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eoGebra활용 수업이 수학부진아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2학년 일차함수와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최수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수학용 소프트웨어 GeoGebra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 기존의 강의식 수업에 비교하여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서울시 마포구에 소재한 S 중학교 2학년 수학부진아 60명을 선정하여, 각 각 30명 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중학교 2학년 일차함수와 그래프 단원 9차시 분량에 대해 실험집단은 GeoGebra 수업을 진행하고, 비교집단은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와 수학학습태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학습이해력과 속도가 떨어지는 학습부진아 학생들에게 GeoGebra를 조작하는 수업은 수학적 내용을 이해하는데 버거운 활동으로 보인다.

      • 시지각훈련과 청지각훈련이 발달장애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최수희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지각훈련과 청지각훈련이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4명의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시지각훈련군 9명, 청지각훈련군 8명, 대조군 7명으로 무작위배치하여 6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전, 훈련 3주 후, 훈련 6주 후에 주의지수의 변화, 심박수 변화, 자율신경계의 변화, 연속수행검사에서 정반응수, 누락 오류수, 오경보 오류수, 반응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지각연속수행검사 시 Fp1, Fp2에서는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O1, O2에서는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 청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Fp1, Fp2에서는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 청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O1, O2에서는 청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시지각연속수행검사와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심박수의 변화는 집단과 기간 사이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교감신경계에서는 집단과 기간 사이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시지각연속수행검사와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정반응수와 누락 오류수 변화는 시지각훈련군과 청지각훈련군,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반응시간의 변화는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 청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결과적으로 시지각연속수행검사와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시지각훈련군과 청지각훈련군에서 모두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중 시지각훈련군이 청지각훈련군보다 주의집중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발달장애 아동의 주의집중력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VPT) and sound-based intervention(SBI) on attention in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evaluated. Participants(n=24) were into three groups: VPT(n=9), SBI(n=8) and control(n=7). All groups were received occupational therapy for 30 minutes per week during 6 weeks. In addition, VPT and SBI groups practiced training 30 minutes per week during 6 weeks. VPT and SBI were aiming for improvement on attention index, heart rate variability(HRV), sympathetic nerve,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 on attention index of Fp1, Fp2 in VPT vs control groups, O1, O2 in VPT vs control groups, SBI vs control groups when visual continuous performance test(VCPT) were performed(p<0.05).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 on attention index of Fp1, Fp2 in VPT vs control, SBI vs control groups, O1, O2 in SBI vs control groups when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ACPT) were performed(p<0.05).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in each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ment time on HRV when performed of VCPT and ACPT(p<0.05). Also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in each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ment time on sympathetic nerve when performed of ACPT(p<0.05).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 on hits, omission error in VPT vs SBI groups, SBI vs control groups when VCPT and ACPT were performed(p<0.05).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 on response time in VPT vs control groups, SBI vs control groups when ACPT were performed(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VPT and SBI improve relative on attention index, HRV, sympathetic nerve, CPT, and show that the VPT is more effective.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s that VPT and SBI are improve on attention in developmental disability.

