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성격유형 및 문제유형과 상담에 대한 기대의 관계

        채미선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personalities, problems and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The classified approach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extroverted and introverted groups for the type of personalities - personal, family, school, friends and heterosexual problems for the type of problems The target of this research is a collected 300 sixth grade students of primary school in Taejon city. For the data collection, we employed 3 kinds of inspections and investigations for the measurement of personality type and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and for the investigations in order to figure out the problems students want to counsel mostly.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is consists of 4 primary factors; the attitude of client, the characteristic of client, the characteristic of counseling process and the effect of counseling. In these primary factors, 7 measures(acceptance, confrontation, directiveness, empathy, nurturance, and self-disclosure) for the attitude of client, 4 measures(attractiveness, expertness, tolerance, and trustworthines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lient, 2 measures(concreteness, immediacy) for the characteristic of counseling process, and 1 measure(outcome) for the effect of counseling are included. We can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ly, based on the comparative results between extroverted and introverted groups for the type of personalities, the expectation grad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for counseling showed that the minimum 5 %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statistically. Namely, the extroverted group reported higher expectations of counseling comparing with the introverted group in the acceptance, confrontation, self-disclosure, and total for the attitude of client, toleranc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lient. and outcome for the effect of counseling. On the contrar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sures for the characteristic of counseling process. Secondarily, based on the comparative results of the problem types, the expectation grades showed that the minimum 5 %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a part of factors and measures. On the results of Turkey verifi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appeared between the heterosexual and the family problem groups(confrontation, empathy, immediacy and total for the attitude of client), between the friends and the family problem groups(nurturance), and between the heterosexual and the personal problem groups(concreteness, and total for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process) only. Namely, the family problem group reported relatively higher grades comparing with the heterosexual problem group in the confrontation, empathy, and total, comparing with the friends problem group in the nurturance for the attitude of client, and comparing with the heterosexual problem group in the immediacy for the characteristic of counseling process. In addition, the personal problem group reported relatively higher grades comparing with the personal problem group in the concreteness and total for the characteristic of counseling process. On the contrar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sures for the characteristic of client and the effect of counseling.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research targets and measurement too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be needed more careful analysis and applications. However, we can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without excessiveness. Firstly, the personality types of primary school student are related with the grades of expectations for counseling in a part. Namely, the introverted group intended to have a higher expectations of counseling in some expectation factors(attitude of client, characteristics of client, and effect of client) and measures(acceptance, confrontation, self-disclosure, tolerance, and outcome). Secondly, the problem types of primary school student are related with the grades of expectations for counseling in a part. Namely, the family problem group intended to have a higher expectations of counseling in some expectation factors(attitude of client) and measures(empathy, confrontation, and immediacy) comparing with the heterosexual problem group. And they intended to have a higher expectations also in the nurturance factor comparing with the friends problem group. The personal problem group intended to have a higher expectations of counseling in some expectation factors(characteristic of counseling process) and measures (concreteness) comparing with the heterosexual problem group.

