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공간·지리적 자료의 공간자기상관성을 최소화하는 공간샘플링 기법에 관한 연구

        이연수,이만출,나경범,강준모,Lee, Youn Soo,Lee, Man Choul,Lah, Kyung Beom,Kang, Jun Mo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4

        The study focused on analyzing spatial sampling by minimizing autocorrelation of spatial based on spatial and geographical data. The study concluded two different ways of minimizing autocorrelation. First, it was important to use suitable spatial sampling method to alienate spatial autocorrelation from spatial or geographical data. The shear distribution rat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Seoul resulted in high rate of autocorrelation. However, the study showed samples eliminated autocorrelation when samples were extracted with reasonable distance(above 400m) apart. Without spatial sampling the distortion of spatial data leads to false results; therefore, spatial sampling is indispensable. Second, factors which fluctuates shear di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spatial sampling changed before and after spatial sampling. This was caused by incapable of controling inherent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data.

      • 폐의 비정형 유암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2예 보고 -

        이연수,박경신,최영진,강석진,김병기,심상인,Lee, Youn-Soo,Park, Gyeong-Sin,Choi, Young-Jin,Kang, Seok-Jin,Kim, Byung-Kee,Shim, Sang-In 대한세포병리학회 1997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8 No.1

        Two cases of pulmonary atypical carcinoid tumor were diagnosed by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Although the cytologic features of atypical carcinoid tumor have been relatively well described, it is easy to confuse atypical carcinoid tumor with typical carcinoid tumor, small cell carcinoma and adenocarcinoma of the lung. Atypical carcinoid tumor has been recognized as a distinct variant of pulmonary neuroendocrine carcinoma, with characteristic histopathologic and clinical features that separate it from both carcinoid and small cell carelnoma. The distinction of atypical carcinoid tumor from small cell carcinoma has important prognostic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The cytologic characteristics of atypical carcinoid tumor included polygonal to fusiform cells with a variable amount of lacy cytoplasm, oval nuclei with coarsely dispersed chromatin and frequent nucleoli, and mild pleomorphism. The malignant cells were arranged either in acinus-like clusterg or in epithelial sheets.

      • KCI우수등재

        장기안심주택 공급 실효성과 거주의사 평가에 관한 연구

        이연수,류훈,박성진,강준모,Lee, Youn Soo,Ryu, Hoon,Park, Sung Jin,Kang, Jun Mo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3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supply effectiveness of the Long-term Secured Public Rental Housing (LSPRH) program implemented by the City of Seoul since March, 2012. To estimate the residential intention of potential applicants for the housing program, two logistic regression models of residential intention are estimated based on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real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model estimation is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the supply of LSPRH and thus to suggest the idea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ntal housing program operation.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financial condition, income level, and public support are the major determinants for selecting LSPRH. It is also revealed that those who are currently living in rental housing or living in a house more expensive than those in nearby areas have higher residential intention for the LSPRH program. The result also presents that som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raditional rental housing programs - such as visually recognizable low-quality exterior building design or the concentration of rental housing on limited spots - could be solved by this new type of public housing program. Lastly, one interesting finding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is that people with the intention to move into either traditional rental housing or LSPRH do not necessarily prefer a more spacious house than their current rental house.

      • KCI등재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증진 프로그램(SRPP)이 초등학생의 도덕성에 미치는 효과

        이연수 ( Youn Soo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연구를 위하여, 실험설계는 집단유형(실험/통제)과 측정시기(사전/사후/추후)의 혼합설계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증진 프로그램을 처치하였다. 연구대상은 학교장과 학부모 및 담임교사의 동의를 얻어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경상북도 P초등학교 4학년 30명(남 15명, 여 15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남 15명, 여 15명 각각 무선으로 배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산분석 결과 상호작용 효과가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 집단유형 간, 측정시기 간 단순 주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증진 프로그램이 도덕성 증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도덕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자기성찰을 잘 하는 학생이 도덕성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결과이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research a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SRPP) on the morality. The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Does the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ectively increase the scores of the test of morality in the treatment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2. Does the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ectively increase the scores of subfactor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previously designed in this study. The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ade up of 12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 30 stud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ey were randomly allotted into 2 groups. each of 15 students. The students of treatment group received a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while the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The f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15 students in each group.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8.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morality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morality than the control group in 5 subfactors such as moderation. courage. sincerity. honesty. and independence.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Sell-Reflection Promo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ignificantly increase the scores of morality.

