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두, 사과, 배 및 쌀당화액 주스를 첨가한 유산균 발효 청국장주스 개발

        정현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Development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Cheonggukjang juice added with soybean, apple, pear and saccharified rice juice. By Hyun-ji Jeong Master of scienc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Myung Joo Han, Ph.D Yunhyuk Jang, Ph.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lactic acid bacteriafermented Cheonggukjang juice by adding soybean, apple, pear, and rice saccharified juice, and to develop functional juice for the elderly by selecting the optimal fermentation time and added juice. Boiled soybeans were inoculated with Bacillus subtilis and fermented at 50°C for 48 hours to produce Cheonggukjang. Soybean, apple, pear, and rice saccharified juices were prepared, and Cheonggukjang and juice were mixed 1:2 and grou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juice prepared after inoculation with 6% allulose and 1% mixed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fermentation at 30°C for 0, 8, 12, 16, 20, and 24 hours were evaluated.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for Bacillus viable cell count, Lactic acid bacteria, pH, titratable acidity, oBrix, reducing sugar, color, amylas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For sensory evaluation, soybeans, apples, pears, and soybeans were tested for 24 hours after fermentation. Rice saccharification liquid Cheonggukjang juice was used. The number of Bacillus viable bacteria,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titratable acidity, amylase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soybean, apple, pear, rice saccharified juice, and Cheonggukjang juice significantly increased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The highest levels were observed at 24 hours. The pH, oBrix, and reducing sugar levels of soybean, apple, pear, and rice saccharified juice Cheonggukjang significantly decreased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 of soybean, apple, pear, and rice saccharified Cheonggukjang juice fermented for 24 hours, soybean Cheonggukjang juice and apple Cheonggukjang juice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erms of sweetness, sourness, texture in the mouth, and overall preference. In conclusion, 24 hours is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time for the production of soybean, apple, pear, and rice saccharified Cheonggukjang juice, and it is believed that soybean and apple Cheonggukjang juice is suitable as a functional beverage for the elderly. Keywords: Cheonggukjang juice, soybeans, apple, pear, saccharified rice, lactic acid bacteria 국문 초록 대두, 사과, 배 및 쌀당화액 주스를 첨가한 유산균 발효 청국장 주스의 개발 정현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지도교수: 한명주, 장윤혁 본 연구의 목적은 대두, 사과, 배 및 쌀당화액 주스를 첨가하여 유산균 발효 청국장 주스 를 제조하고, 최적의 발효 시간과 첨가 주스를 선별하여 고령자를 위한 기능성 주스를 개발하 는 것이다. 삶은 대두에 Bacillus subtilis 를 접종하여 50℃에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청국장을 제조하고, 대두, 사과, 배 및 쌀당화액 주스를 각각 제조한 후 청국장과 주스를 1:2 비율로 혼 합하고 분쇄하였다. 6% 알룰로스와 1% 혼합 유산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를 접종한 후 30℃에서 0, 8, 12, 16, 20 및 24시간 동안 발효시 킨 후 제조된 청국장 주스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품질 특성은 Bacillus 생균수, Lactic acid bacteria, pH, 적정산도, oBrix, 환원당, 색도, amylase,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관능평가의 경우 발효 24시간 대두, 사과, 배 및 쌀당화액 청 국장 주스를 사용하였다. 대두, 사과, 배 및 쌀당화액 청국장 주스의 Bacillus 생균수, Lactic acid bacteria , 적정산도, amylase 활성,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 효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 내었다. 대두, 사과, 배 및 쌀당화액 청국장 주스의 pH, oBrix 및 환원당 수치는 발효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4시간 동안 발효시킨 대두, 사과, 배 및 쌀당화액 청국장 주스의 관능검사 결과 단맛, 신맛, 입안에서의 질감 및 전반적인 선호도에서 대두 청국장 주스 와 사과 청국장 주스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대두, 사과, 배 및 쌀당화액 청국장 주스의 제조를 위한 발효 시간은 24시간이 적합하며 대두 및 사과 청국장 주스가 고령 자용 기능성 음료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청국장주스, 대두, 사과, 배, 쌀당화액, 유산균

