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양 중세 문장지의 동물 상징체계 분석: 요한네스 문장지를 중심으로

        주나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1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aning of animal symbols in Bestiary and in Heraldic Treatise, focusing on Johannes de Bado Aureo’s Tractatus de Armis. This will be a clue to examine in detail how medieval society transformed and accepted religious values and norms into secular values and norms, furthermore how they merged into one and formed the basic frame of medieval mentality. At the end of the 14th century, Johannes not only established generalized rules for heraldic colors and figures, but also presented a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ir symbolic meaning. And in the process, he brought a wide range of symbolic interpretations from Bestiary which is produced in the church. And He gave them new secular values and meanings to establish a symbolic order different from that of Bestiary. Animal symbols in Heraldic Treatise, are not based on the divine order, but on the strict feudal order of secular society. They do not appear as symbols of various doctrines or virtues like Bestiary’s ones. There are strictly defined hierarchies and roles for perfectly personified animal figures of Heraldic Treatise: the warrior leader, the subordinate warrior, and the servant who is not a warrior. Moreover, the criterion of good and bad animals on Heraldic Treatis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bestiary. Vices and virtues of animals in Bestiary are used to rank divine values above secular values, and to defend the church’s domination and control. However, Heraldic Treatise does not deny the values of the warrior and the secular. Instead, new boundaries are given between vices and virtues: an imperfect status, breaking of the social order, and losing power. Bestiary discriminated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and condemned those who are out of the order of the church. But Heraldic Treatise emphasizes discrimination based on ancestry and origin, criticizes those who disturb the secular order, and warns against the loss of the sword and purse that support secular power. In short, while the animals of Bestiary are moral animals that symbolically reveal the providence of the God who created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animals of Heraldic Treatise are humanized animals that symbolically reveal the order of human society based on the feudal system. However, these two orders did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rather coexisted in a similar and familiar form, and constituted the culture and value system of the Middle Ages. 이 글의 목적은 요한네스 데 바도 아우레오의 『문장에 관한 논고』를 중심으로, 동물지와 문장지에 나타난 동물 상징의 의미를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이것은 중세 사회가 종교적 가치와 규범을 어떻게 세속적 가치와 규범으로 변형하여 수용했는지, 나아가 그것들이 어떻게 하나로 융합되어 중세 심성의 기본적인 틀을 이루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다. 14세기 말 요한네스의 문장지는 색과 형상에 대한 일반화된 규칙을 세웠을 뿐 아니라, 그것들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해석의 기본 틀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교회를 중심으로 제작된 동물지의 상징적 해석을 폭넓게 가져왔고, 그것들에 새로운 세속적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여 동물지와는 다른 상징적 질서를 구축했다. 문장지의 동물 상징들은 신의 질서가 아니라, 세속사회의 엄격한 봉건적 질서에 기초해 있다. 그것은 동물지의 동물 상징처럼 여러 가지 교리나 덕목을 상징하는 것으로 두리뭉실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완벽하게 인격화된 문장지의 동물 형상들에게는 ‘우두머리 전사’, ‘부하 전사’, ‘전사가 아닌 신하’라는 엄격히 정해진 위계와 역할이 존재한다. 아울러 문장지는 동물지의 좋은 동물과 나쁜 동물의 상징적 경계를 동일하게 적용하지 않는다. 동물지의 동물들이 구현하는 악덕과 미덕은 신적 가치를 세속적 가치보다 높이고, 교회의 지배와 통제를 옹호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문장지는 전사의 가치와 세속의 가치를 부정하지 않는다. 그 대신 악덕과 미덕 사이에 ‘불완전한 신분’, ‘질서의 일탈’, ‘권력의 상실’이라는 새로운 경계선이 주어진다. 동물지는 성(聖)과 속(俗)을 차별하고, 교회의 질서를 벗어난 이들에게 비난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문장지는 혈통과 출신에 따른 차별을 강조하고, 세속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자를 비난하며, 세속권력을 떠받치는 무력과 재력을 상실하는 것을 경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요컨대, 동물지의 동물들이 우주 만물을 창조한 신의 섭리를 상징적으로 드러내주는 덕목화한 동물들이라면, 문장지의 동물들은 봉건제에 기초한 인간 사회의 질서를 (대립과 갈등까지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인격화한 동물들이다. 그러나 이 두 개의 질서는 서로 대립하거나 충돌하지 않고, 유사하고 익숙한 모습으로 공존하며 중세의 문화와 가치체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 KCI등재

