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韓國語母語話者の日本語 <斷り> 發話行爲に關する硏究

        조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금까지의 일본어교육에서는, 오디오 링거 매써드에 근거한 문법습득을 중심으로 한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완전히 문법을 마스터한다 해도,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것은 커뮤니케이션상의 문제이며, 문법이나 음성에서의 실수와는 달리, 표면화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어용론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어떤 발화행위를, 제2언어습득과정에 있어서, 어떻게 수행하며, 또 그것이, 모어화자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연구하는 분야를 가리켜, 중간언어어용론이라 하며, 본고 또한 이에 속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어모어화자의 일본어와 한국어에서의 「거절」 발화행위를 조사하였다. 또 일본어모어화자의 「거절」 발화행위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그 차이점을 명확히 하였다 또 한국어모어화자의 일본어와 한국어의 발화에 대해서 서로 대조하여, 일본어의 발화가, 모어로부터의 전이에 의한 것인지, 일본어습득과정에 있는 외국인에게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발화인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모어화자와 일본어모어화자의 「거절」 발화행위에는 큰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거절」 발화행위의 도입부에 있어서, 「결론」을 의미하는 「結構です」 「いりません」의 사용, 또, 「食べたくない(ありません)」의 사용은 일본인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고 생각된다. 이들은, 목적달성을 우선하는 「목적지향화」로서, 제2언어습득상의 외국인에게 일반적으로 보여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학습자의 한국어에서의 발화도입부에 있어서도 비교적 많이 보여지므로, 모어로부터의 영향도 있다고 생각되며, 한국어모어화자에게 있어서는 두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또, 「だいじようぶ(です)」 에 대해서는 한국어의 「괜찮다」로부터의 간섭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와 같은 발화가, 일본어모어화자의 「거절」 발화행위에는 그다지 보이지 않으며, 따라서 일본인의 「거절」 체계와 다르기 때문에, 이들 발화는 커뮤니케이션을 저해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거절」표현만을 가르칠 것이 아니라, 그 상황, 상대가 누구인가, 등에 따라, 어떻게 거절할 것인가를 습득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これまでの日本語敎育では,オ-ディオ·リンがル·メソッドに基づく文法の習得を中心とした교育が行なわれてきた.しかし,完全に文法をマスタ-したとしても,解決されない問題が殘る.それはコミュニケ一ション上の問題であり,文法や音聲の誤りとは違って表面化しなぃために,誤解を招く原困となる可能性がある. このよiな間題に對應していくためには,語用論的側面からの硏究が必要になる.特に,第ニ言語習得過程において,ある發話行位を,とのように遂行し,またそれが,母語話者とはどのような違いがあるのかを硏究する分野を,中間言語語用論といい,本稿もこれに屬するものである. 本稿では,韓國語母語話者の日本語と韓國語での「斷り」發話行爲を調査した.また日本語母語話着の「斷り」發話行爲についても調査し,相違点を明らかにした.また,韓國語母語話者の日本語と韓國語の發話について照らし合わせ,日本語の發話が,母語からの轉移によるものか,日本語習得過程にある外國人一般に見しれる發話なのかについて檢討した. その結果,韓國語母語話者と日本語母語話者の「斷り」發話行爲には相違点が見られた.「斷り」發話行爲の導入部におぃて,「結論」を意味する「結構です」「ぃりません」の使用,また,食べたくなぃ(ありません)」の使用は日が人とのコミュニす-ションにおいて間題になると思われる.これらは,目的達成を優先する「目的志向化」として,第ニ言語習得との外國人-般に見られると考えられるが,學習者の韓國語での發話導入部においても比較的多く見られることから,母語からの影響もあると思われ,韓國人日本語學習者においてはニつの要素が復合的に影響していると思われる.また「だいじょうぶ(です)」については韓國語の「괜찮다」からの干涉によると思われる. 上記のよう發話が,日本語母語話者の「斷り」發話行爲にはあまり見られず,したがって日本人の「斷り」體系と異なっているために,これらの發話はコミュニす-ションを阻害すると思われる.こういった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は,「斷り」表現だけを敎えるのではなく,その狀況,相手は誰なのか,などということに應じて,どのように斷るのかを習得させていく必要があると思われる.

