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울릉도와 독도 알칼리 화산암류의 성인

        장선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71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이에 위치한 동해에는 배호 분지가 발달되어 있으며, 분지 내에는 동해 확장과 관련되어 생성된 알칼리 화산암류가 울릉도, 독도와 주변 해저에 다수 분포하고 있다. 울릉도의 화산 층서는 6기의 분출 시기로 나누어지며 stage 1에는 현무암과 현무암질 집괴암, 조면암이 분출하였고 stage 2에는 조면암, stage 3에는 조면암과 포노라이트 등이 분출되었다. Stage 4 에는 조면암과 조면 안산암이 분출하였으며 특히 조면암 내에는 현무암이 포획되어 산출되고 있다. Stage 6에는 백류석을 포함한 조면안산암이 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여러 시기에 걸쳐 분출한 다양한 암상의 울릉도 알칼리 화산암의 진화 과정과 성인을 연구하기 위하여 암석기재, 주원소, 미량원소, 희토류 원소(REE), 광물의 화학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stage 4에 분출한 조면암내 포획된 현무암과 모암인 조면암과의 암석성인적 관계를 검토하였다.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울릉도 화산암은 알칼리의 함량이 대단히 높은(최대 14.5wt%) 알칼리 화산암으로 K 계열에 속한다. 주원소와 미량원소의 변화 경향은 알칼리 화산암류가 동원 감람석 현무암질 마그마에서 stage별로 분화한 산물이 아님을 나타낸다. 미량원소의 특징에서 stage 6의 조면안산암은 depleted mantle 기원의 특성을 나타내며 stage 2, 3의 조면암은 지각 물질의 흔입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2) 울릉도 화산암류의 조암광물의 화학 분석에서 장석은 각 stage 별로 특징적인 조성을 갖는다. Stage 1의 현무암의 장석은 바이토나이트 (An_(70-82))에 속하며 stage 2, 3의 장석은 새니딘(An_(2-4)Or_(34-40))으로 stage 6(U7l)의 반정은 안데신-새니딘(An_(4-53)Or_(2-45))에 속한다. Stage 4의 장석들은 비교적 다양한 성분을 나타내어 래브라도라이트-새니딘(An_(2-56)Or_(10-63))에 속한다. (3) 울릉도 화산암의 REE 패턴은 완만한 경사를 나타내며 stage 6을 제외한 모든 stage의 암석이 유사한 변화 경향을 나타내어 유사한 기원 물질에서 유래하였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독도 화산암류는 울릉도의 stage 1 암석의 REE 패턴과 유사하다. (4) 장석 지질온도계를 이용하여 계산된 stage 4의 울릉도 알칼리 마그마의 결정화 온도는 조면암은 790∼850℃며, 이에 포획된 현무암은 700∼780℃이다. (5) Stage 4의 모암인 조면암과 포획된 현무암질암의 산출상태, 포획 현무암에서 관찰된 reverse zoning을 보이는 휘석, antirapakivi texture의 장석 등은 마그마 혼합 가능성을 지시한다. (6) 미량원소와 희토류의 함량에 의한 지구조 환경 판별 그림에서 울릉도 화산암의 형성 지구조 환경은 판 내부의 화산활동 산물임을 지시하고 있다. Several tens of submarine and/or subaerial dormant volcanos which are created in relation to the East Sea opening are distributed in the back arc basin inbetween the Japanese island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Ulreung stratovolcano can be divided into six stages: stage 1(trachybasaltic agglomerate), stage 2(trachyte), stage 3(trachyte and phonolite), stage 4(trachyte with basaltic inclusion), stage 5(pyroclastics and ash), and stage 6(leucite bearing trachyandesite). In this study, petrography,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geochemistry and mineral chemistry for the Ulreungdo alkali volcanic rocks were investigated to decipher the petrogenetical evolution of the alkali volcanic magma. Analyt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Ulreungdo alkali volcanic rocks belong to K-series with extremely high Na_(2)O+K_(2)O contents(up to 14.5wt%). Variation of major and elements indicate that the alkali volcanic rocks are not originated from the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single olivine basaltic magma but from the diverse origin of magma including olivine basaltic magma, trachytic magma and basaltic magma which are incoporated with continental crustal materials. (2)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feldspar in the alkali volcanic rocks vary from bytownite to labradorite including sanidine, implying variable crystallization conditions. (3) The alkali volcanic rocks showing relatively similar and mild slope REE patterns except trachyandesite of stage 6 suggest that the alkali volcanic magma be derived from identical parental source matrials at relatively shallow depth. Basaltic rocks from the Dogdo and Ulreungdo(stage 1) have similar REE distribution patterns. (4) Calculated crystallization temperatures of the stage 4 volcanic rocks range from 790℃ to 850℃ for the host trachyte and from 700℃ to 780℃ for basaltic inclusions. (5) Based on the occurrence, reverse zoning in pyroxene and antirapakivi texture in feldspar, magma mixing process(immisible process) proposed the volcanism of the stage 4. (6) Discrimination diagram of the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indicates the alkali vocanism of within plate environment.

