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등학교 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

        정수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효율적인 건강증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교사 234명이며, 자료수집은 2016년 10월 5일부터 2016년 10월 30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건강지각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평점 2.94점이었고, 건강상태 정도는 3점 만점에 평균평점 1.59점이었다. 건강상태 하위영역 중 신체 건강상태는 1.54점, 정신 건강상태는 1.67점이었다. 신체 건강상태 중 다자각 증상 호소가 1.61점, 정신 건강상태 중 신경질 증상 호소가 1.98점으로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평점 2.66점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으로는 영적성장이 3.15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책임이 2.00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지각과 건강상태(r=-.592, p<.001),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r=-.407, p<.001)는 모두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r=.316, p<.001)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건강상태 항목이 유의한 음의 상관성(t=-4.517, p<.001)을 나타냈고, 설명력은 19.6%이었다. 초등학교 교사는 중간보다 높은 정도의 건강지각, 중간 정도의 건강상태 그리고 중간보다 조금 높은 정도의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고 건강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로 나타나 초등학교 교사들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건강상태 중 다자각 증상과 신경질 증상의 호소를 낮추는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 및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health perception, health status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o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order to establish the effective health improvement measur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234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district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 and this had been done through from Oct. 5. 2016 to Oct. 30. 2016. Material was used in the method of the self-reporting survey which includes the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of Ware, Todai health index of Aoki, Suzuki and Yanai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of Walker, Sechrist and Pend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3.0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the health perception of the subject was averagely 2.94 out of 4 points, the health status level was averagely 1.59 out of 3 points. For the subordinate scope of health status, the physical health status was 1.54 while the mental health status was 1.67. For the physical health status, multiple symptom report was 1.61 while neurotic temperament report was reported 1.98 as utmost high for the mental health status. The fulfilment level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study subject was averagely 2.66 out of 4, and the spiritual growth was 3.15 the highest for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while the health responsibility was the lowest 2.00.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health perception level by the disease and the job stress and also the health status level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obesity, disease and job stress. By the teaching years and job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status (r=-.592, p<.001) and between the health status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r=-.407, p<.001)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erception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r=.316, p<.001)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The factor that affects to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subject was the health status which showed the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s (t=-4.517, p<.001) and its power of explanation was 19.6%. Conclusion: A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little higher level than the average of health perception, average level of health status and a little higher level than the averag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t appears tha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health percepti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health status are needed. Also, for the factors that affect to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appeared job stress and the health status, the job stress and the health status are need to be managed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specially, the health education and the health improvement program that lower the multiple symptoms and the neurotic temperament report needs to be developed and the systematic policy and the environment to support this need to be established.

      • 대학 신입생의 수학적 배경과 대학수학 교과목의 성취도에 관한 연구 : : 영동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수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During the recent years at an engineering college located at the local areas in Korea, more than 20% of freshmen had failed their First College Mathematics course. In result, many of them struggled with their major courses that required the mathematical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reasons why engineering students academically fail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of the curriculum. Using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mathematical abilities and analyze how they are related to their grades of the First College Mathematics of the midterm examination . We have found that the students who did not learn calculus at high school are more likely to fail at their First College Mathematics. Thus we suggest that universities offer a new preparation course for students who did not learn calculus to take before they take the First College Mathematics course. We also suggest university professors to write appropriate text books and develop proper methods of teaching.

      • 대상관계와 방어기제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수희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to prove the object relations and the defense mechanism's influence on th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campus life. Specific questions for performing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the college students' object relations influence on their defense mechanism? 2) Does the college students' object relations influence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campus life? 3) Does the college students' defence mechanism influence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campus life? 4) Do the college students' object relations and defence mechanism influence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campus life? To investigate he relationships among the object relations, the defense mechanism,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campus life as answers about the above question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Total 203 college students attending on University I in Gyeongnam region(male students: 112, female students: 91)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object relations, the defense mechanism,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campus life, the investigator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t-test, the ANOVA, and th regression analysis.

      • 대학생들의 열등감 극복을 위한 개인심리학적 집단상담의 효과

        정수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열등감 극복을 위한 목적으로 Adler의 개인심리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열등감 증후 수준과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집단상담 과정의 즉시적 성과와 최종성과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써 집단상담 과정의 흐름을 회기평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열등감 극복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열등감 증후 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켜 주는가? 둘째, 열등감 극복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사회적 관심 수준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켜 주는가? 셋째, 열등감 극복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집단전개단계별 회기성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Y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재학중인 재학생 32명이다. 이들을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7명으로 무선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주1회 120분씩, 총 8회의 열등감 극복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사전-사후검사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열등감 증후 척도」, 「사회적 관심척도」, 「상담회기평가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공변량 분석과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등감 극복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열등감 증후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둘째, 열등감 극복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사회적 관심수준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셋째, 상담회기평가에 의하면 본 프로그램의 전개에 따라 상담의 효과는 의미있게 증가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담의 회기가 진행함에 따라 상담의 깊이와 순조로움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학생들의 열등감을 극복하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Adler의 개인 심리학에 입각한 집단상담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ir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dlerian Individual psychology in order to help college students' overcoming their inferiority complex. Other purpose were to examine changes of their inferiority symptom and social interest and to examine to counseling session outcome. For their study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help to reduce the college student's inferiority symptoms significantly? Second, does the program help to increase their social interests significantly? Third, are their counseling session outcomes apparent according to each session progression? The subjects were 32 college students in yosoo city. 15 subjects were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were in the control group randomly.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ceived 8 sessions of group counseling in 8 weeks(each session lasted about 2 hours, total 16 hours). Inferiority symptom scale, Social interest scale and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were need for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ANCOVA, and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helped to reduce the level of the college students' inferiority symptoms significantly. Second, the program helped to increase the levels of their social interests. Third, the session evaluation pro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counseling outcomes in each session, and the depth and smooth progress was apparent according to the session progression. Based on the results, Adlerian counseling program was suggested as a means to help collage students overcome their inferiority complex.