      • 올바른 통일의지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통일교육 방안

        조윤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일교육 수업에 대하여 실제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한계점을 찾아 수정­보완하여 학생들이 평화통일과 북한에 대한 흥미를 갖고 더 나아가 실천적 통일의지를 함양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재, 초등학생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할 통일교육의 목표를 분석하고 학교 현장 통일교육 시수 확보 방안 및 영역, 내용 체계분석을 통하여 학년별 맞춤형 성취기준 선정하고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수준별 수업안을 제시한다. 둘째, 북한에 대하여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간접 체험 자료 선별 후 적용하여 간접 체험이 학생들의 통일 의지 형성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다. 셋째, 잠재적 교육과정의 가치를 알아보고 통일 관련 학급 환경 개선이 학생들의 통일 의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통일교육 방법을 고안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형식적인 통일교육에서 벗어나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통일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 인식과 관심도를 조사하였고 현장 교사들을 직접 인터뷰하여 통일교육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사 개인의 가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성취기준 마련을 위해 통일교육 지침서를 기반으로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목표와 통일교육 내용 체계에 맞추어 통일교육 성취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통일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5개의 중요 수업 모형안에서 학년군별 통일교육 수업 지도안을 만들어 실제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통일교육에 대한 흥미 상승으로 성취도와 참여도가 높아지면서 통일에 대한 관심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통일의지가 함양되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이다. 둘째, 학년별 영상 자료 제시를 통한 간접 체험 기회를 제공하였다. 영상 자료를 통한 통일교육은 북한과 통일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교사의 설명에 비해 빠른 시간에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학생들은 영상을 통해서 직간접적이지만 북한과 관계 맺기를 시작할 수 있었다. 셋째, 시의성에 맞는 교실 환경 구성을 통해 학생들에게 북한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수시로 노출하고 관련 용어를 최대한 많이 사용하여 마음의 거리를 줄이고자 하였다. 환경의 변화는 학생들의 언어의 변화로 이어졌고 언어의 변화는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로 이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urrent Korean reunification education provided at school, to find and improve the limitations, and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peaceful reunification and North Korea and further develop practical hope for reunifica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goals were established: First, the goals of Korean reunifica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analyzed; the plan to achieve the number of required classes and the subject areas and contents are analyzed to set achievement standards customized for each grade; and practical class plans for each level are suggested. Second, indirect experience data that gives a prope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is selected and used during class, and its effect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hope for Korean reunification is analyzed. Third, the potential value of the curriculum is investigated, and the effect of an improved classroom environment related to Korean reunification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hope for Korean reunification is explored. By devising and applying a practical guideline for reunifica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a substantial education plan, going beyond the formal reunification education. To this end, students' prior perception of and interest in Korean reunification issues were investigated, and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person to analyze the reasons why reunification education was difficul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ntent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 in order to establish achievement standards that can minimize individual teachers' value interven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were clearly presented and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content system. In addition, a re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 was created for each grade within five major teaching models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reunification education and applied to students. As a result, the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in Korean reunification with higher interest,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reunification education, which indicates that they have developed hope for reunification. Second, different video materials for each grade were shown to students for indirect experience. Reunification education using video data has the advantage of presen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 and Korean reunification faster than teachers explaining the content. The students were able to start building an indirect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fter watching the video. Third, by creating a proper classroom environment, the students were frequently exposed to objective data about North Korea, and related terms were used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 psychological distance. Changes in the environment led to changes in students' language, which again led to positive perception about Korean reunification.