      • 소비가치가 비건화장품 인식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선경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Recently, consumers have pursued value consumption in which they purchase products based on their belief and values. They have engaged in consumption behavior, showing an interest in meaning out, ethical consumption and good consumption. They believe that their consumption behavior is not separated from social issues such as ethical management, human right issues and environmental issues. In cosmetics consumption as well, they take value consumption seriously with a high interest in the field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clean beauty and vegan cosmetic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s on the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vegan cosmetics with a goal of providing useful data for marketing, which could facilitate vegan cosmetics market if such consumption values are related with the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vegan cosmetic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40s living in Seoul and capital region from June 15 to 30, 2022. Among a total of 408 questionnaires distributed, 400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concerning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men were higher than men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pondents by gender. In age, ‘20s’ was the highest. In terms of marital status, ‘single’ was higher. In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college graduate’ and ‘office worker’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In terms of degree of interest in cosmetics, ‘average’ was the highest. When asked what image comes to their mind when they hear vegan cosmetics, ‘cosmetics without animal test’ was most responde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vegan cosmetics.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in consumption values, in gend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oth men and women. In age, ‘emotional value’ and ‘epistemic value’ were more important among 30s and 40s each. In consumption values by education, ‘functional value’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 among ‘college graduates’. In average monthly income, ‘emotional val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 among ‘those with KRW 2-2.99 million’. In occupation, ‘epistemic value’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 among ‘office workers’. In addition, ‘functional val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office workers’ and ‘those with professional job’. In sole proprietorship,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 was found in ‘emotional value’. Third, as interest in regular cosmetics increased, the respondents were more aware of vegan cosmetics. Fourth, as eth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increased, interest in vegan cosmetics was higher. Those with high ethical/social values showed high trust in vegan cosmetics. Those taking ethical values seriously were well aware of the VEGAN certification mark. When asked what is important in buying vegan cosmetics, ‘brand awareness’ was most responded. Fifth, as the respon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vegan cosmetics, ethical values were more important. In addition, they were more willing to keep using vegan cosmetics. Furthermore, an intention to recommend vegan cosmetics to acquaintances has also increased. Lastly, many companies have released a wide variety of vegan cosmetics. At the same time, vegan cosmetics industry has gradually grow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targeted to examine what consumption values have an influence on the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vegan cosmetics and help consumers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a necessity of vegan cosmetic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support a necessity of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s on the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vegan cosmetics and be available as basic data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vegan cosmetics industry. 최근 소비자들은 본인의 신념과 가치관을 기반으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가치소비를 추구하고 있다. 소신소비, 윤리소비, 착한소비 등에 관심을 갖고 소비행동을 하고 있는 이들은 기업의 윤리적 경영, 인권문제, 환경문제 등의 사회적 이슈와 자신들의 소비행동을 분리하여 생각하지 않는다. 화장품 소비에 있어서도 가치소비를 중요시 하는 이들은 클린뷰티, 비건화장품 등 사회적, 환경적 이슈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 분야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어떤 소비가치가 비건화장품 인식과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 소비가치가 비건화장품 인식과 구매 행동에 연관성이 있다면 앞으로 비건화장품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마케팅 자료로 기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은 서울,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2022년 6월 15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총 408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Ver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 중 남성보다 여성들의 응답률이 많았으며, 연령은 20대가 가장 많았다. 응답자들 중 결혼 여부로는 미혼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력으로는 대학교 졸업자들이 가장 많았다. 