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 논문은 석사과정 졸업공연에서 발표한 4곡의 자작곡을 형식, 선율, 화성, 편곡 등의 분석을 통하여 작품의 특징을 살펴 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oving You 사랑이 시작되는 단계에서 기분 좋은 생각이 많아지는 순간을 노래하는 곡이다. 페달 포인트를 주로 사용하였고, 후렴 를 반복하여 반키를 상행 전조하여 -‘ 를 반복하고 엔딩으로 마무리 되는 형식이다. 2. Sorry 이별에 끝에 선 오래된 연인, 남자는 여자에게 이별을 통보하고 상처받은 여자는 스스로를 위로하는 곡이다. 전체전으로 곡의 분위기를 어둡게 하기위해서 디미니쉬 코드가 주로 등장하고 베이스의 순차적인 진행이 포인트인 곡이다. 3. Primavera Primavera는 봄을 뜻하는 스페인어이다. 보사노바리듬의 곡으로 돌아오는 봄처럼 새롭게 시작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감성적인 피아노 선율과 따라하기 쉽고 반복직인 코러스가 나타난다. 4. You 단둘만의 시간은 너무 짧게 느껴져 떠나보내기 아쉬운 마음을 표현한 곡이다. This paper formalizes the original composition of the piece through analysis of propaganda, melody, harmony, and arrangement. The abbreviation is as follows. 1. I love you. Love begins. Good ideas begin. Repeat back and recoil repeatedly, and it is the form which it repeatedly blocked and suppressed from the prize. 2. I'm sorry. A man tells a man goodbye and gets hurt. Slowly keep the atmosphere in front of the whole song. 3. Primavera Primavera represents spring. Bossa Nova Richard's song has just begun. Emotional piano melody and practice is a repetition right angle chorus. 4. You The only time was too much time.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의 실내조경 이용 후 평가 : 제1터미널을 중심으로
이수지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산업화에 의한 도시화는 인류의 삶에 물질적 풍요는 안겨주었지만, 건강한 정신 의 육성을 위한 쾌적한 환경 제공이라는 측면에선 부족했다. 이는 곧 도시인의 생 활 형태를 실내위주로 변화시키는 계기로 작동하였으나, 그에 따른 스트레스 및 부 작용을 낳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도시화는 인간에게 새로운 환경 조성의 과제를 안 겨준 것이다. 변화된 생활상에 맞추어 실내에도 자연이 도입되기 시작하였고, 그로 인해 실내 조경이라는 분야의 개척과 학문적 개념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실내조경은 조경과는 다르게 옥외공간이 아닌 실내에 자연환경을 조성하는 전문 분야이기 때문에, 작게는 가정집에서부터 크게는 메가 프로젝트(Mega Project)의 공간까지 그 범위가 아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현재는 실내조경의 조성 유무 (有無)로 인해 내부 공간의 이미지 및 이용자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국제공항은 21세기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이며, 2001년 3월에 역사적인 개 항을 하게 됨으로써 공항시설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다양한 문화시 설은 인천국제공항의 더 나은 발전과 많은 외국 이용객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 주고 공항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인천국제공항 은 실내 환경 개선과 미적 경관 향상을 목적으로 여객터미널 내 벽면녹화와 조 경 식물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였고, 공기정화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 공간 조성에도 꾸준히 힘쓰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 만족도와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을 수행하여 이용 후 평가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실내조경 계획 시 고려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국제공항 이용객의 성별 비율은 비슷하며, 여행을 목적으로 2~4시간 정 도 머무르는 것이 주된 행태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출발 티켓팅 시간과 보안검사, 출국심사 시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하여 본 연구의 중점이 되는 실내조경시설의 이용 여부를 구체적으로 확인해본 결과 이용을 해 본 적이 없다는 항목이 반수 이상으로(64.5%) 높게 나타났다. 출·입국을 위해 시간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방문 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에 대한 이용객들의 만족도 분석 결과 비교적 만족하 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 만족도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에 대하여 만 족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식생의 종류에 따른 만족도 연구에 따르면 주로 여성은 화 초형을, 남성은 수목형을 선호한다는 결과가 있다. 현재의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에는 화려한 꽃 보다는 녹색 잎의 초화류와 관목 등 수목형 형태의 식재가 주로 되 어 있다. 즉, 이러한 이유로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실내조경 만족도는 남성이 높 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능성, 인지성, 접 근성, 이용성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하였다. 다양한 식물의 서식 환경을 제공하고, 실 내 조경 건축 재료의 경직성을 완화하고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고 있다는 요인 이 기능성 측면의 중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인지성에서는 실내정원이 시야에 언제든지 들어오고 있다는 점, 접근성에서는 실내정원 주변에 적재물이 없어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 이용성에서는 인천공항 실내정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많이 생겼으면 한다는 점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다양한 식물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건축적인 경직성을 완화하고 안정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점을 강화하고, 실내조경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이용객의 욕구를 높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싱가폴과 덴버, 오슬로 국제공항과 같은 해외 사례 에서는 자연을 실내공간으로 끌어들여와 자연과 건축이 하나가 된 실내조경을 볼 수 있다. 식물의 도입으로 건축적 경직성을 완화하고, 이용객들에게 안정감을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식물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 실내 조경 사례들을 국내 실 정에 맞게 도입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국제공항은 대한민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대부분이 가장 먼저 접하는 장소이다. 좋은 국가 이미지를 전달하고, 지금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인천국제공항 이용객들이 실내조경에 대한 관심으로 실내조경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그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추석 기간에 한정된 조사로 이용객의 특성에 따른 시기별, 이용 패턴별 등 다양하게 분 석하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계절별, 이벤트별로 조성되는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 계획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연구가 진행이 된다면 문제점을 보안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음악 전공 고등학생과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비교 연구 : 전북지역 예술고, 전통고, 인문계고 중심으로
