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도자를 이용한 평면 조형작업 연구

        장유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early 20th century, artists started to use ceramics as a medium of expression. Many of contemporary potters began their careers as painters, and a majority of them are still working on their paintings. Those facts can offer crucial clues to explain integration between different genres of art or similar developmental processes. Artists in the field of pure art are expanding to the area of crafts to meet their desire of using more diverse materials. All those changes are making the boundary between different genres of art increasingly more blurry. The contemporary ceramics of South Korea is also developing and expanding to the area of art with an emphasis on creativity and artistry, growing out of the traditional ceramics that highlighted its practicality as "containers." As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made mass production possible and machines were put in charge of producing ceramics as "containers," contemporary ceramic artists get to make various artistic attempts. This study set out to discuss new directions for ceramic works by comparing planar paintings with ceramic works and express the results in the works of the investigator. Paintings hold a superior position in the art market to contemporary ceramics both in trade volume and value. One of the major reasons behind those differences is the planar features of paintings. Planes are one of the most basic expressive forms and allow individuals to perceive works in diverse way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sentiments and wills. The present study tried to propose plans for the popularization of contemporary ceramics by introducing the planar features of paintings into ceramic works. The study thus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pictoriality of ceramic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eramics and paintings, and the artists that did planar ceramic works for theoretical purposes, proposing the possibility of making ceramic works planar. In her works, the investigator expressed psychological states in an abstract fashion by using ceramic units and made units through the pinching and piping techniques, which were optimal for the works of small units. There were also two types of clay prepared for the units including magnetic clay and kaolin slips. Pigments were added to the clay and the resulting colored clay was used for pictorial color expressions. Most of the units were put in the firing process without glaze to express the texture of ceramics. The kaolin slips used in the study made it possible to express units in various ways unlike the old magnetic clay slips. Their advantages include no need for drying and effects realized only after the first round of firing. The slips proposed in the study for pictorial ceramic works will be expanded and used in many other types of works. 20세기 초에 예술가들은 도자기를 표현의 매체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현대 도예가들 중 화가로서 출발했던 사람들이 많으며, 그 중 대다수가 아직도 회화 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다른 미술 장르간에 이루어지는 통합이나 유사한 발전과정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순수미술 분야의 작가들은 좀 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려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공예의 영역까지 확장하고 있다. 이 모든 변화에 기인하여 미술장르간의 구분은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 한국 현대도예도 ‘기’로서의 실용성을 강조한 전통적인 도자기에서 벗어나 창의성과 예술성을 강조하며 미술의 영역으로 확대하여 발전하고 있다. 이는 문명의 발달로 인한 대량생산이 가능해짐으로써 ‘기’로서의 도자기 생산을 기계가 맡으면서 현대도예 작가들이 다양한 예술적 시도가 가능해진 것이다. 본 논문은 평면적 회화와 도예작품의 비교를 통해 도자작업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업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회화작품이 미술 거래시장에서 거래량과 거래가격 면에서 현대도예작품과 비교하여 우위에 있다. 이는 회화작품의 다양한 특징 중 평면적 특징을 주요요인으로 보았다. 평면은 가장 기본 표현형식으로 개인의 감성과 의지에 따라 다양하게 작품을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평면적 회화의 특징을 도자작업에 도입하여 현대도예의 대중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으로 과거 도자기의 회화성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대도예와 회화의 특징 및 평면적 도자작업을 한 작가를 연구하여 도자작업의 평면화 가능성을 제시하도록 한다. 본 연구자의 작업은 도자유닛의 사용하여 추상적으로 심리상태를 표현 하였다. 작업은 핀칭(Pinching)과 파이핑(Piping)기법을 사용하여 유닛을 만들었다. 이는 작은 유닛의 작업을 위한 최적화한 방법으로 소지도 이에 맞춰 자기점토 슬립과 카올린 슬립의 두 가지 소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회회적 색채 표현을 위해 소지에 안료를 섞어 색소지를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유닛은 도자기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유약의 사용보다는 시유 없이 소성하였다. 