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원지의 효능 연구

        조윤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원지의 효능 연구 조윤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한의학전공 지도교수: 류재환, 맹성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는 극도의 스트레스성 경험 이후 지속적인 고통과 공포감을 느끼며,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질환으로 현재 심각한 문제로 알려져 있다. 다른 스트레스성 질환과는 달리 PTSD는 원인규명이 명확하여, 공포가 형성되고 소거되는 과정에서 공포기억의 응고와 재응고를 억제, 공포기억의 소거를 촉진, 공포기억의 재설립 또는 재생억제를 통해 공포기억을 경감하거나 소거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으로 다뤄진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신경과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약물치료와 정신치료요법이 사용되어왔고 비교적 안전하게 병행 가능한 약물개발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으나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약물은 미비한 상황이여 동서의학분야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원지는 동양의학에서 신경계를 안정시키는 약물로써, 현대의학에서는 신경보호효과, 학습능력 개선 효과, 항우울〮•항불안 효과제로 사용되어진다. 특히 PTSD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과 관련된 행동학적 변화들을 감소시킨 보고는 원지가 공포감정과 관련된 스트레스성 질환에 효과적인 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지가 공포기억의 형성을 감소시킨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원지가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조건화 공포 패러다임 이용하였으며, 무조건적 자극(전기충격)과 조건적 자극(백색소음)의 조건적 자극에 따라 형성된 공포기억 형성기전에서 기억의 응고, 재응고, 소거, 재설립, 재생과정에 제어하는 원지의 효과를 단계별로 관찰하였다. 재응고 과정은, 맥락과 소리단서에 3분간 노출하여 생쥐의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공포기억의 소거 효과는, 소리단서에 30회 반복노출 하거나 맥락에 30분간 노출한 후 생쥐의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1회 전기충격으로 공포기억이 재생되어 발현이 되는 재설립 과정은, 30회의 조건적 자극으로 공포기억 소거 후 다른 맥락의 소리단서에 노출하여 측정하였다. 공포기억 형성기전의 과정별로 원지의 제어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단1회 원지투여로 진행된 맥락과 소리단서의 반복적 노출에 의한 공포기억의 재응고, 소거에 대한 원지의 제어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원지는 맥락과 소리단서의 반복적 노출에 의한 공포기억 소거를 촉진하지는 않았지만, 공포기억 소거 후 공포기억이 재설립 되거나 새 맥락에서 재생되어 발현되는 정도를 감소시켰다. 위의 결과에 따르면, 원지는 공포기억이 재응고되는 과정을 감소시키거나, 공포기억 소거를 촉진 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았지만, 공포기억이 재설립 되고 재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 이였다. 이러한 결과는, 원지가 PTSD로 인한 기억의 흔적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여 공포기억이 재생되어 발현되는 것을 억제하며, 공포가 다시 재설립 되고 재생되는 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치료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서 정확한 투여 시점을 찾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고, 기존의 다른 치료들과 병행하여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천연약재임에 의의가 있다.

      • TOXPO : TOXicogenomics knowledgebase for inferring toxicity based on POlymorphism

