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Sodium Dextran Sulfate로 유도한 궤양성 대장염 모델에서 발효 오미자의 예방 효과

        장하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s of fermented Schizandra chinensis on dextran sodium sulfate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Balb/c mice. The total polyphenols (1.8x) and total flavonoids (2.1x) were shown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fermented Schizandra chinensis juice,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 increase by 1.8x respectively in FSC compared to FC (p < 0.05). It was found to be non-toxic at a concentration of 1000 µg/mL of SC juice by MTT assay with RAW 264.7 cells. NO production was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RAW 264.7 cell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and significantly greater in FSC (p < 0.05). Based on this, SC juices were administered in the mouse animal model for three weeks, and 5% DSS was freely supplied for five days to induce ulcerative colitis. The length of the intestinal tract in the SC group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he DSS group, and the FSC group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SC group (p <0.05). When the disease activity index (DAI) was measured through clinical symptoms, both the FSC and SC groups significantly alleviated clinical symptoms compared to the DSS group, especially the FSC group with 67% and the SC group with 50% improvement (p < 0.05). The serum concentrations of TNF-α and IL-1β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the FSC and SC groups compared to the DSS group (p < 0.05). The concentration of TNF-α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SC than in SC group (p < 0.05), but that of IL-1β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atological observation of colon tissue showed that inflammatory cell penetration and inflammation in basal membrane areas were reduced in both FSC and SC groups compared to DSS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hizandra chinensis was effective in preventing ulcerative colitis, and the effectiveness increased through the fermentation process. Therefore, fermenting the Schizandra chinensis juice with Lactobacillus mixture increase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it is thought that it can effectively help prevent colitis by eating fermented metabolites together. 본 연구에서는 sodium dextran sulfate(DSS)으로 궤양성 대장염을 유도한 Balb/c 마우스 모델에서 발효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액의 염증 예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발효 오미자액(FSC)와 비발효 오미자액(SC)의 총 폴리페놀 (1.8 배)과 총 플라보노이드(2.1 배)함량은 발효과정을 통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도 각각 1.8 배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RAW 264.7 세포에 대해 1000µg/mL 농도에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오미자액이 농도 의존적으로 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해 유도 된 RAW 264.7 세포의 NO 생성량을 감소시켰으며, 발효 오미자액 (FSC)이 비발효 오미자액 (SC) 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이를 바탕으로 마우스 동물모델에게 3주간 오미자액을 경구투여 한 후 5일간 5% DSS를 자유롭게 공급하여 궤양성 대장염을 유도하였다. 장 길이는 오미자액 섭취 군이 DSS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길어져 장 길이 개선효과가 있었으며, FSC섭취 군이 SC군에 비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 <0.05). 임상증상을 통해 질병활성화도를 측정하였을 때, 오미자액 시료 섭취군은 DSS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임상증상이 완화되었으며, 특히 FSC섭취군은 67%, SC섭취군은 50% 증상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 < 0.05). 혈청 내 TNF-α와 IL-1β 농도는 DSS군에 비해 오미자액 섭취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FSC섭취군에서 SC군보다 TNF-α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p < 0.05), IL-1β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장조직을 관찰한 결과, FSC 및 SC 투여군에서 DSS군에 비해 염증세포 침투가 완화되고 기저막 부위에 염증도 완화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본 연구를 통해 오미자액은 궤양성 대장염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발효 과정을 통해 오미자액의 예방 효과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오미자액을 유산균 혼합균주로 발효하면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활성이 증가하며, 발효 대사산물도 함께 섭취하게 되어 대장염 예방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건조된 부유성장 및 고정상 슬러지를 이용한 중금속 Pb(Ⅱ) 이온의 생흡착 특성

