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중년기 성인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연구

        임한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양적 연구로는 증명하기 어려운 중년기 성인의 죽음 개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확인, 분석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중년의 주관성을 파악하여 간호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상자의 특성에 근거한 임종과 호스피스 간호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중년기 성인의 죽음에 태도에 관한 Q모집단은 40대 중년 2명, 50대 중년 3명, 60대 중년 1명인 총 6명을 대상으로 하여 면담과 문헌고찰을 통해 구성된 82개를 3개의 범주로 구분하고, 각 범주별로 대표적이거나 상이한 의미의 진술문을 연구자가 임의로 선택한 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3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년기 성인 34명을 P-표본으로 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한 동의 정도에 따라 진술문을 읽고 대상자가 스스로가 7점 척도 상에서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PC QUANL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에 대한 태도는 네 가지로 유형화 되었고,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유형은 ‘죽음수용형’으로 대부분의 대상자가 남성이라는 인구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죽음을 인위적으로 막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여 죽음에 대해 순응하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를 원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죽음에 대한 충분한 대화로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전략이 필요한 유형이다. 제2유형은 ‘가족중시형’으로 자연스러운 죽음을 기대함과 더불어 죽음 전 가족과 함께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 등의 마음표현을 할 수 있는 것이 좋은 죽음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이들에게는 주변사람에게 감사함 또는 용서를 표현할 기회를 마련해주고 가족들과 생을 마무리 할 수 있는 간호 중재 전략이 필요한 유형이다. 제3유형은 ‘죽음준비형’으로 갑작스러운 죽음보다는 죽기 전에 주변 정리, 작별 인사 등의 죽음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며 이러한 준비를 통해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감소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이들에게는 기존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나 유언을 남기는 등과 같은 임종 전에 미리 교육함을 통하여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간호 중재 전략이 필요한 유형이다. 제4유형은 ‘종교의지형’으로 이 유형에 속한 대상자는 대부분 종교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부분이 여성이라는 인구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종교로 승화시키며 종교에 대한 의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러한 종교적 의지로 죽음을 편안하게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것이 좋은 죽음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이들에게는 지속적인 종교활동을 통해 죽음을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임종 시 종교와 접목된 간호 중재 전략을 통하여 좋은 죽음을 맞이 할 수 있는 유형이다. 모든 유형의 대상자들은 공통적으로 홀로 외로이 죽음을 맞이하는 것보다 죽음 직전 가족과 함께 자연스럽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좋은 죽음이라 생각하였고,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죽음에 대한 부담과 짐이 되는 상황을 피하고 싶어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함과 더불어 안정된 삶을 살아가기 위해 가족들과 죽음에 대한 충분한 대화와 본인 스스로도 죽음에 대해 어떤 죽음이 좋은 죽음이 될 수 있을지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간호 중재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성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유형이 네 가지로 파악되었으며, 유형별 특성이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중년이 후에 임종을 맞이 할 경우 좋은 죽음을 맞이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간호중재전략을 제시하였다. 추후에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특성에 따른 중년기에 맞는 죽음도구개발을 제언하며, 이에 맞는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타당성을 찾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제 6차 교육과정과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영역 분석(지구과학 중심)

        임한나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We are living in information age that is rapidly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se efforts to develop science made mankind to focus on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Then, what can be specific teaching method to reach the aim of science education? In this points, I insist that new teaching methods is the first thing we need to cultivate the men who are creative and self-willing in studying. Prior to development of men teaching methods we make the atmosphere for creative and self-willing. And, th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proper theory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cultivating creative and talented 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ontents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biology field of 7th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changed and implemented since 2000. To compare the 7th textbook which is revised to the external form, with organization of content about biology area of science textbooks substantially followed by the 7th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 1. With the change of the general purpose from promo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to fostering sound outlooks on natur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in relation with scientific acquirements was emphasized, and research course and the side human wisdom changed their positions under sub-purposes. Additionally, the type of statement was changed from provider-oriented type of 'let someone have something' (instructor) into consumer-oriented type of 'have something' (student). 2. In the knowledge territory, the number of unit reduced, and deepening content was added into each units as the subject of deepening?supplement course. In the research territory, research was divided into research process (the base, unification research) and research activity, the research element was not defined, and the 7th curriculum included research 5 steps and embodied research field. It shows decrease in overall amoun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tendency for the level of contents gets deteriorated. 