      • 사회적 배제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독거노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채미선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농촌 사회의 노인인구비, 노인단독가구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농촌지역 독거노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각각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농촌 독거노인가구 노인과 노인부부가구 노인의 우울에 사회적 배제가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비교하여 사회적 배제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실천적 전략을 수립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남 고흥, 곡성, 담양, 전북 순창 지역의 10개 마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농촌 독거노인가구 108부와 노인부부가구 132부로 총 240부(94.1%)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노인 우울, 사회적 배제(관계적 배제, 문화적 배제, 사회적 참여배제, 동네 배제, 기본서비스 배제)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사회적 배제, 우울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ɑ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가구 유형에 따라 사회적 배제의 차이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을 위해 Duncan test를 실시하였으며, 우울에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사회적 배제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노인의 우울과 사회적 배제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울의 일반적 경향을 먼저 살펴보면 독거노인가구의 우울의 평균(범위: 10-40)은 24.80(SD=0.65)점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부부가구 20.82(SD=0.63)점으로 나타나 독거노인가구의 우울의 평균이 더 높았다. 전체적으로 독거노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사회적 배제의 평균은 문화적 배제(범위: 1-5) 4.31(SD=.62)점, 기본서비스 배제(범위: 1-4) 2.38(SD=.75)점, 동네 배제(범위: 1-4) 1.74(SD=.53)점, 관계적 배제(범위: 1-4) 1.71(.65)점, 사회적 참여배제(범위: 0-1) .77(SD=.21)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농촌 노인 가구유형 간 사회적 배제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배제는 문화적 배제(t=-4.21, p<.001)와 기본서비스 배제(t=-3.67, p<.001)로 나타났고 두 배제 모두 독거노인가구의 배제수준이 높았다. 둘째, 농촌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독거노인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을 살펴보면 연령,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농사일 참여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서는 80대, 70대, 60대 순으로 연령이 많은 집단, 주관적 경제상태는 불만족, 보통, 만족 순으로 불만족한 집단, 주관적 건강상태에서는 나쁜 편, 보통, 좋은 편 순으로 나쁜 편의 집단, 농사일 참여여부에서는 농사일을 참여하지 않는 집단에서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부부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은 성(gender), 교육수준,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농사일 참여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노인부부가구에서 남성집단보다 여성집단이, 교육수준은 무학, 초졸, 중졸, 고졸 이상 순으로, 주관적 경제상태는 불만족, 보통, 만족 순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에서는 나쁜 편, 보통, 좋은 편 순으로, 농사일 참여여부에서는 농사일에 참여안하는 집단에서 우울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농촌 노인 가구유형별로 살펴보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거노인가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을 살펴보면, 농촌 독거노인가구의 우울에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연령이 높고, 주관적 경제상태에 불만족하고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배제 변인 중에서는 문화적 배제가 노인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노인부부가구의 우울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남성에 비해 여성이, 경제상태가 불만족 하고,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배제 변인 중 관계적 배제, 문화적 배제, 기본서비스 배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 노인 우울에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적 배제가 미치는 영향을 가구 유형별로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가구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독거노인가구의 우울을 더 많이 설명하였다. 농촌 단독가구 노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독거노인가구 보다 노인부부가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독거노인가구는 문화적 배제가 우울에 영향을 미쳤고, 노인부부가구의 우울에는 관계적 배제, 문화적 배제, 기본서비스 배제가 영향을 미쳐 독거노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우울에 미치는 사회적 배제 변인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주로 도시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 농촌 노인의 우울에 사회적 배제가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했다는 점과, 노인 가구 유형별로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노인 가구 유형에 맞는 사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학령기 아동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관련 변인들간의 인과관계 구조분석

        채미선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choolage children's learned helplessness, pe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ren and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8 fifth grade and sixh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Daegu city, Chung song. Children's learned helplessness, pe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ren and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scales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s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20,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stimate the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children's Learned Helplessness, peer relationship was found to affect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directly. Second, parenting attitude haven't direct effect on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while having indirect on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through Learned Helplessness and peer relationship. Third, children's Learned Helplessness direct effect on peer relationship. To sum up,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Learned Helplessness, peer relationship and to have a indirect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ren.