본 연구 작업에서 사용한 카올린 슬립은 기존의 자기점토 슬립과 다른 슬립으로 유닛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카올린 슬립의 장점은 건조가 필요 없으며 1차소성으로도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회화적인 도자작업을 위한 슬립의 제시로 앞으로 여러 작업에 확대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자가몸통관절가동운동이 20대 여성의 자세 정렬과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장유경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 허리통증을 가진 20대 여대생들에게 자가몸통관절가동운동이 관절가동범위, 머리내밈자세, 등뼈 뒤굽음각, 몸통 굽힘근과 폄근의 근지구력, 통증의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광주광역시 K 여자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여대생 27명을 선정하여 자가몸통관절가동운동을 2주간 주 3회, 회당 50분씩 시행하였다. 측정 도구는 몸통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해 Fingertip-to-Floor Test 방법을 사용하였고, 머리내밈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개발한 Image J를 사용하였으며, 등뼈 뒤굽음각을 측정하기 위해 이중 경사 각도계를 이용하였다. 또한 몸통 굽힘근과 폄근의 근지구력을 측정하기 위해 몸통 굽힘 평가와 몸통 폄 평가를 이용하였으며, 허리통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각적 통증 척도(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였다. 대상자들의 중재 시기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모든 검사는 중재 전, 1차 중재 후, 2차 중재 후 모두 측정하였고, 각각의 측정치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몸통관절가동범위 검사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머리내밈자세를 검사하기 위해 머리척추각과 머리회전각을 측정한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에서 머리척추각과 머리회전각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등뼈뒤굽음각 측정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몸통 굽힘근과 폄근의 근지구력 측정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에서 몸통 굽힘근과 몸통 폄근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통증 측정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적으로 자가몸통관절가동운동이 20대 여대생들의 몸통관절가동범위, 머리내밈자세, 등뼈뒤굽음각, 몸통 굽힘근과 폄근의 근지구력의 향상에 도움을 주어, 통증의 정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20대 여대생의 경증 요통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온라인 전시 속 예술의 신체성 경험 연구 : 브라이언 마수미의 정동이론을 중심으로

        장유경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eks to examine digital audiences’ experiences of art using “affect” theory -- an approach which has not been undertaken despite the growing use of online exhibitio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is fast-changing transition of art exhibitions from physical spaces to digital requires a new theoretical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online art and a reconsideration of views of online exhibitions as non-physical and diminished experiences. This paper seeks to analyze viewers’ experiences using Brian Massumi’s concept of “affect”,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ew ways of experiencing art, and prompt a rethink in the perception of online exhibitions in the independent art space. “affect” theory allows us to rethink the experience of the viewer looking at a flat digital screen through its focus on the non-physical, internal experience of art and is thus useful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Also Massumi’s“affect” offers a theoretical basis for analysing digital experiences which are not occurring externally, instead identifying “affect” as neurophysiological activities inside the body. This paper’s analysis of the digital art experience confirms that digitized paintings, moving images, and AR works change the perception of vision, time, and space, enabling physical-level sensory thinking. The experience of the online art exhibition was a doubling perception that occurs in the digital and analog body, reality and virtuality,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unfamiliarity, and daily life. Through this, this paper argues that the experience of online exhibitions still stimulates the viewer's body, which at the same time enables a new sensory experience that deviates from the existing institutionalized art experience. 본 논문은 팬데믹 이후 봇물처럼 터져 나온 온라인 전시들의 실천속에서 디지털 관람객의 예술 경험을 신체성으로 고찰하는 연구이다. 연구는 오늘날 다양하게 나타나는 온라인 전시에서의 예술 작품의 경험을 두고, 오프라인 전시에 비해 부족한 비신체적 경험으로 치부했던 기존의 시각에 대해 인식의 전환을 요청한다. 그리고 온라인 전시를 통해 기존의 제도화된 예술 경험에서 벗어난 새로운 경험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하나의 독립된 예술 공간으로 재인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 스크린을 바라보는 관람자의 신체적 경험은 브라이언 마수미의 정동(affect)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마수미는 보기를 통해 신체 내부적으로 일어나는 신경학적 활동을 정동의 체험으로 규명하며, 외재적 행동을 유발하지 않는 온라인 전시를 신체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그 다음으로 온라인에서 전시된 디지털화된 회화와 무빙이미지 그리고 AR 작품을 사례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 전시의 예술 경험은 기존의 시각과 시간 그리고 공간에 대한 인식에 변화를 일으키며 감각적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온라인 전시 속 예술의 정동 경험은 디지털과 아날로그 신체, 현실과 가상, 의식과 비의식, 낯섦과 일상 등에서 발생하는 이중적 지각을 통해 느껴지는 확장적 체험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 속 예술이 이중 경험을 통해 관람자의 감각을 자극하고 이는 새로운 인식과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 몰리에르 作, <스카펭의 간계> 무대분장 디자인 연구