직업의 경우 회사원 가장 많았고, 화장품 관심도는 보통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건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로는 동물실험을 하지 않는 화장품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응답자 절반 이상이 비건화장품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가치 차이를 본 결과 성별에 따른 소비가치 차이는 남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30대가 40대 보다 감정적가치와 진귀적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에 따른 소비가치 차이는 대학교 졸업을 한 집단에서 기능적가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월 소득에 따른 소비가치는 차이에서는 월 소득 200만원 이상∼299만원 미만 집단에서 감정적가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업에 따른 소비가치 차이에서는 회사원 집단에서 진귀적가치가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회사원집단과 전문직 집단에서 기능적가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영업 집단에서는 감정적가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화장품(관심도)가 높을수록 비건화장품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윤리적가치, 기능적가치, 감정적가치가 높을수록 비건화장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가치와 사회적가치가 높은 응답자들은 비건화장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가치를 중요시 하는 응답자들은 비건화장품 인증마크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비건화장품 구매 시 브랜드 인지도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비건화장품 만족도가 높을수록 윤리적가치를 중요시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주변인들에게 비건화장품 추천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마지막으로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비건화장품들을 출시하고, 비건화장품 산업이 꾸준히 발전 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어떤 소비가치가 비건화장품 인식과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관성을 살펴보고 소비자들에게 비건화장품의 필요성과 정확한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소비가치가 비건화장품 인식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뒷받침해 주며, 향후 비건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 디지털 시대, 광고대행사 크리에이터들의 역할 변화

        장선경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사회, 문화, 생활, 경제... 세상 어느 것 하나 디지털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없다. 물론 광고도 예외는 아니다. 광고 매체비 변화 추이를 보면 전통매체는 급감하고, 뉴미디어 혹은 스마트 미디어 등으로 불리는 디지털 미디어의 소비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킨 광고가 해외 광고제를 휩쓸기 시작했고, 해외 광고제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2012년 칸 라이언즈 크리에이티비티 페스티벌에서 35개의 라이언즈를 거머쥐며 파란을 일으킨 회사는 전통 광고대행사가 아닌 디지털 회사였다. 이렇듯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킨 광고가 주목받는 시대에 디지털이 광고에 어떤 영향을 얼마나 미쳤으며, 광고를 만드는 크리에이터(Creator)들에게는 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크리에이터들에게 주목해야 하는가. “효과적인 광고는 대부분 창의적(크리에이티브적)이다.”고 말하기 때문이다(오창일, 이현우, 2006). 더불어 소비자들과 광고가 만나는 접점에는 전략이나, 논리가 아닌 크리에이터들이 만들어낸 광고 제작물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이 광고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으로 인해 디지털 시대의 광고 크리에이터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은 무엇인지, 광고 크리에이터들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국내 광고대행사 크리에이터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했다. 이들은 평균 20.7년의 경력을 가진 국내 광고대행사의 CCO(Chief Creative Officer), ECD(Executive Creative Director) 및 CD(Creative Director) 등 Creative 책임자들이었다. 먼저 광고대행사 크리에이터들을 통해 살펴본 결과, 디지털이 광고에 끼친 영향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전통적 매체를 벗어나 미디어가 다변화되었다. 둘째, 소극적이었던 수용자로서의 소비자를 능동적 행위자로 바꾸어 놓았다. 셋째, 광고의 내용을 ‘무엇을 이야기 하느냐’에서 ‘무엇을 즐기게 하느냐’로 변화시켰다. 넷째, 광고의 형식 부분에 있어 기존 광고의 틀을 깬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시키고,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리고 다섯째, 아날로그 시대에는 존재할 수 없었던 디지털 기술 기반의 광고주까지 탄생시켰다. 말 그대로 전방위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 광고의 변화는 광고 크리에이터들에게 새로운 역량을 요구했다. 이 역시 다섯 가지로 정리되는데, 무엇보다 가장 필요한 것은 역시 디지털 기술에 대한 지식이었다. 두 번째는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 인문학적 소양이었다. 세 번째는 도전정신, 네 번째는 여러 분야의 크리에이터들과 함께 머리를 맞댈 수 있는 Open Mind, 다섯 번째는 다양한 화법으로 구사 가능한 스토리텔링 능력이다. 이러한 광고의 내·외부적인 변화와 새로운 흐름은 광고 크리에이터들의 역할마저 변화시켰다. 이는 크게 네 가지 방향으로 요약되었다. 첫째는 카피, 아트 등 분업화된 크리에이터에서 카피와 아트 전체를 아우르며, 매체 아이디어까지 함께 생각할 수 있는 통합적 크리에이터로의 변화이다. 둘째는 전통적 광고 크리에이터에서 다양한 콘텐츠로 아이디어를 펼칠 수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서의 변화이다. 셋째는 크리에이터들의 지향점이 기존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에서, 여러 분야의 크리에이터들과 협업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큐레이터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네 번째는 크리에이터들이 자신의 아이디어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킬 줄 아는 크리에이터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시대의 광고 크리에이터들에 대한 연구가 다소 부족한 상황에서 디지털 시대에 변화한 광고에 맞춰 광고 대행사 크리에이터들이 나아갈 길을 찾는데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는 본 연구에서 밝힌 디지털 시대 광고의 특징을 바탕으로 광고 크리에이터들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도출해냈다는 점이다. 셋째는 광고 크리에이터들의 역할이 디지털 시대에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학문적인 정리가 되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그리고 실무적 차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면, 무엇보다 ‘광고 크리에이터들이여 변할 것인가, 도태될 것인가’라는 화두를 던졌다. 물론 본 연구에 참여한 인터뷰 대상자들이 한정적이며, 그들의 입장이 디지털 시대 광고 크리에이터들의 전체적인 담론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디지털 시대, 광고 대행사의 크리에이터들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는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디지털 시대의 변화는 속도와 규모면에서 개인이 감당하기에 쉽지 않다. 하지만 광고대행사 크리에이터들이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예측하고 그에 맞춰 경쟁력 있는 역량을 키우고, 스스로를 변화시킨다면 분명 디지털 시대를 이끄는 광고 크리에이터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직 디지털 시대는 진행 중이기에, 앞으로도 디지털 시대 광고대행사 크리에이터들의 역할 변화에 대한 담론들은 지속적으로 관찰되어야 할 것이다.

