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선시대 불교사원 가람배치 연구 : 용인 서봉사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불교사원 가람배치 연구 - 용인 서봉사지를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고고미술사전공 이지성 지도교수: 이종수 불교는 삼국시대에 처음 도입되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우리나 라의 대표적인 종교이다. 이로 인해 전국에 수많은 불교사원이 세워졌고, 지금까지 도 많은 사찰이 운영되고 있다. 초창기 불교사원의 모습은 대부분 자연재해나 화재, 전란 등으로 그 원형이 잘 남아 있지 않아 불교사원의 가람배치에 대한 연구는 자료 부족의 한계로 대부분 조 선 후기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고려 후기에서부터 조선 전기의 가람배치 연구는 불모지에 가까웠다. 조선시대 불교사원의 가람배치는 주불전을 중심으로 앞마당 좌우에 승방과 부속 건물을 배열하고, 다시 그 앞에는 누각 강당을 두어 모두 4동의 전각들이 중심 마 당을 감싸는 사동중정형으로 이루어진다고 연구되어왔다. 이는 임진왜란과 병자호 란으로 인해 17세기 이후에 재건된 전통 사찰의 가람배치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 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경기도 용인의 광교산 내에 위치한 서봉사지에서는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 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건물지가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 연구의 범 위를 넓힐 수 있고 조선시대 전체적인 가람배치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 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유적이다. 용인 서봉사지에서 확인된 조선시대의 가람배치는 기존의 연구와 동일한 사동중 정형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가람이 완성된 시기는 15세기로 기존의 연구 결과와 시 기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서봉사지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최소 4차에 걸친 대대적인 중창이 이루어 졌으며, 3차 중창기인 15세기에 조선시대 중심 사역이 완성되었다. 양란 이후 17세 기에는 훼손된 사찰의 증축이 대규모로 이루어진 것이 문헌과 출토유물 등을 통해 확인되었다. 중심 사역은 3단으로 금당을 비롯한 요사채 등 다양한 기능의 건물지 13동이 배 치되어 있다. 이 공간은 상·중·하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예불·의례 의 공간인 금당지와 그 좌·우로 건물지가 배치되어 있다. 중단에는 답도가 시설된 마당과 좌·우에 온돌과 부엌을 갖춘 건물이 조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누각 건물 지와 그 밑으로 계단이 시설되어 있다. 15세기에 초축된 건물지들은 일반적으로 ‘ㅡ’자형 평면을 띄고 있다. 양란 이 후 증개축이 이루어지면서 점차 평면 형태가 ‘ㄱ’ 혹은 ‘ㄷ’자형으로 바뀌고 있다. 증축된 건물의 용도는 대규모의 인원이 머물 수 있는 요사채이며, 외곽으로는 마당과 창고 등이 새롭게 설치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 중 하나로 서봉사에서 이루어졌던 불서 간행을 들 수 있다. 서봉사지의 조선시대 중심 사역 가람배치는 중정을 중심으로 건물이 서로 대칭되 는 사동중정형이며, 이러한 배치 양상은 15세기 조선시대 들어 서봉사지가 중창되 면서 처음으로 적용된 새로운 가람배치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가람배치는 13~14세기의 중심 사역을 ‘ㅁ’자 형의 폐쇄적인 공간으로 구성하고 회랑 외곽으로 생활공간을 조성한 위계에 따른 공간적 배치에서 14세기부 터 회랑이 요사채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양상은 거돈사지와 성주 사지를 통해 확인된다. 또한 조선 초기 전국에 건립된 향교에서도 이러한 ‘ㅁ’자 형 구조가 나타나고 있어 15세기 출현하는 사동중정형 가람배치와의 관계도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15~16세기에 들어서면서 중심 사역은 상·중·하단으로 단을 주어 건물을 배치한 양상은 이전 시기와 동일하게 확인된다. 다만 금당지가 축소되고, 석탑과 회랑이 소 멸하며, 출입 형태의 전환 등 다양한 변화가 확인되지만, 가람배치 양상은 마당 혹 은 중정을 중심으로 4면에 건물을 배치하는 ‘ㅁ’자 형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 이 러한 양상은 진관사, 창성사지, 영국사, 도갑사, 인각사지 등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이 시기에 해당하는 가람배치가 확인되는 사찰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다만 원찰인 회암사와 청평사의 경우 사찰의 규모가 더 크게 확인되며, 계단식 대지에 행각으로 사방을 막아 ‘ㅁ’자 형의 폐쇄된 공간을 각각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구 조는 조선시대 궁궐에서 확인되고 있다. 17세기 이후 가람배치의 특징은 사동중정형이 완성되어 보편화되던 시기로, 이 시기에 중창된 사찰들은 대부분 사동중정형을 이루고 있다. 다만 규모가 축소되었 고 더욱 폐쇄적인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1790년 창건된 원찰인 용주사의 경우 전 기의 회암사와 청평사와 비교하였을 때 여러 단으로 조성되어 있지 않고 문을 통과 해 내부로 진입하면 누각을 통해 바로 주불전 영역으로 진입하는 구조이며, 중심 사역은 금당을 중심으로 좌우에 요사채가 조성되어 있는 사동중정형으로 건립되어 있어 당시 사동중정형의 가람배치가 보편·정형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 전형적인 가람배치인 문-탑-금당-강당을 사방에 회랑을 설치한 ‘ㅁ’자 형 구조에서 14세기부터 회랑이 해체되기 시작하여 15세기에 회랑 이 요사채로 용도가 변화하고 누각-마당-금당을 요사채가 감싸고 있는 사동중정형 배치로 조영되기 시작한다는 결과를 서봉사지와 다른 유적들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17세기에 본격화된다는 사동중정형 가람배치가 발굴조사를 통해 15세에 해 당하는 유적에서 점차 나타나기 시작한다는 점을 밝혀낸 것에 의의를 둔다. 최근 전국적으로 폐사지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조선시 대 가람배치에 대한 연구 자료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번 연구는 향후 다방면으 로 진행될 조선시대 불교사원 연구에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서봉사지, 가람배치, 사동중정형
상업 몰(mall)공간에서 V.P(visual presentation)의 주목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Feng-GUI와 Space Syntax를 적용한 평가방법 제안
