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최민성 광주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규명한 후,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전남 소재의 초등학교 1, 2학년 교사 403명을 대상으로 ‘즐거운 생활’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해 설문 조사한 후, 이를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문성 향상을 위해 통합 교과인 ‘즐거운 생활’의 연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연수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수 과정의 개설 및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즐거운 생활’ 교과에서 체육 영역을 분리시켜야 한다는 취지에는 대부분 동의하였지만, 실제로 분리되었을 때 그에 따른 현실적인 문제를 우려하여 분과에는 반대하였다. 셋째, ‘즐거운 생활’의 수업은 주로 ‘미술’ 수업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영역별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체육 수업에 대한 지도가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즐거운 생활’을 통합 지도하기 어려운 이유는 영역별로 ‘학습목표와 내용 및 지도 방법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었으며, 이러한 통합 지도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체육’ 영역만을 따로 분리시켜 가르치고 있었으며, 분과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즐거운 생활’의 신체활동 영역이 아동들의 건강문제(소아비만, 체력저하 등)를 해결해 줄 수 없고, 저학년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춘 신체활동의 제공도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즐거운 생활’이 3학년 체육의 내용과 연계 지도가 잘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영역은 대체로 ‘경쟁 활동’ 및 ‘표현 활동’이었고, 나머지 영역과의 연계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지도 후 평가 형태는 ‘전인적인 형태’가 아닌 ‘특정 영역’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일곱째, 앞서 제시한 ‘즐거운 생활’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즐거운 생활’에서 체육 영역을 분리하여 ‘건강한 생활’이라는 독립 교과로 신체활동 영역을 따로 다루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과목을 늘리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고려할 때, ‘즐거운 생활’의 영역별 불균형을 해소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교과서 내용 제시 순서, 통합 지도 방법, 내용 영역별 균형, 신체활동 영역 강화 등)이 모색되어야 한다.

      • 난분해성 오염토양 열적처리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최민성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PCBs에 의한 토양 오염은 석유화합물, 중금속 및 기타 유기물 오염과 더불어 매우 심각하게 여겨지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이 오염물질을 규제하기 위한 자체 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PCBs의 경우는 염소기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이성질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PCBs의 난분해성은 인체에 분해되지 않고 축적되며 인간에게 뿐 아니라 환경 생태계에도 매우 해로운 실정이다. PCBs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는 소각 및 열탈착법, 고형화 및 안정화법, 탈할로겐화법, 미생물에 의한 처리법 등 여러 가지 기술들이 적용되어 왔다. 그 중 열탈착은 오염토로부터 PCBs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 매우 짧은 시간 내에 고온 처리를 하는 기술이며 본 연구에서는 PCBs 및 TPH와 같은 난분해성 오염물질로 오염된 오염토를 정화하기 위하여 열탈착 공법을 적용했다. 실제 현장에 존재하는 PCBs 오염토의 입경별 오염분포를 조사한 결과 입경이 미세할수록 PCBs 농도가 증가함을 나타냈으며 특히 18mm 이상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아 선별공정에 의해 약 10%의 처리대상토의 감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중 PCBs의 열탈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TGA, DSC, DTA 등의 열분석 실험을 수행했으며 그 결과 PCBs는 300~450℃에서 열탈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와 시간에 따른 최적의 열탈착 조건을 찾아내기 위해서 Furnace 반응기를 이용하여 실험했으며 통계처리한 결과 처리온도 325℃, 체류시간 25분에서 최적의 조건을 나타냈으며, 500ml 용량의 Lab 열탈착 반응기를 이용하여 반복 실험한 결과 400℃, 20분에서 99.99%의 PCBs 제거율을 나타냈다. Lab 실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반응기, 응축기, 냉각기, 활성탄 흡착탑 등으로 구성된 500kg/hr 파일롯 열탈착 장치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이 장치의 공정은 400~500℃의 rotary kiln에 토양을 투입하여 열탈착하는 1단계공정과 발생된 미세분진 및 가스를 응축기를 통과시키는 2단계 공정, 발생된 응축액을 수집하여 처리하는 3단계 공정으로 나뉜다. 운전결과 TPH의 경우 처리전 2,100∼27,500 mg/kg으로 오염된 토양을 처리후 20mg/kg 정도로 토양오염우려기준 1지역 기준인 500mg/kg 이하로 처리하였다. 토양의 Mass Balance는 모두 95% 이상이었고 대부분의 토양은 처리토 및 싸이클론 분진의 형태로 배출되었다. PCBs 오염토의 경우 처리전 약 5mg/kg인 토양을 처리후 0.01~0.015mg /kg으로서 99.5% 이상의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며 이는 토양오염우려기준 1지역 기준인 1mg/kg에 만족하였다. 