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長主枝低樹高形 剪定方法이 단감나무의 生長, 結實 및 果實品質에 미치는 影響

        조동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47

        단감(Diospyros kaki L.)은 喬木性 果樹이기 때문에 低樹高形을 開發하여 果園管理의 效率性을 높이고 生産費의 節減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 長主枝低樹高形 剪定方法이 단감나무의 生長, 結實 및 果實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實用化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1. 長主枝低樹高形(LMB-LTH)은 誘引을 통하여 樹高가 낮고, 樹冠의 폭이 넓으며, 제1주지를 길게 만들 수 있어 수관은 삼각형의 형태이기 때문에 樹冠下部의 가지가 충분한 광을 받을수 있고, 지상 50㎝ 이하의 낮은 위치에서부터 수확할 수 있다. 2. 樹高/樹冠의 比率은 長主枝低樹高形이 약 0.5로서 樹冠의 幅이 樹高의 2배였으며, 밀양지역과 진영지역의 比率은 1~l.5로서 樹高가 樹冠보다 높았다. 樹冠의 斷面績은 長主枝低樹高形이 약 8.5㎡로서 가장 넓었다. 3. 長主枝低樹高形의 光透過率은 樹冠의 中間部는 태양광선의 약 10%로서 160μ㏖·m^(-2)·s^(-1), 下段部는 2.5%로서 30μ㏖·m^(-2)·s^(-1)였다. 光補償點은 樹冠外部의 잎이 樹冠內部의 잎보다 光度에 관계없이 높았다. 光補償點은 樹冠外部의 잎은 40μ㏖·m^(-2)·s^(-1)였으나 樹冠內部 잎은 20μ㏖·m^(-2)·s^(-1)였다. 光飽和點은 樹冠의 위치에 관계없이 1,500μ㏖·m^(-2)·s^(-1)였다. 4. 잎의 위치별 光合成率은 一次生長枝의 경우 上位葉일수록 光合成率이 높았으나 二次生長枝는 12번째 잎의 光合成率이 가장 높았다. -次生長枝의 光飽和點은 잎의 위치에 관계없이 1000~1500μ㏖·m^(-2)·s^(-1)였다. 5. 13년생의 나무를 長主枝低樹高形(LMB-LTH)과 變則主幹形으로 전정 후 收量을 比較한 결과 2차년도의 樹體當 果實數와 총 무게는 長主枝低樹高形으로 하였을 때 160%정도 증가하였다. 長主枝低樹高形은 變則主幹形보다 果重 150g 이상의 上品果가 많았으나 150g 이하의 下品果는 비슷하였다. 6. 結果母枝 15, 25 및 35㎝와 徒長枝를 長主枝低樹高形(LMB-LTH)과 變則主幹形으로 구분하여 한가지당 總果重과 平均果重을 비교한 결과는, 總果重은 結果母枝 길이와 樹形間에 차이가 없었다. 結果母枝常 新梢의 발생수와 길이는 樹形에 관계없이 結果母枝의 길이가 길수록 많았고 徒長枝는 結果母枝의 2배 이상이었다. 7. 徒長枝를 結果母枝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시험한 1년차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果實數의 경우 徒長枝는 16.7개, 結果母枝는 3~4개로서 徒長枝가 현저히 많았으며, 徒長枝는 가지의 길이가 길고 直徑이 굵을 수록 증가하였다. 8. 徒長枝로부터 落果率은 약40%정도였으나 結果母枝보다 2배 이상 着果되었다. 9. 徒長枝을 誘引하였을 경우에 着果率은 45° 誘引區에서 가장 많았다. 徒長枝當 總果重은 45°로 誘引하였을 때 1,305g, 結果母枝는 839g이었다. 45°이하의 誘引은 平均果重 감소되었다. 10. 誘引角度에 따른 着果數, 總果重 및 平均果重은 無誘引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75°까지 誘引의 정도가 심할수록 徒長枝當 과실수가 적고, 總果重 및 平均果重이 가벼웠다. 총 가용성당함량은 誘引角度에 관계없이 단감의 크기가 클수록 높았다. 11. Hunter의 L값은 과실의 크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誘引角度間에는 結果母枝가 63.3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45° 誘引區가 가장 낮았다. Hunter의 a값은 45°誘引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45°誘引을 전후로하여 유인정도가 적거나 클수록 감소하였다. 12. 結果母枝 및 徒長枝當 新梢의 總伸長生長과 莖直徑은 無誘引區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각도가 클수록 新梢生長은 억제되었으며, 結果母枝의 新梢 총 생장량이 가장 낮았다. 평균 新梢數은 結果母枝와 徒長枝間에 차이가 없었다. 新梢數는 徒長枝가 結果母枝보다 많았다. 13. 着果數 總果重 및 平均果重은 30~45°로 誘引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90° 誘引區는 徒長枝當 果實數와 總果重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果實數, 總果重 및 平均果重은 徒長枝 誘引區가 結果母枝보다 더 양호하였다. 14. 과실의 貯藏性은 果重이 150g 이상의 과실은 色度間 차이가 없이 貯藏性이 있었고, 149g 이하의 녹색과실은 貯藏性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ctively use water sprouts as fruit-bearing branch in non-astringent 'Fuyu' persimmon. 1. Long main branch and low tree height (LMB-LTH) form has triangular type and advantage that low branches have enough light energy due to the low tree height through bending, more canopy area, and making the first branch longer. Further advantage is that we can harvest fruits in the low height within 50cm from the soil. 2. The ratio of tree height to canopy area was about 0.5 in LMB-LTH form. However, that of Miryang and Chinyoung area was 1~1.5, which indicated that LMB-LTH form had the widest surface area of canopy. 