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소년원 퇴원생의 재사회화 과정

        조경미 공주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Resocialization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ts discharged from a reform school Kyoung Mi Cho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ee Sook Kang The practice in the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s consider a juvenile as one to be protected not as one to be punished, and intend to teach them with the purpose of resocialization through education not punishment, by analyzing each reasons for irregularities with the educational, humanitarian, and welfare views. While the juvenile delinquency have been decreased the rate of their second offense is increasing. We need, therefore, to develop a dealing strategy for juvenile reformatory school dischargers to practice systematic follow-up instruction and help them to overcome harmful circumstances. There have been, however, insufficient studies on the what they experience in the course of resocialization, what they need, and what supports required to address those problems, resulting in the instructions focused only on the reasons for their delinquencies. It means that the studies on what they face in the course of resocialization and how they overcome those problems should be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ocialization processes and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resocialization of the juvenile reformatory school dischargers and the its level. It is expected that the determination of detail processes of their resocialization course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to be used in helping them their successful resocializ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n youths who had not violated law for two years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juvenile reformatory school and had been validated to be success in resocialization by two credible adults including reformato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and finally, had been recommended by reformatory school teachers. The date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ne to December 2008 using in-depth interview and the data analysis followed the process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The analysis found 78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and the category analysis using paradigms in the axial coding indicates that there are 'decision on revised life', and 'entrance into unfamiliar society' as artificial condition, and 'danger walking on a single line' as a central phenomen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textual condition responses to the central phenomenon are 'a sense of alienation', 'old temptation', and 'psychological shrinkage' and that the mediating condition affecting the strategies for interaction are 'being accepted', 'responsibility', and 'social support'. The interaction strategies to manage and perform the central phenomenon were 'setting detail goal', 'action after making decision', and 'will for success', and their results were 'finding hope', 'going only forward', and 'enhancing competitiveness'. The steps identified in the analysis on the course of juvenile reformatory school discharger's resocialization were four; 'liberation and solitude step', 'self-consciousness step', 'practicing goal step', and 'seeking development step'. The 'liberation and solitude step' is a dynamic one in which many variables work in quite complex manner, in this step, they experience a sense of liberation due to discharge from the reformatory school and suffer from a sense of solitude due to the sore social reality they face and should be overcome by themselves such as sense of estrangement from society and failure in finding job. In the 'self-consciousness step', they feel impulsion of re-commitment by psychological burdensome from stigma from others, feeling of self-accusation, and responsibility, and consider the abandonment of plans they make in the reformatory school, however, they find and recognize their own value. In the 'practicing goal step', they seek some changes through re-establishment of their own value and self control, and practicing goals with the spirit of challenge and will for success, while prevailing difficulties with endurance and pride. In the 'seeking development step', they find a hope in the course of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order to demonstrated that even reformatory school discharger can success, and they try to make future better. It was found that the core category in the course of resocialization of reformatory school dischargers is ‘becoming independent by overcoming danger life', and the examination of associations among core categories indicated that the 'type of aiming for safe', 'type of aiming for comfortable living at present', and 'type of aiming for success' are the core ones. The 'type of aiming for safe' refers to ones that avoid change or adventure and is careful enough to look before leap and have strong responsibility. The 'type of aiming for comfortable living at present' refers to ones that do not escape from the changed life after discharge and try to fulfill given task in order not to be fallen behind in society they face. The 'type of aiming for success' refers to ones that seek to acquire new technique and knowledge for future success and pursue self development and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order to use them for expansion of specialized area leading to success. Those finding suggest that the course of resocialization of discharger from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n a life like lonely walking on a single line is full of will to success in future by detail planning, going only forward,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finding hope, This study established a empirical theory about successful course of resocialization of reformatory school dischargers by investigating the successful course of resocialization of them and the strategies they us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has a practical meaning in that they contribute in establishing an alternative plan by seeking and suggesting an intervention way of helping their successful resocialization. Keywords : Discharger from Juvenile Reformatory School, Resocialization, Grounded Theory, Juvenile Delinquents 최근 우리나라의 청소년비행은 감소추세에 있으나 소년원생의 재비행율은 증가하고 있다. 