      •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 운영을 위한 교사용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장선경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아기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실물자료를 통해 개념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로 유아의 발달단계와 학습과정을 고려할 때 현장학습은 가장 바람직한 교수방법으로 최근 많은 유아 교육 기관들이 월1회 정도의 현장학습을 실시하고 있어 중요한 교육방법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대다수의 유아교육기관들이 과거 단체 관람식 현장학습에서 체험식 현장학습으로 바뀌어 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안전에 대한 문제, 다양한 현장학습 장소의 부재, 교사 및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장학습에 대한 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어 현장학습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방안이 필요할 때다. 현장학습은 유아기에 가장 바람직한 교육방법이지만 교사가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도 있고 반감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학습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교사들이 현장학습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고, 교육적인 효과의 편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현장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가 현장학습을 운영함에 있어 점검해야 될 항목은 무엇이며, 개발된 항목에 대한 교사들의 필요도 의견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기초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는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에 관한 선행 연구 중 2000년 이후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참고하였으며, 기초 설문 조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보육시설에 재직 중인 교사 및 원장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의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장학습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현장학습의 절차를 5단계로 구분하여 각각 현장학습 주제 및 장소 선정 단계, 사전답사 단계, 현장학습 시작단계, 현장학습 전개단계, 현장학습 마무리 단계로 정하였다. 각 단계에서 유아교육기관이 현장학습을 운영할 때 점검해야 될 항목은 현장학습 주제 및 장소 선정 단계 11개 항목, 사전답사 단계 10개 항목, 현장학습 시작단계 12개 항목, 현장학습 전개단계 15개 항목, 현장학습 마무리 단계 6개 항목으로 총 54개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항목에 대한 5점 척도에 의한 필요도 설문조사 결과 전체 항목에 대한 평균 필요도는 4.0점의 응답을 얻었으며, 현장학습 주제와 장소 선정 단계 3.9점, 사전 답사 단계 3.9점, 현장학습 시작단계 4.0점, 현장학습 전개단계 4.2점, 현장학습 마무리 단계 3.8점의 필요도를 각각 응답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은 체크리스트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점검과 확인을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현장학습운영 절차를 5단계로 체계화 한다는 것은 현장학습의 효율적인 운영과 더불어 유아교육기관에서 현장학습의 문제점으로 제기된 인력 부족에도 큰 도움이 된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은 현장학습 활동자료와 평가내용을 보고서로 작성하고 보관하여 경험의 지식을 추후 현장학습에 반영하고 후배 교사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점검항목에 대한 필요도 조사 결과 가장 낮은 필요도의 항목은 학부모 관련으로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 운영에서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이 현장 학습을 운영하면서 학부모에게 정보를 제공받고, 자원봉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을 꾀해야 한다. 다섯째, 유아 대상 현장학습기관이 본 연구의 체크리스트를 참고한다면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실질적인 유아대상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체크리스트는 일반적인 현장학습 모형을 기초로 작성하였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현장학습 주제에 맞는 각각의 체크리스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현장에서의 실제 활용과 점검을 통해 각 문항의 내용을 명확히 하고, 문항 수를 축소하여 교사의 활용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장학습의 다양한 실천 사례들을 현장학습 표준자료집으로 제작하고 공유하여 많은 유아교육기관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Childhood is the period when a child forms the notion of life through direct and specific experiences and physical materials. Field studying based on a child's developmental stage and educational process has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method that many preschools have adopted once in a month. Although preschools have been trying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method by changing group-watching field studying to personal-experiencing field studying,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safety issues, lack of fields and teachers. Field studying is a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but it can either be helpful or harmful based on how the teacher applies it.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checklist for managing a field studying so that it can help teachers manage the educational method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ield studying by minimizing the gap of its educational result. Considering the study's purpose, the subjects are, what are the items the teacher in a preschool should check when managing field studying, and what do the teachers think about the necessity of each item on the checklist. The study was done by studying documents and conducting basic surveys. Most documents were preceeding studies on field studying at preschools that were published after 2000. Survey respondents were 100 teachers at preschools in Seoul and Gyungi province, and analysis were done by calculating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of the study object and conducting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Through document studying on field studying, I have classified field studying into five steps, selecting the subject and place for field studying, pre-visit, beginning stage of