      • 정신분열병 및 우울장애 환자에서의 무쾌감증의 특성 비교

        최수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즐거움을 경험하는 능력의 감소를 뜻하는 무쾌감증(anhedonia)은 정신분열병 및 우울장애에서 흔하고 치료 저?적이며 사회적 기능을 빈곤하게 하는 핵심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쾌감 능력(hedonic capacity)에 초점을 두고 쾌감경험을 세분화하여, 제한적 정보의 예고구간과 충분한 정보의 주제구간의 순차적 경험 과정을 통해 무쾌감증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29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20명의 우울장애 환자, 29명의 정상대조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컴퓨터 동영상을 통해 쾌감경험의 예고구간과 주제구간을 직접 경험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유발된 쾌감의 정도를 시각적 상사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각 집단과 구간 간 쾌감점수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유의한 교호작용이 있었다. 쾌감자극의 예고구간에서 주제구간으로의 순차적 경험 중, 정상대조군에서는 예고구간의 쾌감이 이후 주제구간에서 충분한 쾌감점수 상승으로 이어지는 데 반해,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는 예고구간의 쾌감이 주제구간의 충분한 쾌감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우울장애 환자군은 두 구간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쾌감점수를 보였지만, 구간 사이의 쾌감점수 상승 정도는 정상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즉, 정신분열병 환자의 감정의 결손과정은 쾌감경험의 맥락적 상황에서 전개부의 쾌감이 절정부의 쾌감으로 연결되는 긍정반응 증가(augmentation of positive response)의 결함이고, 우울장애 환자의 감정의 결손은, 긍정반응의 증가는 온전하지만 전반적인 쾌감경험능력의 감소로 인해 즐거움에 대한 반응이 저하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 제주지역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 분석

        최수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주지역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실태,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을 조사하여 일반사항, 근무현황에 따른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을 분석하고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제주지역 초· 중· 고등학교에서 영양교사가 체계적이고 보다 나은 영양교육과 영양상담 실시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제주도내 초‧ 중‧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2021년 3월 22일부터 2021년 5월 17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영양교사 136(정원기준)명 중 휴직중인 교사(6명)를 제외하고 130명 전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회수된 설문지 총 96부(회수율 70%)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Program (ver. 21.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고, 각 조사 항목에 대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평균차이 검증은 t-test, ANOVA를 사용하여 집단 간의 유의성을 살펴보았으며, ANOVA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세부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사항에서 연령은 50대가 57.3%로 가장 많았고, 기혼 비율이 69.8%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은 대학원 졸업(재학 중 포함)이 44.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하였다. 근무경력은 26년 이상이 39.6%로 가장 많았고, 1년 연봉은 5,000만원 이상이 60.4%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근무현황에서 현재 근무처는 초등학교가 57.3%, 급식유형은 도시형 58.3%, 담당하는 학교수는 1개교가 84.4%로 높은 비율을 차지 하였고, 급식관리 형태는 단독조리가 87.5%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양교육 실태를 직접영양교육, 간접영양교육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직접 영양교육 실시 방법으로 영양상담이 34.8.%으로 가장 많았고, 조사대상이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 ‘업무과다로 인하여’ 라는 응답이 59%로 가장 많았다. 영양교육 수업을 실시하지 못함으로 느끼는 아쉬운 점으로는 ‘간접교육으로만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교육의 질이 향상되지 못하는 점’이 6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이 영양 및 식생활 교육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과제로 생각하는 것으로는 ‘업무 경감 및 영양 교육을 위한 시수 확보’가 4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의 업무중요도와 업무수행도를 분석한 결과, 업무중요도는 급식관리가 4.7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업무수행도에 있어서도 급식관리가 4.3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현황에 따른 업무수행도에서는 급식유형과 급식관리영역에서 도시형이 4.53점, 근무현황에 따른 업무중요도에서는 담당학교 수와 학부모 대상 교육 및 영양상담영역에서 2개교가 4.1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의 직무만족도는 3.41점으로 ‘학생‧교직원‧조리종사자들과의 인간관계(3.69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근무환경(3.61점)’, ‘상사의 감독(3.61점)’, ‘직무자체(3.40점)’, ‘급여 및 복지(3.03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승진 및 교육의 기회(2.09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교사효능감은 3.31점으로 ‘대인관계(3.46점)’에 대한 효능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기계발 및 자기관리능력(3.50점)’, ‘교과지도(3.18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업무중요도 및 업무수행도와 직무만족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의 직무자체 요인과 업무 수행도의 교육계획 수립 및 자료제작 ·배부 요인, 근무환경 요인과 업무중요도의 급식관리 요인, 학생‧ 교직원‧ 조리종사자들과의 인간관계 요인은 업무중요도의 학부모 대상교육 및 영양상담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인들, 상사의감독 요인은 업무중요도의 교육계획 수립 및 제작·배부, 학생대상 교육 및 영양상담 요인들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의 직무자체, 학생‧ 교직원‧ 조리종사자들과의 인간관계 요인은 교사효능감의 모든 요인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제주도내 영양교사는 과중한 급식 및 행정 업무로 인해 영양교육 및 영양상담 실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영양교육 및 영양상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불필요한 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방안과 최소한의 의무적 영양 교육 시수배정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또한 영양교사들은 스스로 영양교육 및 영양 상담에 관한 실천 의지를 갖고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contribute to find a solution to make nutrition teache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eju conduct better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by investigating the actual sit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e importance of work and work performance for