이수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예술 고등학교와 전통고등학교 음악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실태를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고,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학년, 성별, 전공, 진학동기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위치한 G 인문계 고등학교 145명, J 예술 고등학교 111명, H 전통문화고등학교 54명을 대상으로 하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와 한국직업능력 개발원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고등학생과 음악을 전공하는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인 부분에서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일찍이 음악을 전공으로 선택한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결정과 관련한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 고등학생과 음악을 전공하는 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계획성, 독립성, 자기이해, 정보 활용 및 진로 결정 능력, 직업에 대한 지식에서 음악전공 학생들이 더 높은 점수가 나왔다. 반면에 일에 중요성 인식과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음악 전공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스스로 진로목표를 결정하고 미래의 계획을 세울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이 높은 반면에 진로에서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 스스로 헤쳐 나갈 수 있는 믿음은 낮게 나왔다. 넷째, 진로성숙도는 각 하위요인을 측정하는 척도가 다른지만 같은 척도로 측정되는 하위요인에서는 일에 대한 태도가 가장 높고, 독립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직업의 의미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직업의 중요성은 잘 알지만 자신이 결정한 진로의 책임을 수용하고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려는 태도가 낮게 나왔다. 다섯째, 음악전공 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에서는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왔다. 그 외 직업정보, 미래계획, 문제해결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오지 않았다. 여섯째, 진로성숙도의 계획성과 독립성, 자기이해에서는 학년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의 중요성 인식과 정보 활용 및 진로결정 능력에서는 여자와 남자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이해에서는 학년별,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왔다. 결론적으로 음악 전공 학생들은 일반 고등학생들과 비교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더 높다. 또한 음악 전공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자신감이나 준비도는 높지만 세세히 살펴보면 다른 부분에 비해 약한 부분도 있다. 그러므로 음악이라는 전공이 정해진 고등학생들에게 자신에게 맞는 직업과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념하여 지도하고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수지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효과적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E대학교병원의 성인 외과 중환자실 간호사와 내과 중환자실 간호사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참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전 E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EU21-041) 후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의료관련감염 격리 지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인식은 2010년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의료관련감염 감염관리지침과 미국 질병관리센터(CDC)의 의료관련감염증 관리지침의 권고기준을 근거로 송진옥(2012)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의료관련감염관리 수행도는 미국 CDC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침, 질병관리청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침을 토대로 손정아가 개발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이행도구를 구지은(2018)이 수정보완한 감염관리 지침 수행 도구를 사용하였다. 손위생 수행률은 질병관리청의 의료관련감염 감염예방지침에 근거한 손위생 관찰기록지를 이용하였고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은 본 연구기관의 감염관리위원회에 매월 보고되는 VRSA 발생률, VRE 발생률, MRSA 발생률, MRPA 발생률, MRAB 발생률, CRE 발생률을 이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군에게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교육 프로그램 제공 없이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G*power 3.1.9.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두 개의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효과크기 0.5, 검정력 .90, 유의수준 .05로 계산하였을 때 각 군당 22명이 산출되었으나 탈락률 20%를 고려해 총 54명을 각 군당 28명으로 편의 배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7월 27일부터 2021년 8월 27일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t-test와 χ2 -test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의료관련감염 격리 지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인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를 t-test로 분석하였고 손위생 수행률과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은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내적 일관성을 보는 Cronbach’s α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의료관련감염 격리 지식을 비교한 결과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535, p=.131). 