3. It was categorized into 5 main areas, learning direction plan, data preparation & application, learning direction method, experiment ? practice direction, and deepening? supplement learning direction, and presented in details. Four items were presented in the deepening? supplement learning direction area as the subject of deepening? supplement program. It shows the intention to strengthen the spirit of open education and education for information literacy. 4. The contents in Earth Science section of the 6th curriculum were , in the 7th curriculum, distributed into the superior territory of the second and third grade contents with decreased units over all. This change corelates with the results that much of the contents in the 6th curriculum was removed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was readjusted downward, and the report that repeated contents were dropped for the reduction of total amount to be educated. The reduction of education contents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llowing the reduction of allotted time for scientific education. 정보화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 는 산업구조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과학 발전에 대한 인간의 노 력은 과학 기술발전에 상응하는 과학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몇 차례의 교육 과정의 개정으로 현제 제 7차 교육 과정 개정을 통해 그 목표를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 나라의 발전 의 척도이자, 문화를 반영하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그에 따른 인재 양성의 시급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정되어 2000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과학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제 7차 교과서를 제 6차 교과서에 비 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제 7차 교육 과정에 따른 과학교 과서를 중심으로 편성내용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총괄 목표가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 육성에서 올바른 자연관으로 바뀌 면서, 과학적 소양과도 관련 있는 전인적 측면이 강조되고, 하위 목표에서 는 탐구과정과 인지적 측면의 순서가 바뀌었다. 그리고 진술 형태가 ‘~ 을 가지게 한다'의 교사(공급자) 중심에서 ‘~을 가진다'의 학생(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하였다. 2. 지식 영역은 대단원의 수가 감소하고, 심화보충 과정의 과목으로서 심 화 내용이 각 중단원 별로 하나씩 추가되었다. 그리고 탐구 영역은 탐구 를 탐구과정(기초·통합탐구)과 탐구 활동으로 나누고 탐구요소를 규정하지 않았으며, 7차는 탐구 5단계 포함 및 탐구 영역을 구체화하였다. 전체적으 로 학습량이 감소하고 내용수준도 약간 낮아진 경향을 보인다. 3. 5개(학습 지도 계획, 자료 준비 및 활용, 학습 지도 방법, 실험·실습 지 도, 심화·보충 학습 지도)의 큰 영역으로 묶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심화· 보충 과정의 과목으로서 심화 ?보충 학습 지도 영역의 4개항이 제시되었 다. 열린교육의 정신과 정보화 교육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4. 제 6차 공통과학 교육과정에서 지구과학영역의 내용은 제 7차 교육과 정에서 2, 3학년의 상위 영역으로 분산되거나 축소되어 전체적으로 학습 량이 감소하였다. 이는 6차 교육과정 내용이 7차 교육과정에서 상당 부분 삭제되었으며 내용 수준의 난이도를 하양 조종 하였다고 한 결과와 7차 교육과정의 연구에서 학습량을 줄이기 위해 반복되는 내용을 삭제했음을 언급하는 결과와도 상통하는 내용으로 과학과의 시간 배당수의 감소로 인 해 학습량의 감소가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임한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사회적 지지(지지원, 지지 하위유형)는 조절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S시, I시, K도의 초등특수학급 발달장애아 어머니 15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양육스트레스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를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부트스트랩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중다회귀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지지원, 지지 하위유형)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지 하위유형 중 물질적 지지만 조절효과가 있었다.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로 인해 낮아진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적요인인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상담과 프로그램을 연구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발달장애아 어머니가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 수 있도록 외적인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 <거지 오페라>와 <서푼짜리 오페라>의 비교분석

        임한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John Gay and Johann Christoph Pepusch's <The Beggar’s Opera> and Kurt Waill and Bertolt Brecht's <Die Dreigroschenoper>. The two works were experimental and original in the history of musical theatre, classified as historical situations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character analysis, plot, dramatic techniques, social satire elements, musical modalities, and popular elements. Europe in the 18th century was full of civil complaints about the powerful, which led to the French Revolution. Since then, enlightenment has emerged and royalism has gradually collapsed, and individualist ideas have emerged, popularizing art has been achieved. First played in 1728, John Gay's <The Beggar’s Opera> contains satire criticizing the period of absolute monarchy and the corruption of society, and featured beggars and bandits, not myths and heroes that usually appeared in opera at that time. The music of <The Beggar’s Opera> was composed by Peppush, which received great attention by using popular songs and Scottish folk song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without using traditional orchestra composition and aria-Recitativo. As a result, <The Beggar’s Opera> becomes the beginning of a new opera genre called ballad opera. This work has been adapted into many works since its premiere, but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Kurt Weill and Bertolt Brecht's <Die Dreigroschenoper> in the 20th century. Kurt Weill, the composer of <Die Dreigroschenoper>, made an original attempt to borrow jazz music, a