field studying, developing stage of field studying and finishing stage of field studying. Items to be checked at each stage when the system is adopted at preschools were 54 including 11 for selecting the subject and place for field studying, 10 for pre-visit, 12 for beginning stage of field studying, 15 for developing stage and 6 for finishing stage. Survey on the necessity of each item showed that based on a full credit of 5, 4.0 was the average necessity for the entire items. For each, 3.9 for selecting the subject and place for field studying, 3.9 for pre-visit, 4.0 for begging stage of field studying, 4.2 for developing stage and 3.8 for finishing stage. Results and proposals from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of all, Field studying at preschools should be done based on checking and confirming the basic items on the checklist. Second, preschools should plan each stage of managing field studying, and try to overcome the problem of lack of teachers by training existing teachers to check main tasks at each stage. Third, preschools need to make a report on activi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field studying, and keep it so that they can reflect their education experiences on following field studying programs. Additionally, they should try to hand down the experiences to newly appointed teachers. Fourth, items related with parents that recorded low necessity in the survey, show that communications with parents when managing field studying have not been successful. Thus, more suppor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parents are needed by having them provide information and take a role as a volunteer while managing field studying. Fifth, this study will offer better understanding about field studying for preschools, and be a material that can provide them with practical programs for children. This checklist is based on the model of general field studying. Therefore following studies would have to work on the checklists based on each different subject of field studying. Details of each item should be clarified by practicing and checking them in a real situation, and the number of items should be reduced to enhance teachers' usability. Additionally, I propose that various examples of field studying be made into a source book and share it, so that more and more preschools can use it as a good reference.

      • 동아리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장선경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동아리활동에의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동아리활동은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소년의 동아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의 동아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문지를 통한 자기보고식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의 분석방법은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였으며,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청소년의 동아리 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활동기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진로성숙도는 필요성, 참여횟수, 활동내용에 따라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동아리 활동 참여 여부, 필요성에 대해 여학생은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남학생은 필요성과 참여횟수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무대경험이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동아리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에서, 필요성에 따라서는 진로성숙도에서 실업계와 인문계 모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문계는 참여여부에 따라 진로성숙도에서 만족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서 효과가 있었던 반면, 실업계는 참여횟수에 따라서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동아리활동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들의 동아리활동을 더욱 활성화 시켜나가고 다양화시켜 나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임종환자 영적간호 전략 탐색 :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장선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Exploring Strategies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Spiritual Care of Patients in End of Life :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Jang, Seon kyeong Directed by Professor Chang, Sung Ok, RN., Ph.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Background: Today, there are many dying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Care Unit (ICU) who are in need of spiritual care. And to see patients who experience deathbed phenomena is common in ICU settings. However there are no standardized modalities in spiritual care for patients who facing death in ICU setting that ICU nurses’ could emplo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proper spiritual care for patients in end of life of ICU setting that ICU nurses can use in their dying patients. Method: For study’s purpose, Focus-Group Interview Analysis was used. Twelve nurses from K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of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 one of 6 nurse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5 years in ICU and the other of 6 nurses with more than 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ICU. And two tim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performed