2) 의료관련감염관리 인식을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431, p=.158). 3) 의료관련감염관리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838, p=.072). 4) 손위생 수행률은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3개월에 비해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3개월의 평균 점수는 감소하였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2.872, p=.339). 5)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은 실험군은 교육 후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은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나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9.333, p=.201). 즉,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에 즉각적인 효과는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의료관련감염 격리 지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인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수행도, 손위생 수행률,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에게 효과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더 나아가 실무의 특성과 현실에 반영된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스마트홈 대화형 에이전트의 페르소나와 체화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대화 주제와 에이전트 시각화 요인을 중심으로
이수지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스마트홈 환경에서 사용자의 일상생활에 밀착되어 도움을 주는 홈 디지털 비서의 적합한 이미지와 페르소나 설계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장기적으로 사용자의 전반적인 일상생활을 지원하게 될 홈 디지털 비서에게 사용자는 언제든지 믿고 맡길 수 있도록 신뢰감과 친밀감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음성 중심의 서비스에서 체화된 에이전트로, 일상 업무를 돕는 기능적 역할 뿐만 아니라 감정적 교류를 나누며 동반자적 관계를 맺는 사회적인 대상으로 확장되는 홈 디지털 비서의 발전 동향에 따라 적절한 외형 이미지와 페르소나의 설계 방향을 구축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화면 안에 있는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시각적인 체화에 대한 의인화 효과에 집중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 연구와 달리 스마트홈이라는 특수한 상황 맥락에서, 에이전트의 시각적인 체화와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기능적인 역할, 정서적 교류를 하는 사회적인 역할에 따라 홈 디지털 비서에 대한 인식과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실험은 독립변인을 조작한 영상을 통해 지각된 의인화, 신뢰, 지속 사용 의도와 지각된 기대, 지각된 성과, 기대일치를 측정하여 사용자 경험 요인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사람들은 업무의 효율을 돕는 기능적인 홈 디지털 비서에게 감정적 교류를 하는 사회적인 홈 디지털 비서보다 더 높은 신뢰를 보였고 지속 사용 의도가 높았다. 또한 기능적인 디지털 비서에 대한 지각된 기대가 높은 만큼, 지각된 성과와 그에 따른 기대일치도 높게 평가하였다. 더불어 홈 디지털 비서의 가상 캐릭터 존재 여부와 역할(기능적 - 사회적)에 따라 지각된 기대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홈 디지털 비서가 체화된 에이전트인 경우와 음성 에이전트인 경우 모두 사회적인 디지털 비서 보다 기능적인 디지털 비서에 대한 지각된 기대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홈 디지털 비서의 체화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기능적인 홈 디지털 비서'라는 페르소나 설정이 홈 디지털 비서에 대한 인식과 수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보여 준다. 반면, 홈 디지털 비서의 체화는 사회적인 디지털 비서에 대한 사용자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음성 에이전트에 비해 사용자 경험에 긍정적 효과로 나타나지 않았다. 참가자 인터뷰 기반으로 해석한 결과, 체화된 에이전트의 사람과 유사한 외형은 친근감과 신뢰감을 줬지만, 이미 기존의 음성에이전트와의 상호작용 경험에 익숙한 사람들은 무형의 음성에이전트를 자연스럽고 만족스럽게 여겨 효과 차이를 크게 느끼지 못하였다. 또한 외형적 의인화 수준이 높은 체화된 에이전트가 음성 에이전트에 비해 인간과 다른 부자연스러운 부분이 대비되어 더 부각되어짐으로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유의한 효과로 발현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홈 디지털 비서의 체화와 페르소나 설정이 인공지능 대화형 에이전트와의 의사소통 경험 및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또한 홈 디지털 비서의 체화 설계에 대해 논의되어야 할 요소를 도출하고, 사람들이 기대하고 선호하는 홈 디지털 비서의 페르소나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ppropriate appearance image and persona design directions for home digital assistants, which are closely attached to users' daily lives in future smart home environments. As a long-term relationship, users should be able to have trust and intimacy with home digital assistants so that they can entrust personal daily tasks at any time. It is essential to build the design direction of appropriate external images and persona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rend of home digital assistants, which is the development of voice-oriented services to embodied agents and expansion into 'social AI' with companionship sharing emotion as well as 'functional AI' that helps daily task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anthropomorphism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the AI agent on the user experience. It investigated the impact of home digital assistants' visualization style and task roles on the perception of trus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The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four types of video clips and the survey measured UX factors such as the perceived anthropomorphism, trust, continuous usage intention, perceived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Results showed that people had a higher trust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 functional home digital assistants who