      • 현대국어의 'ㅎ'축약과 탈락현상의 제약 연구

        정수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국어의 음운현상 중의 하나인 유기음화는 ‘ㄱ’, ‘ㄷ’, ‘ㅂ’, ‘ㅈ’이 ‘ㅎ’에 연접될 때 각각 ‘ㅋ’, ‘ㅌ’, ‘ㅍ’, ‘ㅊ’로 음성실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ㅎ’과 ‘ㅋ’, ‘ㅌ’, ‘ㅍ’, ‘ㅊ’이 연접된 음운환경(조건)에서 유기음화가 발생되지 않은 발화형이 발견되는데 동일한 음운환경에서 발생하는 상이한 이 현상을 그간의 논의는 하나의 원리로 설명해주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유기음화와 이 현상의 예외를 하나의 원리로 설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장에서는 유기음화와 예외 현상에 관련한 선행연구가 갖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본고의 연구목적을 밝히고 구체적인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최적성이론)을 소개한다. Ⅱ장에서는 음소 ‘ㅎ(/h/)’의 수의적 탈락, 유기음화 및 예외를 보이는 자료를 제시하고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해 유기음화의 예외가 발생하는 원인을 규명한다. Ⅲ장에서는 유기음화와 예외에 대한 생성음운론적 해석의 한계(선행연구의 문제점)를 再言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는 설명방법으로서 최적성 이론이 갖는 장점을 살펴본다. 이때 최적성 이론이 제시하는 제약과 제약위계라는 개념을 再考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본 논의를 위한 제약과 제약위계를 상정한다. Ⅳ장에서는 본고에서 잠정적으로 사용된 ‘예외’라는 개념을 음운론적으로 재규정하고 유기음화와 그 예외를 제약위계라는 하나의 원리로 설명한다. Ⅲ장에서 상정된 제약 및 제약위계를 통해 먼저 유기음화를 설명하고 Ⅱ장에서 밝혀진 유기음화의 예외 원인을 제약위계가 변동하는 동인으로 활용하여 유기음화의 예외를 설명한다. Ⅴ장에서는 논의를 요약·정리하고 유기음화와 그 예외현상이 ‘제약의 위계’라는 하나의 틀로 체계화될 수 있음을 보인 본고의 의의를 再言한다. ‘ㅎ’coalescence(aspiration) which is on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Modern Korean means that ‘ㄱ’, ‘ㄷ’, ‘ㅂ’, (‘ㅈ’) turn to ‘ㅋ’, ‘ㅌ’, ‘ㅍ’, (‘ㅊ’) phonologically when they are connected with ‘ㅎ’. But actually we often find the phenomena of language that ‘ㅎ’aspiration isn't produced in phonogical condition that ‘ㄱ’, ‘ㄷ’, ‘ㅂ’, (‘ㅈ’) and ‘ㅎ’ are connected. Up to the present, most researches have not explained synthetically these contradictory phenomena-‘ㅎ’aspiration and exception of ‘ㅎ’aspiration happened in the same phonological condition. Hence this paper aims at explaining ‘ㅎ’aspiration and exception of ‘ㅎ’aspiration with a coherent principle. In chapter Ⅰ, I pres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object and method(Optimality Theory) of study through investigating the preceding studies regarding ‘ㅎ’aspiration and exception of ‘ㅎ’aspiration. In chapter Ⅱ, I present the lexical data of ‘ㅎ’deletion, ‘ㅎ’aspiration and exception of ‘ㅎ’aspiration, analyse them, then look into the causes that produce exception of ‘ㅎ’aspiration minutely. In chapter Ⅲ, I propose Optimality Theory as an way that deals successfully with the limitations of the preceding studies on ‘ㅎ’aspiration and exception of ‘ㅎ’aspiration, and I examine that Optimality Theory has merits in describing ‘ㅎ’aspiration and exception of ‘ㅎ’aspiration. Then I reconsider the concepts of the constraints and the constraint hierarchy in Optimality Theory, suggest the constraints and the constraint hierarchy to be considered in this paper. In chapter Ⅳ, I phonologically redefine the concept of ‘exception’ that has been considered as the temporary concept in the preceding chapters and describe ‘ㅎ’aspiration and exception of ‘ㅎ’aspiration with a principle, constraint hierarchy. Firstly, I describe ‘ㅎ’aspiration through using constraint and constraint hierarchy proposed in chapter Ⅲ. Secondly, I describe exception of ‘ㅎ’aspiration through looking upon the causes that produce exception of ‘ㅎ’aspiration examined in chapter Ⅱ as the factors that make constraint hierarchy change. In chapter Ⅴ, I sum up this paper and restate the purport of this paper that ‘ㅎ’aspiration and exception of ‘ㅎ’aspiration can be explained systemically as a principle, constraint hierarchy.