3. Light energy transmission rate of LMB-LTH form in the middle of canopy was 160μmol·m^(-2)·s^(-1) which was the about 10% of total light energy, and that of low canopy was 30μmol·m^(-2)·s^(-1) which was about 2.4% of total light energy. The photosynthesis rate of the leaf within the canopy was higher than that of outside of the canopy regardless of light intensity. Light compensation point of leaves outside of the canopy was about 40μmol·m^(-2)·s^(-1) and that of within the canopy was about 20μmol·m^(-2)·s^(-1). Light saturation point was about 1,500μmol·m^(-2)·s^(-1) regardless of the height of canopy. 4. In the comparison photosynthesis rate on the position of leaf, higher position leaves showed higher photosynthesis rate for the primary shoot. Photosynthesis rate for the secondry shoots was highest in the 12th leaf and decreased in the lower positions of leaf. Light saturation point of primary shoot was 1000~1500μmol·m^(-2)·s^(-1)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leaf. 5. In the comparison of fruit harvest after pruning the 13-year old tree as LMB-LTH and modified leader form, respectively, LMB-LTH form had 25 more fruits than that of modified leader form in the to 160% when pruned as LMB-LTH form. 6.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otal fruit weight and mean fruit weight per branch, we observ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fruit bearing mother branch and the shape of tree. The more number and length of shoots were observed as the length of fruit bearing mother branch was longer regardless of the shape of tree, and that of water sprout was more than 2 times as that of fruit bearing mother branch. 7. Fruit number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length and diameter of water sprouts: it was 16.8 for a 80-cm water sprout compared with a 30-cm non-water sprout. 8. Forty percent of the fruits were dropped from a water sprout, so that about twice as many fruits could be harvested as a non-water sprout. 9. The highest percent fruit-set was observed when water sprouts were bent to 45˚, followed by 0, 30, 75. and 90˚. Total fruit weight was 1,305 g when water sprouts were bent to 45˚: it was 839 g for a non-water sprout. 10. Smaller number of fruits and lighter total fruit weight and mean fruit weight were resulted as the bending angle was bigger up to 75˚. 11. Hunter's L value for the size of fru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at for the bending degree showed that fruit bearing branch was highest as of 63.3 and 45˚ bending branch was lowest. Hunter's a value was highest in 45˚ bending branch, and getting lower as the bending degree was smaller or bigger from 45˚ bending degree. 12. Total shoot growth and shoot diameter per fruit bearing branch and water sprout branch were best in non-bending branch, and shoot development was supressed as the bending degree was bigger and that of fruit bearing branch was lowest. Mean shoot lengt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uit bearing branch and water sprout branch. Number of shoot was higher in water sprout branch than in fruit bearing branch. 13. Total fruit weight and mean fruit weight were best when the branch was bent a t the degree of 30~45˚, and fruit number and total fruit weight were decreased when bent at the degree of 90˚. Fruit number, total fruit weight, and mean fruit weight were higher in bending branch than fruit bearing branch. 14. Fruit storability wa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Hunter's L value for the fruits over 155g, but it became remarkably worse when stored green fruits under 154g.