이지성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현대 사회의 소비는 생활의 일부가 되었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까지 창출하고 있다. 인간의 소비욕구가 보다 다양해짐에 따라 소비 공간 역시, 단순히 상품을 사고파는 기능을 넘어 복합적이고, 다양한 의미를 표출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규모 복합단지에 대한 개발이 전국적으로 확산 되면서 몰(mall)의 성격을 띤, 복합 상업 공간의 형태가 강조되고 있다. 복합 상업 공간의 특성상, 소비중심의 사회 혹은 자유경제체제 내에서 더 많은 상품의 판매를 위해 각 매장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이에 따라 판매촉진을 위한 마케팅 개념의 공간 활용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특정매장을 효과적으로 선택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상업공간 V.P(visual presentation)의 체계적 계획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상업공간 V.P에 있어서 시각적 주목성은 중요한 상업적 요소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인간은 시각을 통하여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지각하고, 지각된 공간은 다음 행동을 유발하는 촉매로서의 역할을 한다. 소비자가 특정매장을 선택할 때, 일차적으로 시각적인 주목성에 의해 선택이 결정되고,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주목도는 상업공간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상업공간의 V.P의 주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은 시 지각 인지 특성에 따라 공간을 지각한다. ‘라는 공론화된 사실로부터 상업공간에서 주목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인식하고, 상업공간 V.P의 주목도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평가절차는 인간의 시 지각적인 프로세스를 검토하여 분석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험환경을 구축하여, 적절한 프로그램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스페이스 신택스(Space Syntax)를 활용하여 공간구조 상의 접근성을 파악하고, 실험환경 설정 기준에 따라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한다. 촬영한 파노라마 사진을 이용하여 Feng-GUI의 Heat Map으로 시각적인 주목성을 파악하였다. 주목되는 영역이 색상으로 표시되는 Heat Map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표준색 색채분석(KSCA)으로 주시율을 알아내어, 주목도를 수치화 하여 평가하였다. 이와 같이, 공간적 접근성을 기초로 하여 시각적 주목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사례적용을 통하여, 상업 공간 내 각 상점마다 주목도를 평가하여 평가방법을 검증하였다.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도출한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전체공간에서 각 상점의 차지하는 주목도를 파악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각 매장간의 상대적 상업적 가치를 평가 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이지성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아이리신은 2012년 발견된 근육분비성 마이오카인으로 골격근세포에서 PGC-1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 1α)의 발현에 의해 조절된다. PGC-1α는 근수축에 의해 발현되며 골격근 세포 막의 FNDC5 (Fibronectin type III domin containing protein-5)를 발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이리신은 FNDC5의 Proteolytic cleavage에 의해 분비되어 미토콘드리아 막의 UCP-1 (Uncoupling protein-1)의 발현과 백색지방에서 갈색지방으로의 갈변화를 유도한다. 아이리신이 말초기관에서 대사성 질환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보고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이리신이 중추신경계를 표적으로 하는 에너지항상성 조절에 관여하는지는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아이리신이 중추신경계에서 에너지 대사 조절에 관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구체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제안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생쥐모델을 이용해 아이리신이 혈액-뇌 장벽 (Blood-Brain Barrier, BBB)을 통과해 중추신경계로 전달됨을 확인했고, 증가된 아이리신이 체중과 먹이 섭취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아이리신의 생체 내 주입이 시상하부의 궁상핵 (Arcuate nucleus)에서 식욕 촉진성 AgRP (Agouti-related peptide) 신경세포의 활성도는 감소시키고, POMC (Pro-opio melanocortin) 신경세포의 활성도는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아이리신에 의한 AgRP, POMC 뉴런의 활성도 변화가 멜라노코르틴 경로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멜라노코르틴 수용체 억제제 SHU9119와 아이리신을 함께 처리하여 섭식 행동을 관찰한 결과 아이리신에 의한 식욕억제가 SHU9119에 의해 회복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아이리신이 식욕 조절 기능 외에 에너지 소비 조절에도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가 활동하지 않고 먹이를 섭취하지 않는 비활동기에 아이리신을 주입한 후 체중 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체중 감소 폭이 큰 것으로 관찰 되었다. 아이리신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아이리신을 처리한 실험군의 체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이리신은 시상하부내의 에너지 대사조절 중추의 멜라노코르틴 경로 통해 식욕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조절하여 체내 에너지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 태권도 프로그램을 위한 실행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의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하여 경도 발달장애 청소년이 현장에서 직접 참여 가능한 ‘여가 태권도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구성원으로부터 개발․적용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태권도 프로그램의 일반화된 지침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예비연구, 1차 프로그램 개발, 2차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그램 효과 검증의 단계를 1년 6개월 간 현장에서 진행하였다.