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W. A. Mozart의 Motette "Exsultate, jubilate"에 관한 연구

        조동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에서는 Mozart가 17세때 작곡한 성악곡 중에서 종교음악곡인 Motette “Exsultate, jubilate”를 연구, 분석하였다. 우선 이곡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곡의 작곡자인 Mozart의 생애와 음악세계를 살펴보고, Motette의 정의 및 Motette의 시대별 발달과정을 조사해 보았다. 연구, 분석은 화성과 형식을 중심으로 제 1 악장, 제 2 악장, 제 3 악장으로 나누어 각 악장의 중요부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곡은 3 악장의 형식으로, 종교음악곡인 Motette이지만 확실한 고전시대의 형식을 사용하고 뚜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Mozart의 어느 작품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 만큼 훌륭한 곡임을 발견했고, 이 곡을 통하여 고전양식의 기초를 엿볼수 있었다. In this thesis, I studied and analized a religious music Motette "Exsultate, jubilate" which is one of Vocal pieces that Mozart wrote at the age of 17. To help understand this music, I looked into the composer, Mozart's life, his musical world and studied the definition of the Motette and its develpoing steps of each period. The study and analysis are focused on harmony and formal structure, which I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analized the important parts of each. The result says this music is in three-movement formation and despite its religious origin. Motette features a clear classical form and structure, which made me assured that it is so brilliant and refined a music that it can rival with Mozart's any other music. Through this music I could see the foundation of the classical style.

      • 체제전환과 헌법제정절차 : 스페인, 헝가리,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중심으로

        조동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Classical theory on constitution-making and constitutional amendment, primarily based on Emmanuel-Joseph Sieyès and Carl Schmitt's works, sees constitution-making as original, indivisible, and unrestricted political act freed from preestablished constitutional restraints. The theory describes constitutional amendments, in contrast, as procedurally bound acts that can only be exercised within the scope of the existing constitution’s identity and continuity. While initiating institutions, decision-making and ratifying procedures can be constitutionally stipulated in the case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it has been understood that it is not the case for original constitution-making instances. However, it has often been suggested that convening a constituent assembly with sole mandate to draft and adopt the constitution is the most adequate method for generating democratic legitimacy worthy of constitution-making. German and French positivist school of constitutional law, who tried to expel the phenomenon of constitution-making from the scope of constitutional studies, appear to be in opposition to classical theory. But this may only be the other side of Schmittian understanding for it excludes original constitution-making from consideration for exactly the features that classical theory sees essential in the constitution-making act, such as originality and unlimitability. This may be one of the reasons why contemporary constitutional discourse tries to wrestle with the normative aspects of constitution-making, but these endeavors which try to sketch out the external or inherent constraints in constitution-making do fall short, for they tend to fail in grasping and including the moments of constitutionalism in the very modality of the constitution-making process. In this light, significant implications can be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tion-making procedures that took place in 1975-1978 Spain, 1989-2011 Hungary, and 1993-1996 South Africa, for these examples display features that differ fundamentally from the classical account. In these cases, transformations of the very legitimating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were carried out by the usage of the rules of change in the former constitutions accompanying certain degree of formal legal continuity. This does not fit the dichotomy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rdinarily