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회상설에 비추어 본 교과의 내면화

        진민지 서울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의 회상설에 비추어 학생이 교과를 내면화하는 일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이해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교과를 내면화하는 일은 교사가 학생의 마음 밖에 존재하는 교과 지식을 학생의 마음 안에 넣어주는 일로 설명된다. 즉, 교과의 내면화는 ‘밖에서 안으로’의 방향으로 비유된다. 교과의 내면화를 이와 같은 의미로 설명하는 대표적인 학자로 오우크쇼트를 들 수 있다. 오우크쇼트에 따르면, 교과의 내면화는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의 명시적 측면인 정보를 일러주는 동시에 지식의 묵시적 측면으로서 교사 자신이 지식을 내면화한 상태인 판단을 넣어주는 일이다. 이 설명을 학생의 입장에서 다시 해보면, 교과의 내면화는 학생이 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판단을 소유하게 되는 일이다. 그러나 이 설명은 교과의 내면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학생의 마음 밖과 안이라는 분리된 공간적 연상을 자아내고 있어서 교사에 의한 지식의 전달과 전수가 어떻게 학생에 의한 지식의 획득과 소유를 보장하는가를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교과의 내면화에 대한 온전한 설명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학생의 입장에서 교과를 내면화하는 일이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설명을 통해 내면화의 진정한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플라톤은 영혼이 불멸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교과를 내면화하는 것이 곧 영혼이 가진 전생의 지식을 회상하는 일이라고 설명한다. 다시 말해, 플라톤은 불멸하는 영혼이 전생을 살면서 알게된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생을 사는 사람이 교과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렇다면 플라톤이 말하는 전생의 지식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회상설을 취급하는 대화편 「메논」과 「파이돈」의 주제인 덕 그 자체와 영혼불멸에 대한 플라톤의 논의를 통해 전생의 지식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해볼 수 있다. 전생의 지식은 교과 지식을 지식으로 만들어주는 논리적 가정이다. 그리고 교과 지식의 논리적 가정이 ‘전생’의 지식이라는 것은 그것이 생득적으로 타고난 것이라는 뜻이며, 이 말은 곧 전생의 지식이 교과 지식을 만들어낸 원인이라는 것이다. 즉, 전생의 지식은 교과 지식의 ‘논리적’ 원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전생의 지식이 교과 지식의 논리적 원인이라는 것을 성리학의 아이디어인 마음의 중층구조에 비추어 보면, 전생의 지식은 위층에 해당하는 마음으로서 아래층에 해당하는 교과 지식으로 표현되기 이전의 마음을 의미한다. 전생의 지식은 미발의 표준으로서 교과 지식을 지식으로 인식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마음인 것이다. 결국 전생의 지식인 학생이 타고난 마음은 교과 지식으로 표현된 마음과 동일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이 타고난 마음은 교과를 그것의 표현으로 알아볼 수 있는 가능성이 된다. 그리고 그것은 교과로 표현되기 전에는 깨달을 수 없는 마음이라는 점에서 교과를 통해 점차로 확립되어져야할 목적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전생의 지식을 회상하는 일로서 교과를 내면화하는 것은 교과를 통해 미발의 표준인 학생이 타고난 마음을 실현해가는 과정인 것이다. 교과로 표현된 마음을 ‘밖에서 안으로’ 획득하는 과정으로 설명되는 교과의 내면화 과정은 그 마음이 학생이 타고난 마음이라는 점에서 그 마음을 ‘안에서 밖으로’ 회복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때 그것이 가지는 의미가 온전히 드러난다. 이러한 교과의 내면화 과정은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을 통해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교과 지식에 관한 교사의 질문을 통해 학생은 자신의 무지를 깨닫게 되며 그러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학생이 무지를 추구하게 되는 과정이 바로 교과를 내면화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무지의 자각은 언설로 표현된 교과 지식 그 자체에 관한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 표현된 마음인 학생이 타고난 전생의 지식에 관한 것이다. 전생의 지식은 미발의 표준이 되는 마음이라는 점에서 무지 그 자체일 수밖에 없으며 그것을 추구하는 일은 그것의 표현인 교과 지식을 언설의 수준에서 이해하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언설로 표현된 미발의 표준을 읽어내는 것이다. 요컨대, 언설로 표현된 교과 지식에 관하여 언제나 모르는 자가 되어 끊임없이 의심을 가지고 질문을 던지는 교사와 마찬가지로 학생도 교과 지식을 할 수 있는 데까지 깊이있게 공부하면서 그것들이 정확하게 어떤 것인지 이해하는 과정에서 질문을 가지게 되는 것이 바로 교과를 내면화하는 과정이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Plato's recollection theory. In general,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means a teacher putting knowledge of subjects into a student's mind from outside. However, this explanation creates separate spatial associations, namely, 'the inside of the mind' and 'the outside' when understanding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Therefore, this