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소셜미디어 관광 마케팅 활동이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종현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정보통신기술이 생활 속에 급속도로 전파 되어 지면서, 현대시대 지역 관광을 준비하는 관광객에게 있어 지역 관광 정보 수집은 오프라인을 통한 브로슈어, 여행책자 등을 통해 방문 목적지에 대한 이미지, 관광 상품, 관광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아닌 보다 유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지역 내 소셜미디어 관광 마케팅이 주목 받고 있다. 이에 지역 내 소셜미디어 관광 마케팅 활동이 관광객의 직·간접경험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 경험가치가 어떻게 관광객에게 인식되어, 지역이미지 형성과 특정 지역 관광을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의도로 발전되는지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약 2주간 김포공항 국내선청사에서 제주특별자치도 내 지자체·공공기관·관광산업 등에서 실시된 소셜미디어 관광 마케팅을 경험해 본 관광객에게 총 35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10개의 사용 가능한 응답을 얻었다. 그 후, SPSS ver.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 1 소셜미디어 관광 마케팅 모든 하위요인이 지역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설 2 소셜미디어 관광 마케팅 하위 요인 중 유용성과 적시성만이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가설 3 지역이미지는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가져왔고, 가설 4 소셜미디어 관광 마케팅 모든 하위 요인이 지역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기초하여 알 수 있듯이, 지역 내 소셜미디어 관광 마케팅 활동을 통해 제공 되는 관광 정보와 관광 상품이 지역이미지와 방문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더 크게 지역 관광 활성화 또는 불황으로 이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셜미디어가 제공하는 환경에서 구축된 지역이미지를 기반으로 관광 정보와 관광 상품에 대한 홍보와 판매 전략을 수립 한다면, 보다 더 높은 방문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the local image, and visit intention, and thereby suggest any practical implications.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ustomers who experienced the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implemented by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institutions, tourism industries, etc. within the domestic regions from July 16 to July 31 a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Domestic Terminal. After the exclusion of invalid data, the study included 310 valid data that presented the customer experience responses. The demographic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subsequently performed using the SPSS ver.18.0 program. The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was measured in terms of its accuracy, abundance, usefulness, and timeliness, while the local image and the visit intention were each measured with a single factor.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 Hypothesis 1 - All factors of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local image. Hypothesis 2 – Only usefulness and timeliness the sub-factors of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the visit. Hypothesis 3 – The local image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visit intention. Hypothesis 4 - All factors of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visit intention and this was mediated by the local im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ustomer responses to social media marketing activities implemented by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institutions, and tourism industries within the region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local image and visit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ourism information and tourism products provided through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can directly influence the local image and the visit intention, which can amplify a revitalization or recession of the local tourism.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visit intention can increas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tourism information and the promotion and sales strategies for the tourism products based on the local image built around the environment provided by the social media. The follow-ups and development of related future studies by supplementing and revising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will support a boost in the local tourism via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that harmonizes the region and the local tourism, and will be able to facilitate more in-depth research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operation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increased management demands of the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the local image, and visit intention in the modern era in which local tourism acts as a local brand. Key words : Social Media. Social Media Marketing. Social Media Tourism Marketing. Local Image. Visit Intention.