popular music at the time, to use jazz-organized orchestral composition rather than traditional orchestral composition. In addition, the playwright Brecht thought that immersion in the play was preventing the critical thinking of the audience, so he used the “alienation effect” to allow the audience to look at it from a new perspective, which is a device to prevent the audience from immersed in the main character. For example, it was used as a dramatic device to prevent the dramatic immersion of the audience by talking to the audience in each play or walking between the audience sitting in the audience. The two works have a similar plot, and the main characters appear the same except for a few characters, and they can find common ground in which the lower classes appear. The fact that Pepusch in the 18th century embraced popular music and Kurt Weill in the 20th century also composed in the jazz style that was popular at the time shows that both works embraced pop music and created new orchestra music. The two have similar plots, but differences can also be found, with one of John Gay's characters, Rockett, not appearing in a <Die Dreigroschenoper> featuring a police commissioner named Brown. Brown appears as a friend of Mackies. The difference can also be seen in the final ending of the play. In <The Beggar’s Opera> Mackiss ends up being pardoned without being hanged, but in <Die Dreigroschenoper> he ends up with an open ending with a scene where he lives happily with Polly. Unlike <The Beggar’s Opera> which has 69 songs written, the number of songs has been greatly reduced and only 21 songs have been used in <The Beggar’s Opera> “Double Window of Jealousy”was used in the original opera. These two works featured lower classes, satirizing political criticism of the powerful, criticizing the absurdities of society through dialogue and dramatic techniques, while using popular music to create a unique opera. The satirical elements of the era in the overall comprehensive art of opera have become important elements in dramatic music to modern times, and Brecht's “alienation effect” and “theory of epic drama” have become fundamental theories in the theater world. 본 논문은 존 게이와 요한 크리스토프 페푸쉬의 <거지 오페라>와 쿠르트 바일과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푼짜리 오페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음악극 역사에 있어서 매우 실험적이며 독창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 이 두 작품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대적 상황(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장인물 분석, 플롯, 극적 기법, 사회풍자 요소, 음악적 양상의 변화 분석, 대중적 요소 등의 세부 항목을 비교분석의 분류 기준으로 정하였다. 18세기 유럽은 권력층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가득했으며 이는 프랑스 혁명으로 이어졌다. 이후 계몽주의가 등장하고 왕권주의는 서서히 몰락함과 동시에 개인주의 사상이 등장하며 예술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1728년 초연된 존 게이의 <거지 오페라>는 절대왕정 시대와 사회의 부패상을 비판하는 풍자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당시 오페라에 주로 등장하였던 신화와 영웅의 이야기가 아닌 사회 하층계급인 거지와 도적들이 등장하고 있다. <거지 오페라>의 음악은 페푸쉬가 작곡하였는데 전통적 개념의 오케스트라 구성과 아리아-레치타티보를 사용하지 않으며, 당시 유행하였던 대중가요와 스코틀랜드 민요의 멜로디를 사용하여 큰 주목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거지 오페라>는 ‘발라드 오페라’라는 오페라 양식의 탄생을 이끌어 낸다. 이 작품은 초연된 이후 20세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버전으로 개작되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의 하나인 쿠르트 바일과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푼짜리 오페라>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서푼짜리 오페라>의 작곡가인 쿠르트 바일은 당시 유행하였던 대중 음악인 재즈음악을 차용하여 전통 오케스트라 구성이 아닌 재즈 편성의 오케스트라 구성을 사용하는 독창적인 시도를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극작가인 브레히트도 ‘관객들이 극에 몰입하는 것이 관객의 비판적 사고를 막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기 위해 ‘생소화 효과’를 사용하였다. 이는 관객들이 주인공에 몰입하여 감정이입하는 것을 막는 장치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극의 사이마다 관객에게 말을 걸거나 객석에 앉아있는 관객 사이로 걸어가는 것을 통해 관객의 극적 몰입을 막는 극적 장치로 사용하였다. 이 두 작품은 전반적으로 비슷한 줄거리를 가지며 몇몇의 등장인물을 제외한 주인공들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등장하며, 하층계급이 주요 캐릭터로 등장한다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18세기의 페푸쉬가 대중가요를 수용하였고, 20세기의 쿠르트 바일 또한 당시 유행하였던 재즈형식으로 작곡을 하였다는 점에서 두 작품은 모두 대중적 가요를 수용하여 새로운 개념의 오케스트라 음악을 만들었다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두 작품은 유사한 줄거리를 가지고 있지만, 차이점 또한 발견할 수 있었는데 존 게이의 등장인물 중 한 사람인 로킷은 서푼짜리 오페라에는 등장하지 않고, 그 대신에 브라운이라는 경찰청장으로 등장한다. 브라운은 매키스의 친구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극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거지 오페라>에서 매키스는 교수형에 처해지지 않고 사면을 당하며 끝이 나지만 <서푼짜리 오페라>에서는 폴리와 행복하게 살아가는 장면과 함께 열린 결말로 끝이 난다. 69개의 곡이 쓰인 <거지 오페라>와는 달리 <서푼짜리 오페라>에서는 곡의 개수를 대폭 줄여 21곡만이 사용되고 있다. ‘질투의 이중창’은 원작 그대로 서푼짜리 오페라에서도 불려진다. 다음으로 중요한 점은 이 두 작품이 하층 계급을 출현시켜 권력층에 대한 정치적 비판을 풍자로 풀어냈으며, 대사와 극적 기법을 통해서도 사회의 부조리한 면을 비판하는 오페라를 탄생시켰다는 것이다. 총체적 종합예술인 오페라에 담긴 이러한 시대 풍자적 요소는 현대까지도 극음악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브레히트의 ‘생소화 효과’와 ‘서사극 이론’이 연극계에서 기본적인 이론으로 정착되기도 하였다.

      •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 상호작용,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 그리고 비행경험