      •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도시 밀도 취약성 평가와 중요도 변화 : 서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조윤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 우한에서 발병된 COVID-19는 확진자와 사망자 수를 급증시키면서 빠른 전파력을 보여주었다.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 여러 연구에서 빠른 속도로 세계화가 진행되고, 통행수단이 다양해짐에 따라 도시민들의 이동이 빠르게 증가하여 감염병의 확산속도를 빠르게 야기시키는 도시적 요인들이 COVID-19 확산에 주요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다(Matthew and McDonald; 성현곤, 2020). 현재, 이러한 연구들에 있어 도시수준에서의 효과적인 COVID-19 확산을 방지를 위해 여러 도시요인 중 어떠한 도시요인이 COVID-19의 확산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련된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첫 번째로 고밀(High-Density)이 감염병 확산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들이 있으며 이와 다르게 과밀(Over-crowding)이 감염병 확산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가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고밀과 과밀의 개념을 나누고 이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고밀 및 과밀에 포함되는 여러 변수를 고려해 감염병 확산에 끼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COVID-19 주요 확산 원인 및 특성에 따라 유행시기가 나뉘고 있다. 1차, 2차 유행 시기는 종교시설 및 집회 등 특정 집단에서의 확산이 일어난 집단감염 시기이며, 3차 유행 시기는 핵심 집단 감염의 사례가 없는 불특정 다수, 가족 간 감염이 증가하여 산발적으로 확산이 일어난 시기이다(기모란, 2020). 유행 시기별로 확산 원인이 다르며 집단감염 및 산발적 확산 등 확산 특성도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확산에 영향을 주는 도시 요인들도 시기별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정부의 방역조치로 인해 도시민들의 행태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도시 요인들의 영향력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시기별로 COVID-19 확산에 끼치는 도시 요인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로 첫 번째, 국내 수도권의 도시적 요인 중 고밀 및 과밀 지표를 고려하여 어떤 밀도지표가 COVID-19 확산에 더 취약한지 실증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 확산 시기별로 COVID-19 확산 취약성에 대한 도시요인의 중요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실증하고자 하며 이틀 통해 장단기적인 시점에서의 감염병 방역 조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도시적 요인 중 고밀과 과밀 중 COVID-19 확산에 취약한 것이 무엇인지 실증하기 위해 서울 대도시권 시군구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로는 2020년 1월 20일부터 2021년 10월 14일까지로 설정하였다.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서울 대도시권 COVID-19 누적 확진자 수를 구축하는데 있어 시군구별로 누적 확진자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곳이 없어 각 시도청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시군구별 확진자 수 현황자료를 직접 집계하여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밀도지표는 고밀과 과밀의 성격을 띠는 변수들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축하였으며 인구사회밀도, 주거상업 및 공업시설 밀도, 교통시설 밀도, 공공서비스 시설밀도로 4가지의 밀도지표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서울 대도시권 COVID-19 누적 확진자 수는 우연적으로 발생되는 하나의 사건임으로 비선형적 관계와 이분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종속변수의 특성상 올바른 분석을 위해 음이항회귀모형을 사용하고자 한다(Gelman et al, 2004). 또한, 변수가 모델에 포함이 되는지 결정하는 알고리즘인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중 변수선택법과 후진제거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국내 서울대도시권의 도시적 요인 중 고밀 및 과밀 지표를 설정하여 어떤 요인이 COVID-19 확산에 더 취약한지 실증하기 위해 시기별로 나누어 모형을 구축하였다. 서울 대도시권의 고밀 및 과밀 지표 중 어떤 요인이 COVID-19 확산에 더 취약한지 실증하기 위해 후진 제거법을 통한 단계적 로버스트 음이항 회귀분석을 사용한 모형 A의 분석결과를 통해 가구 과밀 중 평균 가구 규모와 1인당 주거지 내 면적, 가구당 방 개수가 확진자 수에 끼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온 것처럼 과밀 지표를 구축하는 데 있어 단편적인 변수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객관적이고 세분화된 지표를 구축해 분석에 사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기별 요인 중요도 변화 분석결과로는 공통적인 확산 특징을 갖는 시기라도 시기 별로 방역에 초점을 맞춰야 할 중요 요인들이 다른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 번째, COVID-19 확산에 있어 고밀과 과밀 중 어떠한 것이 확산에 더 취약한지 이분법적인 해석보다는 지표 안에 포함된 도시요인의 개별적인 취약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이용제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과 같은 방역 정책들이 단기적인 방역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다. 세 번째, 사회적 인구 및 시설 밀도인 근린생활시설, 순인구밀도, 지하철 밀도 등에 대해 도시계획 시 조절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감염병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다양한 밀도지표 중 고밀과 과밀의 여러 측면을 고려하여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중 장기적으로 도시 관리 발전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韓國傳統建築의 形態構成에 관한 硏究 : 視知覺을 中心으로