on each group from December of 2015 to February of 2016. The data were coded by open coding and topic coding, and analysed by focused group interview analysis method. Findings: Nursing strategies for ICU nurses’ spiritual care for dying patients in ICU settings comprises 10 themes. with 103 sub-themes As a findings, 10 themes were: Theme 1. End of life Care–Nursing domain that should be managed Death is considered as a fearful experience for every one. In ICU settings, patients who are in impending death want the end of life care. As a findings, ICU nurses admitted the biological and medical definition of death, and importance of physical oriented end of life care for dying patients but they suggested that a more broader approaches including spiritual care should be done in ICU settings as well. Theme 2. The end of life care in ICU which is more than care of biological death. ICU nurses are supposed to manage dying process of patients. To manage dying process of patients, nurses should do their best to help dying patients to admit their death smoothly and to meet their deaths with dignity. And mortuary care will also need to be done respectfully. In addition, ICU nurses need to understand their job should be extended to spiritual part as well as physical and mental parts. Theme 3. Recognizing that death is a natural process of completing one’s life with dignity ICU nurses should treat the patient as a person, not a dying patient. In addition, ICU nurses should help to accept death as a natural process of life. And They concerned that the preservation of patients’ dignity should be managed until the last moment of patients’ life. Theme 4. Searching for methods to manage the patients’ spiritual experiences; deathbed phenomena and to support them for their peaceful death. The spiritual experiences such as deathbed phenomena that nurses witness when patients are dying are one of the important area that nurses should deal with. The nurses suggested that nurses should not overlook such a phenomenon dying patients’ facing, and it is required for nurses to try to admit it unbiasedly and support patients. Theme 5. Attempting a personal interpretation on dying patients’ spiritual experiences An attempt of a personal interpretation on a range of spiritual experiences has not been tried enough, and such an attempt would provide basic sources for spiritual care. Spiritual experiences are to be regarded as an individual process to death and nurses would need to admit and support the processes. Theme 6. Managing the space to provide dying patients and their loving families with spending the last meaningful time. Dying patients and families, in many cases, have to stay in ICU which a confined space in a hospital, and dying in such a place could be uncomfortable and lonely. Therefore, ICU nurses need to make efforts to provide them better place and more comfortable time. Also, one of the virtues of ICU nurses is to be a supporter giving careful attention to dying patients and families as well as to be faithful to caring. Theme 7. Being a companion of dying patients until the end of their lives In fact, the intensive care unit is a closed and controlled area. Dying patients who are separated from their families alone. And ICU nurses should do their best to give assurance that they are not alone and support their dying patients to overcome the fear of death. Theme 8. Focusing the spiritual aspect of patients in their dying process. ICU nurses are supposed to manage dying process of patients. Therefore, ICU nurses should recognize the family as the most important support system for dying patients to care of their spiritual needs. In end of life care, nurses should focus on possible modalities to help dying patients to satisfy their spiritual needs. A quiet and solemn room for dying patients and family need to be prepared in ICU, so they could have their own ceremonies for farewell. Theme 9. Consideration for ICU nurses to have chances of expressing their emotional stress. ICU nurses are relatively more exposed to scenes of death and indirectly experience a sense of loss through dying patients and families. In addition, they often undertake a role to manage caregivers and it causes more stress on them. therefore, giving ICU nurses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regarding patients’ death and providing counselling programs to support nurses to share their experiences are required. Theme 10. Need of establishment of nursing care system including care of patients’ spiritual experiences and developing the modalities for care of patients’ dying process in ICU. ICU nurses suggest the system to educate nurses the car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experiencing deathbed phenomena in clinical settings such as ICU. They want be prepared to listen dying patients’ deathbed phenomena without prejudice. It is also required, on the other hand, to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for spiritual care in nursing, to formulate the concept of spiritual care and to activate a range of education of dying patients such as hospice education program.