does not explain perfectly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can be explained perfectly when it is explained as what happens in the mind of a student as it literally means that subjects are internalized within the mind of a student. So this study seeks to cast light on the true meaning of internalization by explaining how it is possible to internalize subjects on the part of students. Plato explains that internalizing subjects means recollecting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life based on the belief that souls are immortal. That is to say, Plato explains that because the soul has knowledge gained through the previous life, the person living the present life can acquire knowledge of subjects. Then, what does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life mean? Through the subject of 「Menon」 and 「Phaidon」 that deal with the recollection theory, its meaning can be identified. It is a logical assumption that make the knowledge of subjects can be knowledge. And the fact that the logical assumption is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life' means that it is innate. It indicates that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life is what generates knowledge. That is,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life can be interpreted as a 'logical cause' of the knowledge of subjects. Let us reflect this interpretation on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an idea of the Neo-Confucianist theory of knowledge.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life is the mind that is on an upper layer. And the mind is expressed as the knowledge of subjects that is on an lower layer. Therefore, the mind students are born with, namely,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life' becomes a possibility which can recognize the knowledge of subjects as its expression. Also, as the mind cannot be understood before it is expressed as the knowledge of subjects, it becomes a purpose which should be realized gradually through the knowledge of subjects. In this regard, internalizing subjects as recollecting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life is a process of realizing the mind students are born with through the knowledge of subjects.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subjects, which is explained as a process of acquiring the mind that is expressed through the knowledge of subjects from 'outside' to 'inside',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recovering the mind from 'inside' to 'outside' in that the mind is the one that students are born with. This process of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can be understood in the concrete through maieutike(maieutic method) of Socrates. Through questions asked by teachers about the knowledge of subjects, the student comes to realize his own ignorance and pursue it. Here, the realization of ignorance is not about the knowledge of subjects expressed in words. It is about the knowledge of the previous life that the student is born with, which is the mind expressed as the knowledge of subjects. Therefore pursuing ignorance is not just understanding the knowledge of subjects that is expressed in words, but reading the mind that is expressed in the knowledge of subjects. In short,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subjects means studying the knowledge of subjects as deeply as possible and getting to have question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t accurately like teachers.