$$a$$a연구의 과정은 문헌분석 및 문서자료 분석, 연구관련자 회의를 통하여 프로그램 및 연구설계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예비연구를 통하여 1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1차 프로그램은 실행을 통하여 문제점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차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통한 분석결과 및 반성을 토대로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태권도 프로그램의 현장지도자들을 위한 지침서를 개발하였으며, 구성원 확인 절차와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 체력 및 체격검사 등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및 효과에 대한 검증 절차를 실시하였다.$$a$$a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구성된 여가 태권도 프로그램은 실행연구를 통하여 효과가 검증된 프로그램으로 실제 교육의 현장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발달을 꾀할 수 있는 교육 목적을 가지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본 프로그램은 방과 후 여가 시간에 참여하여 여가 활동을 지향하는 태권도 프로그램이라는 특징이 있다.$$a$$a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여가 태권도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일반화된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첫째, 본 프로그램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대상은 경도 발달장애 청소년이며, 신체적 영역이나 감각적인 영역에 장애를 가지지 않은 학생이다. 둘째, 교육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적절한 교육인원은 10명 내외이다. 셋째, 보조교사를 미리 선발하고, 지도자와 보조교사는 프로그램의 시작 전 학부모, 관련교사와 함께 개별화 교육계획을 수립하여 사전에 참여자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넷째, 참여자의 부적절한 행동이 발생했을 시는 즉각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며, 사회적 칭찬과 같은 정적강화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다섯째, 보조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참여자의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모든 프로그램에서 그룹별 활동을 지향한다. 여섯째, 보조기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참여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일곱째, 가정연계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학부모로부터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여덟째, 음악과 이야기를 사용한 품새 교육과 같은 다양한 교수방법을 적극 활용하여 참여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 아홉째, 암기교육을 강조하여 참여자의 인지발달을 도모하고, 실제 생활에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발표회와 승급식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참여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참여자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a$$a장기간의 실행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경도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을 위한 태권도 프로그램으로 현장에서 장애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a$$a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apply ''The leisure and recreational Taekwondo program'' through the long period of action research so that youth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participate. Also,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are aimed at verifying the developed and applied program''s effects so that a generalized guide of Taekwondo program for youths with disabilities can be presented.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made progress of developments of primary and secondary programs including a phase of program effect verification for a year and six months.$$a$$aThe process of the investigation includes the development of study plan through documents analysis and meetings of people concerned with the study. The primary program is developed via a propaedeutic, and its problems are revised and complemented after an operation. Based on secondary program''s analyzed results and reflection through developments and operations, a guide for a field coach of the taekwondo program is developed. The certification of constituent, test of physical self-description, examination of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inspection are executed.$$a$$aThrough these processes, leisure and recreational taekwondo program''s effect is verified through practical study, and it''s designed to be applied in actual educational field. This program educationally aims at youth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s physical,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t has a special feature that this taekwondo program is aimed at leisure.