nutrition teachers in Jeju,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work, work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onditions and work conditions,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of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2021 to May 17, 2021 for nutrition teachers working in Jeju Isl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pecial schools, and A total of 96 copies of the questionnaire (recovery rate 70%) collected by surveying all 130 teachers out of 136 nutrition teachers (capacity standard) excluding teachers on leave (6 teachers), were used as analytical materials. The surveyed material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 21.0) to determine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survey unit, and the verification of the mean difference was performed through t-test, ANOVA, which was used to explain the significance between populations. We also conducted 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n the post-verification of ANOVA. The results of the detailed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trition teachers, the age was the highest at 57.3% in their 50s, the married rate appeared higher at 69.8% than unmarried, and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including while attending school) at 44.8 of the highest rate. The most common work career was 26 years or more at 39.6%, and the annual salary was 50 million won or more at 60.4%. Currently, elementary schools accounted for 57.3%, meal service types were urban 58.3%, and the number of their schools in charge was one at 84.4%. With regard to management of meal service, most of them were operated by single cooking at 87.5%.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ctual sit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dividing it into direct nutrition education and indirect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counseling was the most common at 34.8% i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direct nutrition education. 5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reason it is hard for them to conduct nutrition education was due to overwork. The most regrettable point that they feel nutrition education classes cannot be implemented is that nutrition education is implemented only by indirect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is not improved, they answered at 63.3%. As the most necessary task for teachers to activate nutrition and dietary education, nutrition teachers answered securing a system for work reduction and nutrition class hours the highest at 45.1%.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of work and work performance, meal service management was highest at 4.71 points out of 5 in the importance of work, and was showed at 4.38 points with the highest point in work performance as well. In work performance by work of nutrition teachers according to work situation, the type of meal service and meal service management belonged to urban type with 4.53 highest points out of 5. In the importance of work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work, the number of schools in charge and education for parents and nutrition counseling were two schools with a high score of 4.13 points out of 5. Fourth, the nutri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3.41 points out of 5,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 with students, teachers and cooks (3.69)’, ‘working environment (3.61)’, ‘supervision by their boss (3.61)’, ‘job itself (3.40)’, and ‘Salary and welfare (3.03)’, and ‘promotion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2.09)’ were the least satisfied. A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by general matt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riage status, final education, work history, and one-year salary. Fifth, teacher efficacy of nutrition teacher scored 3.31 points out of 5, with the highe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46)’, and ‘self-development and self-management ability (3.50)’ and ‘subject guidance (3.18)’ in order.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importance of work and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job itself factors in job satisfaction and education planning, materi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actors in work performance, work environment factors and meal service management factors in the importance of work, the factors of human relations with students, teachers, and cooks and all remaining factors except for parental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factors in work importance, and boss supervision factor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education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importance of work, and education for students and nutrition counsel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itself and the factors of human relations with students, teachers, and cooks showed positive (+) correlation with all the factors of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nutrition teachers in Jeju island had difficulty in conducting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due to excessive work such as meal service and administrative work. In order to ensure efficient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nsultation, it is essential that measures to reduce unnecessary administrative work and efforts such as allocating minimum required nutrition classes for students are needed. In addition, nutrition teachers themselves should make constant efforts with a resolution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 한국 청소년 대상으로 동맥경화지수와 관련된 식습관 및 식이요인 규명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2016-2018)자료를 활용하여