      • 1930년대 여성작가의 여성의식 연구 :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

        정수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930년대 여성작가의 여성의식 연구 -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정 수 희 본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여성작가의 소설 속 여성인물의 양상을 살피고, 그를 통해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을 살피는 것에 있다. 30년대 여성작가 가운데 박화성, 강경애, 최정희를 선정하여 그들의 소설 속 여성인물이 처한 현실과 그에 따른 행동양식을 살펴보았다. 여성인물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작가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을 연관 지어 살펴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해낸 소설 속 여성인물의 모습을 통해 세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을 고찰하였다. 소설 속 여성인물은 크게 지식인 여성과 하층민 여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각 그들이 처한 현실과 그에 대한 대응양상을 살펴 다시 몇 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우선 작가 자신들의 모습과 닮아있는 소설 속 지식인 여성은 ‘관찰자로서의 현실인식과 고발’, ‘지식인 여성의 이중성과 자아성찰’, ‘여성문제의 인식과 모성회귀’ 세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세 여성작가는 소설 속 여성인물을 통해 당시 지식인 여성이 처한 문제와 그 대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지식인 여성의 역할과 시대적 여성상을 제시하려 노력하였다. 이들은 식민지하 조선 여성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하층민 여성들의 삶도 놓치지 않고 소설 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 중첩의 고통을 당하는 하층민 여성의 비참한 삶을 형상화함으로써 당시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고 있다. 소설 속 하층민 여성은 억압적 현실에 체념하고 순응해 살아가는 인물과 소극적이나마 현실에 저항하는 인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여성인물들을 통해 세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을 고찰하였다. 작가들 간에 차이점과 공통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우선 여성문제에 대한 시각에서 차이점이 발견된다. 박화성과 강경애는 여성문제를 독립적으로 다루지 않고 식민지하의 시대적 현실문제의 일환으로 다루고 있고, 최정희는 모성의 문제와 같은 여성문제를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삼아 여성세계에 천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박화성, 강경애보다 최정희의 여성의식이 심화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 다른 차이점은 강경애의 지식인 여성에 대한 의식에서 발견된다. 지식인 여성의 의식과 행동이 분열된 이중적 면모를 소설에 비판적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지식인인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자아성찰의 계기로 삼고 있어 지식인 여성에 대한 남다른 의식을 보인다. 이처럼 각자 개성을 갖고 작품 활동을 한 세 여성작가를 1930년대 여성작가로서 묶이게 하는 특징도 발견되고 있다. 세 여성작가는 모두 식민지 현실을 인식하여 작품 속에 반영하는데 진지하고 적극적이었다는 것이다. 특히 하층민 여성의 비참한 삶은 세 여성작가의 작품에서 모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성문제에 관심을 갖고 여성의 억압된 현실을 많은 작품에 형상화하여 고발하는 모습에서 세 여성작가의 여성의식의 자각을 엿볼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 여성상으로 회귀하는 모습이 부분적으로 나타나면서 여성의식의 한계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 세 여성작가의 개인적 한계라기보다는 당시 변화하고 있는 사회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며, 전대 여성 작가들에 비해 진보된 여성의식을 보이면서 긍정적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당시 남성 작가들의 계급과 민족의 문제에 제한된 시선에 여성의 문제를 더함으로써 여성 해방의 시각을 확보하였고, 따라서 한국문학사의 심화와 확대에 기여하였다고 평가하였다.

