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慶尙北道 老巨樹植物資源에 對한 植生學的 硏究

        장은재 계명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역의 잠재자연식생 정보 및 민속식물학적(ethnobotanic) 정보를 제공하는 노거수(老巨樹, old-growth tree) 식물자원에 대한 식생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울릉도를 제외한 경상북도 전역을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03년에 걸쳐서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된 노거수 식물자원조사표를 이용하여 현장식생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조사표는 49개의 조사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의 노거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범주 가운데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2,390개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ⅰ) 법적 제도적으로 이미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개체, (ⅱ) 수령이 100년 이상으로 추정되는 개체(지역 주민 및 관계 당국에 대한 사전 탐문 조사에서 획득된 정보를 포함), (ⅲ) 지역 주민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보호 관리되고 있는 대경목(수고: 3m, 흉고둘레: 1m, 수관 폭: 4m 이상의 개체). 10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노거수 개체의 생육상태 및 그 환경조건의 평가를 통하여 노거수 자연성(naturalness)를 세 가지 수준으로 판정하였다: 일반감시(monitoring generally), 주요감시(monitoring critically), 절대감시(monitoring absolutely). 또한 획득된 노거수 식물자원 조사표를 이용하여 경상북도 노거수 자원의 특질(다양성, 분포적 특성, 개체 동태)과 생태적 유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직간접적인 수리분석(numerical analysis)으로 다수의 프로그램 [MS-Exel, 한글] 및 통합패키지 프로그램인 SYN-TAX-2000이 사용되었다. 좌표결정법(ordination)으로 유클리디언 거리계수(coefficient of squared euclidean distance)에 의한 PCoA(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를 채택하였다. 노거수 수종에 대한 잠재자연식생 정보는 김종원(2004)에 따랐다. 2,390개체에 대한 노거수 식물자원조사표 및 장기 추적 감시를 위한 database(노거수 수종 생태자원 DB 및 노거수 식물자원 매목 DB)를 구축하였다. 현존하는 경상북도 노거수는 총 22과 49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발굴된 노거수 863개체를 포함하여 총 2,390개체가 조사되었다. 노거수의 종 다양성(species diversity)과 개체수의 풍부성(richness)은 경상북도 북부권의 유교문화유산이 다양하게 유존하는 지역(안동, 예천, 영주, 문경, 상주, 등)에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거수 식물종 가운데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상위 6위의 식물종은 느티나무, 왕버들, 회화나무, 팽나무, 소나무, 은행나무 등이며, 전체 노거수 개체수의 89.6%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3주 이하로 조사된 매우 희귀한 노거수 수종은 가중나무, 갈참나무, 고로쇠나무, 고욤나무, 개오동나무, 눈향나무, 등나무, 뚝향나무, 모감주나무, 물푸레나무, 밤나무, 배롱나무, 뽕나무, 산돌배나무, 서어나무, 오리나무, 왕버들, 아까시나무, 조각자나무, 주엽나무, 참느릅나무, 털왕버들, 해송, 측백나무, 양버즘나무, 호두나무, 탱자나무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거수는 특정 수종에 의해 선발되어 관리되는 식물자원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한반도 자연식생을 대표하는 다양한 참나무류(Quercus spp.) 가운데 5종의 갈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64개 개체수(전체의 2%)로 극히 적었다. 노거수의 서식처유형(habitat type)은 각각의 노거수 수종의 잠재자연식생에 대한 서식처 지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계류역 - 느티나무, 충적대지 - 팽나무, 산지 급경사지 - 소나무, 충적저지 - 왕버들, 기타 서식처 - 회화나무와 은행나무. 노거수의 수직분포(altitudinal distribution)는 해발 41~280m의 범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평균해발고도는 168m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사실은 노거수가 식생지리학적으로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의 남부·저산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접근성이 용이함으로써 인간 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입지의 분포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지리적 수평분포(horizontal distribution) 경향성에서 느티나무는 경상북도 전 지역에 걸쳐서 분포하며, 팽나무는 동해안 권역, 소나무는 백두대간과 낙동정맥 산지 권역, 왕버들은 낙동강 중류와 상류 권역, 회화나무는 경상북도 내의 유교문화 및 불교 문화권, 그리고 은행나무는 전통마을, 사찰, 향교, 서원, 재실 등과 같은 특정 시설지구가 위치하는 장소에 한정되어 분포하고 있었다. 