      • 성인기 생쥐에서 사회적 패배 스트레스 후 행동학적 변화 및 Chat, Grp78, chop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동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사회적 요인은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여러 뇌 질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회적 패배 스트레스는 여러 정신과적 질환의 모델을 만들기 위한 생체의학적 연구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성인기 생쥐에 사회적 패배 스트레스 가한 후 행동학적 변화와 뇌 내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glucose-regulated protein 78 (Grp78), C/EBP homologous protein (chop)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8주령 C57BL/6J 수컷 생쥐에 10일간 사회적 패배 스트레스 가한 후 감수성군과 비 감수성군으로 나누어 시험을 진행하였다. 행동학적 검사는 자발적 운동측정, 명암도 선호도 검사, 사회적 상호작용 측정, 새로운 물체인식검사, 수중미로검사, 강제수영검사를 진행하였다. Chat, Grp78, chop 발현 정도는 전전두피질, 편도, 해마부위에서 Western blotting을 시행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감수성군과 비 감수성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자발적 운동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불안행동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감수성군은 비 감수성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사회적 냄새 맡기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부동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새로운 물체인식검사에서 인지기능 장애는 감수성군에서만 관찰 되었다. 수중미로시험에서는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전두피질, 편도, 해마부위에서 감수성군과 비 감수성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Chat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전두피질과 해마부위에서 감수성군과 비 감수성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Grp78와chop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편도 부위에서 감수성군이 비 감수성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Grp78와chop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만성 사회적 패배 스트레스 후 패배 당한 모든 생쥐에서 스트레스와 관련 된 자발적 운동이 감소하고 불안행동이 증가하지만 우울증-유사 행동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감소, 부동 시간의 증가와 새로운 물체인식검사에서의 인지기능 장애는 감수성군에서만 나타났다. 또한 편도에서의 Grp78과 chop 발현의 증가는 감수성군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질환의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SCR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Soot Blowing 방법에 대한 해석적 연구

        조동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박 디젤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NOx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SCR 시스템에서 촉매층 표면에서의 soot 침적이 시스템 성능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soot를 제거하기 위해 선박용 SCR 시스템 내부에서 적용되는 soot blower의 설계를 위해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에는 실제 장치를 이용한 실험적 방법을 통한 해석 방법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시간적, 경제적 제약이 있으므로 그 대안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전산 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soot blower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50 kW 디젤엔진에서 장착되는 SCR 시스템의 촉매층을 실험대상으로 촉매층 표면 유동분포에 관한 전산 해석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soot blower 형태에 따라 기본형 soot blower와 spray형 soot blower이 제안되었으며 CFD 해석을 통해 최적의 soot blower형상을 결정하였다. 실험모델로 확인된 촉매층 입구 단면에서의 soot 입자의 제거속도는 3.3 m/sec ∼ 5.9 m/sec범위였는데 이를 통해 soot blower의 형상에 따라 soot의 제거효율을 계산하였다. 주어진 압축공기의 분사조건에서 기본형 soot blower의 경우 분사구 직경특성에 따라 촉매층 입구 단면에 도달하는 압축공기의 평균 속도는 2.9 m/sec ~ 7.1 m/sec가 얻어졌고, spray형 soot blower에서는 blower의 배치에 따라 촉매층 입구단면에서 얻어진 압축공기의 평균속도 범위는 22.3 m/sec ∼ 25.8 m/sec였다. 기본형 soot blower에 대해 1.5 mm, 2 mm, 2.5 mm 및 3 mm의 분사구 직경이 제안되었는데 이 중에서는 soot의 최대 제거효율은 44.4% ∼ 86.7%이 얻어졌고 spray형 soot blower에 대해 최대 제거효율은 80% ∼ 94.4%이 얻어졌다. 따라서 실제 적용하는 선박용 SCR 시스템 내 soot blower의 설치는 효과적이며 spray형 soot blower가 기본형 soot blower 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되었다. In the ship diesel engines, the soot which generated by heavy oil combustion was deposited on the catalytic converter causes the degradation of the system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the numerical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oot blower which is used for removing the soot on the catalytic converter. use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to evaluates the performance is most desired, because the restrict of time and research expense, instead of traditional experimental methods we use the computer to compute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soot blower. The catalytic converter assembled in the 350 KW diesel engine is used as the analysis object. Two types of soot blowing geometries, which have shapes of the basic and the spray types, were proposed and evaluated by the numerical method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the optimal velocity of removing soot on the catalyst layer is shown between 3.3 m/sec and 5.9 m/sec. Under the conditions of compressed air, for the basic type of soot blower, the average velocity of the compressed air on the inlet section of the catalytic converter was chosen with the range of 2.9 m/sec and 7.1 m/sec. For the spray type of soot blower, it was chosen with the range of 22.3 m/sec and 25.8 m/sec.