      •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비교 : 중국 광서장족자치구 북해시를 중심으로

        진민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유아 수학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광서장족자치구 북해시의 유아교육기관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 각 251명 총 502명을 대상으로 설문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를 SPS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일반적인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퍼센트를 실시하였다.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유아 수학교육의 목적과 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F검증과 사후검증을 하였고 수학교육의 교수 방법과 정도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x2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F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수학교육 목적의 중요성에 대한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은 유치원 교사가 어머니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 형성’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유아 수학교육 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차이가 전체적으로 없었고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다른 내용보다 유치원 교사가 ‘분류, 정렬 및 대응’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중국 어머니가 ‘수, 계수 및 수의 연산’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유아 수학교육의 교수 방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 수학교육에 적합한 집단형태에 대해 유치원 교사가 소집단활동으로, 중국 어머니가 대집단활동 활동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 수학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역할에 대해 유치원 교사와 중국 어머니는 모두 수학활동 촉진자가 다른 역할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어머니는 교사보다 수학활동 촉진자와 수학 환경 제공자라는 인식이 훨씬 높았으며 반면에 수학활동 계획자와 관찰자라는 인식이 교사보다 낮았다. 수학 학습방법에 대해 유치원 교사와 중국 어머니는 모두 게임이나 놀이를 통한 방법이 효과가 가장 좋고 반면 수학활동학습지를 통한 방법이 효과가 가장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교육에서 적합한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 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는 다른 평가방법보다 모두 행동 관찰이 유아 수학교육의 제일 적합한 평가방법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국 어머니가 구두평가와 유아 활동결과물에 대한 인식은 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유아 수학교육 정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 연령에 적합한 수학교육 정도에 대한 인식은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는 다른 정도보다 모두 유아가 수학을 배우는 것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를 가져야 하고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유치원 교사의 인식이 중국 어머니의 인식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수학 계산 능력과 숫자에 대한 읽기 능력 정도에서 유치원 교사보다 어머니는 자녀가 실제로 숫자를 읽고 쓰기와 계산을 배우기를 더 원하였다. 소학교 1학년 입학생에 적합한 유아 수학교육 정도에 대한 인식은 절대 다수 중국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들은 다른 정도보다 유아들이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와 교과 진도에 맞게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였다. 그러나 유치원 교사들은 수학을 배우는 것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가 교과 진도에 맞게 따라가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어머니는 그 반대라고 생각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desirabl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502 preschool teachers and mothers of 251 preschool teachers in Beihai, Guangxi, China.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o determine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The F-test and the post-test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x2 test was carried out to recognize the teaching method and degree of mathematics education. F-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mothers, and they all recognized that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 solve problems was the most important. Although there was no overall difference betwee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content, and all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more than any other kindergarten teachers' classify, sort and respond ', Chinese mothers' number, count and number Operation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econd, in the recognition of the teach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as the small group activity and the Chinese mother as the large group activity. On the role of kindergart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nese mothers recognize that mathematics facilitators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 roles, but mothers are much more aware of mathematics facilitators and mathematics providers than teachers. The perception of mathematics activity planners and observers was lower than that of teachers. On the way of learning mathematics,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nese mothers thought that the method through games and play was the best, while the method through the math activity worksheet was the least effective.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found that behavior observation was the most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an other evaluation methods. Chinese mothers, on the other hand, were more aware of verbal evaluations and outcomes of early childhood activities than teachers.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degre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recognition of the degree of mathematics education suitable for the age of early childhood,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should have more 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children's mathematics than any other degree. I think it should be possible, and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hinese mothers. But in mathematics and reading skills, mothers wanted their children to actually read, write, and calculate numbers. Most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agreed that children should follow the confidence, attitude and curriculum of mathematics more than others. Bu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at 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mathematics was more important than keeping pace with the curriculum, while my mother felt the opposite.

