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임금근로자의 근로 요인이 혼술 및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조혜정 ( Hyechung Ch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여성 임금근로자의 근로 요인이 혼술 및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근로 요인의 경우 근로 만족 및 직장차별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연구 목적을 위해 여성가족패널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19-64세의 여성 임금근로자 2,8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로지스틱 및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내용으로 여성 임금근로자의 근로 요인 중 직장 내 인간관계 및 직장차별경험이 혼술에 영향을 미쳤다. 문제음주에는 근로환경 만족 및 직장차별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여성 임금근로자의 직장 내 차별 해소 및 근로환경 변화, 문제음주 감소를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 factors of female wage workers on solitary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In the case of work factors, the effects of work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8th year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were used, and analyzed 2,845 female wage workers aged 19-64. The data were verified through logistic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s a result of the study, it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work discrimin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affected solitary drinking. Also, it found that working environment statisfaction and the experience of work discrimination affected problem drink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ed discrimination elimination in the workplace,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of female wage workers, and to reduce problem drinking.

      • KCI등재

        대학생의 경제스트레스가 사행성 게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취업스트레스와 인지유연성의 연속다중매개효과

        조혜정 ( Hyechung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경제스트레스와 사행성 게임행동 간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와 인지유연성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문대학을 포함한 대학생 1학년부터 4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총 686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 분석을 이용하여 연속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스트레스는 사행성 게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으나, 취업스트레스를 매개로 사행성 게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제스트레스는 취업스트레스와 인지유연성을 연속 매개하여 사행성 게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횡단연구로서의 한계가 있으며, 향후에는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대한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nd cognitive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ress and gambl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686 college students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economic stress has no direct effect on gambling behavior, but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stress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ress and gambling behavior. Second,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nd cognitive resilience wer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ress and gambling behavior.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 as a cross-sectional study, and longitudinal studies on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r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조혜정(Cho, Hyechung),홍다영(Hong, Da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2

        학교 밖 청소년들은 공교육 중단하더라도 상당수가 다시 학업으로 회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학업 중단 전후의 체계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 중 가장 적응적인 형태로 여겨지는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이라도 공교육을 중단한 이후 방황의 시간을 보내며 진로를 다시 결정하는 과정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 밖 청소년의 정신건강 취약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호요인을 찾고, 이를 근거로 발달과정의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대안 중고등학교 및 청소년상담센터, 검정고시학원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228명에 대해 조절회귀식으로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의 취약성이 낮아졌다. 둘째,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가족 지지만이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고, 친구지지 및 타인 지지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 및 정신건강 증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mental health of out-of-school youth. This study performed the survey with 228 youths who use alternative middle/high school, youth counseling center and private institute for school qualification examin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self-efficacy, the lower the vulnerability of mental health. Second, social support showe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e family support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system and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f out-of—school youth.

      • KCI등재

        청장년층 가구빈곤과 우울 간의 관계: 연령별 비교

        조혜정 ( Hyechung Cho ),염동문 ( Dongmoon Yeum ),권혁창 ( Hyeokchang Kw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는 청장년층을 연령대별로 세분화하여 가구 빈곤과 우울 간의 인과관계를 사회적 원인론과 사회적 선택론에 근거해 검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중 5차년(9∼13차년) 자료에서 20세∼59세 6,058명을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청장년층에서 가구빈곤과 우울 간의 인과관계는 사회적 원인론과 사회적 선택론을 모두 지지하였다. 둘째, 연령에 따라 가구빈곤과 우울의 인과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20대는 두 가설 모두 기각하였다. 30대는 사회적 선택론을 지지하였으며, 40와 50대는 두 가설 모두 지지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poverty and depression for the blue-age generation, based on social causation theory and theory of social selection. This study analyzes 6,058 people aged between 20 and 59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Data (9-13 waves),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entire blue-age generation supports both social causation theory and social selection theory.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household poverty and depress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age. For those in their 20’s, both theories were rejected. For those in their 30’s, the social selection theory was supported. For people in their 40’s and 50’s, both theories were supported.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조혜정(Cho, Hyech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1