배출가스 중 다이옥신의 농도는 활성탄탑을 설치한 결과 가스상 다이옥신은 0.018ng-TEQ/m3으로서 소각로의 0.1ng-TEQ/m3 다이옥신 기준인 보다 낮음을 확인하였다. Soil contamination with petroleum hydrocarbons, heavy metals and other organic components 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is very serious issue in these days in different countries. Most of the countries have their regulation to limit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in soil. However, PCBs are managed specially with more cautious since those have different types of isomers depending upon the number and direction of chloride in the PCBs compounds. PCBs are very hard to degrade and therefore it creates harmful effect to the environment and living creatures. To remove PCBs from soil, different technologies such as solidification/ stabilization, vitrification, chemical washing, bioremediation have been applied. Among all the applied technologies high temperature treatment process like thermal desorption has been observed to be very efficient one due to the short reaction time and generation of almost clean soil. Based on suitability of thermal desorption process, our present research work is focused on treatment of PCBs and TPH contaminated soils through such technology. This work involves both laboratory and pilot scale experiments. The PCBs soil sample was initially analyzed to find out PCBs concentration according to sieve particle size. It was observed that with decrease of particle size the PCBs concentration increased. Thermal analysis of the contaminated soil was performed through TGA, DSC and DTA methods. All the data analysis showed appreciable result within temperature range of 300-450℃, and this temperature range was suitable for soil treatment in thermal desorption process. Initial laboratory therm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furnace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different reaction time.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 was determined to be 325℃(reaction temperature) and 25 minute (reaction time). Whereas, in the case of experiments in 500mL reactor, PCBs removal efficiency (99.99%) was the best at 400℃temperature and 30 min reaction time. Based upon above laboratory experiments, the pilot scale reactor study was conducted. A thermal desorption reactor was prepared having input capacity of 500kg of soil per hour. The major parts of the thermal desorption reactor contained of condensing tower, condenser, cooler, cooling tower. The 1st stage reaction in the thermal desorption plant takes place in the rotary kiln where the soil treated at 400-500℃. Then the particulate matters are removed by cyclone. The 2nd stage involves the condensation process and in the 3rd stage the condensate materials collected and finally treated and released to atmosphere. In case of TPH contaminated soil, the TPH concentration in all experiments varied from 2100 to 27,500mg/Kg and after thermal desorption the concentration decreased to 20 mg/Kg which is quite below the standard level of concentration (500 mg/kg). The Mass-balance study reported 95% result based upon the treated soil and dust removed through cyclone. In case of PCBs contaminated soil the concentration was 5.24 and 4.98 mg/Kg before treatment and after thermally desorption the concentration decreased to 0.015 and 0.01 mg/kg, which resulted 99.7% and 99.8% removal efficiency. The obtained concentration in the soil after treatment is quite less than the standard level of concentration (1 mg/kg) and therefore, this soil can be considered as safe to dispose after treatment. In this case, the dioxin released after activated carbon treatment was found to be 0.018ng-TEQ/m3 which is comparatively lower than the dioxin level of the incinerator where the standard dioxin concentration remains at 0.1ng-TEQ/m3 .