$$a$$aIn this manner the following should be kept in mind for the developed leisure and recreational taekwondo program to become a generalized program which can be used in actual field. First of all, whom can be effectively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re youth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y are not be disabled in physical and emotional field. Secondly,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educational personnel should be ten or so. Thirdly, assistant teacher has to be picked in advance. The coach and the assistance teacher should establish education plan with parents and related teacher so that they can have full information. Fourthly, there needs to be immediate feedback when a participant improperly behaves. Such as encourgement should be effectively used as feedback. Fifthly,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assistance education and promote a participant''s development of sociality, every program should aim at group activity. Sixthly, auxiliary tools should be used positively to arouse interest of a participant and for him to be concentrated on the lesson. Seventhly, family related program would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Lessons should be progressed with continuous feedback of parents. Eighthly,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form training using music and stories should be used to stimulate a participant''s interest. Ninthly, the program should emphasize memorizing education to promote the participant''s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to induce it to bring effect in actual life. Lastly, programs such as presentation and promotion can motivate the participant and implant self-confidence in him.$$a$$aThis taekwondo program for leisure activity which is developed via long period of action research is expected to become an instructive data for teachers instruc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ields.$$a$$a
어린이재단의 해외아동결연 프로그램 연구 : 권리기반관점을 중심으로
이지성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2 국내석사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개발 NGO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해외아동결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그 규모와 역사에 비해 매우 소극적인 수준으로 진행되어왔다. 한국을 비롯한 여러 선진 공여국가에서 아동을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주요 수혜자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동권리를 사업 전반에 주류화하기 위한 아동권리기반접근법에 대한 합의된 원칙이 부재할뿐더러 해외아동결연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2003년 스템포드 공통 이해(Common Understanding)를 통해 국제사회는 인권기반접근에 대한 공통의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였고 이후 2005년, UN 인권최고대표사무소에서 PANEL 원칙을 제시하였다. PANEL 원칙은 권리기반접근법의 대표적인 실행 원칙이며, 참여(Participation), 책무성(Accountablility), 비차별(Non-Discrimination), 자력화(Empowerment), 인권기준과의 연계(Linkages to human rights standards)를 포함하고 있는 원칙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재단의 해외아동결연 프로그램이 인권에 기반하여 수행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PANEL 원칙을 통해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을 분석하고, 현장에서 사업을 수행하는 데에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PANEL 원칙이 등장하게 된 이론적 배경과 해외아동결연 프로그램의 개념과 역사, 특성을 조사한 뒤 어린이재단의 해외아동결연 프로그램을 아동 등록, 서신 교류, 프로그램 참여, 종결과 같이 네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우선적으로 어린이재단의 해외아동결연 프로그램 실행 매뉴얼(Child Sponsorshi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을 분석하고,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어린이재단의 실무자 를 비롯한 국가 사무소 및 연맹 사무소의 실무자와 관리자들을 인터뷰하였다. 분석 결과, 어린이재단의 해외아동결연 프로그램은 대체로 권리기반접근의 원칙에 근거하여 수행되고 있었으나,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한계점이 분명히 존재했다. 