      • 임준희 작곡 해금과 가야금과 피아노를 위한 <아리랑 산조> 선율분석 및 비교 연구 : 해금 선율과 바이올린 선율을 중심으로

        정현지 한국예술종합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for 〈Arirang Sanjo〉 for Haegeum, Gayageum and Piano by June Hee Lim,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Arirang’, a representative Korean folk song, was modernized in the work by analyzing the melodic characteristics and rhythmic composition of each instrument. In addition, as for the both pieces 〈Arirang Sanjo〉 for Violin, Gayageum and Piano and 〈Arirang Sanjo〉 for Haegeum, Gayageum and Piano, the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 in the musical expressions of both instrument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elodies of the violin and those of Haegeum.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 〈Arirang Sanjo〉 for Haegeum, Gayageum and Piano, the original melodies of Bonjo Arirang and Miryang Arirang were used in the entire piece through their deconstruction, variation and extension in various manners. It may be divided into 8 paragraphs based on the rehearsal table. Melodies of Bonjo Arirang are used in the paragraphs A-B-C, and those of Miryang Arirang are used in the paragraphs D-E-F. The paragraph G corresponding to a cadenza is performed based on the melodies of Bonjo Arirang and in the paragraph H the piece comes to an end through the variation of Miryang Arirang melodies. In the entire piece, the original melody of Arirang is used as it is or created through a variety of languages by extending the thematic melodies or adding a new melody with the rhythm modified. In particular, modification and variation are done for Arirang melodies by two-bar unit in the entire piece. Secondly, 〈Arirang Sanjo〉 for Haegeum, Gayageum and Piano shows the characteristic execution of each instrument. Haegeum, using the both traditional and modern techniques, expresses the natural and composed timbre of its motive, melodies of Arirang. As for Gayageum, Jinyangjo and Jungjungmori melodies of Sanjo are used with the traditional technique so the melodies of Sanjo are added to those of Arirang as shown from the title 〈Arirang Sanjo〉. The piano expresses the timbre of the percussion, playing the same role as Janggu that beats out a rhythm. Furthermore, a tone contrast according to the register is achieved by repeating a wide range of octaves in a ♫ or ♬ rhythm, with the harmony and arpeggio, and a rich sense of dimension is created. It is unusual that three instruments play the thematic melodies at the same time but in case of tutti it is used as a climax or modulation for the following paragraph. When the melodies are played mainly by one or two instruments, the rest plays a role of the accompaniment to achieve the harmony. Thirdly,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elodies of the Haegeum and those of the violin in 〈Arirang Sanjo〉 for Haegeum, Gayageum and Piano and 〈Arirang Sanjo〉 for Violin, Gayageum and Pian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usical expressions of the techniques and Sigimsae caused from the instrumental structures of the Haegeum and the violin. Haegeum with two strings has the instrumental characteristic that produces a tone by pressing the string so it has a unique effect with various microtones or ornaments. The folk song Arirang could be expressed with more traditional sense of color through the Daruchigi technique owned only by Haegeum and th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Nonghyeon and Toeseong along with various