      • KCI등재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척도(SRS) 개발 및 타당화

        이연수 ( Youn Soo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척도(SRS)를 개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와 기존도구의 고찰을 통하여 자기성찰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철학·윤리·도덕적 관점에서 초등도덕교과 영역과 관련하여 박세원(2009)의 성찰을 중심으로 5개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5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총 149문항의 예비척도를 구성하였고, 경상북도 Y초등학교 6학년 219명(남: 109명, 여: 110명)으로부터 얻는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 추출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스크리 도표의 고유값 하락률과 고유치(eigenvalue) 3 이상을 기준으로 5개 요인이 추출 되었으며, 요인수를 5개로 고정하여 VARIMAX 방식으로 요인분석을 하였다. 요인1은 요인부하량이 .680~.424에 이르며 변량의 12.223%를 설명하였고 28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2는 요인부하량이 .714~.465에 이르며 변량의 10.674%를 설명하였고 21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3은 요인부하량이 .788~.429에 이르며 변량의 10.432%를 설명하였고 19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4는 요인부하량이 .677~.442에 이르며 변량의 9.465%를 설명하였고 26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5는 요인부하량이 .765~.300에 이르며 변량의 7.228%를 설명하였고 18문항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요인별 문항내용을 검토하여 요인1은 ``대화적 성찰``, 요인2는 ``반성적 성찰``, 요인3은 ``공감적 성찰``, 요인4는 ``실존적 성찰``, 요인5는 ``탐구적 성찰``로 명명하였다.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Normed χ2 값이 1.985, GFI = .941, SRMR= .036, AGFI = .937, CFI = .928, RMSEA = .047로 나타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 검증에서 척도 전체의 Cronbach의 α계수는 .975이고, 5개 요인의 신뢰도는 .958~.865이었다. 개발한 척도의 구인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성찰 척도의 요인 간 상관과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를 중심으로 검증한 결과, 각 요인 간 상간은 .692~.376, 각 요인과 척도 전체와 상관은 .828~.721로 p < .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성찰 척도와 자기성찰지능 척도의 상관계수는 .500, 개인이해지능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389로 p <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공격성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397로 p <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로 확인되었다. 척도 활용의 편리를 위하여 요인 별 10문항, 총 50문항의 간편-자기성찰 척도(SSRS)를 구성하였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 .951, 하위요인 신뢰도 계수는 .930~.864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eflection Scale(SRS) for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made up of 8 steps. The first step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researches and theories in the conception of self-reflection. The second step was to construct the operational conception of self-reflection into 5 factors. The third step was to develop 160 items related to self-reflection. As the fourth step,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dified the above 160 items into 156 items. 156 items were revised by five 6th grade students. The fifth step was to determine a preliminary scale consisted of 149 items. As the sixth step, a preliminary scale was tested from 219 6th grade students. As seventh step, the data collected from 219 samples were analyzed to identify sub-factors. 112 items were extracted and 5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s: examinative reflection, existential reflection, dialogical reflection, empathetic reflection, inquiritivel reflection. To examine the st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112-item measurement mode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conducted in AMOS 7.0, and 5 factors were identified. The fit indices for the 112-item 5-factor model were as follows: χ2(df=269, N=219) =1753.37, p=.000; Normed χ2 = 1.985; AGFI = .937; CFI = .928; GFI = .941; RMSEA = .047(at 90% confidence intervals, .043-.057); SRMR= .036. To examin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s of 291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975), split-half reliability(r= .856). To examine the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s of 291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 showed that self-reflection scale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assessment scale(r= .500) and negatively related to aggression scale(r= -.397). As the eighth step, SRS was developed and 112 items were determined. In conclusion, this instrument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a self-reflection for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자기배려 방법으로서 자기탐구보고서 쓰기 사례연구