      • 스마트폰을 활용한 일본어 학습 실천 연구

        정수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本研究ではスマート時代の代表機器でありながら普及率が非常に高いスマートフォンを使い、スマートフォンの機能性と検察して必要な情報を探し出せる情報力も積極的に活用する新しい日本語学習方案を提示する。そしてスマート教育に対する教師の不安感を減らすため、教授―学習指導案を提供する。スマート教育は相互作用を活発にするという特徴がある上に、日本語 教育にも大きく役に立つと思う。 研究の行う方法として、7月28日から8月19日までの4週間に祥明大学の日本語非専攻者の中、初級の6人を対象に週2回1時間ずつ授業を実施した。そして学習者のレベルテストと事前調査を実施及び分析し、カリキュラムと授業方案を作成した。毎授業が終わる度、授業に対する学習者と教師の意見を調べ、比較分析した。 実験授業のカリキュラムと授業方案は次の通りである。教材は特定の教材の影響がないように毎回の授業で違うものを選定した。カリキュラムは1~2次時に文字学習、3次時に挨拶ことば、4次時には自己紹介の表現を学習し、5次時に数字と時間表現、6次時にイ形容詞、7次時に位置名詞と存在動詞を、そして8次時に動詞のマス形を学習することに構成した。授業では日本語学習関連のアプリケーションと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アプリケーション、コンテンツ生成及び編集アプリケーションそして地域情報アプリケーションを使用した。スマートフォンを活用した活動としては、日本語学習アプリケーションを利用した仮名学習とマンガで仮名探し、日本の町で仮名クイズをした。文字入力活動、日本単語の辞書検索、友だちの名簿作り、世界の時間発表、広告制作、位置の聞き答え、ユーチューブの動詞の活用変形などの活動も行った。そしてスマートフォンを活用した授業運営方案も加えた。 この授業の事前調査、次別授業評価、成就度調査、事後調査を通じて出た結果、学習者は学習目標を相当な水準に達成した。そしてスマートフォンを使うことが授業雰囲気を害するとの心配とは逆に、学習者の参加を促進し、発話に自由な雰囲気を形成して学習者と教師間、そして学習者間の相互作用を活発にする要素になることが分かった。スマートフォンの使用は授業を興味深く、面白く作り、学習者の積極的な参加を誘導した。特に存在感のある学習活動にとても満足した。その活動は時々刻々情報を提供するスマートフォンの情報力を使った活動であった。そして費用の側面でスマートフォンの使用がスマート教育の定着を助けることができることを確認した。一方スマートフォンの情報力は、体系的なスマート教育システムがない状況では教師が繊細に準備しないと学習者の要求や水準に合わせにくいところがあった。そして授業中にスマートフォンによる突発的トラブルが生じ、授業を妨げる問題点が指摘され、教師の事前知識と事前準備が一層必要であった。 この研究は実験対象が6人だけであることから授業の効果成は測定できなかった限界があり、今後の課題として残っている。しかし、日本語教育で今までなかったスマートフォンの教育的活用方案を提示したことに意義があると思う。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 시대의 대표 기기이자 보급률이 매우 높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스마트폰의 기능성과 검색으로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정보력도 적극 활용하는 새로운 일본어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자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공한다. 스마트 교육은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어, 이는 일본어 교육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7월 28일부터 8월 19일까지 4주 동안 상명대 일본어 비전공자 중 초급 수준의 6명을 대상으로 주 2회 1시간씩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레벨테스트와 사전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여 커리큘럼과 수업방안을 작성하였다. 매 수업이 끝날 때마다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의견을 조사하였으며, 사후조사로 총괄평가와 만족도 조사, 인터뷰 조사를 실시해,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수업의 커리큘럼과 수업방안은 다음과 같다. 교재는 특정 교재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매 수업 다른 것으로 선정하였다. 커리큘럼은 1~2차시 문자 학습, 3차시 인사말, 4차시 자기소개, 5차시 숫자와 시간 표현, 6차시 イ형용사, 7차시 위치명사 및 존재동사, 8차시 동사의 マス形로 구성하였다. 수업에서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은 일본어 학습 관련 애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생성 및 편집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지역정보 애플리케이션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활동으로 일본어 학 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나(仮名) 학습, 만화책에서 가나 찾기, 일본 거리 속의 가나 퀴즈를 하였다. 또한 문자 입력 활동, 일본단어 사전에 검색하기, 친구 명단 완성하기, 세계 시간 말하기, 광고 제작, 위치 묻고 답하기, 유튜브 속 동사 바꾸기 등의 활동도 하였다. 추가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수업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수업의 사전조사, 차시별 수업 평가, 성취도 조사, 사후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 학습자들은 학습목표를 상당 수준 달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이 수업 분위기를 해칠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고 발화에 자유로운 분위기를 형성하며 학습자와 학습자,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돕는 요소가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 사용은 수업을 흥미롭고 재미있게 만들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특히 실재감 있는 학습 활동에 매우 만족하였다. 이는 살아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정보력을 활용한 활동이었다. 그리고 비용 측면에서 스마트폰 사용이 스마트 교육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스마트폰의 정보력은 체계적인 스마트 교육 시스템 없이 활용할 경우, 교사가 섬세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추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업 중에 스마트폰으로 인한 돌발 상황이 수업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교사의 사전 지식, 사전 준비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이 연구는 실험 대상자가 6명뿐이고 수업의 효과성을 측정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어, 앞으로의 과제로 남았다. 그러나 일본어 교육에서 지금까지 없었던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실천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개화기 국어의 표기와 음운체계 : 신소설을 중심으로