        최수희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혈관계 질환은 만성질환 중 하나로 2020년 기준 한국인 주요 사망원인 2위에 해당하며 신체적 제한을 비롯하여 경제적 및 심리적 부담 등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알려진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높은 총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 고혈압, 흡연, 당뇨병, 비만 등이 있다. 특히 동맥경화 예측 지표 중 하나인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x of Plasma, AIP)를 활용하여 연구된 국내외 선행 연구는 많지만,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016-2018년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AIP에 따른 일반적 특성, 건강지표, 생활습관 요인, 식습관 및 영양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청소년기의 동맥경화 관련 요인을 찾아내어 동맥경화 사전 예방을 위한 지침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2016-2018년)에 참여한 만 12-18세 중, 고등학교 재학중인 1,035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AIP는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중성지방 농도의 대수 변환된 비율로 계산하였으며 전체 대상자를 AIP에 따라 3 분위수로 분류하여 일반적 특성, 건강지표, 생활습관 요인, 식습관 및 영양 상태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 전체에서 AIP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으로 갈수록 체중, 체중 백분위수, BMI, 비만도, 허리둘레 평균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근력 운동의 경우 남자 고등학생 그룹에서 AIP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운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AIP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체중, 비만도 항목에서 체중 백분위수가 높아질수록, 비만도가 높아질수록 AIP 평균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소득수준의 경우 고등학생 그룹에서 소득수준이 낮은 군에서 높은 군으로 갈수록 AIP 평균값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음주 및 흡연 경험 여부를 묻는 항목에서는 고등학생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 경험 여부와 관계없이 두 항목의 AIP 평균값 모두 AIP 고위험군에 해당하였다. AIP에 따른 건강지표를 비교한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항목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AIP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으로 갈수록 중성지방은 높아지고 HDL-콜레스테롤은 낮아졌다. 이외에도 수축기 혈압은 남녀 중학생, 남자 고등학생 그룹에서 AIP가 높은 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이완기 혈압은 여자 중학생 그룹과 남자 고등학생 그룹에서 AIP가 높은 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공복 혈당은 여자 중학생 그룹에서 AIP가 높은 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총콜레스테롤은 남자 중학생 그룹과 남자 고등학생 그룹에서 AIP가 높은 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고감도 C 반응 단백 검사 수치는 남자 중학생 그룹과 여자 고등학생 그룹에서 AIP가 높은 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AIP에 따른 대상자 부모의 만성질환 의사진단 여부를 묻는 항목에서는 남자 고등학생의 경우 AIP가 높은 군에서 어머니의 당뇨병 의사진단 경험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자 고등학생의 경우 AIP가 높은 군에서 아버지의 당뇨병 의사진단 경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AIP에 따른 외식 빈도를 비교한 결과 여자 중학생 그룹에서 외식 빈도 비율이 AIP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영양교육 경험 여부 항목의 경우 여자 고등학생 그룹에서 AIP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의 영양교육 경험이 있는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으나 전체적으로 영양교육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AIP에 따른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 비교는 비타민 C 항목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비타민 C의 경우 남자 고등학생 그룹에서 AIP가 중간 군의 비타민 C 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AIP에 따른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대비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 부족자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남자 중학생 그룹에서는 AIP가 중간 군에서 비타민 C의 섭취 부족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고, 여자 중학생 그룹에서는 AIP가 중간 군에서 칼슘의 섭취 부족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남자 고등학생 그룹에서는 AIP가 중간 군에서 비타민 C의 섭취 부족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한국 청소년의 경우 비만도가 높고 운동 부족일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혈압 및 각종 건강지표의 수치가 좋지 않을수록, 당뇨 가족력이 있을수록 동맥경화의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동맥경화의 사전 예방을 위해 청소년기 시절부터 적절한 체중 관리 및 운동과 식습관 조절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단면연구이므로 AIP에 따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지표, 생활습관 요인, 식습관 및 영양 상태와의 연관성만 제시할 뿐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없었다. 그러나 새로운 동맥경화 예측 지표로서 AIP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동맥경화 위험도를 모니터링한 점과 AIP와 여러 요인과의 연관성 비교를 통해 청소년기의 동맥경화 예방 지침의 근거를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Cardiovascular disease is one of the chronic diseases that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including physical limitations as well as economic and psychological burdens. Research on major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currently known major risk factors include high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ow HDL-cholesterol, high blood pressure, smoking, diabetes, and obesity.