        조윤 慶北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전통건축의 형태분석에 있어서 선학들의 많은 연구활동이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평면의 공간형태에 관한 고찰과 배치계획에서 부터 적용되어지는 사회 문화적인 근간을 이루는 배경사상에 대한 고찰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활동들에서 알 수 있듯이 건축형태는 시간과 공간을 함께 영유하는 시·공의 개념으로 분석되어져야 한다. 건축형태는 그것이 존재하는 자체의 '존재형태'와 시간과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지각형태'로 볼 수 있다. 건축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상관성(중첩, 방향, 비례, 반복, 통일, 리듬 등)에 의해 건축의 '지각형태'가 달라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건축의 '지각형태'가 시간과 공간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분석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방법 및 범위를 정하여 진행방향을 논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전통건축이 시지각되는 형태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 이론으로 형태의 개략적인 개념과 시각과 형태지각, 거리와의 관계를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전통건축이 가지는 형태를 사상적 배경을 근간으로 하여 '존재형태'와 '지각형태'로 분리하였다. 또한 건축의 구성요소인 공간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고있는 중정의 시지각적 외부공간에 대해 논술하고 하였다. 제4장에서는 전통건축의 사례들을 45개소를 지정하여 중정크기와 건축물크기와의 상관성을 통계학적 분석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시점의 거리에 따른 시지각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이 분석 정리하였다. 1) 전통건축의 배치형태는 사상적인 배경에 의한 가람배치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공간의 성격에 따라 시지각 되는 형태를 달리하여 공간의 극적인 변화를 의도하는 배치계획도 고려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전통건축의 입면형태는 삼분지법에 의해 구성되며 이들 각 구성 요소들이 목적 공간형태를 결정짓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3) 목적공간에서 대상물이 시지각 되는 형태는 시점에 따라서 지각 형태가 달라지며 대상물의 각 구성요소와 높은 상관계수를 가진다. 4) 목적공간의 폐쇄도를 결정하는 세로장(D)은 대상물의 전체높이와 상관비례를 가지고 있으며, 총고(THL)와 구체고(HP), 건물고(TH)에 의해 중정의 크기가 결정되고 있다. 5) 목적공간을 시선축을 따라서 시점을 이동시켰을 때 지각되는 건물의 형태는 V2와 V3시점에서 전체윤곽이 지각되는 지점과 건물이 완전히 배경으로서만 지각되는 처마선과 양 귀기둥이 지각되는 지점이 되고 있으며, 이 지점(V2, V3)은 일정 그리드상의 지점과 일치함 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건축의 형태를 시지각적 측면에서 통계학을 통한 비례체계를 분석한 것으로서 전통건축의 형태가 사상적 배경만을 근간으로 한것이 아니라 시지각적인 조형요소 또한 형태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통건축의 각 구성요소들이 형태구성에 어느정도의 상관성을 가지며 적용되고 있는 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상자료의 수가 45개에 그치고 있으며 실측자료의 수량과 질적인 미비점에 의해 타당성에 대한 檢定이 미흡하였다. 한국전통건축의 형태가 외형의 단편적인 모사적 모방에 의한 계승이 아니라 시·공의 개념으로 '지각형태'의 분석에 의한 계승방안에 한 방안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there were a lot of researchs in the formal anaysis abou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most of them are concentrated in basic idea which consisting socio-cultural fundmentals applied in investigation and site plan about spatial form of plan. As representated in these investigating activities, architectural form should analysised in the context of time-space concept which posessed both time and space. Architectural form regarded as existential form whice existed in itself, and perceptional form which w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ime and position. Perceptional form of architecture is changed b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ng elements of architectural form(duplication, direction, propotion, repition, unity, rhythm etc.). With this point of view, in this paper analysied how perceptual form changed by time and space,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compositional elements. In chapter 1, aim, methoed, and scope of the study was established and direction of the process was descrived. In chapter 2, in order to analysis the type that visual-perception was started, relation between summary idea, vision and formar perception of the form was described. In chapter 3, the form of traditional architecture sperated as existional form and perceptional form based on ideological background. And in space as architectural elements, visually perceived exterior space of court which was subject to analysis was described. In chapter 4, 45 example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was chosen, and the relation between size of court and building through statistical methoed and content of visua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visual point was anlysised. The results of this studie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siting type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type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background was most frequently appealed, but the site plan which intended dramatic change of the space by varing visual perceptioned form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was also reflected. 2) The elevation of trditional architecture consisted of trisect method, and each of those element of composition was played the role of deciding spatial form of object. 3) In the space of object, perceptual form was differetiated in accordance with form which objects were visually perceived, and it had closely related with each elements of composition. 4) D, detemining the rate of closure had correlational ratio with total hight of object, and the size of court determined by THL, HP, and TH.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sis the form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e light of visual perception by statics through use proportional system. The form of traditional architecture was not only based on ideological background, but visually perceived plastic elements also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formal composition, and how each compositional elements had related with formal composition and how. applied in it. However, because the number of example was limited just 45, and the quantity and guality of actual survey was insufficient, the verification about propriety was lacked. The form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should successed in current Korean architecture not by supeficial imitation, but by analysis about perceptional form as a time-space concept.