        정수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고는 개화기국어의 시기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 시기의 표기와 음운체계의 국어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개화기국어의 시기는 근대국어와 현대국어 사이에 부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어학적 의의를 갖는 독립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국어사에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개화기국어 시기의 표기가 형태음소적 표기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전 시기와 구별되고, 음운체계에 있어서는 9모음체계의 정립이라는 점에서 개화기 전후 시기와 구분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러한 이 시기의 표기와 음운체계상의 의의를 부각시키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이 시기의 표기와 음운체계가 갖는 공시적 양상을 고찰하였다. 개화기국어 시기는 형태음소적 표기 의식이 강화됨으로써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근대적 정서법이 만들어지게 되는 배경적 요소가 되고, 동시에 이 시기의 국어 모음체계는 그 전 시기의 그것과는 구별되는, 모음체계 상의 전설 원순 모음/ö/가 존립하는 체계상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것은 이 시기의 표기사적 의의이자 음운론적 의의로 20세기를 전후로 한 이 시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본고는 언어 연구에 있어 문헌자료가 갖는 한계를 조금이나마 보완하고자 개화기국어의 신소설 자료 중 대화 자료에 한정하여 이 시기의 다양한 표기 양상을 정밀하게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의 문헌 자료 중 신소설의 대화 자료는 구어적 형태에 좀 더 가까운 것으로 이 시기의 언어적 현실을 좀 더 생생하게 보여줄 것이라는 판단에 의한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자료의 처리 방법과 ‘ㅚ’와 ‘ㅟ’와 관련된 자료의 해석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먼저 이 시기의 표기와 음운의 공시적 양상을 좀 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해석을 하기 위해 언어 자료를 계량화하였다. 언어 자료의 계량화는 언어 현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밀한 논의를 위한 것으로 연구 방법론적으로 의의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또한 이 시기의 모음체계의 재구를 위해 모음자 ‘ㅚ’와 ‘ㅟ’의 음운적 정체성을 밝히는 단서가 되는 움라우트와 혼기에 대한 해석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움라우트는 수의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움라우트가 실현되지 않았음을 근거로 이들 모음자가 단모음이 아니었다는 단서가 될 수 없음을 밝혔고 이들 모음자와 혼기되는 표기형을 통한 음운적 해석에 있어서 상호 혼기는(‘a⇄b’) 음가가 동일함을(‘a=b’) 의미하는 것이나 교차 혼기의 경우(‘a⇄b⇄c’) 혼기되는 자소가 모두 동일한 음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님을(‘a=b’, ‘b=c’, ‘a≠c’) 밝혔다. 혼기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음가가 동일시되는 것과 음성적 영역이 넓었음을 의미하는 것이 구분되어야 함을 지적한 것이다. Ⅲ장에서는 개화기국어의 표기 방식의 일반적 특징과 개별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개화기국어의 표기방식의 양상을 문법범주, 종성 종류, 한자어, 작가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고 이 시기의 표기방식이 갖는 표기사적 의의를 밝혔다. 개화기 국어의 개별적 표기 특징에 대해서는 자음 표기와 모음 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자음 표기의 경우는 어두 ‘ㄴ’과 ‘ㄹ’ 표기, 병서 표기, 음절말 자음군 표기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모음 표기의 경우는 ‘ㆍ’(아래아)의 표기, 치찰음 아래에서의 이중모음의 표기 등으로 나누어 구체적 실태를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이 시기의 표기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시기의 표기는 표기의 혼란상 속에서 형태음소적 표기가 강화되었고 동시에 표기의 보수적 측면이 부각되었다. 형태음소적 표기의 강화는 표기 방식 중 분철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남과 시간의 추이에 따라 분철율이 증가한다는 것, 동시에 표음적 표기라고 할 수 있는 연철율의 낮은 표기율과 시간의 추이에 따른 하락세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표기의 보수성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어두 ‘ㄴ’, ‘ㄹ’ 표기, ㅅ계 합용병서에 의한 경음 표기, ‘ㆍ’표기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외에 표음적 표기 역시 나타났는데 7종법에 의한 종성 표기에 이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이 시기의 표기상은 변화에 대한 반발적 표기 형태인 보수적 표기와 표의주의적 표기, 표음적 표기가 공존하는 표면적으로 혼란한 모습을 보였으나 시간의 추이에 따라 표의적 표기인 분철 표기가 증가함에 따라 현대적 정서법이라고 할 수 있는 한글맞춤법을 낳게 하는 배경적 요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개화기국어의 음운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음체계의 경우 18세기 이후 현대국어 시기까지 체계상의 변화 없이 동일한 체계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개화기국어 시기의 자음 체계는 전후 시기와 동일한 모습을 보였다. 19개의 자음 목록을 제시하고 이러한 자음체계에서 존재하는 음운현상을(구개음화, 연구개음화, 유음화, 비음화, 경음화, 유기음화) 살펴보았다. 모음체계의 경우 전설부 원순모음 ‘ㅚ’(/ö/)가 모음체계 내에 정립되었는데 전설 원순모음은 단모음으로 정립되기 이전의 하향이중모음 ‘ㅚ’(/oy/)으로서의 흔적을 지님과 동시에 상향이중모음(/we/)으로 나아가는 변화 과정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은 다양한 음성 실현형으로 해석되는 구체적 자료에 의해 증명되었다. 또한 전설 원순 단모음(/ö/)의 존재는 이와 관련된 음운현상의(움라우트, 활음 w 첨가) 실현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모음체계상 단모음으로 정립되지 못한 하향이중모음 ‘ㅟ’(/uy/)와 ‘ㅟ’(/wi/)가 존재하였는데 이 모음의 존재 역시 이와 관련된 음운현상(비원순모음화, 활음 w 첨가)의 실현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하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의 과정에는 ㅣ모음역행동화와 하향이중모음 체계상의 /oy/와 /uy/의 입지 약화(또는 단모음체계상의 전설원순모음의 공백)가 관여하였을 것인데 /ö/가 정립된 것에 반해 /ü/가 정립되지 못한 것은 [ü]가 실현되는 환경이 확대되지 못하였던 것에서 기인하는데 이것은 u의 ㅣ모음역행동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 않았던 것과 관련된다. 즉 특정 환경에서의 [ü] 실현을 동기화할 ㅣ모음역행동화가 생산적이지 않았던 것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한 /oy/, /uy/는 /we/, /wi/로 합류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하향이중모음으로서 /oy/, /uy/는 /əy/와 /ay/의 단모음화로 인해 이미 세력이 약화되었던 것과 관련된다. 개화기국어 시기에 나타난 ‘ㅚ’와 ‘ㅟ’의 음운적 정체성의 변화 과정은 ‘ㅚ’의 경우, ㅣ모음역행동화에 의한 /oy/>/ö/>/we/와 음절 내의 /oy/>/we/로 상정해 볼 수 있다. ‘ㅟ’의 경우는 ㅣ모음역행동화에 의한 /uy/>[ü](특정환경)와 /uy/>/wi/로 상정해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ㅚ’가 전설원순모음으로 실현되고 ‘ㅟ’가 아직 단모음으로 실현되지 못했음은 문법서의 기술이나 외국인에 의한 저서에 의해 간접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문법서에서는 ‘ㅚ’와 ‘ㅟ’가 각각 [we], [wi]로 실현된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의견을 보였으나 ‘ㅚ’의 경우 단모음 [ö]로도 실현됨을 밝혀줌으로써 ‘ㅚ’와 ‘ㅟ’의 음운론적 정체성이 달랐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외국인의 저서에 따르면 ‘ㅚ’와 ‘ㅟ’가 모두 상향이중모음과 단모음의 음성형으로 실현됨을 보여주었으나 그 실현 환경이 일치되지 않음으로써 개화기국어 시기의 ‘ㅚ’와 ‘ㅟ’의 다양한 음성형이 존재했다는 것 외에는 ‘ㅚ’와 ‘ㅟ’의 음운론적 정체성을 명확히 밝혀주지는 못하였다. 