      • 소 유방염 우유에서의 면역학적 변화 양상 분석

        이종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소의 유방염은 낙농업에서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질병으로서, 전염병성 병원체의 감염이나 환경적인 요인 등의 다양한 인자들로 인하여 유발된다. 유방염의 전염병성 병원체로는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agalactiae, S. dysgalactiae, 그리고 S. uberis 같은 주요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S. aureus는 유방염을 유발하는 중요한 감염성 병원체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들어 S. aureus의 extracellular enzymes과 coagulase toxin이 유방염 발생에 깊은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유방염 진단은 우유 체세포 수 분석과 같은 간접적인 검사방법이나 우유 내 병원균의 동정 또는 특정 병원균의 특이적인 유전자를 증폭하여 검출하는 직접적인 검출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질병에 대한 다양한 분석기법 중의 하나로 Flow cytometry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기법은 감염성 병원체에 대한 체내 면역반응의 다양한 변화상 중 하나인 면역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되는 인자들을 분석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병원체의 감염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정상세포가 아닌 면역세포만을 인식해 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진단방법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한계성인, 즉 우유 중 염증세포인 백혈구만을 측정하지 않고 상피세포를 포함한 체세포 전체를 측정하기 때문에 질병이 아닌 정상적인 생리적 현상 때에도 유방염으로 오-진단하는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flow cytometry방법을 이용한 유방염의 연구는 국내에서는 전혀 수행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해외 선진국에서도 실험적으로 소의 분방에 직접 병원균을 주입한 후에 우유를 채취하여 염증 및 면역반응을 분석하는 연구결과가 일부 소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된다면, 소 유방염 유발 병원체들에 따른 각각의 생체 면역반응을 다양하게 분석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발 병원체에 따른 치료방안, 관리 및 예방방안 등을 보다 세밀하게 제시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북지역에서 126개의 우유 시료를 채취한 후,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하여 각 병원균의 존재여부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총 121마리 중 65(51.6%)개의 시료에서 S. aureus가, 4(3.2%)개의 시료에서 S. agalactiae가, 74(58.7%)개의 시료에서 S. dysgalactiae가, 그리고37(29.3%)개의 시료에서S. uberis가 PCR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감염군 중에서 하나의 병원균에 감염된 시료는38.2%, 2개의 병원균에 중복감염된 시료는 45.1%, 그리고 3개의 병원균에 복합감염된 시료는 16.7%였다. 전체 복합감염의 비율은 63.4(61.8)%였다. 채취된 시료 중 31개의 시료를 선택하여 Flow cytometry로 세포표면의 CD11b, CD4, CD8의 발현여부와CD4/8 rati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감염군이 비-감염군에 비하여 세포표면에 CD11b, CD4, 그리고 CD8의 발현여부와 CD4/8 ratio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상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병원체들간의 비교에서는 각각의 특이적인 차이점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복합 감염과 관련된 통계학적 분석 결과에서는 감염 병원체의 수가 많을수록 CD11b와 CD4발현 세포의 비율이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p<0.05). 특히 체세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세포 수가 증가할수록 CD11b 와 CD4 발현세포의 분포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CD4/8 ratio도 체세포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p<0.05).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소 유방염에서 flow cytometry기법의 진단적 활용가치를 평가하였고, 특히 CD11b, CD4, CD4/8 ratio가 소 유방염에 대한 진단 및 분석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철도사업 타당성조사의 주차수요 절감편익 산정방법 개선 연구

        이종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편익으로 포함되는 항목의 타당성과 산정방법이 합리적인지를 우선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철도사업의 타당성 평가에서 주차수요 절감편익이 고려되는 것이 올바른지를 이론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기존 산정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된 산정방법을 제시한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적용하고 있는 주차수요 절감편익 산정방법은 차량 당 발생하는 평균주차요금이 철도사업의 시행 전ㆍ후로 얼마나 절감되는지를 측정하여 편익으로 산정한다. 하지만, 이 같은 방법은 개략적인 산정방법이라는 한계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수요 절감편익을 총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주차편익을 산정한다. 첫째, 기존 주차장 이용률이 저하되는 유형, 둘째, 기존 주차장 면수가 감소되는 유형, 셋째, 신규 주차장 면수가 감소되는 유형의 편익으로 구분한다. 제시한 개선안의 검증을 위해 󰡔서울시 도시철도 4호선 연장사업󰡕을 사례로 현재 타당성 평가에 사용하고 있는 평균주차요금을 이용한 산정방법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주차요금을 이용한 산정방법의 주차편익보다 약 1.2배 크게 추정되었다. Most of all, we have to review provision of benefit of feasibility and estimating method in feasibility study for estimating a public investment exactly. In this study, we review a feasibility of benefit of reducing parking demands in the rail investment theoretically and suggest a improved method. A present method using in a feasibility of benefit of reducing parking demands is that the estimates savings of average parking fares in before and after the public investment. Therefore, we suggest a improved method which estimates benefit of reducing parking demands dividing into three types. firstly, the type of saving costs of operate parking lots. secondly, the type decrease in parking lots which generates saving land costs and operating costs. lastly, the type of reducing of newly constructed parking lots which generate saving construction costs, land costs and operating costs. we estimated "Seoul metro line No.4" for verifying suggested method, and compared with a result from a present method. As a result, suggested method in this study estimated of 1.2 time more benefit than that of a present method.