        임한나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개인 일반적 특성과 외재적 요인(가족 상호작용,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 비행경험)을 탐색하고,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이 가족 상호작용,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 그리고 비행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 상호작용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에는 차 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행경험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인천시에 소재한 남·녀 고등학교에서 표집된 1, 2, 3학년 학생 300명이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생활실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 설문지는 ‘위기(가능) 청소년지원모델 개발연구(구본용·금명자·구본용·금명자·김동일·김동민·남상인·안현의·주영아·한동우, 2005)’에서 개발된 척도를 토대로 본 논문 주제에 적합한 문항을 취사 선택하고, 일부 수정 보완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총 294명의 통계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가족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적에서는 80점-90점이 70점-80점, 60점-70점, 90점 이상, 60점 미만보다 가족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님의 결혼 상태에서는 부부가 별거, 기타, 이혼, 사별, 재혼보다 가족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 학력에서는 전문대학교 이상이 고등학교, 중학교 이하, 기타보다 가족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 학력에서는 고등학교가 전문대학교 이상, 기타, 중학교 이하보다 가족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교 계열, 연령, 부모 맞벌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교 계열에서는 인문계가 실업계보다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서는 18세가 17세, 19세보다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적에서는 80점-90점이 60점-70점, 70점-80점, 90점 이상, 60점 미만보다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님의 결혼 상태에서는 기타가 부부, 별거, 사별, 재혼, 이혼보다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모 맞벌이, 부 학력, 모 학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행경험을 살펴본 결과, 학교 계열에서는 실업계가 인문계보다 비행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비행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서는 19세, 17세, 18세 순으로 비행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적에서는 90점 이상, 60점 미만, 70점-80점, 60점-70점, 80점-90점 순으로 비행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님의 결혼 상태에서는 재혼, 별거, 이혼, 기타, 부부, 사별 순으로 비행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모 맞벌이, 부 학력, 모 학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fter reviewing some general features of youngsters and extraneous factors studied i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general features of high school students impact on family interactions,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and delinquent experi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1) Are there differences in family interactions during adolescence dependent on general features of individual students? 2) Are there differences in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 dependent on general features of individual students? 3) Are there differences in delinquent experience dependent on general features of individual students? A sampling of 300 male and female students at all grades was obtained from high schools in Inchun, Korea. The questionnaire was partly modified from the scaled questionnaire used in Research on Developing the Support Model for Youth At-Risk (Goo, et al., 2005). The data from a total 294 participants was analyzed using SPSSWIN 14.0 Program. The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the categories of family interactions demonstrate that, as for gender, women have more interactions with their family members, as compared with men. As for academic scores, students with scores between 80 and 90 have more family interactions than students with the other score ranges, 60~70, 70~80, over 90, and below 60. As for parents' marital status, students from un-remarried two-parent families were more interactive than those whose parents' marital status is (married but) separated, (married but) widowed, divorced (but not remarried), remarried, or otherwise defined. In the category of father's education, students whose father completed more than 2 year college education are more interactive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mother's education category, students whose mother completed high school are more interactive than the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students do not differ significantly in family interactions in the other categories of general features such as school sector, parents' dual earning status, and age. Next,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the categories of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shows the following. In the category of school sector, general sector students have better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than vocational sector students. As for gender, women have better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than men. As for age, 18 year old students have better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than 17 and 19 year old students. In the category of academic scores, students with scores between 80 and 90 have also better school life and are more popular among peers than students with the other score ranges, 60~70, 70~80, over 90, and below 60. As for parents' marital status, students who reported their parents' marital status as otherwise defined have better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than students whose parents' marital status is married, (married but) separated, (married but) widowed, divorced (but not remarried), or remarried. In the other categories of general features such as parents' dual earning status, and father's and mother's education background, there is shown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ose students in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 Lastly,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the categories of delinquent experience reveal that vocational sector students have more delinquent experience than general sector students. They also shows that male students have more delinquent experience than female students. Students are placed in the ordinal order of 19 > 17 > 18 as for age and over 90 > below 60 > 70~80 > 60~70 > 80~90 as for academic scores, respectively. Regarding parents' marital status, the order is remarried > separated > divorced > otherwise defined > married > normally married > wid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the other categories of parents' dual earning status, father's education, and mother's education.

