design in triangles, one of Vionnet’s pattern styles. Neo-Classicism Ⅱ is a drape evening dress made of ivory silk, a dress which represents the beauty of the ancient Greek drapery with a modern sense, exposing a woman’s beautiful bodyline and is characterized by a design in triangles and quadrangles, one of Vionnet’s pattern styles. Finally, Neo-Classicism Ⅲ is a camisole neckline evening dress made of black silk jacquard, a dress which emphasizes a glamorous beauty, and is characterized by a design in triangles, one of Vionnet’s pattern styles, and produces a fascinating look through a combination of emphasizing a woman’s curves with art deco accessories. And we manufactured a creative design by accordingly drawing up an image map and selecting colors and materials.

      • 전통발효식품 식해 유래 유산균을 이용한 구지뽕 발효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평가

        최진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potential as a functional material when Cudrania tricuspidata fruit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JYIFS28 strain isolated from Sikhae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tioxidant activities of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 (CTFE) and lactic acid bacteria-fermented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 (FCTFE) were estimated by DPPH, ABTS, PF, TBARS methods and enzyme activities associated with cosmetic and immune disorders, antimicrobial activity assays. FCTFE was increased in DPPH, ABTS radiacal scavenging activities as a dose-dependent manner and was showed higher effects more than CTFE. However, FCTFE and CTFE were not appeared effect of PF, TBARS tests. We confirmed that FCTFE was appeared effectively of water-soluble antioxidant activity. We evaluated the enzyme inhibition activities such as collagenase, astrigent effect, xanthine oxidase, hyaluronidase, α-glucosidase and antimicrobial activity. FCTFE was increased the enzyme inhibition activities about cosmetic and immune disorde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was appeared higher activity more than CTFE. Antimicrobial activity of E. coli Turbo, S. aureus ATCC 25923 was increased as a dose-dependent manner. So, we suggest that FCTFE could be used as anti-oxidant agent or material of cosmetic and immune disorders.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발효식품인 식해로부터 분리한 우수한 활성을 가진 유산균을 이용하여 구지뽕의 최적 발효 조건을 찾아 발효한 후 항산화와 항통풍,항염증,항균 등 여러 기능성을 평가하여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5% 구지뽕 농도에서 발효 추출물과 비발효 추출물 사이의 페놀함량과 항산화 활성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나 구지뽕의 농도를 5%로 설정하고 항산화 및 Collagenase 저해활성, Astringent effect,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Hyaluronidase 저해활성, a-glucosidase 저해활성,항균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항산화 실험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발효추출물이 비발효 추출물 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페놀함량이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름개선 항목인 Collagenase 저해활성과 모공수축 항목인 Astringent 효과를 측정한 결과, 5% 구지뽕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고, 염증 및 질병치료제로서의 평가를 위해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 Hyaluronidase 저해 효과, α-glucos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5% 구지뽕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항균활성의 경우 5% 구지뽕의 햠랑이 증가함에 따라 E.coli Turbo, S. aureus ATCC 25923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확인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유산균을 이용한 구지뽕 발효 조건으로는 5% 구지뽕 농도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발효 추출물의 경우, 화장품 소재 및 염증성 질환, 질병 치료제와 같은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기능성 소재로서 사용하기 위해 매커니즘을 규명하는 등 더 구체화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의 관계