        최근 경제여건의 악화 및 고용시장의 불안정으로 인한 청년층 실업률 증가는 대학생들에게 취업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적응 및 행복감을 위협하는 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취업스트레스로 인한 행복감 저해를 완충시키고 대학생들이 당면한 과제를 잘 극복해나갈 수 있도록 돕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와 행복감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1학년부터 4학년 대학생 7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할수록, 주관적 경제수준이 좋다고 인식할수록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취업스트레스와 행복감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취업스트레스와 행복감간의 관계에서 완충작용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upon the stress involved in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hap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734 students from the 1st to 4th grades in 4 Universities.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means of AMO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showed higher levels of happiness. Second, the stress involved in preparing for employment had a negative impact upon happiness. Third, levels of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stress of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hap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motion of greater levels of social support to alleviate the stress involved in preparing for employment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성폭력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염동문(Yeum Dongmoon),조혜정(Cho Hyech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1

        최근 청소년의 성폭력 문제가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성희롱을 포함한 성폭력 피해경험은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발달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우울, 자살생각 등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성폭력을 경험하더라도 보호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느냐에 따라 정신건강문제의 양상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보호하는 요인 중 내적 보호요인으로 자아존중감을 살펴보았는데, 자아존중감은 우울 및 자살생각의 위험을 낮추는 보호요인으로 검증되어왔다. 이 연구는 성폭력 피해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 아동 · 청소년 인권실태조사에 응답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6,29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폭력 피해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P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폭력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는 자아존중감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청소년의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경우 우울이 증가하고, 우울이 증가하면 자살생각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매개효과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폭력 피해를 당한 청소년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6,29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2017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and Children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Secondly, self-esteem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ird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by means of the SPSS Macro tool, self-esteem was shown to have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a discussion and analysis of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 KCI등재

        여성 가족부양인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 요인: 노부모부양인식과 자녀부양인식을 중심으로

        오영란(Oh, Youngran),조혜정(Cho, Hyechung),박정혜(Park, Jeonghy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가족부양인식의 변화 궤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에 기반한 부양규범 측면에서 부양책임 당사자로 위치되었던 여성의 가족부양인식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노부모부양과 자녀부양인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 중 4차에서 7차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9세에서 64세 여성으로 6,115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부모부양 인식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 양상을 보였으며, 자녀부양 인식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 양상을 보였다. 둘째, 자녀부양인식의 변화궤적 중 초기값에는 연령, 교육년수, 혼인유형(기혼), 가구균등화소득, 자가유무, 취업유무, 남성생계부양자이데올로기 요인이 관련되어 있었고, 변화율에는 남성생계부양자이데올로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부모부양인식의 변화궤적 중 초기값에는 교육년수, 혼인유형(기혼), 가구원수, 자가유무, 남성생계부양자이데올로기 요인이, 변화율에는 연령, 교육년수, 혼인유형(기혼), 자가유무, 남성생계부양자이데올로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가족부양인식 변화의 의미에 관해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women’s perception of family suppor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change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aspect of the norms of support based on values of familialism by subdividing them into child support and elderly support.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fourth to the seventh year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s of Women and Families were used and analyzed as a latent growth curve model. The 6,115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omen from 19 to 64 years old”. In the major results, first, the perception of elderly support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as time passed, while the perception of child support showed a decreasing pattern. Second, among the trajectories of child support, the age, educational years, marriage status, household equalized income, presence in one’s own house, employment, and male breadwinner ideology affected the initial value and male breadwinner ideology was found to affect the rate of change in child support. Third, in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elderly support, the educational years, marital statu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male breadwinner ideology affected the initial value, and regarding the rate of change, the age, educational years, marital status home ownership, and male breadwinner ideolog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Accordingly we discussed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changes in women’s perception of family support.

      • KCI등재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SNS 중독경향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재경 ( Jaekyeong Lee ),조혜정 ( Hyechung Cho ),박은아 ( Eun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SNS 중독경향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7개 대학의 대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의 정신건강은 SNS 중독경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건강 수준이 낮을수록 SNS 중독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의 정확한 확인을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정신건강과 SNS 중독경향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 등의 정신건강 관리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을 통한 SNS 중독경향 문제의 예방 및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between mental health and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313 university students were utilized by analyzing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ly influence on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ly, sobel test resul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howed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of mental health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manage mental health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o prevent SNS addiction tendency.