      • 미술치료기반 초등학생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임한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art therapy-bas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child to verify how it affects their career awareness and career self-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the art therapy-based elementary schoolchild career exploration program should be organized to improve the student’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self-efficacy. Second, does the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exert the affirmative influence to the students’ career awareness. Third, is the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effective to improve the students’ career self-efficacy. This career exploration program is developed with 4 stages according to the program model development procedure by Kim Chang-dae et al (2020); 1- goal setting, 2- program composition, 3- preliminary research and modification of the program, 4- program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the final program is organized and executed through continuous remediation in order to operate more effectively. Going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the first stage was setting a goal to develop the program reflec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ing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career-related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child based on art therapy. At the program composition phase as the second stage, this program was tentatively devised with modifying and remedying of the existing art therapy-base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child. Subsequently, the operation process and implementation results of this program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12 experts’ advices. In the third stage of preliminary research and modification of the program, a preliminary program was conducted for two children, and the final program was composed after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results based on the consequence of the preliminary program. In the fourth stage of execution phase, this program was implemented over 9 sessions for the seniors(4th, 5th, and 6th grade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seo-gu, Seoul. Total 30 applicants for the art therapy-based elementary schoolchild career exploration program were recruited, and 15 students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15 students were assigned as control group. Career awareness and career self-efficac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For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upplemented with response evaluation from the students and parents' testimonies. As a result of post-test analysi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of career awareness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also proven by the evaluation of responses through the testimonies that the program improves the student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self-efficacy, and it changes the attitude to prepare with interest and expectations for their own career. That is to say that the art therapy-bas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exerts the affirmative influence on career awareness and career self-efficacy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new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organized and devided in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based on the professional career exploration and education, and the use of vocational car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e second stage can be found in that it developed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with a sense of humor as an art therapy approach and developed it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programs. From the research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미술치료기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진로인식과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기반 초등학생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둘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미술치료기반 초등학생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셋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미술치료기반 초등학생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본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김창대 외(2020)의 프로그램 모형 개발 절차를 준거하여 1단계 목표수립, 2단계 프로그램의 구성, 3단계 예비연구/프로그램 수정, 4단계 프로그램의 실시 및 평가 총 4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으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보완·수정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진행하였다. 