        장유경 중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공연예술 역시 다양한 접근으로 관객들의 관점과 기대감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무대, 조명, 음향과 같이 다양한 스태프 파트의 활성화와 더불어 여러 부분이 공연예술 구성에 기여하나 그 중 무대분장은 연출자에게는 작품의 특색을 만들 수 있게 하고 연기를 하는 배우들에게는 연기 외의 무대 기술적 요소로서 캐릭터 창출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무대분장은 공연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의사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품의 몰입도를 이끌어내는 도구이다. 이에, 연구자는 무대분장의 중요성을 논하며 공연예술의 시각적인 역할을 하는 무대분장 디자인의 구성과정과 함께 실제적인 발전 방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연구와 실제적 방법으로 접근한다. 이론적 연구로써는 <스카펭의 간계>에서 사용되는 ‘코메디아 델라르테’에 대한 분석, 무대분장 디자인의 개념 및 필요성, 무대분장 디자인의 개념에 관하여 연구한다. 실제적인 접근으로는 <스카펭의 간계> 공연제작 과정을 통해 무대분장 디자인의 요소를 접목하는 방법과 디자인 구축과정을 단계별로 연구하고자 한다. 무대분장은 공연예술에 있어 작품의 흐름과 인물의 성격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이기에 작품의 특징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가 달라질 수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분석으로 무대분장의 개념 및 디자인 정의, 그리고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정의 및 <스카펭의 간계> 속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활용성에 대한 부분을 연구한다. 활용된 <스카펭의 간계>를 통해 무대분장 디자인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둘째, 작가 몰리에르에 대한 분석 및 <스카펭의 간계>에 대한 작품분석을 바탕으로 작품 속 등장하는 인물들의 캐릭터분석을 진행한다. 이는 무대분장 디자인을 구축하기 위해 작품에 대한 사전조사와 작품을 해석하는 연출자와의 관계 및 작품 중 캐릭터 분석을 통한 작품의 주제성에 대하여 통일된 개념으로 무대분장 디자인을 구축해야 함을 보여준다. 셋째, 실제적 접근으로 이론적 연구를 통해 분석된 개념이 작품 속 등장하는 인물들의 기준을 계급에 따라 구분하고 이에 적용된 분장디자인과 콘셉트를 제시한다. 이는 작품 속 등장하는 인물들에 있어 계급간의 특성이 차지하는 부분이 있고, 계급간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으로 무대분장 디자인이 차지하는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사전 제작단계에서 이루어진 계급간의 무대분장 디자인 콘셉트가 <스카펭의 간계>에 실제화한다. 실제화 과정을 통해, 사전에 이미지화한 전체적인 무대분장 디자인의 시안이 실제 공연을 진행함에 있어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공연예술의 연극분야에 있어 무대분장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확인하고, 연극을 실제화함에 있어 체계적인 과정을 통한 무대분장 디자인의 중요성과 이를 효과적이며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투과형 방음벽의 방음효율 연구

        장유경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로에 인접한 고층아파트의 도로교통 소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방음벽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방음벽은 소음의 전달경로가 차단되는 저층에서의 탁월한 소음저감 성능에 비해 고층아파트의 중‧고층에서는 큰 삽입손실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오히려 중‧고층의 경우 반대편 방음벽으로부터의 반사음이나 양쪽의 높은 방음벽에 의한 터널효과로 도로교통소음이 더 크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방음터널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하중 등의 부담으로 기존 도로에 설치하기 힘들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매우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는 간선도로변 방음벽의 방음판 음향성능을 개선함으로써 이러한 저층과 고층 사이의 방음효율 편차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가설을 수립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대안으로 투과형 방음판을 제안하였다. 이에 투과형 방음판과 기존의 방음판을 비교하고, 투과형 방음판의 흡음 및 투과음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방음벽 간의 거리와 방음벽 높이, 방음벽과 고층아파트의 이격거리 등 다양한 조건에서의 투과형 방음벽의 성능을 확인하고 고층 아파트의 저층과 고층 방음효율 편차를 분석함으로써 위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투과형 방음판을 설치함으로 인해 고층아파트의 저층과 고층 방음효율 편차가 개선되었으며, 반사음의 영향을 받는 고층의 외부소음레벨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투과율에 따라 변하며, 투과율이 증가할수록 흡음률이 증가하여 고층에서의 방음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과형 방음벽으로도 저층과 고층의 방음효율 편차를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방음벽의 높이를 높이면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고층에서의 도로교통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방음벽의 높이를 높여 설치하거나, 방음터널을 설치했다. 하지만 비용과 설치장소, 방음효율, 유지관리 등을 고려했을 때 이 연구에서 제시한 투과형 방음판 및 투과형 방음벽이 저층과 고층의 방음효율 개선과 고층의 소음 저감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대안이라 판단된다. The installation of noise barriers is increasing to minimize road traffic noise damage in high rise apartments adjacent to the road. The noise barrier has the outstanding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n the lower floor where noise transmission paths are blocked. However, it has the weak point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ignificant insertion loss effect on the middle and high floors of a high rise apartment. In the case of middle and high floor, the road traffic noise sounds higher due to the tunnel effect of high noise barrier in the both sides or the reflect sound from the noise barrier in the opposite site. To compensate these shortcomings, the noise barrier tunnel can be selected. However, it is hard to install them on the existing road due to overload and it has the difficulty that the relatively very high cost should be pa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problem of soundproof efficiency deviation between low and high floors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sound performance of soundproof panel of noise barrier. The permeable soundproof panel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Accordingly, the permeable soundproof panel and the existing soundproof panel is compared, and the performance of sound absorption and transmission sound of permeable soundproof panel is analyzed. In addition, verify the hypothesis by confirming the performance of permeable noise barrier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distance between noise barrier, its height, the space between noise barrier and high rise apartment, and analyzing the soundproof efficiency deviation between low floor and high floor of high rise apartment. As a result, the soundproof efficiency deviation between low floor and high floor of high rise apartment is improved by installing permeable soundproof panel.