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적 관찰에 대한 자연스러운 인식적 태도

        이영의(Rhee Young-Eui) 한국과학기술학회 2001 과학기술학연구 Vol.1 No.1

        논리실증주의자들이 주장한 과학적 관찰의 이론독립성 논제와 핸슨과 쿤 등이 주장한 관찰의 이론의존성 논제는 관찰과 이론의 관계에 대해 우리가 고려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대표하지 않는다. 관찰의 이론독립성 논제가 문제가 있듯이 이론의존성 논제 역시 문제가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과학적 관찰에 대한 자연스러운 인식적 태도를 제안할 것이다. 자연스러운 인식적 태도는 이론의존성을 인정하면서도 관찰 또는 실험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그 동안 이론 중심적인 맥락에서 무시되어왔던 관찰과 실험의 새로운 역할들을 인정한다. 먼저 관찰의 이론의존성 논제를 지지하는 입장으로서 핸슨과 쿤의 이론이 검토된다. 이어서 핵킹의 실험주의 입장이 소개되고, ’관찰이 이론에 선행하는 경우’와 ‘잘못된 이론과 올바른 관찰이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이론의존성 논제의 문제점이 제시된다. 또한 이론이 갖는 두 가지 역할 즉 관찰을 유도하는 역할과 검사의 목표로서의 역할에 주목하여 이론의존성 논제의 이론적 문제점이 논의된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관찰에 대한 자연스러운 인식적 태도가 이론독립성 논제와 이론의존성 논제, 그리고 실험주의간의 비교를 통하여 제시된다. As is well known, logical positivists held the theory-independent of observation thesis(TIOT). On the other hand, the theories following the logical positivism typically represented by Hanson and Kuhn denied that there was a clear borderline between observation and theory, and held the theory-ladenness of observation thesis(TLOT). In order to mediate those theses I shall suggest a natural epistemic attitude (NEA) to the relation between theory and observation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ism. First, I discuss theories of Hanson and Kuhn as examples of views which profess TLOT. Then, I make a brief introduction of experimentalism and some critical discussions about TLOT follow from a point of the experimentalism: TLOT faces considerable counter-examples such as cases, "observation precedes theory" and "the combination of wrong theory and right observation". I introduce a distinction between the guiding theory and the target theory in experimental situations and illustrate that TLOT loses its alleged power if we consider the distinction. Lastly, I suggest NEA, as conclusion of the paper, which can mediate among TIOT, TLOT, and experimentalism and takes a minimal ontology.

      • KCI등재

        인문치료와 내러티브

        이영의(Rhee, Youngeui),김남연(Kim, Nam-You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7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8

        인문치료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다양한 실존적 문제들과 그로 인한 고통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것들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인지를 연구한다. 인문치료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를 정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인간성에 대한 올바른 통찰 없이 삶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치료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우리가 경험하는 실존적 문제와 정신적 고통 중 상당수는 정체성의 상실 및 혼란과 더불어 타자 및 세계와의 적절치 못한 관계로부터 유래한다. 이 논문은 인문치료의 목적이 올바른 정체성과 세계관 확립에 있다고 보고 내러티브가 인문치료에 관련되는 구체적 방식을 검토한다.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인문치료의 목적과 대상을 중심으로 인문치료의 정체성이 검토된다. 3장에서는 인문치료의 주요 원리로서 초월성원리가 제시되고, 이것을 바탕으로 인간을 내러티브적 존재로 보는 견해가 다루어진다. 4장에서는 이전 논의를 바탕으로 인문치료를 위한 내러티브적 모형이 검토된다. 먼저 매킨타이어(MacIntyre)의 이론에 기반을 둔 내러티브 모형이 제시되고 이어서 존슨(Johnson)이 제시한 인지과학적 모형을 검토함으로써 인문치료의 경험적 토대를 확보하고자 한다. Humanities therapy is a discipline to study various existential problems and sufferings from our daily lives and appropriate attitudes for them. In order for humanities therapy to achieve its purpose, first of all, it has to explicate what human beings are. It is impossible and unfortunate to solve existential problems without proper insights into the nature of human beings, for they are mostly due to people’s loss of identity and their inability to maintain proper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 world. This paper examines a concrete way in which narrative is related to humanities therapy, assuming that its main purpose lies in establishing proper identity and worldview. The order of discussion is as follows. In Chapter 2, the identity of humanities therapy is examined, focusing on its purpose and subject. In chapter 3, the transcendence principle is suggested as a main principle of humanities therapy and the viewpoint which regards human being as a narrative existence is dealt with. In chapter 4,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two narrative models for humanities therapy are examined. First, a model based on the narrative theory of MacIntyre is suggested and, then, the empirical foundation of humanities therapy is secured by examining a narrative model based on the cognitive scientific theory suggested by Johnson.