Sigimsae. In case of the violin unlike Haegeum, it is possible to make an accurate tone because it is made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on the fingerboard. Therefore, performance with shred and legato is also possible and splendid and rich performance gives the folk song Arirang a modern sense of color by using special techniques such as doubling and pizzicato. The analysis above shows that 〈Arirang Sanjo〉 for Haegeum, Gayageum and Piano by June Hee Lim is the work which makes the most of the aesthetics of the vibrant and sensitive folk song Arirang as the modern creation with the traditional language, using the melodies of Bonjo Arirang and Miryang Arirang and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unique to each instrument. With a focus on the expansion of the compass of Haegeum and also on lyricism of folk songs using a variety of Nonghyeon and techniques, the research found out the unique aesthetics of Arirang and a potential for a novel acoustic combination. Besides, rather than a simple exchange between the violin and Haegeum, it is expected to conduct an experimental performance that integrates Korean traditional with Western music from a new manner. This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expansion of Haegeum areas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Haegeum music. 본 연구는 임준희 작곡 해금과 가야금, 피아노를 위한 <아리랑 산조>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의 대표 민요인 ‘아리랑’이 작품에서 어떤 전개 방식을 통해 현대화 하였는지를 각 악기의 선율적 특징과 리듬 구성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 바이올린과 가야금과 피아노를 위한 <아리랑 산조>와 해금과 가야금과 피아노를 위한 <아리랑 산조>의 두 악곡에서 바이올린 선율과 해금 선율의 비교 분석을 통해 두 악기의 음악적 표현 차이와 관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금과 가야금과 피아노를 위한 <아리랑 산조>는 본조 아리랑과 밀양 아리랑의 원형 선율이 다양한 방식으로 해체, 변주, 확장되어 곡 전체에 걸쳐 사용되었다. 리허설 표를 토대로 총 여덟개의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A-B-C단락에서는 본조 아리랑 선율이 쓰이며, D-E-F단락에서는 밀양 아리랑 선율이 나타났다. G단락은 카덴차 부분으로 본조 아리랑 선율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H단락은 다시 밀양 아리랑 선율을 변주하여 곡을 마무리하였다. 곡 전체에서 아리랑의 원형선율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주제 선율을 확장시키고, 리듬을 변형하여 새로운 선율을 더해 아리랑 선율을 다양한 어법으로 창작하였다. 특히, 아리랑 선율을 두 마디 단위로 변형 및 변주시키며 곡 전체에 걸쳐 사용되었다. 둘째, 해금과 가야금과 피아노를 위한 <아리랑 산조>는 각 악기마다 특징적인 연주법이 나타났다. 해금은 전통주법을 살리면서 현대주법도 함께 사용하여 모티브인 아리랑 선율의 자연스럽고 여유있는 음색을 표현하였다. 가야금은 전통주법과 함께 산조의 진양조와 중중모리 선율을 활용하며 곡 제목인 <아리랑 산조>처럼 아리랑 선율에 산조 선율이 더해지며 진행되었다. 피아노는 장단을 맞춰주는 장구와 같은 역할로 타악기적 음색을 표현하였다. 또한 넓은 음역대의 옥타브를 ♫ 혹은 ♬ 리듬으로 반복하여 음역대에 따른 음색 대비를 이루면서, 화음과 아르페지오 기법을 더해 풍성한 입체감을 형성하였다. 세 악기가 동시에 주제 선율을 연주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나, tutti로 나오는 부분에서는 클라이맥스로 고조되거나 다음 단락을 위한 전조의 의미로 쓰였다. 두 악기 또는 한 악기가 주도적으로 선율을 연주할 때에는 나머지 악기가 반주의 역할을 하며 하모니를 이루었다. 셋째, 해금과 가야금과 피아노를 위한 <아리랑 산조>와 바이올린과 가야금과 피아노를 위한 <아리랑 산조>의 해금 선율과 바이올린 선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해금과 바이올린의 악기 구조에서 오는 테크닉과 시김새의 표현 등 음악적인 표현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해금은 현이 두줄 이므로 줄을 눌러 잡아 음을 내는 악기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미분음들이나 꾸밈음으로 독특함이 주는 효과가 있다. 해금만이 가지고 있는 다루치기 기법과 농현, 퇴성과 같은 전통적인 기법들과 다양한 시김새로 아리랑 민요를 좀 더 전통적인 색채감으로 표현하였다. 바이올린은 해금과 달리 지판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옮기며 음을 짚기 때문에 정확한 음을 낼 수 있다. 그래서 속주 및 레가토로 연주할 수 있고, 더블링과 피치카토 등 다양한 특수주법을 사용하여 화려하면서도 풍부한 연주로 아리랑 민요에 현대적인 색채감을 주었다. 이상과 같이 작품을 분석한 결과, 임준희 작곡 해금과 가야금과 피아노를 위한 <아리랑 산조>는 본조 아리랑과 밀양 아리랑의 선율을 활용하여 각 악기의 고유한 특징을 표현하였으며, 전통적인 어법이 어우러지며 현대적인 창작의 영역으로서 생동감 있고 감각적인 아리랑 민요의 미감을 살리는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해금 음역의 확장과 다채로운 농현과 주법의 활용으로 민요가 갖는 서정성을 중점에 두며 아리랑의 색다른 아름다움과 새로운 음향적 조합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단순히 바이올린과 해금을 서로 바꾼 것 뿐 아니라, 국악과 서양악의 새로운 융합의 실험적 연주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국음악의 발전에 해금의 영역확장과 해금 창작음악의 발전에 보템이 되기를 기대한다.