helped work efficiency than social home digital assistants who had emotional exchanges. Also, as perceived expectations for functional digital assistants were higher, perceived performance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were also highly evaluated. In addition,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in perceived expectat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virtual characters (voice vs. embodied agent) and the role (functional AI vs. social AI) of home digital assistants. Both the embodied agent and the voice ag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ived expectations for functional digital assistants than social digital assista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ain effect on the user experience of an embodiment of conversational age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ersona setting of 'functional home digital assista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and acceptance intention of home digital assistant.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home digital assistant has no effect on the user experience of the social digital assistant and has not appeared as a positive determinant of the user experience compared to the voice agent. Participant interviews showed that, although the person-like appearance of the embodied agent gave a sense of familiarity and trust, the intangible voice agent was considered natural and satisfactory for those who were already familiar with the voice agent. In addition, the 'Uncanny Valley' phenomenon was noticeable as the embodied agent with a high level of appearance personification was more prominent compared to the voice agent due to the contrast of unnatural parts different from humans. This study revealed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embodiment and persona settings of home digital assistants on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perception changes with AI conversational agents.
실용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자메이카 댄스홀 춤에 대한 기초 인식조사 연구
이수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고는 실용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댄스홀 춤에 대한 것으로, 댄스홀 춤은 자메이카의 스트릿 댄스에서 기인한 문화와 더불어 성장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이후, 케이팝의 흥행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댄스홀 춤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지만, 대중들에게는 최근 유행했던 ‘스우파(스트릿 우먼 파이터)’를 통해 표착되는 계기가 되었고, 전공자들 사이에서는 훨씬 이전부터 실질적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고는 국내 실용무용 전공자를 중심으로 댄스홀 춤의 기초 인식조사 연구를 진행하여, 대중과 전공자들 사이에 댄스홀 춤의 이론적 성립을 추구하고, 이후 보다 체계적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실용무용 범주에 속하는 스트릿 댄스는 이전에 순수 무용보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댄서들만의 특수 영역에 속했지만 오늘날의 스트릿 댄스는 대중문화 속에서 자연스레 받아들여진다는 점에서 일반 영역으로 확장·해석되었다. 댄스홀 춤의 ‘댄스홀 Dancehall’은 다른 예술분과처럼 음악과 춤, 공간과 문화까지 지칭할 수 있는 광의적 스펙트럼을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댄스홀 춤’에 국한하여 그 단어를 사용하고, 개념적으로 다른 맥락으로 사용할 때는 한정 수사를 활용하여 분명히 지칭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댄스홀 춤’에 대한 전공자들의 기초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세부적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기초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지 밝힌다. 국내 실용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댄스홀 춤에 대한 기초 인식 현황은 대체로 자각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지만, 본 연구를 첨예화하여 들여다보면, 그 양상이 실용무용 전공자 사이에서 따라 하기 쉬운 느낌을 가지고 현시대의 댄스 트렌드를 이끄는 흥미로운 춤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용무용 범주 안에서 큰 입지를 다지고 있는 댄스홀 춤의 향후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실질적 활용을 넘어서 이론적 기반을 다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practical dance majors. Research is about Dancehall dance, which grew with the culture of street dance in Jamaica. In Korea, after the 2000s, it began to be accepted in earnest with the success of K-pop. Domestic research on Dancehall dance is still insufficient, but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be drifted through the recent popular "SWF (Street Woman Fighter)" and has been practically used among majors for a long time. This paper aims to pursue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Dancehall dance among the public and majors by conducting a basic perception survey on Dancehall dance majors in Korea and contributing to more systematic development. Street dance, which belongs to the practical dance category, was previously relatively undervalued than pure dance and belonged to the dancers' special area, but today's street dance was expanded and interpreted as a general area in that it is naturally accepted in popular culture. Dancehall of 'Dancehall Dance' has a broad spectrum that can refer to music, dance, space, and