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고찰

        임유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Difficulties and Restoration in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im Yu-mi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 Cha Gi-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they've got for themselves through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overcoming, as well as to identify the suppor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needed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In order to carry out these study purposes,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depth interviewed and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study questions set up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ategory of experience in parent-teacher rel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is the theoretical paradigm for the parent-teacher experience for child care teachers? Third, what are the key category of experience in teacher-parent relation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one-on-one interviews with five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13 times, including preliminary surveys, from October 18, 2019 to April 24, 2020. The interview process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using a portable recorder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he recorded data was transferred to the PC through repeated listening after recording once.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repeatedly until it was determined that the interview had reached a theoretical saturation point.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Corbin (1998; 2001) was applied in analyzing the difficulties and the overcoming proce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 proce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showed a total of 116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of the analyzed categories, caus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the "parent-teacher perceptions difference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teacher expectations difference", while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nega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factor fel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osi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factor fel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central phenomenon,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caused by excessive demands from parents', 'changes and difficulties of upbringer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parents' uncooperative nurture attitude'. The condition for arbitration was 'distrust of parents due to CCTV and the media' and 'distrust against teachers' expertise', whil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resulted in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utilization of institu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 support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child teacher re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growth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requests for institu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Second, the process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showed that ‘stage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stage for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experiences of negative and positive outcomes in relationships’, and ‘stage of changes in perception through relationship experience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early childhood teachers made efforts personally and using support from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ve systems, and as a resul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with parents, and the perception of improvement of teachers’ expertise was formed through the process with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Third, the key category of overcoming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was identified as 'parent-teacher cooper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outline, with this core category at the center, we could see what factors affect the overcoming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what mediation strategies were for overcoming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Each category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the experience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based on the situation analysis of matrix on a context level of 'parent efforts', 'support from childcare institutions', and 'cooperative support of regional systems'. Each level presented its experience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ent-teacher cooperation was not only possible with the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fforts of parents but also influenced by the support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Taken togeth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parent-teacher relations and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the cooperation through teachers’ efforts and growth and parents’ efforts must be made, and support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ve systems are also important. If these conditions can be achieved with positive support and cooperation in the formation of parent-teacher relations, they will not only achieve positive results in parent-teacher relations but also implement strong cooperative systems from the home, institutions, and region. 