개발과정을 살펴보면, 1단계 목표수립 단계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미술치료기반 초등학생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조사 및 참고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다. 2단계 프로그램의 구성 단계에서는 기존의 미술치료기반 초등학생 진로탐색 프로그램들을 수집·분석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수정·보완하여 잠정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이후 12명의 전문가에게 연구자에 의해 잠정적으로 구안된 프로그램을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및 활동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3단계 예비 연구/ 프로그램의 수정 단계에서는 아동 2인을 대상으로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시 수정 및 보완 후에 최종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4단계 프로그램 실시 단계에서는 서울 강서구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의 초등학교 고학년(4,5,6학년)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9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미술치료기반 초등학생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신청자를 총 30명을 모집 후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진로인식과 진로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수집된 설문 자료를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아동과 학부모의 소감문을 통한 반응 평가로 보완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후 검사 분석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실험집단에서는 진로인식 및 진로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동과 학부모의 소감문을 통한 반응 평가에도 아동의 진로인식 및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와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도 관심과 기대를 갖고 준비하려는 자세가 형성되어짐이 입증되었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술치료기반 초등학생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과 진로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새로운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2단계로 나누어 구성하고, 1단계에서는 전문성이 있는 진로탐색 및 교육, 초등학생용 직업카드활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2단계는 미술치료적 접근으로 유희성이 있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존 프로그램들과 차별화를 두고 개발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 거부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임한나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만 19세에서 만 39세 미혼 성인남녀 387명을 대상으로 한국 대학생 거부민감성 척도, 관계중독 척도(RAQ-30), 자기자비 척도(SCS),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IBM SPSS 25를 활용해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 자기자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관계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이 자기자비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관계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거부민감성이 중독적 대인관계 패턴인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자비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관계중독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는 실제 상담 장면에서 수립할 수 있는 치료 목표를 합의하고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여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에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relationship addiction.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study did a survey to 387 male and female adults from 19 to 39 years ol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5 statistical program using rejection sensitivity scale, self-compassion scale,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RAQ-30), self-compassion scale (SC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self-compass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relationship addiction showed that the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in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relationship addiction, self-compa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ere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rejection sensitivity was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rejection sensitivity by mediating self-compa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order.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relationship addiction, addictive human relationship pattern, and wanted to give information to alleviate relationship addiction by focusing on self-compa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purpose and meaningfulness of it is to provide help in real counseling scenes by agreeing on treatment goals which one can establish real counseling scene and exploring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limites of this study and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 효과적인 연주를 위한 플루트 연주 자세와 신체 단련방안 연구

        임한나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플루트 연주자들이 효과적인 연주를 위해 필요한 연주 자세와 이를 위한 신체 단련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에 정의된 자세의 범위를 확대하여 자세를 완성하는 과정과 이상적인 자세를 위해 사용되는 근육의 쓰임을 포함한 포괄적인 범위를 연구하였다. 자세를 만드는 순서에 따라 제시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세부적이고 자세한 연주 자세를 제안한다. 또한 자세별로 잘못된 자세를 설명함으로써 이해를 돕고 실질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자세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연주 자세에서 사용되는 근육을 돕는 신체 단련방안을 소개한다. 자세는 신체의 정렬을 맞추고 이완 상태에서 시작하며 이를 돕는 알렉산더 테크닉의 지시어를 제시한다. 다음으로 플루트를 들고 고정하는 상체 자세와 그에 따른 근육의 쓰임, 힘의 방향, 원활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머리와 얼굴의 각도를 설명하고 이를 돕는 운동으로 팔굽혀펴기를 제안한다. 다음으로 안정감을 느끼는 양발의 너비를 만드는 하체 자세와 하체 근육의 쓰임을 설명하고 이를 돕는 스쿼트 운동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운지를 움직이는 양 손가락의 모양과 위치, 악기를 고정하는 손가락 근육 쓰임을 설명하고 호흡에 사용되는 호흡근의 쓰임을 플루트 연주 자세로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자세의 안정성과 효과적인 호흡을 위해 사용되는 코어를 설명하고 이를 돕는 운동으로 플랭크를 제안한다. 