소년원은 비행청소년을 교육적, 인도적, 복지적 관점에서 형벌보다는 교육을 통한 재사회화에 목적을 두고 사후지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소년원 퇴원생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사후지도와 비행의 유혹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처전략에 대한 홍보가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소년원 퇴원생이 재사회화를 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어떠한 지지가 필요한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에서 비행원인에 초점을 맞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원 퇴원생이 재사회화를 하는 과정과, 경험에 대해 파악을 하고자 하며, 재사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해 가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소년원 퇴원 후 2년 이상 법에 저촉되는 행위를 하지 않고, 소년원 교사나 부모 등 주변의 믿을 만한 성인 2인 이상으로부터 재사회화에 성공하였다고 평가받은 연구 참여자 10명을 소년원 교사로부터 추천받았다. 자료 수집은 2008년 6월부터 12월말 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의 절차에 따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78개의 개념과 32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으로는 ‘새 삶을 다짐함’, ‘낯선 사회로 나아감’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은 ‘위태로운 외줄타기’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소외감’, ‘오래된 유혹’ ‘심리적 위축’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조건은 ‘인정받음’, ‘책임감’,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관리하고 수행하기 위한 상호작용 전략으로는 ‘구체적인 목표설정’, ‘결단하고 행동하기’, ‘성공의지’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희망을 발견함’, ‘앞만 보고 달림’, ‘역량강화’로 나타났다. 소년원 퇴원생의 재사회화과정에 대한 과정분석 단계에서는 ‘해방과 고독의 단계’, ‘자각 단계’, ‘목표실천 단계’, ‘발전추구 단계’ 4가지 단계로 나타났다. ‘해방과 고독의 단계’는 과정이 매우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역동적인 단계로 소년원 퇴원으로 인한 해방감과 낯선 사회와의 괴리감과 구직실패 등 사회부적응으로 현실 벽에 부딪혀 혼자서 극복해야하는 현실 앞에서 세상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고독감을 느낀다. ‘자각 단계’는 주위의 낙인과 자격지심 그리고 책임감 등이 심리적 부담으로 다가와 재비행 충동을 느끼고 소년원에서 세운 계획과 목표를 포기하고 싶은 생각을 하나 자신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스스로 깨닫는다. ‘목표실천 단계’는 가치관 재정립과 자기통제로 변화를 시도하고 힘들면 끈기와 오기로 버티며 앞만 보고 달리는 도전정신과 성공의지로 목표를 실천해 간다. ‘발전추구단계’는 목표 달성으로 소년원 출신도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받기 위해 역량강화 하는 과정에서 희망을 발견하고 미래의 발전을 위하여 노력한다. 소년원 퇴원생의 재사회화 과정의 핵심범주는 ‘위태로운 삶 극복하여 자립하기’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안전지향형’, ‘현실안주형’, ‘성공지향형’ 등 3가지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안전지향형’은 불안정한 변화나 모험을 두려워하고 돌다리도 두들겨 가는 유형으로 책임감이 강하다. ‘현실안주형’은 재사회화로 변화된 현재의 환경에서 벗어나지 않고 현재 처한 상황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해 주어진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변화된 환경의 유지로 현실에 안주하는 유형이다. 그리고 ‘성공지향형’은 미래의 성공을 위해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자기개발과 역량강화로 전문분야를 넓혀 미래의 발전으로 성공을 추구하는 유형이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소년원 퇴원생의 재사회화과정은 위태로운 외줄타기와 같은 삶 속에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성공하려는 의지로 앞만 보고 달려 역량 강화로 희망을 발견하고 미래의 발전을 추구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심층면접을 통해 소년원 퇴원생의 성공적인 재사회화 과정에 관한 실체이론을 생성하였다. 이는 소년원 퇴원생의 성공적인 재사회화를 돕는 개입방향을 모색하고 제안함으로써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사회복지의 실천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조경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소재 J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50명으로 1개 학급 25명은 실험집단, 다른 1개 학급 25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활동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3일부터 3월 25일까지 회기 당 40분씩 총 8회기로 진행하였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와 학교적응력 척도이고 자료처리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평균값이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변하였다. 둘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교적응력 평균값이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요즘과 같이 초등학생들의 문제행동과 돌출행동 등으로 힘든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생활지도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전반의 영역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on stress coping ability and school adaptive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students of two classes in the fifth grade of J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Dalseo-gu in Daegu Metropolitan City.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containing 25 students each.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of this study was a modified version of Hong's (1988).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gram was implemented eight times with 40 minutes each from the March. 3 to March. 25, 2010. The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tress coping behavior scale and the school adaptive ability scale. For data analysis, SPSS statistics program was used and ANCOVA was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verage value of stress coping behavior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presen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verage value of school adaptive abilit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Therefor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n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on improving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an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has an effect on enhancing school adaptive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an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hich helps overall area of school life as well as guidance of students needs to be actively utilized, especially in the difficult education field due to problem behaviors or unexpected behaviors of students.