        조윤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many state-of-the-art omics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o systems toxicology research because evaluation of toxicity in pre-clinical trials is a big issue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Now, genetic polymorphisms are also considered in systems toxicology because polymorphism information can be used to explain individual-specific toxicity and/or side effects. However, in spite of its importance, no well-organized database for individual toxicity has been reported to date. To address this issue, we first extracted toxicity-related human gene information from the CTD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and then, using comparative genomics techniques and retrieving information from animal databases, we gathered the corresponding genes from the mouse and rat. The CTD, dbSNP, RGD (Rat Genome Database), MGI (Mouse Genome Informatics), NHGRI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JMDBASE (Japan Metabolic Disease Database) and GAD (Genetic Association Database) were used as original information sources. The dbSNP was used as a major polymorphism data source, and other related databases were also used to find disease- and/or toxicity-related SNPs. The MS-SQL server 2008 was used as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ASP was used to construct a database-web interface. The result of our efforts is TOXPO (TOXicogenomics knowledgebase for inferring toxicity based on POlymorphism), the first database managing toxicogenomics information based on genomic variation. This database is freely available on website http://163.180.41.43/toxpo. 최근, 최신의 오믹스(omics) 기술이 시스템 독성학 (systems toxicology) 연구에 응용되고 있다. 왜냐하면 비임상 과정에서 독성을 측정하는 것이 제약산업에서 큰 이슈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전체 다형성(genetic polymorphism) 정보가 개인에 따른 특정 독성, 또는 약에 의한 부작용 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이유로 시스템 독성학에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개인별 독성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슈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CTD)에서 독성 관련 인간 유전자 정보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나서 동물 관련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또 비교 유전체학 기술을 이용하여mouse와 rat에서 인간의 독성 관련 유전자와 상응하는 유전자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유전자와 단일염기다형성, 질병관련 유전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CTD(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dbSNP, RGD(Rat Genome Database), MGI(Mouse Genome Informatics), NHGRI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JMDBase(Japan Metabolic Disease Database), 27 GAD(Genetic Association Database)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근원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단일염기다형성정보는 NCBI에서 제공하는 dbSNP을 주로 이용하였고, 또 다른 SNP관련 데이터베이스들은 SNP과 관련된 질병 또는 독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으로는 MS-SQL server 2008을 사용했고, 데이터베이스와 웹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데는 ASP언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TOXPO(TOXicogenomics Knowledgebase for inferring toxicity based on POlymorphism), 유전체 변이(genomic variation)에 기초한 독성유전체학 정보를 제공하는 첫 번째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게 되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이용가능하며 웹 사이트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163.180.41.43/toxpo

      • 동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읽기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윤주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utilizing the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on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3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in the first year of special middle school in D city were tested 16 times.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used across subjects for the reading ability measurement and the ex ante and ex post analysis for the reading attitude measurement.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reading guidance through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reading fluency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ents were motivated by the various pictures and voices, and they could realize and correct their own reading errors on their own by listening to their voice recordings during the reading process. Secondly, the reading guidance through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When filling in the blanks and finding the correct sentences which could easily be bor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smart device that promptly shows the result of touching the screen with a finger helped keep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irdly, the reading guidance through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attitud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arousing the students' interest with the smart device applications that utilize many senses such as sight, hearing, movement, etc. a positive effect was brought on their reading attitude. Therefore, the reading activity that utilizes the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is an effective activity which not only improves reading 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also brings a positive change in their reading attitude.