      • 교수의 지지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취업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민지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 학생들은 본인의 진로와 취업에 대해서 타 분야의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고민이 있고 인적서비스가 주를 이루는 항공관련 서비스 분야로 취업하여 항공분야를 발전시키는 인재가 되기 위해서 대학에서 전공과목을 이수하고 능력을 발전시켜나가고 있기 때문에 같은 항공분야의 선배로서 또는 교수로서 교수의 지지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보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대학생들은 사회에 진출하기 전 다양한 원인으로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어려움이 있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의 제공자 중 본 연구에서는 교수의 지지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교수의 지지가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에 주는 영향, 취업인식에 주는 영향,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취업 인식에 주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궁극적으로 취업역량을 증진시켜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교수의 지지에 대한 측정은 김유경(2017)의 무용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의 지지와 취업역량에 관한 연구에서 교수의 지지의 설문 문항을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 학생들에 발전 적용시켜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취업에 대한 인식은 Crites(1978)와 Super(1957)의 진로성숙도 검사에 기반 하여 구성요소 중 준비성, 참여성, 목표설정으로 구성하였다. 사회적지지의 분야 중에서 교수의 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취업인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취업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이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설정된 연구모형을 통하여 가설을 세우고 가설검정을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실증분석은 통계패키지 SPSS 20.0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2017년 9월~10월 항공 서비스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이며 연구의 시간적, 대상적 범위이다. 연구 가설의 검정 결과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으며 가설1 교수의 지지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가설2 교수의 지지가 학생들의 취업인식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가설3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취업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요구분석

        진민지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Society is in a rapid transition into a diverse community. And,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the statu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an international family are exposed in a quite significant amount of stress due to the sociocultural differences and mental anxiety as a result. In this perspective, it is required to provide these women with practical culture & arts education to help them overcom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es and burden they experience.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can be seen as a professional endeavor to resolve the conflicts and dissatisfaction in a more efficient way and provide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selves. Also, it is an attempt to help enhance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into something more productive. With this in mind, we s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dentify and develop the kind of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help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who are from foreign countries and now living in Korea with their Korean husbands after marriage adapt to Korean society and develop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To serve this objective, we examined the definition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their current status, problems, and the status and problems involving the culture & arts educations offered for them. Also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who are living in Gyeonggi-do for such exam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amples of the interviewees of this survey were immigrant women who are not yet familiar with reading Korean languages, we used questionnaires translated in the native languages of these immigrants, such as Chinese, Vietnamese, and Japanese. By the means of the above mentioned examination and survey, we investigate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immigrant women as well as whether they participate in any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Also, for those who are participating in such programs, their channel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the courses, and their needs were also examined. In addition, we examined what kinds of supports are to be provided to make these programs further enriched in quality and quantity. Considerations to be made when planning such education programs were also examined. With all this information, we proposed a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best facilitate such education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s a result of our study, the demands for the culture & arts education turned out to be very high,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immigrant women showed potential for development in terms of culture & arts perspective. However, the opportunities for these immigrants to participate and appreciate such culture & arts experiences are still limited. It turned out tha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were exposed to the indifference by their husbands or Korean family members. Also, many of them were burdened not only with the house works but also with the responsibility to make a living for their families due to the unfavorable economic status of their Korean family. Many of them also felt alienated due to the lack of their understanding on Korean culture and society. The lack of language proficiency in Korean also was a difficulty, hindering their communication with others around them since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Korean language program was limited. The difference in the life style was also found to be a source of inconvenience for them. Under these circumstances, participating in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em to have a better state of lives, by means of culture and art.