      • 영재아 어머니의 놀이성과 양육행동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조경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ethodological testing tools adopted for the present study were based on KEDI-WISC and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TTCT) for subjects totalling 112 fourth-to-sixth elementary graders in 3 gifted classes, as of the year 2008, located in the Educational Office of Northern District of Bupyung, Incheon, as well as 160 young students at fourth to sixth grade in three general elementary schools together with their mothe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KEDI-WISC test, into two groups of designation as 'high-intelligence' children belonging to the uppermost 1~10% who gained 120 or more scores in Intellectual Quotient(IQ) test, and 'log-intelligence' children belonging to the lowermost 1~10% who gained IQ 100 or less scores. Likewise, the data collected from TTCT test was utilized to group students into 'high-creativity' children ranking the uppermost 1~30% and 'low-children ranking the lowermost 1~30%, all of which were made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depending on talentedness. The scaling tool for adult playfulness developed by Glynn and Webster(1992) was used to measure the maternal playfulness, while rearing behavior was measured using Hong, Gye Ok's revised tool based on IPBI(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Mother Form), and rearing attitude was calibrated depending on Lee, Won Young's revised tool(1983) originated from Sehaffer's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First of all, ANOVA was mad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playfulness, rearing behavior and rearing attitude in children's mothers varying subject to background variances in both mothers and children. The analytical result in terms of mothers' playfulness, rearing behavior and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emphasized that more rational directorship was found in female children, meanwhil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sibling order. Out of background variants for mothers was 'novelty' shown most significantly in the segmented group whose age was 46 or more other than groups of 25-to-30 aged segment and 41-to-45 aged segment. In the meantime,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variant of their final education showed that those who had four-year college degree or more outperform better imagination and novelty ability rather than those who finished high school course at maximum, and they be more likely to positively rear their children. Furthermore, working mothers showed higher scores in cheerfulness, spontaneity and novelty, while stay-at-home mothers showed stricter control over their children. As per the aspect of household income, those who were around KRW5 to 7 million showed higher cheerfulness and imagination along with rational, affectionate and autonomous attitude in fostering their children rather than those who gained lower level of household income. Secondly, the correlation analysis on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layfulness, rearing behavior and rearing attitude argued that, though admitting there existed sligh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correlativity amongst the a/m three variants was much more verifiable as a whole in mothers of gifted children rather than mothers of normal children. There existed positive correlativity between the a/m three variants and such positive factors as rational directorship, affection and autonomous attitude, while there existed negative correlativity against such negative factors as spontaneity, rejective attitude and controlling attitude. Third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with an outlook to identify how rearing behavior and rearing attitude are changeable depending on mother's personal character under the precondition that mother's playfulness be deemed as a subordinate variant because it was the part of mother's personal character. The influence by maternal playfulness affecting rational attitude as one of parenting behavior was highly exercisabl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imagination ability and spontaneity as for both mothers of gifted children and mothers of ordinary children, but more significant influence caused by novelty was found in the former group rather than the latter. As for the term of behavioral limit against children, both two contrasting groups commonly showed that spontaneity was the best descriptive factor for behavioral limit factor, where imagination ability was additionally found as for mothers of non-talented children. In case of the variant of affection, imagination ability and spontaneity were common for both two mother groups with significant meanings, while novelty was additionally found as for mothers of talented children. The variant of reaction placed mothers of normal children more significant in that the factor of imagination ability was more descriptive for reaction. When focusing on how well maternal playfulness is descriptive for rearing attitude, as for gifted children's mother group, novelty was proven highly correlative with rejective attitude, while imagination ability and spontaneity were closely related as for non-gifted children's mother group. When viewed from autonomous attitude, novelty was a descriptive factor as for gifted children's mother group, while novelty coupled with spontaneity were descriptive factors as for non-gifted children's mother group. However, there existed no subfactors below playfulness being descriptive for behavioral limit attitude. Fourthly, the multivariate analysis was adopted in an attempt to know more about the differences in maternal playfulness,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children's talentedness and levels of intelligence and creativity. When it came to maternal playfulness, rearing behavior and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children's talentedness, mothers having gifted children in comparison with the opposite group showed higher imagination ability, better rational directorship, stricter behav 본 연구는 2008학년도 인천시 부평구 북부교육청 관내 3개의 영재학급 4~6학년 112명, 일반초등학교 3개 학교 4~6학년 160명의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지능검사와 TTCT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지능검사를 통해 지능지수가 상위 1~10%에 해당하는 IQ 120이상의 아동을 ‘고지능 아동’라고 하고 IQ 100이하의 아동을 ‘저지능 아동’이라 명명하였고, 창의성검사를 통해 창의성 백분율이 상위 1~30%에 해당되는 아동을 ‘고창의 아동’이라 하고 하위 30%인 아동을 ‘저창의 아동’ 이라 칭하고 영재여부 및 지능과 창의성 여부에 따라 각각 두 부류로 나누었다. 