        장하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활발한 산업 활동으로 인한 자연계, 특히 수계에 유입되는 중금속 양의 증가는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으며, 슬러지 처리 문제 또한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로 인해 중금속 흡착제로서 활성 슬러지 공정에서 생성되는 폐 슬러지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조 슬러지에 의한 납 이온 특성을 확인하였다. 흡착을 위하여 사용한 슬러지는 Submerged Moving Media Intermittent Aeration Reactor(SMMIAR) 처리공법에서 채취한 하수처리장 슬러지와 Modified Ludzack-Ettinger(MLE) 처리공법을 사용하는 폐수처리장 슬러지이며, 전처리한 슬러지는 광학현미경으로 촬영 시 SMMIAR 슬러지와 MLE 슬러지 모두 암갈색의 고형물질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Sca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촬영에서 SMMIAR 슬러지의 표면은 매끄러웠으며 MLE 슬러지는 거친 표면을 보였다. 일정한 납 농도(20 mg/L)에서 흡착 시간은 10∼180분으로 하여 흡착 시간을 확인한 결과 60분이 평형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실험에서 흡착 시간을 확인한 결과 60분으로 하여 충분한 흡착을 유도하였다. 또한 NaCl을 이용한 경쟁 흡착 실험에서 SMMIAR 슬러지의 경우 NaCl의 영향이 거의 없었으며, MLE의 경우에는 NaCl 농도의 증가에 따라 납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납의 초기 농도를 25∼80 mg/L의 범위로 흡착 실험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SMMIAR 슬러지보다 MLE 슬러지의 흡착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평형상태의 납 농도를 이용하여 Langmuir, Freundlich, Elovich, Sips, Redlich-Perterson 등온흡착식을 적용시켜 본 결과, Langmuir 등온흡착식과 Freundlich 등온흡착식에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흡착 용량 데이터의 차이는 구조, 작용기 및 표면적과 같은 각 흡착제의 상이한 성질에 기인하여 두 식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두 슬러지 간의 흡착량 차이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Total Organic Carbon(TOC) 분석을 통하여 Extracelluar Polymeric Substance(EPS)를 측정한 결과 0.134∼0.155 g/g으로 슬러지간의 농도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모두 높은 EPS 함량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Brunauer, Emmett, Teller(BET) 분석에서는 SMMIAR 슬러지에 비해 MLE 슬러지의 표면적이 2배 이상 높았다. 표면적과 면적당 납 흡착량에서 SMMIAR 슬러지는 비교적 면적당 흡착량이 높지만 표면적이 적으며 MLE 슬러지는 비교적 면적당 흡착량은 낮지만 표면적이 넓어 실험 결과에서 MLE 슬러지가 높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건조 슬러지를 이용하여 납으로 오염된 토양 복원에 충분한 이용 가치가 있어 보이며, 다양하고 높은 중금속 제거를 위하여 후속연구로 슬러지의 성상 및 기작을 파악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양주별산대놀이에 내재된 신명에 관한 연구

        장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Korean dance, there are inclusion of dark shade or sorrow. In Korean dance, the grudges don’t stop as simple grudges, but they sublimate audience to the level of freedom, hope and joy, the cheer world. This cheerfulness has been wieldingits power in overcoming great crises in our history. Cheerfulnessis the most essential element in our conscience, and vitalizes our life by venting our grudges and easing our pains as the artistic source of the people to express their lives. Also, it arouses community spirit and maintains the community, and has a potential to lead the community into a better life. The internal motivation to arouse cheerfulness is ‘play’, and this is the existential ground of the conscience of the people. And it plays a critical role to arouse cheerfulness. Mask dance has its aim to overcome all social conflicts and problems and create a new social order, and is a space where the people disentangle private and public conflicts by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the people to express themselves. The cheerfulness inside mask dance is the most practical method to give an outlet for grudges of the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ealing that how the cheerfulness inside of make dance appeared by studying Yangjubyeulsandaenori, and grasping the nature of Korean dance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cheerfulness in mask dance,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erfulness our dance has, and at the same time placing the cheerfulness as the spiritual ground of today’s dance which is aiming at creative dance This study has go throug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heerfulness based on documentary studies and the studies of audio and video materials and tried to grasp the nature of cheerfulness, and studied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the Yangjubyeulsandaenori, the formation of exaggeration and its content, the formation of the dance and its content, and the conflict structure and its content. Basing on