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external noise level of high floor influenced by the reflect sound is reduced. It is found that it changes depending on the transmittance and as the transmittance increases,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increases, increasing the soundproof efficiency in high floo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fference in soundproof efficiency between the low and high floors with a permeable noise barrier, in particular, it is found the effect increases by elevating the height of noise barrier. In order to reduce the road traffic noise on the high floor up to now, the height of noise barrier was increased or the noise barrier tunnel was installed.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cost, installation place, soundproof efficiency and maintenance, the permeable soundproof panel and permeable noise barrier suggested in this study is judged to be the very effective alternative in improving the soundproof efficiency on the low and high floor and reducing the noise on the high floor.

      • 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Ⅰ 문항분석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연구-제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장유경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iculum is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documents that set the achievement about educational objectives,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ways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evaluation. The curriculum is also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e guideline of teaching-studying contents and the standard of evaluation in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is the standard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the high school-curriculum. That is why the test should reflect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This treatise analyzed the examination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 as Chinese course in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ptitude test that the examination followed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eventh curriculum well.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the setting questions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there are 120 questions of first Chinese course analyzed and collected from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ptitude test from 2005 to 2008. This treatise gives the suggestions about the problems and the improving ways. In addition, through 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eventh curriculum and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ptitude test, the Chinese First textbook can show that the book is effective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eventh curriculum. It also discloses how properly the textbook organized. The study analyzed how properly the questions evaluate students’ Chinese ability as well.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120 questions presented from First Chinese course, they usually evaluate the memory rather than collective thinking power.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seventh curriculum and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ptitude test, the descriptive words for the whol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ere vague. The contents were not concrete as well. It means that the curriculum do not work the role as the guideline of the educational cour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ule the clear learning contents. The seventh curriculum proposed nationally should be the guideline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or-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curriculum, the range of possible questions should be objective. With the objective curriculum, the test should be consistent. When the characteristic, objects, and contents of curriculum is consistent, it can lead the best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is treatise expects to be a helpful reference document to instructors in charge of Chinese education in the field. To the examiners of later tests, this study expects to be helpful as the direction and guideline of giving even better questions.