      •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러시아 5인조 민족주의 음악 지도방안 연구

        정현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lended-learning based teaching method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nationalism music, which emerged against Romanticism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prominent group of nationalism composers, the Russia Five.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lended learning, explored cooperative learning models for students’ class involvement, and selected models that could be applied to each class topic. In addition,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nationalist music in the 19th century. A comparative study was also conducted for each platform to select one to be used in the blended learning class.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a teaching plan where three sessions of face-to-face classes are provided with online formative evaluation was developed, which was experimented with two experts including one incumbent middle school music teacher and eight students for validity. As a result, two different problems were identified. First, the duration of 45 minutes per class was too tight to perform all the stages of the Jigsaw Ⅲ model. Second, the core of the class was “content learning,” which could turn into “a game” for the formative evaluation, resulting in the tail wagging the dog. By resolving such problems based on the Z-type blended learning, where online and offline classes alternate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of each class, a five-session teaching plan was developed using three cooperative learning models. The first session is an offline class that uses the STAD model to teach the emergence of nationalism music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development in each country, including Russia, Czech Republic, Finland, and Norway. In the second and third sessions, the Jigsaw Ⅲ model is used. The second session is an offline class where an expert leads learning activities on the Russia Five, and the third session provides an online class including peer-tutoring activities within the population. In the fourth and fifth sessions, card news-making activity is conducted on the Russia Five based on the GI model. The fourth session is an online class, where small groups are formed to assign roles and perform exploring and making activities, and the fifth session is an offline class consisting of group presentations and self-evaluation. For the online class platform, available functions were sele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focusing on accessibility. For group activities, Zoom was selected as the class platform since it offers the Zoom Room function, and ThinkerBell was selected as the activity support platform for its various learning contents on the website. This study developed blended learning-bas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for music history by utilizing an online learning platform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music history class, where students appreciate music after listening to what the teacher has to present. Using blended learning, the scope of learning is expanded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learning materials tailored to the needs of each student can be provided, reducing learning deficits. In this regard, even after the COVID-19 pandemic is over, blended learning will be positioned as an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education. In conclusion, the teaching guidance and content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blended learning for music and follow-up research.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organized for the effective classes on the music history of a range of times.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여 19세기 후반 낭만주의에 대항하여 등장한 민족주의 음악과 대표적인 민족주의 작곡가 그룹 러시아 5인조에 대한 지도방안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블렌디드 러닝의 개념과 유형,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학생참여수업을 위해 협동학습 모형들을 탐색 후, 각 차시 별 수업 주제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들을 선택하였다. 19세기 민족주의 음악과 발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활용할 플랫폼의 선택을 위해 각 플랫폼 별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 초, 3차시 수업으로 대면수업을 전제로 형성평가만을 온라인으로 실시하는 지도안을 구성하여 현직 중학교 음악교사 1명을 포함한 전문가 2명과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지도안 검증을 진행하였다. 지도안 검증 결과 두 가지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한 차시 45분의 시간은 Jigsaw Ⅲ 모형의 모든 단계를 진행함에 있어 굉장히 촉박한 시간이며, 둘째, 수업의 핵심은 ‘내용 학습’이며 형성평가를 위한 ‘게임’으로 주객전도 될 위험이 있다는 것이었다. 이를 수정 및 보완하여 차시 별 학습 내용에 따라 온·오프라인 수업을 번갈아 진행하는 Z형 블렌디드 러닝을 바탕으로 세 가지의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총 5차시의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1차시는 오프라인 수업으로, STAD 모형을 활용하여 19세기 후반 민족주의 음악의 등장과 러시아, 체코, 핀란드, 노르웨이 각 나라 별 발전양상에 대해 학습한다. 2~3차시는 Jigsaw Ⅲ 모형을 활용하여 2차시는 오프라인 수업에서 러시아 5인조에 대한 전문가 학습활동을 진행하며, 3차시는 온라인 수업으로 모집단 내 또래교수 활동을 진행하도록 구성하였다. 