these studies, I’ve studied it dividing the cheerfulness into four categories, social cheerfulness and the cheerfulness of life and death as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seen in the content, the cheerfulness of an entertainment after a ceremony and the cheerfulness of the presence as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seen in the form. As theresult, first, it transforms immanent problems and conflicts of the society into public issues through art and expresses the social cheerfulness as a festival of life putting the achieved social conscience into action with the veteran, milksop, Sinhalabi, and Miyalhalmi. Second, the cheerfulness of life and death derived from the process of overcoming death and affirming life is expressed through Chimnoli, Chwibalinoli, Sinhalabi, and Miyalhalmi. Third, the cheerfulness of an entertainment after a ceremony creates a conciliatory space by realizing the social conscience and solving conflicts, and is the epilogue unfolding with the last cheerfulness in changing the world into a better one, and shows that our dance starts and ends with cheerfulness. Fourth, the closer become actors and spectators, the better becomes the dance. In this sense, cheerfulness is not confined to only actors but spread all over the spectators, and this is the presence. The cheerfulness of the Yangjubyeulsandaenori, as mentioned above, solves the immanent conflicts and problems of the society by materializing them in the play. And by doing it, it provides an outlet for the grudges of the people, and strengthens and revitalizes their bond and solidarity. Also, I think that it would be an important spiritual basis for players and audience to feel a sense of unity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in that today’s dance expresses the conscience of its main subject, which is to go beyond the domain of art. 한국의 춤 속에는 어두운 그늘이나 슬픔의 한(恨)이 서려 있다. 그러나 한국의 춤은 한이 한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유, 희망, 희열의 경지로까지 승화시키는 신명의 세계로 이끈다. 이러한 신명은 결코 순탄치 못했던 우리 역사에서 어려움을 극복해 가는데 있어서 엄청난 위력을 발휘해 왔다. 신명은 가장 근원적이고 민중적인 생활표현의 예술적 원천으로 삶의 응어리진 한과 고통을 풀어헤쳐 삶의 활력을 주며, 공동체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유지시키면서 보다 나은 삶으로 발전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신명을 불러일으키는 내적 동인은 바로 ‘놀이’인데 이것은 민중의 의식에 내재적 존립근거로써 인간의 몸속에 들어있는 신명을 솟구치게 하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 탈춤은 사회적 모순과 갈등을 극복하고 새로운 사회질서를 만들고자하는 지향점이 있으며, 민중들이 자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해 줌으로서 사회에서 느낀 개인적, 공동체적 갈등을 해소하는 신명의 장으로써 탈춤속의 신명이야말로 민중의 가장 현실적인 신명풀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양주별산대놀이에 내재된 신명을 연구함으로써 탈춤 속에 신명이 어떻게 나타났으며, 탈춤에 있어서 신명의 역할을 규명하여 우리 춤이 갖고 있는 신명의 특징을 이해함과 동시에 창작춤을 지향하고 있는 오늘의 무용에 있어 신명이 중요한 정신적 바탕이 됨을 인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적 연구와 시청각자료 연구를 기반으로 신명의 개념과 기능을 고찰하여 신명의 본질에 대해 파악하고, 양주별산대놀이의 유래 및 배경, 과장의 구성과 내용, 춤사위의 구조와 내용, 갈등구조와 내용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양주별산대놀이에 내재된 신명을 사회적 신명, 삶과 죽음의 신명, 뒤풀이의 신명, 현장성의 신명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적 신명은 사회에 내재해 있는 모순과 주요갈등을 예술을 통하여 공동체적 관심으로 부각시키고 거기에서 성취된 사회인식을 행동화 하는 삶의 축전으로 이는 노장, 샌님, 신할아비와 미얄할미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삶과 죽음의 신명은 죽음을 극복하고 삶을 긍정하는 과정에서 도출되며 이는 침놀이, 취발이놀이, 신할아비와 미얄할미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셋째, 뒤풀이의 신명은 사회의식을 실현하고, 해결함으로써 화해의 장을 만들어 현실세상보다 나은 세상의 실현에 있어서 마지막 신명을 함께 풀어내는 끝맺음으로 우리의 춤이 신명으로 시작해서 신명으로 끝나는 단적인 예를 보여준다. 넷째, 현장성의 신명은 놀이꾼과 구경꾼이 가까운 관계를 가질수록 잘 이루어지며, 이러한 관계에서 신명은 놀이꾼들만의 것이 아니라 탈판에 모여든 모든 구경꾼들에게 확산되어 나타난다. 양주별산대놀이에서의 신명은 이상과 같이 사회에 내재해 있는 모순과 주요갈등을 놀이에 구체화하여 놀이꾼과 구경꾼이 춤을 통해 갈등을 해소하고 응어리진 감정을 풀어 그 정서를 현실에 되돌려 놓음으로써 그들의 내적인 유대와 결속을 강화하고 활성화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명은 단순한 놀이나 예술이라는 차원을 넘어서 오늘의 무용이 작품의 주제의식을 표출하는데 있어 무용가와 관객이 일체감을 느끼고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정신적 바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기하학적 조형을 통한 확장된 회화 공간의 연구