      • 시민극단 '산유화' 구성원들의 공동학습경험

        장선경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연극을 매개로 한 문화예술실천공동체인 시민극단 ‘산유화’ 구성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공동학습경험은 어떠한 특징과 양상을 나타내는지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개별화된 개인들이 일회적이고 단순한 문화향유가 아닌 공동의 작업인 연극이라는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공동체성 회복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연극이라는 공동의 관심사를 가진 개별적인 구성원들의 공동 작업이 전제된 연극 활동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공동학습경험은 어떠한 독특한 특징과 양상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탐구는 그 의미가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민극단 ‘산유화’에서 활동하고 있는 구성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 참여자들에 대해 있는 그대로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시민극단 ‘산유화’ 활동에 참여한 학습맥락은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먼저, 연극 활동을 하고 싶었지만 전공자가 아니기에 스스로 가지고 있던 심리적, 환경적 진입장벽이 해소되면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된 경우이다. 다음은 자신을 표출하기 위한 표현수단으로 참여한 경우와 단조로운 일상을 벗어나서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활동에 대한 호기심으로 참여한 경우이다. 구성원들은 각기 다른 학습참여맥락을 가지고 있었으나 함께 공연을 만들어가는 일련의 활동을 통한 상호작용과 공동의 학습을 경험하면서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구성원들의 시민극단 ‘산유화’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공동학습경험은 의사소통을 위한 학습, 공감, 갈등, 자부심, 그리고 환희의 형태를 보였다. 먼저 연극에 대한 의사소통의 과정으로 구성원들은 공동의 목표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어가는 공동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자신만의 확고한 경험세계를 가진 성인학습자로서의 구성원들은 여럿이 함께 만들어가는 연극공연을 위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대화와 타협의 과정을 거치면서 서로의 세계를 공감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공동의 경험을 만들고 있었다. 여러 사람이 모여 함께 활동하는 공동체에서의 갈등은 자연발생적인 현상이며 시민극단 ‘산유화’에서도 구성원간의 관점의 차이, 연기에 대한 내면적 갈등, 외재적 환경으로 인한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갈등은 구성원 개인의 문제가 아닌 공동의 목표를 위한 모두의 문제로 인식하면서 기수제와 연령차에 의한 인간적 관계를 통해 함께 갈등과 위기를 극복하고 있었다. 함께 만들어가는 경험과 학습을 통해서 실력을 향상시키며 구성원들은 시민극단 ‘산유화’에 대한 강한 소속감과 연대감을 갖게 되었다. 이는 구성원들이 자부심을 갖고 애정과 열정으로 지속적인 참여와 성장을 이끄는 동력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성원 모두의 공동관심사인 정기공연을 통한 환희의 순간은 구성원들에게 ‘나’를 내려놓고 ‘우리’를 우선하여 함께 연극 공연무대를 이루어 냈다는 공동의 성취감을 부여하고 있었다. 이렇게 구성원들은 ‘나’라는 개인에서 함께 학습을 만들어가는 ‘우리’로서의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구성원들의 공동학습경험은 포용적이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삶의 관점이 넓어지는 변화와 정서적 지지, 연대를 통한 자신감을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성장, 자신의 삶에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는 기폭제로 그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시민극단 ‘산유화’ 구성원들의 공동학습경험을 분석한 본 연구는 개별화된 개인이 공동 작업이 전제된 연극 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공동학습경험을 통해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새로운 대안적 수단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세대 간의 다름이 갈등을 방지하고 위기를 해결하는 중요한 완충의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성원들은 연극이라는 문화예술 활동을 일상에서 경험하면서 삶의 균형과 세계와의 관계를 새롭게 구성하고 능동적 학습자로 성장해가며 평생교육을 실현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미를 갖고자 한다. 주제어 : 공동학습경험, 상호작용, 문화예술활동, 연극의 공동체성, 시민극단

      • 독서노트 쓰기가 독서 태도와 독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장선경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독서노트 쓰기가 독서 태도와 독자 반응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독서노트 쓰기가 학생들의 독서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 독서노트 쓰기가 학생들의 독자 반응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대상은 대구시 소재의 사설 독서수업을 하는 초등 3학년부터 중등 3학년까지 총 39명이다. 실험은 2017년 3월 6일부터 5월 13일까지 주1회 총 8회기를 실시하였으며, 1회기 당 수업 시간은 100분으로 하였다. 독서노트를 활용한 독서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독서노트 쓰기를 하였고, 수업 외에 스스로 독서노트 쓰기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각각 독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 분석을 위해서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의 보완으로 학생들이 작성한 독서노트 내용을 독자 반응 범주별로 분류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독서노트 쓰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노트 쓰기가 학생들의 독서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쓰기 태도보다 읽기 태도의 향상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초등학생 보다 중학생의 경우 독서 태도 향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독서노트 쓰기가 학생들의 독자 반응 양상에 영향을 미쳤다. 텍스트의 장르와 텍스트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독자 반응이 나타났고, 초등 중학년의 경우 정서적 반응, 초등 고학년의 경우 평가적 반응, 중학생의 경우 해석적 반응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독서노트 쓰기는 독서 태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꾸준히 지속해서 습관화할 필요가 있다. 독서 태도는 단기간에 형성되기는 어려우며, 독서노트 쓰기는 지속적으로 했을 때 그 의미를 독자들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독서노트 쓰기는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방법으로 의미가 있어 교사는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생들은 책을 읽고 자신의 생각, 느낌을 스스로 돌이켜 보고 반응해 보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의미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독서노트, 독서 태도, 독자 반응 양상 Abstract The Effects of Reading Log Writing on Reading Attitude and Reader Respo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reading log writing on reading attitude and reader respons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Is reading log writing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reading attitude? 2. Does reading log writing affect students' reader responses? A total of 39 third- to ninth-grade students taking private reading classes in Daegu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 total of 8 sessions―a session per week, 100 minutes per session―from March 6 to May 13, 2017. A reading program using a reading log was applied to reading log writing and they were given extracurricular time to write their own reading log. Reading attitude was determined for its effectiveness in pretest and posttest and t-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an SPSS WIN 18.0 program to analyze the results.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reading logs written by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ader response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ir respon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wareness of reading log writing.