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using the Atherogenic Index of Plasma (AIP), one of the predictive indicators of arteriosclerosis, but studies conducted on Korean adolescent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indicators, lifestyle factor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AIP among Korean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7th period (2016-2018)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t was conducted to find the basis of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arteriosclerosis in advance. This study subjects were 1,03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2 to 18 who participated in the 7th period (2016-2018)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IP was calculated as a logarithmic conversion ratio of triglyceride concentration to HDL- cholesterol, and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ertile according to AIP, an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indicators, lifestyle factor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study, body weight, weight percentile, BMI, obese status, and average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increased as AIP increased from the low to high AIP group in all subjects. In the case of exercise(muscle strength), in the high school boys group, the group with low AIP had a higher rate of exercise than the group with high AI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AIP valu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verage AIP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weight percentile and obese status level increased in the weight and obese status category. In the case of income level, the average AIP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low-income group to the high-income group in the high school girls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high school girls group in the category of drinking and smoking experiences, regardless of the experience, the average AIP values of both category were in the high-risk group for AIP. As a result of comparing health indicators according to AI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in all subjects. From the low to high AIP group, the triglyceride increased and the HDL-cholesterol decreased.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cholesterol,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test values. In the case of whether or not the subject's parents were diagnosed with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the AIP, high school boys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mother's diabetes diagnosis experience, and high school girl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ather's diabetes diagnosis experienc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requency of eating out according to AI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in the middle school girls group, but showed a similar pattern in each AIP group. In the case of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 the proportion of high school girls group with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 AIP group than in the low AIP group, but overall rate of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 was insufficient. Comparison of energy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AI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vitamin C. In the case of vitamin C, the vitamin C intake in the high AIP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school boys group than in the low AIP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atio of those with insufficient energy and nutrient intake compared to the KDRIs(Korean Dietary References Intakes) according to AIP, the vitamin C intake deficiency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high AIP than in the group with low AIP in the middle school boys group. In the middle school girls group, the rate of insufficient calcium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high AIP than the group with low AIP. In the high school boys group, the rate of insufficient vitamin C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 AIP group than in the low AIP group. In conclusio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k of arteriosclerosis may increase as Korean adolescents have high degree of obesity, lack of exercise, low income level, poor blood pressure and various health indicators, and a family history of diabete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ppropriate weight management, exercise, and diet control from adolescence are necessary to prevent arteriosclerosis in advance. A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it could not explain a direct causal relationship, only suggesting the correlation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indicators, lifestyle factor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subjects according to AIP. Howe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AIP was used as a new predictive index for arteriosclerosis to monitor the risk of arteriosclerosis in adolescents, and it wa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basis for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arteriosclerosis in adolescents by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IP and various factors.

