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Identification of disease biomarkers and screening of olfactory receptors for the biomarker detection

        조상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systems, the premature mortality rate due to disease h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lethality from some incurable diseases including cancer is still high. Because it is difficult to feel conscious symptoms before the disease develops to a late stage, and the existing diagnosis method is inaccessible due to the invasive method and cost of examination. Due to this reason, the latest disease diagnosis technology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accessibility, and in particular, the need for non-invasive and economic method is emerging. As a typical example, the technology for diagnosing a disease by detecting a specif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enables simple diagnosis without pain because it can detect the signal of disease from exhaled breath, sweat, urine, and saliva as well as blood and body fluids. In particular, the bioelectronic sensor has demonstrated excellent selectivity and sensitivity by combining a primary transducer such as an olfactory receptor with a secondary transducer containing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such as carbon nanotubes or graphen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identification of disease biomarkers and screen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olfactory receptors for the detection of biomarkers that are essential for development of bioeletronic sensor. The selected diseases for study are lung cancer, tuberculosis, and gastric cancer. First, the discovery of biomarkers for lung cancer and the screening of human olfactory receptors were performed. The lung cancer cell line and the normal lung cell line were cultured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headspace gas by GC / M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2-ethyl-1-hexanol, which is more frequently generated in lung cancer cell lines, was identified. In addition, human olfactory receptors capable of detecting this biomarker were screened using a dual-glo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It was confirmed that the identified olfactory receptor sensitively and selectively detects the lung cancer biomarker, and then conducted olfactory nanovesicle gene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use as a primary transducer of the bioelectronic sensor in the further study. In the second study, the screening of human olfactory receptors were carried out for identification of olfactory receptor capable of detecting 5 tuberculosis biomarkers found in urine [95]. The screening was conducted by transfectng the human olfactory receptor genes and the luciferase reporter gene into the HEK293 cell line to confirm the responsivity to the tuberculosis biomarkers. As a result, olfactory receptors recognizing each tuberculosis biomarker were selected, and their responsivity and selectivity were also analyzed. Third, a number of exhaled breath samples of gastric cancer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GC/MS. As a result, butyl acid and propionic acid, which ar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und in relatively large amounts in the exhaled breath of gastric cancer patients,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fibers were used as a instruments of collecting and concentra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 completely analyze the biomarkers containing a very small amount in the exhaled breath sampl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elec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 biomarkers, we build a diagnostic model that distinguishes patients based on the amount of biomarkers in the exhaled breath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overall data, and their sensitivity and selectivity were calculated.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a primary transducer of a bioelectronic sensor that detects biomarkers included in exhaled breath, the responsivity and selectivity of 2 human olfactory receptors known to detect butyric acid and propionic acid were estimated. Development of disease diagnosis technology is an inevitable process for universal welfare and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Diagnostic methods targeting disease-specif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attracting attention in academia as a next-generation diagnostic technology, and are actively being studied all over the world. In this thesis, several disease-specif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ve been newly identified, and the human olfactory receptors capable of recognizing disease biomarkers were screened.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sensitive and selective bioelectronic sensor for disease diagnosis. 