이 모든 연주 자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지속하기 위해 연주나 연습 후에 시행하는 정리운동으로서 에비안스-함베르크의 자가 스트레칭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플루트 연주 자세에서 가장 피로감을 느끼는 상체, 어깨, 팔, 손가락 근육을 효과적으로 이완시키고 비대칭 자세로 인한 불균형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인 연주 자세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방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the playing posture required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flute players and recommended body training methods. By expanding the range of previously defined postures, I studied a comprehensive range including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posture and the use of muscles used in the posture. Postures were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process, and I suggested detailed playing postures throughout the study. In addition, by explaining incorrect postures for each posture, it was helpful to understand and to obtain the most effective posture in practice. Furthermore, a body training method was proposed to develop the muscles used in the playing posture. The beginning of the flute playing posture starts with the body aligned and relaxed, and for this, 'Direction' of Alexander Technique is suggested. Next, the upper body posture for holding and fixing the flute, the use of muscles, and the direction of force are explained, and the angles of the head and face that enable smooth breathing are presented. For this, I suggest push-ups. Next, the lower body posture with both feet width to feel stable and the use of lower body muscles are explained, and squat exercises are suggested for this purpose. Next, the shape and position of both fingers for fingering, the use of the finger muscles to fix the instrument, and the respiratory muscles used for breathing and correct posture are explained. Finally, the core used for posture stability and effective breathing is explained, and plank is proposed as an exercise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and sustain all of these playing postures, Evjenth-Hamberg Auto Stretching is proposed as a cool-down exercise after a performance or practice. It can effectively relax the muscles of the upper body, shoulder, arm, and finger, which feel most fatigued in the flute playing posture, and resolve the imbalance caused by the asymmetric posture. Also it can be used as a way to maintain and manage an effective playing posture.

      • 부모교육 관련 변인에 따른 양육효능감 및 양육지식과 사회적 지원에 대한 연구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대상으로

        임한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parents-educational variables focused on mothers who have newborn infants. Parents-educational variables include their experience to participate in parents-education and the quality of program(providing organizations, the period of participation), and also the influence on their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The object of this study includes 298 women living in Seoul and Kyung-ki area, and mainly focuses on mothers who have newborn (infants) under 36 months old. For the data analysis, SPSS 14.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value, standard, T-verification, F-verification, posteriori tests, and Duncan's multiple regression.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44% of mothers has participated in parents-education and the majority has the experience to involve in 2~3 terms seminars regarding parents-education, the degree of demand, provider, period and contents, which shows that most of the parents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parents-education. In regard to the provider of education(=providing organization), most of parents answered the child-care institution where their children are attending and followed by public organization(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ivate organization(cultural organization, civic organization,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religious organization, etc). The contents they were provided during the parents-education included communication skill with their children, mother's role, the basic knowledge on child development(physical, cognitive, emotional, social, and languag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methods in order. The contents that parents wanted to be provided were mother's role, how to train life habit, and communication skill with their children. While they were participating in parents-education, baby sitting was maily supported by child-care institution, family and relatives, and providing organization. The tendency related to parents-education shows the preference of the contents, providing organization and teachers in order. Favorite days of week for education are Monday among weekdays and Sunday among weekends and preferred time of education is morning, from 10 to 12 in detail. The methods of education preferred are small group lecture and discussion, while preferred number of people in one education session is under 20 and the preferred time of education is two hours. Preferred number of education is three times, twice, and four times in order. The service that parents want to be provided during parents-education are the session that child and parents can participate in together, baby sitting service, regular educational knowledge update via e-mail or text, peer parents gathering, e-mail or text notification for education, on-line education for working parents, home visit counsellor for infant care(nursing and baby food), transportational support, evening lecture for working parents, and meal & snack support during the education in order. Second, the parents groups who have participated in parents-education show higher parenting efficacy in general compared to those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education and the result indicates meaningful parenting efficacy