국문초록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고찰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임유미 지도교수 차기주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의 과정 및 그 결과를 통해 스스로 얻은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고, 더불어 부모-보육교사 관계상의 어려움을 잘 해결할 수 있기 위해 보육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근거이론에 기반 하여 보육교사들을 심층면담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 관계에 대한 경험의 범주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관계 경험에 대한 이론적 패러다임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 관계 경험에서 나타나는 핵심범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현직에 있는 5명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8일부터 2020년 4월24일까지 예비설문 포함 총 13회에 걸쳐 교사개인과 연구자의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절차는 반구조화 면담의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동의하에 모든 면담을 휴대용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음하였고, 녹취한 자료는 1회 녹음 후 반복 청취를 통해 PC에 전사하였다. 면담 내용이 이론적 포화점에 도달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추가적 면담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부모-보육교사 관계에서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 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Strauss& Corbin(1998; 2001)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부모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분석한 결과, 총 116개의 개념, 27개의 하위 범주, 13개의 범주가 나타났다. 분석된 범주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르면 인과적 조건은 ‘보육교사가 경험한 부모-교사의 인식차이’와 ‘부모-보육교사의 기대차이’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 ’보육교사가 느낀 부모-교사 부정적 관계 요인‘, ’보육교사가 느낀 부모-교사 긍정적 관계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부모의 과도한 요구로 인한 어려움’, ‘사회변화에 따른 양육자의 변화와 어려움’, 부모의 비양육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중재조건으로 ‘CCTV와 매스컴으로 인한 부모의 불신’,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부모-교사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보육교사의 노력‘과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기관 및 지역협력 체제 지원 활용‘으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과정에서 보육교사로서의 성장‘,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기관 및 지역협력체제의 요구‘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대한 과정분석은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단계’, ‘보육교사의 노력 단계’, ‘관계의 부정적, 긍정적 결과 경험단계’, ‘관계 경험을 통한 인식변화 단계’로 나타났다. 부모 관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보육교사는 개인적 노력과 기관 및 지역의 협력체제 지원 활용을 통한 노력을 하였으며, 그 결과 부모와 긍정적, 부정적 결과를 경험하게 되었고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과정을 통해 교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었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 극복에 관한 핵심범주는 ‘부모-보육교사의 협력’으로 파악되었다. 이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의 전개’를 통해 보육교사와 부모관계 어려움 극복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중재전략은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각 범주들은 상황 매트릭스 분석에 따른 보육교사와 부모관계의 어려움 경험이 ‘부모의 노력’, ‘보육기관의 지원’, ‘지역체제 협력지원’의 맥락 차원으로 나타났다. 각 차원은 ‘부모-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이 제시되었으며, 그 결과 부모-보육교사의 협력은 보육교사의 노력과 부모의 노력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보육기관과 지역협력 체제지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과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교사의 노력과 성장 및 부모의 노력을 통한 협력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보육기관과 지역 협력체제의 지원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건들이 부모-보육교사 관계 형성에 있어 긍정적 지원과 협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부모-교사 관계의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정과 기관, 지역의 강력한 협력 체제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이해도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수학(10학년)교과서를 중심으로

        임유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식정보화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적인 인재양성이 세계적으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학교육의 중요성은 더욱더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수학을 학습하는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과목 중 가장 어렵고 하기 싫은 교과로, 흥미롭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의 교육목표와 교과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고등학교에서 필수적으로 이수해야하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수학 교과서의 내용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18종 수학교과서와 수학익힘책에 있는 문제를 평가 자료로 활용하여 학생의 교과서 이해도를 알아봄으로써 추후에 개정될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집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인 수학 교과서의 단원별, 도시-농촌 지역별, 남녀별, 행동영역 및 난이도별 이해도에 따라 교사가 적절한 교수법을 채택하는데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가.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인 수학교과서의 행동영역(계산, 이해, 추론, 문제해결력) 및 난이도(상, 중, 하)에 따른 문항 통과율(정답률)은 어떠한가? 나.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인 수학교과서의 단원별, 도시-농촌의 지역별, 남녀별 문항 통과율은 어떠한가? 다.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인 수학교과서의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남녀별 문항 통과율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가 문항은 교육목표에 부합되는 문항 중 각 단원별로 행동영역(계산, 이해, 추론, 문제해결)과 난이도 상, 중, 하로 나누어 지도교수님과 교과 선생님 10명이 50문항을 선정하였으며, 50분 안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A형 25문항, B형 25문항으로 분류하였다. 평가 대상학교는 경기도 14개 학교, 기타지역이 8개 학교로 총 22개교 186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단원별, 도시-농촌 지역별, 남녀별, 행동영역(계산, 이해, 추론, 문제해결)별, 난이도별로 구분하여 이해도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영역 및 난이도별 문항 통과율 전체 학생의 이해도는 55.56%로서 제 5차 교육과정(36.08%)이나 제7차 교육과정(38.72%)에 비해 향상된 점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로 볼 때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내용의 적정화가 어느 정도 실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행동영역에 있어서는 계산영역이 61.78%, 이해영역이 59.48%, 추론영역이 48.79%, 문제해결영역이 47.12%의 정답률을 보였다. 이 결과는 문항이 속한 단원뿐이 아니라 연관이 있는 다른 단원의 내용과도 연계된 응용문제를 해결하고, 통합적인 사고를 요하는 문제나 자료를 비교 분석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행동영역에 있어서 지역별 정답률을 보면 계산, 이해영역에서는 도시와 농촌지역이 근소한 차이를 보이나 문제해결영역에서는 도시와 농촌의 정답률 차이가 7.97%로 매우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 결과로 이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심화학습이나 방과후 수업 등의 해결 방안의 연구도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난이도별 문항 통과율을 살펴보면 상 수준은 34.58%, 중 수준은 53.13%, 하 수준은 73.09%의 정답률을 보였다. 