경상북도 노거수 개체의 수령분포(age distribution)는 100년에서 2,000년 사이였으며, 그 가운데 수령 200년에서 300년 사이의 수령을 가진 개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거수의 임계수령(threshold age)은 평균 500년이며, 느티나무는 1,000년, 소나무와 팽나무는 500년, 왕버들과 회화나무는 300년인 것으로 밝혀졌다. 노거수 개체들의 흉고둘레(circumference of breast height, CBH)는 평균 4.8m이며, 1m~14.5m의 범위에서 수종별 흉고둘레 분포 범위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노거수 수종의 평균 수령 및 임계수령에 비례하는 흉고둘레 크기는 은행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팽나무, 왕버들, 회화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노거수 수고(tree height)와 수관 폭(crown width)은 각각 평균 15m와 17m였다. 단목에 비하여 노거수 보존을 위한 후계목 보존 및 경관 보존에 더욱 유리한 2주 이상의 단목군(單木群)은 전체 노거수의 56%(1,347주)인 것으로 밝혀졌다. 느티나무, 왕버들, 소나무, 팽나무, 회화나무 노거수는 단목군의 집괴형(集塊型, Aggregation type)으로 잔존하는 경우가 높으며, 반면에 은행나무 노거수는 단목으로 잔존하는 개체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 노거수는 일반감시대상이 60%, 주요감시대상 39%, 절대감시대상 1%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40%의 노거수가 즉각적인 관리 수단이 수행되어야 하는 개체들로 판정되었다. 노거수의 서식처 유형화를 위한 좌표결정법은 노거수의 경관적 요소와 서식처 생태적 온전성이 경상북도 노거수 유형분류의 주요 범주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10가지의 노거수 서식처 유형이 구분되었다. 또한 노거수의 개체 동태(dynamics) 유형화는 수고 및 수령에 의하여 크게 9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동태유형-V를 중심으로 정규분포적 특성을 보였다. 10가지의 노거수 서식처 유형 및 9가지의 개체동태 유형을 조합(combination) 하여, 노거수의 평가와 관리를 위한 노거수 유형분류 검색표(index key)로 활용될 수 있는 총 90가지의 노거수 생태유형(ecological old-growth tree type)으로 구분되었다. 경상북도 노거수 2,390개체는 90가지 생태유형 가운데 76가지 생태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90가지 생태유형 가운데 주요 노거수종 모두가 출현한 생태유형은 10가지로 5번[R-G-A-A], 14번[R-B-A-A], 40번[I-G-A-Y], 41번[I-G-A-A], 50번[I-B-A-A], 59번[B-G-A-A], 62번[B-G-L-A], 77번[E-G-A-A], 86번[E-B-A-A] 등으로 밝혀졌다. 90가지 노거수생태유형, 노거수생태유형 분류 검색표,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거수 조사 프로토콜 등은 민속식물학적 가치가 지대한 노거수 자원에 대한 장기추적연구의 기본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The old-growth trees(OGTs)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buk-do, which are indicative to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nd ethnobotany, were studied in terms of conservation ecology. The field survey using investigation sheet for OGT ecological evaluation in a useful manner was accomplished from 2002 until 2003 in the whole province except Ulreung-do. Surveyed tre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ree principles such as (ⅰ) legally protected trees, (ⅱ) trees estimated above 100 years old based on published materials previously, gray materials, and information obtained by inquiry, and (ⅲ) trees protected arbitrarily by local people that show proper size with 3m above in tree height, 1m above in circumference of breast height, and 4m above in crown width. Three monitoring levels to individual trees were accessed using 10 criteria considering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habitat: monitoring generally, monitoring critically, and monitoring absolutely. A total of 2,390 trees were indirectly and directly analyzed using different computer packages such as MS-Exel, HWP, and SYNTAX-2000 in order to classify an ecological type of OGTs. The whole data set were basically used in PCoA(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to analyse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s of the OGTs. OGTs were composed of 49 species of 22 families. The species showing high frequency were Zelkova serrata, Salix chaenomeloides,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Sophora japonica, and Celtis sinensis. These major species accounted