      • 中等學校 合唱 音樂 敎育에 관한 硏究 : 慶南 地域 中高等學校 合唱部를 중심으로

        최민성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s education aims at producing the whole man with knowledge, righteousness, and justice. In this sense, the education of music plays a key role in helping man develop a harmonious personality instead of tilting in a single direction. Especially chorus activities, as one of the universal and participating music activities, help lead a fruitful life, cultivate balanced emotions, and develop aesthetic appreciation, creativity, cooperation and sociality. This thesis examines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the education of the chorus and also explores the importance of its education in adolescence. To find out the effect on students' psychological changes and emotions, 400 students on the chorus team in 8 middle and high schools -four each- in GyeongNam Province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resulting in the fact that the students' emotions can be purified and cultivated through the chorus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31 teachers in charge of the chorus team, a more effective way of activating the chorus teams in this area was found. How the theoretical aspect such as the correct posture, vocalization, and breath can apply effectively to real practices, which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arts for teachers, is examined through teachers' experience and literature. Since the education of the chorus largely affects adolescents in psychology, it can be said that the education of the chorus music plays a very important part in developing adolescents' harmonious personality. Thus, it is necessary to give chorus teams more active support and efficient operation. Above all,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paramount for teachers in charge of chorus teams to make consistent efforts to get more desirable teaching methods , keep up active and enthusiastic attitudes in the field of the chorus education.

      • 성인의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 전문대학 재입학생을 중심으로

        최민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전문대학에 다시 입학을 한 성인학습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그들이 겪었던 경험과 그 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학습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재입학 현상을 성인·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인식하고자 하였다. 이미 4년제 대학을 졸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문대학에 재입학을 하려는 결심을 할 때는 재입학자 스스로 인식과 관점을 변화시키는 선험이 있었음을 쉽게 예측할 수가 있다. 또한 이들이 재입학 이후 새로운 전공과 환경에 적응하는 경험을 통해, 유의미한 학습과정을 체득할 것이란 점도 쉽게 예상할 수가 있다. 이러한 특별한 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일련의 경험과 학습과정을 거친 성인학습자들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느끼고 반성하는지, 또한 어떠한 실천을 계획하는지 살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관심사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가 경험하는 특별한 학습과정을 심층적으로 기술하면서, 이러한 학습과정들을 설명하는 성인학습이론이 실제적으로 그 과정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가 재입학을 결심하기까지 겪은 경험은 무엇인가? 둘째, 재입학 후, 성인학습자들은 새로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인식이나 태도 등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실천하고 있는가? 셋째, 이상의 학습과정을 통해서, 전문대학 재입학 성인학습자들은 학습의 주체가 되기 위해 어떠한 학습과정을 경험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의 답을 얻고자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서는 성인학습과정에서 제기되는 관점전환과 개조주의학습, 경험학습, 자기주도학습 등의 학습이론들을 고찰하고, 전문대학 재입학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재입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습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법을 통해서 재입학의 경험이 성인들의 학습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차지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재입학의 과정에서 성인 학습자들은 주변의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그러한 경험을 어떻게 학습으로 발전시키는지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전문대학에 재입학한 성인 학습자 7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면접 대상자들은 남성 3인, 여성 4인으로써, 기혼이 4인, 미혼이 3인이며, 연령대 별로 보면 20대가 2인, 30대가 5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라 문헌연구 및 심층면담 결과를 해석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입학 이전에 연구 대상자들이 겪은 생애 경험은 '삶의 변화를 갈구하는 욕구불만'의 상태에서'비판적 반성' 또는 '의식화'의 경험을 통해 점진적인 관점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이미 대학을 졸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문대학에 재입학을 했다는 것은 성인의 삶에 큰 사건이었다. 새로운 학습환경에 적응하는 모습은 새롭게 편입된 학교 공간 안에서의 적응과 재입학으로 인해 변화된 삶의 공간 안에서의 적응의 두 가지 차원에서 이루어 졌다. 새로운 학습환경에 대해서, 그리고 스스로의 한계에 대해서 연구 대상자들은 많은 불만을 갖지만, 학교 공간에서 얻어진 것이 일상적 삶의 영역에 활용되는 것이 늘어나고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면서 만족하는 부분이 크게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연구 대상자들은 그들의 학습을 기획하고 실천하는데 있어서 주체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전 대학에서의 학습경험과 비교했을 때, 재입학자들의 학습은 '시켜주는 학습에서 내가 하는 학습'으로 변화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뚜렷한 목표와 신념을 획득함으로써, 학습과 삶의 내적 동기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했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인학습자들이 재입학을 전후로 하여 겪은 생애경험이란 전환학습과 개조주의학습, 경험학습, 자기주도학습의 특성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학습과정이라는 점이다. 관점전환학습과, 경험학습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의 특성은 각 학습이론이 개별적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세 학습이론의 각각의 특징들이 여러 상황에서 혼재되면서, 같이 연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성인의 학습은 그 학습자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문대학에 재입학한 학생들을 바라보는 시각은 그들 재입학생의 중심에 서서, 성인학습자로서의 삶의 문제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에게 학습은 스스로가 처해 있는 일상의 문제와 깊게 관련되어, 경험과 학습의 연계성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했다. 셋째, 전환점이 되는 생애 사건으로서 재입학을 계획하고 실천한 재입학생들은 성인학습자로서 그 특징적인 모습들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재입학 성인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하여 수동적이라기 보다는 능동적,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생활상에 있어서의 학습에 대한이해를 보여주었고, 반성의 과정을 통한 의식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재입학 이후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학습에 필요한 경험을 누적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론은 대졸 성인학습자들의 전문대학 재입학 현상을 성인·평생교육의 관점에서인식하고, 변화된 환경 안에서 성인학습자들이 어떠한 양태의 학습과정을 거치게 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s main purpose wa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Reverse-Transfer-Students from the viewpoint of adult/continuing education by carefully analyzing both personal experiences and a learning process associated with those personal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event of reverse transfer to college.