        최진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지역 남녀 중학생 1,2,3학년 631명을 대상으로 식습관, 영양지식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청소년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위한 올바른 식품선택과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조사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²검정, independent t-test,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학생들은 전체 631명 중에서 남학생이 51.8%, 여학생이48.2%이었고, 1학년은 31.9%, 2학년은 29.6%, 3학년은 38.5%이었다. 부모님의 학력은 아버지는 대학교졸업, 어머니는 고등학교졸업이 가장 많았다. 부모님의 직업은 아버지는 사무직과 자영업자, 어머니는 전업주부인 빈도가 높았다. 가정의 월 수입은 301~500만원이 가장 많았다. 2. 조사대상 학생들의 ADHD의 진단결과 ‘정상군’은 587명(93%), ‘ADHD군’은 44명(7%)로 나타났다. ADHD군으로 진단된 학생의 비율은 성별에 따라 남학생은 56.8%, 여학생은 43.2%, 학년에 따라 1학년은 29.5%, 2학년은 43.2%, 3학년은 27.3%로 나타났다. 부모님의 학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정상군에서 아버지의 학력이 ‘대학원졸업이상’인 비율이 ADHD군 보다 높았다. 3. 조사대상 학생들의 아침 및 간식의 섭취를 분석한 결과 정상군이 ADHD군보다 아침식사의 횟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간식의 두 번째 선택기준에 정상군은 ‘가격’과 ‘영양’으로 답한 비율이 높았으나 ADHD군은 ‘가격’, ‘친구들의 영향’으로 답한 비율이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간식을 먹는 첫 번째 이유는 정상군은 ‘배가고파서’로 응답한 비율이 상당히 높았으나, ADHD군은 ‘습관적으로’, ‘맛있어서’로 응답한 학생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조사대상 학생들의 간식과 매식의 섭취빈도를 분석한 결과 ADHD군이 ‘라면류’(p<0.001), ‘탄산음료’와 ‘배달음식’(p<0.05) 의 섭취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간식과 매식의 섭취점수는 1300점의 만점에 정상군의 평균은 280.03점, ADHD군의 평균은 362.43점으로 나타나 ADHD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간식과 매식의 섭취점수에 따른 정상군과 ADHD군의 빈도를 비교한 결과 ADHD군에서 정상군보다 간식과 매식의 섭취점수가 높은 학생은 많고, 낮은 학생은 적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5. 조사대상 학생들의 식습관점수를 분석한 결과 정상군에서 단백질과 해조류의 섭취가 많고, 아침식사를 하며 편식하지 않는 규칙적인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ADHD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정상군과 ADHD군의 식습관 점수는 30점 만점에 정상군의 평균은 22.02점, ADHD군의 평균은 19.5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식습관 점수에 따른 정상군과 ADHD군의 빈도를 비교한 결과 정상군에서 ADHD군보다 식습관 점수가 높은 학생은 많고, 식습관 점수가 낮은 학생의 수는 적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조사대상 학생들의 영양지식 문항에 대한 인식률과 정답률을 분석한 결과 정상군에서 비타민과 무기질, 체중관리와 관련된 문항의 인식률이 ADHD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비타민과 무기질, 영양소의 급원식품에 대한 문항의 정답률이 정상군에서 AD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정상군과 ADHD군의 영양지식 점수는 15점 만점에 정상군의 평균은 7.38점, ADHD군의 평균은 5.77점으로 정상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영양지식 점수에 따른 정상군과 ADHD군의 빈도를 비교한 결과 정상군에서 ADHD군보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은 학생은 많고, 영양지식 점수가 낮은 학생의 수는 적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7. 영양지식 점수, 식습관 점수, 간식과 매식의 섭취점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영양지식 점수는 식습관 점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p<0.01), 간식과 매식의 섭취점수(p<0.05), 과잉행동 점수와는 음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점수는 식습관 점수와 음의 상관관계(p<0.01), 간식과 매식의 섭취점수와는 양의 상관관계(p<0.0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군(ADHD군)에서 정상군보다 아침식사의 섭취횟수가 적고, 간식과 매식의 섭취빈도는 높았다. 또한 식습관과 영양지식 점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 영양지식과 ADHD와의 관계를 고려한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ADHD군으로 진단된 학생들을 위한 더욱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ion between dietary habit and nutritoin knowledge, and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Questionnaires about dietary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questions about ADHD(using by Conners-Wells' Adolescent Self-report Scale-Short form) were collected from 631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17.0 program. Thes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study subject was 631 students, 51.8% was male and 48.2% was female. In the assessment of predisposition of ADHD, 93% was Normal group and 7% was ADHD group. As for the gender, 56.8% was male and 43.2% was female. 2. Normal group showed the higher breakfast consumption rate than ADHD group(p<0.05). In Normal group, the important point to choose snack was 'taste', 'cost', 'nutrition'. but in ADHD group, it was 'taste', 'cost', 'peer influence' instead of 'nutrition'. Normal group answered main reason of snaking was 'feel hungry' but 25% of ADHD group eat snack habitually. 3. Dietary habits were better in Normal group than ADHD group. Such as, balanced diet, regular eating habit, low intake of 'instant noodle', 'carbonate drink', 'delivery foods'. 4.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Normal group was 7.38 out of 15 and scores of ADHD group was 5.77 out of 15. Nutrition knowledge were better in Normal group than ADHD group(p<0.01). 5.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the dietary habits sco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p<0.01).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snackㆍmeal purchasing scor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p<0.05). There a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score and nutrition knowledge score(p<0.01). In conclusion, ADHD group than Normal group showed lower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and worse dietary habits than the Normal group. Therefore the students are to be taught the importance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by teachers for their mental and physical health.