for 89.6% of whole OGTs. In contrast, the species occurring rarely were Ailanthus altissima , Quercus aliena, Acer mono, Diospyros lotus, Catalpa ovata , Juniperus chinensis , Wisteria floribunda, Koelreuteria paniculata, Fraxinus rhynchophylla, Castanea crenata, Lagerstroemia indica , Morus alba, Pyrus ussuriensis, Carpinus laxiflora, Alnus japonica, Robinia pseudoaccaccia, Gleditsia sinensis, Gleditsia japonica, Ulmus parvifolia, Salix chaenomeloides, Pinus thunbergii, Thuja orientalis, Platanus occidentalis, Juglans regia , and Poncirus trifoliata. On the other hand, only five Quercus species such as Q. aliena, Q. dentata, Q. serrata,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were recorded but also in very poor occurrences with only 64 trees. The most species diversity and richness of OGTs were recognized at the traditionally confucian cultural region (Andong, Yecheon, Yeongju, Mungyeong, and Sangju). Habitat type of OGT species except Z. serrata and S. japonica were portrayed like Z. serrata to the valley, C. sinensis to the alluvial lands, P. densifloa to the mountainous steep slope, S. chaenomeloides to the alluvial low lands, and S. japonica and G. biloba to the the others. Altitudinal distribution of OGTs ranged from 41 to 280m above sea level and its average altitude was 168m. This vertical range is equivalent to the syngeographical region of Callicarpo-Qercenion serratae, thus the region has constantly been under the anthropogenic influences due to be easily accessible to the sites. Horizontal distribution of OGT species showed clearly different patterns such as Z. serrata to the whole provincial territory, C. sinensis to the East Sea areas, P. densiflora to the mountain ranges of Baikdu and Nakdong, S. chaenomeloides to the mid- and upper-stream of Nakdong river, S. japonica to the Confusian and Buddhistic cultural region, and G. biloba to the particular facilities such as folk village, temple, shrine, and traditional family house. Age distribution of OGT ranged from 100 years old to 2,000 years old. OGT numbers of age class 200~300 years old were the most. Threshold age of OGT was 500 years old. Circumference of breast height(CBH) ranged from 1m to 14.5m, its average was 4.8m. The average of tree height and crown width were 15m and 17m, respectively. OGT showing tree patch counted for 56%(1347 trees) of whole OGTs. Monitering levels to all individual OGTs were recognized. Among all OGTs generally monitoring group of OGT amounts to 60%, principally monitoring 39%, and absolutely monitoring 1%. The PCoA scatter-plot of 2,390 OGTs showed that height and age of tree dynamics, habitat conditions, and landscape connectivity were principal components in order to illustrate the OGT ecological types. A total of 90 OGT ecological types were derived by combining 10 kinds of habitat types with 9 individual dynamics types. These OGT ecological types are just an index key to classify and identify all kinds of OGTs. 76 OGT ecological types were recognized in the Gyungbuk OGT database. Only 10 OGT ecological types were commonly found at the major OGT species. These OGT ecological types are [R-G-A-A], [R-B-A-A], [I-G-A-Y], [I-G-A-A], [I-B-A-A], [B-G-A-A], [B-G-L-A], [E-G-A-A], and [E-B-A-A]. Current study supports conservation strategy for OGTs with classification key of 90 OGT ecological types and long-term monitoring protocol for OGTs. Database set of 2,390 OGTs are established in useful manner.