의료기술과 체계의 발달로 인해 질병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은 과거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암을 비롯한 일부 난치성 질병으로 인한 치사율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이는 질병이 치명적인 수준까지 발달하기 전에 자각증상을 느끼기 힘들다는 점과 기존의 검진 방법이 특유의 침습적인 방식과 검사 비용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이런 연유로 최신 질병 진단 기술은 접근성의 향상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비 침습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특이적인 휘발성 유기물질을 감지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은 피나 체액 뿐만 아니라 날숨, 땀, 소변, 침 등을 매개로 와병 여부를 파악할 수 있기에 고통이 수반되지 않는 간단한 진단을 가능케 한다. 특히, 바이오 전자 센서는 카본나노튜브나 그라핀 같은 나노 구조 반도체를 포함한 2차 변환기에 후각 수용체와 같은 1차 변환기를 결합하여 우수한 선택도와 민감도를 선보인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질병 진단용 바이오 전자 센서 제작을 위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질병 표지물질 선정과, 표지물질 탐지를 위한 후각 수용체 발굴 및 성능 평가이다.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질병은 폐암, 결핵, 그리고 위암이다. 먼저 폐암의 표지물질 발굴과 인간 후각 수용체 탐색이 수행되었다. 폐암 세포주와 정상 폐 세포주를 배양하여 두부공간의 가스 조성을 GC/MS로 비교하였고, 폐암 세포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물질 2-에틸헥산올을 특정하였다. 그리고 이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인간 후각 수용체를 이중발광 루시퍼레이즈 검정법을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발굴된 후각 수용체가 폐암 표지물질을 민감하고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바이오 전자 센서의 1차 소자로 사용하기 위한 후각 나노베시클 생산 및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소변에서 발견된 결핵 관련 5종의 휘발성 유기물질들을 감지할 수 있는 인간 후각 수용체를 탐색하였다. 탐색 과정은 HEK293 세포주에 인간 후각 수용체 유전자와 루시퍼레이즈 리포터 유전자를 형질도입하여 결핵 바이오마커들에 대한 반응성을 확인함으로써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각각의 결핵 바이오마커에 대한 후각 수용체가 선정되었으며, 그 반응성과 선택도 또한 분석되었다. 세번째로, 위암 환자와 건강한 사람의 날숨 샘플을 다수 채취하여 GC/MS 장비를 이용해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위암 환자에게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는 휘발성 유기물질인 뷰틸산과 프로피온산을 특정하였다. 특히, 날숨 샘플 내에 매우 적은 양이 포함된 표지물질을 빠짐없이 분석하기 위해 휘발성 유기물질 채취 및 농축 수단으로 고체 미세추출 (SPME) 섬유를 활용하였다. 선정한 휘발성 유기물질의 표지물질로서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전체 자료의 통계 분석 과정을 통해 날숨 내의 표지물질 포함량을 기준으로 환자 여부를 구분짓는 진단 모델을 구축하고 그 민감도와 선택도를 산출하였다. 추가적으로, 향후 진행할 날숨을 대상으로 한 위암 진단용 바이오 전자 센서 제작을 위해, 뷰틸산과 프로피온산을 감지한다고 알려진 인간 후각 수용체 2종의 반응성과 선택도를 분석하였다. 질병 진단기술 개발은 인류의 보편적 복지와 평균수명 연장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과정이다. 질병 특이적 휘발성 유기물질을 대상으로 삼는 진단 방식은 차세대 진단기술로써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세계 각지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가지 질병 특이적 휘발성 유기물질이 신규 발굴되었으며, 또한 기존에 알려진 질병 표지물질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진 후각 수용체를 탐색하고 그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연구 성과들이 민감하고 선택적인 질병 진단용 생체 소자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 한국인 성인 안면두개골의 형태적 분류와 특징 :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조상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raniofacial patterns in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and to compar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facial types. In order to get configuration's groupirss, standardized lateral and P-A cephalograms of 174 Korean adul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with seven angular, runiteen linear, four ratio, and two index measurements. Word's minimum variance cluster analysis was employeed to divide the sample into groups having similar craniofacial morphology, and thereafter, inductive statistics (t-test) was used to charactErize morphologic differences of the divided groups. And also, Pearson coiY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ssess correlation between the cranial dimensions and upper/lower anterior facial height (UAFH, LAFH) in each facial types for both male and fem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existed sexual dimorphism in most of variables except SN-FH angle, palatal plane angle, facial axis angle, facial index,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ratio and upper facial height ratio. 2. A brachycephalic headform with leptoprosopic facial form was appeared in male, and a mesocephalic headform (0.86~0.06) with leptoprosopic facial form (0.92~0.04) was exhibited in female. 3. Facial types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mesoprosopic facial type) and Group B (leptoprosopic facial type).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were as follows: a. Cranial measurements including index, angular and linear measurements were not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Group A and Group B in both sexes. B. Increased UAFH, LAFH, and upper/lower anterior dental heights were exhibited in Group Bs of both male and female. C. In both male and female, ramus height and mandible length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However, genial angle was found to be larger in Group B than group A. Therefore,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male and female were closely related to less favorable anatomic morphology of the mandible. 4. LAFH and UAFH showed no relationships with cranial dimensions in male and female.