4~5차시는 학습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GI 모형을 적용하여 러시아 5인조에 대한 카드뉴스 만들기 활동을 진행한다. 4차시는 온라인 수업으로 소집단 형성 후, 역할분담 및 탐구·제작활동을 진행하며, 5차시는 오프라인 수업으로 모둠 별 발표 후 자체평가를 진행하도록 수업을 구성하였다. 수업에 활용하는 온라인 수업 플랫폼은 접근성을 우선으로 활용 가능한 기능들을 비교·분석하여 선정하였다. 모둠 활동을 위하여 소회의실 기능이 있는 Zoom을 수업 진행 플랫폼으로 선정하였으며, 활동 보조 플랫폼으로는 사이트 내 다양한 학습 활용 콘텐츠가 있는 ThinkerBell을 선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내용전달 후 단순한 감상에 그치는 기존 음악사 수업의 대안으로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하여 블렌디드 러닝으로 음악사를 지도하는 교수·학습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다면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학습을 함으로써 학습의 장이 확대되며, 학생 개개인의 요구에 맞는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 학습의 결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팬데믹 상황에 끝난 후에도 교육에 있어서 블렌디드 러닝은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도방안과 콘텐츠가 음악 수업에 있어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과 다양한 온라인 수업 콘텐츠 개발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다양한 시대의 음악사 수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재구성되어 효과적인 음악사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전통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를 이용한 기능성 된장의 제조

        정현지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Doenjang is a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and widely consumed in Korea. The consumption of doenjang has been gaining popularity due to their excellent nutritional value and beneficial impact on human health, such as anticancer activity and antimetastatic property. Doenjang has been traditionally manufactured meju, which is a fermented rectangular block of crushed cooked soybeans and includes naturally inoculated bacterial strains, such as Bacillus species and lactic acid bacteria, and molds of Aspergillus Mucor, and Rhizopus species. In this study, bacterial strains possessing both fibrinolytic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in addition to proteolytic activity were screened and isolated from various traditional doenjang and preparation of functional doenjang using functional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commercial doenjang. First, total 264 isolates showing proteolytic activity were isolated from 14 different doenjang samples. Among them 4 strain producing both of fibrinolytic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 into the culture medium selected. The level of ACE inhibitory effect of KHG 19, KHG 26, KHP 16 and KHP 25 strains were about 82.5, 78.5, 74.5 and 75.6% of inhibition ratio in soybean powder broth, respectively. Al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sed of 16S rRNA sequence analysis. Bacterial-koji was prepared as 4 isolates and then doenjang was manufactured by using this bacterial-koji and salt with concentration of 10% (w/v). During 3 months of aging, moisture contents, pH, chromaticity, total bacteria contents, flavor of these 4 doenjangs were maintained a constant value. Among 4 strains, the KHG 19 strain did not produce volatile compounds reported as off-flavor of doenjang and demonstrated the highest protease, fibrinolytic,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The functionality and the volatile compound profile of KHG 19 strain suggest possibility of producing functional doenjang with positive flavor by using this strain. This resul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production of functional doenjang made with Bacillus amyloliquefaciens-koji and related products with more acceptable flavor. The functionalities, especially fibrinolytic activity were relatively high when they were compared to those commercial products. The functionalities of KHG 19 itself were maintained well enough in the doenjang. 된장은 한국의 전통 재래 된장으로서 영양적으로 우수하고 항암성, 항산화 능력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된장은 메주로 만들어지며 메주 안에는 Bacillus 종이나 유산균, Aspergellus Mucor, Rhizopus 속과 같은 다양한 곰팡가 자연적으로 번식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 재래 된장으로부터 단백질 분해능력, 혈전 용해 능력, ACE 저해활성이 높은 균주를 분리하여 이취가 적고 기능성을 가진 된장의 제조를 목표로 하고 있다. 먼저 14종의 한국 전통 재래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264개의 균주를 단백질 분해능, 혈전 용해능, AC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4개의 균주를 선별할 수 있었다. 선별된 4개의 균주의 ACE저해활성은 KHG19, KHG 26, KHP, 16, KHP 25가 각각 82.5, 78.5, 74.5, 75.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선별 된 4개의 균주를 16S rRNA gene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모두 B. amyloliquefaciens 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렇게 분리된 4개의 균으로 기능성 된장을 제조하여 총 균수, pH, 수분 함량, 색도, 향 측정을 실시한 결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 중 기능성이 가장 높은 KHG 19균주를 이용해 large scale로 된장을 제조하였다. B. amyloliqufaciens-koji KHG 19 된장을 0, 1, 2, 3, 4 개월 동안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pH와 수분함량, 색도는 시판 된장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16] 염도는 시판 재래 된장이나 개량 된장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청국장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총 균수는 3개월째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KHG 19의 우점율은 2개월에서 최대치를 나타냈다. 관능검사 결과 B. amyloliquefaciens-koji 된장의 염도가 낮다고 분석되었으며 기호도는 시판 된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분해능과, 혈전 용해능, ACE 저해 활성도 시판 된장에 비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한국 전통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기능성 균인 KHG 19로 이취가 적고 기능성을 가진 된장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Mycobacterium tuberculosis 감염과 치료에 따른 엑소좀 유래 miRNA 발현 비교 분석