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baccalaureate, the decision of reverse-transfer-students to reverse transfer into college allows one to predict that they came across certain pre-experiences that transformed their cognition and viewpoint of life. Moreover, one can easily predict that they acquired a significant learning process through their adopting experiences to new specialties and changed circumstances. The main interest of this study was to thoroughly observe how reverse-transfer-students came to realize their new circumstances, how they came to reflect on themselves, what plans they made, and what actions they took since their decision to become reverse-transfer-students. This study tried to describe a unique learning process of adult learners in details and it also tried to identify how some of the related adult learning theories that can be interpreted in a practical manner. Therefore, this study raised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to a point of their decision to reverse transfer into college? 2. After the reverse transfer, how do adult learners re-construct and execute their perception and/or attitude in the process of adopting into new learning surroundings? 3. What kind of learning process do reverse-transfer-students come across in order to become the subjects of learning?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reviews and qualitative case studies in order to find solutions to the questions presented above. To begin with, through some of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examined some of the learning theories that are often brought forward in an adult learning process, such as theory of transformative learning, reformatting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ose reverse-transfer-related literature reviews mentioned abov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meticulously understand the learning process of adult learners. Nex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kinds of implications that reverse transfer experiences hold in the adult learning process by using qualitative case research method. Through this method, this study examined how adult learners, in the process of reverse transfer, go about their surrounding circumstances and how they make use of those experiences in their learning process. Therefor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as conducted ethnographic interviews with seven (7) adult learners who are reverse-transfer-students themsel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3) males and four (4) females by sex, four (4) married and three (3) unmarried by marital status, and two (2) in their 20s and five (5) in their 30s by age. The followings are the outcomes of this study. First, before the event of reverse transfer, the subjects were experiencing gradual transformation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nd/or conscientization due to thirst for changes in their dissatisfied lives. Second,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se subjects have already obtained bachelor degrees from universities, it was apparent that their decision to reverse transfer was a major turning point in their lives. The adaptation within new schools and the adaptation within changed lifestyles were observable from the subjects who were faced with new learning surroundings. Although these study subjects were still somewhat dissatisfied with the new learning surroundings and their personal limits, it was clear that these subjects were gradually becoming more satisfied as they were able to benefit more and more from their new knowledge gained from college. Third,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interviewed were quite manageable with their study plans and habits. Compared to their previous experiences in universities, these reverse-transfer-students had managed to transform their learning means from passive learning to active learning. With clear objectives and beliefs, these subjects formed internal motives of both learning and living their lives. Thus, after putting these outcomes togeth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t was concluded that their lifetime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reverse transfer were a series of some of unique featur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reformatting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and self directed learning that forms one whole learning process. A common characteristic of transformative, exper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was that each learning theory is not an individual phenomenon. However,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se theories worked and moved together in various situations. Second, it was concluded that learning experiences of adults depend on their surrounding social and financial situations. Thus, when looking at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it is necessary to account their lifestyles as adults with exceptional circumstances that involve both studying and living daily lives. Third, it was also concluded that reverse-transfer-students exhibited a stereotypical lifestyles and attitudes. They viewed learning with active and positive attitudes and showed true appreciation of gaining new knowledge. Furthermore, they showed changes of consciousness through grave reflections on themselves. They accumulated experiences that are necessary in learning through active interaction of their circumstances as students and as adults. To conclude,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has become a basis in understanding reverse transfer phenomenon from the viewpoint of adult/continuing education and, it has also provided explanations in interpreting the kind of learning process that adult learners must face in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s.