      • 映畵속에 表現된 照明演出 技法에 關한 事禮硏究

        조상원 한성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실의 조명은 감정이 없기 때문에 우리의 존재와는 무관하다. 또 의미가 없기 때문에 우리 인간의 정신에 아무런 의미도 부여하지 않는 듯 하다. 우연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현실의 빛은 비구성적이고 그렇기 때문에 비선택적이다. 현실의 빛은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부각시키거나 지워버리려 하지 않고 사람과 사물을 비춘다. 간단히 말해, 현실의 빛은 의미없는 투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공간에 있어서 빛은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보이게 해주며, 질감과 모양, 색깔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해준다. 이것은 곧 절대적인 어둠으로부터 출발하였을때 빛은 창조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빛이 피사체의 모습을 변화시키며 공간의 분위기를 새로운 느낌으로 창조해 나가는 것이다. 사물의 선, 악, 아름다움과 추함, 따뜻함과 차가움 등은 조명에 의한 빛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다.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는 특성을 암시하며 시각자로 하여금 피사체의 본질을 왜곡시킬 수 있 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명으로 연출되는 빛의 다양한 느낌은 공간을 연출하는 주 요인일 뿐 아니라 우리 인간에게 심리적, 정신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요소이다. 이같은 공간에 있어서 빛이 영화에서 적용된 사례를 통한 분석으로 조명은 영화 공간구성의 중요한 요소로서만이 아니라 창조적인 작업자로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요소로 충분하다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에서 공간의 영역은 깊이의 효과와 입체감을 살려주는 빛에 의해 구획된다. 빛에 의해서 영화속의 공간이 함축되고 변형되며 사라지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영화공간의 조명 연출기법에 관한 사례분석을 함으로서 빛의 중요성과 창조성을 재인식시키고, 실내 공간디자인의 조명설계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공간의 빛에 대한 더 깊은 고찰을 함으로서 자기만의 창조적인 빛, 자신만의 그려 보일 수 있는 빛의 세계를 제시한다. Lightning in real life has nothing to do with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because it has no emotions. It seems it doesn't mean anything to the man's spirit because it doesn't have any meaning. If it's not generated by accident, the lightning in real life is not compositional but obligatory. In short, the light in our lives is mostly meaningless projection. However, within space, the lightning illuminates the world surrounding us, recognizing texture, shapes and colors. It means that the lightning can be a creator contrary to darkness. The lightning changes a shape of an object and creates spacial atmosphere in a new mood. Good and evil, beauty and ugly, warmth and coldness are created by lights of the lightning, The lightning can make viewers have distorted concept on an object different from its nature by just hinting a characteristic that's not actually exist. Likewise, various feelings of light produced by the lightning are not only major elements in creating a space, but also components of the space psy chologically and mentally influenced on human beings. With analysis on cases where the lightning has been applied in movies, it can be said that the lightning is not only a component in spacial composition in movies but also a creative element. Because of the reason, the spacial part in movies is divided by the light that emphasizes reality and dimensional feeling. The space in movies is implicated, transformed and vanish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creativity of the light again and to suggest a new way of lightning project in spacial interior design by analyzing cases of techniques of lightning production in movies. Furthermore, my own creative light and unique world of light would be presented by deeply examining the light in space.

      • Synthetic study of monobactam derived from 5(4H)-oxazolones utilizing MM2 calculations

        조상원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노박탐은 페니실린이나 세파계의 기존의 β-lactam계 항생제들이 갖는 내성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서 β-lactam계 항생제의 기본 탄소 골격만을 그 구조로 하는 광범위의 항생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옥사졸론과 이민을 이용한 모노박탐 유도체의 탄소골격의 효율적인 합성을 위한 반응 메카니즘, 합성법의 재현성과 최적 반응조건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치환체를 가진 모노박탐의 탄소골격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옥사졸론의 치환체의 종류에 따라 반응수율에 차이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반응의 재현성문제의 극복을 위하여 반응메카니즘을 검토하고, 모노박탐 유도체 생성은 옥사졸론의 케톤-엔올의 비율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기화합물, 생화합물, 그리고 고분자화합물의 형태 연구를 위한 강력하고 광범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분자역학계산을 도입하였다. 여러가지 치환체를 가진 옥사졸론의 케톤-엔올의 비를 알기 위하여 PC 분자 모델링 소프트웨어인 HyperChem (Release 4)를 이용하여 분자역학계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와 반응수율의 상관관계 해석에 의하여 모노박탐 유도체 생성은 옥사졸론의 케톤-엔올의 비율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한 반응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중간체의 비를 증가시킴으로서 효율적인 반응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Ongoing our research about efficient synthetic routes, for biologically active natural products, reaction mechanism and reproducible reaction conditions for synthesis of monobactam were investigated. We have proposed that 5(4H)-Oxazolones derived from amino acids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construction of carbon skeletons of monobactam derivatives through coupling reaction with imines. The preliminery results showed that yields of coupling reaction were inconsistent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oxazolones. Investigation of reactivity and structure relationship for coupling reaction showed that the resulting yield depended on the ratio of keto and enol tautomers of oxazolones which was calculated by popular commercial PC Molecular modeling software: HyperChem. Based on this result, several oxazolones were synthesized and submitted the coupling reaction to give rise desired monobactam in consistent and good yield.

