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세조류 이용 하폐수처리 공정에서 고액분리와 미세조류 농축을 위한 막 증발법 적용 = Wastewater treatment using microalgae and application of membrane distillation for solid-liquid separation and microalgal biomass concen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91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microalgae was used to treat wastewater, at the same time, microalgae used for wastewater treatment was concentrated and separated by applying DC-MD. This process is a new paradigm that can treat wastewater and recover sustainable energ...

      In this study, microalgae was used to treat wastewater, at the same time,
      microalgae used for wastewater treatment was concentrated and separated by
      applying DC-MD. This process is a new paradigm that can treat wastewater
      and recover sustainable energy.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microalgae
      was derived from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specific growth rate of
      microalga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wastewater, and the possibility of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was estimated. Also examined the influence about
      membrane. Microalgae was set to Chlorella Vulgaris in Mixotrophs, wastewater
      imitated artificial sewage. In the research, the process was carried out in 3
      chapters. In the chapter 1, the specific growth rate and the yield coefficient of
      each component were derived by treating low concentration (SCOD 100mg·L-1,
      T-N 20mg·L-1, T-P 2mg·L-1) and high concentration (SCOD 400mg·L-1, T-N
      40mg·L-1, T-P 10mg·L-1)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microalgae. In the
      chapter 2, the use of DC-MD process to concentrate and separate microalgae
      was investigated, and in the chapter 3, the possibility that microalgae used for
      wastewater treatment was concentrate and separate by applying DC-MD was
      evaluated. In the chapter 1, microalgae under all conditions removed each
      component (SCOD, T-N, T-P).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0.21day-1)
      was revealed at high concentration (SCOD 400mg·L-1, T-N 40mg·L-1, T-P
      10mg·L-1) of artificial sewage. It was 6 times lower than other literatures, and
      Yield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was also measured lower
      than the other literatures. Although wastewater treatment is possible through
      microalgae, it is judged that the concentration of microalgae can be set lower
      than 0.5g·L-1.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microalgae concentrationapplied DC-MD, the concentration of microalgae was set at 0.5g·L-1, 1g·L-1,
      3g·L-1,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eed and permeate solution was
      20oC, 40oC, 60oC, and the cross flow velocity was 0.09m·s-1, 0.18m·s-1. At
      3g·L-1 of microalgae, the permeate flux decreased dramatically on the 1day,
      and at 1g·L-1 of microalgae, 0.18m·s-1 of the cross flow velocity, wetting
      occurred on hydrophobic membrane. At 0.5g·L-1 of microalgae, 40oC of
      temperature difference, 0.09m·s-1 of the cross flow velocity, the change in
      permeate flux was the least, and at 60oC of temperature difference, 0.18m·s-1
      of the cross flow velocity, the concentration rate of microalgae per time was
      the highest.. Based on chapter 2, in the chapter 3,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centrating microalgae using wastewater treatment on DC-MD. The
      permeate flux in both conditions was more sharply decreased than chapter
      2’same conditions. At 60oC of temperature difference, membrane wetting
      occur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DC-MD to concentrate the
      microalgae with wastewater treatment if proper temperature diffence between
      feed and permeate solution and cross flow velocity was set, and it is