      • 허생전의 현실 인식과 문학 교육적 가치 연구

        장유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학교육은 현대 사회의 병폐를 치유하고, 현대인의 인간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정신을 정화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문학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바람직한 삶의 모형과 인간상을 제시하므로 작품을 통해 자아와 세계를 확장시켜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古典小說 敎育의 목표는 선인들의 정신세계를 파악하여 민족문화의 전개와 정수를 이해하고, 고전소설의 전통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학을 창조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데 있다. 결국 소설교육은 인간 삶의 다양한 모습을 통하여 인간의 가치를 정립시키도록 유도한다. 「許生傳」은 조선시대 후기의 모순된 사회와 정치 현실이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박지원은 정확한 자신의 안목을 바탕으로 이를 통렬히 풍자, 비판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許生傳」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내용이 문학 교육적으로 어떠한 가치가 있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Ⅱ장에서는 문학 교육의 목표를 논하였다. 문학교육의 일반 원론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전 소설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밝혔다. 고전문학은 시간과 공간적으로 가깝게 다가갈 수 없다는 장애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전문학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고전문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작품을 접할 때에도 학습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다면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Ⅲ장에서는 「許生傳」의 내용을, 현실인식과 교육적 요소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許生傳」현실인식적 측면은 작가의 시대상황과 함께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허생전」에 나타난 작가의 현실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작품에서 드러나는 현실인식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품의 교육적 요소를 밝히기 위하여 먼저 「許生傳」과 「玉匣夜話」, 「許生傳」과 類似說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부분은 고전 소설에서 작품의 外的 측면을 살펴보는 것으로 작품의 흥미를 유발하고, 배경지식의 습득이 작품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그 다음으로 인물들의 현실극복 양상,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사상, 구조와 표현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許生傳」에서 등장하는 인물은 적극적이거나 또는 소극적으로 현실을 극복하려 한다. 그러한 인물들의 현실극복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문학작품이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삶에 대해 깊은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또 「許生傳」에서 나타나는 사상을 이해하고, 구조와 표현이 현실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임을 분석했다. 사상은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주제의식을 반영한 것이고, 구조와 표현 역시 작품이 드러내고자 하는 주제를 나타내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Ⅳ장에서는 「許生傳」의 文學 敎育的 가치를 작품 內的 측면과 外的 측면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문학교육의 목표는 이 세계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살아가는 사회라는 인식을 통하여 인간 개개인을 주체로서 인식하는데 있다. 즉 문학은 인생의 縮圖이며, 텍스트의 형태로 구체적, 실천적 교육활동에 도움을 주며, 인간형성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서는 현실의 구조를 총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는 「許生傳」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작품의 문학 교육적 가치를 찾고, 「許生傳」이라는 작품을 통해 당시의 현실적 문제가 과거의 문제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삶에까지 이어져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했다. 또한 학습 활동을 통해 현실의 삶과 관련지어 작품을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It is necessary to teach literature for curing the ills of modern society and cleaning up the spirit of the moderns so that it would enhance the humanity of the moderns. And th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is to extend ourselves and the world through the literary works, since its object is human being and it suggests a desirable life style and an image of an ideal human being. Especially, the goal of ancient novel education i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the essence of national culture through grasping the spiritual life of our ancestry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new literature based on the tradition of ancient novel. After all, novel education leads us to shape the value of human being through various forms of human lives. 「Hursaeng-jeon」 is the work that expressed the reality of society and political situation in later Chosun dynasty. The writer, Yeon Ahm(Park, Ji Won), criticized them by writers keen insigh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Hursaeng-jeon」in the Korean textbook of high schools and identify the literary value of the content. In chapter Ⅱ, it discusses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The general theory of literature education is treated first, following by the object and content of classic novel education. Because classic literature has a limitation in space and time, the goal of its education is to make an easy access to the classics. Also, the educational value of classic literature will be raised if learners more try to understand the literary works actively. In chapter Ⅲ, it discusses the content of「Hursaeng-jeon」both from the aspects of education and the realities perception. For the realities perception of the content of「Hursaeng-jeon」, it addresses the situation to which writer faced at that times, then what writer perceived of realities shown in「Hursaeng-jeon」. And it reviews briefly what writers positive perception of realities gave forms in the works, and how to form realities perception in the works. For the educational elements of the works, it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Hursaeng-jeon」and 「Ocgap-yawha」, and between「Hursaeng-jeon」and similar tales. It is worthwhile to look at the other aspects of the work so that it would induce interest in the work, have background knowledge, and become easy to access to the work. Then, it reviews how the characters in the works try to overcome the realities, the thought, structure, and expression appeared in the work. Characters in「Hursaeng-jeon」try to overcome the realities actively or passively by perceiving realities. In this point, through the characters ways to overcome realities, the literature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a human, and reflecting a life. Besides, it seeks to understand the thought of「Hursaeng-jeon」,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its structure and expression. A thought reflects writers perception of realities to a writers intentions, and structure and expression also are effective in representing the theme of a work. In chapter Ⅳ, it discusses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Hursaeng-jeon」, from the inner aspects as well as outer aspects of the work.