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for the basic type of soot blower was 44.4% ~ 86.7% which is with 3 mm jet hole. For the spray basic type of soot blower,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was 80% ~ 94.4%. Through the comparison of soot removal efficiency, the soot blower which is assembled in ship diesel engine is useful, and the spray type soot blower is more active than basic type soot blower.

      • 초등학교 저학년의 효율적인 시창·청음 지도방안 연구

        조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very important basis for man to read and write in all the human activities. Reading and writing are also basic factors in all the activities of music. Kodaly said that it is as hard for a person with no ability to read music to achieve the goal of music education as it is for a person with no ability to read letters to understand civiliz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hat we teach all children to read and write music, develop their musical talent, and help them lead a creative and abundant life of music. We need to let young music learners recognize music and have musical insights. That is, we need to teach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If the systematic instruction of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is properly given to young learners between 8 and 10 years of age when they stand at the peak of their auditory sense, they may develop a sense of pitch although they do not have an inborn sense of absolute pitch. Also, it may help them have a good ear for music, which may lead them to understand music deeply, to refine their musical taste, and to build up a good charac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literature o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Its subjects were the second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These students are at the age when they can easily improve an auditory sense well and when they can benefit from the instruction i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Before instructing them i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we tested the subjects to gauge their musical level and to find the right instruction strategies. The test results showed quite a number of them are asked to learn the basic ideas of music which they should already have acquired. Without learning the basic ideas of music, they can not read a musical score and sing it, and listen to music and write it, so after learning the musical ideas and theory, they were asked to lear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through eight lesson plans. Although the subjects did not have enough basic knowledge of music,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them take an interest i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The study suggested useful lesson plans including the basic concepts of music. The basic concepts of music are what low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should learn with emphasis on the basic ideas of music such as rhythm, tune, harmony, dynamics, tempo, and tone, which are suggested in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The lesson plans consisted of explanation and activities to teach each idea designed by the researcher for every lesson. Most of all, the teacher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the successful instruction of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and make an effort to develop good lesson plans for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he eight lesson plans of music for low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as one effective way of mus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o constant, additional research on sight singing and ear-training in the future. 