        장하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20세기 이후 현대회화의 가장 큰 혁신은 평면(Flatness), 지지체의 형태(shape of Support)이다. 3차원적 공간의 파괴와 회화의 평면성에 대한 자각이며 대상을 묘사하지 않는 자율적 회화의 필요성을 느낀 입체파에서 비롯된 기하학적 추상은 형태를 가장 단순한 기하학적 요소로 환원시키고 화면에서 바탕의 개념을 거부하였다. 이러한 기하학적 추상은 화면에서 장식성을 제거하고 형태를 가장 단순한 기하학적 요소로 환원시키는데 이는 미니멀 아트로 이어진다. 미니멀 아트는 모든 일루젼(illusion)을 극소화하고, 평면이라는 2차원의 제한에서 벗어나 3차원이라는 확장된 공간을 나오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작가의 주관을 배제함으로써 사물의 고유한 특성을 제시하려 하였고,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평면성이나 화면 지지체의 형태를 근본적인 물체로 환원시킴으로써 종래의 회화와 조각 개념간의 경계선을 와해시킨다. 미니멀 아트에서의 기하학적 형태는 시각적 체험을 즉각 유발시키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시각의 반응을 통하여 경험의 본질과 그 인지를 가능한 한 직접 다룬다. 또한 미니멀 아트는 새로운 차원으로서의 오브제(Object)를 제시한다. 이것은 상(象)을 대상화하려는 전통 관념으로부터의 탈피를 의미한다. 작가의 주관적인 것들을 직접 나타내지 않고 그 대신 사물의 존재를 직접 제시하려는 의도로서 명확하고 간결한 기하학적 공간표현을 시도하였다. 본인 작품의 기본적 요소는 미니멀 아트에서 확장된 기하학적 형태인데, 그것은 본인의 의도와 가치관을 부각시키기 위한 개방적 태도이다. 미니멀 아트에 나타나는 기하학적 형태의 특징과 현실공간에서 지각되는 기하학적 구조와 그 위에 그려진 환영적 요소의 결합을 통해 무한한 공간으로의 확장을 시도한다. 또한 쉐이프트 캔버스로 표현된 작품은 두께가 강조되어 회화와 조각의 중간적 형태를 띄며 오브제로서의 물체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그려진 이미지를 통해 일루젼적 요소를 드러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본인의 기하학적 조형원리를 미니멀 아트와 연결시켜 관련 작가들을 통해 비교 분석한다. 도날드 져드(Donald Judd, 미국, 1928 ∼ 1994)는 일루젼을 '특수하게 존재하는 사물'로 환원 시켰고 로버트 모리스(Robet Morris, 미국)는 개개의 단위형태의 작품들이 하나의 전체로 파악되기를 바랬다. 본인의 작품은 저드의 특수한 사물로서의 역할을 쉐이프트 캔버스(Shaped Canvasn)를 통해 표현되었지만 일루젼과 실재의 조화를 통해 상징성과 물체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각 개체는 전시장에 재배치 됨으로써 공간에서의 완성이 된다. 이는 모리스의 전체성이란 특징에 단지 오브제로서의 경험이 아니라 시각적 긴장과 극적인 요소를 가미시켜 공간이 확장되고 개방화 될 수 있는 가능성들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미니멀 아트의 평면회화에서 오브제로 귀결되는 과정에 주목해 기하학적 조형을 통한 확장된 회화 공간의 전개인 것이다. The biggest innovation of modern paintings since the turn of 20th century has been the flatness, the shape of support. The geometric abstraction, which has been originated from the cubists who felt the need of self-regulated paintings that were the consciousness of the destruction of the third dimensional space and the flatness of paintings, and did not describe objectives, restores shapes to the simplest geometric element and refuses the conception of ground on the canvas. This geometric abstraction which removes decorative natures from the canvas and restores shapes to the simplest geometric element is continued to the minimal art. The purpose of the minimal art is to minimize all the illusions and take out the third dimensional space-that is an expanded space, by getting out of the limit of the second dimensional space-that is, the flat. This presents the innate feature of things by excluding the subjectivity of an artist, and demolishes the boundary line between traditional paintings and sculptures, by means of restoring flatness and the shape of canvas support to a fundamental object through a phenomenological method. The geometric shape in the minimal art plays the role of medium that induces the visual experience promptly. Through visual response, it handles the intrinsic nature of experience and its recognition as directly as possible. And the minimal art presents an object as a new dimension as well. This means the exuviation from the traditional notion that tends to objectify images. Intending not to reveal the subjectivity of an artist, but to present the existence of things directly instead, it attempts to express space as a definite and concise geometric shape. The basic element of my works of art is a geometrical shape expanded from the minimal art. This is an laissez-faire attitude to highlight my intention and values, and also an attempt to expand toward endless space by combining the geometric shape revealed from the minimal art, geometric structure perceived in the actual space, and illusional element portrayed on the geometric structure. Also the work of art expressed in the form of shaped canvas is emphasized by its thickness and presents the intermediate shape between paintings and sculptures. It also reveals materiality as an object and an illusional element through painted images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I link my geometric principle of shape with the minimal art and then comparatively analyze it through related artists. And I also develop an expanded painting space through the geometric shaping,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oncluding from the flat paintings of the minimal art to the object.