        이연수 ( Lee Youn So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0

        배려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타인에 대한 배려’와 ‘자신에 대한 배려’가 그것이다. 도덕교육에서 ‘자기배려’는 타인 배려와는 달리 자기중심성 혹은 이기심과 관련된 것으로 여기고 타인 배려만큼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어 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자기배려에 대한 교육을 소홀히 하거나 가볍게 여길 수는 없다. 왜냐하면 자기배려는 타인 배려와 상충하거나 대립하지 않으며, 건전한 배려의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자기배려가 건전한 도덕성과 인성의 기초라면 자기배려를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자기배려의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글쓰기, 대화, 독서, 명상, 경청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배려의 방법으로서 자기배려가 갖는 의미를 잘 드러내고 도덕적 주체로서 삶의 형성이라는 도덕 교육의 목적을 잘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글쓰기 가운데 자기탐구보고서 쓰기에 주목한다. 즉 자기배려의 방법으로서 자기탐구보고서 쓰기가 갖은 의미와 자기배려에 대한 함의를 실제 자기탐구보고서 쓰기 사례 연구를 통해 질적으로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결과, 자기탐구보고서 쓰기는 관계성에 대하여 조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계적 자기 형성에 이바지하며, 자기 삶의 저자와 주인공으로서 주체적으로 자기 존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사랑의 과정을 통해 자아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을 줌으로써 자기배려의 실효성 있는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offer the alternative method as caring for self. Research Question 1. D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n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Research Question 2. What does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mean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their lives? Research Question 3. What does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mean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a self-caring? Human beings live in their narrative. Narrative is the style of life.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is presented as example and method of narrative in this study.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gives self-understanding to preservice teachers. In other wor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self and others in the process of conforming a self-exploring report This study showed that writing a self-exploring report is suitable for the alternative method in caring for self.

      • KCI등재

        초등학생용 자기배려 척도(SSC) 개발 및 타당화

        이연수 ( Lee Youn-so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배려의 정도를 경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초등학생용 자기배려 척도(the scale of self-car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SC)’ 를 개발하는 것이다. SSC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총 50문항의 예비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예비문항을 K초등학교 5, 6학년 231명을 대상으로 요인 추출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스크리 도표의 고유값 하락률과 고유치(eigenvalue) 1 이상, 요인 부하량 .3이상을 기준으로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간 상관관계가 예상되기 때문에 요인수를 5개로 고정하여 사각요인회전(OBLIMIN) 방식으로 요인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요인별 문항내용을 검토하여 요인1은 ‘자기이해’ , 요인2는 ’자기수용’ , 요인3은’자기조절’ , 요인4는 ’자기존중’ , 요인5는’자기 주도성’ 으로 이름 하였고, 각 요인별로 5문항씩 총 25문항이 추출되었다.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B초등학교 5, 6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Normed χ2 값이 1.904(df=265), GFI = .901, CFI = .914, RMSEA = .045로 나타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SSC의 신뢰도 검증에서 검사 전체의 Cronbach의 α계수는 .926이고, 5개 요인의 신뢰도는 .921~.876이었다. 전후반분 신뢰도는 .908, Guttman 반분계수는 .899, 재검사 신뢰도는 .92이었다. 개발한 검사의 구인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SSC의 요인간 상관을 검증한 결과, 각 요인 간 상관은 .256~.460, 각 요인과 검사전체와 상관은 .425~.602로 p < .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SSC는 통계적으로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of Self-Caring(SSC)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date from 231 samples were analyzed to identify sub-factors. 25 items were extracted and 5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s: self-respect, self-acceptance, self-control, self-directed. To examine the st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25-item measurement model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AMOS 21.0, and 5 factors were identified. The fit indices for the 25-item 5-factor model were as follows: χ2(df=265, N=212) =504.442, p< .000; Normed χ2 = 1.904; TLI = .903; CFI = .914; GFI = .901; RMSEA = .045(at 90% confidence intervals, .042-.051). To examin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s of 2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926), split-half reliability(r= .92). In conclusion, this instrument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a self-caring for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비동력 녹색교통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공간구조 요인 결정에 관한 연구