      •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생들의 의식변화

        조윤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제1기, 제2기, 제3기의 신학춘추를 통하여 신학생들의 의식의 흐름과 관심, 행동들을 살펴보았다. 신학적 관심으로 제1기에서는 현대신학에 대한 관심을 보았고 제2기에서는 성령운동에 대한 관심, 고등비평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응전 등을, 제3기에서는 민중신학, 토착화 신학, 통일신학 등의 발전을 볼 수 있었다. 목회적 관심은 제1기와 제2기에서 농촌목회에 주로 관심을 보였는데 제3기에 이르러 산업선교 빈민선교로 크게 확대되고 여성과 기타 다양한 목회 분야로 넓어졌다. 사회적 관심, 학생운동은 민주주의 차원에서는 3선 개헌반대에서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져 나가고 민족의 차원에서는 한일회담반대에서 시작하여 반외세, 자주적 통일 운동으로 발전해 나갔다. 또한 학내에서 여러 진통 가운데 학원 민주화를 위한 움직임들을 볼 수 있었다. 학교발전과정으로는 자립을 거쳐 기타 연구소, 제반 시설을 갖추어 가며 세계적인 신학교로 발돋움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 연구를 위한 참고로 제4기의 내용을 약술하자면 민중신학에 대한 관심은 저조해지고 생태신학 영성신학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통일 논의는 소련이 해체되고 기타 요인 등으로 북한 경제가 붕괴되면서 점점 힘을 잃어간다. 95년 희년에 맞추어 잠깐 동안 다시 관심이 상승하지만 88년에 보였던 큰 관심에 미치지는 못한다. 이에 따라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도 바뀌어 간다. 제 3기에 이르러 제1,2기의 적대적 시각이 동지적 시각으로 바뀌었는데 제4기에서는 다시 북한 정권을 적대적인 시각으로 바라봄과 동시에 북한 인민을 연민의 시각으로 바라보게 된다. 이에 따라 북한의 실상을 바로 알자는 움직임이 있다. 80년대 낭만적 시각에 대한 부정과 동시에 북한의 전제 정치는 세계 정치 경제 변화로 인한 필연적인 변화였다는 소극적인 시각도 보인다. 목회적 관심에서는 농촌목회 및 산업선교에 대한 관심과 소외된 자들에 대한 관심이 크게 줄어든다. 동시에 대형교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도 한다. 특히 장신원보는 신대원 중심이 되다보니 목회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기사를 다루면서 실제적인 목회 현장을 많이 다루게 된다. 현장 탐방이라는 이름으로 대형교회 목회자들을 찾기도 하고 사경회 강사를 인터뷰하는 코너가 정기적으로 실리게 된다. 한 편 정원이 큰 폭으로 늘어 목회자 수급 차질을 빚어 졸업생들 진로 고민이 많이 실리기도 한다. 한 편 90년대로 넘어왔던 과제인, 여성 안수가 실현이 된다. 여성 안수 실현 전후에 여성 안수에 관한 기사들이 집중적으로 실리는데 이를 보아 신학춘추가 이를 위한 여론 선도에 앞장섰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 목회적 관심은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다. 학생 운동은 사회문제보다 학내 문제에 집중한다. 학교이전반대가 가장 큰 관심사가 된다. 이와 관련해 징계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이에 불복하는 운동들이 전개된다. 학교가 지금의 터를 유지하게 된 데에는 그들의 희생이 컸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언론자율화 문제가 급부상한다. 정부의 시책과 학교 당국의 입장에 따라 신학춘추가 휴간과 복간을 거듭하면서 언론자율화가 화두로 등장한다. 학교 외적인 운동에서는 전국적으로 학생조직이 완성되어가면서 정부와 부딪치게 되는데 결국 97년 한총련 출범식 사태를 맞딱뜨리게 된다. 이후 학생운동은 점점 쇠락하게 된다. 학교는 예배당과 본관 등을 건축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어 간다. 여러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기타 연대 사업 등으로 외연을 넓혀간다. 서론에서 밝혔듯이 신학춘추가 학생들의 모든 생각을 담는 것은 불가능하고 이 연구도 마찬가지로 신학춘추의 모든 기사를 담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 다만 지나온 역사의 한 흐름을 읽을 뿐이다. 지금까지 본 신학춘추는 단지 교회와 학교의 틀 안에만 머무르지 않았고 시대와 함께 호흡하며 소외된 이들을 품으려 했다. 그리고 주어진 사실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와 신학, 나라와 사회에 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거창하게 말하자면 역사의 관찰자일 뿐 아니라 역사의 참여자였던 것이다. 현재 신학춘추의 기치는 ‘세기와 세대를 잇는 신학춘추’이다. 신학춘추는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겠다.