attributed to amendment and constitution-making respectively. However, constitutional change by way of amending rules should not count as amendment if it goes beyond the formal, substantial scope of amending powers, for it would mean that the old and new constitutions do not share a common ground of validity. Therefore, they should be evaluated as constitution-making according to the modified criteria for differentiating amendment and constitution-making. The fact that interim constitutions were distinctively utilized in these cases is worth giving due attention. The Act of Political Reform in Spain, 1989 Constitution in Hungary, 1993 Interim Constitution in South Africa were all transitional constitutions that served as intermediary norms providing incomplete but workable order which secured some time to correct errors and build lasting constitutional compromise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monopolizing constitution-making body such as French style constituent assemblies in these multi-step constitution-making procedures using interim constitutions. Rather, through initial and interim stage, old and new Parliaments, and sometimes even the newly created constitutional courts took their part in turns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arriving at the final constitution. In other words, cooperation of multiple constitution- making bodies came to the fore, instead of the sovereign dictatorship of a constituent assembly.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se procedures suggest that categories such as continuity/rupture, limited/unlimited, bound/unbound, used to describe and distinguish constitution-making and constitutional amendment should be treated with much reservations. The approach promoted here which considers originality and derivativity as the only effective criteria in this matter could help avoid attributing traits only typical as essential features to each mode of generating constitutional norms. In other words, it cannot be ruled out that constitution-making may put on the properties which were often considered as belonging to constitutional amendments, such as certain legal continuity, procedural and substantial restraints, distribution of participating institutions etc. In short, constitution-making procedures, adopting constitutionalist principles into the very mode of producing constitutions, can be described as the integrated multi-step process that utilize former constitutions’s rules of change to create an interim constitutional order which provides the legal conditions of generating democratic legitimacy that in turn enable the adoption of the final constitution. 헌법제정과 헌법개정에 관한 고전적 헌법이론은 시에예스 – 슈미트 전통의 이해를 터잡아 헌법제정을 시원적이고 분할불가능하며 무제한적인 정치적, 사실적 행위로 보는 반면, 헌법개정은 헌법에 의해 창설된 권한이자 헌법의 동일성과 계속성의 범위 내에서 행사될 수 있는 헌법기속적 행위로 이해한다. 그 요건과 절차가 실정헌법의 규율하에 있는 헌법개정과 달리 헌법제정은 강제력 있는 실정헌법적 기속이 가능하지 않으며, 기존 헌법과 단절된 제헌의회가 독점적으로 헌법을 기초하는 것이 헌법제정에 걸맞은 정통성을 확보하는 전형적 방식이라는 것이 고전적 이해의 설명이다. 실증주의 헌법학은 법학적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이유로 헌법제정을 헌법학의 영역에서 배제하였으나, 헌법제정을 법적 성격이 배제된 정치적, 사실적 현상으로만 보았다는 점에서는 고전적 이론과 이해를 공유한다. 그러나 헌법제정이 법규범으로서의 헌법을 창설하는 행위인 한에서 그 규범적 차원에 대한 분석을 포기하기는 어렵다. 오늘날 헌법학에서 이러한 시도는 헌법제정의 외적, 내적 ‘한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역시 구체적 차원에서 헌법제정의 과정에 내재하는 입헌주의적 계기를 포착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체제전환을 배경으로 한 헌법창설절차이다. 고전적 헌법제정에 관한 이해가 18세기 이후 시민혁명의 특성들을 그 절차적 모델에 구현하고 있다면, 1975-78년 스페인, 1989-2011년 헝가리, 1993-1996년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같이 체제전환의 환경에서 발견되는 헌법창설절차들은 고전적 이해와 차별화되는 특성들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들 사례에서는 정통성원리 차원의 근본적 변화가 형식적ㆍ절차적 연속성에 의해 견인되었는데, 이는 기존 헌법과의 형식적ㆍ절차적 연속성을 헌법개정에, 단절과 불연속을 헌법제정에 귀속시키는 통념적 이해를 벗어난다. 그러나 개정유보조항을 활용하였음에도 개정권한의 형식적ㆍ실체적 수권범위를 현저히 일탈하였다면 새로운 헌법이 기존 헌법과 동일한 효력근거를 공유한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위 사례들은 교정된 헌법제정과 헌법개정에 관한 구별기준에 의할 때 헌법개정이 아닌 헌법제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이들 사례에서는 또한 과도헌법이 중점적으로 활용되었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스페인 「정치개혁에 관한 법률」, 헝가리 1989년 헌법, 남아프리카공화국 1993년 헌법은 모두 체제전환과정을 견인한 과도헌법으로서 단기간에 확정적인 헌법적 합의에 도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불완전하지만 잠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헌법질서를 제공하였고, 오류와 편향을 시정하면서 세부적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시한을 확보해 주었다. 