      • 초등학생의 분노 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과 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조윤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and to investig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on the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To achieve this purpos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ing model. At first, target population was selected the middle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because in that period children's basic emotions were developed. And after target population analysis, need analysis was conducted at 93 fourth graders in the T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as a result of task analysis through pre-existing anger, school adjustment, forgiveness counseling studies, program's character, domain, goal were se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has preventive character, is to improve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by taking part in a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At the step of program plan, program design criteria was set and selected an appraisal question and assessment tool for investigating effects of the program. The assessment tool were Anger Control Scale(Park Mi Kyeung, 2009), School Adjustment Scale(Yun Jung Nam, 2007). Also, motivation strategies of games using(that were known to become friendly with friend), demonstrations, videos using, and program schedule were planned. At the step of program development, program contents and guides were set and producted 12 program sessions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analysis step and pre-existing forgiveness, anger, school adjustment studies. Then, 7 sessions of all 12 sessions were pre-implemented for program formative evaluation and fixed the content and managing ways based on observation of the prep-sessions. At the step of implementation, 52 fourth grade students in T elementary school were measured on the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hen, 26 were placed i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26 children were placed in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2 sessions of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6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I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I-STATistics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opinion documents for each term, opinion documents of children after the program, and counselor's observation were used. Since control group's quality were same to the experimental group as the result of independent t-test, independent t-test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post-inspection, too.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turned out to make significant change in Satisfaction With Anger Control Scale, School Adjustment Scale Affect(p<0.001, p<0.01, p<0.05). As these results, it's proved that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by increasing each sub-factors' scor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meaningful that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to be proper to children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Also this research was important that its target was the middle grader of elementary school known to develop their basic emotions. The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nother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be developed depending on various counselling domains and ages, and be modified this program for another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domains and another target pop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분노 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체제적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을 기본적인 정서가 거의 발달하고 자율적인 도덕성 단계에 접어드는 시기인 초등학교 중학년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중학년에 대한 대상 분석을 실시한 후 T초등학교 4학년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와 분노 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 관련 과제 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목표를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예방적 성격을 가지며, 초등학생으로 하여금 대인관계에서의 상처와 갈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반응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반응으로 나아가는 용서 경험을 통해 다양한 갈등상황에서 분노 감정을 억누르거나 과도하게 표출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분노 조절 능력을 신장시키고, 더 나아가 학교생활 영역에서 적응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노 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의 설계 준거를 설정하고, 프로그램 평가지와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전, 사후검사 도구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전, 사후검사로는 Spielberger 등이 제작한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1988)를 전겸구 등(1996)이 한국의 문화적․언어적 맥락을 고려하여 번안하고, 박미경(2009)이 초등학생에 맞게 수정한 분노 조절 능력 검사와 송미원(1999)의 ‘학교생활 적응검사’를 참고로 윤정남(2007)이 재구성한 학교생활 적응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과정에의 집중 및 적극적인 참여를 높이기 위한 동기 유발 전략을 수립하고, 하위 활동의 논리적 계열성과 집단의 역동, 아동의 흥미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진행 순서를 구성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및 지침서를 구성하였다. 먼저 예비 프로그램을 이론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고 수정․보완한 후, 일반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와 용서상담, 분노조절, 학교생활 적응, 교과연계 상담 프로그램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40분 단위,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예비 프로그램 평가 단계에서는 T초등학교 2학년 아동 28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로그램 12회기 중 7회기를 실시하여 평가한 뒤 수정․보완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T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분노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능력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 집단으로, 나머지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6주 동안 12회기의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평가 단계에서는 검사 도구를 이용한 성취도 평가와 연구자의 관찰과 소감문을 통한 반응 평가가 이루어졌다. 먼저 집단 간 사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분노조절능력과 학교생활 적응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노조절능력과 학교생활 적응능력 사후검사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분노조절능력 하위 요인인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조절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p < 0.001, p < 0.01, p < 0.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 적응능력 하위 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차이(p < 0.001, p <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은 분노조절능력과 학교생활 적응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분노조절능력과 그 하위요인인 분노 억제, 분노 표출을 낮추고, 분노 조절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학교생활 적응능력과 그 하위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면에서의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급을 단위로 정규수업시간 중에 교과와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학급상담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예방과 발달의 학교상담 목적에 맞는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 최근 교육 동향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간에게 있는 최선의 장점을 기르고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는 것이 여러 가지 문제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을 경험적으로 지지하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 및 상담 영역에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연구들이 더욱 필요하다.