      • 프론트홀을 위한 광-RF 기반 및 이더넷 기반 통신 시스템의 구현

        조상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C-RAN을 지원하는 프론트홀 기술 중 광-RF기반 시스템인 RoF(Radio over Fiber)와 이더넷기반 시스템인 RoE(Radio over Ethernet)을 구현하고 성능분석을 실행하였다. 최근 급증하는 트래픽증가로 인해 현재 C-RAN에서 사용 중인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는 전송용량의 한계가 있음이 명확하다. CPRI와 같은 디지털기반 전송방식이 아닌 아날로그기반의 RoF를 적용할 시 이를 극복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현재 실제로 사용되는 LTE신호를 구현하고 RoF시스템을 구현하여 전송 및 측정하였다. 특히 광변조에서 중요한 요소인 OMI를 변화하여 최적의 광파워를 제안하였다. 프론트홀에서 RoF와 달리 기존의 CPRI를 계속 사용하고 용량증대 및 네트워크화 하기위해 등장한 RoE는 저렴한 이더넷스위치를 사용하므로 각광받는 기술이다. 실험에서는 CPRI신호를 이용한 CoE(CPRI over Ethernet)를 구현하기 위해 RoE매퍼를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 중국과 북한의 경제특구 비교연구 : 심천경제특구 성공사례 분석을 통한 개성공업지구 성공전략 도출방안

        조상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주의국가의 경제특구 건설을 통한 경제건설이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진 중국 심천경제특구의 성공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북한 개성공업지구의 성공전략을 도출하였다. 심천경제특구는 이미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완성된 중국 경제 개혁개방정책의 핵심으로 개성공업지구와의 정책 및 여건 비교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결정 및 운영방안에 대한 근거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개성공업지구, 나아가 통일경제특구의 목표는 한반도의 통일경제 구축과 21세기 동북아 중심국가 도약을 위한 기반 마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한반도가 아시아 중심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정치적 역량 외에도 강력한 경제력이 전제되어야 하며, 개성공업지구 개발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따라서 개성공업지구의 역할과 의미를 연구분석함으로써 정책적 목표를 정립하고, 개성공업지구 성공을 위한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trategic approach to a special economic zone in North Korea focusing on its reform and opening. North Korea defined Najin-Sunbong area as an economic zone in November, 1991 and then so did Sinuiju in September, 2002. During the same year, Gaesung was also chosen as a free trade zone. Under the circumstance, it is assumed that North Korea aims at adopting the China's economic model that has been successful to develop DPRK's economy by opening the special economic zone while maintaining socialism. Therefore, the benchmarking of the China's developing project using a special economic zone would be helpful to complete the economic reforming project of North Korea. Especially the developing process of Shenzhen, China's special economic zone, has a lot of similarities with that of Gaesung, DPRK's special economic zone.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that have been done to extract successful factors from the economic reforming project in Shenzhen in order to apply for the developing program in Gaesung. So my thesis intends to adopt lessons from the economic boosting strategy in Shenzhen to guide the process of the reforming and opening project in Gaesung.

      • 육미지황탕 설문지 개발

        조상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Liuweidihuang decoc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herbs in oriental medicine. Principally, Liuweidihuang decoction has been widely used as replenishing yin and tonifying the kidneys herbal medicine for hundred years in Asian countries. Because of insufficiency in data, objective judgements are difficult in remedial effects by Liu wei di huang-tang. In order to make objectivity diagnose data, this research is developed.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make Liuweidihuang decoction Qustionnaire by the Delphi method and analyze the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Liuweidihuang decoction Qustionnaire as a diagnostic method. Methods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symptoms and signs for diagnose of Liuweidihuang decoction is studied by the Delphi method. And Participants of this study 200 patients collected in 11 OMD clinics. SPSS 15.0 for Window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 reliability analysis,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s 1. 32 Questionnaire selected by twice Delphi method. 2. 4 components and 10 items were select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rformed on about 32 items. 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odel fi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X2=46.088, p=.023, NFI=.945, NNFI=.967, RMSEA=.054, GFI=.958) Key Words: Liuweidihuang decoction,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