        이교 바다 위의 기독교 저승: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에 나타난 중세의 상상

        주나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2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in detail the uniqu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Immram curaig Ua Corra, in which ancient pagan culture coexists vividly with the Christian culture of the Middle Ages, and to fi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 This will help us understand how the new roles and spaces that the Church has given to the afterlife have interacted and combined with the traditional Celtic imagination of the other world, and how they have taken their place in the minds of the Middle Ages. The first half of the story, that the three sinful brothers repented after dreaming about heaven and hell, shows that Immram curaig Ua Corra is actively borrowing the framework of their journey to the afterlife. In addition, colleagues participating in the voyage of the three brothers show that this document reflects the new social image since the middle of the Middle Ages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s of the past. If the craftsman assimilated into another world is an old trace of Immram, the soul of a clown who came to inform his colleagues of his fate after death shows people's increased interest in the afterlife. The most interesting thing about this voyage is that it vividly embodies the worlds after death on the sea. In Hell on the Sea, the gods and inhabitants of other world are subjected to harsh punishments for the petty sins committed in their lifetime, deprived of their former glory and joy. At one time, they did not release the invaders who came to their world, but now they are governed by the order created by humans even in their own world. On the other hand, ‘Heaven on the Sea’ is relatively free from the domination of Christianity. It is not a space strictly separated from hell, nor is it a perfect Christian heaven. The paradises of the pagan world, some 'preserving their original form', some 'changing into a more heavenly form', constitute the rest of the world after death above the sea. In a nutshell, ‘Húi Corra’s sea’ is a world where ‘Hell on the Sea’ (the new Christian order oppresses pagan tradition) and ‘Heaven on the Sea’ (a more generous space for pagan elements and symbols) coexist. This shows that medieval Christian society was emphasizing one single world, but in one corner pagan traditions were mapping the various afterlife. 이 연구는 고대 이교 문화가 중세 중기 이후의 기독교 문화와 생생하게 공존하는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의 독특한 면모와 성격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그것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교회가 사후세계에 부여한 새로운 역할과 공간이 저 너머의 세계에 대한 켈트의 전통적인 상상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결합되었는지, 나아가 중세인의 심성에 어떻게 자리를 잡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코라의 후손들인 죄를 지은 삼형제가 천국과 지옥에 대한 꿈을 꾸고 나서 회개하게 되었다는 전반부의 내용은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가 저승 여행기의 틀을 적극적으로 차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삼형제의 항해에 동참하는 동료들은 이 문헌이 과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중세 중기 이후의 새로운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세계에 동화되어 울부짖는 장인이 임람 장르의 옛 흔적이라면, 죽음 이후 자신의 처지를 알려주러 찾아온 어릿광대의 영혼은 사후세계에 대한 사람들의 높아진 관심과 그로 인해 귀환이 잦아진 평범한 죽은 자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항해와 귀환의 과정에서 성직자 무리가 행한 권위 있는 중개자로서의 역할은 교회가 죽음과 저승을 장악해 들어가기 시작한 사회상을 반영한다. 