실무자들은 결연아동의 자유로운 프로그램 참여를 보장하되 후원자에 대한 책무성 또한 준수하려는 노력을 동시에 이행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의 가치 갈등을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업무 환경 및 역할 상 후원자 그룹과 접촉하는 실무자들과 프로그램의 수혜자 그룹과 접촉하는 실무자들의 인식에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권리기반접근의 원칙과 실제 현장에의 적용 사이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결연 프로그램을 기획 및 수행하고 평가하는 모든 단계에서 모든 파트너 기관의 실무자들과 참여자를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이 ‘권리기반관점에 따른 아동결연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적극적인 논의를 거치고, 권리기반접근에의 적용이 결과적으로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며 더욱 지속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에 대해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 보다 현장에 기반한 업무 수행 절차를 마련하고, 결연후원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의 자력화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 프로세스를 구축할 필요가 제기된다.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research on child sponsorship programs conducted by INGOs has been done at a very passive level despite the program’s large scale and long history. Although many advanced donor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define children as major beneficiarie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re is no consensus on a child rights-based approach to promote child's rights throughout the program, and a lack of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child sponsorship program. Based on the 2003 Stamford Common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tempted to reach a common understanding regarding the human rights-based approach. Then, in 2005,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introduced the PANEL principles. PANEL, which are operating principles representative of the human rights-based approach, stand for Participation, Accountability, Non-Discrimination, Empowerment, and Linkages to human rights standards. This paper includes an analysis of ChildFund’s international child sponsorship program’s operation using the principle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it is carried out with the rights-based approach at its core and find out what the challenges are on the ground when running the program, and if so, what the underlying causes are. In this paper,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theoretical backdrop of the introduction of PANEL, and the concept,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child sponsorship program. It will then go on to analyzing ChildFund's international child sponsorship program according to the PANEL principles by dividing it into four processes: child enrollment, correspondence, program participation, and departure. First and foremost, this paper analyzed ChildFund’s Child Sponsorshi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and interviewed working-level staff of ChildFund Korea and working-level staff and program managers from Country Offices of ChildFund International for in-dept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ChildFund's international child sponsorship program was carried out following principles of a rights-based approach by and large, but certain limitations clearly existed felt by working-class staff. At the same time, working-level staffs were trying to ensure the free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the program while fulfilling responsibility for the program's sponsors, and throughout this process, many experienced value conflicts. In particular, given different roles and work environments,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between working-class staff serving a group of sponsors and staff on the ground working with beneficiaries. At the end of the day,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the rights-based approach, all stakeholders including working-class staffs and participants from every partner organization must actively engage in discuss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ild sponsorship program based on the right-based approach’ at all stage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and recognize that the application of the rights-based approach can ultimately protect child's rights and bring long-lasting results. On top of that, there's a need for establishing a more field-oriented operation standards and a systematic evaluation process for the degree to which the sponsorship program contributes to the empowerment of the community.