과도헌법을 활용하여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체제전환 헌법제정절차에서 최종적이고 완전한 헌법을 단번에 완성하는 독점적 헌법제정기관은 찾기 어렵다. 오히려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모습은 최종헌법의 확정에 이르기까지 구헌법상의 의회와 과도헌법상의 의회가 순차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면서 절차에 참여하는 형태였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과정에서 헌법재판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즉, 주권적 독재를 구현하는 독점적 기관 대신 분산되고 다원화된 헌법제정기관들의 분업과 협업이 지배적인 특징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체제전환 헌법제정절차에서 나타나는 특성들은 연속/단절, 한계/무한계, 기속/무기속과 같은 범주들이 헌법제정과 헌법개정의 구별에 있어 이분법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경계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헌법적 효력의 파생성과 시원성을 기준으로 하는 최소주의적 관점은 단지 전형적인 것에 불과한 속성들이 헌법제정과 헌법개정의 구분에 있어 개념적 혼선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즉, 헌법제정은 기존 헌법의 변화의 규칙 활용, 절차적ㆍ실체적 기속, 관여 기관의 분산 등 헌법개정에만 귀속된다고 이해되었던 여러 절차적 특성들을 차용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완성된 헌법의 내용 뿐만 아니라 그 성립과정 자체에 권력분립과 헌법적 기속이라는 입헌주의적 장치를 도입한 체제전환 헌법제정절차는 기존 헌법의 자원들을 활용하여 최종헌법을 준비할 수 있는 잠정적 과도헌법을 창설하고, 이를 기반으로 민주적 정통성을 새로 확보한 의회가 과도헌법의 조건하에서 최종헌법을 창설하도록 하는 하나의 통합된 단계적 과정으로 집약될 수 있다.

      • SCR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Soot Blowing 방법에 대한 해석적 연구

        조동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선박 디젤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NOx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SCR 시스템에서 촉매층 표면에서의 soot 침적이 시스템 성능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soot를 제거하기 위해 선박용 SCR 시스템 내부에서 적용되는 soot blower의 설계를 위해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에는 실제 장치를 이용한 실험적 방법을 통한 해석 방법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시간적, 경제적 제약이 있으므로 그 대안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전산 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soot blower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50 kW 디젤엔진에서 장착되는 SCR 시스템의 촉매층을 실험대상으로 촉매층 표면 유동분포에 관한 전산 해석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soot blower 형태에 따라 기본형 soot blower와 spray형 soot blower이 제안되었으며 CFD 해석을 통해 최적의 soot blower형상을 결정하였다. 실험모델로 확인된 촉매층 입구 단면에서의 soot 입자의 제거속도는 3.3 m/sec ∼ 5.9 m/sec범위였는데 이를 통해 soot blower의 형상에 따라 soot의 제거효율을 계산하였다. 주어진 압축공기의 분사조건에서 기본형 soot blower의 경우 분사구 직경특성에 따라 촉매층 입구 단면에 도달하는 압축공기의 평균 속도는 2.9 m/sec ~ 7.1 m/sec가 얻어졌고, spray형 soot blower에서는 blower의 배치에 따라 촉매층 입구단면에서 얻어진 압축공기의 평균속도 범위는 22.3 m/sec ∼ 25.8 m/sec였다. 기본형 soot blower에 대해 1.5 mm, 2 mm, 2.5 mm 및 3 mm의 분사구 직경이 제안되었는데 이 중에서는 soot의 최대 제거효율은 44.4% ∼ 86.7%이 얻어졌고 spray형 soot blower에 대해 최대 제거효율은 80% ∼ 94.4%이 얻어졌다. 따라서 실제 적용하는 선박용 SCR 시스템 내 soot blower의 설치는 효과적이며 spray형 soot blower가 기본형 soot blower 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되었다. In the ship diesel engines, the soot which generated by heavy oil combustion was deposited on the catalytic converter causes the degradation of the system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the numerical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oot blower which is used for removing the soot on the catalytic converter. use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to evaluates the performance is most desired, because the restrict of time and research expense, instead of traditional experimental methods we use the computer to compute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soot blower. The catalytic converter assembled in the 350 KW diesel engine is used as the analysis object. Two types of soot blowing geometries, which have shapes of the basic and the spray types, were proposed and evaluated by the numerical method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the optimal velocity of removing soot on the catalyst layer is shown between 3.3 m/sec and 5.9 m/sec. Under the conditions of compressed air, for the basic type of soot blower, the average velocity of the compressed air on the inlet section of the catalytic converter was chosen with the range of 2.9 m/sec and 7.1 m/sec. For the spray type of soot blower, it was chosen with the range of 22.3 m/sec and 25.8 m/sec.