      • DryJIN: 코드 추상화 모델을 통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유출 탐지기법

        최민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삶에 모바일 기기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민감한 데이터(예: 연락처 데이터, 사진, SMS 메시지, 위치 정보 등)와 같은 민감한 정보의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민감한 정보를 유출하는 악성코드의 수는 급증하고 있고 모바일 생태계의 주요 위협 중 하나이다. 게다가, 양성 애플리케이션조차 이러한 민감한 정보 유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에, 멀웨어를 비롯해서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되는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과 네이티브 코드(즉, C 및 C++)의 사용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Java로 작성된 구성 요소와 C/C++로 작성된 구성 요소 간의 정보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두 언어를 모두 이해할 수 있는 분석 기법과 그들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보 유출을 식별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적 분석은 실제로 어려운 작업이다. 이를 위해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서 민감한 정보 유출을 탐지하기 위해 몇 가지 중요한 연구 작업이 수행되었지만, 각각의 분석 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실제 애플리케이션에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유출을 탐지하기 위한 자동화된 접근법인 DryJIN을 제안한다. 우리의 접근 방식의 핵심 아이디어는 애플리케이션 네이티브 코드에서 중요한 데이터 흐름을 추상화하여 자바 코드와 동등한 분석 레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는 DryJIN이 벤치마크 테스팅을 통해 이전 연구보다 뛰어난 분석 범위를 가진다는 점을 입증한다. 그리고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은 실제 멀웨어의 개인정보 유출 사례를 탐지할 수 있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The amount of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users' privacy sensitive data (e.g., contact data, pictures, SMS messages, location information, etc.) used in our mobile devices is continuously growing as our lives are more dependent on mobile devices. Naturally, the number of malware leaking the sensitive information has been sky-rocketed and is one of the main threats in the mobile ecosystem. In addition, even benign applications are suffering from such sensitive information leaks. On the other hand, the complexity of Android applications including malware, which are implemented with two (or more) heterogeneous programming languages, and the use of native code (i.e., C and C++) have been increasing. Also, analyzing information flows between components written in Java and modules written in C/C++ requires analysis techniques that can understand both of the languages as well as interfaces between them. Therefore, the static analysis of Android applications for identifying information leaks is a challenging task in practice. Albeit several significant research works have been conducted for detecting sensitive information leaks in Android applications, each of them has a limited analysis scope, and thus, cannot be practically employed for real-world applications. In this work, we propose an automated approach for detecting information leaks in Android application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work. The core idea of our approach is to abstracting sensitive data flows in an application. The evalu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DryJIN has a outperformed coverage over previous approaches through benchmark testing. And we show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cas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f real-world malware that have not yet been reported.