어머니의 놀이성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Glynn과 Webster(1992)의 성인용 놀이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양육행동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IPBI(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 Mother Form)를 홍계옥(1994)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양육태도를 측정한 도구는 Sehaffer의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를 이원영이(1983)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아동 및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놀이성, 양육행동, 양육태도의 차이를 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아동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놀이성, 양육행동, 양육태도를 살펴본 결과 여아에게 좀 더 합리적으로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형제 순위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배경변인 중 먼저 연령에서는 46세이상 어머니가 25~30세 어머니와 41~45세 어머니보다 더 기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변인간 차이는 4년대졸 이상의 어머니가 고졸이하의 어머니보다 상상력과 기발성이 뛰어나고 아동을 자율적인 태도로 양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에 따라서는 직업을 가진 어머니가 쾌활성, 즉흥성, 기발성이 더 높으나, 자녀에 대한 제한은 주부인 어머니가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수입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500~700만원 가량의 수입이 있는 가정의 어머니가 그 이하인 어머니보다 쾌활성, 상상력이 높고, 합리적이고 애정적이며 자율적 태도로 자녀를 양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어머니의 놀이성, 양육행동, 양육태도의 상관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집단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일반아 어머니보다 영재아 어머니의 세 변인간에 상관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합리적지도나 애정성, 자율적 태도같은 긍정적 요인과는 정적상관, 즉흥성, 거부적태도, 통제적태도 같은 부정적 요인과는 부적상관을 이루었다. 셋째로, 어머니의 놀이성은 어머니 성격특성의 일부이므로 이를 종속변인으로 보고, 어머니의 성격에 따라 그 양육행동과 양육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놀이성이 양육행동 중 합리적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 어머니 모두 상상력과 즉흥성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일반아 어머니에 비해 영재아 어머니의 경우 기발성이 더욱 유의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제한성의 경우, 두 어머니 집단 모두 즉흥성이 제한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일반어머니의 경우 상상력 또한 유의미한 설명요인이었다. 애정성의 경우, 두 집단 어머니 모두 상상력과 즉흥성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영재 어머니의 경우 기발성 또한 애정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응성의 경우 일반어머니가 상상력이 반응성을 설명해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성이 양육태도를 어떻게 설명해주는지 살펴보았을 때, 거부적 태도의 경우 영재아 어머니는 기발성이 거부적 태도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타났고, 일반아 어머니는 상상력과 즉흥성이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자율적 태도의 경우 영재아 어머니는 기발성, 일반아 어머니는 기발성과 즉흥성이 자율적 태도를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통제적태도의 경우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설명하는 요인이 없었다. 넷째로, 아동의 영재성 여부 및 지능과 창의성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놀이성, 양육행동, 양육태도 차이를 다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아동의 영재성 여부에 따른 어머니의 놀이성, 양육행동, 양육태도를 살펴본 결과 영재아 어머니가 일반아 어머니보다 상상력이 높고, 합리적으로 지도하며, 제한을 더 많이 할 뿐만 아니라 자율적인 태도로 자녀를 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적인 태도는 일반아 어머니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자율적인 태도가 자녀가 영재아로 자랄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능 수준에 따라 세 변인을 살펴본 결과 저지능 아동의 어머니는 즉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고지능 아동의 어머니는 합리적지도, 제한성, 자율적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TCT 창의성 검사 실시 후 상위30%와 하위30%로 나누어 그 아동에 따른 어머니의 세 변인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하위변인이 없었다. 이는 다른 연구와도 일맥상통한다. 즉, 창의성은 어머니의 놀이성, 양육행동 및 양육태도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어머니의

      • 신세대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키치 특성에 관한 연구

        趙京美 대구가톨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genetic background of kitsch as a public culture, and i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 of kitsch appeared in hairstyle of the new generation. Accordingly, I concentrically analyzed magazines on hairstyle and fashion in the last three years to my research. The concept of kitsch originated from the negative angle twisted worldly paintings in the sphere of aesthetics; as it were,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ll over the Europe in the end of 19th century mass produced the bourgeoisie, and such class needed to satisfy their desire for arts. Thus, kitsch appeared on the stage of cultural phenomenon connected with the public culture and the high grade culture in the process of civil society. However, the hairstyle of kitsch in the present is not the natural phenomenon of the ruling class but the public culture which expresses the natural phenomenon of the surrounding group. And kitsch has the side of opposite culture against the leading culture, by forming an influential sphere, namely, such hairstyle reflects the sign and the taste of the masses in plural society.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 appeared in hairstyle of the new generation by classifying it into the accumulative character, the unsuitable character, the amusing feature, the romantic feature, and the complex feature. First, the accumulative character showed the shape piled up long hair by ornamenting with various color, hairpins, and all sorts of hairpiece, and it produced a surplus image. Secondly, the unsuitable character showed the shape expressed an intemperance, a disorder, a lack of form, a disharmony of haircolor, and an asymmetrical haircut by representing unsuitable shape, size, and formal contents. Thirdly, the amusing feature showed the shape expressed a strong eroticism, elegances, a sexy style by applying the sexy beauty, images of sexy chaos as both faces of sex. Fourth, the romantic feature showed Indian, hippie, and ethnic style by expressing romantic naturalism, historicism, reactionism, and popularism in post modernism. Such feature was caused by the taste of romantist. Fifth, the complex feature showed the compound aspects of various colours, waves, and qualities in hairstyle by mixing heterogeneous elements.