      • 대중음악 스트리밍 콘서트의 질적 향상 방안 연구

        이종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4차 문화혁명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공연예술계는 공연의 영상화 사업에 가속이 붙었으며, 온라인 공연의 확산으로 공연예술 유통 플랫폼의 확장과 새로운 관객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생겨났다. 하지만 기존의 공연예술 산업과의 관계설정에도 많은 걱정을 하고 있다. 온라인 공연의 급속한 확산은 공연예술생태계에도 급속한 변화를 가져다줄 것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온라인 공연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많은 재원이 필요하며, 이는 빈익빈 부익부를 초래한 가능성이 커졌다. 또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저작권 문제와 창작자 및 스태프, 배우 등에 대한 2차 저작권 문제도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 스트리밍 콘서트의 질적 향상을 위해 대중음악 산업의 변화와 공연영상화에 대한 의의, 그리고 스트리밍 플랫폼에 관하여 살펴보고, 방탄소년단의 온라인 콘서트와 SM엔터테인먼트의 비욘드 라이브, 트래비 스캇의 포트나이트 공연, 인스타그램의 #TogetherAtHome, NPR Music의 Tiny Dest 사례의 분석을 바탕으로 ‘스콘: 스튜디오 콘서트’를 기획하고 제작하여 스트리밍 콘서트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스트리밍 콘서트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비대면(언택트) 공연의 단점인 현장감의 부족과, 공연 몰입도의 감소, 관객과의 유대감 결여에 대처해야 한다. 음향 및 영상촬영기법과 온라인 특성에 맞는 관객 소통 방법을 찾아 제시하고, 지속적인 스트리밍 콘서트의 제작을 위해 다각화된 수익창출 방법도 연구되어야 할 것 이다. 이 연구가 모든 대중음악 장르의 콘서트에 대한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대중음악 장르의 특성이 다 다름으로 다소 어려움이 있다. 또한 모든 콘서트의 규모가 기획 의도, 대상, 연출 방법 등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본 연구가 모든 스트리밍 콘서트에 대해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을 것이다. The fourth cultural revolution and the influence of Covid-19 accelerated the performing arts industry's visualization business, and the spread of online performances raised expectations for the expansion of the performing arts distribution platform and the development of new audiences. Howeve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performing arts industry is yet concerned. It is clear that the rapid spread of online performances will bring about a rapid change in the performing arts ecosystem. Therefore, a preparation for this huge change is needed. Online performances require a lot of resources to be competitive, which is likely to lead to the polarization of wealth. In addition, the copyright issue of streaming services and secondary copyright issues for creators, staff, actors, etc. are also some of the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pop music streaming concerts, the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pop music industry, the streaming platform, presented and developed the "Scon: Studio Concert" based on BTS's online concert, SM Entertainment's Beyond LIVE, Travis Scott's Fortnite performance, Instagram's #TogetherAtHome, and the case of Tiny Desk by NPR Music.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aming concerts, the lack of realism, which is a disadvantage of non-face-to-face (untact) performances, a decrease in performance immersion, and a lack of bond with the audience are needed. Sound and imaging techniques and methods for audience communication that suit online characteristics should be found and presented, and diversified revenue generation methods should also be studied for the production of continuous streaming concerts. It is somewhat difficult for this study to generalize the result of concerts in all kinds of popular music due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in popular music. In addition, the scale of all concerts varies depending on their planning intentions, targets, and production methods. Therfore, there will be limitations for this study to generalize to all streaming concerts.