        정현지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uberculosis (TB) is a disease caused by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The currently used tuberculosis diagnostic method (sputum smear and culture) has a sensitivity of 34-80% and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complete. On the other hand, the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 (real-time PCR, GeneXpert® MTB/RIF, LAMP) can be completed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 but there is a limitation as it must be conducted in a biosafety level 3 facility.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se sputum-based diagnostic methods, a non-sputum diagnostic method must b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hange in plasma-derived exosomal miRNA expression after tuberculosis infection and treatment was comparatively analyzed and its potential as a non-sputum diagnostic biomarker was confirmed in the future. A mouse tuberculosis infection and treatment model was constructed, and exosomes were isolated from mouse plasma. It was confirmed that the isolated exosomes were successfully separated through the expression of specific proteins CD63, CD9, CD81, and TSG101 and electron microscopy. Sequencing was performed by extracting miRNAs present in the exosomes and, as a result, a total of 2,118 miRNAs were expressed. A total of 58 miRNA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0.05) expression change in the untreated group, and the significantly expressed miRNAs in the 2, 4, 8, and 12 weeks after treatment were 20, 21, 15, and 167, respectively. Most miRNAs increased or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during the 12 weeks of treatment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Among 22 miRNAs, 4 miRNAs involved in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and apoptosis (mmu-let-7a-5p, mmu-let-7b-5p, mmu-miR-26a-5p, and mmu-miR-29b-3p) were selected. When the KEGG pathway was analyzed to predict the function of these miRNAs,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involved in apoptosis and the T cell receptor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exosomal miRNA expression changes during tuberculosis infection and treatment, which allowed us to predict the miRNA function to increase or decrease after treatment. If the functional verification of the miRNA and specificity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are confirm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iRNA can be a non-sputum-based indicator that can confirm the course of treatment. 결핵(Tuberculosis, TB)은 항산균인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에 의해 감염되는 질환이다. 현재 사용되는 결핵 진단법인 객담 도말 및 배양 검사는 34-80%의 민감도를 보이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결핵균 핵산증폭검사(Real time PCR, GeneXpert® MTB/RIF, LAMP)는 비교적 짧은 시간 내 검사가 가능하지만 생물안전 3등급 시설에서 취급 해야하는 제한이 있다. 이러한 객담 기반 진단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비객담 진단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결핵 감염 및 치료 후 혈장 유래 exosomal miRNA 발현변화를 비교분석하고 추후 비객담 진단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우스 결핵 감염 및 치료 모델을 제작하고 마우스 혈장에서 엑소좀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엑소좀은 특이 단백질인 CD63, CD9, CD81, TSG101의 발현과 전자현미경 촬영을 통해 성공적으로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엑소좀 내에 존재하는 miRNA를 추출하여 시퀀싱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전체 2,118개의 miRNA가 발현되었다. 미치료군에서 유의한(p<0.05) 발현변화를 보인 miRNA는 총 58개였으며, 치료 후 2주, 4주, 8주, 그리고 12주차 그룹에서 유의하게 발현된 miRNA는 각 20개, 21개, 15개, 그리고 167개였다. 미치료군 대비 치료 12주차에서 가장 많은 miRNA가 유의하게(p<0.05) 증감하였으며, 22개의 miRNA 중 면역반응과 염증반응, 그리고 세포 자살에 관여하는 4개의 miRNA (mmu-let-7a-5p, mmu-let-7b-5p, mmu-miR-26a-5p, mmu-miR-29b-3p)를 선별하였다. 이들의 기능 예측을 위해 KEGG pathway를 분석하였을 때 세포 자살(apoptosis), T 세포 수용체 신호전달 경로(T cell receptor signaling pathway) 등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결핵 감염 및 치료과정에서 exosomal miRNA 발현변화 비교분석을 하였고, 치료 후 증감하는 miRNA의 기능을 예측하였다. MiRNA의 기능 검증과 결핵균 특이성이 확인된다면 해당 miRNA는 치료 경과를 확인할 수 있는 비객담 기반 지표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공력개선 디자인 아이템을 적용한 차량의 공기역학적 성능 연구