난이도별 남녀 문항 정답률은 난이도 하 수준에서는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난이도 중 수준에서 상 수준으로 높아질수록 정답률의 차이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지역간의 비교에서도 볼 수 있다. 도시 지역의 난이도 상, 중, 하수준의 정답률을 보면 38.45%, 57.09%, 74.00%이고 농촌 지역의 난이도 상, 중, 하수준의 정답률을 보면 26.88%, 47.74%, 71.17%로 난이도가 하 수준보다 상 수준으로 갈수록 정답률의 차이가 커짐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로 볼 때 여학생들이나, 농촌지역의 학생들은 여러 가지 개념과 원리를 필요로 하는 문제나 다른 교과와의 통합적 사고를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낮은 이해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역별, 남녀별, 단원별 문항 통과율 가. 지역별 및 남녀별 문항 통과율 도시지역의 정답률이 57.47%이고 농촌지역의 정답률은 51.53%로 심각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그 중 한가지 원인 중에 남녀의 정답률을 살펴보면 도시지역의 남학생 정답률이 60.45%로 농촌지역의 남학생 정답률의 48.73%로써 정답률의 차이가 11.72%인 것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여학생의 정답률은 지역간의 차이는 미비하게 나타났다. 남학생 전체와 여학생 전체의 정답률은 각각 56.84%와 54.21%로서 남학생의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도시 지역의 남녀 정답률을 비교해보면 60.45%, 54.18%로 남학생이 높은 정답률을 보인 반면, 농촌지역의 남녀 정답률 48.73%, 54.26%으로 여학생의 정답률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나. 단원별 문항 통과율 전체 학생의 단원별 정답률을 살펴보면 Ⅰ집합과 명제 68.44%, Ⅱ 수 체계 60.81%, Ⅲ 식과 연산 48.72%, Ⅳ 방정식과 부등식 48.08%로 나타났다.이 결과는 학생들이 집합과 명제 단원은 잘 이해하고 있으나 식과 연산 단원이나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은 잘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행동영역 중 문제해결력의 정답률이 47.12%로 다른 행동영역에 비해 정답률이 다소 낮았으며 행동영역 중에서 추론능력에 대한 정답률은 48.79%으로 단원을 살펴보면, Ⅱ 수 체계와 Ⅲ 식과 연산의 정답률이 각각 35.25%, 33.07%로 다른 단원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결과를 보임을 참고하여 Ⅱ 수 체계와 Ⅲ 식과 연산 단원의 추론 문제를 다룰 때 다양한 추론문제를 다루거나 심화문제로 보충이 필요한 영역이다. 섯째.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별 문항 통과율 전체 학생의 이해도는 55.56%로서 행동영역에 있어서 정답률이 고른 편이나 문제해결력이 47.51%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그리고 특이한 점은 수도권의 정답률이 54.45%로 비수도권의 정답률 57.64%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 결과는 수도권 지역의 학생 분포와 관계가 있다. 특수목적 고등학교가 주로 수도권에 분포하기 때문에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이 특수목적 고등학교에 진학한 후 나머지 학생이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상황과 관련이 있다. 남학생 전체와 여학생 전체의 정답률은 각각 56.84%와 54.21%로서 남학생의 정답률이 좀 높지만 비교적 고른 정답률을 보이고 있다. 위의 결과로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다소 수학적 사고력을 요하거나 응용과정을 요하는 문항에 대하여는 저조한 정답률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좀 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매력적인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편찬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둘째. 수학 교과서의 단원별, 행동영역 및 난이도별 이해도에 따라 교사가 적절한 교수법을 선택해야 한다.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at will be led by the creative Human resource training is emphasizing the current point of the importance of math that is importantly emerging around the world. However, it's not about students feeling joy over understanding the mathematical concept or solving the problems learnt at school but the real situation is that it's the most hard and most reluctant subject that can't be felt interesting. To according, this study presents to examin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textbooks in revised curriculum, using question in 18 kinds of textbooks as evaluation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curriculum to revise in the future or textbooks to write, and as basic materials for providing teachers for adopting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by units, regions, gender, and by the areas of behavior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on the textbook ‘Math’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formulated research question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s concerning the areas of behavior such as calculation, understanding,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and what are the degrees of difficulty in the questions (high, medium, low) in the math textbook for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Second, what i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s per book unit, and what i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s by urban and rural regions and by sex in the math textbook for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ird, what i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s according to the capital region and the other areas in the math textbook for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Fo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Constitutant process of problems for evaluation is as follows ; To begin with the help of an academic adviser and present teachers in high school, the areas of behavior (calculation, understanding,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 degrees of difficulty (high, medium, low) are analysed. In order to make a sample of the problems for evaluation after subjective test was make, the problems for evaluation of a five-choice method were completed, the problem for evaluation were divided into A and B and then the degree of confidence (Cronbach ) was calculated (A:0.884 , B:0.892) The researcher examined the 1866 first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in the problem for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average passing rate for all participating students was 55.56%. When it is compared with 36.08% and 38.72%, the passing rate for ‘Math’ the first grade in high school of 5th curriculum and 7th curriculum, the optimization of education contents pursu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Second, passing rate by behavior area was 61.78% in ‘calculation’ area, 59.48% in ‘understanding’ area, 48.79% in ‘reasoning’ area, and 47.12% in ‘problem solving skills’ area. Third, passing rate by difficulty was 34.58% in ‘high’, 53.13% in ‘medium’ and 73.09% in ‘low’.