      • KCI등재

        분산된 인지와 마음

        이영의 ( Young Eui Rhee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8 철학연구 Vol.0 No.36

        인지과학의 새로운 연구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체화된 마음 이론에 따르면 마음은 몸과 분리되어 있지 않고 몸과 환경에 구현되어 있다. 체화된 마음 이론은 현재로서는 일정한 명칭을 갖고 있지 않고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예를 들어 그 이론은 ‘확장된 인지’, ‘분산된 인지’, ‘상황화된 인지’에 대한 이론으로 불리고 있는데 그것들의 세부 내용은 부분적으로 중복되기도 하고 차이가 나기도 한다. 또한 그 이론들은 인지뿐만 아니라 마음에도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독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이러한 이론들 중에서 분산된 인지 개념에 주목하여 그것이 과연 마음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인지는 분산될 수 있지만 마음은 분산될 수 없다”는 기어리의 입장이 비판적으로 검토될 것이다. 논의를 통하여 기어리의 주장이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서 그의 주장은 자신이 추구하는 자연주의적 자세와 일치하지 않을 뿐더러 마음이 갖는 무의식적 측면을 간과한다는 점이 지적될 것이다. 또한 ‘분산’ 개념이 인지와 마음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그것의 대응 개념인 ‘집합’ 개념에 대한 이론화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이 주장될 것이다. In cognitive science a new research programme has emerged since 1990s. It is called as the theory of embodied mind, according to which mind isn`t separated from body but it is embedded in body and its environment. The theory is called as several names, such as the theory of extended cognition, distributed cognition, situated cognition etc. But their contents sometimes coincide and are sometimes in difference. Those theories are applied to mind too, so it makes readers at a loss what they are exactly.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if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oncept of distribution to mind. More concretely, I shall critically examine Giere`s argument that cognition can be distributed, but the mind cannot. I shall point out the two problems of Giere`s argument that (a) his argument is not compatible with his naturalistic stance, and (b) it ignores the unconscious aspect of the mind. In addition I shall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theoretical explication of the concept of `collective`, which is a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distributed`.

      • KCI등재
      • 형식적 마음 모형

        이영의(Rhee, Young 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16 No.-

        인지과학은 인간의 마음, 지능, 인지를 연구하기 위해서 철학, 심리학, 인공지능, 신경과학, 언어학 등 관련된 여러 분야들이 참여하는 학제적 분야이다. 인지과학의 기원은 1950년대에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지능에 관한 이론을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고, 1970년대에 관련 학회가 창립되고 학술지가 창간되면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글의 목적은 인지과학이 제공하는 인지에 관한 두 가지 형식적 모형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인지에 대한 형식적 모형은 튜링기계(Turing machine) 개념에 기반을 둔 기능주의 모형과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에 기반을 둔 연결주의 모형이 있다. 이 글은 그러한 두 형식체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그 체계들에 기반을 둔 마음 모형을 비교할 것이다. The origin of cognitive science started from 1950s when some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ers had developed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began in earnest from 1970s when the Society of Cognitive Science was established and the journal <Cognitive Science> was published.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two formal models of mind in cognitive science. They are the functional model of mind which is based on the notion of Turing machine and the connectionist model of mind which i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is paper shall discuss the formal features of the models and compare the models based on the formal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심슨역설과 인과

        이영의(Young-Eui Rhee) 한국철학회 2007 철학 Vol.92 No.-

        이 글의 목적은 심슨역설에 대한 SGS의 해결책을 평가하는 것이다. 나는 SGS의 해결책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그것들을 피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할 것이다.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심슨역설을 제시하고 그것이 확률 적인과 이론에 대해 제기하는 문제의 성격을 분석한다. (1절) SGS가 제시하는 베이즈망 이론의 이론적 요소들을 확인하고, 심슨역설과 관련되는 근본 가정들을 논의한다. (2절). 이어서 심슨역설의 두 가지의 유형을 제시하고 그것들에 대한 SGS의 해결책을 비판적으로 비교 검토한다. (3절) 마지막으로 SGS의 해결책이 의존하는 존재론적 요소를 검토하고 그로부터 모순적 요소를 지적한다. (4절)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심슨역설에 대한 ㄴSGS의 해결책은 문제점을 갖고 있지만, 심슨역설은 그 자체만으로는 SGS의 이론을 비결정론적 체계에 적용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없다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valuate a solutions of Simpson's paradox which was recently suggested by Spirtes, Glymour, and Scheines(SGS). I shall point out some important problems of the SGS's solutions and then suggest a way to escape them. Section 1 provides a standard form of Simpson's paradox and analyzes features of the problems which the paradox brings about to the theories of probabilistic causation. Section 2 illustrates with theoretical factors of Bayesian networks that SGS's suggestions depend upon and discusses its two fundamental assumptions, i.e., causal Markov condition and faithfulness condition. Section 3 makes a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Simpson's paradox and critically compares SGS's solutions to those types. Lastly, I shall examine an ontological factor(pseudo-indeterminism) inherent in SGS's solutions and point out a contradictory fact resulting from it. It turns out that (ⅰ) there are insuperable problems in SGS's solutions to Simpson's paradox, but (ⅱ) Simpson's paradox itself cannot be an theoretical obstacle to the enterprise where we apply SGS's solutions to indeterministic syste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