음 변화는 점진적으로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속성을 지닌다. 이러한 음 변화의 속성은 개화기국어 시기의 ‘ㅚ’와 ‘ㅟ’의 다양한 음성 실현형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ㅚ’와 ‘ㅟ’의 음운론적 정체성과 관련된 여러 자료를 종합해 볼 때 이 시기에는 ‘ㅚ’가 전설 원순 단모음(/ö/)로 존재하였고 ‘ㅟ’는 단모음으로 존재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끌어내었다. 따라서 개화기 국어 시기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ö, ㅡ, ㅓ, ㅏ, ㅜ, ㅗ’ 등으로 이루어진 9모음체계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전 시기의 8모음체계에서 개화기시기의 9모음체계를 새롭게 재구함으로써 이 시기가 갖는 음운론적 의의를 부각시켰다. 그리고 전 시기와 구분되는 9모음체계 내에서 나타나는 음운현상을(움라우트, 고모음화, 원순모음화, 치찰음아래에서의 전설모음화) 모음체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화기 국어의 시기는 근대국어와 현대국어 사이에 부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어사적 의의를 갖는 독립된 시기로, 표기의 측면에서 보면 형태음소적 표기의 결정체인 한글맞춤법의 낳게 하는 배아의 성격을 지니고 음운적 측면에서 보면 전설원순모음 /ö/의 존립으로 인한 9모음체계의 정립이라는 점에서 그 표기사적 의의와 음운론적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linguistic study in Korean language used at the end of 19th century(Gaehwagi), and to show the importance of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system of that period. Even though the Gaehwagi period is an independent and meaningful period in Korean language histor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it and it was even regarded as a subsidiary period between 19th and 20th century. The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system in Gaehwagi Korean are closely examined in synchronic phonological way to show the importance of distinct study in this area. The material in this paper is derived from conversation data in new-style novel of Gahwagi period. Among lots of literature in this period, conversation data in new-style novel is almost like a spoken language and therefore it could reflect the authentic language and supplement the limitation on using written material in linguistic research. In chapter Ⅱ, two methods in dealing with data are clarified before moving on to the main part; the method of data processing, and the method of interpreting data related with 'ö' and 'ü'. Firstly, to do th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study, I quantified the linguistic data. Secondly, to reconstruct the vowel system of Gahwagi Korean, I proposed the interpreting method of umlaut and mixed spellings, which is the vital clue to the phonological identity of 'ö' and 'ü'. Chapter Ⅲ discusses the orthographic characteristics of Gaehwagi Korean. The characteristics of consonants are closely observed with word-initial 'n' and 'l', word-initial consonant cluster and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vowels are examined in 'ɔ‘ and mixed spelling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the Gaehwagi Korean orthography is characterized as morpho-phonemic and conservative orthography. It is found that the usage of syllabication was overwhelmingly high and increased as time passed, which shows the morpho-phonemic cognition of people. At the same time, the usage of unsyllabified writing was significantly low and decreased, which means the phonemic cognition in writing system is weakened. And the conservative characteristic is verified by the usage of letter 'ㆍ’, 'ㅅ'-initial consonant cluster representing glottalized sound, and word-initial 'ㄴ' and 'ㄹ'. In chapter Ⅳ, I discusses the phonological system of Gaehwasgi Korean. The system of consonant does not have any difference with previous times, because since 18th century, the consonantal system has been maintained same today. List of 19 consonants are examined in 6 phonological phenomena; palatalization, velarization, laterization, nazalization, glottalization and aspiration. The system of vowel shows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concerning the vowel 'ㅚ' and 'ㅟ', and the sound of each letter. The round front vowel 'ㅚ(/ö/)' is established itself as a simple vowel in vowel system. It is in the way of changing from falling diphthong /oy/ to rising diphthong /we/. The existence of simple vowel /ö/ is examined in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such as umlaut and insertion of glide w. On the other hand, there existed falling diphthong 'ㅟ/uy/' and rising diphthong 'ㅟ/wi/', and the existence of these diphthongs is examined in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such as unrounding and insertion of glide w. In the simplification process of the