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6.08% and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was 11.57% in ‘high’. This shows that female and rural students have low understanding of problems of high difficulty, which take long time to solve and involve several multiple concepts and principles. Forth, passing rate by area was 57.47% in students at urban and 51.53% in students at rural. The difference of both area was very serious. Fifth, passing rate by gender was 56.84% in male students and 54.21% in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was sligh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Sixth, passing rate by unit was 68.44% in Sets and Statements, 60.18% in Number System, 48.72% in Polynomial and Operation and 48.08% in Equation and Inequality. The result show that students understand well the unit of Sets and Statements but relatively less the unit of Equation and Inequality. Finally, passing rate by the capital region and the other area was 54.45% in the capital region,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57.64% in the other area. This result relates to the distribution of students in capital areas: After top students are admitted to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which are located mainly in capital regions, the rest of students go to average high school.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reached. First, questions requiring some mathematical thinking or applied process are showing a poo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erefore, development of more attractive curriculum and compilation of textbooks are needed to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Second, according to units of mathematics textbooks, action areas and degree of difficulty, a teacher should choose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 네일 서비스 구매 행동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임유미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여성의 사회 진출은 심리적 자신감과 독립된 경제력을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고, 다양한 미용 산업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연구하게 한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은 급성장중인 미용 산업의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구매 행동과 선호도를 파악하여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에게는 미적 욕구와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종사자에게는 서비스 개발에 따른 소득 향상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네일 샵 방문 고객과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지는 할당 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고, 추출한 표본은 서울, 경기 지역 소비자 499명,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6.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분석, t-test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네일 서비스 소비자의 98%에 이르는 대다수의 여성이 네일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20대 후반∼30대 초반의 서비스직이나 전문직에 종사하는, 월 평균 200∼300만 원 정도의 수입을 올리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는 20대 전․후반의 월 평균 300만 원 미만의 여성(97%)으로 네일 전문 샵에 종사하는 경력 3년 미만의 직원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타 직종 유경험이 많아 네일 서비스 비전공자이거나 이직률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2.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구매 행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경우 네일 서비스를 외적 아름다움과 기분 전환을 위해 이용하며, 인조 네일 서비스는 손․발톱이 잘 부러져서, 예뻐 보이기 위해 이용한다로 나타났다. 네일 샵 선택 기준으로는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칼라 선택 기준은 그때의 기분에 따라, 시술자의 추천 순이다. 주 이용 네일 샵은 네일 전문 샵 이었고, 주 정보원은 과거의 방문 경험이었으며, 주 영향자는 단짝친구였다. 관리에 있어 손은 계절에 상관없이 이용하며, 발은 노출이 빈번한 여름이 가장 많았다. 관리 횟수로는 손은 1개월의 2번, 3번이었으며, 발은 1개월에 2번, 1번 순으로 나타났다. 주 관리 부분은 손· 발 모두 관리를 받으며, 발 관리보다는 손 관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만 원 이상∼2만 원 미만의 손 관리 비용과, 2만 원 이상∼4만 원 미만의 발 관리 비용을 지출하였고, 적정 비용으로 손 관리는 1만 원 이상∼2만 원 미만, 발 관리는 2만 원 이상∼4만 원 미만, 아트는 2만 원 이상∼4만 원 미만, 인조 네일은 10만 원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종사자의 네일 서비스 이용 동기로는 외적 아름다움을 위해, 손님들에게 샘플로 보여 주기위해였고, 인조 네일 서비스는 리무버(remover)에 잘 지워지지 않아서로 나타났다. 종사자 대부분 본인이 종사하는 샵에서 관리를 받고 있고, 타 네일 샵 이용시는 정보 탐색용 기술의 필요에 의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라 선택 기준은 그때의 기분에 따라, 계절과의 어울림이었고, 주 정보원이나 주 영향자는 직장 동료나 과거 방문 경험으로 나타났다. 홍보를 위해서 계절에 관계없이 관리를 했으며, 관리 횟수는 손·발 모두 1개월에 2번, 1번순으로 나타났다. 손· 발을 정기적으로 관리하였고, 관리 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리비용은 본인이 종사하는 샵이기 때문에 지불하지 않거나 할인받았고, 적정 비용으로 손·발 기본 관리, 아트 모두 2만 원 이상∼4만 원 미만이었으며, 인조 네일은 10만 원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네일 서비스 소비자가 종사자보다 상대적으로 네일 서비스 구매 후 기술, 직원의 응대 태도, 시설과 환경, 사용하는 제품의 품질, 위행 상태, 서비스 이용 시간의 편리성, 예약 서비스의 편리성 등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의 선호도를 파악한 결과, 소비자의 손 관리 경우 기본 케어와 칼라, 랩핑(wrapping) 순이었고, 발 관리는 기본 케어와 칼라, 각질관리로 나타났다. 인조 네일 서비스는 프렌치 팁(french tip)이었으며, 아트 서비스로는 스펀지 기법의 그라데이션(gradation), 꽃무늬 등의 핸드 페인팅(hand painting)순 이였다. 선호 칼라는 핑크였고, 특정 브랜드를 선호하지 않는다고 조사되었다. 종사자는 손의 경우 기본 케어(care)와 칼라, 아크릴과 핸드 페인팅 순이었고, 발은 기본 케어와 칼라, 핸드 페인팅으로 나타났다. 인조 네일 서비스로는 화려한 스타일의 디자인 스컵춰(design sculpture)를, 아트 서비스는 그림 형태의 핸드 페인팅, 인조 보석, 그라데이션 순으로 나타났다. 칼라는 파스텔 계열을, 브랜드는 친환경 제품인 누바(Nubar)를 가장 선호하였다. 4. 상기 연구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일 서비스 소비자와 종사자 간의 구매 행동과 선호도에 대해 세분화하여 분석했을 때 각 집단에서 서로 다른 성격의 특성이 발견되었음은 네일 서비스 현장에서 이들의 차이를 서로 보충, 보완하는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소비자는 외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네일 ABSTRACT A Study on Nail Service Purchase Behavior and Preference Lim, Yu Mi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Women's rising social status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ir psychological confidence and economic independence, providing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beauty services and the studies on th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urchase behavior and preference that might occur between the nail service providers and the consumers so that the latter can get better served, the former getting financially better off. The survey questionnaire that targeted the nail salon customers and service staffs was based on quota sampl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involved 499 customers from Seoul and Gyeonggi area and 100 service staffs working there. The results of frequencies analysis and t-tests performed via the SPSS 16.0 Version are as follows. 