본격적인 항해에서 흥미로운 점은 앞서 지옥과 천국의 꿈을 현실에서 반복하는 것을 넘어 훨씬 폭넓고 생생하게 바다 위에서 실제 저승 세계를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코라 후손들의 항해 중반부의 여정들은 이교 세계의 바다와 섬들로 재구성된 지옥이다. 그곳에는 다른 세계의 신과 주민들이 과거의 영광과 기쁨을 빼앗긴 채 이승에서 저지른 시시한 죄들 때문에 가혹한 형벌을 받고 있다. 한때는 자신들의 세계에 침입한 인간들을 자신들과 똑같이 만들거나 놓아주지 않았던 그들이지만 이제는 자신들의 세상에서조차 인간들이 만들어 놓은 질서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이다. 반면 ‘바다 위의 천국’은 상대적으로 기독교의 감시에서 자유롭다. 그곳은 지옥과 엄격히 구분되는 공간이 아니며, 완벽한 기독교 천국도 아니다. 이 위로와 희망의 여정들은 지옥의 여정들을 앞뒤로 느슨하게 포위하거나 내부로 들어와 있기까지 한다. 게다가 이 기쁨의 여정들은 이교 낙원과 기독교 천국 사이에 애매하게 걸쳐져 있기도 하다. 이교 세계의 낙원들이 일부는 ‘본래 모습을 간직’한 채, 일부는 ‘보다 천국다운 모습으로 변화’하며 바다 위에서 저승 세계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요컨대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에 나타난 ‘바다 위의 저승’은 이승을 지배하는 새로운 기독교 질서가 이교적 전통을 누르고 군림하는 ‘바다 위의 지옥’과 이교적 요소와 상징들에게 보다 너그러운 공간인 ‘바다 위의 천국’이 공존하는 세계이다. 이것은 중세 중기 이후 기독교 사회가 하나의 단일한 세계를 강조하고 있었지만 그 한구석에서는 여전히 바다를 타고 흘러들어온 이교 전통들이 새로운 지배 질서와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사후세계의 지도를 만들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 Perceived Leadership Style of Korean Dietitians: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주나미,윤지영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5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ansformational or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of Korean dietitians. The study was completed with Korean dietitians(n = 268, 67% response) using mail survey. The leadership styles were divided into transformational(including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transactional(contin-gent reward, management by exception) leadership found in the several literature. Overall, the score of Korean dietitians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p < .05). Among thre sub-dimension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the score of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higher than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Betwen two sub-dimensions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Korean dietitians used more ma-nagement-by-exception than contingent reward. ANOVA results suggest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more likely to be used by the younger dietitians, while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more likely to be used by the older dietitians(p < .05) - 6 year dietetic experience used mo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n other experienced dietitians(p < .05). It was also found that the Korean dietitians leadership styles were influen-ced by the type of dietic practice area. Data showed that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contingent reward were more likely to be used by Korean dietitians from schol than by dietitians from health care and industry(p < .05).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dietitians to guide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leadership style in order to increase employees' job satisraction as well as organization performance