      • 기상대 풍속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지방을 중심으로

        최진영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풍속은 풍상측의 지형지물 등의 영향으로 같은 풍속이 불어올지라도 그 값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상대 주변의 지형지물의 변화 즉 지표면 조도(노풍도)에 따라 측정되는 기상대 관측풍속은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기상대에서 관측되는 풍속은 이들을 보정하여 표준화 하여야만 건설 환경 등 많은 분야에서 설계 시에 사용할 수 있다. 기상대에서 측정된 풍속은 측정소 주변의 지형지물에 의 변화에 따라 그 풍속을 일정한 환경에서의 풍속으로 표준화(평활화) 할 필요가 있다. 기상대 풍속을 정확하게 평활화하기 위해서는 풍속 측정 당시의 지표면 조도를 알아야만 하나, 거의 대부분의 기상대에는 그 주변의 지표면 조도에 대한 과거 자료가 거의 전무한 실정에 있다. 일반적으로 Gust Factor(최대순간 풍속/평균풍속)는 지표면조도와 상관관계가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상대풍속의 Daily Gust Factor를 사용하여 하여 년 평균G.F로 구하고, 이것을 토대로 각 기상대별 G.F. 및 지표면 조도를 구한다. 이 값에서 구한 최근의 조도와 실측(현장목측, 사진 및 지형도에 의한 분석)을 비교하여 이방법의 유효성 확인 및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도별, 풍향별 G.F.를 이용한 지표면조도(노풍도) 구분 - 풍향별 G.F.와 지표면조도(노풍도)의 연도별 변화량을 종합한 결과 서울, 인천, 이천, 강화, 양평지역에서는 모두 다른 도시와 같이 도시화에 따라 G.F.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수원지역 외 다른 지역 일부 풍향에서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분석결과 이것은 일 최대풍속(년 평균)이 심하게 증가했고 또한 일 최대풍속(년 평균)과 년 평균 G.F.의 상관이 지표면조도가 증가한 여타 지역에 비해서 낮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2. 실측에 의한 지표면조도 조사 결과 - 지표면조도의 최고 등급인 Ⅴ등급은 서울지역 ENE방향을 포함함 6개 방향에서 측정되었으며, 인천, 수원, 이천, 강화, 양평지역에서는 Ⅲ등급, Ⅳ등급이 주로 관측 되었다. 3. G.F.와 실측에 의한 지표면조도(노풍도)의 상관 -서울을 위시하여 G.F.에 의한 지표면조도와 실측을 이용한 지표면조도가 같은 풍향수는 50-81%로 나타났으며, 1단계 이하 차이를 포함하면 서울지역을 포함하여 전부 100%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의한 G.F. 에 의한 지표면 조도(노풍도)를 구하는 것이 우리나라에서 풍속표준화를 위한 방법으로 유효한 것임이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4. 기상대별 풍속의 표준화 - 서울, 인천, 수원, 이천, 강화, 양평지역의 연도별 년 최대풍속을 지표면조도 Ⅱ등급, 지상 10m높이의 풍속으로 표준화 하였다. 지표면조도가 Ⅲ등급인 경우 Ⅱ등급으로 풍속을 환산한 경우에는 서울, 인천, 수원지역이 16.53%, 증가하였고 이천지역은 8.56%, 강화지역은 16.65% 양평지역은 11.14% 증가하였고, 전체적으로 풍속의 증가율을 보면 서울지역이 9.99%, 인천지역은 5.53%, 수원지역은 15.34%, 이천지역은 8.58%, 강화지역은 12.8%, 양평지역은 11.4%의 증가를 보였다. Wind velocity values are different although they have similar values influenced with feature of windward side. Wind velocity measured at meteorological stations are influenced with the change of feature around meteorological stations (ground roughness). Therefore, wind velocity must be standardized yearly for the design in environmental and constructional area. For the wind standardization, it is necessary to know the ground roughness at the point of measurement, however, most of the meteorological stations do not have that data. Generally, G.F. has high relation with ground roughness. In this study is aimed to determine the Daily Gust Factor of the meteorological stations on a yearly basis and to compare the latest ground roughness with pictorials and geographical map analysis. This study established availability and standardized wind velocity comparing with the G.F. and ground roughness of each meteorological station.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study. 1. Classification of yearly, wind directions and roughness levels using G.F. - The results of Yearly, wind directions and roughness levels using G.F. in the case of Seoul, Inchon, Icheon, Kanghwa, Yangpyong areas have increasing tendency. - Roughness levels have decreasing tendency in Suwon and other areas because the daily maximum wind velocity (yearly average) has a very high increasing rate. Also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daily maximum wind velocity (yearly average) and yearly average using G.F. in areas of increasing roughness levels, but the correlation is low in areas where have decreasing tendency roughness levels. 2. Results of roughness levels survey - In this investigation, Seoul area is the highest roughness level number V with investigated in ENE direction and other 6 wind directions, and it's also observed that for Incheon, Suwon, Icheon, Ganghwa, and Yangpyeong areas are categorized in roughness levels Ⅲ and Ⅳ. 3. Correlation of G.F. and Roughness levels survey - From the comparison of roughness levels and G.F. by areas, in the case of Seoul and other 5 areas show 50-81% for surface investigation by roughness levels and the comparison between G.F and roughness levels survey can be assumed into 100% in same roughness levels. Therefore, It's defined from this study that the roughness levels by G.F. can use for validity of standardization customs in this country. 4. Wind speeds standardization by meteorological stations areas - The yearly maximum wind speed in the case of Seoul, Incheon, Suwon, Icheon, Ganghwa, and Yangpyeong are identified as roughness level II with 10m height is used for wind standardization. The wind speed standardization of roughness levels II and III in the case of Seoul, Incheon, and Suwon areas are increased 16.53%, for Icheon area increased 8.56%, Ganghwa area increased 16.65% and Yangpyeong area increased 11.14%, than the overall increasing wind speed in the case of Seoul area is 9.99%, Incheon area increased 5.53%, Suwon area increased 15.34%, Icheon area increased 8.58%, Ganghwa area increased 12.8%, and for Yangpyeong area increased 1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