텍스트 내용 기반 추천을 위한 토픽추출의 영향에 대한 연구 : K금융사 중심으로
이지성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오늘 날 기업은 뛰어난 인적 자원이 기업 경영에 가장 중요한 자원임을 인식하고, 구성원의 기술, 지식, 능력 개발을 위해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이러닝 강의는 기업 측면에서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오프라인에 집합하지 않아도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편리함 및 학습자에게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 컨텐츠가 확대됨에 따라 수강자들은 모든 컨텐츠의 정보에 대해 알 수가 없으며, 이로 인해 본인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없는 '정보 과부하'라는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최근 '개인화 추천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국내 K금융사도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임직원들의 자기 계발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이러닝 컨텐츠 운영 비율을 높이려 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조치로 최근 대대적인 임직원 이러닝 사이트 개편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사이트 개편 이후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운영하려고 하나, 초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 없이 협업 필터링 추천 방식을 사용할 수 없고, 내용 기반 추천방식을 사용할 경우 개인별 계발 방향과 관심사를 반영한 추천이 되지 못할 확률이 높아 적절한 개인화 추천 서비스가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인화 추천 서비스 통해 정보 과부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HRMS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인사정보관리시스템)에 보유 중인 '자기 계발 계획서'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해 이를 토픽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토픽을 사용자의 대표 성향으로 판단하는 기법을 도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장 단위 임베딩의 대표적 기법인 Doc2Vec과 LDA 기법을 사용하여 각 토픽의 핵심 단어를 추출하여 설문 평가를 통해, 데이터 특성에 맞는 문장 임베딩 기법을 찾았다. 실험결과 Doc2Vec기법의 경우 10개의 적정 토픽이 생성되었으며, LDA기법의 경우 14개의 적정 토픽이 생성되었다. 각 토픽별 상위 5개 단어를 추출하여, 설문을 통해 상위 5개 단어와 자기 계발 계획서 내용상 더 유사한 기법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설문 집계 결과 Doc2Vec기법 보다 LDA기법이 32%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특히 600자 이상의 자기 계발 계획서에 대해서는 LDA 기법이 Doc2Vec 기법보다 72% 더 우수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분단소설 교육방안연구 : -반응중심 교수·학습방법 중심으로
이지성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MA Thesis A study on the teaching program of division novels -Focusing on the respon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Lee, Ji Sung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Park, Jong Hong) Abstract Since 1950, the things about division have not got solved among several great discourses. Division emotionally has had a big effect on our literature, and today's literature without reunification also belongs to division literature in terms of comprehensive aspects. The division environment has had a strong influence on our nation, but the younger generation who has not experienced the war ignores it. Thus the paper is aimed at see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ivision literature and proposing the teaching method of it, especially in division novels. In Chapter Ⅱ, we can see the notion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ivision novels. In Chapter Ⅲ, I explain the notion of the respon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reconstitute it and propose the learning model of 5 levels: response formation, response expansion, response clarification, response deepening, and response expression. I set up the levels in order to be able to apply the respon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related novels that can occur an aesthetic distance from students, unlike the general respon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rough the method, each student can make portfolios our of the response of works, especially in the level of response expansion, they plan their curiosities about the condition of society, the writer and the work by themselves through group activities by having a discussion and collect material about it, so they can be interested in division novels in the process of the collected data interpretation, which has made students feel difficulty and distance. And through the expression process of the level of response expression, the method makes teachers provide creative whole-person education by having students express creatively and develop cooperative spirit. In Chapter Ⅳ, I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type of division novels in the textbooks of Revised Education Program 2007, and find problems about them. Among works in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1st and 2nd grade, the total number of division novels in the novel part is 8, so the number of works grows and they deal with new works, while the ranking of education of novels isn't accomplished and all students can't learn the equal understanding of division. Concretely, in the case of division novels, the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1st and 2nd grade of publishing companies including Kyohak (Kim, Hyung Chul), Kyohak (Nam, Mi Young), Mirea-n (Lee, Nam Ho), and Chunjae (Kim, Dae Hang) are bare of division novels, so teachers can't teach them. In Chapter Ⅴ, from above researches, I propose a learning model of 5 levels of the respon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division novels by focusing on 'Mother star' written by Kim, Won Gil. 'Mother star' is the story of a dispersed family's life after the war, so I choose the novel for having stud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the war understand it and experience the sorrow of division in a round about way. By the model, students can know that the problem of division is still the same, so they should share the sorrow of division, and have the understanding of reunification through group and class discussions. From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by introducing the learning model of 5 levels of the respon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novels reflecting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in their classroom,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understand our division situation, and the paper will have an affirmative affect on their understanding of reunification.