      • KCI등재

        중세 아일랜드 항해기에 나타난 가치체계의 변화

        주나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1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8

        중세 아일랜드의 항해기인 ‘임람’에는 성서 문화와 이교 문화가 충돌하고 뒤섞이고 융합하여 중세 기독교 문화의 다층적인 구조를 형성해가는 과정이 역동적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아일랜드의 전통적인 영웅 모험담인 ‘에흐트라’와의 비교를 통해서 뚜렷이 확인된다. 에흐트라와 임람의 주인공들은 미지의 세계를 향해 모험에 나선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동기와 목적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에흐트라의 영웅들은 위반된 금기를 회복하기 위해, 신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세속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여행에 나선다. 하지만 임람의 주인공들은 그리스도의 낙원을 찾기 위해, 회개와 순례를 위해 항해에 나선다. 그리고 에흐트라 영웅들은 초자연적인 세계로 들어가 신화적인 경험을 하지만, 임람 주인공들은 바다 위의 여러 섬들을 떠돌면서 기독교적 믿음을 향해 나아가는 영혼의 여정을 겪는다. 그 과정에서 이교도 신들의 낙원은 하느님의 천국으로 바뀌어 가고, 다른 세계로 건너가는 열쇠와 같은 구실을 하던 여인의 자리는 종말과 심판을 경고하는 은둔 수도사가 차지해간다. 이러한 두 장르의 차이는 ‘기독교 전파’와 ‘바이킹의 침략’이란 두 사건이 바꿔놓은 중세 아일랜드의 풍경을 보여준다. 전통적인 켈트 문화에서 기독교 문화로의 심성의 변화는 장르 내부에서도 드러난다. 주인공인 전사는 사제로, 조언자인 드루이드는 거룩한 성인으로, 항해를 준비하는 과정은 미사처럼 바뀐다. 더불어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 임람 문헌들은 유사한 상징들을 사용하면서도 그것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는데, 이것은 주인공들이 겪는 온갖 시련의 의미 변화, 시련과 함께 얻게 되는 기쁨의 의미 변화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주인공들이 극복해야 할 과제처럼 등장하던 괴물들과 악마들은 지옥의 혹독함을 간접적으로 체험케 하고 신의 영험함을 드러내는 존재로 바뀐다. 다른 세계에서 들려오던 감미로운 노래는 성가대와 천사들의 합창으로, 엠네의 사과나무는 성체성사의 포도주로 대체된다. 그러나 이교 문화의 전통은 사라지지 않고, 고유한 흔적을 남기며 성서 문화와 결합해 독특한 상상과 상징의 체계를 만들어낸다. 다른 세계의 존재가 새들로 변신한다는 신화 속 믿음은 기독교적 사고 안에서 새롭게 자리를 찾는다. 이교도의 신이 기독교 교리를 전달하는가 하면, 다른 세계에서 가져온 은이나 수정이 신의 신비를 증언하거나 수도원이나 교회의 명성을 드높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중세 아일랜드 항해기는 이교 문화가 기독교 문화로 대체되는 과정이 일방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융합해가는 방식으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Immrama’, medieval Irish voyage tales, show us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medieval Christian culture. Especially, this is well-confirmed by comparing Immrama to ‘Echtrai’, Irish traditional heroic adventure stories. The protagonists of Echtra and Immram are similar in that they embark on an adventure into an unknown world, but have distinct differences in their motives and purposes. Echtra’s heroes go on a journey to recover from taboo violations, to keep their promises to God, and to satisfy their worldly desires. However, Immram’s protagonists leave on a voyage to find the paradise of Christ, for repentance and pilgrimage. And while Echtra’s heroes enter the supernatural world and have mythical experiences, Immram’s protagonists wander through the islands on the sea and undergo a soul journey toward Christian faith. In the process, the paradise of the pagan gods is transformed into the heaven of God, and the place of the woman who played the role of a key to another world is taken over by a hermit monk who warns of the Doomsday.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enres shows the landscape of medieval Ireland that was changed by the two events,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and ‘the Viking raids’. These changes of mentality and value system are also revealed among Immrama. A warrior hero turns into a priest, a druid adviser turns into a saint,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voyage gradually turns into something like a Mass. In addition, each Immram uses similar symbols but interprets them in different ways. This is confirmed through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all kinds of trials and joys experienced by the protagonists. However, the traditions of pagan culture do not disappear, leaving unique traces, creating unique systems of imagination and symbols. The Irish traditional beliefs find a new place in Christian thinking. Pagan god transmits Christian doctrines, and silver or crystal from other worlds is used to testify to the mysteries of the gods or to enhance the prestige of monasteries and churches. In this regard, Immrama show that the process of replacing Pagan culture with Christian culture was not one-sided, rather it appeared in a way that influenced and fused with each other.