      • 화석연료 및 폐기물 연소 시 배출되는 HAPs 중 수은과 주요 유해중금속의 배출특성

        장하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화석 연료 연소나 폐기물 소각 시 다양한 유해대기오염물질 (HAPs : Hazardous Air Pollutants)이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HAPs 중 수은 및 유해 중금속류에 대한 제어가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대기 중 수은은 보통 가스 상으로 존재하며 유해중금속류는 미세입자로 배출되게 된다. 대기 중 존재하는 미세입자의 경우, 인위적 배출원의 연소 등에 의해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미세먼지 (fine particles)의 경우, 입자크기나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주게 된다. 특히 초미세입자 (ultra-fine particles)는 기존 대기오염방지시설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대기 중으로 배출되며 흡입 시 인체의 폐에 그대로 침적되게 된다. 위와 같은 초미세입자의 인체에 대한 역학적인 관계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기에 최근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배출특성 파악과 생성메커니즘 규명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수은의 경우, 최근에 제도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이에 대한 제어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새로운 기술에 의해 이를 제어하기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이므로 기존 방지시설에 의해 이를 제어함이 가장 효율적일 것이다.따라서, 이러한 초미세입자 및 주요 유해중금속의 배출특성을 파악키 위해, 인위적 배출원으로 2개의 산업보일러와 1개의 화력발전소의 중유연소시설과 2기의 유연탄 발전소와 1기의 무연탄 발전소의 석탄연소시설이 조사되었다. 또한 비교실험을 위해 lab-scale 실험으로써 drop-tube furnace를 이용하여 1400 ℃에서 중유 및 석탄을 각각 연소실험을 실시하였다. 총먼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EPA method 5가 사용되었으며, PM10 (10 micron이하의 입경을 가진 입자)을 측정하기 위하여 EPA method 201이 사용되었다. 입도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cascade impactor, moudi impactor, LPI (low pressure impactor), SMPS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등이 사용되었다. Ultra-fine 입자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이 사용되었다. 미세입자 내의 주요 유해 중금속은 ICP/MS 및 WD-XRF에 의해 분석되었다. 인위적 배출원에서 생성되는 0.1 ㎛의 ultra-fine mode와 1 ㎛ 이하의 sub-micron mode는 drop-tube furnace에 의한 lab-scale 실험과 CEA (chemical equilibrium analysis) 및 MAEROS (multi-component aerosol simulation)에 의한 code estimation에 의해 생성 메커니즘이 설명되었다.인위적 배출원의 입도분포 결과, 중유 산업보일러의 입도분포의 경우, 1개 시설은 0.1 ㎛과 1 ㎛ 부근에 bi-modal을 형성하였고, 다른 1개 시설은 1 ㎛ 부근과 1 ㎛ 이상에 bi-modal을 형성하였다. 중유화력발전소의 경우, 0.3 ㎛ 부근과 1 ㎛이상에 각각 mode를 형성하였다. 0.1 ㎛의 ultra-fine mode와 0.3 ㎛ 부근의 mode는 lab-scale실험과 code estimation에도 증명되었듯이 V, Ni과 같은 전이금속의 휘발 및 응축에 의한 응집에 의해 형성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 부근의 central mode는 incomplete burnout 에 의해 형성되었을 것으로 파악되며, 1 ㎛ 이상의 coarse mode는 char fragmentation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석탄 화력발전소의 경우, 0.1 ㎛과 1 ㎛ 부근, 1 ㎛ 이상의 tri-modal 경향을 나타내었다. 0.1 ㎛의 ultra-fine mode의 경우 lab-scale 실험과 ultra-fine particle의 morphology에 의해 증명되었듯이, Na, K, Fe와 같은 휘발성이 강한 금속에 의한 응축 및 응집에 의해 형성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의 central mode의 경우, lab-scale 실험에서도 증명되었듯이 Al, Si, Ca와 같은 inherent mineral의 입자로의 전환메커니즘에 의해 형성되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1 ㎛이상의 coarse mode는 char fragmentation에 의해 형성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수은의 경우, 1개의 석탄화력발전소와 5개의 대형생활폐기물소각시설이 조사되었다. 수은에 대한 각 방지시설의 효율 및 화학종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양한 방지시설이 조사되었는데 ESP (electrostatic precipitators), wet scrubber, FGD (flue gas desulfurization), SDR (semi-dry reactor), SNCR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 그것이다. 수은의 화학종분포에 따른 측정을 위해 EPA ontario hydro method 가 사용되었으며, 총수은을 조사하기 위해 EPA 101A method가 사용되었다. 석탄화력발전소의 경우, ESP를 지나면서 입자수은이 5.8%~6.8% 범위에서 0.9%~1.4%의 범위로 감소되었다. 산화수은의 경우, FGD를 거치면서 54.7%에서 15.1%로 72%가 감소되었다. 이는 FGD가 산화수은을 어느 정도 제거효율이 있음을 나타낸다. 생활폐기물 소각로의 경우, 산화수은이 건식 type의 방지시설을 지나면서 73%에서 86%로 증가하였으나, 습식 type의 방지시설의 경우 71%에서 65%로 6%가량이 감소하였다. 이는 습식 type의 wet scrubber가 어느 정도 산화수은의 제거효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SNCR의 방지시설의 경우, 산화수은이 71%에서 83%로 12%가 증가한 반면, SCR에서는 55%에서 76%로 21%가 증가하여 2배에 가까운 산화수은으로의 전환율을 보였다. 이는 SCR이 어느 정도 원소수은을 산화수은으로 전환시키는 촉매작용을 함을 가리킨다.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are generated from anthropogenic sources. Heavy metals including mercury are part of HAPs which are emitted from fossil fuel combustion and waste incineration. Fine particles below 2.5 micron (PM2.5) cause adverse health effect because of particle size and their 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centration of toxic metals. Especially, most of the ultra-fine particles below 0.1 micron (PM0.1) emitted to ambient air are difficult to control by existing air pollution control devices (APCD). Ultra-fine particles are small enough to penetrate the respiratory system’s natural defenses against air pollution and they deposit on human lungs. The epidemiology between adverse health effect and ultra-fine particles is still unclear despite of numerous researches. Hence, the research in this field has attracted much interest recently. The investigation