      • 의복구매의도와 구매행동의 불일치에 관한 정성적 연구 : 상황요인, 감정요인을 중심으로

        최수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의류학 분야에서 매우 합리적이며 경제적인 의사결정자인 소비자들의 의류제품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로서 객관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성복 구매행동에서 구매전 의도에 나타나는 동기의 유형, 그리고 실제로 구매행동시에 일어나는 구매의도와의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요인과 구매행동시에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감정적 요인들을 정성적 방법에 의하여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내에 거주하는 30~50대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구매전 의도와 구매행동에 대한 사항들을 설문지와 개별 집중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복구매 동기가 소비자의 구매전 의도단계에서 다양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동기유형을 살펴보면, 여행 등의 나들이 계획, 집안행사, 동창회 모임 등이 많이 언급되었고, 정기적 할인기간의 이용, 충동구매, 기분전환을 위해서 등의 내용도 있었다. 둘째, 의복구매의도와 구매행동 사이의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요인들은 판매원의 불친절한 태도와 조언, 매장의 분위기 및 광고, 매장내의 디스플레이 등의 점포요인, 제품구색에 따른 구매, 사이즈 부족, 가격정도 등의 제품요인, 소극적인 제품탐색, 그날의 기분상태, 타인의 의복을 관찰 등의 감정요인, 쇼핑 동반자의 영향, 시간압박, 신제품의 미도착상황 등의 상황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들이 구매행동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감정요인은 뿌듯함, 충족감(만족감), 흥미, 불쾌감, 불안감, 짜증, 즐거움(유쾌), 충동감, 허탈감, 과시감, 위축감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들은 의복구매전 의도 단계에서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구매를 시도하였다. 구매행동시에 예상치 않은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의도 단계에서의 결정과는 일치하지 않는 행동을 하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의복구매의도와 구매행동 사이의 불일치에 대해 상황요인 뿐만 아니라 감정적인 요인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tuation that may impact discrepancy between pre-purchase intention and practical purchase behavior, to find various motive type of pre-purchase intention on the consumer purchase behavior. To research this, an ethnographic approach was perfomed which was a kind of qualitative analysis or naturalistic inquiry. Data was collected through non-participant observation, focus-interviewing, field notes and recording. The subjects were women from thrties to fifties in pusa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s : First, Various type of motive was perfomed complicatly on pre-purchase intention, such as 'for the tour' 'for the meeting' 'using regural bargain sale' 'impulse buying' 'to change mood' etc. Second, For the effect of situation to influence discrepancy between pre-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behavior, non-precicted situation influenced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The most frequency situation factor was 'salesperson's attitude and recommendation' as a shop factor. Third, The affective factor that consumer experienced in process of purchase behavior was 'satisfaction' 'interest (attraction )' 'pleasure(refreshment)' 'neglect- ness' 'dispiritedness' 'anxiety' 'prostration' etc. Finally consumer planned purchasing with various motives on pre-purchase intention and then consumer got attitude about object apparel goods. Under these intentions, consumer was met with non-predicted situation, did experience discrepancy behavior with decision on step of intention. And that situation factor and affective factor was effctive, played important roles in decision making process.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활용 초등영어 학습부진아의 어휘학습

        최수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휘 학습 도구(단어 카드 앱, 게임 앱)를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이 초등영어교과 학습부진아의 어휘 성취도, 어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폰 활용 학습의 교수·학습 양상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스마트폰 어휘 앱을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이 초등영어 학습부진아의 어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스마트폰 어휘 앱을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이 초등영어 학습부진아의 어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스마트폰 어휘 앱을 활용한 초등영어 학습부진아 영어 어휘 학습의 교수·학습 양상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학년 초등영어 학습부진아 8명을 2개의 집단(단어 카드 앱, 게임 앱)으로 나눠 학습하게 하였다. 어휘 학습은 매일 20여 분 동안 실시하였고, 총 47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사전․사후(즉시, 지연) 어휘 평가, 사전․사후 설문조사, 교사 관찰 일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각 어휘 평가 및 설문조사 폐쇄형 문항의 결과는 t-검증으로, 설문조사 개방형 문항과 교사 관찰 일지, 심층 면담은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두 가지 스마트폰 어휘 앱을 활용한 학습은 모두 학습자의 단기, 장기 어휘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앱의 차이에 따른 어휘 성취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앱의 유형에 따른 성취도 차이는 알 수 없었다. 다만 기술통계를 통해 게임 앱보다 단어 카드 앱의 성취도가 다소 높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선택적 주의 집중력이 부족한 학습부진아동에게는 복잡한 배경 화면과 배경 음악이 없는 단어 카드 앱의 단순한 형태가 학습에 더욱 집중하게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스마트폰 활용 학습은 학습부진아의 어휘 학습 태도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지만, 앱의 유형에 따른 어휘 학습태도의 차이는 알 수 없었다. 대부분 영역에서 사전 설문조사 결과보다 사후 설문조사 결과의 평균점이 높아 스마트폰 학습이 학습자의 어휘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역은 단어 카드 앱의 중요성과 적극성 영역, 게임 앱의 자신감 영역이었다. 