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ading log writ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reading attitude. Specifically, it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attitude than writing attitude and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attitude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cond, reading log writing affected the students' reader responses. The reader responses differed by the genres and contents of the texts; middl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show emotional responses, old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show evaluative one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show interpretative on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First, since reading log writing positively affects reading attitude, it is necessary to adhere to reading log writing and make it a habit. This is because reading attitude is hard to form in a short term and readers can feel the meanings of reading log writing when they perform it continuously. Second, since reading log writing is a way of summarizing one's own ideas and generating new ideas, teachers need to use it properly. Students can have meaningful experiences when they are given opportunities to read books, reflect on their own ideas and feelings, and make responses. Key words: Reading log, reading attitude, reader response

      •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정서조절능력, 자아탄력성의 차이

        장선경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leadership, emotion controlling ability, and ego-resilience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s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to clarify the difference of emotion controlling ability and ego-resilience by the leadership typ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e research problems we set up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leadership,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ego-resilience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s of them? Research Problem 2. Are there differences in emotion controlling ability by the types of leadership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Research questions 3. Are there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by the types of leadership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 we distributed 250 copies of questionnaires to childcare center directo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from February 27, 2017 to March 17, 2017, and the final 227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Among the tools that we used for this study, to measure leadership, we used the leadership scale that Hwang, Soon-jung (1992) used, which is the adapted version of APLS-II (Administrator Professional Leadership Scale-II) developed by Thompson (1964).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mong fiv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test developed by Moon, Yong-lin (1999) based on Mayer and Salovey (1997), such as emotion recognition expression, empathy, facilitating better thoughts, emotion utilization, emotion control scale, we used 8 items of emotion control used by Kim Ji-myung (2009). To measure ego-resilience, we chose 48 items tha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item of CAQ from CPI (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of Klohnen (1996). Then we excluded items that are correlated with other sub-factors, and selected 29 items ultimately to develop self report type of ego - resilience and. In this study, we used the tool that Park Hyun-jin (1996) trans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tendency of the leadership, emotion controlling ability, and ego - resilience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s such as their ag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ne has completed, marital status, and career background. Second, as we examined the difference of emotion controlling ability by the types of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 emotion control ability was shown to play a role in the case of having efficient leadership rather than inefficient leadership. Third, the difference of ego - resili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leadership of home childcare center director showed that ego - resilience was higher when the leader had more efficient leadership than inefficient leadership, and when the leader had concord type of leadership than inefficient leadership.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types of leadership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make difference in emotion controlling ability and ego - resil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adership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in order to improve the emotion controlling ability and self - resilience of the director.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리더십, 정서조절능력, 자아탄력성의 경향과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정서조절능력,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리더십, 정서조절능력, 자아탄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정서조절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2017년 2월 27일부터 2017년 3월 17일까지 서울경기지역의 가정어린이집 원장에게 250부를 배부하여 최종 227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도구 중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Thompson(1964)이 개발한 APLS-Ⅱ(Administrator Professional Leadership Scale-Ⅱ)를 번안 하여 사용한 황춘정(1992)의 지도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ayer와 Salovey(1997)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9)이 개발한 정서지능검사의 다섯 가지 하위 요인인 정서인식표현, 감정이입, 사고촉진, 정서활용, 정서조절척도 중 김지명(2009)이 사용한 정서조절척도 8문항을 그대로 사용 하였으며, 자아탄력성 측정하기 위해서는 Klohnen(1996)의 CPI(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에서 CAQ의 자아 탄력성을 문항과 상관을 보이는 48개의 문항을 뽑아 CPI의 다른 하위 척도와 상관이 있는 문항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9개 항목으로 추려 자기 보고식 자아탄력성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이에 박현진(1996)이 번역한 것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리더십, 정서조절능력, 자아탄력성을 살펴본 결과,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연령, 최종학력, 결혼유무, 경력 등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정서조절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비효율형 리더십보다 효율형 리더십을 가진 경우에 정서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자아탄력성에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과업형과 비효율형 리더십보다 효율형 리더십을 가지고 있을 때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효율형 리더십보다 인화형 리더십을 가지고 있을 때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의 유형이 정서조절능력과 자아탄력성에 차이를 가져오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을 향상 시켜 원장의 정서조절능력과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필요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