culture, like other art division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word is limited to 'Dancehall dance', and when used in a conceptually different context, it will be clearly referred to using a limited investig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perception of majors about 'Dancehall dance' and reveals in detail the difference in basic perception of Dancehall da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lthough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results that domestic practical dance majors are generally aware of the basic perception of Dancehall dance, Hence, it is quite obvious to say that this study sharpens and can be seen as an interesting dance that leads the current dance trend.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Dancehall dance, which has a large position within the practical dance category, it is necessary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beyond practical use.
이수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Objectives : Fluoridation of drinking water is known to decrease dental caries, particularly in children. However, the harmful effect of fluoridated water on cancer are still in controversy over several decades. To assess the risk of cancer related to water fluoridation, We evaluated the cancer mortality rates between some fluoridated cities and non-fluoridated cities in Korea. Methods : Cheongju and Jinhae were chosen as fluoridated areas and Chungju, Chuncheon, Wonju as non-fluoridated areas for the study. We compared the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from specific cancer deaths including stomach, colorectal, liver, pancreas, lung, breast, and cervical cancers in South Korea from 1998 through 2005, using registered death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mortality rates were directly standardized with 5-year age groups, using the average age distribution from 1998 to 2005 in the South Korean population. All analyses were performed separately for men and wome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12.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Results : The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in Jinhae were higher than average rate of Korea and non-fluoridation cities, and specific cancer mortality rates were also higher in Jinhae except for stomach and colorectal cancer in male, and colorectal and pancreas cancer in female. However, other fluoridaton city, Cheongju did not show the similar pattern with Jinhae. The mortality rates of Cheongju were lower or similar to the average rate of Korea. And only colorectal cancer among seven cancers studied showed higher mortality rates than other non-fluoridated areas. There was no increasing trend and no consistency of cancer mortalities in fluoridated areas. Conclusion : Our study does not support the suggestion that fluoridation of water supplie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cancer mortality in Korea in spite of higher cancer mortality in Jinhae city. Key words: Fluoridation; Drinking water; Cancer; Mortality; 목적 :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은 치아 우식증 예방에 가장 경제적인 사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 수돗물 불소화에 따른 암 발생의 위험은 계속 논란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 사망 자료를 이용하여 수돗물 불소화지역들과 비 불소화 지역들간에 암 사망률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 수돗물 불소화를 시행하고 있는 지역으로는 청주와 진해가 불소화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지역으로는 충주, 춘천, 원주가 선정되었다. 통계청에서 1998년부터 2005년까지 5세 단위 주민등록 인구수자료를 다운받아 이를 5세단위 시군구별, 연령별로 구조화 하였다. 암 사망 자료는 1998년에서 2005년까지의 등록된 사망 자료를 통해 확보하였으며, 그 중 위암, 대장암, 간암, 췌장암, 폐암, 유방암, 자궁암의 남녀별로, 연령에 대한 직접 표준화를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수행결과 진해지역의 표준화 사망률이 대조지역과 우리나라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남자의 경우 위암과 대장암, 여자의 경우 췌장암과 대장암을 제외한 모든 암들이 불소화지역인 진해어서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나 증가하는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 다른 불소화지역인 청주의 경우에는 대장암에서 비불소화지역보다 높은 사망률을 보였고, 대장암을 제외한 다른 암들은 오히려 비 불소화지역과 우리나라의 평균 보다 낮거나, 비슷한 사망률을 보여 두 불소화 지역 간에 같은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akahashi 등(2001)이 IARC(WHO)의 자료를 이용하여 불소화와 암의 발생률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에서 폐암은 관련성이 거의 없다고 보고하였으나, 진해 지역에서는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결론 : 비록 불소화 지역인 진해의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암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지 않았고, 흡연과 관련된 폐암 사망률이 높았다. 또한 같은 불소화 지역인 청주에서는 진해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 않아 우리나라 수돗물 불소화 사업이 지역사회에서 암 발생 증가를 초래하였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주제어 : 수불사업; 암; 사망률; 불소