      • Job Shop 생산방식에서의 Smart Factory 적용방안 연구 : 항공기 제조 산업을 중심으로

        최민성 경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대규모 장치산업을 기반으로 빠르고 싸게 만들며 성장해온 방식이 한계상황에 직면하면서 노동기반이 약화되고 있다. 스마트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조 강국들은 제조-ICT 융합을 통한 미래 제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 중에 있다. 한국의 정부에서도 이에 맞는 대응으로 ‘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하였고, 개인맞춤형 유연생산을 위한 스마트공장 고도화와 융합신제품 생산에 필요한 8대 스마트 제조기술 CPS, 에너지절감, 스마트센서, 3D프린팅,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홀로그램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항공기 제조 산업의 특성인 Job Shop 생산방식은 생산제품이 대부분 매우 크고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품의 취급과 운반에 어려움이 있어 자동화가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의 기술 의존도가 매우 높다. 일반적인 제조업처럼 산업장비를 이용하거나 컨베이어를 이용한 생산이 어려워 4차 산업 혁명을 대표하는 ICT와의 융합에 가장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4차 산업 혁명의 도래를 준비하는 시점에서 항공 산업을 대표하는 Job Shop 생산방식의 특성을 이해하고, 생산 공장을 최적의 스마트공장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어떠한 핵심 기술에 집중을 해야 하는지 연구하고 로드맵을 설정하는 것이다.

      • ‘약은 집사의 비유’(루카 16,1-13)를 통하여 본 “재물”에 대한 고찰

        최민성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 신자유주의 노선을 걷는 조건으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 금융을 받았다. 그런데 신자유주의는 여러 문제를 발생시켰다. 첫째, 신자유주의는 국가와 기업을 시장경제로 내몰았다. 특히 사회복지 분야마저 시장경제에 맡겨짐으로써, 사회적·경제적 약자들은 세상으로부터 더욱 소외되었다. 둘째, 신자유주의는 물질만능주의를 불러 일으켰다. 물질만능주의는 사람들이 재물을 가치판단의 기준과 최상의 목표로 삼게 하였다. 우리는 가톨릭신문사가 창간 8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2006년 7월 1일부터 2007년 2월 28일까지 실시한 『가톨릭 신자의 종교의식과 신앙생활』에서 한국 가톨릭교회의 중상층화를 엿볼 수 있다. 어느덧 부유하게 된 한국 가톨릭교회도 물질만능주의에서 자유롭지 않게 되었다. 왜냐하면 교회공동체도 세상의 논리처럼, 자칫하면 교회에 머무는 힘없고 가난한 이들을 소외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느님을 섬겨야 할 교회가 어느새 재물숭배에 빠질 위험도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약은 집사의 비유’(루카 16,1-13)에서 그 해결방안을 찾았다. 이 연구는 먼저 성경에 담긴 ‘재물’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어서 루카 공동체의 삶의 자리를 조사하고, ‘약은 집사의 비유’의 문맥에 담긴 루카의 편집의도를 찾았다. 마지막으로 비유를 주석하여 ‘재물’에 대한 루카의 신학사상을 도출하였다. 루카는 자신의 공동체가 직면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선’을 제시한다. ‘자선’은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구체적 행동이며, ‘재물’을 본래 의미로 되돌려준다. 한국 가톨릭교회는 루카가 제시한 ‘자선’에서 물질만능주의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것이다. In December 1997, South Korea asked for a bailout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in exchange for its acceptance of the ever-tightening Neoliberalism. But Neoliberalism has caused several problems. First, it has driven countries and companies into market economy. The weak in social and economic are marginalized from the world, because social welfare had also been managed by market economy. Second, it provoked Materialism that made wealth as the basis of value judgments, and the ultimate goal of life. We can have a glimpse of the upper middle class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based on the research of "Catholics in religious ceremonies and the life of faith" that was conducted by the Catholic Newspaper from July 1, 2006 to February 28, 2007, for its commemoration of the 8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has been rich that couldn't free from Materialism. Because the powerless and the poor people would be estranged from rich church community as a law of the world. And also the church to serve God would get into a risk of a fall in wealth worship. This study has attempted a solution from 'the parable of the dishonest manager'(Lk 16,1-13). First, it was begun to understand meaning of the wealth contained in the Bible. Then it conducted an investigation about Setting in Life in Luke's community, and found a view of Luke's edit about 'the parable of the dishonest manager' in the context. Finally, it derived Luke's theology about the 'wealth', from the exegesis of the parable.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Luke presented 'charity' as a plan for resolving the crisis faced by their communities. Charity was a specific act to express the love for God and neighbors, and gives wealth back to the original meaning. Charity suggested by Luke would be a big help for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to overcome the crisis of Materialism.