      • 행정기관간 협업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이종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An Empirial Study on the need of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on systems Among Governmental Organizations LEE, JONG-HYUN Department of IT Policy & Management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is doctoral dissertation includes the leading practices in collaboration system of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is also reviews the adaptation of the system based upon government employee’s survey. The research ranges to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 collaboration and UC, the necessity of collaborating function, the improvement of current collaboration system,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rrelation verification.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he definition,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of collaboration were concluded throughout Literature review. 1,192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factor, credibility, and validity analysis were processed by AMOS for research model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Hypothesis has been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Next, the model consists of total of seven hypotheses, six factors and twenty survey items. Then those measurements were screened through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followed by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part of examining hypothesis on casu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Five of seven hypotheses were selected. The fitness level of measuring models and the fitness level of the study models exceeded general recommendation level, showing that the entire study model has higher fitness. The analysis of casu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study models presents following suggestion. For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analysis shows strong casual relationship and high collaboration with workplace-unified-communication tools, process function tools, need of improvement collabor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refore, the result of simple frequency analysis also corresponds with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such as hypothesis testing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Besides the outcome of the policy process, process history, issues and disputes, related information and materials are not systematically shared or recorded, but eliminated during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Moreover, inefficiency has been a rising issue due to the ministry relocation and transfer to Sejong city, implement ing the public organization disperse policy. To improve concerned issue, online collaboration is necessary for information sharing, process management, and systematic discussion amo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Newly designed environment to support administration is necessary by engaging systems of central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Utilizing such systems with unified communication enables to create timeliness and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concerns the necessity of adaptation of collaboration system. Researching and examining on adaptation of collaboration system is an urgent matter in current situation. 國文抄錄 행정기관간 협업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연구 IT정책경영학과 이종현 지도교수 한경석 본 연구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의 협업시스템 도입을 위해 선행사례 연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협업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협업관련 충분한 정보제공과 통합도구에 의한 편리한 정보제공 기능, 협업진행 기능의 필요성과 이를 활용한 기존의 협업추진 방식의 개선,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검증을 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모델 및 가설을 수립하였다. 설문은 중앙부처 및 지자체 공무원 1,1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설문결과는 LISREL과 AMOS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델을 검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연구과정으로 첫째 협업관련 문헌연구를 수행하여 협업정의, 필요성, 성공요인, 협업서비스모델 등을 연구했다. 선진국 정부기관의 사례연구, 민간기업의 성공사례를 분석하고 협업업무 사용자 편의성과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범정부표준기능분류체계와 협업업무분류체계와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협업도구인 게시판, 메일, 웹하드, 컴뮤니티 등과 협업일터의 통합소통 도구와의 차이점 등을 분석하였으며, 유사관련 연구로써 기술수용모델을 분석하였다. 둘째. 연구모형은 총 7개의 가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5개의 요인과 20개의 설문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신뢰성이 검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여 변수간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여 총 7개의 가설 중에서 5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측정모형의 적합수준과 연구모형의 적합수준도 권고수준으로 제시되는 수치를 상회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연구모형의 전체적인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행정기관간 협업 추진시, 협업관련 정보의 충분한 제공이 협업일터․통합소통도구와 진행도구, 협업개선 필요성, 만족도와의 인과관계,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단순 빈도분석 결과뿐만 아니라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활용한 가설검증 등 실증적 분석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간 정부의 정책실행 과정에서는 최종 결론과 보고서만 남고 각종 회의자료, 진행이력, 이슈 및 쟁점사항, 관련정보, 참조자료 등이 체계적으로 공유되거나 기록되지 못하고 소멸 되었다. 아울러 최근 중앙부처 등의 세종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분산정책에 따라 정부 기능의 분산에 따른 비효율성이 이슈가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조직간․기관간 주요 정보가 공유되고 토의 및 진행 과정이 시스템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온라인 협업공간이 필요하다. 정부부처 및 지자체, 공공기관의 시스템을 연계하여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 할 수 있는 新 행정업무 지원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통합된 소통환경 지원으로 정부업무의 수행환경이 보다 기민한 정책 대응력과 신속한 정책 전달력을 확보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행정기관의 협업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이며 향후 효율적인 도입방안 연구가 시급히 필요한 시점이다.