two falling diphthongs, common facts such as regressive assimilation of /i/ and vacuum of round front vowel in phonemic system, should have influenced the changing process, In the same environment, however, 'ㅚ' has been simplified into /ö/, whereas 'ㅟ' has not. These difference derived from the application of regressive assimilation of /i/. Unlike vowel /o/, vowel /u/ did not have much chances to be applied to regressive assimilation, which would result the simple vowel /ü/. Consequently, the phonological identity of 'ㅚ' and 'ㅟ' has been changed as follows: /oy/>/ö/>/we/ by regressive assimilation of /i/, /oy/>/we/ within one syllable, /uy/>[ü] by regressive assimilation of /i/ in specific case, and /uy/>/wi/ in other cases. I concluded from above observation that 'ㅚ' existed as a simple vowel /ö/, and ‘ㅟ’ was not a simple vowel in Gaehwagi Korean. Therefore, in Gahwagi Korean, vowel system consisted of 9 vowels; i, e, ɛ, ö, ɨ, ə, a, u, o. As considered above, Gaehwagi Korean period is an independent period i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not a subsidiary period between modern and present Korean, In orthographic aspect, morpho-phonemic characteristic of Gaehwagi Korean was the seeds of spelling system of Hangul, and in phonological aspect, it established 9 vowel system with round front vowel 'ö'.

      • 풍수 사상에 함의된 환경윤리

        정수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생태학적 위기는 인간들이 지닌 세계관과 가치관의 변화에 의해서만 해결이 가능하다고 본다. 인간이성에 대해서 절대적 지위를 부여하면서 자연을 인간을 위한 도구적 가치로만 여겨왔던 서양의 환경윤리는 그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다. 우리 조상들의 땅의 질서를 이해하고 그에 순응하여 인간의 질서를 조화하고자 했던 지혜가 내재된 풍수 사상에 대한 고찰은 생태계 위기의 문제해결을 위한 논의를 다양화하고 서구의 환경윤리가 가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세계관과 가치관을 추출하는데서 그친다. 환경윤리적 의의를 모색한 것이라면, 환경윤리의 바탕이 되는 생태중심적 세계관의 내용만을 밝힐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에 대한 가치판단을 할 환경윤리적 규범, 환경윤리적 덕목을 밝혀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풍수 사상에 함의된 환경윤리를 구명(究明)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에 따른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풍수의 주요 사상을 고찰한다. 풍수의 환경 윤리적 함의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풍수 사상이 무엇이며, 거기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와 의의 등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풍수의 주요 사상을 생기론(生氣論), 감응론(感應論), 비보(裨補)로 선정하여 고찰하도록 한다. 둘째, 풍수의 주요 사상에 나타난 환경 윤리적 함의를 밝힌다. 즉 생기론에서 환경윤리적 근거 요소가 되는 세계관을 추출하고, 감응론에서 환경 윤리적 접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인 환경 윤리적 덕목을 추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비보를 실천하는 것이 환경윤리와도 접목됨을 아울러 밝히도록 한다. 이 연구는 풍수 사상 차체를 학문적으로 밝히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풍수 사상 속에 함의된 환경윤리가 환경위기 극복을 위해 제공하는 시사점을 찾기 위해 풍수 사상과 환경 윤리에 관련된 학술지, 학위논문, 정기 간행물, 단행본 등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통한 내용 분석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기론, 감응론, 비보에 등의 사상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지나친 욕망으로 인한 환경파괴는 인간에게 더 피해를 줄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인간은 자연과 유기적으로 결속되어 있으며, 자연은 끊임없는 생명력을 지닌 하나의 커다란 생기덩어리로 인간과 동등한 권리를 가진 주체로서 윤리적 배려의 대상이 됨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 풍수 사상을 통해 서양의 생태중심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좀 더 포괄적인 의미의 생태중심주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서양의 생태중심주의는 도덕적 배려의 범위가 인간에서 동물, 식물과 무생물로 점차 확대되면서 나온 개념이므로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만 포함된다. 그러나 풍수 사상에서는 도덕적 고려의 범위를 서양의 환경윤리에서 고려하는 것보다 더 넓은 의미로서 이는 곧 우주 전체를 말한다. 다시 말해 생기론에 의한 ‘동일한 근원이 되는 기(氣)’개념은 모든 개별자들이 동일한 뿌리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평등성을 확보할 수 있다. 풍수 사상이 추구하는 환경윤리 덕목인 ‘적덕(積德)’은 사신사(四神砂)와 혈(穴)의 조화 속에서 인간이 구현해야 할 덕성으로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으로 구체화된다. 또한 비보를 통해 풍수에 함의된 환경윤리는 자연을 이용과 수단 가치로 대상화하는 방식이 아니라 땅과 자연의 일부로서의 인간이 상생하고 조화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접근이었다. 이는 땅과 사람들, 동물들과 무생물까지 포괄하는 우주적 사랑이고, 그 사랑으로 병든 터를 회복시키려는 치료의 손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풍수의 환경윤리를 서양의 ‘생태중심주의’ 환경윤리보다 확장된 개념인 ‘우주중심주의’ 환경윤리라 명명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를 통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밝힌다. 