in all aspects. Concerning the knowledge gap between two groups of parents - the educated and non-educated parents - the overall higher level of knowledge and general understanding on nurturing is shown when it comes to the educated parents. However, social support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quality of parents-education consist of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parents-education is divided into providing organization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knowledge according to the providing organization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general, and the group of participants in parents-education provided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shows the highest level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knowledge. Also the social support area finds no significant value. Th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knowledge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general areas, and the group of parents who has participated in more than 4 times of parents-education result in the highest level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knowledge. The social support area finds no significant value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high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parent-education & the quality of program(providing organizations, the period of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knowledge, which indicates the important influence of parents-education and providing organization. The providing organizations should consider various operation tools in alliance with heathy family support center to provide more effective parents-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e social environment to create community to share the information and support among paren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is highly recommend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36개월 미만의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대상으로 부모교육 관련 변인에 따른 양육효능감 및 양육지식, 사회적 지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부모교육 관련 변인은 부모교육 참여 여부 및 프로그램 특성(참여기관, 참여회기)으로 보았으며, 변인들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지식, 사회적 지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8228;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36개월 미만의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대상으로 총298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F-검증의 사후검증, Duncan의 다중회기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참여, 요구도, 제공기관, 회기, 내용의 전반적인 경향으로 부모교육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44%의 어머니가 부모교육에 참여하였고 2~3회기로 진행되는 부모교육에 참여자가 가장 많았으며 대다수의 부모들이 부모교육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부모교육 주최기관에 대해서는 자녀가 다니는 보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을 참여한 대상이 가장 많았고, 공공기관(건강가정지원센터), 사설기관(문화단체, 시민단체, 평생교육기관, 사회복지기관, 종교단체 등)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시 제공받은 교육내용으로는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역할, 자녀 발달 기초지식(신체 &#8228; 인지 &#8228; 정서 &#8228; 사회성 &#8228; 언어발달) 및 교육방법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시 제공받기 원하는 교육 내용으로는 어머니 역할, 생활습관 길들이기, 자녀와의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받는 동안 자녀 돌봄 지원은 보육기관, 가족 및 친인척, 주최기관에서 자녀 돌봄 제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운영방식에 대한 경향으로 교육 참여 시 고려사항은 교육내용, 주최기관, 강사진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교육 요일은 주중으로는 월요일이, 주말로는 일요일이 높게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교육 시간대는 오전이, 구체적인 시간은 10~12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진행방식은 소집단 강의 및 토론식이, 수강인원은 20명 이하가 1회 교육시간은 2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회기는 3회기, 2회기, 4회기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시 제공받기 원하는 서비스로는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부모교육, 자녀 돌봄 서비스, 문자서비스나 이메일을 통한 주기적인 자녀양육정보, 또래부모 자조모임 및 품앗이 활동, 문자서비스나 이메일을 통한 교육안내정보, 직장인을 위한 온라인교육, 찾아가는 육아상담(수유 및 이유식), 교육 시 차량 지원, 직장인을 위한 야간교육, 식사 및 간식 제공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양육효능감, 양육지식, 사회적 지원의 차이로 부모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양육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 참여집단이 부모교육을 참여하지 않은 집단 보다 모든 하위 영역의 양육효능감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양육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양육지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 참여집단이 부모교육을 참여하지 않은 집단 보다 모든 하위 영역의 양육지식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지식 전체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지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 특성에 따른 양육효능감, 양육지식, 사회적 지원의 차이로 부모교육 특성은 참여기관 및 참여회기로 구분하였다. 참여기관에 따른 양육효능감, 양육지식은 전체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에 참여한 집단의 양육효능감, 양육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회기에 따른 양육효능감, 양육지식은 전체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4회기 이상 부모교육 참여 집단의 양육효능감, 양육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부모교육 관련변인인 부모교육 참여 여부 및 프로그램 특성(참여기관, 참여 회기)에 따라 양육효능감, 양육지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부모교육 참여경험 및 참여기관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부모교육 제공기관에서는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와의 연계를 통하여 다양한 운영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지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부모교육 이후 자녀발달단계별 자조집단 및 품앗이 그룹을 구성하여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 및 부모 간 서로 지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