      • 金南祚 시 연구

        조윤 조선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Poet KIM NAM-JO started her works in 1950s and searched the subject of love, presenting essential question of the existence, through out a half century of her life as a poet. The transfiguration of KIM NAM-JO's poetry was connected from life through to hope and established personal poetic world in Korean modern poetic history. From the 1st collection poems to the 3th collection pomes 『A tree and a wind』 which made public in 1950 The specific character of her poetry made a man current to sing poem for life. She song sticky life in the destruction, terrible mental confusion and anxiety after korean war. Longing · thirsty, the subject of love which was shown in the 4th collection poems 『』『The flag of passions』 was song constantly to the 10th collection poems 『The light and the silence』. And her poetry hint love and relife. She song amicable settlement and peace to the latest collection poems 『The wind baptism』, 『The hope study』. Such change of the poet world is a product of the orgony for relief and self-recognition Her research of the life, love, hope are worth that the people who live in difficult history has been given a faint impression and hope.

      •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인지기능상의 특이성

        조윤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피해의 경험과 인지기능 및 실행기능, 폭력에 대한 암묵적인 태도와 주의간섭 및 편향에 대한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에 연구 대상자로는 가정폭력의 경험이 있는 피학대여성 20명과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없는 여성 24명을 대상으로 진행이 되었다. 측정도구로는 가정폭력의 피해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하 PTSD)을 측정하기 위해 IES-R-K를 사용해 PTSD의 총점과 4가지 하위요인을 측정하였다. 또한, 인지기능 및 실행기능 등의 전두엽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를 이용하였으며 외현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폭력에 대한 암묵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암묵적 연합 검사(IAT)를 이용했다. 마지막으로 정서의 간섭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스트룹 과제를 변형한 정서 스트룹 과제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피학대여성의 모두 신체적 학대 뿐만 아니라 정서적, 성적, 경제적 학대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PTSD와 인지기능, 실행기능의 저하, 그리고 암묵적 태도와 어느 정도 연결이 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대 기간이 길수록 인지기능 상의 문제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피학대경험이 신체적 피해와 더불어 심인성장애, 인지기능 장애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피학대여성은 일반여성과는 다른 인지의 특이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로 인해 학대 상황에서의 올바른 판단능력이 다소 부족하고 왜곡이 나타날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피학대여성의 뇌 손상,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재고해 볼 수 있을 것이며, 가정폭력사건을 인식할 때 특이성에 대해서 간과하지 않고 제대로 된 인식을 가능케 해 제 2차 피해가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실무자로 하여금 법 제도와 집행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며 피학대 여성의 입장서 사건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는데 주요한 의미를 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