of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mechanism of ultra-fine particles should be clear before laying efforts to control it. Also, many efforts and researches are going on to control and regulate mercury, since it is one of the most toxic and global pollutant. The best technology for controling mercury is to change the configuration of existing APCD since high costs are involved in developing new technology for mercury control.In order to analyz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ajor metals and fine particles from anthropogenic sources, three heavy oil combustion facilities including two industrial boilers, one power plant and three coal burning facilities including two bituminous coal, one anthracite coal combustions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The lab-scale experiment using drop-tube furnace was carried out by combustion of heavy oil and coal at high temperature (1400℃). EPA method 5 was used for sampling total particulate matter and EPA method 201 was used for sampling PM10. Cascade impactor, moudi impactor, LPI (low pressure impactor) and SMPS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were used for segregating the particle size. The morphology of particulate matter was investigated using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observe the shape and surface of ultra-fine particles. Toxic heavy metals in fine particulate matter were analyzed by ICP/MS and WD-XRF. The ultra-fine mode and sub-micron mode generated by anthropogenic sources are explained by lab-scale experiment in order to present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mechanisms such as vaporization, condensation, coagulation, and fragmentation. In addition, the code estimation such as CEA (chemical equilibrium analysis) was used to predict chemical composition and MAEROS (multicomponent aerosol simulation) was carried out for prediction of particle growth.In case of heavy oil combustion, one industrial boiler revealed bi-mod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 ultra-fine mode (0.1㎛) and central mode (around 1.0㎛). The other boiler emissions had central mode around 1 ㎛ and coarse mode larger than 1 ㎛. Oil power plant had two modes such as 0.3 ㎛ and >1 ㎛. Ultra-fine mode and mode around 0.3 ㎛ of oil power plant might be formed by mechanism of vaporization, condensation of toxic metals such as V and Ni and then coagulation, as it is evident from lab-scale experiment and code estimation. The central mode around 1 ㎛ was expected to be formed by incomplete burnout and the coarse mode larger than 1㎛ was attributed by char fragmentation.In case of coal power plants, emissions showed tri-mod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cluding ultra-fine mode at 0.1 ㎛, the central mode around 1 ㎛, and the coarse mode larger than 1 ㎛. As proved by lab-scale experiment and morphology of ultra-fine particles, ultra-fine mode at 0.1 ㎛ seems to be formed by mechanism of vaporization and condensation of major volatile metals such as Na, K, and Fe, and then coagulation. The central mode of 1㎛ was formed due to the conversion of inherent mineral such as Al, Si, and Ca as revealed in the lab-scale experiment. The coarse mode larger than 1㎛ was considered to be formed by char fragmentation.In case of mercury, six anthropogenic sources including one coal-fire power plant and five combustion facilities of municipal solid waste were investigated to suggest the best configuration of APCD such as ESP (electrostatic precipitators), wet scrubber, FGD (flue gas desulfurization), SDR (semi-dry reactor), SNCR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and 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The control efficiency and speciation such as elemental mercury, oxidized mercury, and particulate mercury were examined by APCD. EPA ontario hydro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ercury speciation and EPA 101A method was used for sampling total mercury. In coal power plant, a portion of particulate mercury in total mercury was decreased from the range of 5.8-6.8% to 0.9- 1.4% after penetrating ESP. The portion of oxidized mercury was decreased from 54.7% to 15.1%, with the efficiency of 72%, as it passed through FGD. In municipal waste facilities, oxidized mercury was increased from 73% to 86% through the dry-type APCD such as semi-dry reactor. On the other hand, it was decreased from 71% to 65% through the wet-type APCD such as wet scrubber, which indicates that wet scrubber is efficient for removal of oxidized mercury to some extent. In case of SNCR, oxidized mercury was increased by 12% (from 71% to 83%), but it was increased by 21% (from 55% to 76%) through SCR, which reveals that SCR could enhance the oxidization of the elemental mercury.