      • 말기 폐암환자 및 가족의 호스피스 요구도

        조경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폐암은 암으로 인한 사망원인 1위이며, 사망률 1위의 심각한 질환으로, 조기발견이 어렵고 쉽게 전이되는 경향 때문에 생존률이 매우 저조하고 생존기간 동안 폐암환자는 질병으로 인한 고통, 치료의 부작용과 재발 가능성, 불확실한 결과로 인해 많은 어려운 일들에 부딪혀야 하며 대부분은 완치가 아닌 증상완화와 생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보존요법으로 치료를 받으며 임종에 직면하게 된다.호스피스는 임종 환자가 가장 두려워하는 외롭고 소외되고 버려진 상태에서 죽어가는 일이 없도록 돌봄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써, 말기 폐암환자들이 남은 생애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편안한 임종을 위한 호스피스간호 제공은 의미 있는 일이다.본 연구는 말기 폐암환자 및 가족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를 파악하여 그들의 간호요구를 충족시켜주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06년 4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서울 소재 3차 의료기관인 Y대학 S병원에서 말기 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환자 및 가족에게 본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말기 폐암환자의 인지와 관련된 특성에서 호스피스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20명(55.6%), 처음 들어본 대상자는 16명(44.4%)이었으며, 대상자는 모두 호스피스를 받은 경험이 없었다. “호스피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의 질문에 전체 대상자 36명(100%)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호스피스를 권유받는다면 동의하겠느냐는 질문에 30명(83.3%)의 대상자가 ‘그렇다’고 답하였고, ”호스피스에 대한 정보를 누구로부터 받고 싶은가“의 질문에 ‘간호사’ 28명(77.8%), ‘의사’ 8명(22.2%)으로 나타났으며 말기 폐암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지 및 필요성 차이에서 연령, 직업, 학력, 월수입, 거주형태(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2. 말기 폐암환자의 호스피스 요구도는 각 항목이 4점 만점이며 영역별 평균은 ‘전체 호스피스 요구도’ 3.54점, ‘신체요구’ 3.54점, ‘정서요구’ 3.57점, ‘영적요구’ 3.57점, ‘가족지지’ 3.50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중에서는 통증(3.84점)과 호흡곤란(3.83점)이 높게 나타났다.3. 말기 폐암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지 및 필요성 차이에서 연령(p<.05), 직업(p<.001), 학력(p<.001), 월수입(p<.001), 거주형태(p<.01), 주 간호자와의 관계(p<.01), 환자의 가장 고통스러운 증세(p<.01), 진단시기(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호스피스 요구도 차이에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호스피스 요구도는 ‘정서요구’(p<.01), ‘가족지지’(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직업에 따른 호스피스 요구도는 ‘신체요구(p<.01), ’가족지지‘(p<.001), ’전체 호스피스 요구도‘(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말기 폐암환자 가족의 호스피스 인지와 관련된 특성에서 ‘호스피스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50명(61%), 처음 들어본 대상자는 32명(39%)이었으며, ‘호스피스간호를 권유받는다면 동의하겠느냐’는 질문에 50명(61%)의 대상자가 ‘그렇다’고 답하였고, ‘호스피스간호에 대한 정보를 누구로부터 받고 싶느냐’는 질문에 ‘간호사’ 46명(56.1%), ‘의사’ 24명(29.3%)으로 나타났다.5. 말기 폐암환자 가족의 호스피스 요구도는 각 항목이 4점 만점이며 ‘전체 호스피스 요구도’ 3.45점 ‘신체요구’ 3.35점, ‘정서요구’ 3.69점, ‘영적요구’ 3.53점, ‘가족지지’ 3.56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의 평균에서 ‘불안’, ‘속마음이야기’가 3.7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통증’ 3.70점, ‘영양’ 3.65점, ‘호흡곤란’과 ‘우울’이 3.6점으로 높게 나타났다.6. 말기 폐암환자 및 가족의 호스피스 요구도 차이는 ‘신체요구’에서 환자의 요구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p<.05)한 차이를 보였고, 호스피스의 필요성은 환자 36명(100%), 가족 64명(7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p<.001)하였다.결론적으로 말기 폐암환자의 호스피스 요구도가 가족보다 높았으며 특히 ‘신체요구’에서 환자의 호스피스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젊고, 학력수준이 높으며,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도가 높고,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호스피스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호스피스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 크로만 유도체 TAL-1036의 GM-CSF 활성 증강 효능

        조경미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omulating factor (GM-CSF) is a protein secreted by macrophages, T cells, mast cells, endothelial cells and fibroblasts. It is a cytokine that functions as a white blood cell growth factor. GM-CSF stimulates stem cells to produce granulocytes and monocytes. GM-CSF is currently used as a medication to stimulate the production of white blood cells following chemo or radio-therapy. It is also used to accelerate white blood cell recovery following autologous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an effort to search for and characterize compounds enhancing the efficacy of GM-CSF, several hundreds of compounds were screened for their ability to stimulate the growth of a GM-CSF-dependent cell line, NFS-60. Chroman-2-carboxylic Acid-N-(3, 4-dimethoxyphenyl)amide (TAL-1036) was found to enhance the growth of NFS-60 cells in the presence of low concentration of GM-CSF. Addition of TAL-1036 to cultures of NFS-60 cells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the cells almost 100 percent compared to GM-CSF only control. However, TAL-1036 by itself did not induce increase of the proliferation of NFS-60. TAL-1036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other cell lines such as IL-2-dependent cell line (CTLL-2), IL-3-dependent cell line (Y-16), and RAW 264.7 cells. The effects of TAL-1036 on the generation of DCs from mouse BM cells were examined in vitro. Addition of TAL-1036 together with low concentration of GM-CSF to cultures of BM cells increased the generation of DCs almost 40% in number compared to the GM-CSF only control. To examine whether the DCs generated with TAL-1036 is functional, the MHC-restricted antigen presentation capability, phagocytic activity, expression level of cell surface molecule and secretion of cytokines were examined. DCs generated with TAL-1036 exhibited almost the same function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DCs generated in high concentration of GM-CS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L-1036 enhances GM-CSF activity and may have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n immunostimulating drug that? can restore blood leukocyte counts in patients receiving chemo- or radio-therapy.