      • 생산적 활동이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요구-조절-지지 모델의 적용

        조윤주 연세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임금 노동, 자원 봉사, 손자녀 양육과 같은 생산적 활동의 유형에 따라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과 요구-조절-지지라는 활동 관련 변인들에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이들의 주관적 안녕감을 설명하는 변인은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며 생산적 활동에 종사하는 60세 이상의 여성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 조사하였다. 생산적 활동의 요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Karasek(1979)의 ‘직무 내용 질문지(Job Content Questionnaire: JCQ)’를, 활동에 대한 조절 정도는 Wall, Jackson, Mullarkey와 Parker(1996)의 ‘직무 조절 척도(Measure of Job Control)'를 사용하였다. 활동에 대한 가족의 지지 정도는 King, Mattimore, King과 Adams(1995)가 개발한 ‘근로자를 위한 가족 지지 척도(Family Support Inventory for Worker: FSIW)’와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척도’를 이용하였다.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은 Ryff(1989)의 ‘심리적 긍정적 기능 척도(Psychological Positive Functioning)’로 측정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12.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과 활동의 범주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 표준 편차, 백분율과 빈도를 산출하였다. 생산적 활동의 유형에 따라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과 활동 관련 변인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활동 관련 변인과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Pearson의 적률 상관 계수를 산출하였고,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설명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인, 활동 관련 변인 등을 포함하여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생산적 활동의 유형에 따라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어서 자원 봉사를 하는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손자녀 양육 여성 노인, 유임금 노동 여성 노인의 순으로 나타났다.둘째, 생산적 활동의 유형에 따라 여성 노인이 참여하는 활동의 요구 정도, 조절 정도, 지지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활동의 요구 정도는 유임금 노동과 손자녀 양육이 자원 봉사보다 높았다. 활동에 대한 조절 정도는 유임금 노동을 하는 여성 노인이 손자녀를 양육하는 여성 노인이나 자원 봉사를 하는 여성 노인보다 높았다. 활동에 대한 가족의 지지는 손자녀 양육 여성 노인이 자원 봉사 여성 노인과 유임금 노동 여성 노인보다 더 많이 받았다.셋째, 활동의 요구 정도, 조절 정도, 지지 정도와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는 유임금 노동 집단, 자원 봉사 집단, 손자녀 양육 집단 모두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활동의 요구 정도는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 관계를 보여, 활동의 요구 정도가 높을수록,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은 낮았다. 반면 활동의 조절 정도와 지지 정도는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 관계를 보여, 활동에 대한 조절 정도가 높을수록, 활동에 대한 가족의 지지 정도가 많을수록,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높았다.넷째,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설명하는 변인은 유임금 노동 집단의 경우 교육 수준과 활동의 요구 정도였다. 즉,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활동의 요구 정도가 낮을수록, 유임금 노동을 하는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높았다. 자원 봉사 집단은 활동에 대한 만족도, 활동의 요구 정도, 활동에 대한 조절 정도, 활동에 대한 지지 정도가 유의한 변인이었다.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활동의 요구 정도가 낮을수록, 활동을 조절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활동에 대해 가족으로부터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자원 봉사에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손자녀를 양육하는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배우자 유무, 총 가계 소득, 활동에 대한 금전적 보상, 활동에 대한 조절 정도와 활동에 대한 가족의 지지 정도가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하면 배우자가 있고, 총 가계 소득이 높을수록, 활동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이 많을수록, 여성 노인이 활동을 조절할 수 있는 정도가 높을수록, 가족으로부터 활동에 대해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손자녀를 양육하는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높았다.본 연구는 생산적 활동이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활동의 ‘요구-조절-지지 모델’을 적용하였다. 활동의 요구 정도는 개인의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절 정도와 지지 정도는 안녕감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모델의 가설에 대하여 세 가지 활동 유형 모두에서 요구 정도와 조절 정도, 지지 정도가 공통되게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로 추출된 것은 아니었으나 대체로 지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유임금 노동 집단의 경우는 활동의 요구 정도가 낮을수록,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높았다. 자원 봉사 집단은 활동의 요구 정도가 낮을수록, 조절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활동에 대한 가족의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높았다. 손자녀 양육 집단은 활동의 조절 정도가 높을수록, 활동에 대한 가족의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가정의 자녀양육문제에 관한 연구-모자가정의 경제적 빈곤의 법적 구제방안을 중심으로-

        조윤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해 1990년대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이혼율이 급증하게 되었다. 이혼 후 자녀의 양육을 맡게 된 부모(특히 어머니)는 수입의 감소로 인한 경제적 곤란과 동시에 자녀의 단독양육에서 오는 이중의 부담을 겪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혼 후의 변화된 환경에 미처 적응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자녀의 양육자가 겪게 되는 이러한 종류의 어려움은 결국 고스란히 자녀의 피해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이 경우에 자녀는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정서적 불안과 경제적 빈곤을 동시에 경험하게 된다. 이혼 후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부모(예를 들어 아버지)가 충분한 양육비를 지급하는 경우에는 경제적 어려움이 덜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때에는 양육자가 스스로 생활비를 마련해야만 하는 상황을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혼가정 자녀의 복리를 생각한다면 이혼가정을 경제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는 지원수단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경제적 안정은 이혼가정에서 자녀가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한 필요불가결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먼저 개인의 선택에 의한 이혼이라는 결정으로 한부모 가정이 되었으므로, 개인의 양육의무의 부과와 경제적 능력이 있음에도 고의로 의무를 지키지 않아 자녀의 복지가 위태로워진 때에는 법적 구제절차에 의해 책임을 강제할 수 있는 정책과 입법이 필요하다. 양육비는 이혼협의의 협상소재가 되어서도 안 되고 감정적인 이유로 자녀에게 양육비 지급이 거절되면 안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부양의무자가 경제적 능력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지역사회와 국가가 그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이혼가정이 직면하게 되는 이러한 문제는 당사자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이혼에 의해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꼭 필요한 양육비를 강제이행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하여 입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부모 가정이 흔히 겪게 되는 자녀양육의 문제를 사회전체의 책임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해결책을 실시하고 있는 선진국들은 이미 기준양육비를 제시하고, 양육비 전담 행정기관을 설립하고 양육비지급의무 불이행시 강력한 이행확보수단을 마련하는 등 국가에서 적극적인 관여가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양육비지급의무자에게 1차적인 책임을 지우면서 양육비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적기관이 양육비를 선급하고, 사후에 양육비지급의무자에게 양육비를 구상함으로써 국가에서 양육비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 이처럼 선진국의 예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양육비 이행확보와 복지제도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 시에 자녀양육비 등에 관하여 상담할 수 있는 국가의 행정기관을 마련하여 이혼당사자들이 자녀양육비에 관한 결과에 대해 합의할 수 있는 기회(이혼숙려제도)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양육비에 관하여 간편하게 집행권원을 취득할 수 있는 양육선급제도의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 이것은 양육비를 필요로 하는 자녀에게 신속하게 생존권을 보장하고, 국가의 후견적 기능, 즉 사회보장기능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셋째, 선진국들에서 시행하고 있는 양육비 결정제도인 기준양육비를 제도화하여 일관성이 부족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현재의 양육비결정의 문제점을 해소하여야 한다. 이것은 양육비 합의시 합의기준이 없어 자녀양육비가 제때에 제대로 지급되지 못하는 원인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넷째, 한부모 가정을 위한 전담행정기관의 활성화로 경제적 능력이 없는 한부모 가정에게 양육을 하지 않는 부양자로부터 양육비의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복지서비스의 내용으로는 경제적 자립기회 확대와 교육지원체계 강화, 주거보장 강화, 의료보장체계 강화가 있다.