      • 21세기 한국의 대 중국 군사외교 방향

        장은재 韓國外國語大學校 政策科學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적으로 한반도는 세계에서 긴장이 가장 자주 고조된 지역 가운데 하나였으며 현재도 전쟁의 위험이 상존 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의 하나이다.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은 주변강대국의 이해관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한국이 제 분야에서 발전을 거듭함으로써 한반도에서 위협이 사라지고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남북한이 상호 이해와 협조의 분위기를 구축하고 신뢰를 쌓아감으로써 통일의 내적 기반을 다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주변국들과의 군사·안보적 차원은 물론 경제적 차원에서도 긴밀한 협조관계를 모색함으로써 그들이 통일한국의 등장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도록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2000년 6월에 있었던 남북정상회담에 의한 6. 15 공동 선언으로 화해 분위기는 시작 단계이지만 조성되었고 이후 2007년 10월 다시 남북의 정상들이 손을 맞잡음으로써 발전적이라는 평가들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미래에도 이러한 비슷한 모습으로 지속될지는 상당한 시간과 함께 그들의 행동을 예의 주시해야 할 것이며 이와 관련한 군사정책은 단기적인 판단과 대응은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고, 보다 장기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판단에 의해 신중하게 수행하는 것이 국가 이익과 목표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민족의 숙원인 평화통일 시기를 앞당기고 한반도 주변국의 안보적 이해관계를 면밀히 분석하여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대외군사정책을 수립 및 적극 추진은 시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장 효율적이고 시대 발전적인 대외군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 최근 및 미래의 북한정권 및 군사적 문제를 객관적으로 그리고 냉정하게 분석하고, 동북아 지역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많은 국가, 특히 중국이 21세기에 한반도 지역에 대하여 안보 전략적 인식과 판단을 하여야 한다. 특히 21세기에는 중국의 경제적, 군사적, 정치적 역할증대와 국제사회에서 상대적 영향력 증가로 일본 및 주요 선진국은 물론 미국도 중요 경쟁 상대로서 예의 주시하고 있으며, 동북아 안보환경의 예상되는 미래의 특성은 경쟁적인 군비 증강 추세, 영토분쟁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동북아 지역에서 국제질서는 중국의 경제, 군사력 강화로 지역내 역할과 영향력이 증대될 것이며 주변 4개국간 협력과 갈등이 병존하면서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문화적, 전략적 차원에서 중국과 미국과의 양자 대결 구도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러므로 한국은 동북아 지역 안보 정세를 종합해 볼 때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에 대하여 외교적, 전략적 판단에 의한 조정자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국가 이익 증대 및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지혜와 Leadership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대 한반도 군사정책의 기본목표는 외교정책과의 기능적 연계 속에서 남북한 각각에 이중적 정책을 취하면서 한반도에서 긴장완화 및 평화유지를 기하여 경제적 실리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특히 냉전종식이후 미국과의 경제적 관계를 고려하여 일본의 역할증대를 예방하기 위해서도 한반도에서 무력충돌은 그들의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음이 틀림없으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중국의 대한반도 군사정책을 추구할 것이다. 한국은 중국에 대한 군사정책 추진으로 북한과 한국에 대하여 군사적으로 등거리 외교를 수행하도록 분위기를 조성과 경제적으로 중국이 매우 중요한 교역 국가이면서도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국가라는 사실 인식, 군사적 교류와 접촉활동 강화, 적극적이고 대외지향적인 군사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국에 대한 국가안보적 외교를 보다 적극적이고 현명한 방법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앞으로 중국은 동·북아지역에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할 것이다. 그러나 당장 미국과 맞서는 위치로 올라서기는 힘들다. 당분간은 지역의 맹주로 저력을 비축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편으로는 국제질서의 균형추로 작용할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미래의 현상을 예측하여 미국과는 혈맹적 군사동맹관계의 유지와 협력을 추구하고 중국과는 북한과 평화적 통일 및 한반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실리적 군사외교관계를 확대시켜야 한다. 즉, 대 중국 군사정책 추진과제 및 방향은 균형과 협력을 동시에 추구하는 실리적인 21세기 대 중국 군사정책이 민족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Korean peninsula was one of the historical place where the tension is often risen in the world and still remains as dangerous area to be considered for possible war. The peace and safety of this area is depended upon close connection of the interest by surrounding powerful countries. First of all, it is very important to Korea developing continuously would be caused to reduce menace so that form the basis of unite nations as building up a relationship of mutual trust,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s between two countries. But, explore the way of close cooperation and try all the efforts in military safety and economical stage to the neighbor countries so that they help and understanding the united Korea on the rise. The South/North Korea Joint Communique announced on June 15,2000 provide a momentum for beginning the atmosphere of reconciliation and two summits shook hands on Oct. 2007 resulted the public opinion evaluated as developmental growing. But still remains similar aspect behind those events and we have to keep continuous to watching their action so long time in the future. And connected with these incidents as like military policy and countermeasures regarding this within short period of the future wouldn't be desirable thing, rather take cautious attitude in the performances for the future tackle and pass fair judgment would be contributed national goal and object. It is also very important subject to set up for foreign military policy and their propulsion by analysing safety relationship neighbor countries around us and put it to practical use for advance the peaceful unite that our peoples' old and deep scores. So, to make set up for the proper military policy and recognize safety around northeast Asian area, China in their 21st