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immigrant women themselves. Instead, such programs are recommended to include other family members of these women, such as the husband and the children, since the problems these immigrant women have are entangled with the problems of raising the children, economic hardship of their families,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differences suffered by them and their families alike. In this study, we approached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 in a wider perspective, which includes the recreational aspect of such programs but also the fact that it was about the very survival of these people. It was also proposed that these immigrants are not only to be mere objects of the education to be fed with the Korean culture, but they need to be an active subject who could introduce the international cultures from their origins. It would be desirable, too, that there are programs that could help the other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familie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se immigrants’ home countries. To serve these goals, the education programs should also include language educations, cultural educations to help them live in Korean culture, and, ultimately, these immigrant women need to be given with the opportunity and education to play a role of creative provider of the culture and art in Korean society, like teaching international cultures or foreign languages. Further studies would be required, in this perspective, as to the systems for cultivation and training of teachers with such culture & arts capabilities. 최근 우리사회는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는 타국인으로 사회적 문화적 이질감이 커서 심리적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날로 증가하여 삶을 압박 받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으로 압박감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문화예술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갈등과 욕구불만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보다 원만한 자기성장의 기틀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주위의 여건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려는 하나의 전문적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우리사회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찾아내 그들이 지닌 잠재적 능력을 활용하도록 도와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개념, 현황 및 문제점들과 이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함께 살펴보고,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가 한국어 읽기에 능숙하지 못한 외국여성임을 감안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일본 여성들의 모국어인 중국어, 영어, 베트남어, 일본어로 번역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설문을 통하여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생활상과 문화예술교육 참여여부, 참여경로, 만족도 및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의 양적·질적 발전을 위하여 지원되어야 할 내용과 프로그램 기획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높으며, 문화예술 관련 자원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도 상당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예술 향유기회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기회는 제한되어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는 남편 또는 가족의 무관심속에 방치되거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취약한 사회경제적 기반 속에 가사노동은 물론 가족의 생계까지 책임져야하는 부담이 있으며,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사회적 고립을 느끼고, 한국어교육의 부족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며, 생활방식의 차이로 인한 불편함 또한 크다. 이러한 현실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통해 자신의 삶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의 어려움은 자녀양육문제, 가족의 경제적 빈곤, 언어소통의 문제, 문화적 갈등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관계로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은 단지 이들만의 교육프로그램이 아닌 남편과 자녀 외에 다른 가족, 이웃을 포함하는 포괄적 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한다.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생존과 여가를 포함하는 광의의 문화라는 차원에서 접근하였고,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일방적으로 한국문화를 주입시키기 보다는 이들이 교육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또한 한국인 배우자와 가족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예술과 함께 한국어교육, 한국생활문화에 대한 교육이 연계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다문화강사나 원어민강사 등 한국사회에서 문화예술의 창의적인 생산담당자로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문화예술적 역량을 가진 교사의 양성과 훈련제도에 대한 연구도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주기적으로 분극 반전된 LiNbO3 결정의 제작과 회절 분석법에 의한 격자 구조 분석

        진민지 부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Periodically poled lithium niobate (PPLN) is the most widely used crystal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of quasi-phase matching (QPM). We periodically poled LiNbO3 single crystals by using electric field poling method. A series of PPLN samples with varying duty cycle was fabricated, and one of the faces was etched out to reveal a surface relief pattern. We measured the far-field pattern diffracted from the surface grating, and successfully evaluated the quality of the QPM grating, such as period stability and duty cycle. We could establish a quantitative relation between the duty cycl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iffraction measurement and the charge provided during the poling stage.