      • 대화식 책읽기에서 세 가지 질문하기 전략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아동의 수용⋅표현어휘 및 정의하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채미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화식 책읽기는 아동이 수동적 청자 역할을 하는 전형적 책읽기와 대조되는 방법으로, 성인-아동 간 책읽기 활동 시, 아동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면서 아동의 언어발달을 촉진한다(Whitehurst et al., 1994; Whitehurst et al., 1988). 대화식 책읽기를 유도하기 위한 구어적 전략으로 성인은 ‘질문하기’를 사용할 수 있다(Ninio, 1980; Zibulsky et al., 2019). 먼저 직접적 질문하기 전략을 사용한 연구를 살펴보면, 성인이 목표어휘를 반복하여 들려주었을 때보다 아동이 직접 목표어휘를 구어/비구어적 방법으로 표현했을 때, 어휘학습에 더 유리하였는데(Sénéchal et al., 1995b), 이는 성인의 책읽기 전략이 아동의 어휘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임동선·김신영, 2019). 두 번째로, 간접적 질문과 탈문맥적 질문을 적용한 연구를 살펴보면, 두 질문유형은 모두 어휘학습에 효과적이었고, 간접적 질문(인지적 저 요구질문) 후 탈문맥적 질문(인지적 고 요구질문)을 하는 언어적 비계 조건(scaffolding like condition)은 아동이 배운 어휘를 정의하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이는 아동에게 인지적 요구를 더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비계(scaffolding)와 같지만, 성인의 직접적인 피드백이 아닌 목표어휘를 노출하면서 인지적 요구를 증진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비계와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Blewitt et al., 2009). 탈문맥적 언어는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사람, 사건, 개념에 대한 논의를 하기 때문에, 아동은 직관적인 문맥보다 개념 자체에 의존하는 과정을 통해 언어적 정확성과 상호작용 맥락을 습득하고, 성인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추론 과정을 통해 수용어휘 이상의 어휘개념을 습득할 수 있다(Uccelli et al., 2019). 또한, 부모-자녀 간 함께 책읽기 시, 부모의 탈문맥적 언어사용(narrative utterance, explanation)은 아동에게 탈문맥적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기회를 제공하여 어휘능력을 촉진할 수 있다(Rowe, 2012). 한편, 정의하기는 명명 과제보다 단어-참조 연관성을 더욱 정교화된 지식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동이 습득한 어휘의 의미적 재인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McGregor et al., 2002).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이 아동에게 새로운 어휘에 익숙해지도록 문맥 안에서 어휘를 노출해 아동의 단어-참조 연관성을 증진한 뒤, 탈문맥적 질문을 하였을 때 목표어휘에 대한 더욱 심화된 이해(정의하기)가 촉진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과 아동이 책 읽기 시, 사용할 수 있는 질문하기 전략(직접적 질문하기, 간접적 질문하기, 탈문맥적 질문하기)에 따른 집단 간(언어발달지연 아동, 일반아동) 수용·표현어휘 및 정의하기 학습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남도 천안시 및 아산시에 거주하는 만 4-5세 아동 총 22명이었다. 두 집단의 아동은 모두 (1) K-ABC(문수백·변창진, 2003)의 동작성 지능점수가 85점(-1SD) 이상이며, (2) 부모의 보고에 의해 지능, 감각, 정서, 구강구조 및 기능, 기타 신경학적 영역에 이상이나 결함이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언어발달지연 아동 12명은 모두 (1), (2) 조건을 충족하였으며, REVT(김영태 외, 2009) 검사 결과 표현 어휘력이 10%ile 미만이었다. 또한, 일반아동 10명도 모두 (1), (2) 조건을 충족하였으며, REVT(김영태 외, 2009) 검사결과 수용 및 표현 어휘력이 모두 10%ile 이상이었다. 본 연구의 그림책은 임동선·김신영(2019)의 연구에서 제작된 ‘곰돌이의 마술연필’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목표어휘는 선행연구(임동선·김신영, 2019)를 참고하여 총 15가지의 비단어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목표어휘는 CVCV 구조로 조합된 2음절 가상어휘로, 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 경구개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어유사성이 낮은 비단어로 이루어져 있었다. 책읽기 중재는 독립된 조용한 공간에서 온라인 플랫폼 줌(Zoom)을 이용해 일대일로 진행되었으며, 3주 간 주 2-3회씩 총 8회기의 중재로 이뤄졌다. 질문하기 전략의 유형은 직접적 질문하기, 간접적 질문하기, 탈문맥적 질문하기를 사용하였다. 아동에게 노출하는 목표어휘에 적용된 전략의 순서는 집단별 아동의 참여순서에 따라 균형배치(counterbalance)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책읽기 질문하기 전략의 유형은 세 가지이다. (1) 직접적 질문은 문맥을 이용한 ‘무엇’ 또는 ‘어디’ 질문을 사용하여 아동이 목표어휘를 산출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며, (2) 간접적 질문은 ‘누구’질문을 통해 아동에게 목표어휘를 간접적으로 노출하여 질문을 하였을 때, 아동이 이야기 문맥에 제시된 행위자를 기억하여 대답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었다. (3) 탈문맥적 질문은 문맥에는 대답이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아동이 목표어휘와 관련된 사물의 상태, 감각, 사건을 추론하여 대답하도록 촉진하는 전략이었다. 다시 말해, 아동이 연구자의 질문을 듣고, 가상어휘의 특성을 추측하거나 가상어휘로 할 수 있는 활동을 예측하여 대답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8회기 중재 직후의 전략별 중재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목표어휘에 대한 아동의 수용·표현어휘 및 정의하기 능력을 중재 후에 측정하고, 연구 과제에 대한 각 총점을 과제의 수행력으로 채점하였다. 이후, 집단 간 질문하기 전략에 따른 어휘학습이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세 가지 전략에 대한 Bonferroni 사후검정을 하였다. 또한, 두 집단과 세 가지 질문하기 전략에 대한 유의한 이차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사후검정으로 각각 일원배치분산분석 또는 LMATRIX 및 MMATRIX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호작용 대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표현어휘 과제에서 집단 간 주효과가 유의하고 질문하기 전략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직접적 질문하기 시 표현어휘 점수가 간접적 질문하기, 탈문맥적 질문하기 시 표현어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질문하기 전략의 경우, 간접적 질문하기 및 탈문맥적 질문하기 전략에서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나, 직접적 질문하기 전략에서는 집단 간 수행력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수용어휘 과제 결과,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질문하기 전략의 주효과 및 집단과 전략에 따른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정의하기 과제 결과, 집단 간 주효과가 유의하였지만, 질문하기 전략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집단과 전략에 따른 상호작용은 유의하였는데, 탈문맥적 질문하기 전략을 사용할 때 집단 간 차이가 간접적 질문을 사용할 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또래 일반아동보다 표현어휘, 수용어휘, 정의하기 학습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 가지 질문하기 전략에 따른 각 집단 간 아동의 수용·표현어휘 및 정의하기에 대한 수행 능력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표현어휘 학습에서 일반아동의 경우 탈문맥적 질문하기 전략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했지만,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경우 직접적 질문하기 전략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나 담임교사 등 비전문가가 언어발달지연 아동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질문전략이 무엇인지 교육을 통한 중재뿐 아니라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In contrast to conventional reading, which makes a child act as a passive listener, interactive book-reading is a strategy that assists child language development, leading to the child's active participation in adult-child book-reading activities (Whitehurst et al., 1994; Whitehurst et al., 1988). To encourage interactive book-reading, an adult can use “Question” as a verbal strategy (Ninio, 1980; Zibulsky et al., 2019). First, when examining the study using the eliciting question, the child had more advantages in vocabulary learning when the child expressed the target vocabulary in a verbal/non-verbal way than when the adult repeated the target vocabulary to the child. This study implies that adult reading strateg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child’s vocabulary learning (Yim & Kim, 2019). In addition, looking at a study applying non-eliciting and decontextualized questions, both types of questions were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and verbal scaffolding condition, asking non-eliciting questions (cognitive low-demand questions) and then asking decontextualized questions (cognitive high-demand questions), was effective in defining the vocabulary children learned. It is the same as traditional scaffolding in that it adds the cognitive demand to the child.