1.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ail service consumers and providers show that most women accounting for up to 98% consumers had interest in nail care, most being service employees or professionals in their late 20s or in their early 30s earning 2 to 3 million won salary per month. Up to 97% nail art staffs, who were mostly in their 20s, worked for less than three years at a nail art shop, being paid less than 3 million won per month. Many were not quite nail art technicians and not a few, with an experience or two in other jobs, showed a high turnover. 2. The purchase behaviors of nail service consumers and staffs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most of the consumers used the service for beauty and for being in a better mood; especially, they preferred to get quality service as nails will easily lift or crack and because they want to look pretty. Skilled technicians were most valued when they opted to get nail art service; colors and shades were chosen as occasions arose; finally, recommendation from other customers affected the choice of the nail art shop. The most frequently used art shop was a nail art technician's shop while the major source of information was the visit made in the past, with the major informant being one's best friend. Concerning the seasonal variable, hand care was taken all year around while foot care was taken in summer more often when legs are more frequently exposed. The average number of hand care was 2 to 3 times per month while that of foot care was 1 or 2 times per month. Regular cares included hand more frequently than foot. The customers paid in average 10,000 won to 20,000 won for hand care while they paid 20,000 won to 40,000 won for foot care. They believed the prices were reasonable for hand care and foot care although they believed 20,000 to 40,000 won would be appropriate for art design and 100,000 won for artificial nails service. The main reason for staffs' using nail service was to illustrate beautiful output themselves; they used artificial nail service because it is hardly erasable when removers are applied. Mostly staffs were cared at their own shop although they went to visit other salons for informational foray. Colors or shades were selected depending on the mood variation or for the seasonal congruence. The major informants or affects were colleagues or past visits. For promotion purposes, they received care all year around with the frequency of twice-per-month hand care and once for foot care. Both hand and foot were cared on a regular basis and the degrees of ca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are was done either costless or at a discount; however, they thought 20,000 won to 40,000 won would be reasonable for basic care and art with 100,000 won for artificial nail service. With customer satisfaction and staff satisfaction compared, the nail service consumers were found to get relatively more satisfaction in terms of precision, staffs' friendliness, facilities and environment, quality of products, hygiene, accessibility, etc. 3. The preference of nail service consumers and staffs showed the preference order from basic care to color to wrapping for hand care while the order went from basic care to color to callus remover pedicure for foot care. French tip was preferred for artificial nail service, and for art service sponge method gradation was preferred over hand painting such as flower patterns. The most preferred color was pink and there was no preference for some specific brand. Staffs' preference order went from basic care to color to acrylic sculpture to hand painting for hand care, and from basic care to color to hand painting for foot care. For artificial nail service, design sculpture with an exuberant style was preferred; for art service, pictorial form of hand painting, rhinestone, and gradation constituted the preference order. Pastel tones were most used for shade and eco-friendly Nubar products were the most preferred brand. 4. These results show that each group, namely, the nail service consumers and the nail shop staffs has develop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heir purchase behavior and preference. Therefore, a marketing strategy with which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se two groups is in order. In general, the customers purchase the service to get the best looking nails, but at the same time they prefer manicure and color service over the nail art, which might cause inconvenience in their daily life. Nail service and artificial nail service differ in price and frequency. Inexpensive yet frequent nail services will cost as much as expensive yet durable artificial nail services, so it would be better to promote a modest artificial nail service to the customers, raising the awareness of this difference. Since the consumers come for the service when they are financially well off and they buy the service for beauty and for being in a better mood, setting a realistic price is a necessity so that the service will get more popular. It is also d

      •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 연구