첫째, 풍수 사상에 나타난 환경윤리적 함의를 통해 현대의 환경윤리에 적합한 이론적 체계 및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풍수 사상의 환경 윤리적 의미를 좀 더 밝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풍수 사상의 환경 윤리적 의의를 어떻게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로, 풍수 사상을 통해 얻은 환경 윤리적 덕목을 환경윤리교육과 관련지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can be resolved only when the understanding and values of all mankind are changed. The West's environmental ethics, which grant absolute primacy to human rationality and value as a tool for man to handle nature, have revealed its limits. Contemplation of feng shui philosophy, the wisdom used by our ancestors to understand the ways of the world, conform to them and harmonize people's order, suggests another paradigm that can enrich the discussion on the solution to the ecological crisis and re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West's environmental ethics. Other studies stop at extracting a view of the world and values. However, if the goal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ethics, they should not only explain the ecological view of the world, the basis of environmental ethics, but also identify and institutionalize the norms and virtues of environmental ethics which are the foundation for judgements on environmental problems. This study intends to study and identify the environmental ethics implied in feng shui thought. Its detailed goals are as follows: First, it intends to contemplate the main ideas of feng shui. To know the implications of environmental ethics in feng shui, what feng shui philosophy is and its meaning and significance need to be first understood. This study looks into vitality, response, and support as the main ideas of feng shui. Second, the study is designed to clarify the implications of environmental ethics in the main ideas of feng shui. A view of the world, which is a basis for environmental ethics, is extracted from the vitality theory; the virtues of environmental ethics, which were not addressed in earlier studies about environmental ethics, are extracted from the response theory; and the practice of supplement, which bolsters environmental ethics, is clarified. This study is not about academic research into feng shui itself but about its implications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suggested by the environmental ethics of feng shui. For this reason, literary study was done to analyze academic publications, theses, periodicals, non-periodical publication and the like about feng shui and environmental ethic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n the ideas such as vitality, response, and support shows that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due to man's excesses can cause more harm to himself since man and nature are organically connected. Nature is one big mass of vitality that never ceases to exist: it is an entity that has the same rights as man and deserves ethical consideration. Second, it derives more comprehensive thought on ecology from feng shui that can overcome the West's thought. The West's thought on ecology gradually expanded its scope of moral consideration to include man, animals, plants, and inanimate objects: only those entities that are part of the ecosystem. Feng shui is far more inclusive: it engenders the entire universe. The energy concept that provides the same origin in the vitality theory secures equality in that all individual things, living or inanimate, have the same origin. The practice and accumulation of good, the virtue of environmental ethics upheld by feng shui, is concretized into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sincerity as virtues that men should practice in the harmony of the four mythical animals of feng shui (black tortoise, red phoenix, blue dragon, and white tiger) and points of vital force. According to the support theory, the environmental ethics implied in feng shui do not objectify nature as something to be used but are a definite and realistic approach by which man can coexist and harmonize with earth and nature as part of them. This is universal love that engenders earth, man, animals, plants, and even inanimate things and a caring hand to restore the damaged environment. In conclusion, I consider the environmental ethics of feng shui universe-centered environmental ethics to be an expansion of the West's ecology-centered environmental eth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environmental ethics implications of feng shui, especially the findings presented father studie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environmental ethics. Second, in other to further identify the environmental ethics implications of feng shui,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it into the framework of the environmental ethics curriculum. finally, as the matter on how to actually utilize feng shui in education environment-ethically, we have to continue to study the environmental ethics values obtained through the feng shui by associating them with the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