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for the basic type of soot blower was 44.4% ~ 86.7% which is with 3 mm jet hole. For the spray basic type of soot blower,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was 80% ~ 94.4%. Through the comparison of soot removal efficiency, the soot blower which is assembled in ship diesel engine is useful, and the spray type soot blower is more active than basic type soot blower.

      • 초등학교 저학년의 효율적인 시창·청음 지도방안 연구

        조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It is very important basis for man to read and write in all the human activities. Reading and writing are also basic factors in all the activities of music. Kodaly said that it is as hard for a person with no ability to read music to achieve the goal of music education as it is for a person with no ability to read letters to understand civiliz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hat we teach all children to read and write music, develop their musical talent, and help them lead a creative and abundant life of music. We need to let young music learners recognize music and have musical insights. That is, we need to teach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If the systematic instruction of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is properly given to young learners between 8 and 10 years of age when they stand at the peak of their auditory sense, they may develop a sense of pitch although they do not have an inborn sense of absolute pitch. Also, it may help them have a good ear for music, which may lead them to understand music deeply, to refine their musical taste, and to build up a good charac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literature o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Its subjects were the second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These students are at the age when they can easily improve an auditory sense well and when they can benefit from the instruction i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Before instructing them i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we tested the subjects to gauge their musical level and to find the right instruction strategies. The test results showed quite a number of them are asked to learn the basic ideas of music which they should already have acquired. Without learning the basic ideas of music, they can not read a musical score and sing it, and listen to music and write it, so after learning the musical ideas and theory, they were asked to lear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through eight lesson plans. Although the subjects did not have enough basic knowledge of music,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them take an interest i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The study suggested useful lesson plans including the basic concepts of music. The basic concepts of music are what low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should learn with emphasis on the basic ideas of music such as rhythm, tune, harmony, dynamics, tempo, and tone, which are suggested in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The lesson plans consisted of explanation and activities to teach each idea designed by the researcher for every lesson. Most of all, the teacher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the successful instruction of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and make an effort to develop good lesson plans for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he eight lesson plans of music for low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as one effective way of mus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o constant, additional research o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in the future. 인간의 문화적인 활동에는 읽고 쓰는 일이 기초가 된다. 