      • 노인 낙상 후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경미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낙상 노인의 손상 실태를 파악하고 손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2015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 까지 지역 종합병원의 응급실을 내원한 만 65세 이상 노인 340명이었으며, 연구자가 선행 문헌을 통하여 자료수집 목록을 작성한 후 전자의무기록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목록은 일반적 특성, 손상 실태, 신체 및 질환관련 특성, 낙상관련 환경적 특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IBM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량 및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와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손상 정도는 경증 65명(19.1%), 중등도 이상 275명(80.9)으로 나타났다. 손상 형태와 진단명은 골절이 191명(56.2%)으로 가장 많았고, 손상 부위로 상지가 149명(43.8%)이었다. 응급실 진료 후 122명(35.9%)이 귀가를 했으며, 175명(51.5%)이 입원 치료를 했고, 그 중 111명(32.6%)이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평균 재원 기간은 19.52±14.90 이며, 퇴원 시 결과 호전 148명(43.5%), 호전 안됨 25명(7.4%), 사망 1명(0.3%) 으로 나타났다. 2. 여성이 219명(64.4%)으로 많았고, 평균 나이는 77.94±7.38세였다. 동거형태는 가족과 거주하는 대상자가 195명(57.4%)이었고, 보험유형으로 의료 보험이 306명(90.0%)었다. 보행장애를 가진 대상자가 42명(12.4%)이었고, 대상자 중 165명(48.5%)이 1~2개의 동반질환이 있었다. 질환은 고혈압이 187명(55.0%)으로 가장 많았고, 1~2개의 약물을 복용 하는 대상자가 177명(52.1%)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중 57명(16.8%)이 재낙상을 했고, 34명(10.0%)이 평소 음주력이 있다고 하였다. 낙상발생 시기는 9시에서 16시가 162명(47.6%)으로, 그리고 낙상발생 계절은 3월에서 5월이 93명(27.4%)으로 가장 빈번하였다. 낙상발생 장소로 실외는 거리가 70명(20.6%), 실내는 방이 71명(30.9%), 기관은 병실 침대, 병원 복도, 병원 화장실이 각각 14명(4.1%)으로 조사되었다. 낙상발생 형태로 미끄러짐이 222명(65.3%)으로 가장 많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상 정도를 분석한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 손상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χ²=8.462, p=.015). 신체 및 질환관련 특성에 따른 손상 정도를 분석한 결과 고혈압과(χ²=4.616, p=.032) 골다공증(χ²=5.302, p=.021)이 있는 경우 손상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동반질환이 있거나(χ²=26.130, p<.001), 약물을 복용할 때(χ²=27.448, p<.001), 그리고 평소 음주력을 가지고 있을 때(χ²=4.280, p=.039) 손상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관련 환경적 특성에 따른 손상 정도를 분석한 결과 낙상발생 장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타 기관의 대상자가 손상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χ²=11.835, p=.003). 4. 중등도 이상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85세 이상 노인이 65세~ 74세 노인에 비해 중등도 이상 손상 위험이 높았으며(OR=2.715, 95% CI=1.037-7.107),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노인보다 1~2개의 약물을 복용하는 노인이 중등도 이상 손상 위험이 높았다(OR=4.209, 95% CI=2.189-8.091). 본 연구에서 고령과 복용약물 개수는 낙상 후 노인의 손상 정도를 높이는 위험요인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80대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부작용과 낙상의 위험성에 대한 맞춤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낙상 발생시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처법과 연락망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대상자의 보호자에게도 이와 같은 사항을 함께 교육하여 낙상 예방 및 낙상 시 손상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everity of after-fall injur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injury severity among elderly individuals. This study included 340 geriatric patients aged 65 years and over who, between January 1, 2015 and December 31, 2016,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a local tertiary hospital after experiencing a fall incident.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 data collection list was designed. Data was collected thr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 data collection list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severity of wounds, body- or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fall-rel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rogress after the wound.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Fisher’s exact tests,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everity of injuries was mild in 65 individuals (19.1%) and moderate to severe in 275 individuals (80.9%). The most common injury type and diagnosis in 191 individuals (56.2%) was fracture. In 149 individuals (43.8%), the most commonly injured body part was the upper limb. After treatment at the emergency room, 122 individuals (35.9%) were discharged while 175 individuals (51.5%) were hospitalized. Of those hospitalized, 111 patients (32.6%) had surgery.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19.52±14.90 days. After hospitalization, 148 patients (43.5%) improved, 25 patients (7.4%) not improved, and 1 person (0.3%) died. 2. There were more female patients, 219 (64.4%), than male patients, and the mean age of all patients in this study was 77.94±7.38 years. With respect to patients’ living arrangements, 195 individuals (57.4%) were living with their families. Ninety percent of patients, or 306 individuals, had medical insuranc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walking difficulty was 42 (12.4%). Of all patients, 165 (48.5%) had one or two other diseases. Of these additional issues, hypertension was the most common and found in 187 patients (55.0%). The number of patients taking 1-2 medicines was 177 (52.1%). Of all subjects, 57 patients experienced another fall incident after the initial fall (16.8%). Ten percent of subjects, or 34 individuals, reported that they usually drink alcohol. For 162 individuals (47.6%), the most common time frame of fall occurrence was between 9 a.m. and 6 p.m., and the most common season of fall incidence was spring (between March and May) in 93 people (27.4%). The most common locations of fall occurrence were found to be outdoors on the street as reported by 70 people (20.6%), indoors in a room with 71 people (30.9%), or in hospital, falling out of hospital beds, in the hospital corridor and in the hospital rest room, where 14 individuals (4.1%) were affected in each place. The most frequent fall injury was slip found in 222 patients (65.3%). 3. When the severity of fall injuries was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older the patient, the more severe the injury. It wa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χ²=8.462, p=<.015). When wound severity was evaluated by body- or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patients with hypertension (χ²=4.616, p=<.032) or osteoporosis (χ²=5.302, p=<.021) sustained more severe injuries.