인간의 문화적인 활동에는 읽고 쓰는 일이 기초가 된다. 음악에 있어서 읽고 쓰는 것은 모든 음악활동의 기본이 된다. Kodaly는 글을 모르고 인류의 문명을 이해할 수 없듯이 독보력이 없는 음맹상태에서는 진정한 음악교육이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모든 어린이에게 음악을 읽고 쓸 수 있는 기초능력을 길러주어 음악성을 개발시키고 음악을 통해 창의적이고 풍부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음악을 인식하고 나아가서 음악적으로 사고하는 길을 열어 주고자 하는 음악적 교육이 시창 · 청음 교육이다. 이렇게 중요한 시창 · 청음의 교육이 청감각의 절정기인 8~10세의 시기를 놓치지 않고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아이들은 선천적인 절대음감이 아니더라도 더 많은 아이들이 절대음감을 가질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좋은‘음악적인 귀와 눈’을 가지게 되어 음악을 깊이 인식하고, 음악을 통해 감정을 순화하고 원만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창 청음에 관한 문헌연구로 청감각이 가장 예민하고 절정기인 초등학교 저학년이 시창 · 청음 교육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시기임을 파악하고 연구 대상을 초등학교 2학년으로 정하였다. 시창 · 청음 수업 전 효율적인 시창 청음 지도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2학년 아이들의 수준을 알고자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기에 학습되어야 하는 음악적 개념이 학습되어있지 않은 아이들이 상당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음악수업은 활동 중심의 ‘즐거운 생활’이다. 이 시간의 이루어지는 활동들은 음악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결과적으로는 개념을 습득하기보다는 그저 활동으로만 끝나버리고 있어서 기초적인 음악 이론이나 음악적 개념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시창 · 청음 수업이 바로 악보를 읽게 하고 듣고 적는 것으로 시작되면 아이들은 어려워할 것이고 그래서 흥미를 잃게 될 것이므로 읽고 듣고 쓰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읽고 듣고 쓸 수 있도록 필요한 것들, 즉 개념을 먼저 가르쳐주면 좋을 것이다. 그러므로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는 시창과 청음 시 사용되는 선율과 리듬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개념들을 인지하여 음악개념들을 습득할 수 있는 음악 개념학습을 선행시킨 후 악보를 보고 노래하고 듣고 적기를 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가 제시한 지도 방법은 시창 · 청음을 처음 시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이들이 기초적인 이론과 기초 음악 개념이 학습되어있지 않더라도 연구자가 제시하는 지도안의 개념학습을 통해 개념을 학습하여 시창과 청음에 흥미를 가지고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창과 청음에 나타나는 음악 이론과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개념학습을 선행하고 그 이후 시창 · 청음의 훈련이 이어진다. 개념학습의 내용은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에서 제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학습해야 하는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 등 7가지 기본개념을 중심으로 시창과 청음 훈련에 있어 시간마다 필요한 음악적 개념을 선별하여 세분화시켜 학습할 수 있도록 설명과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창 · 청음의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교사는 시창 · 청음 교육에 대한 방법적인 연구에 힘써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효율적인 시창 · 청음 지도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시창 · 청음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수업에 대한 후속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 중국대학 한국어 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교환학생이 경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동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중 수교가 25년을 맞이하면서 양국 간의 교류 또한 활발해졌다. 이에 따라 중국 대학 내 한국어 학과에 지원하는 학생이 많아지고 대학 내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에서 교육의 생산자 입장을 고려한 개발, 운영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확산을 위하여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현재 중국에서 시행중인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점을 질적 연구를 통해 밝혀 보면서 더 나은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 중심으로 학생의 요구에 대해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중국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점을 밝히기 위해 교환학생들이 경험한 한·중 양국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범주와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환학생들이 어떤 교육을 받기 원하는지에 대한 요구사항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대상은 중국 대학 한국어 학과 재학생 5명을 편의표집에 의해 선별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반구조식 면담 후 면담내용을 전사한 후 코딩 작업을 거쳐 범주화시키고 조직화과정을 거쳐 귀납적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중국 대학에서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 발전을 위하여 교수진 개선, 한국인 교수의 확충, 우수한 교재 개발, 교수법의 부족 등 여러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는 교수진에는 한국인 교수와 전문가 교수가 부족한 문제, 교재 설명의 정확성과 흥미성이 부족한 문제,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 필요성 문제, 교육과정 개설과목 간 연계성이 부족한 문제, 현실적이고 흥미로운 교육내용이 필요성 문제, 다양한 평가 방법 적용과 낙후된 학교 시설 등이 개선되어져야 하는 문제, 각종 문화체험이나 양국 학생 교류활동이 부족한 문제 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