음악에 있어서 읽고 쓰는 것은 모든 음악활동의 기본이 된다. Kodaly는 글을 모르고 인류의 문명을 이해할 수 없듯이 독보력이 없는 음맹상태에서는 진정한 음악교육이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모든 어린이에게 음악을 읽고 쓸 수 있는 기초능력을 길러주어 음악성을 개발시키고 음악을 통해 창의적이고 풍부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음악을 인식하고 나아가서 음악적으로 사고하는 길을 열어 주고자 하는 음악적 교육이 시창 · 청음 교육이다. 이렇게 중요한 시창 · 청음의 교육이 청감각의 절정기인 8~10세의 시기를 놓치지 않고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아이들은 선천적인 절대음감이 아니더라도 더 많은 아이들이 절대음감을 가질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좋은‘음악적인 귀와 눈’을 가지게 되어 음악을 깊이 인식하고, 음악을 통해 감정을 순화하고 원만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창 청음에 관한 문헌연구로 청감각이 가장 예민하고 절정기인 초등학교 저학년이 시창 · 청음 교육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시기임을 파악하고 연구 대상을 초등학교 2학년으로 정하였다. 시창 · 청음 수업 전 효율적인 시창 청음 지도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2학년 아이들의 수준을 알고자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기에 학습되어야 하는 음악적 개념이 학습되어있지 않은 아이들이 상당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음악수업은 활동 중심의 ‘즐거운 생활’이다. 이 시간의 이루어지는 활동들은 음악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결과적으로는 개념을 습득하기보다는 그저 활동으로만 끝나버리고 있어서 기초적인 음악 이론이나 음악적 개념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시창 · 청음 수업이 바로 악보를 읽게 하고 듣고 적는 것으로 시작되면 아이들은 어려워할 것이고 그래서 흥미를 잃게 될 것이므로 읽고 듣고 쓰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읽고 듣고 쓸 수 있도록 필요한 것들, 즉 개념을 먼저 가르쳐주면 좋을 것이다. 그러므로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는 시창과 청음 시 사용되는 선율과 리듬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개념들을 인지하여 음악개념들을 습득할 수 있는 음악 개념학습을 선행시킨 후 악보를 보고 노래하고 듣고 적기를 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가 제시한 지도 방법은 시창 · 청음을 처음 시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이들이 기초적인 이론과 기초 음악 개념이 학습되어있지 않더라도 연구자가 제시하는 지도안의 개념학습을 통해 개념을 학습하여 시창과 청음에 흥미를 가지고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창과 청음에 나타나는 음악 이론과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개념학습을 선행하고 그 이후 시창 · 청음의 훈련이 이어진다. 개념학습의 내용은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에서 제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학습해야 하는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 등 7가지 기본개념을 중심으로 시창과 청음 훈련에 있어 시간마다 필요한 음악적 개념을 선별하여 세분화시켜 학습할 수 있도록 설명과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창 · 청음의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교사는 시창 · 청음 교육에 대한 방법적인 연구에 힘써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효율적인 시창 · 청음 지도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시창 · 청음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수업에 대한 후속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 중국대학 한국어 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교환학생이 경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동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한·중 수교가 25년을 맞이하면서 양국 간의 교류 또한 활발해졌다. 이에 따라 중국 대학 내 한국어 학과에 지원하는 학생이 많아지고 대학 내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에서 교육의 생산자 입장을 고려한 개발, 운영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확산을 위하여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현재 중국에서 시행중인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점을 질적 연구를 통해 밝혀 보면서 더 나은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 중심으로 학생의 요구에 대해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중국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점을 밝히기 위해 교환학생들이 경험한 한·중 양국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범주와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환학생들이 어떤 교육을 받기 원하는지에 대한 요구사항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대상은 중국 대학 한국어 학과 재학생 5명을 편의표집에 의해 선별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반구조식 면담 후 면담내용을 전사한 후 코딩 작업을 거쳐 범주화시키고 조직화과정을 거쳐 귀납적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중국 대학에서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 발전을 위하여 교수진 개선, 한국인 교수의 확충, 우수한 교재 개발, 교수법의 부족 등 여러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는 교수진에는 한국인 교수와 전문가 교수가 부족한 문제, 교재 설명의 정확성과 흥미성이 부족한 문제,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 필요성 문제, 교육과정 개설과목 간 연계성이 부족한 문제, 현실적이고 흥미로운 교육내용이 필요성 문제, 다양한 평가 방법 적용과 낙후된 학교 시설 등이 개선되어져야 하는 문제, 각종 문화체험이나 양국 학생 교류활동이 부족한 문제 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