      • 기본심리욕구와 공유리더십이 직원몰입을 매개로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최민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f employee engagement and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effect relationship of shared leadership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perceived by employees on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study purpose, after checking if a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is found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hared leadership, employee engagement,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earch problem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whether or not medi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are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2) whether or not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re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resolve research problems, measurement variables are composed of plan, organizing, problem-solving, support and consideration, and development and mentoring for shared leadership,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for basic psychological needs,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sub-variables for employee engagement, and self-emotional awareness, other-emotional awareness, the use of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for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lerical workers engaged in large enterprises focusing on steel manufacturers, including energy, IT, trad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and a total of 470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preparation and selection, for example, frequency analysis on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collected survey data, descriptive statistics of research variables,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collinearity reviews, and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Analysis of Moment Structure (AMOS) 23.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basic psychological needs have positive effect on shared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urthermore, shared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employee engagemen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2)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hared leadership have a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with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shared leadership is partially but basic psychological needs are completely moderated by employee engagement, and (3)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contributes to forming theoretical foundations to explore moderating strategy that boosts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nhance change capacity of the Korean firm organizations, and properly respond to changing working environment for the future. Second, based on antecedent research, illustrated were diverse factors that arouse the desperate need for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is described that members are ready themselves to commit to change under the corporate environment where team system is rapidly expanded, and affect the behavior. Third, rather than just factors that trigger behavior that are to be confirmed in terms of motivation, more balanced and clear manifestation mechanism is aimed to be confirmed even in terms of emotion. In conclusion, employee engagement has mediate function that ensure the relationship among shared leadership,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effect relationship of shared leadership on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an be modera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levels of each individual. 이 연구의 목적은 종업원들이 지각하는 공유리더십과 기본심리욕구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심리욕구와 공유리더십, 직원몰입, 변화지향조직시민행동 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한 후, 기본심리욕구와 변화지향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공유리더십과 변화지향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정서지능이 조절하는지 실증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유리더십의 측정변인은 계획과 조직화, 문제해결, 지지와 고려, 개발과 멘토링으로 구성하였고, 기본심리욕구의 측정변인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으로, 직원몰입의 측정변인은 직무몰입, 조직몰입을 하위 변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정서지능의 측정변인 자기정서인식, 타인정서인식, 정서이용, 정서조절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철강제조사를 중심으로 에너지, IT, 트레이딩, 건설업에 종사하는 대기업 사무직원이며, 총 470개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응답 자료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대한 빈도분석과 연구변인의 기술통계량, 변인 간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검토와 같이 자료 준비 및 선별을 위한 통계분석을 하였고,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23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본심리욕구는 공유리더십과 직원몰입,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갖는다. 또한 공유리더십은 직원몰입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원몰입 역시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기본심리욕구와 공유리더십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갖는다. 단, 공유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의해 부분매개하고 기본심리욕구는 직원몰입에 의해 완전 매개한다. (3) 공유리더십과 변화지향조직시민행동과의 사이에서 정서지능은 조절효과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조절 전략을 탐구하고 국내 기업 조직의 변화역량 제고와 미래 사회 일자리 변화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선행된 연구들을 토대로 팀제의 급속한 확산이 되는 기업 환경에서 구성원 스스로가 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이 절실하게 필요함을 환기시키고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실증하였다. 셋째, 행동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동기(Motivation) 측면에서만 확인하는데 그치기보다는 정서 측면까지 고려하여 보다 균형적이고 명확한 발현기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직원몰입이 공유리더십과 기본심리욕구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그 관계성을 더욱 굳건하게 하는 매개기능을 하는지를 확인하였고, 공유리더십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개개인의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을 실증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