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from existing scaffolding because it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target vocabulary can improve by exposure, not the direct feedback from an adult (Blewitt et al., 2009). Since decontextualized language is for discussion of people, events, and concepts that do not exist physically, children can acquire linguistic accuracy and interaction contexts through a process that relies on the concept itself rather than intuitive context. Also, through the reasoning process in interaction with adults, children can acquire vocabulary concepts beyond receptive vocabulary (Uccelli et al., 2019). In addition, parental decontextualized language (narrative utterance, explanation), wh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read a book together, can promote child vocabulary ability by providing children opportunities to understand and use decontextualized language in parent-child book-reading (Rowe, 2012). The definition task is known to confirm the word-reference association with more sophisticated knowledge than the naming task and can be used to measure the semantic recognition of the acquired vocabulary (McGregor et al., 2002).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more advanced understanding (definition) of the target vocabulary can be encouraged when an adult asks decontextualized questions after improving a child’s word-reference association by exposing target vocabulary in the context to familiarize them with new vocabulary. In this study, a total of 22 children (12 children with LD and 10 TD children) aged 4 to 5 years participated. Children’s non-verbal IQ test (K-ABC, Moon & Byun, 2003) and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Kim et al., 2009) were used as a screening tool to measure children’s language skills. ‘Bear’s Magic Pencil’ from the study of Yim & Kim (2019) was chosen, and the contents of the book were modified using non-words and illustrations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used 15 non-words from the preceding study (Yim & Kim, 2019), and chose structured in 2 syllables with 'CVCV' structure as target vocabulary in this study. They consisted of bilabial, alveolar, velar, palatal consonants with low word similarity. A total of 8 sessions of intervention were conducted, and a researcher and a child met 2-3 times a week one-on-one, with about 10-15 minutes of classes per session. Children performed vocabulary learning tests (expressive, receptive, definition) across three-reading strategies (eliciting question, non-eliciting question, decontextualized question) in adult-child book reading assessment. A two-way mixed ANOVA was administer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hree-reading strategies. Post-hoc analysis Bonferroni was performed for the strategies. In addition, using one-way ANOVA or LMATRIX and MMATRIX comm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y strategi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expressive vocabulary learning on groups and reading strategies. It turned out that the expressive vocabulary learning score in eliciting questions was higher than that in non-eliciting questions and decontextualized questions.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group and reading strategies was significant on expressive vocabulary learning. In the reading strategies, children with LD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D in non-eliciting questions and decontextualized question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eliciting ques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receptive vocabulary learning on the groups, but the main effect of reading strategies and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group and reading strategies were not significant on receptive vocabulary learning. As a result of the definition task, even though the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was significant, the main effect of the reading strategie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group and reading strategies was significant. When using the decontextualized question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greater than when using the non-eliciting questions. In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children with LD have difficulties in 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learning and defini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ability to learn 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and defini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reading strategies showed different patterns. Also, it was remarkable that the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these performances was different in each group. In particular, TD children scored the highest in expressive vocabulary learning under the decontextualized question strategy, whereas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LD, they scored the highest under the eliciting question strategy. It suggests that the necessity to the mediation of non-experts such as parents or caregiv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rd learning through educating effective reading strategy and intervening children with 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