      • KCI등재

        브랜드 디자인 변화가 소비자의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진(Lee, Hwajin),이석규(Lee, Sukekyu),조혜정(Cho, Hyech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를 변경하고자 브랜드에 변화를 줄 때 브랜드 애착(brand attachment)이 높은 집단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메시지 전달 방안을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는 브랜드 애착이 높은 사람들은 브랜드의 마케팅 활동 및 수행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면서 브랜드와 관련된 활동에 호의적인 감정을 가진다는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브랜드 변화에 있어서는 브랜드 애착이 높은 집단이 브랜드 애착이 낮은 집단보다 항상 호의적은 것은 아니며, 시간해석이론(temporal construal theory)을 적용한 메시지 구성에 따라 그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브랜드 변화의 본질적인 목적(desirability)을 강조하면서 먼 미래로 인지되는 경우 브랜드 애착이 높은 집단의 긍정적 감정이 브랜드 애착이 낮은 집단의 긍정적 감정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감정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브랜드 변화의 본질적인 목적을 강조하면서 가까운 미래로 인지되는 경우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 모두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변화의 실행가능성(feasibility)을 강조하면서 가까운 미래로 인지되는 경우 브랜드 애착이 높은 집단이 브랜드 애착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긍정적 감정은 크고, 부정적 감정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브랜드에 변화가 있다는 사실을 전달함에 있어 브랜드 애착이 높은 집단의 긍정적 감정이 크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 미래의 계획을 발표할 때에는 본질적인 목적을 강조하고, 가까운 미래의 계획을 발표할 때에는 실행가능성을 강조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e up with the measures to convey the message which can maximize communication impact among a group of people with high brand attachment, particularly when brand change is in the works.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had been carried out having the view in mind that attachment to brands affects brand asset management positively. This study, on the contrary, was to prove that those with high brand attachment are not always favorable to the brand compared to those who are not, and that depending on the message's focus, either on fundamental desirability or feasibility and temporal distance, the effects could be different. To sum it up, in case that the plan for brand change emphasized its fundamental desirability and was recognized as what will happen in the distant future, it turned out that those with high brand attachment showed greater positive emotion than those who were no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negative emotion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when the brand change plan stressed its fundamental desirability and was acknowledged as an incident coming in the near future, it was found that no difference occurred both i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between the two groups. Also, as for the brand change plan, which emphasized feasibility and was recognized as an event coming in the near future, a group of people with high brand attachment turned out to have greater positive emotion and lower negative emotion than those with low brand attachment. Lastly, when the plan for brand change stressed feasibility and was recognized as a distant future event,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both i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And to conclude, in order to make those with high brand attachment build positive emotion, it would be more effective that a distant-future plan needs to focus on its fundamental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for a near-future plan.

      • KCI등재

        휴먼서비스 전공 학생의 공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에서 수용 및 비판적 사고의 다중매개효과

        이재경 ( Jaekyeong Lee ),박은아 ( Euna Park ),조혜정 ( Hyechung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휴먼서비스 전공 학생의 공감, 수용, 비판적 사고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다중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휴먼서비스 전공 중인 20대 대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수용 및 비판적 사고가 증가하였다. 둘째, 공감은 비판적 사고를 매개로 문화적 역량을 증가시켰다. 셋째, 공감은 수용과 비판적 사고를 매개로 문화적 역량을 증가시켰다. 즉 공감 수준은 문화적 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공감은 수용과 비판적 사고를 연속 매개하여 문화적 역량을 증가시켰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감, 수용, 비판적 사고의 순차적 교육과정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공감, 수용, 비판적 사고 능력 제고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between empathy, acceptance, critical thinking and cultur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s of human services. 322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ere utilized by analyz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re empathy increased, the more acceptance and critical thinking increased. Secondly, the empathy increased cultural competency by the critical thinking mediation effect. Third, the empathy increased cultural competency by the acceptance and critical thinking mediation effect. The empathy had no direct impact on cultural competency significantly, but the empathy increased cultural competency by the mediation effect of acceptance and critical think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emphasized that the order of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practical strategy was proposed to improve empathy, acceptance and critical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