        이연수(Lee, Youn-Soo),강준모(Kang, Jun-M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비동력 녹색교통의 활성화를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시공간구조적 관점에서 파악하여 보행 등의 비동력 녹색교통수단의 증진에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공간자기상관 분석 결과 도심지역은 비동력 녹색교통의 이용이 활발하지 않은 지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비도심지역은 그 반대의 결과로 나타났다. 공간회귀분석 결과 첫째, 토지이용과 관련된 변수인 토지이용 다양성지수의 변수는 비동력 녹색교통수단 분담률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앞으로 토지이용 계획을 세울 때 토지이용의 다양성을 높여서 개발하고, 기 개발이 된 지역에서도 비동력 녹색교통 관련 시설을 배치하여야 한다. 둘째, 대중교통 관련 변수인 지하철역 수는 비동력 녹색교통 분담률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도시기반 관련 요소인 도시계획시설 수는 비동력 녹색교통 분담률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기반시설 및 편의시설의 확젓은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보행 및 자전거의 이용을 증진한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non-motorized transportation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vitality of green transportation, specifically from the view of urban spati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urban areas are classified as regions that are less active in using green transportation, whilst opposite results have been identified for non-urban areas. The spatial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firstly, variables such as the Building Diversity Index has positive effects on the use of non-motorized green transportation, which means a reason to increase land use variety during civil planning step. Secondly, the number of subway stations, a public transportation-related variable, turned out to have negative impacts on non-motorized transportation. Thirdly, the number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raises positive result on green transportation. Accordingly, the expansion of urban infrastructures and amenities promote the use of walking and cycling which require no motor.

      • KCI등재

        Tillich 신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이연수 ( Lee Youn-so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4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영역`은 2007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이 영역은 인간관계 수준의 도덕을 너머 자연, 종교 등과 같은 초월적 차원의 도덕을 다루고자 한 것으로 내용의 질적 심화와 범위 확장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영역과 관련하여 Tillich의 상관관계의 방법 그리고 존재신학과 문화신학이 초등 도덕과 교육에 함의하는 바에 대한 연구이다. Tillich의 상관관계의 방법, 존재신학, 문화신학은 특정 종교에 국한되지 않고 초월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도록 도울 수 있고, 인간 삶과 경험 그리고 문화를 종교와 관련하여 해석하기 때문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 즉 종교를 성직자와 경전 및 교리를 갖추고 믿음 생활을 하는 특정 영역의 좁은 의미로 사용하지 않고, 인간 실존의 의미를 궁극적 관심으로 해석함으로써 인간 삶 자체를 종교적으로 해석하였다는데 의의가 크다. Tillich의 도덕교육에 대한 함의는 존재의 신비와 존재경험, 초월로서 궁극적 관심, 존재론적 이성의 회복, 자기존재 구성 과정으로서 도덕, 상관 관계적 사고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 of Tillich`s the method of correlation, being and culture theology for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illich`s theology is helping to define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but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religion. Tillich`s theology does not use religion as a priest and a narrow meaning of the scriptures and doctrines of the faith, living the specific area. By interpreting the ultimate concern in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the fact that the human life itself was interpreted as a religious is significant. Tillich`s implication o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dialectical thinking, the mystery and experience of existence, the ultimate concern as transcendence, recovery of ontological reason and ontological exploring way as an ontological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