century especially, we have to analyse current North Korean movement and military tendency in a penetrating mind. Therefore, the most efficient analyze North Korean regime of the latest and future military issues will be established in expansive military policy stage objectively and calmly and strategic interest of Northeast Asia should be judged between those countries, especially China with security strategic realization about Korean peninsula in 21st century. In particular, the focus of world attention is that the United State of America as well as Japan and the main advanced countries are watched as important competitor, and expected special quality of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in the future is to competitive military build up tendency and potential territorial dispute by relative influence augmentation in Chinese econo-mical, military, political role enlargement and international community. International role in this area by Chinese economy, military strength and its influence maybe enhanced and possible to be in progress of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cultural, strategic dimension from the next stage with surrounding four countries in cooperations and conflicts. Therefore, Korea, as result of above all, is acute to have leadership to achieve and be as the controller effectively to managing mediator role by diplomatic, strategic judgement about the United Satate of America, Russia, China, Japan when Korea synthesizes Northeast Asia security situation. The basic target of Chinese military policies are to pursues economical profit in the Korean peninsula by taking policy to south and north Korea its functional connections with diplomatic matters in peaceful statement. It must be true to China counts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Koreas never help them to prevent Japan to play the important role growing up considered of the economical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 of America after the cold war era. So, Korea should make China to perform the equidistance diplomacy militarily against North Korea and South Korean military policies of propulsion for them by promote the atmosphere of economical trades and military tendency controlled as important role. To proceed, achieve these purposes, it is necessary to use more active and wise method of security diplomacy against China. Forwardly, China may expand more influenced power at northeast Asia. But, to the United State of America step on to defying their position are hard to catch up with. It would be expected that saving the potential power as the chief of area for some time and act by counter weight among international order on one hand. We must pursue the preservation and cooperation of military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 of America to forecast future statement of expanded peaceful coordination and practical military diplomatic relation that could secure Korean peninsula in safety with North Korea and China. That is, finally,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military policy in advanced subject and direction could speak out that China military policy of 21st century pursue the balance and solidarity and ethnic subject at the same time.

      • SNS 쓰기에 나타난 지적장애 청소년의 표현방식과 대화특성 연구

        장은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method and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NS writing and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frequency of expression and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group that matched the life ag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style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expression style of general adolescents in SNS?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adolescents in SNS? To find out this, 16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6 general students who matched their living age were selected. In the study, researchers and subjects exchanged conversations on SNS on six top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youth group shown in the spoken language-style conversation on S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general youth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youth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iffered in the expression method compared to the general youth group that matched the living age. Items such as writing as 'Things written the way they sound', ‘Particles or vowels replaced’, ‘Noun-like ending and diminished syllables’, ‘emoticons used’, ‘use for laughing sounds or use of initial consonant’, ‘Punctuation marks used’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versation characteristics, the youth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a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youth group that matched the living ag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sation, ‘request’, ‘objective comment’, ‘subjective comment’, ‘short answer’, ‘subject complement’, and ‘maintenance of the topic’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youth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youth group in ‘demanding’, ‘subjective mention’, ‘subject supplement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ubjec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bjective comment’ and ‘short answ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expression methods and conversation characteristics used in SNS writing of youth group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amining six expression methods and six conversation characteristics compared to general youth groups that matched their living ag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when evaluating and mediat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SNS.