      • 비행 및 일탈 예방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현황 및 향후 적용방안 조사

        조윤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행 및 일탈 예방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현황과 관련 종사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발전을 위한 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비행 및 일탈 예방의 필요성이 있는 위기 청소년과 관련한 기관의 담당자와 위기 청소년 대상의 음악치료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사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자료 110건, 치료사 자료 75건, 총 185건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첫째, 각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의견을 조사하고, 둘째, 음악치료사를 대상 향후 위기 청소년 대상의 음악치료 실행과 발전 방향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 청소년 관련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률의 현황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으며,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기대 및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를 시행한다고 응답한 기관과 시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기관에서 향후 위기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 기대효과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사들은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지만, 대상군에 대한 낮은 이해도가 나타나며, 위기 청소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기관에서의 음악치료는 아직 음악치료사들에게도 생소한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치료사들은 대상군의 특성에 맞는 음악치료 프로그램 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향후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적용방안 제시와 관련하여 기관과 음악치료사 모두 위기 청소년의 다양한 위험 요인 중 가족적 요인을 크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의 어려움에 대해 치료사와 기관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응답이 나타났으나, 향후 위기청소년 대상의 음악치료 개선 및 필요사항과 관련한 문항과 치료사의 중요 역량과 관련한 질문에서는 기관과 치료사의 응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 및 일탈 예방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 분야의 홍보 및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며,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 적용 시, 기관과 음악치료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질적으로 고려할 점에 대해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and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experts who directly work for at-risk adolescents who need supporting to prevent them from delinquency and deviation. Furthermore, the research results can suggest more practical and explicit methods to improve the music therapy field. The study targets were the experts in institutions and the experienced music therapists at front whose main responsibilities is to develop and implement strategies to support at-risk adolescents. A total of 185 cases were analyzed including 110 cases from institutions and 75 cases from music therapists. The study methods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opinions in the institutions as a first step. As a second step, holistic opinions from music therapist were collected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music therapy.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execution rate of music therapy in institutions for at-risk adolescents was very low in overall. The expectations and awareness of music therapy for them were low as well.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ow institutions perceived the beneficial effects of music therapy for at-risk adolescents depending on whether each institution used the music therapy or not. (3) Unlike the fact that the institutions directly related to at-risk adolescents were still unfamiliar with music therapy, music therapists showed high awareness for its need even though they didn’t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However, they strongly appealed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music therapy program for the subjects. (4) Both the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considered that family is the most critical that affects to the subjects among the various factors.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difficulties in executing music therapy between the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m in the specific questions such as music therapy improvement, its needs, and therapists’ skills. The present study results can raise public awareness and provide program development for at-risk adolescents who need supporting to prevent them from delinquency and deviation. And also it can suggest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that need to be taken account by applying the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valuable opin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