      • KCI등재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의 역사적 해석

        주나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3 西洋中世史硏究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ue system and symbol system of Tractatus de Purgatorio Sancti Patricii and to examine its meaning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The message, that the Journey Through the Afterlife were trying to deliver by dramatically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is not limited to the didactic dimension. The first clue can be found in ‘the symbolic change of the main character’s status’. In both stories, the protagonist's initial status in this world is ‘a nobleman and a knight’. Afterwards, those who went to the underworld and stood before God’s judgment were not noblemen, but mere ‘sinners’. However, unlike Tnugdal, who remains a sinner throughout his journey to the underworld, Owein, who entered the purgatory pit of St. Patrick, becomes a ‘knight of Christ’. Behind this is the Conquest of Jerusalem and the Third Crusade. The second reason why the story could function as a political propaganda can be found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Journey through the afterlife. Tnugdal’s Journey is a ‘Journey of Repentance’ that enumerates the sins committed by living humans and reflects on them one by one. However, Demons do not tell Owein why he must be tortured. So his pain feels more like a torture to test his faith or a hardship to overcome than a punishment. This shows that Owein’s journey is not in repentance but in ‘Conquest’. The third clue can be found in ‘the symbolism of the background of the story’. Purgatory of Owain the Knight is a ‘real space’ managed by an Irish monastery, and at the same time a ‘virtual space’ revealed by Christ for St. Patrick. By the way, the white plains, a symbol of heaven in the Celtic tradition, have changed to the black plains of hell, and the emphasis on Ireland's savagery and insufficient Christianization shows that Hell, where Owein confronts the devil, actually symbolizes Ireland itself. Even, Gerald Wales, a servant of King Henry II, inserted Tractatus de Purgatorio Sancti Patricii among his works related to his political journey in Ireland and Wales. In short,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by the symbolic system of Tractatus de Purgatorio Sancti Patricii and the works of Gerald Wales surrounding it suggest that the story of Owein's journey to the underworld played a political role in England in the late 12th and early 13th centuries. Just as Owein conquered Purgatory, English monarchs and priests wanted to conquer Ireland, Wales and Jerusalem. This shows that purgatory in the Middle Ages was not only a didactic space where punishment(fear) and purification(hope) coexisted, but also a real space where the political desires of the ruling powers were realized or frustrated. 자크 르 고프는 중세 사람들의 머릿속에 연옥이라는 공간이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에서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이 『트누그달의 환시』와 함께 맡았던 역할을 중시했다. 그러나 중세 저승 여행담이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극적으로 넘나들면서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교훈적 차원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 이야기의 가치체계와 상징체계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당대의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첫 번째 실마리는 ‘주인공 신분의 상징적 변동’에서 찾을 수 있다. 『트누그달의 환시』와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 모두에서 주인공의 이승에서의 최초 신분은 ‘귀족이자 기사’이다. 그러나 저승으로 넘어가 신의 심판대에서 이들은 고귀한 나리님이 아니라 한낱 ‘속세의 죄인’일 뿐이다. 그런데 저승 여행 내내 속세의 죄인으로 남는 트누그달과 달리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 구덩이로 들어간 오웨인은 용맹한 기사가 된다. 그는 자신의 죄를 정화하고 회개하는 것보다는 ‘그리스도의 기사’로 거듭나 색다르고 범상치 않은 무훈을 발휘하는 데 더 관심이 많아 보인다. 이러한 오웨인의 모습 뒤에는 살라딘의 예루살렘 정복과 3차 십자군 모집이라는 현실이 있다.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이 정치적 선전물로 기능할 수 있었던 두 번째 이유는 ‘저승 여정의 성격’에서 찾을 수 있다. 트누그달의 지옥 여정은 살아 있는 인간들이 저지르는 죄들이 나열되고, 그 하나하나를 반성하는 ‘회개의 여정’이다. 그러나 오웨인의 연옥에는 죄인은 있지만 ‘죄목’은 없다. 악마들은 오웨인에게 왜 고문을 당해야 하는지 말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그의 고통은 형벌이라기보다 믿음을 시험하는 고문이나 극복해야 하는 고난처럼 느껴진다. 죄목이 없으니 반성도 없고, 오로지 악마들의 고문을 이겨내고 승리하라는 소명만 남을 뿐이다. 기사가 회유에 흔들리지 않고 고문을 통과할 때마다 악마들은 힘을 잃고 물러난다. 이것은 오웨인의 여정이 회개가 아닌 ‘정복’에 있음을 보여준다. 세 번째 실마리는 ‘이야기의 배경이 지닌 상징성’에서 찾을 수 있다. 중세 여행담의 가장 큰 특징은 이야기 안에서나 밖에서나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흐릿하다는 것이다. 오웨인의 모험이 펼쳐지는 연옥은 아일랜드 수도원이 관리하는 ‘현실의 공간’인 동시에, 그리스도가 성 파트리키우스를 위해 드러낸 ‘가상의 공간’이다. 아울러 켈트 전통에서 천국의 상징인 하얀 평원이 지옥의 검은 평원으로 변한 것과 아일랜드의 야만성과 미흡한 기독교화가 강조되고 있는 부분은 오웨인이 악마와 대결을 벌이는 공간이 실상 아일랜드 자체를 상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헨리 2세의 신하인 제럴드 웨일스는 아일랜드와 웨일스에서 행한 자신의 정치적 여정과 관련된 저작들 사이에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을 끼워 넣기까지 한다. 요컨대,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의 상징체계가 드러내 보이는 특징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제럴드 웨일스의 저작들은 오웨인의 저승 여행 이야기가 12세기 말과 13세기 초 잉글랜드에서 정치적인 역할을 맡고 기능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오웨인이 연옥을 정복하듯 잉글랜드 군주와 성직자들은 아일랜드, 웨일스,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싶었던 것이다. 중세의 연옥은 처벌(두려움)과 정화(희망)가 공존하는 교훈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