        정현지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 제조사들은 연료효율 향상을 위해 관성저항, 구름저항, 등판저항, 공기저항 등 주행저항 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행저항 중 특히 공기저항은 자동차 속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공기저항 감소를 위한 연구는 필수적으로 진행돼야 한다. 차량이 받는 공기저항 중 디자인에서 차지하는 공기저항이 약 70%에 달하기 때문에 공기저항 감 소를 위해서는 공기저항을 덜 받는 디자인을 개발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자동차 공력개발팀과 국민대학교 자동차운송디자인 학과 (송인호교수 중심)와 협업을 통해 공기역학적 성능 향상을 위한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팀에서는 디자인 팀에서 추구하는 컨셉을 보다 더 구현가능하고, 공력학적 최적화에 다가갈 수 있도록 CFD해석을 통해 디자인별 상대적 비교 해석치를 제공해 디자인 개선방향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였다. 세단 (Notchback)자동차의 공력 성능 향상을 위해 CFD 해석을 통해 세단 차량의 유동특성 파악 후 세단 차량에 맞는 공력개선 디자인을 연구했으며, 초기 검증단계를 거친 디자인 결과는 1/4 축소 모 형으로 제작해 풍동시험을 진행했다.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automotive aerodynamic performance improvements. At high speeds, air resistance is so strong that research to reduce air resistance is essential. One way to improve automotive aerodynamics is to apply an aerodynamic design. To develop the aerodynamic improvement design, we carried out design development research with the design team.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design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STAR-CCM+. Through the interpretation, the aerodynamic improvement design was discovered, and the improved design was made into the 1/4 scale model. A wind tunnel test of a 1/4 scale model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nalytical results. In some cases, analysis results and test results are different, but all results will remain as good data.

      • 건축물 해체공사 시스템의 Safety Contorl Structure Model 개발

        정현지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국의 노후화 건축물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도심지 재개발 등을 원인으로 건축물 해체공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건설공사 중 부실시공 및 관리 감독 미흡으로 발생하는 구조물 붕괴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해체공사 이해관계자별 안전의식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해체공사 시스템과 관여된 이해관계자 사이의 안전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Safety control structure 모델을 제안하였다. Safety control structure 모델 도출을 위해 시스템적 사고 분석 기법인 AcciMap과 STAMP CAST 분석을 실시하여 건축물 해체공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들과 안전 제어사항을 분석하였다. 두 가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STAMP STPA 분석을 실시하여 건축물 해체공사 시스템의 표준 Safety control structure 모델을 개발하였다. 붕괴 사고는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해체공사 허가의 단계에서부터 많은 이해관계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허가권자는 해체계획서 검토부터 해체공사 시행단계까지 해체공사 시스템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허가권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안전조치를 점검하고 시정 조치를 하는 등 해체공사 안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감리자의 역할 또한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해체공사 붕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이해관계자의 안전 제어사항이 적절히 이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도출된 Safety control structure 모델을 통해 체계적인 사고 분석과 재발 방지 대책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s the proportion of aging buildings across the country increases, the number of building demolition works is increasing due to the redevelopment of downtown areas. Recently, as the number of structural collapse accidents caused by poor construction and insufficient supervision during construction work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safety awareness for each stakeholder in demolition construction has emerged. Therefore, in this study, a safety control structure model that can analyze the safety interaction between the building demolition system and the stakeholders involved was proposed. In order to derive the safety control structure model, AcciMap and STAMP CAST analysis, which are systematic accident analysis techniques, were performed to analyze risk factors and safety control items that may occur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Based on the two analysis results, a STAMP STPA analysis was finally performed to develop a standard safety control structure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collapse accident is not only a technical problem, but also affects many stakeholders from the stage of demolition construction permit.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permitting agency is judged to be very important as it is analyzed that the permit holder has an overall effect on the demolition work system from the review of the demolition plan to the implementation stage of the demolition work. In addition, the role of the demolition supervisor who directly affects the safety of the demolition work, such as checking safety measures and taking corrective actions, was also analyzed to be importan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safety control items of various stakeholders must be properly implemented in order to prevent collapse accidents in demolition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