흥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설문조사의 개방형 문항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학습자가 스마트폰을 활용한 학습이 흥미로웠다고 응답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자의 학습 흥미 유발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스마트폰 활용 학습의 교수․학습 양상은 앱의 종류에 따른 교수·학습 양상의 차이보다는 개별 학습부진아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주를 이루었다. 학습부진아의 학습 동기와 지속력 부족 문제, 주의 집중력 부족과 다수 실패의 경험에 따른 자신감 결여의 문제는 각종 보상, 협조체제 구축, 학습환경 재조성 및 학습의 개별화 그리고 성공의 경험 제공을 통해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 도구 관리를 위해 가정과의 협조체제를 구축하였고, 학습부진아의 부족한 학습 시간을 보충하기 위해 틈새 시간을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격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스마트폰 어휘 학습 앱을 활용한 어휘 학습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언제 어디서나 학습 가능한 스마트폰의 장점을 잘 활용한다면, 학습부진아의 부족한 어휘 학습 시간을 채워주어 어휘 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본 연구의 사례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 교수․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육용 앱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초등영어 학습자, 특히 학습부진아의 영어 학습에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최근 급격히 시도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이 더욱 최적의 교수․학습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통해 체계적 검증을 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two smartphone applications, one involving word cards and the other more game oriented, for vocabulary acquisition by underachieving elementary English students. The questions addressed by this research project are stated as follows: 1) Does studying vocabulary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affect learners’ vocabulary acquisition? 2) Does studying vocabulary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affect learners’ attitudes towards vocabulary learning? 3) What was the overall effect of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by underachieving elementary school English students? The study involved eight fifth-grade underachieving English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s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used the specialized application using word cards, and the other used the game-type application. Each student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for about twenty minutes Monday through Friday for 9 weeks, that is, for 47 sessions total. Six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vocabulary pre- and post- recognition tests, pre- and post- surveys, a teacher-researcher’s journal, and final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The vocabulary tests and closed survey item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while the open survey item, interviews, and teacher journal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ree major findings were drawn based on the data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s for vocabulary learning had a positive result on the learners’ vocabulary skills. Both groups’ short-term and long-term vocabulary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vocabulary post-tes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ly,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s for vocabulary acquisition improved most of the subjects’ attitude towards learning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using two types of applications. In the analysis of the surveys and open-ended questions, most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found learning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to be an interesting experience. Third, the effects of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s for vocabulary acquisition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each student’s learning style and personality traits rather than on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ents’ struggles related to learning such as lacking motivation and perseverance, weak concentration, and low levels of confidence due to repeated experiences of failure were overcome by a number of strategies. These included giving rewards, establishing a cooperation system with their parents and others close to them, re-creating a suitable learning environment, catering to the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styles, offering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success, and encouraging them to practice self-directed learning in order to compensate for insufficient time spent learning vocabulary.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utilizing smartphone applications can help learner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smartphone applications based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needs as well as on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apply the smartphone applications to elementary English lessons in order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English underachievers. Finally,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acy of the smart education recently adopted in the English classroom,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its effects and further develop learners’ English abilities.