      • 온도조절기용 패밀리 금형의 캐비티 배치 및 러너, 게이트 설계에 관한 연구

        이종현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lastics industry is constantly undergoing various studies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One of them is a method of changing the layout of cavity Family cavity injection molds are competitive with price competitiveness, shortening of development period, and injection productivity. However, various quality problems have arisen due to different shapes and sizes between cavity In this study, CAE is applied to various variables to solve cavity charging unbalance, and the order of precedence is considered when designing similar products.

      • 소용량 태양광 발전용 전력조절기를 위한 직렬형 포워드 플라이백 컨버터의 분석 및 설계

        이종현 崇實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발전은 설치조건 및 가격에서 다른 에너지원에 비하여 장점을 가지고 있고 증설이 용이하다는 특징 때문에 기존의 대용량 뿐 아니라 태양광 모듈별로 발전을 하는 소용량 태양광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저전압 대전류의 태양광의 출력 특성상 계통연계를 위해서는 고전압으로의 승압이 요구되고 때문에 고승압을 위한 DC-DC 컨버터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DC-DC 컨버터중 비절연 컨버터는 높은 효율에 비하여 비절연으로 인한 신뢰성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절연형 컨버터는 절연으로 인한 신뢰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나 부피나 손실면에서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절연형 컨버터의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롭게 제안한 직렬형 포워드 플라이백 컨버터는 기존의 포워드 플라이백 컨버터의 2차측 출력을 직렬로 연결하여 포워드 컨버터와 플라이백 컨버터가 각각 승압비를 분리하여 승압후 직렬로 연결되어 기존에 비하여 소자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율을 높였으며 변압기 이용률을 높여 컨버터의 부피를 감소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컨버터의 동작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설계방법 및 최대 효율에 관하여 수식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시뮬레이션과 실제 100[W]급 하드웨어를 통하여 증명하였으며 끝으로 소신호 모델링을 통한 폐루프 제어를 통하여 시스템의 동작특성을 확인하였다. The solar power generation has some prominent advantages in the installation condition and manufacturing cost comparison with the other renewable energy sources. Recently, to much concern with small-scal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s has been developed because the power capacity extension of the system is easy by standardized photovoltaic modules, compared to large-scale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s. However, sinc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the solar cell panel is typically low-voltage and high-current, the high step-up DC-DC converter is required for grid-connected power conditioning systems. Among many DC-DC converter circuit topologies, even though it has an advantage of the non-isolation type converter has a disadvantage of the poor reliability due to the abscence of isolation. On the other hand, isolation type converter has an advantage of the safety and system reliability. in spite of the negative potential of the massive volume or the high power conversion efficiency. This paper proposes a output-series forward-flyback converter which connects, serially the secondary side output of the conventional forward-flyback converter in order to solve this isolation type disadvantage. The boost extreme ratio is separated by the attenuated boost conversion of forward converter and flyback converter, thus the device stress is reduced and the power efficiency is improved. The transformer utilization factor is also enhanced up by continuous power delivery from primary to secondary which contributes to the reduced volume of the proposed converter. In this paper, the operation principles and design guidelines of the proposed scheme are presented along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100[W] prototype DC/DC converter for the topology hardware verification. Finally, PWM switch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theoretic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