      • 안드레아 프레이저의 심리적 구조로 확장된 제도비판 미술 연구 : 2000년대 이후 재연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진민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미국과 유럽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안드레아 프레이저(Andrea Fraser, 1965~)의 제도비판(Institutional Critique) 작업의 유기적 흐름을 분석하고 2000년대 이후 심리적 구조로 확장된 ‘재연(enactment)’ 퍼포먼스를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이를 통해 제도비판 미술의 사회·정치적 구조와 심리적 구조 사이의 교차점을 탐구하며, 심리적 구조로 확장된 재연 퍼포먼스가 제도비판 담론에서 지니는 효과와 의의를 살펴본다. 프레이저는 1980년대 중반 이후 2세대 제도비판을 주도한 작가로서 제도비판의 의미를 미술계 네트워크의 영역을 초월하여 정체성이 형성되는 공간으로 확장하였다. 특히 제도비판 담론에 있어 기념비적인 에세이 「제도의 비판에서 비판의 제도로(From the Critique of Institutions to an Institution of Critique)」(2005)를 발표하며 제도비판은 항상 제도화되어 왔으며, 우리 자신이 곧 기관임을 주장한다. 프레이저에 따르면 제도비판은 더 이상 제도의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닌, 우리 자신이 어떤 제도이며 어떤 종류의 가치를 제도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이다. 프레이저는 제도의 내부와 외부의 고정된 구분을 와해하며 비평 주체의 위치 설정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프레이저의 제도비판은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영향으로 문화 생산에 대한 비판적 의식 아래 발전하였으며 사회적 구조와 계급에 대한 비평적 작업으로 실천되었다. 사회·정치적 구조에 대한 예리한 조사를 기반으로 한 프레이저의 제도비평 작업은 2000년대 이후 심리적 구조에 대한 탐구로 확장된다. 프레이저는 정신분석학자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학파의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을 접하며 관계 중심의 정신분석에 대해 심도 있게 탐구하였다. 프레이저는 대상관계이론의 관계적 관점에서 전이(transference)를 탐구하며 자신의 퍼포먼스를 ‘재연’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프레이저의 재연 퍼포먼스에서 주체와 대상의 감정적 전이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와 역전이 행동화를 의미하는 ‘재연’은 관람자 내면으로부터의 반성적 비평을 유발하며 제도비판의 대안적 가능성으로 제시된다. 주체가 자신의 일부를 투사하는 재연 퍼포먼스는 관람자에게 감정의 충돌과 분열을 불러일으키는 “비판의 제도(Institution of Critique)”를 위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프레이저의 심리적 구조로 확장된 제도비평은 제도의 사회적 맥락이 심리적인 관계에서 어떻게 내면화되고, 정서적으로 투사되며, 공동에 의해 생산되는지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도비판의 대상을 외부로 지시하는 것이 아닌 관람자 내면으로 끌고 들어와 구조의 문제를 명확히 직시하게 한다. 본 논문은 프레이저의 2000년대 이후 재연 퍼포먼스를 대상관계이론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상호주관적인 비평의 대안적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ses the systematic flow of the institutional critique work of Andrea Fraser(1965~) based o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d interprets the performance of ‘enactment’ which has been expanded to the psychological structure since the 2000s from the point of view of psychoanalysis. Through this, the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 and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institutional critique art is explored, and the effects and significance of enactment performance extended to the psychological structure in institutional critical discourse are examined. Fraser is a artist who has been leading second generation institutional critique since the mid-1980s and has expanded the meaning of institutional critique to a space where identity is formed beyond the art network area.  Particularly in the discourse of institutional critique, with her publication of a monumental essay “From the Critique of Institutions to an Institution of Critique”(2005), the institutional critique has always been institutionalized, and we claim to be the institution. According to Fraser, institutional critique is no longer a question of fixing the outside and inside of an institution, but a question of which institution we are ourselves and what kind of value we should institutionalize. Fraser broke the fixed divis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of the institution and presented a new paradigm in setting the position of criticism. Fraser's institutional critique developed under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cultural production under the influence of Pierre Bourdieu and was practiced as a critical work on social structure and class. Fraser's work of institutional critique, based on an intense investigation of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s, has extended to the exploration of psychological structures since the 2000s. Fraser has delved into relationship-oriented psychoanalysis by encountering the ‘Object Relations Theory’ of psychoanalyst Melanie Klein. Fraser explores ‘transference’ from the relational point of view of object relationship theory and defines its performance as the concept of 'enactment'. In Fraser's enactment performance, ‘projective identification’, in which the emotional transfer of the subject and object mutually influences, and 'enactment', which means countertransfer acting out, induce reflective criticism from the inside of the viewer and presented as an alternative possibility of institutional critique. The enactment performance in which the subject projects part of itself is a strategy for the ‘Institution of Critique’ that causes conflict and division of emotions in the spectator.  The institutional critique expanded to Fraser's psychological structure allows an analysis of how the social context of the institution is internalized, emotionally projected and produced by the community relationship.  Furthermore, she does not direct the object of criticism outward to the system, but draws it into the viewer and clearly addresses the problem of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find alternative possibilities for intersubjective criticism by analysing Fraser's enactment performance since the 2000s from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s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