        임유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Comprehensiv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ebsite IM, Yu Mi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Ro, Jin Young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whether the website of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as user friendly or not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making suggestions to improve usability of the site. In order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site, Jakob Nielsen's heuristic evaluation method was used. Based on Jakob Nielsen's ten evaluation criteria, nine evaluation criteria suitable for evaluating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ere set. The nine evaluation criteria include visibility, reality, control and freedom, consistency and standardization, error prevention, intuitive cognition, flexibility and efficiency, aesthetic integrity and conciseness, and offering help. Furthermore, based on the nine evaluation criteria, 49 evaluation items were set. Five teacher librarians with more than three-year teaching experience participated as evaluator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usability of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consistency and standardization, and flexibility and efficiency recorded the highest score of 3.8. Aesthetic integrity and conciseness received 2.96, and visibility recorded an average of 2.8. Furthermore, control and freedom received an average of 2.5, error prevention 2.2, and offering help 2.0.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blems of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ebsite were examined. Slow response speed, the color of the item of menu and unclear distinction between font sizes were found to be the problems of the system. Furthermore, the use of terminologies that did not take into account users' educational levels made it difficult for site visitors to understand things written on the site. Moreover, the absence of some icons, such as back and home link, inconsistent usage, error message, lack of help and the use of difficult terminologies made the site less user-friendly to us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to improve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website were made. First, as people of various educational levels use the site, a website separated according to users' educational levels should be established. Especially, wh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cognition ability have not fully developed use the system,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sizes and colors of icons and font types occur. Next, the response speed of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As users want fast processing and are not willing to use a website with slow response speed, the response speed of the site should be improved to reach 0.1 second. Moreover,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prevention of mistakes and errors. Furthermor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reduce users' potential mistakes as much as possible. Lastly, when a problem occurs, optimized help and an error message should be provided to help users to recognize and resolve the problem for themselves.

      •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유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강점관점에 기초하여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적응에 가족탄력성이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보고자 한 것이다. 기존의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선행연구는 결점관점에 근거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왔고, 이러한 결점 관점은 부적응의 감소측면에서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게 개입하고자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부모가족을 새로운 가족의 형태로 받아들이면서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을 강점관점으로 재조명하고 있다. 그 흐름 중 하나가 가족탄력성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 개념을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게 적용하여, 가족탄력성이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가족탄력성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피기 위하여 가족탄력성이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에 미치는 영향을 주효과와 완충효과의 조절효과, 매개효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혼스트레스보다 가족탄력성이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적응을 더 잘 설명하는 변인임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강점관점의 시각으로 전환시키고, 강점 성장의 개입을 시도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single-mother families at the family adaptation by applying strength perspective. In other words, which factor explained better on adaptation of a family supporting divorced single-mother families between divorce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was studied. Also, the importance of family resilience for improving those families' resilience were tried to prove through verification of hypothesis on mediating effect and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facto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family adaptation is well explained by family resilience rather than divorce stress. Divorce stress and adaptation are in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family adaptation by divorce stress is 29%.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have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family adaptation by family resilience is 69%. It showed that family resilience is a mai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Second, family resilience functioned to moderate family adaptation between divorce stres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family adaptation was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divorce* organizational patterns. Therefore, it concluded that family resilience is not only a mai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but also in relation to divorce stress have interaction effect. Third, of find that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act as a mediator variable on negative influence on family's adaptation by divorce stress supporting divorced single-mother families, a multiple regression was executed on three conditions of a mediator variable, which are influence of divorce stress on family adaptation, influence of divorce stress on family resilience's subordinate factors, and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s subordinate factors on family adaptation. As a result,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patterns was proved, an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patterns acted as a full medium form thorough verification of its medium function.