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if patients had other diseases (χ²=26.130, p=<.000), were taking medicine (χ²=27.448, p=<.000) or drinking alcohol (χ²=4.280, p=<.039), severity of injuries increased. When the wound severity was assessed by fall-rel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rmined by the location of the fall. Patients who suffered a fall in other healthcare facilities had worse injuries (χ²=11.835, p=<.003). 4. When factors affecting the fall injury severity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patients aged 85 years or older were 2.715 times more likely than patients aged 65-74 years to have moderate or severe wounds (OR=2.715, 95% CI=1.037-7.107). Older adults taking 1-2 medicines were 4.209 times higher than those not taking medicine to sustain moderate or severe wounds (OR=4.209, 95% CI=2.189-8.091). In this study,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after-fall injuries in older adults were found to be age and the number of medicines patients were tak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on the danger and prevention of falls and the adverse effects of medicines, and proper response instructions and emergency contacts to be used in the event of a fall for individuals aged 80 and older in order to minimize injury. Furthermore, efforts also need to be made to educate caregivers of the elderly on these important issues to prevent falls and minimize injury when falls occur. Keywords: Elderly, Fall, Injury Severity, Risk Factors

      • 의약품 사용평가의 현황과 개선방향 검토

        조경미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약품 사용 평가(Drug Utilization Review, DUR)는 의약품의 처방이 적절하고 의학적으로 필요하며 부정적인 의학적 결과를 낳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 또는 시스템을 말한다. 의약품 사용 평가는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보장하고 비용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약물 요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과 우리나라의 의약품 사용 평가 제도에 관한 기존의 문헌을 조사하고 인터넷 전자 정보를 수집하였다. 문헌과 연구 자료는 데이터베이스(예. KMbase, MEDLINE 등)에서 국내외 논문들과 연구보고서들을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선정된 문헌들과 정보들을 참고로 하여 각 나라별로 의약품 사용 평가 제도의 발전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DUR 제도 발전에 계기가 된 미국 연방법 The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90 (OBRA’90)는 지역약국에서 처방 조제 서비스에 후향적, 전향적 의약품 사용 평가 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을 의무화한 법안이다. 이 법안에 따라 처방의약품을 조제하기 전에 전향적 DUR을 실시하고 조제 투약 이후에는 약제비 심사평가 전문평가기관(Pharmacy Benefit Manager, PBM) 등 관리 기관이 부적절하거나 의학적으로 불필요한 처방 등을 평가하는 후향적 DUR을 실시하게 되었다. 영국에서도 Prescribing Analysis and CosT (PACT) 분석을 통한 감사 제도, 독일에서도 Quality Circle (QC)을 통해 의약품 사용 평가를 실시한다. 우리나라의 DUR 제도는 의약분업의 시행으로 그 필요성이 증가되었고 병용 금기 및 특정 연령대 금기 성분을 지정하여 고시함으로써 제도적으로시행되었다. 이후 DUR 프로그램의 설치 의무화, 임산부 금기 의약품 지정등으로 발전하였다. DUR의 실행이 오래되지 않은 우리나라는 환자의 안정성을 위해 개발, 시행되어야 하는 시스템이 남아있으며 이를 위해 개선해야할 점들도 많다. DUR 제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DUR 대상 및 기준 데이터와 가이드라인의 적합성 확보와 지속적 관리,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DUR 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 등이 있다. 또한 DUR을 제공하는 의료인으로서의 약사의 역할이 중요하고 이를 위한 지침과 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DUR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관의 설립도 고려해 볼 수 있다. DUR은 의약품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도로 환자의 안전성 확보와 약제비 절감의 목표로 여러 나라에서 실행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DUR 제도의 정착을 위하여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drug utilization review (DUR) is to improve the quality and cost effectiveness of drug use by ensuring that prescriptions are appropriate, medically necessary and not likely to results in adverse medical result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DUR program and investigate a strategy for DUR in Korea. The background, evoluation, and current status of DUR in the developed countries was reviewed.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using MEDLINE, KMBASE and EMBASE databases, reference lists from relevant articles, and online sources, including news releases, conference materials, and reports. The U.S. Congress enacted the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of 1990'90 (OBRA'90). Both prospective DUR and retrospective DUR have been required for state Medicaid programs. This legislation offered the promise that DUR systems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drug prescribing and patient drug use. Pharmacy Benefit Management companies(PBMs) apply managed-care principles and procedures to pharmacy benefits in an effort to contain costs and improve quality of care. In Europe, various tools have been used to influence physician-prescribing behavior. Auditing was implemented through the Prescribing Analysis and CosT(PACT) system in the UK. Germany has also had a periodic review of physicians(Quality Circle) individual prescribing activity. In Korea, the drug use process has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new pharmacy law was implemented in 2000, separating the prescribing and dispensing functions between physicians and pharmacists and mandating prospective DUR practice by pharmacists immediately before dispensing medications. And simple descriptive studies of drug ut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must start and continue in order to optimize drug therapy and to save costs in health care. Korea attempt to draw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 better health care system. DUR is a quality assurance system that holds promise as a tool that, if implemented effectively, could enhance appropriate drug use. Information systems and databases are essential to perform DUR program and DUR study. We believe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DUR is needed. And we suggest adoption of performance standards for pharmacists and explicit remuneration for time spent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drug therapy problems.