      • PEG를 포함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제조 및 특성

        장하나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Silicone hydrogels incorporated with polyethylene glycol (PEG) were prepared and characteriz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G on contact lenses. The silicone hydrogels were copolymerized with methacryloxypropyl tris(trimethylsiloxy) silane (TRIS), methyl methacrylate (MMA), N,N-dimethyl acrylamide (DMA) and PEG-containing monomer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PEG-MEM). The silicone hydrogels were characteriz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electron spectroscopy of chemical analysis (ESCA),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ater absorbance, water contact angle and light transmittance of the silicone hydrogels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s of protein absorption were also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rotein adsorption in tears. The peak intensity of C-O bond was increased by the incorporation of PEG-containing monomers and thus PEG incorporation into silicone hydrogels could be confirmed. Phase separation was not shown by the SEM observation of the cross-section of silicone hydrogels. Water absorbancy was increased, while water contact angle and light transmittance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incorporation of the PEG-containing monomers. The absorption of proteins in tears, albumin, lysozyme and ɤ-globulin, on the surface of silicone hydrogel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incorporation of the PEG-containing monomers.

      • 좀비서사의 스토리텔링 연구 : 소설, 웹툰, TV드라마를 중심으로

        장하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좀비(Zombie)’는 본래 서인도 제도 원주민들의 민담이었으나, 할리우드 영화에 수용되면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좀비장르는 세계 각국의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에서는 영화‧드라마‧소설‧웹툰 등에서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이 논문은 좀비 캐릭터 및 장르의 수용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대중문화가 가진 혼성적 성격과 더불어 수용된 문화를 재가공 ‧ 창조하는 문화적 기제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연구의 진행은 좀비 캐릭터의 기원과 외국에서의 발전과정을 먼저 거시적으로 정리하는 작업, 한국 좀비서사의 대표작을 각 매체별로 분석하는 작업, 이를 바탕으로 한국 좀비 캐릭터 ‧ 장르의 이야기 가치와 전망을 분석하는 작업의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좀비의 기원과 좀비장르의 탄생과 더불어 해외 좀비장르의 발전사를 우선적으로 정리한 뒤, 한국에서 이루어진 좀비장르의 수용양상을 검토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소설, 만화(웹툰), 영상(TV드라마)분야의 실제 작품에 대한 분석작업이 이루어졌다. 좀비장르를 수용·변형한 실례를 각 매체의 특성과 연관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분석의 대상이 되었던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우선, 김중혁의『좀비들』에서 좀비는 잃어버렸던 인간성을 회복하고 다른 사람들과 연대하게 만드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좀비는 문화적 취향을 상징하는 데 현대문명에서 비롯되는 인간소외 때문에 단절된 인간들, 그리고 그 인간들이 마니아적 취향 공유를 통하여 다시 소통하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강풀의 <당신의 모든 순간>에서 좀비는 개성을 간직한 인간적인 존재로 제시되었다. 공격성이 두드러지기 보다는 신체적인 결함을 가진 약자에 가깝다. 작품에는 청년문제와, 재건축 문제 등의 현실문제가 함께 반영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라이브 쇼크>는 TV드라마라는 매체의 특성상 시청자 층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장르의 혼합을 시도한다. 또한 극적 몰입을 위한 다양한 서사전략을 구사했다. <라이브쇼크>에서는 청년 문제와 진실을 은폐하고 인권을 유린하는 언론, 정치, 기업 등 사회시스템 전반에 대한 문제가 드러난다. 또한 전염병에 대한 공포와 이를 제대로 대처할 수 없는 정부의 무능력 등 현실을 시의적으로 반영한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한국 좀비서사의 변용과 확장을 확인하고 발전가능성을 전망하였다. 첫째, 장르의 단순한 수용에서 시작하여 확장적 변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좀비장르의 모티프가 해체되고, 캐릭터 자체가 변용되는 등 다종다양한 좀비서사가 창작되고 있다. 이는 좀비장르의 창조적인 재창작을 위한 탐색과정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한국의 좀비가 문화·사회적 상징으로 변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적으로는 좀비 자체가 B급 문화나 서브컬처 자체를 상징하게 된 경우이다. 사회적으로는 타자에 대한 공포와 공권력에 대한 불안을 상징하던 좀비가, 한국에서는 인권 유린 현상과 그러한 현상을 가져온 사회시스템의 문제를 다루고 있음을 밝혀냈다. 셋째, 한국의 좀비서사가 변형된 데에는 디지털 매체가 큰 역할을 했음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전망해보았다.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다양한 수용 계층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콘텐츠가 창작 가능하고, 이에 따라 좀비서사가 양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또한 짧은 러닝 타임과 이야기단위를 가지는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상, 단편적인 에피소드 형식으로 표현되는 좀비서사가 등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매체가 제공하는 글로벌 플랫폼을 기반으로 해외 시장을 겨냥한 좀비서사가 창작 될 것이다.