      •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 Application of Ar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Pattern

        임유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사회에서 핵가족의 비율이 늘어나고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낯선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적응 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부적응 아동은 학급 운영에 있어 교사에게 큰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부적응 아동 스스로 좌절감을 느끼고 나아가 또 다른 문제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이 거부감 없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 그 효과 또한 많은 선행 연구에서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각광받는 방법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이루어진 미술치료는 부적응 아동의 특정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자아 존중감, 학습동기 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어 각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목적성을 세분화하여 파악하기 힘들다. 또한 내담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련의 프로그램을 똑같이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아동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부적응 행동 유형을 ‘내재화 문제 행동 유형’과 ‘외현화 문제 행동 유형’으로 나누고 선행 연구에서 활용된 여러 가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목적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부적응 행동 유형에 효과적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교부적응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행동 유형을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교사용(TRF)에 따라 ‘내재화 문제 행동 유형’과 ‘외현화 문제 행동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석한다. 둘째, 미술치료 선행연구와 관련 서적에 나오는 다양한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을 목적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한다. 셋째,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행동 유형을 ‘내재화 문제 행동 유형’과 ‘외현화 문제 행동 유형’으로 나누었고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선행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목적에 따라 10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아동의 특성과 치료 목표에 알맞은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을 선택하여 각각의 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 아동에게 적용한 결과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TRF) 검사에서 평균 78.3이었던 사전 점수가 사후 검사에서는 54.3으로 크게 감소하여 –30%의 평균 감소율을 보였다. 이는 개인의 특성에 맞게 개별화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각 아동에게 가장 효과적인 활동 형태나 재료를 제공하여 치료의 효과를 더욱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적응 아동에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프로그램의 적용 과정에서 초기에는 위축되거나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던 아동들이 점차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에서 교사나 또래 사이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졌으며,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자발성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결론적으로 학교부적응 행동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부적응 아동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나던 문제 행동들이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하여 본 연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을 목적에 따라 유형화하여 치료자가 치료 목표에 따라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고 부적응 문제 행동 유형에 따라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추후에 부적응 아동의 특성에 맞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 연구가 다양한 원인을 통해 발생되는 학교부적응 아동 문제를 좀 더 체계적이고 구체화된 미술치료 프로그램 모형으로 접근하여 학교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데 그 효과를 검증하고 전문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 고찰 : 제7차 국어과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임유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ath', one of the common themes found in Hwang Sunwon's novels included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existing researches on Hwang Sunwon have been made in various ways and those conducted from the 1940s to the present have focused on his humanistic thinking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pure literature. While looking closely into his overall works embodying humanistic themes such as motherhood, freedom, friendship and pur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 subject matter of ‘death’ was revealed in most of his works. The fact that a writer expresses death in his or her works does not simply signify the break with life, but is an effort to figure out life within death. Hwang Sunwon unfolded the existence and value of humans in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namely humanism, by arranging death in all of his work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d Hwang Sunwon's literary works by looking closely into the death shown in his novels in th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subject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on death revealed in his works would be able to measure the agony and despair of history and to figure out writer's consciousness felt by him that made efforts to overcome the tragedy of realities. In addition, the research on death enabled