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의 SNS 쓰기에 나타난 표현방식과 대화특성을 알아보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집단에 비해 표현방식, 대화특성의 유형과 사용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에서 나타나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표현방식과 일반 청소년의 표현방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SNS에서 나타나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대화특성과 일반 청소년의 대화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적장애 학생 16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학생 집단 1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는 연구자와 대상자가 6가지의 주제에 대하여 SNS상에서 대화를 주고 받았다. SNS상의 문어식 대화에 나타난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의 특징을 일반 청소년 집단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표현방식에서 차이가 났다. ‘소리 나는 대로 적기’, ‘ㅇ’,‘ㅁ’ 덧붙임, 모음교체, ‘음절줄이기, 명사종결’, ‘이모티콘’, ‘웃음소리, 초성’, ‘문장기호’ 등의 항목을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 청소년은 ‘소리 나는 대로 적기’, ‘ㅇ’,‘ㅁ’ 덧붙임, 모음교체, ‘음절줄이기, 명사종결’, ‘웃음소리, 초성’에서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은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사용 횟수가 적었다. ‘이모티콘’과 ‘문장기호’사용에 있어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사용 횟수가 많았으나 이는 제한적인 이모티콘이나 문장기호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화특성에서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청소년 집단과의 비교에서 차이를 보였다. ‘요구하기’, ‘객관적 언급’, ‘주관적 언급’, ‘단답형 대답’, ‘주제보완’, ‘주제유지’에서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은 ‘요구하기’, ‘주관적 언급’, ‘주제보완’, ‘주제유지’에서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음이 발견되었다. ‘객관적 언급’과 ‘단답형 대답’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의 SNS 쓰기에서 사용된 표현방식과 대화특성을 분석하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청소년 집단과 비교하여 6가지의 표현방식과 6가지의 대화특성을 살펴본 데 의의가 있다. SNS상에서의 지적장애 학생에 대한 평가와 중재 시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 실과 '동물 기르기' 단원의 웹기반 ICT 활용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 효과

        장은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과 '동물 기르기' 단원의 웹기반 ICT 활용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 효과

      • 우리나라 地方公務員 厚生福祉 增進方案

        장은재 慶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odern nations aspire to welfare states, the role and its range which the administrative system performs are on the trends of rapid expansion. As a result, the functions of local public service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welfare administration for inhabitants cannot but undergo a cahnge in quantity and quality under social circumstances turning towards the age of localization. Therfore it is necessary and desirable to improve local public servants' welfare for the purpose of inducing capable personnel into officialdom to raise the qualitative level of local public servants who play a major part in local administration and of increasing their efficincy in administrative work by heighteing their morale. This thesis aims at looking into various actions by our government which intends to improve public servants' welfare, and many other activities including government employees' own voluntary efforts, such the system of housing, family aid, financing, mutual assistance organizations, public health, sanitation, culture, physical activities and recreation, which will guarantee stable lives for public servants and their families in pecuniary and mental point.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lies in comparing the concept and function of public servants' welfare with those of social welfare and those of the welfare in business enterprises, and suggesting some measures to improve the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operational states of welfare system for local public servants in provincial cities to find out problems.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and Chapter 2 deals with the concept of welfare and its historical process of development as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3,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are made as to actual states of local public servants' welfare in provincial cities of Korea. Chapter 4 suggests a method for improvement by exposing problems in the present facilities and system of welfare and a new-look welfare approach keeping pace with the -change in local administrative circumstances, and Chapter 5 is the conclusion.

      • 지나이다 기피우스 초기 단편소설(1893-1904) 속 '영원한 여성성'