      • 식도암 수술환자의 지지적 간호요구

        최수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pportive care needs and related factors among esophageal cance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a curative resection.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given to seventy-seven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curative resection and used modified Benevski’s Supportive Care Needs Survey (SCNS) Questionnaires. The SCNS consisted of fifty-nine items in six domains. The degree of supportive care need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Data collection took place between February 10, 2012 and July 7, 2012.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st score among supportive care needs was found in the health system & information domain. The three related factors was influenced the extent of the need for supportive care sub-domains. Postoperative weight change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needs, physical & daily living needs, and sexuality needs. And the method of operation were related to patient care & support needs and sexuality needs. Faithfulness of religious belief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needs and others needs. This study shows that supportive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curative esophageal resection must be emphasized in education regarding health system & information. Also, patients with a significant perioperative weight change, method of operation, and faithfulness of religious belief must be preferentially included in supportive nursing. 본 연구는 식도암 수술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지적 간호요구와 관련요인을 조사하여, 환자 중심의 질적 간호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시행된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서울 시내 A병원 외래에 내원한 식도암 환자로, 근치적 식도암 절제술을 받고 1개월이 경과하여 정상식이가 가능한 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수술 후 5년이 경과한 자, 수술 전․후 항암,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 재발의 증거가 확인된 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2월 10일부터 2012년 7월 27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의 도구는 총 6개 영역, 59개 문항으로 구성된 Supportive Care Needs Survey설문지(Bonevski 등, 2009)를 함윤희(2009)가 국문 번안․수정한 도구에, 식도암 수술환자의 특성에 맞추어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을 이용하였다. 5점 척도로 응답된 설문점수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후 검정은 Duncan's multiple test를 사용했고, 연속된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평균연령 61.9세, 남성 90.9%였다. 종교가 있는 대상자 54.5%, 고졸이상 52%, 직업이 있는 대상자 53.2%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수술 후 평균경과 기간은 20.35개월이었고, 흉부 위-식도 문합술을 시행한 대상자가 81.8%였다. 응답한 대상자의 89.6%가 수술 후 체중이 감소했고, 식도암 수술 후 역류, 연하곤란, 호흡곤란 등 자각증상은 46.8%에서 나타났다. 식도암 최종 병기는 1기가 54.5%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이 나타난 대상자는 40.3%였다. 3. 지지적 간호요구 전체의 평균점수는 47.8±27.2이었다. 영역별로는 건강관리체계 및 정보영역이 56.2±27.8로 제일 높았으며, 신체적증상 및 일상생활영역이 49.4±26.4, 환자간호와 지지영역 45.4±26.6, 심리적 영역 45±26.8, 기타영역 40.8±25.8, 성적영역이 40.6±25.6로 나타났다. 전체 지지적 간호요구에 대해 측정한 문항에서 평균점수가 3점 이상 측정되어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된 문항은 총 5개로, 모두 건강관리체계 및 정보영역에 속하는 문항이었다. 4. 대상자의 지지적 간호요구의 하위영역에서는 수술 후 체중변화, 종교, 수술방법에 따라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수술 후 체중변화는 지지적 간호요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관련 요인별로 살펴보면, 수술 후 체중감소가 나타난 대상자에서 심리적 영역, 신체적 증상 및 일상생활영역, 성적영역에서 지지적 간호 요구가 높았고, 경부 위-식도 문합술 대상자에서 환자간호 및 지지영역, 성적영역의 지지적 간호요구 평균점수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종교가 없는 대상자에서 심리적 영역과 기타영역의 지지적 간호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도암 수술환자의 지지적 간호요구는 건강관리 체계 및 정보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술 후 체중변화, 종교, 수술방법에 따라 영역별 지지적 간호요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식도암 수술 대상자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식도암 수술환자가 갖는 지지적 간호요구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질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간호학적 의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