students to introspect the meaning of life and to establish right values regarding death, thus helping adolescent education. Included works for analysis were 7 in total and released in th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subject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s below: 「The Stars」, 「Old Man Making a Jar」, 「A Dog of Moknomi Village」, 「The Shower」, 「Cranes」, 「Time for You and Me」, 「Trees on a Slope」. These work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uch as true human purity with the exclusion of time element, the pure world with the instinct of life, and the public world reflecting the historical passage. The works included in the pure world were 「The Stars」, 「Old Man Making a Jar」, 「A Dog of Moknomi Village」, 「The Shower」, which let the readers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society and make contemplate the question of life and death and human existence. In particular, the death of characters in the works represented motherhood, life and growth, which were suggested as the methods of overcoming the tragic realities of contemporary society. In contrast, the works belonging to the public world were 「Cranes」, 「Time for You and Me」and 「Trees on a Slope」and the death shown in these works was revealed as an aspect of war damage and they attempted to get it over through friendship, life and motherhood. The approach that the aspects of death may be divided into the two worlds would be derived from writer's consciousness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depicting various aspects of human lives without reflecting external environments. Especially, social aspects were uncovered in most works in the aftermath of 6·25 Korean War. Through the experiences of war, the writer rediscovered human freedom and the value of life and reflected them in his literary works, suggesting the attitudes of life that we needed to take. By highlighting death in all of his works, the writer expressed his opinions about how meaningful the humanistic value could be. True humanistic value - this could be the fundamental thought of humanism underlying the literature of Hwang Sunwon. It has been noted that the death shown in Hwang Sunwon's novels was not simply depicted tragically, but it could be a method of resolving the detachment between the times and life.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on death will be helpful to adolescent education by letting students reflect the meaning of life and establish proper values on death. 본 연구는 제7차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황순원 소설의 공통 소재인 ‘죽음’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황순원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되어 왔고, 1940년대부터 현재까지 황순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순수문학적인 관점에서 휴머니즘적 사유를 조명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모성, 자유, 우정, 사랑, 순수 등의 휴머니즘적 주제를 구현하는 황순원의 전반적인 작품을 살피면서 ‘죽음’이라는 소재가 대부분의 작품에 드러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작품에 죽음을 표현한다는 것은 단순한 삶과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삶을 파악하려는 노력이라 볼 수 있다. 황순원은 모든 작품에 죽음을 배치하여 삶과 죽음의 문제 속에서 인간의 실존과 인간의 가치, 즉 휴머니즘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제7차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황순원 소설에 드러나는 죽음을 고찰하여 죽음과 황순원의 문학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했다. 작품에 드러나는 죽음에 대한 연구는 역사의 고통과 절망을 가늠할 수 있으며, 현실의 비극을 뛰어넘기 위해 추구했던 황순원의 작가의식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죽음에 대한 연구는 삶의 의미를 성찰하게 하고 죽음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여 청소년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제7차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으로 「별」, 「독짓는 늙은이」, 「목넘이 마을의 개」, 「소나기」, 「학」, 「너와 나만의 시간」, 「나무들 비탈에 서다」 총 7편이다. 이들 작품은 시간성이 배제된 채 인간 본연의 순수함, 생명 본능으로 나눈 순수 세계와 역사적 흐름이 반영 된 공적 세계로 나눌 수 있다. 순수 세계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별」, 「독짓는 늙은이」, 「목넘이 마을의 개」, 「소나기」가 해당하며 사회와 일정한 거리를 두어 독자로 하여금 죽음과 삶에 대한 문제, 인간 존재에 대해 사색하게 만든다. 특히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죽음은 모성 · 생명 · 성장을 나타내며 당시 사회의 비극적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반면에 공적 세계에 해당하는 작품은 「학」, 「너와 나만의 시간」, 「나무들 비탈에 서다」로 이 작품들의 죽음은 전쟁의 피해 양상으로 드러나며 죽음을 우정 · 생명 · 모성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다. 죽음의 양상이 두 세계로 분리되는 것은 외적 환경의 반영 없이 다양한 인간의 삶을 그려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작가의 인식에 연유하고 있다. 특히 6 · 25 전쟁을 겪고 난 뒤 대부분의 작품에는 사회적인 면들이 드러난다. 전쟁의 경험을 통해 작가는 인간의 자유와 생명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문학에 반영하여 우리가 지향해야 할 삶의 자세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죽음을 강조하여 인간다운 가치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 모든 작품에서 피력하고 있다. 진정한 인간다운 가치, 이것이야말로 황순원 문학 기저에 흐르는 휴머니즘 사상이라 할 수 있다. 황순원 소설에 드러난 죽음은 비극적으로만 그려지지 않고 죽음이 시대 상황과 개인의 삶 사이의 괴리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죽음의 연구를 통해 삶의 의미를 성찰하고 죽음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게 하여 청소년 교육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