대학생 발달의 관점에서 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udent development from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student exchange program, which has become a main strategy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Korean universities concentrate on an exchange student program as a strategy to strengthen their international education competency and students also expect that they would improve vocational abilities as well as multi-cultural competencies. Against this backdr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development phases from an exchange student program. This study also focuses on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tudents’ experienc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sixteen students at K university who have studied abroad in the USA, Canada, and European countries as an exchange student. The findings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tudent exchange program, developed their cultural competence and national identity as a Korean. Living as social minorities in a western society and interacting directly with other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tudents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Second, Korean students grew their learning attitude as well as value perspectives on occupation and social success. While they were abroad, students could escape Korean society which is very competitive in getting high social status and wealth. As exchange students, they could enjoy leisurely life style and concentrate their own thinking, instead of following what the society tells them to do. Third, exchange student programs gave Korean students opportunities to develop independence. They could live alone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and had to make their own decisions. It could help students to enhance responsibilities for their choices and control their daily lives. Fourth,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college student development. Individual factors include individual personalitie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and determined goals. Meanwhile, environmental factors contain characteristics of an institution, region, and nation, which students stayed in. Each factor affected students’ experiences differently; some factors produced positive changes, whereas other factors influenced negatively on students’ experienc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1) for student preparation, Korean universities sh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for students; (2) it is necessary to offer training programs for setting a student’s own goal and improving language skills; (3) students want to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changed attitudes after they return, such as counseling, international networks and meeting groups for interaction between Korean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4) Korean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about internationalization; (5)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nalyze detailed relationships between exchange student program and college student development.
Backg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myocardial infarction (MI) has not been fully explain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threshold temperatur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emergency admissions due to MI in Korea. Methods— Poisson generalized additive model(GAMs)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short-term effects of temperature (mean, maximum, minimum, diurnal) on MI emergency visits, after controlling for meteorological variable and air pollution (PM10, NO2). We defined the threshold temperature when the inflection poi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GAMs analys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ollowing subgroups: geographical region, gender, age (<75 years or ≥75 years), and MI status (STEMI or non-STEMI). Results— The threshold temperatures during heat exposure were for the maximum temperature as 25.5–31.5°C and for the mean temperature as 27.5–28.5°C. The threshold temperatures during cold exposure were for the minimum temperature as -2.5–1.5°C. Relative risks (RRs) of emergency visits above hot temperature thresholds ranged from 1.02 to 1.30 and those below cold temperature thresholds ranged from 1.01 to 1.05. We also observed increased RRs ranged from 1.02 to 1.65 of emergency visits when temperatures changes on a single day or on successive days. Conclusions— We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MI occurrence during both heat and cold exposure at the threshold temperature. Diurnal temperature or temperature change on successive days also increased MI risk.