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과 종교의 종합, 가치와 규범의 소통: 시몽동의 메타윤리학

        장태순 서양근대철학회 2025 근대철학 Vol.25 No.-

        본 연구는 시몽동의 메타윤리학을 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시몽동은 두 주저에서 윤리학에 대해 서술했지만, 그것은 구체적인 규범 체계가 아니라 윤리학 자체에 대한 사유이다.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에 관하여에서 시몽동은 인간과 세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사유 양식을 설명하는데, 여기서 윤리는 과학과 함께 기술적 사유와 종교적 사유가 양분되어 재결합한 결과물로 나타난 다. 그 결과 윤리는 실천적 사유로서 이론적 사유인 과학과 대립하지만, 종교의 주체적 측면과 기술의 대상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윤리는 주체와 객체의 대립으로 인한 긴장을 해소하고 둘을 양립가능하게 만드는 해(solution) 로서 나타난 일종의 개체이다. <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에서 시몽동은 윤리학 내에 공존하는 양립불가능성을 규범과 가치라는 개념쌍으로 설명한다. 가치는 규범을 탄생시키며 규범 체계를 둘러싸고 있는 전개체성이 다. 윤리학의 본질은 규범이나 가치가 아니라 규범과 가치의 소통에 있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etaethics of Simondon. Although Simondon discusses ethics in two of his major works, these are not specific normative systems but reflections on ethics itself. In On the Mode of Existence of Technical Objects, Simondon describes various modes of think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world. Here, ethics emerges as a result of the division and reassembly of technical thought and religious thought, alongside science. As a result, ethics, as practical thought, opposes theoretical thought like science, but it also contains both the subjective aspect of religion and the objective aspect of technology. Ethics appears as a kind of entity that resolves the tension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making them compatible with each other. In Individuation in Light of Notions of Form and Information, Simondon explains the incommensurability coexisting within ethics through the pair of concepts: norm and value. Value gives rise to norms and represents the pre-individuality surrounding the normative system. The essence of ethics lies not in norms or values themselves, but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norms and values.

      • 도로 방음벽용 금속 패널의 내식성 기준에 관한 연구

        장태순,이찬영,심재원,이원기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도로 방음벽에 많이 사용되는 금속재 흡음형 방음 패널의 전면판은 알루미늄 합금판 또는 도장 처리된 아연도금강판, 후면판은 아연도금강판으로서 배기가스와 수분, 그리고 동절기 도로 제설용 염화물 등에 오랜 기간 동안 노출됨에 따라 목표 내구연한 이내에 표면 부식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제품의 장기 내식성 확보를 위해서는 해안가 지역이나 제설제 다량 살포 지역 등 부식성 환경을 고려한 품질기준 설정이 요구된다. 방음패널용 금속 및 3원계(Zn-Al-Mg) 고내식강판에 대하여 건습반복 염수분무시험을 실시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외관 변화를 육안 관찰 및 디지털 이미지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각 시편에 대한 부식속도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시험 중 시편 표면에 녹 발생 등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던 알루미늄 합금판에 비해 아연도금강판은 도장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도 타 공부와 절단면에서부터 녹 발생이 시작되어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고내식강판의 경우, 시험 1,000시간 이후 절단면에서부터 부식이 시작되었으나 아연도금강판에 비해서는 훨씬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어 기존 아연도금강판의 효과적인 대체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벗어남의 예술로서의 영화: 알랭 바디우의 영화 사유

        장태순 철학연구회 2022 哲學硏究 Vol.- No.136

        알랭 바디우는 젊은 시절부터 영화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 왔고, 방대한 양의 글을 통해 예술로서의 영화를 옹호하였다. 바디우는 자신의 예술론을 비미학(inesthetique)이라는 이름으로 정리하였는데, 이것은 예술 밖에서 예술에 대해 사유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 작품 안에 뛰어들어서 작품이 만들어내는 진리를 통해 철학을 구성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바디우에게 모든 예술 분야가 같은 지위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영화는 연극처럼 진정한 운동이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운동의 환영을 만들 뿐인 것이라고 말하여 영화의 부족함을 드러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바디우는 일곱 번째 예술인 영화가 다른 예술들의 덤(plus-un)이라고 말하며, 영화만이 20세기의 유일한 대중 예술이라고 평가함으로써 영화를 가장 우월한 예술로 평가한다. 최근의 저작에서 바디우는 헤겔 미학의 연장선상에서 영화를 사유한다. 이런 관점에서 영화는 모든 예술을 종합하는 최후의 예술이다. 영화에 대한 바디우의 사유는 그의 철학에서 가장 독특한 개념인 벗어남(soustraction)을 잘 보여준다.

      • 컬러 플라스틱 방음자재의 내후성 평가방법 고찰

        장태순,심재원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컬러 플라스틱 재질의 방음패널은 다른 재질에 비해 경량일 뿐만 아니라 성형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형상으로도 가공이 용이하며,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므로 심미적인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적절한 자외선 안정화 처리가 되지 않은 컬러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한 방음자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이나 변형 발생 등 외관 불량,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컬러 플라스틱 재질의 방음판에 대한 한국산업표준(KS F 4770-3)에서는 `후면판`에 대해서만 `촉진내후성시험(형광UV시험 500시간 또는 자외선카본 600시간) 후 황변도(△YI) 3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평가항목으로 제시된 `황변도`는 빛과 열 등의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백색으로부터 황색 방향으로 변해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무색 또는 백색에 가까운 플라스틱의 내후성을 평가할 때 주로 사용되나, 다양한 색상의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내후성을 평가하기에는 불충분한 측면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외 촉진내후성시험 기준 및 실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컬러 플라스틱 재질의 방음자재에 대한 내후성 평가방법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 UL 94HB 시험에 의한 투명 플라스틱의 연소 특성 분석

        장태순,심재원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도로 방음벽에 사용되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에 대한 연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PMMA(3종류) 및 Polycarbonate(2종류)에 대하여 UL 94HB 수평 연소 시험을 실시하여 연소 특성을 비교하였다. UL 94HB 시험은 수평 방향으로의 화염 전파 양상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화염 전파 속도를 측정하여 HB 등급을 부여한다. 시험용 시편은 방음판으로 많이 사용하는 두께 8 mm 시트를 절단하여 125×13×8 mm로 제작하였다. 시험 결과, PMMA①(캐스트판)과 PMMA②(압출판)의 경우, 수평으로 놓인 시편에 불을 붙인 후 1분 동안 타들어간 연소길이는 각각 12.3~13.8 mm, 22.2~24.2 mm였으며, PMMA②에 내마모 코팅 처리를 실시한 시편의 경우, 34.6~36.6 mm로 나타났다. 25 mm 표시선을 지나서 100 mm 표시선까지 화염이 도달하는 데 소요된 연소시간은 PMMA①의 경우 314~367초, PMMA②의 경우 186~206초로 나타났다. 내마모 코팅을 적용한 PMMA②의 경우 123~130초로 나타나 코팅이 안 된 경우에 비해 다소 빠른 연소속도를 나타내었다. Polycarbonate의 경우 코팅 여부에 관계없이 화염이 25 mm를 지나지 않아 상대적으로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