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lies in understanding each human as the subject by finding that an independent human lives in a human society. That is, it is significant that a literature is an epitome of human life, is helpful for concrete and practical education activities, helps build up a character, and reveals the structure of realities on the whole. In conclusion, this paper is to find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Hursaeng-jeon」through content analysis, and show that the actual problem to which writer faced at that times continues to connect with a living in present, beyond a problem in the past. Also,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work extensively and positively by relating it to a life in presen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장유경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운동 스트레스 경험에 의해 갖는 운동 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상해와 스트레스를 줄여 경기력을 극대화 할 수 있고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대한댄스경기연맹과 한국프로댄스평의회(KDC)에 등록되어 있는 중·고·대학부·아마추어·프로페셔널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조사기간 2014년 10월 13일부터 31일까지 19일간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조사대상의 표집방법은 확률표집방법(Probability Sampling Methods)중 단순무선 표집방법(Simple 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 200부의 설문지를 배부 후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180부의 설문지를 회수 하였다. 이중 응답내용이 조금이라도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20명의 자료를 제외한 16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 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 Program SPSS PC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분석에서 성별에 따른 실패의 두려움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경기의 부담, 진로 및 진학, 상해우려에서는 남성과 여성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과 성별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모든 하위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경기의 부담, 실패의 두려움, 진로 및 진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상해의 우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입상경력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경기의 부담, 실패의 두려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진로 및 진학, 상해의 우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상경험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모든 하위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 몰입 분석에서 행위몰입에서 남성과 여성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인지몰입에서는 남성과 여성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운동 몰입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목에 따른 운동 몰입은 인지몰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행위몰입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에 따른 운동 몰입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운동 몰입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상경험에 따른 운동 몰입은 인지 몰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행위몰입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경기력 분석에서 성별에 따른 경기력은 남성과 여성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경기력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목에 따른 경기력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경기력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상경험에 따른 경기력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운동스트레스가 운동 몰입의 하위요인과 경기력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기의 부담은 운동 몰입 및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운동 몰입 및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 및 진학걱정에 따른 운동 몰입 및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해우려에 따른 운동 몰입 및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 몰입이 경기력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몰입은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은 경기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sources for maximizing and enhancing performance through reducing sport injuries and stress, by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experiences of dance sports persons on sport flow and performance. For the study, sport persons who belong to middle school group, high school group, college group, amateur group and professional group registered in Korean Foundation of Dancesport and Korea Professional Dance Council in 2014 were chosen as population and for 19 days from October 13th to 31st, question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and recovered. For sampling method, simple random sampling was used among 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200 sheets were distributed requesting to reply in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then 180 sheets were recovered. Among them, except for 20 respondents' data which lacked in contents or reliability, 160 people's data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irst, in the exercise stress analysi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ar of failure depending on gender was higher in women than men but burden of performance, career and schooling and concern of injur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rnces between men and women.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career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den of performance, fear of failure and career and schooling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rn of injuries. For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award experience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den of performance and fear of failure but did not show those in career and schooling and concern of injuries. Exercise according to injury experienc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elements. Second, in the analysis of sport flow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tion flo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 and women while perception flow did not show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Sport flow according to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For sport flow according to career exercise,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Sport flow according to award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Sport flow according to injury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flow but not in action flow. Third, in the analysis of performa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formance according to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 and women. Performance according to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Performance according to gen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Performance according to award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Performance according to injury experiec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factors. Fourth, in influence of exercise stress on sub-elements of sport floe and performance, burden of performance had negative effects on all sub-elements of sport flow and performance and so did fear of failure, career and schooling and concern of injuries. Fifth, in the influence of sport flow on sub-elements of performance, perception flow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elements and so did action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