      • 무용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 및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장하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무용 수업에 참여중인 초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총 223부의 자료로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분석 가능한 자료를 가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T-검정,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감성지능은 일반 초등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신체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감성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여 지며, 성별에 따른 감성지능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무용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일반 초등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신체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여 지며,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무용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또래 유능성은 일반 초등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신체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또래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여 지며, 성별에 따른 또래 유능성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무용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또래 유능성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섯째, 감성지능 하위요인에 따른 자기효능감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에 35%의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감성지능 하위요인 중 “긍정성”요인, “부정성”요인, “눈치성”요인은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었다. 여섯째, 감성지능 하위요인에 따른 또래 유능성 다중회귀분석 결과, 또래 유능성에 47.1%의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감성지능 하위요인 중 “긍정성”요인, “소심성”요인, “부정성”요인, “눈치성”요인은 감성지능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었다. 일곱째, 자기효능감은 또래 유능성에 45.6%의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위요인 중 “조직력”요인은 또래 유능성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자아가 형성되는 시기인 초등학교 아동에게 무용 수업은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또래 유능성을 증진시키는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신체표현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길러주고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아동에게 즐거운 삶을 보장할 수 있는 사회 정서적 유능감을 증진시켜 줄 것이다. 따라서 아동의 건강한 자아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신체표현활동을 통한 무용 수업은 아동기의 성장발달에 가장 필요한 교육이며, 보다 좋은 교육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되고 향후 더욱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used the total 223 copies of data as the final analysis by using the significance sampling method after selecting elementary schoolers participating in dance classes as the sampling group. For the data possible to be analyzed from the collected data,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8.0 and the results are like below.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lementary 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dance classes is shown to be higher than general elementary schoolers, which means that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elementary 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Even though 'boys' emotional intelligence is higher than 'girls' one, there is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self-efficacy of the elementary 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dance classes is shown to be higher than general elementary schoolers, which means that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elementary schoolers' self-efficacy. Even though 'girls' self-efficacy is higher than 'boys' one, there is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peer competence of the elementary 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dance classes is shown to be higher than general elementary schoolers, which means that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elementary schoolers' peer competence. For the peer competence in accordance with sex, 'boys' peer competenc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girls'. Fourth, significant correlation is shown in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peer competence of the elementary schoolers participated in dance classes. Fifth, i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elf-efficacy in accordance with the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has 35% influence on self-efficacy. Especially, "positivity' factor, "negativity" factor and "sense" factor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 with self-efficacy. Sixth, i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eer competence in accordance with the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has 47.1% influence on peer competence. Especially, "positivity" factor, "timidity" factor", "negativity" factor and "sense" factor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Seventh, self-efficacy is shown to have 45.6% influence on peer competence while "organizing ability" factor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is shown to have significant relation with peer competence. It is found that dance classes has influence o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peer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ers whose egos start to be formed, which means that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ct as not only providing physical/emotional/social development and infinite imagination, but also improving social/emotional competence which can guarantee children's happy lives. Thus in order to develop children's healthy egos, dance classes through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are mostly essential education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 childhood. They should be formed to provide better educational effects as more studies on thi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내현적 자기애 특성과 자기조절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

        장하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생 339명에게 내현적 자기애 척도, 학습 전략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고 2008년 2학기 중간고사의 예상성적과 실제성적을 적어 제출하도록 하였다. 심리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실제성적을 공변인으로 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조절 학습전략에 따른 차이를 2×2 공변량분석하였고, 예상성적, 실제성적, 예상성적과 실제성적 간의 차이에 대해서도 2×2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을 많이 하는 집단이 덜 하는 집단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예상성적에서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을 많이 하는 집단이 적게 하는 집단에 비해 성적을 높게 예상함을 알 수 있었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실제성적을 보고하였는데 이는 내현적 자기애자들이 부정적 자기개념을 갖고 있어서 이에 대한 보상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집단이 덜 사용하는 집단보다 예상성적 뿐만 아니라 실제성적 또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적 자기효능감,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조절 학습전략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서 기술하였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difference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covert narcissism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 this, 339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covert narcissism scale, learning strategies test, academic self efficacy scale, subjective well-being scale, and were asked self-expected grade and actual grade of mid-term exam in fall semester, 2008. Conducting 2 by 2 ANCOVA, it verified the differences of academic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depend on the disposition of covert narcissism and applic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ctual mid-term exam grade was put in as covariance to operate the results which are valid on the relations of psychological variances only.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level covert narcissism group has lower academic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than low-level covert narcissism group. And a group who apply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shows higher academic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than other group who apply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less frequently. We could not find the influence of self-expected mid-term exam grade from covert narcissism,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 of self-expected grad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High-level covert narcissism group reports better academic achievement than low-level covert narcissism group, it is inferred that covert narcissists effort to compensate their negative self-concept. Besid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group who apply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attained higher grade on term, and also they set their self-expected grade even. There are main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related with academic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there is no interaction. In discussion, we describe the consideration of the reason why interaction was not foun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