알렉산더 스크리아빈(A. Scriabin)의 초기 피아노 음악에 관한 연구 : Allegro Appassionato Op.4의 분석을 중심으로
스크리아빈(Alexander Nicholavich Scriabin : 1872-1915)은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던 러시아의 피아니스트이며 작곡가이다. 그의 작품에서도 낭만적 스타일의 초기 작품에서부터신비화음이란 그만의 독특한 화성체계 속에서 이루어진 후기 작품에이르기까지 과도기적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스크리아빈은 그가 피아니스트였던 만큼 작품의 대다수가 피아노음악이다. 쇼팽(F.Chopin)의 영향아래 있던 그의 초기 작품에는 쇼팽의 서정적 선율에 더하여 리스트적인 화려함과 스크리아빈만의 화성이 덧붙여져 개성적인 그의 특성들이 잘 반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초기 피아노 음악의 양식이 확립된 곡이라할 수 있는 Allegro Appassionato Op.4 의 분석을 통해 선율, 리듬,화성적 특징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림 나단조이며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을 취하고 있는 이 곡은 단순하고 열정적인 제 1주제와 서정성이 풍부한 제 2주제가 끊임없이이어지는 셋잇단음표들의 리듬 안에서 조화롭게 전개된다. 주제의 선율은 낭만주의 음악에서처럼 장식적으로 발전되거나 옥타브 음형의화려함으로 전개된다. 박자 또한 9/8, 6/8 로써 전반적인‘3’리듬 체계 (Triple metric units)안에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2:3, 3:5등의 교차리듬이 사용되며 약박으로 시작하는 리듬패턴으로 일정한맥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리듬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화성적 특징으로는 Gr6, Fr6와 같이 신비화음이 만들어지기 전에 기초가 되었던증 6화음들과 증 4도 음향이 잘 담겨져 있는 곡이다. 후반부에는 풍부한 음향의 카덴짜와 함께 종지를 향한 반음계적 하행 선율이 쓰여지는데 이는 초기에만 볼 수 있는 특징중 하나이다. Alexander Nicholavich Scriabin (1872-1915) is a Russian pianist and composer who lived at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His works expose transitory features, ranging from early romantic style to mystic chord, his peculiar harmony system, of the later period. As being a pianist, most of Scriabin's works are composed for the piano. In his early works, his idiosyncratic features are well expressed by mixing lyric Chopin and gorgeous List with his original harmony.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rhythm, melody, and harmony of Scriabin by analyzing his Allegro Appassionato Op.4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e piano works of his early style. Most of the early piano works by Scriabin are simply in the binary or ternary form including this piece, which also has a traditional sonata form. Its subject melody is lyrical and shows a cross rhythm such as 2:3 and 3:5. In its triple metric units, are well preserved Gr6, Fr6, and Augmented 4th sound that had formed the basis before the mystic chord was created. Its subject melody develops into an octave motion of gorgeous technique, using chromatic cadence which is unique in his early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