      • 도시 근로자의 직업군에 따른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조경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분업화, 전문화와 함께 급격한 사회변화로 타인과의 경쟁을 요구하고, 생활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정적인 생활, 영양과잉으로 인한 비만, 자동화 공정의 증가, 그리고 단조로운 반복작업으로 인한 운동 부족, 직무불만족 등 많은 스트레스를 발생시키고, 새로운 형태의 건강장해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아 졌다. 스트레스가 위궤양과 성인병 발병 요인의 70%를 차지하고 있다는 보고서도 있으며(변종화, 1997), 미국에서도 질병의 70%~90% 정도가 스트레스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Dalton, 1992, Schnake, 1990). 또한 노동력의 증가와 함께 노동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고 있다. 사업장에서의 스트레스관리의 목적은 스트레스를 완전히 없애버리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하는 것은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유익하지도 않다. 만약 거의 스트레스를 안 받아서 도전이나 흥분이 없다면 지루해 할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스트레스가 너무 많이 주어진다면 부담스럽고 불안해 할 것이다. 이러한 두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건강과 성취도가 손상될 것이므로, 개인으로 하여금 새로운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 관리능력을 증대시키거나 조직의 분위기, 문화 또는 정책 등을 변화시켜서 스트레스를 주는 요소를 줄이거나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자신들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직업을 분류하는 방식대로 사무관리직, 전문기술직, 전문 사무직, 정보통신 전문직, 문화 예술직 등으로 도시근로자를 분류한 다음, 각 직종별로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조사해서 스트레스의 정도와 원인 등을 알아 스트레스 대처에 도움이 되고자 도시 근로자의 직업군(職業群)에 따른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의 한 의료검진기관에서 건강검진을 받으러 온 서울과 서울근교에 거주하는 남녀 직장인 187명을 대상으로 회수된 설문지를 가지고 SPSS/WIN을 통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로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직업별, 직위별로 생활 스트레스나 직무몰입,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ANOVA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요약을 얻었다. 1. 질병소견은 응답자중 위장촬영, 위내시경 결과상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의 소견이 19.0., 고혈압 소견이 19.6로 나왔다. 2. 직업군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의 경우는 육체적인 활동을 주로 하는 영업 판매업에 관계하는 사람들이 가장 높았으며 정보통신업체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직무몰입은 정보통신업체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고 영업판매업에 관계하는 사람들이 가장 낮았다. 즉 생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직무몰입의 정도가 낮고 직무몰입의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고 나왔다. 3. 직위별로 보면 부장 이상이 생활스트레스가 가장 낮은 반면 과장과 차장의 생활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직무몰입의 정도는 부장 이상이 가장 높았고 대리 이하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직업별로 본 직무 스트레스는 건설업에 종사하는 군이 평균 4.89로 가장 높고 영업판매 4.56, 정보통신 4.32 순이었다. 5. 직위별로 본 직무 스트레스는 과장이상, 부장이하 평균이 4.82로 가장 높았으며 대리 이하 평사원이 3.89로 가장 낮았다. 6. 직업군에 따라서 지각된 직무특성에서는 정보통신업종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직업에 대하여 가장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간호사, 은행원 순이었고 건설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직무특성에 관하여 가장 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직무만족은 영업판매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평균이 6.49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간호사들이 4.61로 가장 자신들의 직무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나왔다. 8. 직위별로 본 직무특성상 부장 이상이 직무특성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었고 대리이하 평사원이 가장 자신들의 직무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기업의 특성은 업무수행이 높고, 승진의 기회가 있으며, 개인노동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기업의 가치와 부합되는 경영을 하는 것이며, 건강은 노동력의 증가와 함께 노동생산성 에 영향을 주며, 사람이 인간다운 생활을 하며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요소임과 동시에, 복지 사회 건설의 열쇠인,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자세를 복 돋아준다. 따라서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관리는 개인의 건강유지 및 증진뿐만 아니라 건전한 작업환경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산업복지 측면에서 효과적인 스트레스관리, 근로자들의 건강증진, 사기고취, 복지증대, 스트레스로 인한 조직의 비용과 손실의 절감, 기업의 높은 효율성 증대 등 근로자들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복지를 증진시켜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