      necessary to membrane cleaning for long mainten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고 막 증발법을 적 용하여 미세조류와 처리수를 분리하고 이 과정에서 농축된 미세조류를 회 수하여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등 신...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고 막 증발법을 적
      용하여 미세조류와 처리수를 분리하고 이 과정에서 농축된 미세조류를 회
      수하여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원료로 제공하
      는 방법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하·폐수의 농도에 따른 미세조류
      의 처리 효율 및 성장률 통하여 미세조류 적정 농도를 도출하고, 이를 막
      증발법에 적용하였을 때 고액분리 및 미세조류 농축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
      하며 또한 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세조류는 혼합영양성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로 설정하였으며, 인공하수를 만들어 실제 하·
      폐수를 모방하였다. 연구는 총 3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다양한 미
      세조류 농도로 저농도 (SCOD 100mg·L-1, T-N 20mg·L-1, T-P 2mg·L-1), 고농
      도 (SCOD 400mg·L-1, T-N 40mg·L-1, T-P 10mg·L-1) 인공하수 처리를 함으로
      써 평균 미세조류 비 성장속도 및 각 성분에 대한 미세조류 증식 계수를
      도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미세조류 고액분리 및 농축에 대해서 막 증발법
      적용이 가능한지 평가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하·폐수 처리에 이용된 미세
      조류를 막 증발법을 이용하여 고액분리 및 농축을 하고, 막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단계에서는 모든 조건에서 미세조류가 각 성분
      (SCOD, T-N, T-P)을 제거를 하였으며, 미세조류의 농도 0.5g·L-1, 고농도의
      인공하수 (SCOD 400mg·L-1, T-N 40mg·L-1, T-P 10mg·L-1)에서 가장 높은 평
      균 미세조류 비 증식률(0.0324day-1)이 나타났지만 다른 문헌과 비교하였을
      때 6배 낮았으며, 각 성분에 따른 미세조류 증식 계수 (Yield coefficient) 또
      한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하·폐수 농도 대비 미세조류 농도가 높기 때문
      이라고 판단하였다. 미세조류를 통하여 하·폐수 처리는 가능하지만 F/M비
      는 0.8g-SCOD·g-VSS-1·day-1이상 설정해야한다고 판단된다. 미세조류 농축에
      막 증발법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미세조류 농도 0.5g·L-1, 1g·L-1,
      3g·L-1로 설정하였으며 유입수와 처리수의 온도 차이 20oC, 40oC, 60oC, 막
      표면 흐름 유속 0.09m·s-1, 0.18m·s-1로 설정하였다. 미세조류 농도가 3g·L-1
      에서는 1일 만에 급격한 투과 유속이 감소하였으며, 1g·L-1유입수와 처리수
      의 온도 차이 60oC, 막 표면 흐름 유속 0.18m·s-1에서는 막 젖음 현상(Wetting)이 발생하였다. 0.5g·L-1에서는 유입수와 처리수의 온도 차이 40oC,
      막 표면 흐름 유속 0.09m·s-1에서 투과 유속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온도 차
      이 60oC, 막 표면 흐름 유속 0.18m·s-1에서 시간 당 미세조류 농축률이 가장
      높았다. 이를 기반으로 3단계에서는 하·폐수 처리를 한 미세조류를 막 증
      발법을 이용하여 농축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두 조건 모두 미
      세조류만 막 증발법을 적용했을 때보다 투과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유입수와 처리수의 온도 차이가 60oC인 경우 막 젖음 현상(Wetting)이 발생
      하였다. 이를 통하여 미세조류 농축에 막 증발법 적용이 가능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 및 유속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막을 오래 유
      지하기 위해서는 막 세정(Cleaning)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내용 및 구성 8
      • Ⅱ. 연구 재료 및 방법 9
      • Ⅰ. 서론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내용 및 구성 8
      • Ⅱ. 연구 재료 및 방법 9
      • 2.1 연구 재료 9
      • 2.1.1 인공하수의 특징 9
      • 2.1.2 미세조류 배양 10
      • 2.1.3 막 증발법에 사용된 유입수 12
      • 2.1.4 막 증발 법 모듈의 특징 및 분리막의 특징 14
      • 2.2 연구 방법 16
      • 2.2.1 막 증발법 장치 16
      • 2.2.2 실험 조건 18
      • 2.2.3 투과 유속 (Flux) 측정 22
      • 2.2.4 수질 성분 분석 23
      • 2.2.5 막 표면 분석 24
      • Ⅲ. 결과 및 고찰 25
      • 3.1 미세조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25
      • 3.1.1 시간에 따른 유출수 수질변화 25
      • 3.1.2 평균 미세조류 비 증식 속도 (Average specific microalgal growth
      • rate, μ) 28
      • 3.1.3 미세조류 증식 계수 (Yield coefficient ,Y) 30
      • 3.1.4 결과 요약 34
      • 3.2 미세조류 농축을 위한 막 증발법 적용 가능성 평가 35
      • 3.2.1 투과 유속(Flux) 변화 35
      • 3.2.2 제거율 40
      • 3.2.3 분리막 분석 45
      • 3.2.3.1 FE-SEM & EDX 관측결과 45
      • 3.2.3.2 FT-IR 관측결과 49
      • 3.2.3.3 분리막 표면 접촉각 관측결과 53
      • 3.2.4 결과 요약 58
      • 3.3 막 증발법을 적용한 잉여 미세조류의 농축 59
      • 3.3.1 투과 유속(Flux) 변화 59
      • 3.3.2 제거율 62
      • 3.3.3 분리막 분석 65
      • 3.3.3.1 FE-SEM 관측결과 65
      • 3.3.3.2 FT-IR 관측결과 66
      • 3.3.3.3 분리막 표면 접촉각 관측결과 68
      • 3.3.4 결과 요약 69
      • Ⅳ. 결론 70
      • 참고 문헌 72
      • Abstract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