        장은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Данная работа посвящена процессу развития образов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в ранних рассказах Гиппиус и их гендерному значению в теме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Серебряного века. В центре исследования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Серебряного века в России находится Софиология В. Соловьева. Концепт Софии по Соловьеву - божественная сущность, а также ее земное воплощение. В традиции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символизма в России реализация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в другого человека в земле считается важной. Однако в процессе развития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в то время как женский образ обожествляется, происходит отрицание женской плоти и противоречивой природы женственности. Начиная с раннего творчества, Гиппиус прослеживается концепция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которая очень схожа с соловьевской Софиологией. Однако Гиппиус решительно отличается от Соловьева тем, что демонстрирует пессимистический взгляд на реализацию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Гиппиус восстает против образов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воплощенных писателями-мужчинами. В отличие от других символистов для Гиппиус женский образ является воплощением того, что нельзя отделить от женской плоти. Для Гиппиус женственность является «тревожным местом», в котором сталкиваются бесчисленные и активные качества женственности. В «Новых людях» и «Зеркалах» Гиппиус, опубликованных в 1890-х годах, женские персонажи, которые олицетворяются с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ью», не могут сосуществовать с главными мужскими героями, и им не дается материальность. В этот период образы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Гиппиус представляются как традиционные образы у русских символистов, которые изображены совершенно священным существом и обнаружены мужскими субъектами. Во втором сборнике рассказов «Зеркала» Гиппиус представляет героиню, которая хочет слиться с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ью». В рассказе «Святая плоть» в «Третьи книге рассказов» Гиппиус представляет Серафиму, которая является воплощением образа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В рассказе «Святая плоть» описан процесс, в ходе которого Серафима сама становится воплощением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Процесс Серафимы содержит многие саморазрушительные мысли и волю к насильственным действиям. Это противоречит образам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других мужчин-символистов, а также самой Гиппиус периода 1890-х годов, которые исключают отрицательные качества женской плоти. Гиппиус хотела создать образ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который включает в себя как женскую плоть, так и женский дух. Образ Серафимы — это попытка Гиппиус изобразить собственный образ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Это представляет вызов Гиппиус в исследовании священных образов «Вечной женственности» в Серебряном веке. 본 논문에서는 기피우스 초기 단편소설 속 ‘영원한 여성성’ 형상의 발전 과정을 살피고, 은세기 러시아의 ‘영원한 여성성’ 담론에서 그 형상이 가진 젠더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은세기 러시아의 ‘영원한 여성성’ 담론의 중심에는 솔로비요프의 소피아론이 있었다. 솔로비요프의 소피아는 신적 원리인 동시에 그것의 지상적 현실태이다. 솔로비요프의 소피아론으로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는 러시아 상징주의의 ‘영원한 여성성’ 전통은 지상의 상대 안에서 ‘영원한 여성성’을 발견하고 실현시키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은세기 ‘영원한 여성성’의 발전 과정에서 여성의 성은 점점 더 신비주의적이고 신격화되는 반면 여성의 육체는 부정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기피우스는 창작 초기부터 솔로비요프의 소피아론과 매우 유사한 ‘영원한 여성성’ 개념을 발전시킨다. 그러나 그녀는 남성 주체와 신적 원리를 연결시키는 ‘영원한 여성성’의 지상적 구현에 대해서 비관적인 전망을 보인다는 점에서 솔로비요프와 결정적으로 차이가 있다. 기피우스는 남성 작가들이 구현한 ‘영원한 여성성’의 지상적 형상들에 반기를 든다. 여타 상징주의자들과 달리 기피우스에게 여성의 성은 육체와 분리될 수도 없는 것이었고, 포용적이고 온순한 성질들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무수히 많은 성질들이 서로 충돌하고 있는 ‘자리잡지 못한 장소’였다. 기피우스는 자신의 첫번째 소설집 『새로운 인간들』에서부터 ‘영원한 여성성’ 형상을 등장시킨다. 그러나 1890년대 발표된 『새로운 인간들』과 『거울들』에서 ‘영원한 여성성’으로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남성 주인공과의 결합에 실패하며, 현실태로서의 육체성을 부여받지 못한다. 이 시기 기피우스의 ‘영원한 여성성’ 형상들은 여타 상징주의자들에게서 전통적으로 반복되던 성화된 형상과 유사하다. 이 형상들은 남성 주체에 의해 발견되며 이원대립적인 세계관 위에서 여성의 육체와 완전히 유리된 존재로서 등장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두 번째 소설집 『거울들』에서부터 기피우스는 스스로 ‘영원한 여성성’에 합류하고자 하는 여성 주인공들을 본격적으로 등장시킨다. 1901년 발표된 『세 번째 소설집』의 「신성한 육」에 이르러 기피우스는 세라피마라는 인물로써 지상적 위치를 확보받은 ‘영원한 여성성’을 구현해낸다. 「신성한 육」은 지상의 여성 ‘세라피마’가 신의 사랑을 깨달으며 스스로 ‘영원한 여성성’의 현실태가 되는 과정을 그린다. 세라피마가 신적 원리와 만나기까지의 과정은 수많은 욕망과 자기파멸적 고민들, 폭력적 행동에의 충동을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여타 러시아 남성 상징주의자의 ‘영원한 여성성’이 여성의 육체와 관련된 부정적 자질들을 배제한 것과 대비되며, 1890년대 기피우스 소설에 나타난 이상적 여인의 형상으로부터도 한층 발전된 것이다. 기피우스는 여성의 육체로부터 출발하여 여성의 육체와 성을 모두 긍정하는 ‘영원한 여성성’을 창조해내고자 했다. 이때 기피우스가 그려낸 '여성성'은 타자화된 채 고정된 특질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우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이었다. 세라피마의 형상은 『새로운 인간들』에서 남성 주인공의 대상으로만 등장했던 이상적 여인을 그 여인의 시점에서 풀어낸 여성 인물이라는 점에서 ‘영원한 여성성’의 주체적인 이야기를 담아내려는 기피우스의 시도이다. 이는 붙박여 있던 은세기 ‘영원한 여성성’의 성화된 형상들에 대해 기피우스가 던진 도전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